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743B1 -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odor removal - Google Patents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odor remov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743B1
KR101931743B1 KR1020180005517A KR20180005517A KR101931743B1 KR 101931743 B1 KR101931743 B1 KR 101931743B1 KR 1020180005517 A KR1020180005517 A KR 1020180005517A KR 20180005517 A KR20180005517 A KR 20180005517A KR 101931743 B1 KR101931743 B1 KR 101931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unit grid
vehicle
purification
movemen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웰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웰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웰링
Priority to KR102018000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7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nsportabl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18Employing electrical discharges or the generation of a plasm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ifying method of a plasma purification vehicle with a malodor elimination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urifying method of a plasma purification vehicle with a malodor elimination function is for partitioning a contaminated area to be used as a purification target, setting a movement path for the vehicle to pass through a partitioned area, moving in the contaminated area, and discharging purified substances for purification of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ted area. The purify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with a malodor elimination function includes: a grid setting step of setting a grid on a contaminated area to partition the same; a priority setting step of setting priority tanks between the unit areas corresponding to the grid while configuring the same; and a movement path setting step of receiving wind dire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aminated area from the outside and setting a movement path in or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 the contaminated area.

Description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ODOR REMOV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leaning a plasma cleaning vehicle having a malodor removing function,

본 발명은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의 대상인 오염지역을 구획한 후 구획된 영역을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urifying a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a malodor remov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urifying a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a malodor removing function for setting a moving path for a vehicle to pass through a divided area after dividing a contaminated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urifying a plasma cleaning vehicle having a plasma.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descriptions set forth in this identifica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e originator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prior art a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또는 차량 내부와 같이 밀폐가능한 공간 내의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강제흡입하여 다양한 필터와 살균유닛을 통해 먼지, 유해물질 및 악취를 포집제거한 후 정화공기를 다시 토출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Generally, the air purifier has a structure for forcibly sucking contaminated air in a sealable space such as the inside of a room or a vehicle, and collecting and removing dust, harmful substances and odors through various filters and a sterilizing unit, and then discharging purified air again .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통상 예를 들어 천정이나 차체의 대시보드와 같은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므로, 공기정화가 필요한 현장으로 이동시켜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Such an air purifying apparatus is usually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such as a ceiling or a dashboard of a car body, so there is a limitation in using the air purifier by moving it to a site requiring air purification.

최근에는 이동차량에 공기정화유닛을 탑재하여 주행이동하면서 주변공기를 정화시키는 이동식 공기정화장치도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mobile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in which an air purification unit is mounted on a moving vehicle to purify ambient air while traveling.

이러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74991호(2008.12.19. 공고)에는 바퀴가 형성된 전동차량과, 상기 전동차량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바닥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전동차량에 구비된 브러쉬와, 상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오염물질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로 청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필터가 수평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구비되어 상기 전동차량에 장착되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배출구에 구비된 터보팬과, 상기필터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하생활공간용 이동식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된다. As an example of such a mobile air purification apparatu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4991 (Dec. 19, 2008) discloses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wheel,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A brush provided on the electric motor vehicle and an air inlet por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air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port is purified and discharged is formed, and the air inlet port A filter for discharging clean air to the air discharge port by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take port into the insid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dust collector installed in the electric motor vehicle, and a clean air filter And a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inside of the filter. The portable air purifier for underground living space comprises: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10668호(2010.02.02. 공개)에는 쓰레기, 이물질 및 먼지를 흡입하여 노면을 청소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노면 청소차량의 후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이물질을 걸러서 깨끗한 공기로 배출하기 위해 흡입구와 안내부 및 수조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수조부에 담겨진 물을 공급하는 급수공급장치와, 상기 급수공급장치의 후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이물질을 여과시켜서 깨끗한 공기로 배출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된 복수 개의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엘리미네이터와 엘리미네이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흡입된 이물질을 물을 분사해서 걸러내는 노즐이 구비된 메인헤더와, 상기 엘리미네이터와 엘리미네이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헤더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금속망 필터와, 상기 엘리미네이터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몸체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된 프리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 차량용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된다.Als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10668 (published on Feb. 22, 2010) discloses a vehicle that cleans road surfaces by sucking garbage, foreign matter, and dust, and is provid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to filter inhaled foreign substances, A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to supply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y portion, and a filt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water supply device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A main header provided between the eliminator and the eliminator and provided with a nozzle for spraying and filtering out the foreign matter sucked by the water, A metal mesh filter installed between the eliminator and the eliminator for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the main header, The road cleaning vehicle air-purifying device comprising the pre-filter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body is disclosed in order to purif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iminator.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공기정화장치는 단순히 지하철과 같은 지하생활공간의 바닥 또는 도로노면을 브러시로 쓸어 청소하는 과정에서 비산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포집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일 뿐이므로, 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ortable air clean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s merely used for collecting dust or foreign matter scattered in the course of sweeping the bottom or road surface of an underground living space such as a subway with a brush, There is a limit to moving air around the site.

또한 종래의 이동식 공기정화장치는 일반적인 필터나 집진기를 통해 먼지나 이물질을 포집하는 구성이므로, 예를 들어 철새도래지 주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조류독감 바이러스를 살균소독하거나, 가금류 사육장의 주변에 포함된 바이러스나 악취를 제거하거나, 또는 쓰레기매립지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mobile air purifica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collect dust or foreign matter through a general filter or dust collector,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avian influenza virus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migratory birds or to prevent the virus contained in the poultry farm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odors or removing odors generated in a landfill or the like.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장치가 탑재되며, 외부로부터 오염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으며, 공기정화가 필요한 특정 지역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현장에서 능동적으로 환경정화를 실시할 수 있는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 및 정화벙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is mounted, receives information on pollution from the outside, freely moves to a specific area where air purification is required, and can actively purify the environment And to provide purification vehicles and purification methods utilizing the IoT technology.

또한, 오염지역을 구획하여 오염이 심한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정화하도록 하여 오염지역의 정화효율을 극대화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 및 정화벙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rification vehicle and purification method using IoT technology that maximizes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area by partitioning the polluted area and purifying the contaminated area sequentially.

또한, 오염지역 내부에서 정화차량의 최적이동경로를 설정하여 오염지역의 정화효율을 극대화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 및 정화벙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rification vehicle and purification method using IoT technology that maximizes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a contaminated area by setting an optimal movement route of the purification vehicle within the contaminated area.

또한, 오염지역 내부에서 정화차량에 설치된 정화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의 배출각도, 정화물질의 구성비율 및 배출량을 조절하여 오염지역의 정화효율을 극대화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 및 정화벙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purification vehicles and purification methods utilizing IoT technology that maximizes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area by controlling the exhaust angle of the exhaust device,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urification material, and the emission amount of the purification material installed in the purification vehicle, .

또한, 먼지나 이물질의 포집은 물론 플라즈마에 의해 유해세균이나 바이러스까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 및 정화벙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rification vehicle and a purification method using IoT technology, which can effectively remove harmful bacteria and viruses by plasma as well as collecting dust and foreign matt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Further,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염지역 내부에서 이동하고 정화물질을 배출하여 상기 오염지역 내부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염지역이 구획되도록 상기 오염지역 상에 그리드를 설정하는 그리드설정단계; 및 상기 정화차량의 외부로부터 취득한 제1정보의 가중치 및 상기 정화차량에 구비된 오염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취득한 제2정보의 가중치에 기반하여 단위 그리드에 대응하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간의 정화순위를 설정하는 순위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urifying a purifying vehicle using IoT technology for purifying pollutants in the polluted area by moving inside a polluted area and discharging purifying material, A grid setting step of setting a grid on the contaminated area so as to form a grid; And a purification rank among the unit grid correspond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unit grid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rst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vehicle and the weight of the second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etection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purification vehicle And a rank setting step of setting the rank of the clean vehicle based on the IoT technique.

상기 제1정보는 상기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대기오염도, 인구밀도 및 교통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ir pollution degree,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volume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상기 인구밀도 및 교통량은 최대 가중치가 상호 동일할 수 있다.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traffic volume may have the same maximum weight.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오염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상기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대기오염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an air pollution degree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detected by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상기 인구밀도 및 교통량의 최대 가중치의 합은 상기 대기오염도의 최대 가중치의 합과 상호 동일할 수 있다.The sum of the maximum weights of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traffic volume may be the same as the sum of the maximum weights of the air pollution degree.

상기 단위 그리드의 면적은 상기 오염지역의 인구 밀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The area of the unit grid may be set according to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contaminated area.

상기 단위 그리드는 한 변의 길이가 1km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unit grid may be set to 1 km.

상기 순위설정단계는 상기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간 정화의 순위를 최초로 설정하는 순위 최초설정단계; 및 상기 최초로 설정된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정화된 이후, 정화되지 않은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간의 정화순위를 다시 설정하는 순위 재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anking setting step comprises: a ranking initial setting step of initially setting a ranking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region cleansing; And a resetting step of resetting the cleaning order among the unfix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after one or mor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are cleaned according to the first set ranking.

상기 최초 설정단계는 상기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간 정화의 순위의 설정이 상기 제1정보의 인구밀도 및 교통량과 상기 제2정보의 대기오염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initial setting step, the setting of the rank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purification may be made according to the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volum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information.

상기 순위 재설정단계는 상기 최초로 설정된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정화되면, 상기 제1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화차량이 위치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으로부터 상기 제2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The rank re-setting step may receive the first information and acquire the second information from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purification vehicle is located, when the one or mor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are cleaned according to the first set rank.

상기 순위 재설정단계는 상기 제2정보의 대기오염도와 상기 제1정보의 대기오염도의 차이가 허용치 이하이면, 상기 수신한 제1정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The rank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information is less than a tolerance value.

또한, 본 발명은 오염지역 내부에서 이동하고, 정화물질을 배출하여 상기 오염지역 내부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오염을 감지하는 오염감지센서 및 상기 정화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오염지역에 대한 풍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오염지역 내부에서 차량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이동경로설정단계; 및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정화차량의 배출관의 회전각도,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물질의 배출양 및 구성비율을 설정하여 오염물질을 정화는 정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amination detecting sensor for moving in a contaminated area and purifying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ted area, detecting a contamination, and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material, A moving path setting step of receiving a wind direction information for the contaminated area from outside and setting a traveling path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ithin the contaminated area; And a purification step of purifying contaminants by setting a rotation angle of a discharge pipe of the purification vehicle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a discharge rate and a composition ratio of a purification substanc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providing a method for purifying a plasma purification vehicle.

상기 정화단계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1오염물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정보 및 상기 오염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취득하는 제2오염물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정보에 의해 상기 배출관의 회전각도 및 상기 정화물질의 구성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The purify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purifying the exhaust gas by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ing firs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first pollutant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information on a second pollutant to be obtained by sensing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The rotation angle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urifying material can be set.

상기 제1오염물질은 대기의 미세먼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오염물질은 상기 대기의 미세먼지 이외의 대기의 오염물질을 포함 할 수 있다.The first pollutant includes atmospheric fine dust, and the second pollutant may include atmospheric pollutants other than the fine dust of the atmosphere.

상기 제1오염물질은 PM 2.5 및 PM 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The first pollutant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PM 2.5 and PM 10.

상기 제2오염물질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오존(O3) 및 일산화탄소(C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lluta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nitrogen oxides (NOx), sulfur oxides (SOx), ozone (O3), and carbon monoxide (CO).

상기 배출관의 회전각도는 상기 배출관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상하회전각도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의 상하회전각도 및 상기 정화물질의 구성비율은 상기 제1오염물질량과 상기 제2오염물질량의 구성비율에 의해 설정 될 수 있다.Wherein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charge pipe includes a vertical rotation angle set so that the discharge pipe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vertical rotation angle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urifying materi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2 contaminant mass.

상기 배출관의 상하회전각도는 상기 제1오염물질량이 상기 제2오염물질량보다 많으면 하방으로 소정의 범위내에서 설정되며, 상기 제1오염물질량이 상기 제2오염물질량보다 적으면 상방으로 소정의 범위내에서 설정되며, 상기 제1오염물질량과 상기 제2오염물질량이 동일하면 지면과 수평하게 설정 될 수 있다.The up-and-down rotation angle of the discharge pipe is set in a predetermined range downward when the first contaminant mass is larger than the second contaminant mass, and when the first contaminant mass is less than the second contaminant mass, And may be set to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if the first contaminant mass and the second contaminant mass are the same.

상기 정화물질의 구성비율은 상기 제1오염물질량이 상기 제2오염물질량보다 많으면 상기 물의 부피가 상기 플라즈마기체의 부피보다 많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오염물질량이 상기 제2오염물질량보다 적으면 상기 물의 부피가 상기 플라즈마기체의 부피보다 작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1오염물질량과 상기 제2오염물질량이 동일하면 상기 물의 부피와 상기 플라즈마기체의 부피가 동일하도록 설정 될 수 있다.Wherei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urifying material is set such that the volume of the water is greater than the volume of the plasma gas if the first contaminant mass is greater than the second contaminant mass and if the first contaminant mass is less than the second contaminant mass, The volume of water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plasma gas, and if the first contaminant mass and the second contaminant mass are equal, the volume of the water and the volume of the plasma gas may be set to be equal.

상기 배출관의 회전각도는 상기 배출관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설정되는 수평각도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차량의 이동 중에 상기 오염지역의 평균풍향에 나란하도록 설정 될 수 있다.The rotation angle of the discharge pipe includes a horizontal angle at which the discharge pipe is set to rotate horizontally on the groun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discharge pipe can be set to be parallel to the average wind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during movement of the vehicle .

상기 오염지역이 구획되도록 상기 오염지역 상에 그리드를 설정하는 그리드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화물질의 배출양은 상기 오염감지센서로부터 취득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오염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마다 설정 될 수 있다.And a grid setting step of setting a grid on the contaminated area so that the contaminated area is partitioned, wherein the discharge port of the purifying material is divided into a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 ≪ / RTI >

또한, 본 발명은 오염지역 내부에서 이동하고 정화물질을 배출하여 상기 오염지역 내부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염지역이 구획되도록 상기 오염지역 상에 그리드를 설정하는 그리드설정단계; 상기 그리드를 구성하는 단위 그리드에 대응하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간의 정화순위를 설정하는 순위 설정단계; 외부로부터 상기 오염지역에 대한 풍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오염지역 내부에서 차량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이동경로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purifying a plasma cleaning vehicle having a malodor removing function for moving inside a contaminated area and purifying pollutants in the contaminated area by discharging the purified material, A grid setting step of setting a grid in the grid; A rank setting step of setting a rank of purification among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corresponding to the unit grid constituting the grid; And a traveling path setting step of receiving a wind direction information for the contaminated area from outside and setting a traveling path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ithin the contaminated area, And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기 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내부에서 차량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제1이동경로설정단계; 및 상호 인접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각각의 제1이동경로를 상호 연결하여 차량 이동을 안내하는 제2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제2이동경로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moving route setting step includes a first moving route setting step of setting a first moving route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ithi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nd a second movement path setting step of establishing a second movement path connecting the first movement paths of the mutually adjacent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to each other to guide the vehicle movement.

상기 제1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오염지역의 평균풍향에 나란하되 상기 단위 그리드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풍향선을 차량이 적어도 한 번 통과하도록 상기 제1이동경로를 설정 할 수 있다.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may set the first movement path so that the vehicle passes the virtual wind direction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unit grid at least once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wind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상기 제1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단위 그리드의 경계선과 소정의 교차선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 및 상기 교차점을 포함하는 소정의 교차영역을 설정한 후,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교차영역을 적어도 두 번 통과하도록 상기 제1이동경로를 설정 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sets the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intersection line intersects the boundary line of the unit grid and a predetermined intersection area including the intersection point and then the purification vehicle passes the intersection area at least twice The first movement route can be set.

상기 제1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오염지역의 평균풍향에 수직이며 상기 단위 그리드 경계선과 교차하는 다수의 교차선을 상기 평균풍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각각 이격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상기 단위 그리드 경계선과 상기 교차선과의 교차점을 포함하는 교차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교차영역을 적어도 두 번 통과하도록 상기 제1이동경로를 설정 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sequentially arranges a plurality of intersecting lines perpendicular to the average wind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and intersecting the unit grid boundary lin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average wind direction, And the intersection line, and set the first movement path so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passes the intersection area at least twice.

상기 다수의 교차선이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tersecting lines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1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상기 가사의 풍향선에 의해 제1구획영역과 제2구획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제1 및 제2구획영역을 적어도 한 번 왕복하도록 상기 제1이동경로가 설정 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is such that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is partitioned into a first partition area and a second partition area by the wind direction line of the housework and the purification vehicle carries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areas at least once The first movement path can be set so as to reciprocate.

상기 제2이동경로설정단계는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과 상기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이후의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상호 맞닿으면, 상기 제2이동경로가 상기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설정 할 수 있다.In the second movement path setting step, when the clean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nd the clean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fter the cleaning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set in the corresponding unit grid area.

상기 제2이동경로설정단계는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과 상기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이후의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위치하면, 상기 제2이동경로가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과 상기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movement path setting step may include setting at least on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betwee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cleaning is completed and the unit rank correspond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fter the cleaning, The movement route may not be set i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purification is finished and the corresponding rank order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부가 구비된 차량;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며,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플라즈마 생성장치; 물이 수용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물을 이동시키는 구동펌프; 및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생성장치로부터 공급받은 플라즈마 및 상기 구동펌프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 및 상기 플라즈마 생성장치의 일측면에 연결되되 상방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상기 배출덕트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플라즈마를 상기 플라즈마 생성장치로부터 상기 배출덕트로 이동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송풍유도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덕트는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정화차량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vehicle having a loading section capable of loading articles; A plasma gener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loading part and generating plasma;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received; A drive pump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o move water; And a discharge duct installed in the loading unit for discharging the plasma supplied from the plasma generator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drive pump to the outside; And a blowing induction duc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lasma generation device and bent and extended upward to b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duct and having a blowing fan for moving a plasma from the plasma generation device to the discharge duct; Wherein the discharge duct rotate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송풍유도덕트와 연결되며,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배출덕트; 상기 제1배출관에 연결되며,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2배출덕트; 및 상기 제1배출관의 말단에 연결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출덕트는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배출덕트는 상기 제1배출덕트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다.A first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blowing induction duct and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A second exhaust duct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pipe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And a nozzle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discharge pipe, wherein the first discharge duct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discharge duct rotat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discharge duct .

상기 배출덕트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배출덕트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할 수 있다.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lf weight of the discharge duct, wherein the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first discharge duct.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출덕트와 상기 송풍유도덕트가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The suppor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discharge duct and the blow-

상기 제1배출덕트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배출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배출덕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3배출덕트가 관통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바(bar)를 포함 할 수 있다.A third exhaust duct extending downward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exhaust duct, the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first exhaust duct, and the support plate through which the third exhaust duct penetrates;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for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상기 송풍유도덕트의 일단은 상기 제3배출덕트에 삽입될 수 있다.One end of the air induction duct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exhaust duct.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배출덕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링을 더 포함 할 수 있다.And a guide ring fixed to the support plate to prevent the first exhaust duc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exhaust duct.

상기 제1배출관의 하단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웜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웜휠의 기어이에 치합되는 웜; 및 상기 웜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 할 수 있다.A worm wheel fix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discharge pipe and having a gea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worm fixed to the fixed plate and engaged with gears of the worm wheel;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worm.

상기 웜휠은 내주면에 상기 웜휠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링은 상기 걸림부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가이드링; 상기 제1가이드링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부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가이드링; 및 상기 제1가이드링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부의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가이드링;을 포함 할 수 있다.The worm wheel includes a first guide ring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worm wheel, the guide ring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lidably engag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A second guide ring positioned above the first guide ring and slidably engaged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engagement portion; And a third guide ring which is located below the first guide ring and slidably engages with a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2배출덕트의 말단을 감싸는 덮개부; 상기 제2배출덕트의 말단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덮개고정부; 및 상기 덮개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구동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링(ring)을 포함Wherein the nozzle unit comprises: a cover part surrounding the end of the second discharge duct; A lid fixing part protruding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distal end of the second exhaust duct and being fixed to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part; And a spray ring supported by the lid fixing part and spraying water supplied from the drive pump

상기 제1배출덕트를 상기 제2배출덕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힌지구동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A hinge portion rotatably coupling the first discharge duct to the second discharge duct; And a hinge driving unit coupled to the hinge unit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hinge unit.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배출덕트에 결합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체결부가 구비되는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배출덕트에 결합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되며, 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1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구동부는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하는 피스톤; 및 상기 제2체결부에 결합하고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도록 형성된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includes a first hinge portion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discharge duct and projecting downwardly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discharge duct and protruding downward, And a second hing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wherein the hinge driving portion includes: a piston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cylinder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piston by hydraulic pressure therei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 및 정화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urification vehicle and the purification method utilizing the IoT technolog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장치가 탑재되며, 외부로부터 오염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으며, 공기정화가 필요한 특정 지역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현장에서 능동적으로 환경정화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is mounted, receives information on pollution from the outside, freely moves to a specific area where air purification is required, and actively purifies the environment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지역을 구획하여 오염이 심한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정화하도록 하여 오염지역의 정화효율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Seco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ted area is partitioned to sequentially purify the polluted area, thereby maximiz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area.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지역 내부에서 정화차량의 최적이동경로를 설정하여 오염지역의 정화효율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i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um movement path of a purifier is set within a polluted area to maximize the purifying efficiency of the polluted area.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지역 내부에서 정화차량에 설치된 정화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장치의 배출각도, 정화물질의 구성비율 및 배출량을 조절하여 오염지역의 정화효율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ourt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area by adjusting the discharge angle of the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material installed in the purified vehicle,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urified material, to provide.

다섯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먼지나 이물질의 포집은 물론 플라즈마에 의해 유해세균이나 바이러스까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ift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rmful bacteria and virus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plasma as well as dust and foreign mat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챠량의 배출덕트 및 송풍유도덕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배출덕트 및 송풍유도덕트이 상호 결합하는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배출덕트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범위인 수평회전각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의 정화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단위 그리드 간 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지도에 표시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서 도시된 단위 그리드 간 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도시된 오염지역 내부에서 정화차량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6에서 도시된 오염지역 내부에서 정화차량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지도에 표시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에서 도시된 정화차량의 이동경로를 설정 이후 정화차량이 오염지역을 정화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urification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induction duct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rtion where the discharge duct and the air induction duct shown in Fig. 1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horizontal rotation angle in which the discharge duct shown in FIG. 1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urifying system for purifying vehicles using IoT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urifying a purifier using the IoT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rank between unit grids shown in FIG. 6 on a map.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tting the unit grid rank shown in FIG.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etting a movement path of a purifier in the contaminated area shown in FIG. 6. FIG.
FIGS. 10 and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tting a travel path of a purifier in a contaminated area shown in FIG. 6 on a map.
FIG.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urifying a contaminated area by a purifying vehicle after setting the traveling path of the purifying vehicle shown in FIG. 6;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comprising", "comprising" or "comprising" in this appl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Hereinafter, a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은 정화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차량구동부(100), 차량구동부(100) 후미에 결합하며 화물이나 장치가 적지되도록 형성되는 적재부(110),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플라즈마 생성장치(900), 플라즈마 생성장치(900)와 연결되어 플라즈마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300) 및 플라즈마 생성장치(900)와 배출덕트(300)를 연결하며 내부에 송풍팬(160)이 구비되는 송풍유도덕트(700)를 포함한다.1, a purifying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driving portion 10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a purifying vehicle 1, a vehicle driving portion 100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vehicle driving portion 100, A plasma generation device 900 for generating a plasma for purifying contaminants, an exhaust duct 300 connected to the plasma generation device 900 to discharge the plasma, and a plasma generation device And a blowing induction duct 700 connecting the blowing fan 900 and the exhausting duct 300 and having a blowing fan 160 therein.

여기서, 이동차량(10)은 적재된 플라즈마 생성장치(900)를 예를 들어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노출된 철새도래지나 가금류 사육장 또는 악취가 심한 쓰레기 매립지 등과 같이 공기정화가 필요한 특정 지역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주행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Here, the moving vehicle 10 is a vehicle for moving the loaded plasma generation device 900 freely to a specific area where air purification is required, for example, a migratory bird exposed to avian flu virus, a poultry farm, It corresponds to the sieve.

플라즈마 생성장치(900)는 적재부(110)에 설치되며, 발전기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주변공기를 내부로 화살표 방향으로 흡입하여 먼지와 이물질을 포집하고 플라즈마를 통해 유해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 및 소독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해 플라즈마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lasma generating apparatus 900 is installed in the loading unit 110 and is operated by electricity generated by a generator. The plasma generating apparatus 900 sucks ambient air in an arrow direction to collect dust and foreign matter, sterilizes harmful bacteria and viruses through plasma, And disinfects the plasma as well as discharges the plasma to purify contaminants from the outside.

송풍유도덕트(700)는 적재부(110)에 설치되며 송풍팬(160)은 적재부(110)에 설치되는 내연기관(140)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다. 내연기관(140)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풀리(151) 및 송풍팬(160)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2풀리(153)는 상호 밸트(미도시)로 연결된다. 내연기관(140)이 작동함에 따라 동력은 송풍팬(160)의 회전축에 전달된다.The air induction duct 700 is installed in the loading unit 110 and the air blowing fan 160 receives power from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40 installed in the loading unit 110. The first pulley 151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40 and the second pulley 153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blowing fan 1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As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40 operates, th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blowing fan 160.

내연기관(140)은 최초 시동을 위한 배터리(120)와 작동 중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130)가 구비된다. 내연기관(140)은 물 탱크(170)로부터 물을 이동시키는 구동펌프(18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제3풀리(155)가 회전축에 구비된다.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40) is provided with a battery (120) for initial start-up and a cooler (130) for cooling the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40 is provided with a third pulley 155 on the rotary shaf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rive pump 180 that mo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170.

구동펌프(180)는 물탱크로부터 물을 배출덕트(300)의 노즐부(38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펌프(180)의 회전축는 제3풀리(155)와 밸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내연기관(14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The drive pump 180 functions to move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nozzle unit 380 of the exhaust duct 300. The rotary shaft of the drive pump 180 is connected to the third pulley 155 by a belt (not shown) to receive power from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140.

배출덕트(300)는 송풍유도덕트(700)와 연결되며, 송풍유도덕트(700)로부터 이동한 플라즈마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출덕트(300)는 적재부(110)에 설치되는 지지부(500)에 의해 자중이 지지된다. The discharge duct 300 is connected to the blowing induction duct 700 and discharges the plasma moved from the blowing induction duct 7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discharge duct 300 is supported by its own weight by a support part 500 installed in the loading part 110.

이하, 송풍유도덕트(700) 및 배출덕트(300)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정화챠량(1)의 배출덕트(300) 및 송풍유도덕트(7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배출덕트(300) 및 송풍유도덕트(700)이 상호 결합하는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Hereinafter, the blowing induction duct 700 and the exhausting duc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discharge duct 300 and the blowing induction duct 700 of the purifier 1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discharge duct 300 and the blowing induction duct 700 )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송풍유도덕트(700)는 팬하우징(750), 제1유도덕트(710) 및 제2유도덕트(7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air induction duct 700 includes a fan housing 750, a first induction duct 710, and a second induction duct 730.

팬하우징(750)은 일단이 플라즈마 생성장치(90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유도덕트(710)에 연결된다. 팬하우징(750)의 내부에는 송풍팬(160)과 제2풀리(153)가 수용된다. 제2풀리(153)는 송풍팬(16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송풍팬(160)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fan housing 75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lasma generation apparatus 9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The fan housing (750) houses a blowing fan (160) and a second pulley (153). The second pulley 153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lowing fan 160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blowing fan 160.

제1유도덕트(710)는 일단이 배출덕트(300)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팬하우징(750)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제1유도덕트(710)는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타단이 팬하우징(750)의 일측면에 연결되도록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first induction duct 71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duct 3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an housing 750.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and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roun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an housing 750.

제2유도덕트(730)는 제1유도덕트(710)와 팬하우징(750)을 상호 연결시키며, 수리 또는 교체에 따른 팬하우징(750)의 위치 변경에도 제1유도덕트(710)와 팬하우징(75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induction duct 730 interconnects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and the fan housing 750 so that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and the fan housing 750 can be rotated even if the fan housing 750 is changed in position due to repair or replacemen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750 and 75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배출덕트(300)는 노즐부(380), 제1배출덕트(330), 제2배출덕트(310), 제3배출덕트(370) 및 힌지부(340)를 포함한다.The exhaust duct 300 includes a nozzle portion 380, a first exhaust duct 330, a second exhaust duct 310, a third exhaust duct 370 and a hinge portion 340.

노즐부(380)는 제2배출덕트(310)의 말단에 구비되어 구동펌프(18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노즐부(380)는 제2배출덕트(310)의 말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며, 제2배출덕트(310)의 말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덮개부(381), 제2배출덕트(310)의 말단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덮개부(38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덮개고정부(383) 및 덮개고정부(383)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펌프(180)와 연결된 연결관(387)을 통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링(ring, 385)을 포함한다. The nozzle unit 38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discharge duct 310 and discharg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drive pump 180 to the outside. The nozzle unit 38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second discharge duct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es a lid unit 381 formed to surround the end of the second discharge duct 310, Through a connecting pipe 387 connected to the driving pump 180 and supported by the lid fixing part 383 and the lid fixing part 383 which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lid part 381 and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part 381, And a spray ring 385 for spraying the supplied water.

제1배출덕트(330)는 제1유도덕트(710)와 연결되며 제1유도덕트(710)로부터 배출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는 플라즈마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2배출덕트(310)로 이동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제1배출덕트(330)는 제1연결덕트(331) 및 제1결합덕트(333)를 포함한다. The first exhaust duct 33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and the plasma that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and moves upward is b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xhaust duct 310 As shown in Fig. The first discharge duct 33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duct 331 and a first connecting duct 333.

제1연결덕트(331)는 일단이 제1유도덕트(710)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연결되며 타단이 수평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2연결덕트(311)와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duct 331 is bent so as to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which extends upwardly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duct 311 whose other end extends horizontally.

제1결합덕트(333)는 제1연결덕트(331)에 연결되며, 후술하는 제2결합덕트(313)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The first coupling duct 333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duct 331 and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duct 313 to be described later and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배출덕트(310)는 제1배출덕트(330)와 연결되며, 제2연결덕트(311) 및 제2결합덕트(313)를 포함한다. The second exhaust duct 310 is connected to the first exhaust duct 330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duct 311 and a second connecting duct 313. [

제2연결덕트(311)는 말단부분인 일단에 노즐부(380)가 형성되며 타단이 제2결합덕트(313)에 연결되며,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second connection duct 311 has a nozzle unit 380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on duct 313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second connection duct 311 is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제2결합덕트(313)는 일단이 제2연결덕트(311)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1결합덕트(333)가 삽입된 채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제1결합덕트(333)가 삽입된 제2결합덕트(313)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제2결합덕트(313)가 제1결합덕트(333)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upling duct 313 is curv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duct 31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rotatable with the first coupling duct 333 inserted therein. The second coupling duct 31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duct 313 inserted in the first coupling duct 333 and the second coupling duct 313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duct 333, .

제3배출덕트(370)는 제1연결덕트(331)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제 제3배출덕트(370)에는 제1유도덕트(7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배출덕트(300)와 송풍유도덕트(700) 간에는 별도의 연결하는 장치가 필요 없다.The third discharge duct 37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duct 331 and extends downward. A first induction duct (71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third discharge duct (370). Therefore, a separate connecting device is not required between the discharge duct 300 and the air induction duct 700.

힌지부(340)는 제1결합덕트(333)의 측면에 결합하는 제1힌지부(343) 및 제2결합덕트(313)의 측면에 결합하되 힌지축(345)을 통해 제1힌지부(3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힌지부(34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2배출덕트(310)는 제1배출덕트(3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The hinge unit 34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hinge unit 343 and the second hinge unit 313 that are coupl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duct 333 and the first hinge unit 343 through the hinge shaft 345, And a second hinge portion 341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343. Accordingly, the second exhaust duct 310 can be rotat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rst exhaust duct 330.

한편, 제2배출덕트(310)가 제1배출덕트(330)에 대해 상하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힌지구동부(350)가 배출덕트(30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hood driving unit 350 may be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300 to provide power to rotate the second exhaust duct 310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exhaust duct 330.

힌지구동부(350)는 제1힌지부(343)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344), 제2힌지부(341)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342), 제2체결부(342)에 구비되는 피스톤(351) 및 제1체결부(344)에 구비되어 피스톤(351)을 수용하는 유압실린더(353)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353)에 유압의 주입 및 배출에 따라 피스톤(351)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제2힌지부(341)가 회전을 하면, 제2배출덕트(310) 역시 제1배출덕트(3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The hinge driving unit 350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344 provided on the first hinge unit 343, a second coupling unit 342 provided on the second hinge unit 341, and a second coupling unit 342 provided on the second hinge unit 341 And a hydraulic cylinder 353 provided in the piston 35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344 to receive the piston 351. When the second hinge portion 341 rotates while the piston 351 reciprocates according to the injection and discharge of the hydraulic pressure into the hydraulic cylinder 353, the second discharge duct 310 is also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duct 330 So as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지면과 차량의 길이방향에 각각 수평이고 제1연결덕트(331)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할 때, 제2배출덕트(310)가 상방으로 최대한 회전하여 배치되는 위치(U)에서의 상방회전 최대 허용각도(θ1)와 제2배출덕트(310)가 하방으로 최대한 회전하여 배치되는 위치(D)에서의 하방회전 최대 허용각도(θ2)는 제1결합덕트(333)와 제2결합덕트(313)의 형상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A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exhaust duct 310 is rotated to the maximum position when the reference line C that is horizont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und and the vehicle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connecting duct 331 is taken as a reference, The maximum allowable angle θ1 of the upward rotation in the first coupling duct 331 and the maximum allowed angle θ2 of the downward rotation in the position D in which the second exhaust duct 310 is rotated to the maximum extent downward, And the shape of the second coupling duct 313 can be set in advance.

배출덕트(300)의 하단에는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부(5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500)는 적재부(110)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바(bar, 510), 지지바(510) 상단에 구비되어 배출덕트(300)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520)를 포함한다.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duct 300, a support part 500 for supporting the self weight is provided. The supporter 50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ing bars 510 and a supporting bar 510 which are installed on the loading unit 110 and extend upwar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ing duct 300 in a rotatable manner And a support plate 520.

한편, 배출덕트(300)가 송풍유도덕트(700)에 대해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 배출덕트(300)에는 동력이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덕트(331) 하단에 웜휠(560)이 구비되고, 지지플레이트(520)의 상단부에 웜(551)과 구동모터(553)가 구비된다. Mean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duct 300 so that the discharge duct 300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ir induction duct 700. Specifically, a worm wheel 56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duct 331, and a worm 551 and a drive motor 553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520.

웜휠(560)은 제1연결덕트(331)의 하단에 구비되며, 제3배출덕트(370)가 관통하도록 중앙부분에 개구가 형성된다. 웜휠(560)의 외주면에는 동력이 전달되도록 웜(551)과 치합하는 기어이(561)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웜휠(56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565)가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제1연결덕트(331)에 접하는 다수의 보스(563)가 형성된다. 보스(563)에는 볼트에 의해 웜휠(560)이 제1연결덕트(331)에 결합하도록 웜휠(560)을 관통하는 볼트홀이 형성된다.The worm wheel 56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duct 331 and an opening is form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worm wheel 560 so as to pass through the third exhaust duct 370. A gear 561 for engaging with the worm 551 to transmit powe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m wheel 560. A locking portion 565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worm wheel 56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lurality of bosses 563 contacting the first connecting duct 331 are formed. A bolt hole penetrating the worm wheel 560 is formed in the boss 563 so that the worm wheel 56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duct 331 by bolts.

웜(551)은 지지플레이트(5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구동모터(55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웜휠(56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553)가 작동하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덕트(300)은 기준선(C)을 기준으로 우측 최대 회전위치(R)에 위치 시 형성되는 우측 최대 회전각(θ3)과, 좌측 최대 회전위치(L)에 위치 시 형성되는 좌측 최대 회전각(θ4) 사이의 범위에서 회전하게 된다.The worm 551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52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drive motor 553 and transmits the power to the worm wheel 560. 4, when the driving motor 553 is operated, the exhaust duct 300 has a right-side maximum rotation angle? 3, which is formed when the exhaust duct 300 is positioned at the right-side maximum rotation position 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C, And the left maximum rotation angle [theta] 4 formed at the position at the left maximum rotation position [L].

한편, 배출덕트(300)는 제2배출덕트(310)가 제1배출덕트(33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됨에 따라 평면상의 무게 중심이 제1배출덕트(33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배출덕트(330)가 제1유도덕트(710)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As the second exhaust duct 310 horizontally extends from the first exhaust duct 330,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plane of the exhaust duct 300 mov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exhaust duct 330 as the second exhaust duct 310 horizontally extends from the first exhaust duct 330. Thus increasing the likelihood that the first exhaust duct 330 will be disengaged from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제1배출덕트(330)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가이드링(530)가 제1연결덕트(331)와 제1유도덕트(710)의 사이에 구비된다. A guide ring 53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duct 331 and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to prevent the first discharge duct 330 from being separated.

이러한 가이드링(530)은 외주면이 걸림부(565)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제1가이드링(533), 하면이 제1가이드링(533)의 상면에 결합하며 제1연결덕트(3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제2가이드링(531), 상면이 제1가이드링(533)의 하면에 결합하며 하면이 지지플레이트(520)의 상면에 결합하는 제3가이드링(535)을 포함한다. The guide ring 530 has a first guide ring 533 whos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565 and a lower surface which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ing 533, And a third guide ring 535 which is engag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ing 533 and whose lower surface engag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20. The second guide ring 531 slidably contacts the first guide ring 533, do.

즉, 가이드링(530)은 지지플레이트(520)에 고정된 채 웜휠(56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며, 제1연결덕트(331)는 웜휠(560)이 웜(551) 및 구동모터(553)에 의해 회전할 때 제1유도덕트(710)에 대해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at is, the guide ring 530 rotatably supports the worm wheel 560 while being fixed to the support plate 520, and the first connection duct 331 moves the worm wheel 560 to the worm 551 and the driving motor 553 to rotate about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한편, 배출덕트(300)의 원활할 회전을 위해 제1유도덕트(710)는 다수의 지지바(510) 사이에 배치되되 지지플레이트(520)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여 제3배출덕트(370)에 삽입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3배출덕트(370)는 제1유도덕트(710)의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지지플레이트(5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510 and passes through the hollow formed in the support plate 520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exhaust duct 370. [ . Also,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discharge duct 370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support plate 520 for smooth insertion of the first induction duct 710.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urifying a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의 정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화차량(1)의 정화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1)로 GPS 신호를 송신하는 GPS 위성(15),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통신사 서버(16), 정화차량(1) 내에 장착되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제1통신사 서버(16)를 통해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GPS 위성(15)을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1), 오염지역의 구획, 배출덕트(300)의 회전각도, 정화물질의 배출량 및 구성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인 정화정보 신호를 정화정보 수신단말기(12)로 송신하는 제2통신사 서버(17), 정화차량(1) 내에 장착되어 제2통신사 서버(17)로부터 정화정보를 수신하는 정화정보 수신단말기(12), 정화차랑(1) 외부의 대기오염도를 측정하도록 정화차량(1)의 외측에 설치되는 오염감지센서(13), 배출장치(300, 700, 900)를 구동시키는 배출장치 구동부(110, 140)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11), 정화정보 수신단말기(12), 오염감지센서(13) 및 배출장치 구동부(110, 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네비게이션 단말기(11), 정화정보 수신단말기(12) 및 오염감지센서(1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배출장치 구동부(110, 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urifying system for purifying vehicles using IoT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purification system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ncludes a GPS satellite 15 that transmits a GPS signal to the navigation terminal 11, a first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6 that provides a navigation service, a purification vehicle 1, A navigation terminal 11 for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6 and receiving GPS signals through a GPS satellite 15 to provide a guidance service afte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destination from a user, A second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7 for transmitting a purifying information signal to the purifying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12, which i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polluted area compart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exhaust duct 300, the amount of the purifying material, A purification information reception terminal 12 mounted in the purification vehicle 1 for receiving pur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7 and a purification information reception terminal 12 installed in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for measuring the air pollution degree outside the purification tank 1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 the discharge device (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 and the discharge device driving units 110 and 140 which drive the discharge device driving units 110 and 140 and the navigation terminal 11, the pur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12,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 And a controller 10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1, the purifying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12 and the contamination detecting sensor 13 and controlling the discharging device driving units 110 and 140.

네비게이션 단말기(11)는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어 차량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반적으로 지칭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는 GPS 수신 기능 및 통신 기능을 탑재한 이동통신단말기로서, 가령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기기를 지칭한다.The navigation terminal 11 generally refers to an apparatus for fix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o provid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GPS receiving function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refers to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notebook, and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정화정보 수신단말기(12)도 마찬가지로 제2통신사 서버(17)로부터 정보를 수신 가능한 장치로서 특정한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The purifying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12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erminal as an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7, and does not exclude the purifying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12 compose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오염감지센서(13)는 대기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떠한 센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여기서 대기의 오염도는 주로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질소화합물, 황산화물, 오존, 일산화탄소 등을 지칭한다.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 may be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tmosphere, and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is mainly denoted as fine dust, volatile organic compounds, nitrogen compounds, sulfur oxides, ozone, do.

여기서, 미세먼지(微細-, Particulate Matter, PM)또는 분진(粉塵)이란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 탄소 등과 함께 수많은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로 자동차, 공장 등에서 발생하여 대기중 장기간 떠다니는 입경 10㎛ 이하의 미세한 먼지이며, PM10이라 하고, 입자가 2.5㎛ 이하인 경우는 PM2.5라고 쓰며 '초미세먼지' 또는 '극미세먼지' 라고 부른다. 학술적으로는 에어로졸(aerosol)이라고 부른다. 미세먼지(fine particles) 는 부유분진(Suspended particles), 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 등으로도 불리며 명칭에 따라 약간씩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입자상물질은 공기역학적 입경(지름)이 10nm에서 100㎛ 정도이며, 이보다 입경이 큰 경우는 중력에 의한 침강효과로 대기중 체류시간이 아주 짧다.Here, fine particulate matter (PM) or dust is an air pollutant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air pollutants together with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s, lead, ozone, and carbon monoxide. It is a fine dust with a particle size of 10 μm or less that floats in the atmosphere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called PM10. When the particle is 2.5 μm or less, it is called PM2.5 and is called 'ultrafine dust' or 'ultrafine dust. Technically, it is called aerosol. Fine particles are also called suspended particles and particulate matter, and have slightly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ir names. The aerodynamic diameter (diameter) of the particulate matter is about 10 to 100 μm. If the particle size is larger than this, the residence time in the atmosphere is very short due to the sedimentation effect due to gravity.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직경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로 미세먼지는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다. 194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도노라에서 20명이 사망한 대기오염사고, 1952년 약 4,0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런던스모그는 미세먼지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이후로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역학조사가 실시되었고, 특히 10㎛ 이하의 미세먼지 입자(PM10)가 취약집단의 질병발생률과 사망률을 높이는 등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나온 이후 각 국 정부에서는 대기오염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하였으며, 미세먼지가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줄이기 위해 대기오염기준도 마련하였다.It is a very small substance that is invisible to the naked eye. It is a particulate material with a diameter of 10 μm or less that floats or falls down in the air. Fine dust is a substance that greatly affects the human body. London smog, which killed 20 people in 1948 in Donora, Pennsylvania, USA, and caused about 4,000 deaths in 1952, is a leading example of how fine dust affects the human body. Since then, various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effect of fine dust on the human body. Especially, fine dust particles (PM10) of 10 μm or less are likely to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the human body, such as increasing disease incidence and mortality rate in vulnerable groups It turned out. Sinc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governments have begun to prepare air pollution measures, and air pollution standards have been set up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fine dust on human body and environment.

공기 속에 입자상물질(고체나 액체상태)이 부유하고 있는 상태를 일반적으로 에어로졸(Aerosol)이라 한다. 통상적으로 먼지라 말하고 있다. 먼지의 입도(粒度)범위는 0.001~1000㎛이지만 70㎛이상의 먼지는 발생 즉시 침강하므로 일반적으로 70㎛ 이하의 먼지를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라 한다. 0.1㎛ 이하의 먼지입경을 초범위(ultra range)라 하며, 대부분의 먼지는 0.1~10㎛ 사이에 분포하게 된다. 0.1~1㎛ 범위의 입자는 입경분포의 특성상 침강이나 응집이 쉽지 않기 때문에 대기 중에 체류시간이 길고 폐포(肺胞)에 침투가 가장 용이하다. 0.5㎛ 크기의 입자는 빛의 산란효과가 가장 커서 시정감소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A state in which particulate matter (solid or liquid) floats in the air is generally called an aerosol. It is usually said to be dust. The particle size range of the dust is 0.001 ~ 1000 ㎛. However, since the dust larger than 70 ㎛ is precipitated immediately upon occurrence, the dust of 70 ㎛ or less is generally called total suspended particle (TSP). A dust particle size of 0.1 μm or less is called an ultra range, and most of the dust is distributed in a range of 0.1 to 10 μm. Particles in the range of 0.1 to 1 μm have a long residence time in the atmosphere and are most easily permeable to the alveoli because they are difficult to precipitate or flocculate due to the nature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Particles with a size of 0.5 μm have the largest scattering effect of light, which may cause a decrease in visibility.

PM10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은 입자의 크기가 10㎛ 이하인 먼지를 말한다. 국가에서 환경기준으로 연평균 50㎍/㎥, 24시간 평균 100㎍/㎥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인체의 폐포까지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인체의 면역 기능을 악화시킨다. 세계보건기구(WHO) 가이드라인으로는 연평균 20㎍/㎥, 24시간 평균 50㎍/㎥으로 설정되어있으며, 개발도상국의 경우 연평균 70㎍/㎥ 정도라고 한다.PM10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 μm) refers to dust particles whose size is 10 μm or less. It is based on an annual average of 50 ㎍ / ㎥ in environmental standards and 100 ㎍ / ㎥ in 24 hours a year. It infiltrates into the alveoli of the human body, directly causes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and exacerbates the immune function of the human bod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set an average annual dose of 20 μg / ㎥ and an average of 50 μg / ㎥ for 24 hours, with an average annual dose of 70 μg / ㎥ in developing countries.

PM2.5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2.5㎛)은 입자의 크기가 2.5㎛ 이하인 먼지를 말한다. 이것을 초미세먼지라고 한다.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결과에 따라 선진국에서 미세입자에 대한 기준을 90년대 후반부터 도입하기 시작했다. PM 2.5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2.5 μm) refers to dust particles with a size of 2.5 μm or less. This is called ultrafine dust.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particle size is smaller and the effect on health is great, it started to introduce the criteria for fine particl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e late 90s.

대한민국은 2015년 1월에 시행 예정인 연평균 25㎍/㎥, 24시간 평균 50㎍/㎥의 기준을 발표하였으며, 미국은 연평균 15㎍/㎥, 24시간 평균 35㎍/㎥의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것이 초미세먼지로 지칭된다. 세계보건기구(WHO) 가이드라인으로는 연평균 10㎍/㎥, 24시간 평균 25㎍/㎥으로 설정되어있다.The Republic of Korea announced the annual average of 25 ㎍ / ㎥ and 50 ㎍ / ㎥ for 24 hours a year, which is scheduled to be enacted in January 2015. The US has set an annual average of 15 ㎍ / ㎥ and an average of 35 ㎍ / ㎥ for 24 hours. This is called ultrafine dus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set an annual average of 10 μg / ㎥ and an average of 24 μg / ㎥ for 24 hours.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대기중에 휘발돼 악취나 오존을 발생시키는 탄화수소화합물을 일컫는 말로, 피부접촉이나 호흡기 흡입을 통해 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는 발암물질이다. 벤젠이나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에틸렌, 스틸렌,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통칭한다.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hydrocarbon compounds that volatilize in the air and generate odor and ozone. They are carcinogens that cause damage to the nervous system through skin contact and inhalation. Benzene, formaldehyde, toluene, xylene, ethylene, styrene, and acetaldehyde.

이들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개의 경우 저농도에서도 악취를 유발하며, 화합물 자체로서도 환경 및 인체에 직접적으로 유해하거나 대기중에서 광화학반응에 참여하여 광화학산화물등 2차 오염물질을 생성하기도 한다.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은 주로 석유화학 정유 도료 도장공장의 제조와 저장과정, 자동차 배기가스, 페인트나 접착제 등 건축자재, 주유소의 저장탱크 등에서 발생한다. Thes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ten cause bad odors even at low concentrations, and the compounds themselves are directly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human body, or participate in photochemical reactions in the atmosphere and generate secondary pollutants such as photochemical oxid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mainly produced and stored in petrochemical refining coating plants, automobile exhaust gas,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paints and adhesives, and storage tanks in gas stations.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의 유기 화합물의 총칭. 이는 도료나 용제 등에 포함되어 있다.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하면 햇빛의 작용으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팬 등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시키게 되고, 이때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는 물질을 통틀어 일컫는다. 대기오염물질이며 발암성을 가진 독성 화학물질로서 광화학 산화물의 전구물질이기도 하다. 또한 지구온난화와 오존층 성층권 파괴의 원인물질이며 악취를 일으키기도 한다.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저(低) 휘발성 유기 화합물 화(化)를 위한 기술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료의 하이솔리드화, 중도와 상도 베이스 코트의 수성화, 이액 경화형 클리어, 분체 클리어의 개발, 도입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A generic term for organic compounds in liquid or gaseous form that are easily vaporized into the atmosphere due to their high vapor pressure. This is contained in paints, solvents, and the like. When it coexists with nitrogen oxides in the atmosphere, it produces photochemical oxidative substances such as ozone and a fan by causing the photochemical reaction due to the action of sunlight, and refers to the substances that cause photochemical smog at this time. It is an air pollutant, a toxic chemical with carcinogenic properties, and it is also a precursor of photochemical oxides. It is also a cause of global warming and destruction of the stratosphere of the ozone layer.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low-volatile organic compounding is required. In response to this, high solidification of the coating material, hydration of the middle and top basecoat, clearance of the two-liquid curing type, and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powder clearance have been carried out.

질소산화물(NOx)은 질소와 산소의 화합물로, 연소과정에서 공기 중의 질소가 고온에서 산화돼 발생한다. 7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공해문제로 중요한 것은 일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2)이다. Nitrogen oxides (NOx) are compounds of nitrogen and oxygen, and nitrogen in the air is oxidized at high temperatures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Seven species are known. The most important pollution problem is nitrogen monoxide (NO) and nitrogen dioxide (NO2).

질소산화물, 질소와 산소의 화합물로 N₂O(아산화질소), NO(일산화 질소), NO₂(이산화질소), N₂O₃(삼산화질소), N₁O5(오산화질소) 등의 총칭. 공기중의 질소나 자동차 등 화석연료에 포함된 질소가 고온 분위기에서 산화되어 발생된다.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장애를 유발하며, 태양 자외선, 매연 등과 반응하여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거나 공기중의 습기에 녹아 초산이 되어 산성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Nitrogen oxide is a compound of nitrogen and oxygen and is a collective term such as N₂O (nitrous oxide), NO (nitrogen monoxide), NO₂ (nitrogen dioxide), N₂O₃ (nitrogen trioxide), N₁O5 (nitrogen oxide). Nitrogen contained in fossil fuel such as nitrogen in air or automobile is oxidized in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Cough, and sputum. It reacts with the sun's ultraviolet ray, soot, etc., causing photochemical smog, or it is dissolved in the moisture in the air and becomes acetic acid, which causes acid rain.

대표적인 질소산화물의 배출원은 자동차, 항공기, 선박, 산업용 보일러, 소각로, 전기로 등이 있다. Typical sources of nitrogen oxides include automobiles, airplanes, ships, industrial boilers, incinerators, and electric furnaces.

질소산화물은 교통량과 일광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급성 중독시에는 폐수종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게 하는 무서운 물질이다. 기관지염증, 천식, 만성기관지염을 일으키며 자각증상으로는 기침, 가래, 눈물, 호흡곤란 등이 나타난다.Nitrogen oxides are highly influenced by traffic volume and sunlight, and are acute toxic substances that cause lung diseases leading to death. Bronchial inflammation, asthma, and chronic bronchitis. Symptoms include cough, sputum, tears, and shortness of breath.

질소산화물은 산성비의 원인이 될 뿐아니라 눈과 호흡기를 자극하며 식물을 고사시키는 등 주요 대기오염물질로 규제되고 있다. 또한 질소산화물이 태양광선과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시키는데, 대기중 오존의 농도가 높아지면 호흡기와 눈에 자극을 느끼고, 기침을 유발한다.Nitrogen oxides are regulated as major air pollutants, not only causing acid rain, but also stimulating the eyes and respiratory tracts and ending plants. In addition, nitrogen oxides react with sunlight to generate ozone. When the concentration of ozone in the atmosphere increases, the respiratory and eye senses irritation and causes coughing.

황산화물(Sox)은 환경공학용어사전 일반적으로 유황과 산소가 결합한 산화유황을 말하지만, 공해 관계에서는 매연 속에 포함된 이산화유황, 삼산화유황 및 황산 미스트를 말한다. 대기 오염의 원인이고 이산화유황, 삼산화유황의 최대 발생원은 중유의 연소로 그외 황산 제조나 금속을 정련할 때 생기는 배기 가스에도 함유되어 있다.Sulfur oxides (Sox) refers to sulfur oxides in which sulfur and oxygen are commonly combined, but in the case of pollution, sulfur dioxide, sulfur trioxide and sulfuric acid mist contained in the soot. It is the cause of air pollution and the largest source of sulfur dioxide and sulfur trioxide i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heavy oil and other sulfuric acid production and metal refining.

황의 산화물로서, 대기 오염 물질의 하나인 이산화황 SO2 및 그 관련 물질로서 삼산화황 SO3, 황산 미스트 등을 포함한 총칭. 특히 환경관련 분야에서 항산화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보통 SO2로 표기된다.Sulfur oxides, sulfur dioxide SO2, one of the air pollutants, and its related substances, including sulfur trioxide SO3 and sulfuric acid mist. Especially in the field of environment-related, it is often called antioxidant. It is usually designated SO2.

오존(O3)은 특유한 냄새 때문에 '냄새를 맡다'를 뜻하는 그리스 어 ozein을 딴 오존은 산소의 동소체로 분자식이 O3로, 산소에 비하여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다. 오존은 쉽게 분해하여 산소로 되며 이때 생성되는 불안정한 산소 원자가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이 산소 원자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살균 표백제로 사용한다. 천연 상태에서 번개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한다. 산소 분자는 번개에 의하여 원자로 쪼개지고 이 산소 원자가 이웃한 산소 분자와 결합하여 오존이 된다.Ozone (O3) is ozone, ozone, which means 'smell' because of its peculiar odor. Ozone is an oxygen isotope, and its molecular formula is O3, which is very unstable compared to oxygen. Ozone is easily decomposed into oxygen and the resulting unstable oxygen atoms have the property of oxidizing other substances. It is used as a sterilizing bleach using the strong oxidizing power of oxygen atom. In the natural state, ozone is generated by lightning. Oxygen molecules are split into atoms by lightning, and these oxygen atoms combine with neighboring oxygen molecules to form ozone.

일산화탄소(CO)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서 산소가 부족한 상태로 연료가 연소할 때 불완전연소로 발생한다. 사람의 폐로 들어가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보급을 가로막아 심한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 Carbon monoxide (CO) is a colorless, odorless gas that is produced by incomplete combustion when the fuel is burning in a state of oxygen deficiency. When you enter a person's lungs, it binds to hemoglobin in the blood, blocking oxygen supply and leading to death if severe.

일산화탄소는 연탄의 연소가스나 자동차의 배기가스 중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큰 산불이 일어날 때도 주위에 산소가 부족하여 많은 양의 일산화탄소가 발생되기도 하고 담배를 피울 때 담배연기 속에 함유되어 배출되기도 한다. Carbon monoxide is contained in the burning gas of briquettes and exhaust gas of automobiles, and when a large forest fire occurs, a large amount of carbon monoxide is generated due to lack of oxygen around the surroundings, and sometimes it is contained in tobacco smoke when it is cigarette.

일산화탄소의 인체에서 작용은 그 자체로 독성이 있는 것이 아니고, 폐에서 혈액중의 헤모글로빈(Hb)과 결합하여, Hb본래의 기능인 체내로의 산소공급능력을 방해하여, 체내조직세포의 산소부족을 불러오는 결과로서 중독증상이 나타난다. 일산화탄소의 흡입이 계속되어 체내로의 산소공급이 부족해지면, 우선 산소결핍에 민감한 중추신경계(뇌, 척추)가 그 영향을 받아, 두통, 현기증, 이명, 가슴두근거림, 맥박증가, 구토가 일어나고, 마침내 마취상태에 빠질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대기중 일산화탄소 기준은 1시간 평균치 25ppm이하, 8시간 평균치 9ppm이하이다.The ac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human body is not toxic per se, but it binds to the hemoglobin (Hb) in the blood in the lungs to interfere with the ability of oxygen to supply oxygen into the body, which is the original function of Hb, As a result, symptoms of poisoning appear. When carbon monoxide is continuously inhaled and oxygen supply to the body becomes insufficient, the central nervous system (brain, vertebrae) sensitive to oxygen deficiency is first affected, and headache, dizziness, tinnitus, chest throbbing, pulse increase, vomiting, Finally, anesthesia can fall. At present, atmospheric carbon monoxide standards in Korea are less than 25ppm for 1 hour and less than 9ppm for 8 hours.

오염감지센서(13)는 상술한 대기오염물질을 모두 감지하며, 이들 중에서 특히 미세먼지를 제외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질소화합물, 황산화물, 오존, 일산화탄소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미세먼지도 감지할 수 있다.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 detects all the above-mentioned air pollutants, and among these,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nitrogen compounds, sulfur oxides, ozone, carbon monoxide, and the like other than fine dusts can be detected. Of course, fine dust can also be detected.

제1 및 제2통신사 서버(16, 17)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장치를 지칭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통신사업자가 기지국, 중앙 통신 센서 등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어 PCS(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CDMA), DCN(Digital Cellular Network; CDMA-800) 등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단말기(11)는 제1통신사 서버(16)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정화차량(1)의 내부 정보를 포함하여 정화차량(1)의 각종 운행정보를 차량의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정화정보 수신단말기(12)도 마찬가지로 제2통신사 서버(17)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정화차량(1)에 의해 감지된 오염도 정보를 정화차량(1)의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company servers 16 and 17 refer to all devices that provide wireless Internet servic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may establish a system such as a base station and a central communication sensor, A device providing a network such as a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a Digital Cellular Network (DCN) . Accordingly, the navigation terminal 11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provid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6 to transmit various driving information of the purifier 1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inside information of the purifier 1 Can be transmitted. The purifying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12 is also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provid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7 so as to transmit the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urifying vehicle 1 to the outside of the purifying vehicle 1 .

제2통신사 서버(17)는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게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정보를 모두 송신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7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all the information on the above-mentioned air pollution material.

제어부(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기(11)로부터 수신한 해당 오염지역의 지도정보와 정화정보 수신단말기(12)로부터 수신한 제1정보 및 오염감지센서(13)로부터 취득한 제2정보에 기초하여 오염지역 상에 그리드를 설정하고 단위 그리드(UG) 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 후, 교차점 및 교차영역간의 이동경로를 네비게이션 단말기(11)를 통하여 획득하게 된다. 이후 정화차량(1)이 이동하게 되면 배출덕트(300)의 회전각도, 정화물질의 배출량 및 구성비율을 설정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10 stores map informa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1 and fir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urifier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12 and secon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ntamination detecting sensor 13 The grid is set on the contaminated area and the priority between the unit grids UG is set on the basis of the grid, and then the movement route between the intersection points and the intersection areas is obtained through the navigation terminal 11. [ Then, when the purifier 1 moves, the rotation angle of the exhaust duct 300, the amount of the purified material discharged, and the composition ratio are set.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urifying the purification vehicle 1 using the IoT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에 의하면, 정화차량(1)이 오염지역 내부에서 이동하고 정화물질을 배출하여 오염지역 내부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urifying method of the purifying vehicle 1, the purifying vehicle 1 moves inside the polluted area and discharges the purifying material to purify pollutants in the polluted area.

이를 위해 정화차량(1)의 정화방법은 오염지역이 구획되도록 오염지역 상에 그리드를 설정하는 그리드설정단계(S110), 단위 그리드(UG)에 대응하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간의 정화순위를 설정하는 순위 설정단계(S130), 외부로부터 오염지역에 대한 풍향정보를 수신하여 오염지역 내부에서 차량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이동경로설정단계(S150) 및 설정된 순위 및 차량의 이동경로에 따라 각각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배출장치로부터 정화물질을 배출하여 정화하는 정화단계(S17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ncludes a grid setting step S110 for setting a grid on the contaminated area so that the contaminated area is partitioned, a rank setting step S110 for setting the purification rank among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corresponding to the unit grid UG, A setting step S130, a moving route setting step S150 in which a moving rout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s set in the contaminated area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from the outside, and the moving route setting step And a purge step (S170) for discharging and purifying the purifying material from the discharging device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unit-grid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charging device.

그리드설정단계(S110)는 오염지역의 인구수에 따라 그리드를 이루는 각각의 단위 그리드(UG)의 개수가 결정된다. 오염지역의 인구수가 많으면 단위 그리드(UG) 개수가 많아지며, 오염지역의 인구수가 적으면 단위 그리드(UG) 개수도 적어진다. In the grid setting step (S110), the number of each unit grid (UG) forming the gri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olluted areas. If the number of polluted areas is large, the number of unit grid (UG) is increased. If the number of polluted area is small, the number of unit grid (UG) is also decreased.

일반적으로 인구수가 대략 지역의 넓이에 비례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오염지역을 예를 들면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각각 1km인 정사각형 형상의 단위 그리드(UG) 다수가 형성되도록 그리드가 설정하여 오염지역을 구획한다. 다시 말하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그리드(UG)를 구획하는 경계선(BD)이 각각 1km로 설정된다. Using the fact that the population is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area, the grid is set so that a number of square shaped unit grids (UG) each having a length of 1 km and a length of 1 km are formed, do.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8, each of the boundary lines BD dividing the unit grid UG is set to 1 km.

단위 그리드(UG)의 면적은 상기 오염지역의 인구 밀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단위 그리드(UG)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area of the unit grid UG may be set by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contaminated area.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ize of the unit grid (UG) can be variously set.

이하 순위 설정단계(S130)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단위 그리드(UG) 간 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지도에 표시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서 도시된 단위 그리드(UG) 간 순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The following step S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rank between unit grids UG shown in FIG. 6, and FIG. 8 illustrates a method of setting a rank between unit grids UG shown in FIG. .

순위 설정단계(S130)는 그리드를 구성하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간의 정화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순위 설정단계(S130)는 정화차량(1)의 외부로부터 취득한 제1정보 및 정화차량(1)에 구비된 오염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취득한 제2정보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 The rank setting step S130 is a step of determining a rank to be cleaned betwee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regions constituting the grid. The ranking setting step S130 is performed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outside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nd the second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etection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purification vehicle 1. [

제1정보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대기오염도, 인구밀도 및 교통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기에서는 일 예로서 제1정보에 인구밀도 및 교통량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1정보는 정화차량(1)이 오염지역을 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로서 정화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대기오염도, 인구밀도 및 교통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정보 즉 정화정보는 제2통신사 서버(17)로부터 정화정보 수신단말기(12)가 수신하는 정보이다.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ir pollution degree,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volume i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volume. Such first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purifying information as information used by the purifying vehicle 1 to purify the contaminated area. The firs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ir pollution degree,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volume, that is, the cleans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7 by the cleansing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12. [

한편, 제2정보는 오염감지센서(13)가 감지하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대기오염도를 포함한다. 제2정보는 정화차량(1)에 구비된 오염감지센서(13)가 감지하여 취득하는 대기오염도에 대한 정보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detected by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 The second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air pollution degree that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 provided in the purification vehicle 1 senses and acquires.

하기에서는 인구밀도 및 교통량이 포함되는 제1정보 및 상술한 제2정보에 의해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간의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ranking betwee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regions by the first information including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traffic volume and the secon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간의 순위는 대기오염도, 인구밀도 및 교통량 각각의 가중치의 합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인구밀도 및 교통량은 최대 가중치가 상호 동일하며, 대기오염도의 최대 가중치는 인구밀도 및 교통량 각각의 최대 가중치의 합과 동일하다.The ranking among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is determined by the sum of weights of air pollution,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volume. Here, the maximum weights of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are the same, and the maximum weight of air pollution is equal to the sum of the maximum weights of the population density and traffic volume.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대기오염도, 인구밀도 및 교통량은 각각에 대해 5등급의 레벨을 설정하여 각각의 레벨에 대해 환산 점수 즉, 가중치를 부여 받는다. 인구밀도 및 교통량은 각각 최대 환산 점수 즉 최대 가중치가 25으로 동일하며 실시간 오염도도 즉 대기오염도는 최대 환산 점수 즉 최대 가중치가 50으로 설정된다.Referring to Tables 1 to 3, the air pollution degree,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traffic volume are set to a level of 5 for each level, and a conversion score, that is, a weight value, is assigned to each level.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traffic volume are respectively set to the maximum conversion score, that is, the maximum weight is equal to 25, and the real-time pollution degree, that is, the air pollution degree, is set to the maximum conversion score,

Figure 112018005130866-pat00001
Figure 112018005130866-pat00001

Figure 112018005130866-pat00002
Figure 112018005130866-pat00002

Figure 112018005130866-pat00003
Figure 112018005130866-pat00003

도 7에서 최우선 순위인 제1순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은 환산 점수가 80이다. 여기서 제2순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은 일 예를 들면, 실시간 오염도가 100ug/m3 이상으로서 Level 5 (50점)이고, 교통량이 교통량 33 km/h으로서 Level 3 (15점)이고, 인구밀도가 인구밀도 1009명으로서 Level 3 (15점)이다. 7, the conversion score is 80 i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of the first order, which is the highest priority. For example, a real-time contamination level of 100 ug / m3 or more is Level 5 (50 points), a traffic volume is 33 km / h, a level 3 (15 points), and a population density The population density is 1009, which is Level 3 (15 points).

한편 제2순위인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은 점수가 60이다. 여기서 제2순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은 일 예를 들면, 실시간 오염도가 60ug/m3으로서 Level 3 (30점)이고, 교통량이 교통량 33 km/h으로서 Level 3 (15점)이고, 인구밀도가 인구밀도 1009명으로서 Level 3 (15점)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ank,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has a score of 60. For example, the real-time contamination level is 60 ug / m3 and the level 3 (30 points), the traffic volume is 33 km / h, the level 3 (15 points), and the population density is the population The density is 1009 and Level 3 (15 points).

동일한 순위의 지역이 복수 개로 설정되면 이들간의 순위는 하기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If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same rank are set, the ranking among them may be set as follows.

제1순위 지역이 복수 개 설정되면, 정화차량(1)이 최초로 위치한 지역과 가장 가까운 제1순위 지역이 최우선 순위의 지역으로 설정되고, 최우선 순위로 설정된 지역과 가장 가까운 지역이 그 다음 순위로 설정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first ranked regions are set, the first ranked region closest to the region where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first located is set as the highest priority region, and the region closest to the highest ranked region is set as the next ranked region .

이와 별개로 제2순위 지역이 복수 개 설정되면, 제1순위 지역과 가장 가까운 제2순위 지역이 제2순위 중 최우선 순위의 지역으로 설정되고, 최우선 순위로 설정된 지역과 가장 가까운 지역이 그 다음 순위로 설정될 수 있다.If a plurality of second ranked regions are separately set, the second ranked region closest to the first ranked region is set as the highest ranked region among the second ranked regions, and the region closest to the highest ranked region is set as the next ranked Lt; / RTI >

한편, 순위 설정단계(S13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간 정화의 순위를 최초로 설정하는 순위 최초설정단계(S211) 및 최초로 설정된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정화된 이후, 정화되지 않은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간의 정화순위를 다시 설정하는 순위 재설정단계(S241)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rank setting step S130 may include a ranking initial setting step S211 for initially setting the rank of the cleansing between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and a ranking initial setting step S211 for clearing one or mor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 And an order resetting step S241 for resetting the purification order among the unclean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순위 설정단계(S130)를 순위 최초설정단계(S211) 및 순위 재설정단계(S241)로 구분한 이유는 정화차량(1)에 의해 정화 도중 오염지역 내부의 오염물질 분포가 변화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ranking setting step S130 is divided into the ranking initial setting step S211 and the ranking resetting step S241 is to cope with a situation in which the pollutant distribution inside the contaminated area changes during purifying by the purifying vehicle 1 to be.

순위 최초설정단계(S211)는 정화차량(1)에 의해 오염지역이 정화되기 전에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간의 정화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로서, 정화차량(1)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1정보 및 정화차량(1)에 구비된 오염감지센서(13)로부터 취득한 제2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제1정보는 각각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대기오염도, 인구밀도 및 교통량을 포함하며, 제2정보는 각각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대기오염도를 포함한다.The ranking initial setting step S211 is a step of setting a purifying rank among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before the polluted area is purified by the purifying vehicle 1 and includes the fir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of the purifying vehicle 1,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 provided in the first apparatus 1.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the air pollution degree,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traffic amount of each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the air pollution degree of each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순위 최초설정단계(S211)에서의 대기오염도는 제2정보를 통해 취득한 대기오염도이다. 따라서 순위 최초설정단계(S211)에서는 정화차량(1)이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모두를 통과하면서 오염감지센서(13)를 통해 각각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대기오염도를 측정한다. The air pollution degree in the ranking initial setting step S211 is the air pollution degree acquired through the second information. Therefore, in the initial ranking step S211, the purification vehicle 1 passes through all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and measures the air pollution degree of each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through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 [

순위 최초설정단계(S211) 이후에는 오염지역 내부에서 정화차량(1)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경로가 최초로 설정되는 이동경로 최초설정단계(S212)가 수행된다. 도 8에서 도시된 순서도 상에서는 순위 재설정과 이동경로 재설정의 차수를 나타내는 n 값이 1로 설정된다(S213). After the ranking initial setting step S211, a movement path initial setting step S212 is first performed in which a movement path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within the contaminated area is first set. In the flowchart shown in FIG. 8, an n value indicating the order of the order re-ordering and the route re-setting is set to 1 (S213).

이후 정화차량(1)은 이동경로를 따라 첫 번째 단의 그리드 대응지역을 이동한다. 다만, 정화차량(1)이 첫 번째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도착하는 동안 대기오염도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정화 전에 외부로부터 제1정보와 오염감지센서(13)를 통해 제2정보인 대기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S221). Thereafter,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along the movement route along the grid-corresponding area of the first stage. However, since the air pollution degree may change while the purification vehicle 1 arrives at the first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information on the air pollution degree, which is the second information through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 (S221).

이후 도착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서 배출장치를 통해 정화물질을 배출하여 정화한다(S222).Then, the purifying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ing device i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that has arrived (S222).

해당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서 정화물질 배출을 종료되면 최최 설정된 순위에 따라 다음 순위에 해당하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단위 그리드(UG)간의 순위를 재설정(S241)하고 이동경로 역시 재설정(S242)한다. When the purge material discharge is completed in the corresponding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the rank of the unit grid UG is reset (S241) and the travel path is also reset (S242 )do.

이 경우, 도착 이후 정화 직전에 취득한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그리드(UG)간의 순위 및 이동경로를 재 설정한다(S241, S242). 여기서 제1정보는 각각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대기오염도 전체를 포함하며, 제2정보는 정보 취득 당시에 오염감지센서(13)가 감지한 대기오염도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ranking and the movement route between the unit grids UG are reset by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obtained immediately before the purge, after the arrival (S241, S242). Here,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the entire air pollution degree of each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the air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 at the time of information acquisition.

한편, 단위 그리드(UG)간의 순위 및 이동경로의 재 설정은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되 제1정보의 신뢰도 판단이 선행된다(S230). Meanwhile, the order of the unit grid UG and the resetting of the movement path are performed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reliability determination of the first information is performed (S230).

제1정보의 신뢰도가 허용치보다 낮은 경우(S230-N), 단위 그리드(UG)간의 순위 및 이동경로를 재 설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신뢰도는 정화차량(1)이 도착한 후 정화 전에 수신한 제1정보의 대기오염도와 오염감지센서(13)가 측정한 대기오염도를 비교한 결과에 따른다. If the reliability of the first information is lower than the allowable value (S230-N), the ranking and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unit grids UG are not reset. Here, the reliability depends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rst information received before the purification vehicle 1 arrives before the purification vehicle 1 and the air pollution degree measured by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

오염감지센서(13)가 직접 측정한 제2정보의 대기오염도의 신뢰도가 높다는 가정하에, 정화차량(1)이 현재 위치한 지점의 제1정보가 현재 위치한 지점의 제2정보로부터 벗어나는 정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다면, 제1정보의 신뢰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하여(S230-Y), 상술한 정화차량(1)이 도착한 후 정화 전에 수신한 제1정보의 대기오염도, 인구밀도 및 교통량으로 단위 그리드(UG)간의 순위 및 이동경로의 재 설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의 제1정보에는 이후 이동할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information of the point at which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currently located deviates from the second information of the point where the first information is currently located is set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traffic volume of the first information received before purification after arrival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as described above is determined to be high in reliability of the unit grid UG ) And resetting the movement route. 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 unit-grid corresponding area to be moved later, as described above.

이후 순위 재설정과 이동경로 재설정의 차수를 나타내는 n 값이 1만큼 증가한다(S243). Thereafter, the value of n indicating the order of resetting and resetting the route is incremented by 1 (S243).

이러한 단위 그리드(UG)간의 순위 및 이동경로의 재 설정은 앞으로 이동할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두 지점으로 좁혀 질 때까지 계속된다(S250). 정화차량(1)이 이동할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한 지점이라면, 단위 그리드(UG)간의 순위 및 이동경로의 재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정화차량(1)은 기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오염정보를 취득한 후 정화물질을 배출장치를 통해 배출하고 정화를 마치게 된다. The ranking and the resetting of the movement route between the unit grids UG are continued until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to be moved forward is narrowed to two points (S250). I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to which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is one point, the ranking and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unit grids UG are not reset.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along the predetermined movement path to acquire the contamination information, and then discharges the purification material through the discharge device and finishes the purification.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위 재설정과 이동경로 재설정 이후 증가한 n값이 단위 그리드 전체 수 이상이면 더 이상 순위 재설정(S241)과 이동경로 재설정(S243)이 수행되지 않는다.That is, as shown in FIG. 8, if the value of n increased after the resetting of the route and the resetting of the rou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he unit grids, the resetting operation S241 and the moving route resetting operation S243 are not performed any more.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외부로부터 오염지역에 대한 풍향정보를 수신하여 오염지역 내부에서 차량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이동경로설정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6에서 도시된 오염지역 내부에서 정화차량(1)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6에서 도시된 오염지역 내부에서 정화차량(1)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을 지도에 표시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9 to 10,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movement path setting step in which a moving path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s set in the contaminated area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polluted area from the outside.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et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n the contaminated area shown in Fig. 6, and Figs. 10 and 11 are flowcharts showing the procedure of set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in the contaminated area shown in Fig. And a method of setting a movement route is displayed on a map.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경로 설정단계(S150)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내부에서 차량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제1이동경로설정단계(S330) 및 상호 인접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각각의 제1이동경로를 상호 연결하여 차량 이동을 안내하는 제2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제2이동경로설정단계(S350)를 포함한다.9 to 11, the movement path setting step S150 includes a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S330 in which a first movement path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s set withi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nd a second movement route setting step (S350) in which a second movement route for guiding the vehicle movement is established by interconnecting the first movement routes of the corresponding areas.

제1이동경로설정단계(S330)에서는 우선 오염지역의 평균풍향에 나란하되 상기 단위 그리드(UG)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풍향선(Z)을 설정한다(S331). 제1이동경로는 정화차량(1)이 풍향선(Z)을 적어도 한 번 통과하도록 설정된다. In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S330), a virtual wind direction line Z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unit grid UG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wind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S331). The first movement route is set so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1 passes through the yaw line Z at least once.

구체적으로 제1이동경로설정단계(S330)에서는 가상의 풍향선(Z) 설정 이후, 단위 그리드(UG)의 경계선과 소정의 교차선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 및 교차점을 포함하는 소정의 교차영역을 설정한다(S333). Specifically, in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S330), a predetermined intersection area including the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intersection line of the unit grid UG and the predetermined intersection line intersect and the intersection point is set after the virtual wind direction line Z is set (S333).

이후, 정화차량(1)이 교차영역을 적어도 두 번 통과하도록 제1이동경로가 설정된다(S335).Thereafter, the first movement route is set so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1 passes the crossing region at least twice (S335).

다시 말하면, 제1이동경로설정단계(S330)에서는, 오염지역의 평균풍향에 수직이며 단위 그리드(UG) 경계선과 교차하는 다수의 교차선을 평균풍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각각 이격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단위 그리드(UG) 경계선과 교차선과의 교차점을 포함하는 교차영역을 설정하고, 정화차량(1)이 교차영역을 적어도 두 번 통과하도록 제1이동경로가 설정된다. 이때 다수의 교차선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In other words, in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S330, a plurality of intersecting lines perpendicular to the average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and intersecting the unit grid UG boundary line are sequentially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average direction , A crossing area including an intersection of a unit grid (UG) boundary line and an intersection line is set, and a first movement path is set so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1 passes the intersection area at least twic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intersecting lines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에 따라, 제1이동경로설정단계(S330)에서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가상의 풍향선(Z)에 의해 제1구획영역과 제2구획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정화차량(1)이 제1구획영역 및 제2구획영역을 적어도 한 번 왕복하도록 제1이동경로가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S330,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areas by the virtual wind direction Z, and the purification vehicle 1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The first movement path may be set so as to make the partition area and the second partition area at least once to reciprocate.

도 10에 제1이동경로를 설정하는 일 예가 도시된다. 오염지역의 평균풍향은 두 개의 화살표로 표시되며, 풍향선(Z)은 단위 그리드(UG) 중심을 통과하되 평균풍향에 나란하게 설정된다. 단위 그리드(UG) 영역은 풍향선(Z)에 의해 두 개의 영역 즉, 제1구획영역과 제2구획영역으로 나뉜다.An example of setting the first movement route is shown in Fig. The average wind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is indicated by two arrows, and the wind direction line (Z)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unit grid (UG) and is set to be parallel to the average wind direction. The unit grid (UG) region is divided into two regions by a wind direction line (Z), that is, a first partition region and a second partition region.

교차선(A 내지 F)은 풍향선(Z)에 수직이며 평균풍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제1교차선(A)은 풍향선(Z)이 단위 그리드(UG) 경계선과 최초 만나는 제1교차점(X0)을 관통한다. The crossing lines A to F ar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line Z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average direction. The first crossing line A passes through the first intersection X0 at which the direction line Z first meets the unit grid UG boundary line.

제2교차선(B)과 단위 그리드(UG) 경계선과의 제2교차점(X1, Y1)은 두 지점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3교차선(C)과 단위 그리드(UG) 경계선과의 제3교차점(X2, Y2), 제4교차선(D)과 단위 그리드(UG) 경계선과의 제4교차점(X3, Y3), 제5교차선(E)과 단위 그리드(UG) 경계선과의 제5교차점(X4, Y4) 그리고 제6교차선(F)과 단위 그리드(UG) 경계선과의 제6교차점(X5, Y5)은 각각 두 지점에 형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교차점을 둘러싸는 교차영역(미도시)이 설정될 수 있다. 교차영역은 영역의 경계선이 교차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정된다.The second intersection X1, Y1 between the second intersection line B and the boundary of the unit grid UG is formed at two points. Similarly, the third intersection points X2 and Y2 between the third intersection line C and the unit grid UG boundary line, the fourth intersection points X3 and Y3 between the fourth intersection line D and the unit grid UG boundary line, The fifth intersection points X4 and Y4 between the fifth intersection line E and the unit grid UG boundary line and the sixth intersection points X5 and Y5 between the sixth intersection line F and the unit grid UG boundary line, Are formed at two points, respectively. In this case, a crossing area (not shown) surrounding each intersection can be set. The crossing area is set such that the boundary line of the area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ntersection.

이때 도 10에서는 제1이동경로(점선)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특정 교차점(X1 내지 X5) 또는 교차영역을 통과하도록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이동경로는 정화차량(1)이 평균풍향에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제1이동경로의 설정에 의해 오염지역에서 정화물질이 전체 지역에 골고루 퍼져 정화효율이 상승한다.At this time, in FIG. 10, the first movement path (dotted line) is shown passing through the specific intersection X1 to X5 or the intersection area so as to be zigzag,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in various forms a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first movement route is set so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1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verage direction. By the setting of the first movement path, the purifying material spreads in the entire area evenly in the contaminated area, thereby increas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도 11에 제1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다른 예가 도시된다. 도 11에서 도시된 다른 예는 교차선이 5개라는 점과 풍향선(Z)이 단의 그리드 경계선에 수직이라는 점을 제외하고 도 10에서 도시된 일 예와 동일하다.Another example of setting the first movement route is shown in Fig.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11 is the same as the example shown in Fig. 10 except that there are five intersecting lines and that the yaw line Z is perpendicular to the grid boundary of the stage.

한편, 제2이동경로설정단계(S350)에서는 하기와 같이 경우를 나누어서 제2이동경로를 설정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movement path setting step (S350), the second movement path is set as follows.

우선,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과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이후의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상호 맞닿는 경우, 제2이동경로는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설정된다. 정화를 개시하기 전에 정화차량(1)이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 정화차량(1)이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으로 이동하여 다시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으로 진입함에 따라 정화 종료된 지역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First, when the clean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nd the clean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fter the cleaning are mutu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moving path is set to the clean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The purifying vehicle 1 is moved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next rank unit grid and then enters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purifying process is completed again Thereby preventing the contaminated area from being contaminated again.

한편,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과 상기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이후의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위치하는 경우, 제2이동경로는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과 상기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설정되지 않는다.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재 오염과 정화차량(1)이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진입함에 따라 추가로 오염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if at least on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is located betwee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purification is completed and the corresponding rank order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fter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purification is completed, Corresponding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nd the above-mentioned rank order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Pollution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where the purif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pollution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due to entry in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unit rank grid.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설정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정화차량(1)의 배출덕트(300)의 회전각도, 배출덕트(300)으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물질의 배출양 및 구성비율을 설정하여 오염물질을 정화는 정화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12, the rotation angle of the exhaust duct 300 of the purifier 1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set i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the rotation angle of the purg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exhaust duct 300, Set up to purify pollutants will explain the purification step.

정화단계에서는 정화차량(1)의 배출덕트(300)의 회전각도, 배출덕트(300)으로부터 배출되는 정화물질의 배출양 및 구성비율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1오염물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정보 및 오염감지센서(13)의 감지에 의해 취득하는 제2오염물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정보에 의해 설정된다.In the purifying step, the rotation angle of the exhaust duct 300 of the purification vehicle 1, the emission amount and composition ratio of the purification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exhaust duct 300, And secon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cond pollutant to be obtained by the detection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 [

여기서, 제1오염물질은 대기의 미세먼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오염물질은 PM 2.5 및 PM 10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미세먼지를 지칭한다.Here, the first pollutant includes atmospheric fine dust. Wherein the first pollutant refers to fine dus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PM 2.5 and PM 10.

제2오염물질은 대기의 미세먼지 이외의 대기의 오염물질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오염물질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오존(O3) 및 일산화탄소(CO) 중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The second pollutant includes atmospheric pollutants other than fine dust of the atmosphere. Here, the second pollutant refers to at least on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nitrogen oxides (NOx), sulfur oxides (SOx), ozone (O3), and carbon monoxide (CO).

한편, 배출덕트(300)의 회전각도는 배출덕트(300)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상하회전각도(도 2 참조)를 포함하며, 이러한 배출덕트(300)의 상하회전각도 및 정화물질의 구성비율은 제1오염물질량과 제2오염물질량의 구성비율에 의해 설정된다. 여기서 배출덕트(300)의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은 제2배출덕트(310)이 제1배출덕트(3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의미한다. The rotation angle of the exhaust duct 300 includes a vertical rotation angle (see FIG. 2) in which the exhaust duct 300 is set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ngle and the purifying material is set by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first contaminant mass and the second contaminant mass. Here,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exhaust duct 300 means that the second exhaust duct 310 rotat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exhaust duct 330.

배출덕트(300)의 상하회전각도 및 정화물질의 구성비율은 제1오염물질량과 제2오염물질량의 구성비율로부터 판단된 오염패턴에 따른다. The vertical rotation angle of the exhaust duct 300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urifying material depend on the contamination pattern judged from the constituent ratio of the first pollutant mass and the second pollutant mass.

제1오염물질량이 제2오염물질량보다 많은 경우 오염지역은 대기보다 바닥이 더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며, 그 역의 경우 오염지역은 대기가 바닥보다 더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며, 제1오염물질량과 제2오염물질량이 동일한 경우 오염지역은 대기와 바닥의 오염도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If the first contaminant mass is larger than the second contaminant mass,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minated area is more contaminated than the atmosphere. In the reverse case, the contaminated area is judged to be more contaminated than the floor, 2 If the pollutant mass is the same, it is judged that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polluted area is almost the same at the air and the ground.

따라서, 바닥이 대기보다 더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면, 배출덕트(300)은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지며, 배출되는 정화물질은 액체가 차지하는 액체부피비율이 기체가 차지하는 기체부피비율보다 더 크도록 설정된다.Therefore, if the bottom is judged to be more contaminated than the atmosphere, the exhaust duct 300 inclines downwardly, and the purifying material to be discharged is set so that the liquid volume fraction occupied by the liquid is larger than the gas volume fraction occupied by the gas.

대기가 바닥보다 더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면, 배출덕트(300)은 상향 경사지게 기울어지며, 배출되는 정화물질은 기체부피비율이 액체부피비율보다 더 크도록 설정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tmosphere is more contaminated than the floor, the discharge duct 300 is inclined upwardly and the purge material to be discharged is set such that the gas volume ratio is larger than the liquid volume ratio.

대기와 바닥이 동일한 정도로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면, 배출덕트(300)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배출되는 정화물질은 기체부피비율과 액체부피비율이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정화물질의 기체는 플라즈마이며, 액체는 노즐부(380)로부터 분사되는 물이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tmosphere and the floor are contaminated to the same degree, the discharge duct 300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and the discharged purge material is set so that the gas volume ratio and the liquid volume ratio are the same. Here, the gas of the purifying material is plasma, and the liquid is water sprayed from the nozzle portion 380.

한편, 정화차량(1)이 이동하는 동안에 배출덕트(300)은 평균풍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제어된다. 다시 말하면 정화차량(1)의 이동 중에 배출덕트(300)으로부터 정화물질이 배출되는 방향이 오염지역의 평균풍향과 동일하도록 배출덕트(300)이 제어된다. 이때 배출덕트(300)은 지면에 수평한 수평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배출덕트(300) 수평회전각도(도 4 참조)의 최대범위는 미리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purifier 1 is moving, the exhaust duct 300 is controlled to b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average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exhaust duct 300 is controlled such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rge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uct 300 during the movement of the purifier 1 is equal to the average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At this time, the discharge duct 300 rotates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o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maximum range of the horizontal rotation angle of the discharge duct 300 (see FIG. 4) is set in advance.

일 예로, 오염지역의 평균풍향과 이동경로간의 각도 차이와 각도 방향이 계산되면, 배출덕트(300)은 평균풍향에 나란히 배치된 경우이든 이동경로에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이든 해당 각도 차이만큼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각도 차이와 각도 방향이 계산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된다.For example, when the angular difference and the angular direction between the average wind direction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contaminated area are calculated, the exhaust duct 300 may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direction . The angular difference and the angular direction are calcul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이는 평균풍향에 반대방향으로 배출하는 등 평균풍향과 동일하지 않은 방향으로 정화물질이 배출되면, 정화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다만 정화차량(1)이 단위 그리드(UG)의 경계선에 인접하게 되면, 평균풍향과 동일하지 않더라고 단의 그리드 경계선 측으로 배출덕트(300)을 회전시켜 정화물질을 배출하여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is is because the purifying efficiency is reduced if the purifying material is discharged in a direction not equal to the average direction, such as discharg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verage direction. However, when the purification vehicle 1 is adjacent to the boundary of the unit grid UG, it is not equal to the average direction of the unit grid UG, and the discharge duct 300 is rotated to the side of the edge of the grid to discharge the purification material, .

정화물질의 배출양은 오염감지센서(13)로부터 취득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의 오염도에 대응하도록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마다 설정된다. 정화물질의 배출양은 송풍팬(160)의 회전량을 높이거나 플라즈마 생성장치(900)에서 생성되는 플라즈마의 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된다.The amount of the purge material is set for each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cquired from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 [ The purge material is discharg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blowing fan 160 or increasing the amount of plasma generated in the plasma generator 9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정화차량 300: 배출덕트
500: 지지부 700: 송풍유도덕트
900: 플라즈마 생성장치
1: purifier 300: exhaust duct
500: support part 700: blowing induction duct
900: Plasma generating device

Claims (9)

오염지역 내부에서 이동하고 정화물질을 배출하여 상기 오염지역 내부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염지역이 구획되도록 상기 오염지역 상에 그리드를 설정하는 그리드설정단계;
상기 그리드를 구성하는 단위 그리드에 대응하는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간의 정화순위를 설정하는 순위 설정단계;
외부로부터 상기 오염지역에 대한 풍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오염지역 내부에서 차량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이동경로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1. A method for purifying a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a malodor removing function of moving in a contaminated area and purifying pollutants in the polluted area by discharging purifying material,
A grid setting step of setting a grid on the contaminated area so that the contaminated area is partitioned;
A rank setting step of setting a rank of purification among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corresponding to the unit grid constituting the grid;
And a movement path setting step of receiving a wind direction information for the contaminated area from outside and setting a movement path for guiding movement of the vehicle in the contaminate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내부에서 차량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제1이동경로설정단계; 및
상호 인접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각각의 제1이동경로를 상호 연결하여 차량 이동을 안내하는 제2이동경로가 설정되는 제2이동경로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route setting step
A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of setting a first movement path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ithi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nd
And a second movement path setting step of setting a second movement path connecting the first movement paths of the mutually adjacent unit grid corresponding areas to each oth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Lt;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오염지역의 평균풍향에 나란하되 상기 단위 그리드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풍향선을 차량이 적어도 한 번 통과하도록 상기 제1이동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Wherein the first moving path is set so that the vehicle passes through a virtual wind direction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unit grid at least once in accordance with an average wind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How to clea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단위 그리드의 경계선과 소정의 교차선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 및 상기 교차점을 포함하는 소정의 교차영역을 설정한 후,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교차영역을 적어도 두 번 통과하도록 상기 제1이동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Setting a first movement path so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passes the intersection area at least twice after setting an intersection point where a boundary line of the unit grid intersects with a predetermined intersection line and a predetermined intersection area including the intersection point, And removing the malodor from the plasma clea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오염지역의 평균풍향에 수직이며 상기 단위 그리드 경계선과 교차하는 다수의 교차선을 상기 평균풍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각각 이격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상기 단위 그리드 경계선과 상기 교차선과의 교차점을 포함하는 교차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교차영역을 적어도 두 번 통과하도록 상기 제1이동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A plurality of intersecting lines perpendicular to the average wind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rea and intersecting the unit grid boundary line are sequential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average wind direction,
Setting an intersection area including an intersection of the unit grid boundary line and the intersection line,
Wherein the first movement path is set so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passes through the intersection area at least tw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교차선이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Wherein the plurality of intersecting lin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경로설정단계는
상기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상기 가상의 풍향선에 의해 제1구획영역과 제2구획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정화차량이 상기 제1 및 제2구획영역을 적어도 한 번 왕복하도록 상기 제1이동경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movement path setting step
Wherei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region is divided into a first division region and a second division region by the virtual wind direction line,
Wherein the first movement path is set so that the purification vehicle reciprocates at least once in the first and second compartment area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경로설정단계는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과 상기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이후의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상호 맞닿으면, 상기 제2이동경로가 상기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movement route setting step
When the clean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nd the clean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fter the cleaning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moving path is set in the cleaned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Wherein the plasma cleaner has an odor eliminating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경로설정단계는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과 상기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이후의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이 위치하면, 상기 제2이동경로가 정화가 종료된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과 상기 차 순위 단위 그리드 대응지역에 설정되지 않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기능을 가진 플라즈마 정화차량의 정화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movement route setting step
When at least on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is located between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whose purif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the differential rank unit corresponding to the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after the purification is completed, Is not set in the grid corresponding area and the above-mentioned rank order unit grid corresponding area.
KR1020180005517A 2018-01-16 2018-01-16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odor removal KR1019317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17A KR101931743B1 (en) 2018-01-16 2018-01-16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odor remov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517A KR101931743B1 (en) 2018-01-16 2018-01-16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odor remova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957A Division KR101964912B1 (en) 2018-12-11 2018-12-11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steralization and ultra fine dust remov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743B1 true KR101931743B1 (en) 2019-03-20

Family

ID=6603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517A KR101931743B1 (en) 2018-01-16 2018-01-16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odor remov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74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3245B2 (en) * 2001-10-19 2007-04-11 富士通株式会社 Simulated training system for occurrence of harmful pollution
KR100771985B1 (en) * 2006-05-04 2007-10-31 강명수 Movable and installable type control tower
KR20090121805A (en) * 2008-05-23 2009-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 in car
KR20100110817A (en) * 2007-12-31 2010-10-13 시리트 엘엘씨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difying vehicle operations
KR20100116897A (en) * 2009-04-23 2010-11-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environment utilizing realtime data of road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environment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3245B2 (en) * 2001-10-19 2007-04-11 富士通株式会社 Simulated training system for occurrence of harmful pollution
KR100771985B1 (en) * 2006-05-04 2007-10-31 강명수 Movable and installable type control tower
KR20100110817A (en) * 2007-12-31 2010-10-13 시리트 엘엘씨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difying vehicle operations
KR20090121805A (en) * 2008-05-23 2009-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 in car
KR20100116897A (en) * 2009-04-23 2010-11-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environment utilizing realtime data of road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environment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425B1 (en)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using iot technology
Carotenuto et al. Wet electrostatic scrubbers for the abatement of submicronic particulate
US20090151568A1 (en) Space efficient hybrid collector
KR101939691B1 (en)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steralization and fine dust removal
CN202497789U (en) PM2.5 integrated air purifying treatment device
WO2020058547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20200107116A (en) Interior ventilation system with improved removal performance of harmful substances
KR20210081600A (en) AI System Air cleaner to control indoor air quality(IAQ) of electric railcar inside and platform and underground tunnel in subway
Augustine Impact of air pollution on the environment in Port Harcourt, Nigeria
KR102159452B1 (en) Apparatus for reducing fine dust
HUT77994A (en) Method and mobile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polluted air
Gulia et al. Review of scientific technology-based solutions for vehicular pollution control
KR101985426B1 (en) Plasma purification vehicle
ES2244265B1 (en) COMBINED SYSTEM FOR THE ELIMINATION OF POLLUTANTS FROM GASEOUS EFFLUENTS.
KR101952121B1 (en)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dust collecting and dust filtering of fine dust
KR101964912B1 (en)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air steralization and ultra fine dust removal
KR101931743B1 (en) Cleaning method of plasma purification vehicle having function of odor removal
CN106268298A (en) The combined treatment device of industrial fumes waste gas
KR20200056144A (en) Space-separated bus stops containing fine dust abatement systems
CN102080558A (en) Purification and exhaust method for road tunnel without air shaft
Tiwari et al. Morphology and health risk assessment of potential toxic elements in size segregated PM at traffic intersection in Northern India
Sivaramanan Air Pollution sources, pollutants and mitigation measures
CN205560805U (en) A clarification plant that discharges fume for power plant
CN205868003U (en) Combination formula processing apparatus of industrial fumes waste gas
KR102161633B1 (en) A dust reduc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