KR101932050B1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050B1
KR101932050B1 KR1020170006190A KR20170006190A KR101932050B1 KR 101932050 B1 KR101932050 B1 KR 101932050B1 KR 1020170006190 A KR1020170006190 A KR 1020170006190A KR 20170006190 A KR20170006190 A KR 20170006190A KR 101932050 B1 KR101932050 B1 KR 101932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s
connector
row
rows
f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643A (ko
Inventor
민태홍
이동현
이종무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00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0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내부의 근접한 통신라인들 간의 누화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서로 다른 케이블들과 연결되며 복수의 열 및 행을 이루는 핀들을 구비하는 인서트 및, 상기 핀들의 각 열 또는 각 행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핀들의 각 열 또는 각 행 사이에 격벽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FLAT CABLE}
본 발명은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케이블 커넥터는 핀, 소켓의 쌍으로 이루어져 불연속적인 두 개의 전기적인 라인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는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형태와 구조를 달리한다. 항공, 군용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RJ-45, D-Sub 등의 커넥터와는 달리 외부의 EMI가 차폐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한다.
이더넷 통신용 케이블은 Twisted Wire Pair(TWP) 케이블을 사용하여 각 케이블 페어 간 유기되는 Inductive coupling을 줄여 누화(Crosstalk)를 경감시켜 안정적인 통신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장비-케이블, 케이블-케이블 간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커넥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처럼 커넥터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로 인하여 상기 TWP의 꼬임이 풀리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내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핀 또는 통신 라인 간의 누화가 외부의 EMI보다 더 주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인서트들을 격벽으로 각각 차폐하는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4-502415호 또는 커넥터 신호 핀의 각 편성마다 인슐레이터로 차폐하는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개평05-275139호과 같은 기술이 등장하였다.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내부의 근접한 통신라인들 간의 누화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용 커넥터는, 각각 서로 다른 케이블들과 연결되며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열 또는 행을 이루는 핀들을 구비하는 인서트 및, 상기 핀들의 각 열 또는 각 행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핀들의 각 열 또는 각 행 사이에 격벽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핀들은, 서로 같은 열에 배치된 핀들끼리 형성되는 페어가 각 열에 복수개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핀들의 각 열 사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핀들은, 서로 같은 열에 배치된 핀들끼리 페어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핀들의 각 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핀들은,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된 핀들끼리 페어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핀들의 각 행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핀들의 열 별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핀들의 각 열을 구성하는 핀들을 각각 서로 다른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에 인입되는 케이블들을 고정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과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커넥터에 케이블이 인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외부에 돌출된 격벽을 통해, 상기 커넥터로 인입되어 상기 각 핀과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들이 상기 각 핀의 열 별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들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군용 시스템으로 사용되기 위해 일렬로 나열된 케이블들로 이루어지며, 2열의 핀들을 가지는 플러그와 리셉터클로 이루어지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케이블들과 연결되며 2열 및 행을 이루는 핀들을 구비하는 핀 배열부와, 상기 핀들의 각 열로 상기 핀 배열부 외부로 돌출되는 하나의 격벽 삽입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복수개의 소켓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핀들의 각 열별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소켓부와, 상기 제1 및 제2 소켓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의 격벽 삽입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나의 격벽 체결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핀들은, 서로 같은 열에 배치된 핀들끼리 형성되는 페어가 각 열에 복수개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벽 체결부는, 상기 제1 소켓부와 제2 소켓부 사이에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소켓부와 제2 소켓부가 상기 핀 배열부와 결합되는 상기 리셉터클의 면으로부터 상기 일정 깊이만큼 더 깊게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 삽입부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이 체결될 때, 상기 제1 소켓부와 제2 소켓부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 배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핀 배열부의 핀들과 상기 제1 및 제2 소켓부의 소켓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격벽 삽입부와 상기 격벽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핀들과 연결된 소켓들을 상기 핀들의 열별로 분리하는 하나의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핀 배열부의 핀들과 상기 복수의 소켓부의 소켓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격벽 삽입부와 상기 격벽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핀들과 연결된 소켓들을 상기 핀들의 열별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내부의 근접한 통신라인들 간의 누화를 경감시키기 위해 누화가 낮은 핀 배열의 인서트와 누화가 큰 핀들 사이에 격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통신 라인 간 누화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커넥터의 핀 들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여, TWP 케이블을 커넥터에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커넥터와의 연결에 따라 꼬임이 풀려지게 되어 발생하는 인덕션 커플링(Inductive coupling)으로 인한 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렬로 나열된 통신 라인으로 이루어진 기존 플랫 케이블의 형상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기존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체결부의 핀 배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는 기존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서 페어가 같은 열의 핀끼리 이루어진 제1 배치에 따라 나열된 두 쌍의 직선 라인 근단 누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기존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서 페어가 다른 열의 핀끼리 이루어진 제2 배치에 따라 나열된 두 쌍의 직선 라인 근단 누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격벽 구조를 가지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격벽 구조를 가지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격벽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는 복수의 인서트로 구성되는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격벽 및 복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격벽이 형성된 리셉터클과 상기 리셉터클에 결합되는 플러그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은 일렬로 나열된 통신 라인으로 이루어진 기존 플랫 케이블의 형상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일렬로 나열된 TWP(Twisted Wire Pair) 케이블로 이루어진 플랫 케이블은, 좁은 너비의 공간에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인서트(Insert)는 플랫 케이블의 구조에 맞춰 두 개의 열(Column)의 핀, 소켓 구멍(Cavities)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핀을 가지는 커넥터를 플러그(Plug), 소켓을 가지는 커넥터를 리셉터클(Receptacle)이라 하며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체결을 통해, 서로 다른 통신 라인에 대응되는 불연속적인 케이블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커넥터에 TWP 케이블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커넥터와의 연결 부위에 TWP 케이블의 꼬임이 풀릴 수 밖에 없으며, 상기 커넥터의 조립을 위해서는 상기 도 1에서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부분과 같이, TWP 케이블의 꼬임이 일정 길이 만큼 풀려지게 된다. 또한 커넥터 내 체결부위에서는, 상기 꼬임이 풀린 케이블이 서로 인접하게 됨에 따라, 각 통신 라인이 서로 근접하기 때문에 인접한 통신 라인으로 인한 누화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이러한 기존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체결부의 핀 배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는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핀들이 2개의 열을 가지는 인서트(insert)가 커넥터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핀 열을 가지는 인서트의 경우, 통신 라인의 각 쌍(pair)은, 상기 도 2의 제1 페어(101), 및 제2 페어(102)와 같이 같은 열에 위치한 근접한 다른 핀과 페어를 이루거나, 상기 도 2의 제3 페어(151), 및 제4 페어(152)와 같이 다른 열에 위치한 근접한 다른 핀과 페어를 이룰 수 있다. 이하 서로 같은 열에 위치한 핀들끼리 페어가 이루어지도록 통신 라인들이 배치되는 경우를 제1 배치(100)라고 하기로 하고, 서로 다른 열에 위치한 핀들끼리 페어가 이루어지도록 통신 라인들이 배치되는 경우를 제2 배치(150)라고 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 제2 배치(150)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3 페어(151), 제4 페어(152)에 따라 통신 라인들을 배치하게 되면 인접한 통신 페어에서 발생한 자속 성분이 다른 통신 페어들에 수직으로 교차되어 누화가 커지는 구조가 된다.
도 3a 및 도 3b는 이처럼 제1 배치(100)에 따라 배치된 통신 라인들이 배치(제1 페어(101), 제2 페어(102))되는 경우와, 제2 배치(150)에 따라 통신 라인들이 배치(제3 페어(151), 제4 페어(152))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근단 누화(Near End Crosstalk)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각 통신 라인들의 환경 설정 및 배열(Configuration)은 동일하다.
먼저 도 3a는 기존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서 페어가 같은 열의 핀끼리 이루어진 제1 배치(100)에 따라 나열된 두 쌍의 직선 라인, 즉 제1 페어(101)와 제2 페어(102)의 근단 누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배치(100) 형태로 통신 라인들이 배치되는 경우, 근단 누화가 -50dB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b는 기존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서 페어가 다른 열의 핀끼리 이루어진 제2 배치(150)에 따라 나열된 두 쌍의 직선 라인, 즉 제3 페어(151)와 제4 페어(152)의 근단 누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2 배치(150) 형태로 통신 라인들이 배치되는 경우, 근단 누화가 -40dB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 3a 및 도 3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배치(100)에 따라 통신 라인들이 배치되는 경우, 제2 배치(150)에 따라 배치되는 경우보다 근단 누화가 전 주파수 영역에서 10dB 이상 경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통신 라인들을 제1 배치(100)에 따라 서로 같은 열에 위치한 핀들끼리 페어를 이루도록 배치하고, 상기 2열로 배치된 핀 들의 열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여 페어간 누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도 4a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격벽 구조를 가지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a는 2열로 배치된 핀 열들 사이에 격벽이 형성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은 커넥터 하우징에 포함되는 것으로 넓은 접지면을 확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격벽이 형성되는 경우, 각 핀들은 다른 열에 배치된 핀들과 상기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모든 핀들이 일렬로 배열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서로 같은 열에 배치된 다른 핀들과 페어를 이루도록 통신 라인들이 배치되는 경우, 모든 핀들이 상기 제1 배치(100)에 따른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도 3a 및 도 3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근단 누화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근단 누화의 경감에 따라 보다 향상된 전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a는 서로 같은 열에 배치되는 핀들끼리 페어를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도 4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핀들이 서로 같은 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핀들의 열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페어가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페어가 형성되는 형태에 따라 격벽이 형성되는 경우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b는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격벽 구조를 가지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b는 2열로 핀 열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페어가 서로 다른 열에 포함된 핀들끼리 형성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3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각 통신 라인 페어들의 자속 성분이 다른 통신 라인 페어에 수직으로 교차됨으로써 근단 누화가 커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4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페어를 형성하는 각 핀들의 행 별로 격벽(45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처럼 격벽(450)이 형성되는 경우, 각 핀들은 다른 열에 배치된 핀들과 상기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페어들이 서로 차폐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통신 라인 페어의 자속 성분이 다른 통신 라인 페어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근단 누화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근단 누화의 경감에 따라 보다 향상된 전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페어를 구성하는 핀들 사이에 격벽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처럼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복수의 구조 예시도를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4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격벽이 각 핀들이 같은 열에 속하는 핀들끼리 페어를 형성하고, 격벽이 상기 핀들의 각 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격벽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는 복수의 인서트로 구성되는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격벽(500)이 커넥터 하우징(510)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격벽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510)의 내부 공간이 복수개로 구분(제1 공간(520), 제2 공간(530))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분된 커넥터 하우징(510)의 각 내부 공간(520, 530)에는 서로 다른 인서트들(550, 560)이 삽입 및 커넥터 하우징(510)과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520)에는 제1 인서트(550)가, 제2 공간(530)에는 제2 인서트(560)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커넥터 하우징(510)에 구비되는 인서트들은 핀들이 열 또는 행 별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들의 각 열을 구성하는 핀들은 서로 다른 인서트에 구비되거나, 상기 핀들의 각 행을 구성하는 핀들은 서로 다른 인서트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5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핀들이 제1 및 제2 열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500)이 상기 핀들의 열들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인서트(550)는 상기 핀들 중 제1 열에 해당되는 핀들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인서트(560)는 핀들의 상기 핀들 중 제2 열에 해당되는 핀들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500)에 의해 구분되는 서로 다른 인서트들(550, 560)에 의해, 핀들이 각 열별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격벽 및 복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형성되는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600)은, 커넥터 하우징(600)에 케이블들이 인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600)의 외부에 돌출되는 격벽(61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브라켓(630, 640)과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 하우징(600)은 상기 복수의 브라켓(630, 640)에 삽입 및 상기 복수의 브라켓(630, 640)을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 고정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브라켓(630, 640)은 커넥터 하우징(600)에 체결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600)에 제1 인입부(650) 및 제2 인입부(660)에 인입되는 케이블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복수의 브라켓(630, 640)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600) 외부에 돌출된 격벽(610)에 의해, 상기 인입되는 케이블들이, 서로 다른 열을 구성하는 핀들에 연결되는 케이블들과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들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핀들이 제1 및 제2 열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600)이 상기 핀들의 열들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열의 핀들과 연결되는 케이블들과, 상기 제2 열의 핀들과 연결되는 케이블들은, 상기 돌출된 격벽(600)에 의해 서로 분리 및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이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각 핀들이 열별로 분리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격벽이 형성된 리셉터클(730)과 상기 리셉터클에 결합되는 플러그(700)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700)는 각각 서로 다른 케이블들과 연결될 수 있는 핀들을 포함하는 핀 배열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핀 배열부(702)에 포함되는 핀들은 복수의 열 및 행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핀 배열부(702)는 상기 핀 배열부(702)의 외부에 돌출되는 격벽 삽입부(70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격벽 삽입부(704)는 상기 핀 배열부(702)에 포함된 핀들의 각 열 또는 각 행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7은 상기 핀 배열부(702)의 핀들이 제1 및 제2 열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격벽 삽입부(704)가 상기 제1 열과 제2 열 사이에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리셉터클(730)은 상기 핀 배열부(702)의 핀들 각각과 결합될 수 소켓들을 구비하는 소켓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켓부는 상기 핀 배열부(702)에 형성된 핀들의 각 열 또는 각 행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들은 상기 도 5의 인서트들과 마찬가지로, 어느 한 열을 구성하는 핀들에 대응되는 소켓들을 어느 하나의 소켓부가 구비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한 행을 구성하는 핀들에 대응되는 소켓들을 어느 하나의 소켓부가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핀들의 각 열 또는 각 행 별로 상기 소켓부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핀 배열부(702)의 핀들이 제1 및 제2 열을 형성하는 경우, 리셉터클(730)은 상기 제1 열의 핀들에 대응되는 소켓들을 포함하는 제1 소켓부(732)와, 상기 제2 열의 핀들에 대응되는 소켓들을 포함하는 제2 소켓부(7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소켓부(732) 및 제2 소켓부(734) 사이에는 격벽 체결부(73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 체결부(73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소켓부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켓부들이 상기 핀 배열부(702)에 구비된 핀들의 각 열별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핀들의 각 열 사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소켓부들이 상기 핀 배열부(702)에 구비된 핀들의 각 행별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핀들의 각 행 사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 체결부(736)는 상기 플러그(700)의 격벽 삽입부(70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700)와 리셉터클(730)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라면, 상기 플러그(700)의 핀 배열부(702)에 구비된 핀들과 상기 소켓부들(732, 734)의 소켓들에 각각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700)의 격벽 삽입부(704)와 상기 리셉터클(730)의 격벽 체결부(736)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핀들과 각각 연결된 소켓들을 상기 핀들의 열별 또는 행별로 분리 및 차폐하는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격벽이 커넥터 하우징에 포함되어 넓은 접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을 뿐 격벽의 재질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상기 격벽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격벽 삽입부나 격벽 체결부 역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시 도전성 재질의 격벽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0 : 격벽 510 : 커넥터 하우징
520 : 제1 공간 530 : 제2 공간
550 : 제1 인서트 560 : 2 인서트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군용 시스템으로 사용되기 위해 일렬로 나열된 케이블들로 이루어지며, 2열의 핀들을 가지는 플러그와 리셉터클로 이루어지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케이블들과 연결되며 2열 및 행을 이루는 핀들을 구비하는 핀 배열부와, 상기 핀들의 각 열로 상기 핀 배열부 외부로 돌출되는 하나의 격벽 삽입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복수개의 소켓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핀들의 각 열별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소켓부와, 상기 제1 및 제2 소켓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의 격벽 삽입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나의 격벽 체결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핀들은, 서로 같은 열에 배치된 핀들끼리 형성되는 페어가 각 열에 복수개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벽 체결부는,
    상기 제1 소켓부와 제2 소켓부 사이에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소켓부와 제2 소켓부가 상기 핀 배열부와 결합되는 상기 리셉터클의 면으로부터 상기 일정 깊이만큼 더 깊게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 삽입부는,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이 체결될 때, 상기 제1 소켓부와 제2 소켓부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핀 배열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핀 배열부의 핀들과 상기 제1 및 제2 소켓부의 소켓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격벽 삽입부와 상기 격벽 체결부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핀들과 연결된 소켓들을 상기 핀들의 열별로 분리하는 하나의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7. 삭제
KR1020170006190A 2017-01-13 2017-01-13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932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90A KR101932050B1 (ko) 2017-01-13 2017-01-13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90A KR101932050B1 (ko) 2017-01-13 2017-01-13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643A KR20180083643A (ko) 2018-07-23
KR101932050B1 true KR101932050B1 (ko) 2018-12-24

Family

ID=6310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190A KR101932050B1 (ko) 2017-01-13 2017-01-13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0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151A (ja) * 2003-02-18 2004-09-0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4502415A (ja) * 2010-12-06 2014-01-30 ビーケイエス エンジニアリング エイジー 導体コネクタ機構用の多極差込口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151A (ja) * 2003-02-18 2004-09-0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4502415A (ja) * 2010-12-06 2014-01-30 ビーケイエス エンジニアリング エイジー 導体コネクタ機構用の多極差込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643A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68928B (zh) 插頭組件及組裝插頭連接器的方法
US11362463B2 (en)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CN104409906B (zh) 一种轻插拔力高速传输电连接器
US7651373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US937391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ing lattice
RU2089978C1 (ru) Многоконтактный экранирован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с общим заземлением
US8398432B1 (en) Grounding structures for header and receptacle assemblies
US8419472B1 (en) Grounding structures for header and receptacle assemblies
US9287670B2 (en) Patch cord having a plug with a conductive shield between differential pairs formed by conductors of a cable
US947288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bracket
US949058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shield
EP1719210B1 (en) Connector apparatus
US757548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back end design
CN110350334A (zh) 电互连系统
JP2009026768A (ja) ケーブルの末端に装着して用いるモジュラ・プラグ
TW201315052A (zh) 插頭與插座組件之接地結構
US11894637B2 (en)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EP2321880B1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assemblies having socket members
TW201803229A (zh) 具有改善串音功能的高頻訊號傳輸連接器
US20080254685A1 (en) Receptacle connector assembly for reducing EMI and/or crosstalk
US20150050836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mproved spacer
JP6097165B2 (ja) コネクタ
US10770814B2 (en) Orthogonal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18018898A1 (zh) 差分连接器及其壳体部件
KR101932050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