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750B1 -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750B1
KR101931750B1 KR1020180119163A KR20180119163A KR101931750B1 KR 101931750 B1 KR101931750 B1 KR 101931750B1 KR 1020180119163 A KR1020180119163 A KR 1020180119163A KR 20180119163 A KR20180119163 A KR 20180119163A KR 101931750 B1 KR101931750 B1 KR 10193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om
indoor
plant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만
Original Assignee
(주)지플러스 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플러스 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지플러스 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18011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50B1/ko
Priority to PCT/KR2019/009277 priority patent/WO2020045829A1/ko
Priority to US17/271,212 priority patent/US20210212269A1/en
Priority to CN201980060730.1A priority patent/CN112739199A/zh
Priority to EP19853679.9A priority patent/EP384505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제어 설비는, 적절한 외기 도입을 통해 의약품 제조용 식물 생산을 위한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하면서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주간 모드시에 식물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하는 주간 모드시에는 CO2 농도를 고려하여 외기 도입을 제어하고, 식물이 호흡 작용만을 하는 야간 모드시에는 CO2 영향이 없으므로 외기를 이용하여 냉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상한값과 상기 하한값 사이의 범위에 들 경우, 실내외 공기의 엔탈피차에 의해 외기 도입을 제어하기 때문에, 적절한 외기 도입이 가능하고, 외기를 이용한 냉방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System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of air-conditioner type closed factory for growing plant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형 식물 공장 내의 의약품 제조용 식물과 작업자를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 제조용 식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재배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외부 감염이나 병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형 식물 공장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바이오 크린룸이라고도 한다.
밀폐형 식물 공장은, 주로 의약품 제조용 식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장이므로, 실내 환경을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밀폐형 식물 공장은, 식물의 재배 조건만을 고려할 경우 작업자의 작업 환경은 열악해져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폐형 식물 공장은, 태양광을 대신하여 인공 조명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공 조명으로 인한 내부 발열 부하가 매우 크므로 냉방 부하가 매우 커서 에너지 소모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896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의약품 제조용 식물과 작업자를 모두 고려한 최적의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이 점등되어 상기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주간 모드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고, 상기 실내 CO2센서에서 측정한 CO2농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에 따라 외기 도입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환기하는 외기도입 제어모드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이 소등되어 상기 식물이 호흡하는 야간 모드시,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엔탈피 제어모드와, 외기를 도입하지 않고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설정된 모드로 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 여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따른 인체의 감지여부를 반영하여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 여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따른 인체의 감지여부, 및 상기 실내 CO2센서에서 측정한 CO2농도를 반영하여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 여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따른 인체의 감지여부,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 및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반영하여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방법은, 의약품 제조용 식물을 재배하는 밀폐형 식물 공장은,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을 포함하여 공조기 방식으로 제어되면, 센서부가 실내 공기의 온도와 상대습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외기의 온도와 상대습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는 온/습도 측정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에 구비된 인공 조명이 점등되어 상기 식물의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주간 모드와, 상기 인공 조명이 소등되어 상기 식물의 호흡만 이루어지는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주야간 설정단계와; 상기 주야간 설정단계에서 상기 주간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실내에서 인체감지센서가 인체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체감지단계와; 상기 인체감지단계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CO2센서가 상기 실내의 CO2 농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는 CO2 농도 측정단계와; 상기 CO2 농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에 따라 외기 도입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환기하는 외기도입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CO2 농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상한값 미만이고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상이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엔탈피 제어모드와, 외기를 도입하지 않고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와; 상기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에서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계산하고,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 상기 외기의 엔탈피, 상기 외기의 온도,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에 따라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주야간 설정단계에서 상기 야간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와 상기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제어 설비는, 적절한 외기 도입을 통해 의약품 제조용 식물 생산을 위한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하면서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주간 모드시에 식물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하는 주간 모드시에는 CO2 농도를 고려하여 외기 도입을 제어하고, 식물이 호흡 작용만을 하는 야간 모드시에는 CO2 영향이 없으므로 외기를 이용하여 냉방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상한값과 상기 하한값 사이의 범위에 들 경우, 실내외 공기의 엔탈피차에 의해 외기 도입을 제어하기 때문에, 적절한 외기 도입이 가능하고, 외기를 이용한 냉방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키지형 항온항습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식물 공장은,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하, '식물'이라 칭함)을 재배하기 위한 시설이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은 상기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으로 제어하고, 외부 감염이나 해충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은, 상기 식물을 대상으로 환경을 제어하는 것이므로, 온도는 약 25℃, 습도는 40~80%, CO2 농도는 800~1500ppm 으로 제어되며, 사람을 대상으로 공조하는 실과는 다른 조건을 가지므로 환경 제어도 다르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R)에는,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여 상기 식물이 광합성을 하도록 하는 인공 조명(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인공 조명(미도시)은, 상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광합성 에너지를 제공해야 하므로, 매우 높은 조명 밀도를 가져야 한다. 상기 인공 조명은 약 200W/m2의 조명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은 상기 인공 조명으로 인해 내부 발열 부하가 크고, 내부 발열 부하로 인한 냉방 부하도 매우 크기 때문에, 공조기 방식 또는 패키지형 항온항습기 방식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R)에는 상기 식물(P)이 수용되는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된다.
상기 식물은, 벤타미아나 등 수경 재배하는 식물이 포함된다. 상기 식물은, 식물체 내 외래단백질의 일시적 발현을 유도하기 위해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을 식물 조직에 침윤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은, 상기 식물의 조직에 침윤 용액을 주입시키는 장치도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공조기 방식이다.
상기 공조기 방식은, 외기를 도입하여, 외기를 냉각 또는 가열, 가습 또는 제습을 한 후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상기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급기 덕트(10), 외기 댐퍼(11), 급기팬(12), 배기 덕트(20), 배기 댐퍼(21), 배기팬(22), 연결덕트(30), 순환공기 댐퍼(31), CO2 공급장치(40), 가습 코일(42), 냉온수 코일(44), 재열코일(46), 헤파필터(48), 외기 센서부(50), 실내 센서부(60), 인체감지센서(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 덕트(10)는, 외기 또는 외기와 순환공기가 혼합된 혼합 공기를 상기 실내(R)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이다.
상기 외기 댐퍼(11)는, 상기 급기 덕트(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10)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댐퍼이다.
상기 급기팬(12)은, 상기 급기 덕트(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R)로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하는 팬이다.
상기 배기 덕트(20)는, 상기 실내(R)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상기 배기 댐퍼(21)는, 상기 배기 덕트(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 덕트(20)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댐퍼이다.
상기 배기팬(22)은, 상기 배기 덕트(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R)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송풍하는 팬이다.
상기 연결덕트(30)는, 상기 급기 덕트(10)와 상기 배기 덕트(20)를 연결하여, 상기 배기 덕트(20)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 공기 중 일부를 상기 급기 덕트(10)로 순환시키는 유로이다.
상기 순환공기 댐퍼(31)는, 상기 연결덕트(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R)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댐퍼이다.
상기 CO2 공급장치(40)는, 상기 급기 덕트(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식물은 광합성을 할 때 CO2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CO2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가습 코일(42)은, 상기 급기 덕트(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가습 코일(42)은, 상기 냉온수 코일(44)과 상기 CO2 공급장치(4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냉온수 코일(44)은, 상기 급기 덕트(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재열코일(46)은, 상기 급기 덕트(10)와 상기 실내(R)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10)에서 냉각 제습과정시 과냉되어 나온 공기를 재가열하는 장치이다.
상기 헤파필터(48)는, 상기 급기 덕트(10)와 상기 실내(R)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R)로 공급되는 공기를 필터링한다.
상기 외기 센서부(50)는, 상기 급기 덕트(10)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51)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52)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53)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 센서부(60)는, 상기 배기 덕트(20)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R)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61)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62)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63)를 포함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70)는, 상기 실내(R)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R)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한다. 상기 실내(R)는 평상시에는 상기 식물만으로 고려하여 환경이 제어되는 바, 작업자 등의 사람의 출입시 인체를 위한 환경도 고려되어야 하고, 상기 인체로 인해 상기 실내(R)의 환경이 변할 수도 있으므로 인체 여부를 감지하는 상기 인체감지센서(70)가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급기 덕트(10)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덕트(30)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와 외기가 혼합되는 위치에는 실내 공기와 외기가 혼합된 혼합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혼합공기 온도센서(7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인공 조명(미도시)의 점등 여부, 상기 인체감지센서(70), 상기 실내 CO2센서(63), 상기 실내 온도 센서(61), 상기 실내 습도 센서(62), 상기 외기 온도 센서(51), 상기 외기 습도 센서(52), 상기 외기 CO2센서(53), 상기 혼합공기 온도센서(72)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외기 댐퍼(11), 상기 배기 댐퍼(21)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31)의 작동을 제어하여, 외기도입 제어모드, 엔탈피 제어모드,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로 실내 환경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키지형 항온항습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패키지형 항온항습기 방식인 점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상기 패키지형 항온항습기 방식은,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R)에 항온항습기(100)가 설치되어, 상기 항온항습기(100)가 미리 설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습도로 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항온항습기 방식은 공조기 방식에 필요한 가습 코일이나 재열 코일이 외기 도입 유로 상에 별도로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상기 항온항습기(100), 외기 댐퍼(110), 급기팬(112), 배기 댐퍼(120), 배기팬(122), CO2 공급장치(140), 헤파필터(148), 외기 센서부(150), 실내 센서부(160), 인체감지센서(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 댐퍼(110)는, 외기를 상기 실내(R)로 공급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외기의 유입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급기팬(112)은, 상기 실내(R)로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하는 팬이다.
상기 배기 댐퍼(120)는, 상기 실내(R)로부터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배기팬(122)은, 상기 실내(R)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송풍하는 팬이다.
상기 CO2 공급장치(140)는, 상기 실내에 CO2를 직접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식물은 광합성을 할 때 CO2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CO2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헤파필터(148)는, 외기를 상기 실내(R)로 공급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R)로 공급되는 공기를 필터링한다. 따라서, 외부 감염이나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기 센서부(150)는,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외부 또는 외기를 상기 실내(R)로 공급하는 유로 상에 설치된다. 상기 외기 센서부(150)는,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151)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152)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153)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 센서부(160)는, 상기 실내(R) 또는 상기 실내(R)로부터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유로 상에 설치된다. 상기 실내 센서부(160)는, 상기 실내(R)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161)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162)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163)를 포함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70)는, 상기 실내(R)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R)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한다. 상기 실내(R)는 평상시에는 상기 식물만으로 고려하여 환경이 제어되는 바, 작업자 등의 사람의 출입시 인체를 위한 환경도 고려되어야 하고, 상기 인체로 인해 상기 실내(R)의 환경이 변할 수도 있으므로 인체 여부를 감지하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70)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공 조명(미도시)의 점등 여부, 상기 인체감지센서(170), 상기 실내 CO2센서(163), 상기 실내 온도 센서(161), 상기 실내 습도 센서(162), 상기 외기 온도 센서(151), 상기 외기 습도 센서(152), 상기 외기 CO2센서(153), 상기 혼합공기 온도센서(172)의 감지 신호에 따라 외기도입 제어모드, 엔탈피 제어모드,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로 실내 환경 제어를 수행한다.
도 5a, 도 5b,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은, 공조기 방식과 패키지형 항온항습기 방식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제어방법은 통합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가동시, 상기 실내(R)가 미리 설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습도로 유지된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가동과 환경 제어가 시작되면, 실내 공기의 온도와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 외기의 온도와 외기의 상대습도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S1)
또한, 상기 제어부는, 주/야간 모드를 설정하는 주야간 설정단계를 수행한다.(S2)
상기 주간 모드는, 상기 인공 조명이 점등되어 상기 식물의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명기이다. 상기 야간 모드는, 상기 인공 조명이 소등되어 상기 식물의 호흡 작용만 이루어지는 암기이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은, 식물을 고려하여 환경제어가 이루어지는 곳이므로, 주간 모드인지 야간모드인지에 따라 식물이 활동이 달라지므로 이에 따른 제어가 달라진다. 또한, 상기 주간 모드시에는 광합성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기 CO2 농도가 야간 모드시보다 중요하다. 또한, 야간 모드시에는 식물의 호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기를 바로 공급해도 식물 성장에 필요한 CO2 농도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외기를 이용하여 냉방하여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주간 모드와 야간 모드에 따라 환경 제어가 달라진다.
상기 주야간 설정단계(S2)에서, 상기 야간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야간 모드시에는 CO2 농도가 중요하지 않으므로 CO2 농도는 측정하지 않는다. 상기 야간 모드시, 상기 제어부는 후술하는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가 설정되면 그에 따른 외기 도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야간 설정단계(S2)에서, 상기 주간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에서 인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체감지단계를 수행한다.(S3)
상기 주간 모드시에는 작업자가 상기 실내(R)를 출입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내(R)의 CO2 농도가 너무 높을 경우 작업자의 호흡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상기 작업자로 인해 상기 실내(R)의 CO2 농도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즉, 상기 주간 모드시에는 상기 실내(R)의 CO2 농도가 1000ppm을 넘지 않도록 제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주간 모드시에는 작업자의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인체감지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인체감지단계(S3)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실내의 CO2 농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는 CO2 농도 측정단계를 수행한다.(S4)
상기 CO2 농도 측정단계(S4)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의 CO2 농도를 미리 설정된 상한값과 비교한다.(S5)
상기 실내의 CO2 농도를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에 따라 외기 도입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환기하는 외기도입 제어모드(S100)를 수행한다.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S100)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CO2 농도 측정단계(S4)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상한값 미만이면, 상기 실내의 CO2 농도를 미리 설정된 하한값과 비교한다.(S6)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높지 않다고 판단하여 작업자의 작업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상기 CO2 농도를 계속해서 측정하며 상태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엔탈피 제어모드와, 외기를 도입하지 않고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를 수행한다.(S7)
한편, 상기 인체감지단계(S3)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의 CO2 농도를 미리 설정된 하한값과 비교한다.(S6)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상기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를 수행한다.(S7)
상기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S7)에서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계산한다.(S8)
상기 엔탈피의 계산방법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8098560326-pat00001
수학식 1에서, T= 온도, ca 는 건조공기의 정압비열(1,005J/kg·K, 0.240kcal/kg·℃),cv 는 증기의 정압비열(1,846J/kg·K, 0.441kcal/kg·℃), r0는 0℃물의 증발잠열(2,501ㅧ103J/kg, 597.5kcal/kg)을 나타낸다.
상기 절대습도(x)를 계산하는 방법은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8098560326-pat00002
여기서, P는 대기압이고, Pw는 수증기 분압을 나타낸다.
상기 대기압(P)은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되고, 상기 수증기 분압(Pw)은 수학식 4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18098560326-pat00003
여기서,P0는 표준대기의 해수면에서 대기압(=101.325kPa(760mmHg)), Z는 해발고도(m)이고, T0ab는 288.15K(=15+273.15)
여기서, T0ab는 표준 대기의 해수면에서의 대기압이다.
Figure 112018098560326-pat00004
여기서, RH 는 상대습도(%)이고, Pws 는 포화수증기압(kPa)이며, 수학식 5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18098560326-pat00005
여기서, Tab[k]=T+273.15이다.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외기의 엔탈피를 각각 구하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외기의 엔탈피의 차이를 계산한다.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외기의 엔탈피의 차이를 엔탈피 에너지라 할 수 있다.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비교한다.(S9)
상기 외기의 엔탈피가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를 초과하면, 외기 도입을 하지 않도록 상기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S1)로 돌아간다.
상기 외기의 엔탈피가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 이하이면, 상기 외기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실내 설정온도와 비교한다.(S10)
상기 외기의 온도가 상기 실내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외기 도입을 하지 않도록 상기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S1)로 돌아간다.
상기 외기의 온도가 상기 실내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습도범위이내인지 판단한다.(S11)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가 상기 설정습도범위를 벗어나면, 외기 도입을 하지 않도록 상기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S1)로 돌아간다.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가 상기 설정습도범위 이내이면,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S100)를 수행한다.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를 항온항습 상태로 유지시, 외기 도입시 가습 또는 제습을 위한 잠열부하가 커져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가 상기 설정습도 범위 이내일때 외기를 도입하도록 제어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S100)를 설명한다.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S100)에서는,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를 계산한다.(S101)
외기 도입시, 외기 도입으로 인한 온도 변화에 의해 식물이 스트레스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에 따라 외기의 급기량을 다르게 제어한다.
상기 외기의 급기량은,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이 상기 공조기 방식일 때는 상기 외기 댐퍼와 상기 배기 댐퍼의 개도 조절을 통해 조절하며, 상기 패키지형 항온합습기 방식일 때는 상기 급기 팬과 상기 배기 팬의 회전수 제어나 극수 제어(pole change)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경 제어 시스템이 상기 공조기 방식인지 상기 패키지형 항온항습기인지를 판단한다.(S102)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이고, 상기 공조기 방식인 경우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최소값 이하이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미리 설정된 최대 개도로 개방한다.(S103)(S104)
여기서, 상기 최소값은 5℃이고, 상기 최대 개도는 100% 개도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최소값을 초과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값 이하이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게 설정된 개도율에 따라 개방한다.(S105)(S106)
여기서, 상기 최대값은 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최대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미리 설정된 최소 개도로 개방한다.(S107)(S108)
여기서, 상기 최소 개도는, 미리 설정된다.
한편,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이고, 상기 패키지형 항온항습기 방식인 경우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배기 댐퍼와 상기 외기 댐퍼를 미리 설정된 최대 개도로 개방한다.(S111)
여기서, 상기 최대 개도는 100% 개도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최소값 이하이면,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 팬을 미리 설정된 최대 가동율로 작동을 제어한다.(S112)(S113)
여기서, 상기 최소값은 5℃이고, 상기 최대 가동율은 10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최소값을 초과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값 이하이면,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상기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게 설정된 가동율로 작동을 제어한다.(S114)(S115)
여기서, 상기 최대값은 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최대값을 초과하면,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미리 설정된 최소 가동율로 작동을 제어한다.(S116)(S117)
여기서, 상기 최소 가동율은 미리 설정된다.
한편, 상기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S8)에서 상기 엔탈피제어모드가 설정되지 않고, 상기 실내순환모드(S200)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외기 도입을 하지 않는 상기 실내순환모드(S200)를 수행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실내순환모드(S200)시, 상기 공조기 방식인지 상기 패키지형 항온항습기인지를 판단한다.(S201)
상기 공조기 방식이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모두 닫는다.(S202)
상기 항온항습기 방식이면, 상기 배기 댐퍼와 상기 외기 댐퍼를 모두 닫고,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모두 정지시킨다.(S203)(S204)
상기와 같이,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상한값과 상기 하한값 사이의 범위에 들 경우, 실내외 공기의 엔탈피차에 의해 외기 도입을 제어하기 때문에, 적절한 외기 도입이 가능하고, 외기를 이용한 냉방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하는 주간 모드시와 식물이 호흡 작용만을 하는 야간 모드시에 따라 외기 도입 제어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외기 도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간 모드시, 식물과 함께 작업자도 고려함으로써, 실내 환경을 최적의 환경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급기 덕트 11: 외기 댐퍼
20: 배기 덕트 21: 배기 댐퍼
30: 연결 덕트 31: 순환공기 댐퍼
40: CO2 공급장치 42: 가습 코일
44: 냉온수 코일 46: 재열코일
48: 헤파필터 50: 외기 센서부
60: 실내 센서부 70: 인체감지센서
80: 제어부
100: 항온항습기 110: 외기 댐퍼
112: 급기팬 120: 배기 댐퍼
122: 배기팬 140: CO2 공급장치
148: 헤파필터 150: 외기 센서부
160: 실내 센서부 170: 인체감지센서
180: 제어부 190: 유인팬

Claims (16)

  1.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이 점등되어 상기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주간 모드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고, 상기 실내 CO2센서에서 측정한 CO2농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에 따라 외기 도입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환기하는 외기도입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2.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이 소등되어 상기 식물이 호흡하는 야간 모드시,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엔탈피 제어모드와, 외기를 도입하지 않고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설정된 모드로 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3.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 여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따른 인체의 감지여부를 반영하여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4.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 여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따른 인체의 감지여부, 및 상기 실내 CO2센서에서 측정한 CO2농도를 반영하여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5. 의약품 제조용 식물이 수용된 복수의 트레이 부재들이 적치되고, 상기 식물에 빛 에너지를 제공하는 인공 조명이 구비된 밀폐형 식물 공장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과;
    상기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외기 습도센서와, 상기 외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외기 CO2센서를 포함하는 외기 센서부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기의 CO2 농도를 측정하는 실내 CO2센서를 포함하는 실내 센서부와;
    상기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공 조명의 점등 또는 소등 여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따른 인체의 감지여부,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 및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반영하여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간 모드시,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고, 상기 실내 CO2센서에서 측정한 CO2농도가 상기 상한값 미만이고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엔탈피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계산하여 비교하고,
    상기 외기의 엔탈피가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 이하이면, 상기 외기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실내 설정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외기의 온도가 상기 실내 설정온도 이하이면, 외기의 상대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습도범위이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가 상기 설정습도범위 이내이면,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최소값 이하이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미리 설정된 최대 개도로 개방하고,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최소값을 초과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값 이하이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상기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게 설정된 개도율에 따라 개방하고,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최대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미리 설정된 최소 개도로 개방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계산하여 비교하고,
    상기 외기의 엔탈피가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 이하이면, 상기 외기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실내 설정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외기의 온도가 상기 실내 설정온도 이하이면, 외기의 상대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습도범위이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가 상기 설정습도범위 이내이면,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순환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모두 닫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10. 의약품 제조용 식물을 재배하는 밀폐형 식물 공장은,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덕트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외기 댐퍼와, 상기 실내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에서 배출된 후 다시 상기 실내로 순환되는 순환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순환공기 댐퍼와, 상기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CO2를 공급하는 CO2 공급장치와, 상기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코일과, 상기 급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냉온수 코일을 포함하여 공조기 방식으로 제어되면,
    센서부가 실내 공기의 온도와 상대습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외기의 온도와 상대습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는 온/습도 측정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밀폐형 식물 공장의 실내에 구비된 인공 조명이 점등되어 상기 식물의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주간 모드와, 상기 인공 조명이 소등되어 상기 식물의 호흡만 이루어지는 야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주야간 설정단계와;
    상기 주야간 설정단계에서 상기 주간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실내에서 인체감지센서가 인체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체감지단계와;
    상기 인체감지단계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CO2센서가 상기 실내의 CO2 농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는 CO2 농도 측정단계와;
    상기 CO2 농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 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에 따라 외기 도입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환기하는 외기도입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CO2 농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상한값 미만이고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상이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엔탈피 제어모드와, 외기를 도입하지 않고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와;
    상기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에서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계산하고,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 상기 외기의 엔탈피, 상기 외기의 온도,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에 따라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주야간 설정단계에서 상기 야간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와 상기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단계에서 상기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실내의 CO2 농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와 상기 실내순환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에서 상기 엔탈피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와 상기 외기의 엔탈피를 계산하여 비교하고,
    상기 외기의 엔탈피가 상기 실내 공기의 엔탈피 이하이면, 상기 외기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실내 설정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외기의 온도가 상기 실내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습도범위이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외기의 상대습도가 상기 설정습도범위 이내이면,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를 수행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는,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최소값 이하이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미리 설정된 최대 개도로 개방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최소값을 초과하고, 미리 설정된 최대값 이하이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게 설정된 개도율에 따라 개방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 제어모드시,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와 상기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최대값을 초과하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미리 설정된 최소 개도로 개방하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엔탈피제어모드 확인단계에서 상기 실내순환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 댐퍼, 상기 외기 댐퍼 및 상기 순환공기 댐퍼를 모두 닫는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방법.
KR1020180119163A 2018-08-30 2018-10-05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3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63A KR101931750B1 (ko) 2018-10-05 2018-10-05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CT/KR2019/009277 WO2020045829A1 (ko) 2018-08-30 2019-07-25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17/271,212 US20210212269A1 (en) 2018-08-30 2019-07-25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 of air conditioner-type closed plant facto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80060730.1A CN112739199A (zh) 2018-08-30 2019-07-25 空调器方式封闭型植物工厂的环境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EP19853679.9A EP3845056A1 (en) 2018-08-30 2019-07-25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 of air conditioner-type closed plant facto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63A KR101931750B1 (ko) 2018-10-05 2018-10-05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622A Division KR101926644B1 (ko) 2018-08-30 2018-08-30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750B1 true KR101931750B1 (ko) 2018-12-24

Family

ID=6501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163A KR101931750B1 (ko) 2018-08-30 2018-10-05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7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29A1 (ko) * 2018-08-30 2020-03-05 (주)지플러스 생명과학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1023492A (zh) * 2019-11-28 2020-04-17 合肥通用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全新风温湿度控制方法
WO2020175857A1 (ko) * 2019-02-28 2020-09-03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이산화탄소 해충 방제 시스템
KR20210157222A (ko) * 2020-06-19 2021-12-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히터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 방법
CN115024131A (zh) * 2022-07-06 2022-09-09 今蜂智慧农业科技(泰安)有限公司 一种节能减排种养一体自循环农场及运行方法
KR102672553B1 (ko) 2021-09-15 2024-06-04 나명환 비닐하우스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350B1 (ko)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용 장치
KR101703170B1 (ko) 2016-03-09 2017-02-07 농업회사법인 알투팜스 주식회사 식물공장의 환경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350B1 (ko) 2016-01-08 2016-09-07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버섯 재배용 장치
KR101703170B1 (ko) 2016-03-09 2017-02-07 농업회사법인 알투팜스 주식회사 식물공장의 환경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제어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829A1 (ko) * 2018-08-30 2020-03-05 (주)지플러스 생명과학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0175857A1 (ko) * 2019-02-28 2020-09-03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이산화탄소 해충 방제 시스템
CN111023492A (zh) * 2019-11-28 2020-04-17 合肥通用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全新风温湿度控制方法
CN111023492B (zh) * 2019-11-28 2021-04-27 合肥通用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全新风温湿度控制方法
KR20210157222A (ko) * 2020-06-19 2021-12-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히터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 방법
KR102520262B1 (ko) * 2020-06-19 2023-04-11 대한민국 히터를 포함하는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 환경 제어 방법
KR102672553B1 (ko) 2021-09-15 2024-06-04 나명환 비닐하우스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5024131A (zh) * 2022-07-06 2022-09-09 今蜂智慧农业科技(泰安)有限公司 一种节能减排种养一体自循环农场及运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750B1 (ko) 공조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33986B1 (ko) 밀폐형 식물 공장의 분진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EP3845056A1 (en)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 of air conditioner-type closed plant facto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82817B1 (ko) 패키지형 항온항습기 방식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26644B1 (ko)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ES2713064T3 (es) Sistema de control climático en un entorno espacial para organismos, entorno espacial adaptado a este, sistema de control y programa para ello
US8112181B2 (en) Automatic mold and fungus growth inhibition system and method
KR101655350B1 (ko) 버섯 재배용 장치
KR101889217B1 (ko) 식물재배용 공조장치
KR101633751B1 (ko) 식물생장 인공기상실의 환경제어시스템
KR20120110493A (ko)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JP2017205072A (ja) 植物栽培装置
EP3845057A1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packaged thermo-hygrostat type sealed plant factor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475073Y1 (ko) 버섯재배용 항온항습기
KR101774162B1 (ko) 습도에 따른 온도를 제어하는 동식물 생육용 온풍기
JP4529164B2 (ja) 無風環境型植物育成チャンバー及び温度調整方法
AU2018297386A1 (en) An air treatment system
KR100824348B1 (ko) 무균 미니돼지용 인큐베이터
KR101580132B1 (ko) 저온형 버섯재배용 공조시스템
CN116126060A (zh) 一种合成生物实验室环境的调节装置及调节方法
JP6474573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装置用の空調装置
CN114600725A (zh) 通过空调控制的植物养殖方法、空调和植物养殖系统
KR20020012783A (ko) 냉,난방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576243A (ja) 栽培室の制御装置
KR200297288Y1 (ko) 환경조절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