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014B1 -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014B1
KR101932014B1 KR1020180036740A KR20180036740A KR101932014B1 KR 101932014 B1 KR101932014 B1 KR 101932014B1 KR 1020180036740 A KR1020180036740 A KR 1020180036740A KR 20180036740 A KR20180036740 A KR 20180036740A KR 101932014 B1 KR101932014 B1 KR 10193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axis
disposed
driving modu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연
유균용
박새별
Original Assignee
(주)조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타 filed Critical (주)조타
Priority to KR102018003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ki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urfing, i.e. without a sail; for skate or snow boar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9Ski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듈에 의해 슬로프를 좌우 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는 (경사 방향의 다양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가 제공된다.
상기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는 길이가 폭보다 긴 탑승면을 포함하는 슬로프; 상기 슬로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슬로프와 회전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3개 이상이고,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듈은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1개의 구동 모듈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듈과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WINTER SPORTS SLOPE SIMULATOR}
본 발명은 슬로프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는 동계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야외 슬로프를 실내에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시스템 및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시스템의 구성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에 탑승하여, 실내에서 스키 및 보드 등의 동계 스포츠를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는 밸트를 폐순환시켜 속도를 구현하고, 슬로프를 틸팅시켜 실제 스키장 슬로프의 경사를 구현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실제 슬로프를 하강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는 좌우 방향(탑승면의 폭 방향)으로 틸팅되지 않아 실제 슬로프를 구현하지 못하고, 반복되는 사용에 의해 밸트가 마모되고(스키 및 스노 보드의 손상으로 이어짐), 사용자가 갑작스럽게 넘어지는 경우 밸트의 순환을 멈출 수 없어 크게 다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일본 특개평 제08-173584호, 1996.07.0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경사를 구현하며, 사용자와 벨트를 보호할 수 있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는 길이가 폭보다 긴 탑승면을 포함하는 슬로프; 상기 슬로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슬로프와 회전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3개 이상이고,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듈은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적어도 1개의 구동 모듈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듈과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개의 구동 모듈은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탑승면을 포함하는 슬로프; 상기 슬로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슬로프를 틸팅시켜 경사를 조절하는 구동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제1회전 조인트에 의해 상기 슬로프와 연결되는 제1구동 모듈과, 제2회전 조인트에 의해 상기 슬로프와 연결되는 제2구동 모듈과, 제3회전 조인트에 의해 상기 슬로프와 연결되는 제3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 조인트는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회전 조인트는 상기 제1축과 예각으로 배치되는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회전 조인트는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과 예각으로 배치되는 제3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과 상기 제3축은 상기 탑승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 조인트는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에서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에서 제2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3회전 조인트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3회전 조인트는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에서 상호 이격되고,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탑승면의 무게 중심은 상기 탑승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제1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2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3회전 조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의 무게 중심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 모듈은, 상기 제1축과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1크랭크 암; 상기 제1축과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1-1크랭크 암과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2크랭크 암; 하부는 상기 제1-1크랭크 암 및 상기 제1-2크랭크 암과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제1회전 조인트에 연결되는 제1커넥팅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1축과 상기 제3축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슬로프는 상기 제1구동 모듈에 의해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틸팅되고, 상기 제2구동 모듈과 상기 제3구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슬로프는, 제1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으로 회전 축을 가지는 복수 개의 롤러; 내부에 상기 복수 개의 롤러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에 의해 폐순환하는 밸트;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메인 모터;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하나를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셔너는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텐셔너와,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텐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텐셔너는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하나의 일단이 배치되는 제1베어링과, 상기 제1베어링이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제1슬라이딩 레일에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1베어링과 접촉하는 제1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텐셔너는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하나의 타단이 배치되는 제2베어링과, 상기 제2베어링이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제2슬라이딩 레일에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베어링과 접촉하는 제2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로프는, 상기 밸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벨트와 함께 폐순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재질은 폴리 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듈에 의해 슬로프를 좌우 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다(경사 방향의 다양화). 나아가 윤활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밸트 및 커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갑작스럽게 멈추는 경우 즉각적으로 밸트의 순환을 멈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슬로프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롤러와 텐셔너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 모듈이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슬로프가 틸팅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 1의 x축"을 "탑승면(101)의 폭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x축의 화살표 방향은 좌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y축"을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y축의 화살표 방향은 후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z축"을 "탑승면(101)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z축의 화살표 방향은 상측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1000)는 슬로프(100)를 틸팅시켜 다양한 경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1000)에 가상의 스키장이나 현실의 스키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가상의 스키장이나 현실의 스키장의 조건에 따라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1000)를 구동하는 제어 모듈이 추가되면, 가상 현실 시스템이나 증강 현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10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슬로프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롤러와 텐셔너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 모듈이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슬로프가 틸팅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1000)는 슬로프(100), 구동 모듈(200) 및 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추가로 윤활제 분사 모듈(미도시)과 센서 모듈(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사용자의 안전 확보 및 탑승면의 마모 방지).
슬로프(100)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밸트(150) 및 커버(190)의 폐순환에 의해 탑승면(101)은 연속적으로 순환되며, 사용자는 이에 저항함으로써, 스키나 보드를 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슬로프(100)는 구동 모듈(2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슬로프(100)는 구동 모듈(200)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의 스키장(가상 현실)이나 실제 스키장(증강 현실)의 다양한 경사를 구현할 수 있다.
슬로프(100)는 제1사이드 프레임(110), 제2사이드 프레임(120), 베이스 프레임(130), 롤러(140), 밸트(150), 메인 모터(160), 메인 기어 박스(170), 텐셔너(180) 및 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로프(1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면(10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버(190)의 상면을 탑승면(101)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커버(190)가 생략된 경우, 밸트(150)의 상면을 탑승면(101)으로 정의할 수 있다. 탑승면(101)은 길이가 폭보다 길 수 있다. 탑승면(101)은 길이가 폭의 1.5배 이상이거나, 2배 이상일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은 슬로프(100)의 측면 외장 부재일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은 탑승면(101)의 폭 방향(x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사이드 프레임(110)은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사이드 프레임(120)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에는 복수 개의 롤러(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에는 복수 개의 롤러(150) 중 하나를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텐셔너(180)가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사이드 프레임(110)에는 복수 개의 롤러(150) 중 다른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메인 모터(160)와 메인 모터(16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메인 기어 박스(170)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슬로프(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외장 부재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구동 모듈(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구동 모듈(200)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모듈(200)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30)이 틸팅되며, 이와 일체로 슬로프(100)의 다른 구성 요소도 틸팅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제1사이드 프레임(110), 제2사이드 프레임(12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0)은 롤러(140), 밸트(150) 및 커버(190)와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밸트(150) 및 커버(190)는 베이스 프레임(130)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에서 폐순환할 수 있다.
다만, 슬로프(100)의 프레임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고,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이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밸트(150) 및 커버(190)가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에 지지되어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140)는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롤러(140)가 4개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4개의 롤러(140)는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롤러(140)는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 사이에 장착된 복수 개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에 의재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140)는 탑승면(110)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회전 축을 가질 수 있다.
4개의 롤러(140)는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밸트(150)에 의해 함께 묶여 있을 수 있다. 즉, 4개의 롤러(140)는 밸트(15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4개의 롤러(140) 중 최전방에 위치한 롤러(이하, "동력 제공 롤러"로 호칭)는 메인 모터(160)의 동력을 직접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다. 4개의 롤러(140) 중 나머지 롤러는, 밸트(150)를 통해 간접적으로 메인 모터(160)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4개의 롤러(140) 중 최후방에 위치한 롤러(이하, "장력 조절 롤러"로 호칭)는 텐셔너(180에 의해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밸트(150)에 인가되는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장력 조절 롤러"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밸트(150)는 느슨해지며, "장력 조절 롤러"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밸트(150)가 팽팽해질 수 있다.
밸트(150)는 1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밸트(150)가 2개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2개의 밸트(150)는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2개의 밸트(150) 각각은 면을 가지는 링 형태일 수 있다. 2개의 밸트(150) 각각은 4개의 롤러(140)에 감겨있을 수 있다. 2개의 밸트(150)는 4개의 롤러(14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밸트(150)는 각각 "동력 제공 롤러"의 회전 구동에 의해 순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밸트의 순환에 의해 탑승자는 속도를 체감할 수 있다. 밸트(150)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치형(151)이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롤러(14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밸트(150)의 복수 개의 치형(151)과 치합하는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밸트(150)는 롤러(140)와 단단하게 결합하여 회전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동시에, 4개의 롤러(140)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회전 동력의 전달율을 높이는 효과 및 고정 효과).
밸트(150)는 커버(19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즉, 밸트(150)는 커버(19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밸트(150) 대신 커버(190)가 마모되어 밸트(150)의 내구성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90)는 밸트(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므로, 마모된 커버(190)는 새로운 커버(190)로 교체될 수 있다. 밸트(150)의 재질은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밸트(150)와 커버(190)를 접착제로 결합하기 위함이다. 밸트(150)와 커버(190)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경우, 밸트(150)와 커버(190)의 결합면을 기밀하게 유지하여, 윤활제 등이 슬로프(100)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모터(160)는 제1사이드 프레임(110)과 제2사이드 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모터(160)는 "동력 제공 롤러"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모터(160)는 "동력 제공 롤러"와 메인 기어 박스(1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모터(160)는 서보 모터(servo motor)일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모터(160)의 회전수(RPM, Revolutions per minute))는 카운팅될 수 있다. 메인 모터(160)의 회전수에 의해 윤활제 분사 모듈의 분사 시점(주기)을 결정할 수 있다.
텐셔너(180)는 "장력 조절 롤러"를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밸트(150) 및 커버(19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텐셔너(180)는 제1사이드 프레임(110)에 배치되는 제1텐셔너(181)와, 제2사이드 프레임(120)에 배치되는 제2텐셔너(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텐셔너(181)는 "장력 조절 롤러"의 좌측단이 배치되는 제1베어링(181-1)과, 제1베어링(181-1)이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딩 레일(181-2)과, 제1슬라이딩 레일(181-2)에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1베어링(181-1)과 접촉하는 제1고정 부재(18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베어링(181-1)은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일 수 있다. 제1베어링(181-1)의 내륜에는 "장력 조절 롤러"의 좌측단의 외주면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슬라이딩 레일(181-2)은 사각 링 형태로 내부에는 제1베어링(181-1)의 외륜이 결합할 수 있다. 제1베어링(181-1)은 제1슬라이딩 레일(181-2)의 내측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1고정 부재(181-3)는 제1슬라이딩 레일(181-2)의 전방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부재(181-3)는 수나사로서 제1슬라이딩 레일(181-2)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고정 부재(181-3)는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고정 부재(181-3)의 후방 단부는 제1베어링(181-1)과 접촉하여 제1베어링(181-1)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2텐셔너(182)는 제2사이드 프레임(120)에 배치되어, "장력 조절 롤러"의 우측단이 배치되는 것 외에는 제1텐셔너(18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제2텐셔너(182)는 제1텐셔너(181)와 마찬가지로, 제2베어링(182-1), 제2슬라이딩 레일(182-2) 및 제2고정 부재(18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텐셔너(182)에는 제1텐셔너(181)의 기술적 사상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텐셔너(180)는 제1고정 부재(181-3)와 제2고정 부재(182-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베어링(181-1)과 제2베어링(182-1)을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장력 조절 롤러"는 이와 일체로 이동하여 2개의 밸트(150) 및 커버(19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커버(190)는 면을 가지는 링 형태일 수 있다. 커버(190)는 4개의 롤러(140)에 감겨있을 수 있다. 커버(190)는 2개의 밸트(150)를 감쌀 수 있다. 즉, 커버(190)와 4개의 롤러(140) 사이에 2개의 밸트(150)가 위치할 수 있다. 커버(190)는 2개의 밸트(150)에 적층되어 2개의 밸트(15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90)는 2개의 밸트(15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커버(190)를 교체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커버(190)의 내주면과 2개의 밸트(150)의 외주면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커버(19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밸트(150)에 용이하게 접착하기 위함이다.
구동 모듈(200)은 슬로프(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모듈(200)은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 모듈(200)은 슬로프(100)를 틸팅시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구동 모듈(200)은 슬로프(100)의 경사 각도와 경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구동 모듈(200)은 3개 이상일 수 있다. 3개 이상의 구동 모듈(200) 중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듈(200)은, 슬로프(100)를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 좌우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로프(100)를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듈(200)은,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고, 탑승면(101)의 폭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 결과, 슬로프(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나머지 구동 모듈(200) 중 적어도 1개는 슬로프(100)를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 전후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구동 모듈(200)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구동 모듈(200)과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탑승면(101)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인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는 슬로프를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만 틸팅시킨다. 따라서 다양한 경사 방향을 구현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1000)는 슬로프(100)가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뿐만 아니라,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 좌우 방향)으로도 틸팅되어 다양한 경사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구동 모듈(200)이 3개가 존재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구동 모듈(200)은 제1구동 모듈(210), 제2구동 모듈(220) 및 제3구동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 모듈(210)은 제2구동 모듈(220)과 제3구동 모듈(23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 모듈(210)은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 중앙에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1구동 모듈(210)의 상하 방향 구동(수직 구동, 승강 구동)은,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을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틸팅시켜,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구동 모듈(210)은 제1모터(211), 제1기어 박스(212), 제1-1크랭크 암(213), 제1-2크랭크 암(214), 제1커넥팅 암(215) 및 제1회전 조인트(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211)의 구동력은 제1기어 박스(212)를 통해 제1-1크랭크 암(213) 및 제1-2크랭크 암(21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1크랭크 암(213) 및 제1-2크랭크 암(214)은 제1크랭크 축(201-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크랭크 축(201-2)은 후술하는 제1축(201-1)과 평행하고, 제1축(201-1)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기어 박스(212)는 윔 기어를 포함하여 적정한 감속비로 회전 구동력의 토크값을 조절할 수 있다.
제1-1크랭크 암(213) 및 제1-2크랭크 암(214)은 제1크랭크 축(201-2)에서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제1-1크랭크 암(213) 및 제1-2크랭크 암(214)의 연장 방향 단부에는 제1커넥팅 암(215)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1크랭크 암(213) 및 제1-2크랭크 암(214)은 제1축(202-1) 방향(탑승면의 폭 방향, x축)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1커넥팅 암(215)의 하부에는 2개의 다리가 형성되어 제1-1크랭크 암(213) 및 제1-2크랭크 암(214)과 제1커넥팅 축(201-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1커넥팅 암(215)의 상부에는 제1회전 조인트(216)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커넥팅 축(201-3)은 후술하는 제1축(201-1)과 평행하고, 제1크랭크 축(201-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커넥팅 암(215)의 상부는 제1회전 조인트(216)를 통해 슬로프(100)를 지지하고 제1커넥팅 암(215)의 하부는 제1커넥팅 축(2013)을 기준으로 제1-1크랭크 암(213) 및 제1-2크랭크 암(214)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제1모터(211)의 작동에 의해 제1-1크랭크 암(213) 및 제1-2크랭크 암(214)의 회전 운동은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회전 조인트(216)는 수직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1회전 조인트(216)는 슬로프(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슬로프(100)와 제1구동 모듈(21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회전 조인트(216)는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회전 조인트(216)는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1회전 조인트(216)는 제1축(201-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축(201-1)은 탑승면(10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회전 조인트(216)는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에서 중앙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제2 내지 제3회전 조인트(226, 236)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도 4 참조).
제1회전 조인트(216)의 상하 구동력은 베이스 프레임(130)의 후방에 편향되게 작용하므로, 베이스 프레임(130)은 회전 모멘트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슬로프(100)는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틸팅되어, 경사도가 조절될 수 있다(도 7의 (1) 참조).
한편, 제1회전 조인트(216)는 제1축(20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과 연결되므로, 수직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반력이 제1-1크랭크 암(213), 제1-2크랭크 암(214) 및 제1커넥팅 암(215)에 직접 전달되어 이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로프(100)가 자연스럽게(매끄럽게 연속적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회전 조인트(216)는 제1조인트부(216-1), 제1지지부(216-2) 및 제1핀부(2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인트부(216-1)는 헤드에 제1핀부(216-3)가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그 결과, 제1조인트부(216-1)는 제1축(201-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지지부(216-2)는 제1조인트부(216-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지지부(216-2)의 하부에는 제1핀부(216-1)가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216-2)의 상부는 평판 형태일 수 있다. 제1지지부(216-2)의 상부는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에 마련된 제1수용부(베이스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된 홈 또는 홀 형태)에 수용될 수 있다. 제1지지부(216-2)의 상부는 마치 트레이와 같이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216-2)의 상부와 베이스 프레임(130)의 제1수용부에 의해, 제1회전 조인트(216)와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은 연결될 수 있다.
제2구동 모듈(220) 및 제3구동 모듈(230)은 제1구동 모듈(21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로프(100)는 전방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1구동 모듈(220)을 전방에 배치하는 것보다, 제2구동 모듈(220) 및 제3구동 모듈(230)을 전방에 배치하는 것이 슬로프(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에 유리하다.
제2구동 모듈(220) 및 제3구동 모듈(230)은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구동 모듈(220) 및 제3구동 모듈(230)은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 모듈(220) 및 제3구동 모듈(230)은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2구동 모듈(220) 및 제3구동 모듈(230)의 상하 방향 구동(수직 구동, 승강 구동)은,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을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틸팅시켜,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구동 모듈(220) 및 제3구동 모듈(230)의 구성 요소는 제2회전 조인트(226) 및 제3회전 조인트(236)를 제외하고, 제1구동 모듈(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구동 모듈(220)의 제2모터, 제2기어 박스, 제2-1크랭크 암, 제2-2크랭크 암 및 제2커넥팅 암에는 제1구동 모듈(210)의 구성 요소가 유추 적용될 수 있다(도 4, 도 5 참조). 또한, 제3구동 모듈(230)의 제3모터, 제3기어 박스, 제3-1크랭크 암, 제3-2크랭크 암, 제3커넥팅 암에는 제1구동 모듈(210)의 구성 요소가 유추 적용될 수 있다(도 4, 도 5 참조).
제2회전 조인트(226)는 슬로프(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슬로프(100)와 제2구동 모듈(2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회전 조인트(226)는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회전 조인트(226)는 제1회전 조인트(216)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2회전 조인트(226)는 제2축(202-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축(202-1)은 탑승면(10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축(201-1)과 예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회전 조인트(226)는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에서 좌측으로 편향되어 위치하고, 제1회전 조인트(216)보다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3회전 조인트(236)는 슬로프(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슬로프(100)와 제3구동 모듈(230)을 연결할 수 있다. 제3회전 조인트(236)는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3회전 조인트(236)는 제1회전 조인트(216)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3회전 조인트(236)는 제3축(203-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축(203-1)은 탑승면(10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축(201-1) 및 제2축(202-1)과 예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축(201-1)과 제2축(202-1)이 이루는 각도는 제1축(201-1)과 제3축(203-1)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고, 제1축(201-1)과 제2축(202-1)이 이루는 각도는 제2축(202-1)과 제3축(203-1)이 이루는 각도와 같거나 작거나 클 수 있다. 즉, 제1축(201-1)과 제2축(202-1)과 제3축(202-3)의 교차점에 의해 형성된 도형(제1회전 조인트와 제2회전 조인트와 제3회전 조인트에 의해 형성된 도형과 같은 의미)은, 밑각의 각도가 사잇각의 각도보다 큰 이등변 삼각형일 수 있다. 나아가 제1회전 조인트(216)과 제2회전 조인트(226)과 제3회전 조인트(236)의 교차점에 의해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의 무게 중심은 탑승면(101)의 무게 중심과 탑승면(101)과 수직한 방향(z축)에서 오버랩될 수 있다. 그 결과, 슬로프(100)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3회전 조인트(236)는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에서 우측으로 편향되어 위치하고, 제1회전 조인트(216)보다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회전 조인트(226) 및 제3회전 조인트(236)는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에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나아가 제2회전 조인트(226) 및 제3회전 조인트(236)는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회전 조인트(226) 및 제3회전 조인트(236)의 상하 구동력은 베이스 프레임(130)의 전방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편향되게 작용하므로, 베이스 프레임(130)은 회전 모멘트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슬로프(100)는 제2회전 조인트(226) 및 제3회전 조인트(23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틸팅되어, 경사도가 조절될 수 있다(도 7의 (2), (3) 참조).
한편, 제2회전 조인트(226)는 제1회전 조인트(216)와 마찬가지로 제2조인트부, 제2지지부 및 제2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3회전 조인트(236)도 제1회전 조인트(216)와 마찬가지로 제3조인트부, 제3지지부 및 제3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3구동 모듈(210,220,230)의 위치와 제1 내지 제3회전 조인트(201-1,202-1,203-1)에 의해 슬로프(100)를 다양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틸팅시켜 다양한 경사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슬로프(100)의 베이스 프레임(130)은 제1지지축(미도시)과 제2지지축(미도시)과 제3지지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축은 제1구동 모듈(210)의 제1회전 조인트(216)의 제1지지부(216-2)의 상부(평판 트레이 형태)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지지축은 제2구동 모듈(220)의 제2회전 조인트(226)의 제2지지부의 상부(평판 트레이 형태)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3지지축은 제3구동 모듈(230)의 제3회전 조인트(236)의 제3지지부의 상부(평판 트레이 형태)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축은 제1지지부(216-2)의 상부 평면과 접촉하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제2지지축은 제2지지부의 상부 평면과 접촉하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제3지지축은 제3지지부의 상부 평면과 접촉하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130)은 제1지지축이 제1지지부(216-2)의 상부 평면에서 미끄러짐으로써 제1회전 조인트(216)에 대해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일정 수준의 자유도를 가진다(제2지지축과 제3지지축의 효과도 마찬가지). 그 결과, 슬로프(100)가 복합적인 방향으로 틸팅되는 경우, 비틀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지지축은 탑승면(101)과 평행하고 제1축(201-1)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지지축은 탑승면(101)과 평행하고 제2축(202-1)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지지축은 탑승면(101)과 평행하고 제3축(203-1)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300)는 슬로프(100)와 구동 모듈(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모듈(200)은 베이스(300)와 슬르포(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300)는 평판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300)의 상면에는 제1구동 모듈(210)이 안착되는 제1브라켓(311)과, 제2구동 모듈(220)이 안착되는 제2브라켓(312)과, 제3구동 모듈(230)이 안착되는 제3브라켓(313)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에 추가될 수 있는 윤활제 분사 모듈(미도시) 및 센서 모듈(미도시)을 설명한다.
윤활제 분사 모듈은 커버(190)에 윤활제를 분사하여, 커버(190)와 사용자의 스키 또는 보드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커버(190)의 마모가 감소되며, 사용자가 마찰에 의해 이질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윤활제 분사 모듈은 노즐과, 펌프와, 윤활제 저장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은 슬로프(100)에서 커버(190)의 전방 측면을 향하여 분사할 수 있다. 커버(190)의 상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메인 모터(160)의 회전수와 연동하여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모터(160)의 회전수가 증가하는 경우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수에서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모듈(200)의 작동과 연동하여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구동 모듈(210)에 의해 탑승면(10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경사도가 높아지면,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2구동 모듈(220)과 제3구동 모듈(2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탑승면(101)의 폭 방향(x축 방향) 일측으로 경사도가 높아지면, 그 방향에 위치한 노즐과 연결된 펌프만을 작동하거나 그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노즐과 연결된 폄프만을 작동할 수 있다(분사 영역 구획).
센서 모듈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넘어졌을 때 메인 모터(160)의 작동을 즉시 멈추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포토센서와 접촉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센서는 광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모션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넘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포토센서는 탑승면(101)의 전후 좌우에 각각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접촉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사용자가 넘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접촉 센서는 탑승면(10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센서는 쿠션과 같은 충격 방지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슬로프
200: 구동 모듈
300: 베이스
1000: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Claims (11)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 프레임과 제2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와,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메인 모터와, 상기 복수 개의 롤러에 의해 순환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와 접착제로 접착되고 길이가 폭보다 큰 탑승면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슬로프;
    상기 슬로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슬로프와 회전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커버에 윤활제를 분사하는 윤활제 분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제1회전 조인트에 의해 상기 슬로프와 연결되는 제1구동 모듈과, 제2회전 조인트에 의해 상기 슬로프와 연결되는 제2구동 모듈과, 제3회전 조인트에 의해 상기 슬로프와 연결되는 제3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 조인트는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회전 조인트는 상기 제1축과 예각으로 배치되는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회전 조인트는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과 예각으로 배치되는 제3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회전 조인트는 상기 슬로프에 상기 제2축과 수직하며 상기 탑승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지지축을 지지하고, 플레이트 형태인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회전 조인트는 상기 슬로프에 상기 제3축과 수직하며 상기 탑승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지지축을 지지하고, 플레이트 형태인 제3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제 분사 모듈의 분사 주기는 상기 메인 모터의 회전수에 의해 결정되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조인트는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에서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에서 제2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3회전 조인트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3회전 조인트는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에서 상호 이격되고,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에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면의 무게 중심은 상기 탑승면과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제1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2회전 조인트와 상기 제3회전 조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의 무게 중심과 오버랩되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 모듈은,
    상기 제1축과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1크랭크 암;
    상기 제1축과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1크랭크 암과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2크랭크 암;
    하부는 상기 제1-1크랭크 암 및 상기 제1-2크랭크 암과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제1회전 조인트에 연결되는 제1커넥팅 암을 포함하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제1축과 상기 제3축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프는 상기 제1구동 모듈에 의해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틸팅되고, 상기 제2구동 모듈과 상기 제3구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탑승면의 폭 방향으로 틸팅되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프는,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하나를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텐셔너를 더 포함하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1텐셔너와,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2텐셔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텐셔너는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하나의 일단이 배치되는 제1베어링과, 상기 제1베어링이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제1슬라이딩 레일에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1베어링과 접촉하는 제1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텐셔너는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중 하나의 타단이 배치되는 제2베어링과, 상기 제2베어링이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제2슬라이딩 레일에 상기 탑승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베어링과 접촉하는 제2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재질은 폴리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KR1020180036740A 2018-03-29 2018-03-29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KR101932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40A KR101932014B1 (ko) 2018-03-29 2018-03-29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40A KR101932014B1 (ko) 2018-03-29 2018-03-29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716A Division KR20190114724A (ko) 2018-12-18 2018-12-18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014B1 true KR101932014B1 (ko) 2018-12-24

Family

ID=6501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40A KR101932014B1 (ko) 2018-03-29 2018-03-29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0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918Y1 (ko) 2003-03-17 2003-06-27 장승환 윤활유가 자동 공급되는 트레드밀
KR101327947B1 (ko) 2012-06-05 2013-11-13 이병규 경사를 제공하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918Y1 (ko) 2003-03-17 2003-06-27 장승환 윤활유가 자동 공급되는 트레드밀
KR101327947B1 (ko) 2012-06-05 2013-11-13 이병규 경사를 제공하는 스키 및 스노우 보드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9900C (en) Vehicle
US9789384B1 (en) Self-balancing board having a suspension interface
US8863351B2 (en) Floor cleaning machine
US9227654B2 (en) Ground robot drive system
US7337862B1 (en) Mono-wheel vehicle with tilt mechanism
KR102167310B1 (ko) 6륜 접지 자동경로차량
KR20140093369A (ko) 로봇 청소기
KR20190114724A (ko)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JP5336158B2 (ja) クローラー式走行車
US7059434B2 (en) Hand controls for small loader
KR101932014B1 (ko) 동계 스포츠 슬로프 시뮬레이터
US20200197786A1 (en) Motorized skate
US20220323823A1 (en) Bicycle simulator
KR20150129249A (ko) 스키 시뮬레이션 장치
KR20180086001A (ko) 자율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이동 플랫폼
KR101771889B1 (ko) 자전거 대회 코스 체험이 가능한 자전거 롤러 장치
US20210155227A1 (en) Transportation device having multiple axes of rotation and auto-balance based drive control
JP2005224356A (ja) ピッチングマシーン
KR101811777B1 (ko) 트레드밀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운동장치
KR101894530B1 (ko) 비 접촉식 감속 및 가속장치를 구비하는 자전거 트레이너
KR20160111551A (ko)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KR20070099146A (ko) 두 바퀴주행 로봇용 보조바퀴 및 주행바퀴
KR102164213B1 (ko) 난이도가 조절되는 스키 시뮬레이터
KR20200026388A (ko) 난이도가 조절되는 스키 시뮬레이터
JP2944722B2 (ja) 走行作業機における操向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