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490B1 - 비상용 침낭 - Google Patents

비상용 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490B1
KR101931490B1 KR1020160105823A KR20160105823A KR101931490B1 KR 101931490 B1 KR101931490 B1 KR 101931490B1 KR 1020160105823 A KR1020160105823 A KR 1020160105823A KR 20160105823 A KR20160105823 A KR 20160105823A KR 101931490 B1 KR101931490 B1 KR 10193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ing bag
emergency
lower sheets
ai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836A (ko
Inventor
윤형빈
Original Assignee
윤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빈 filed Critical 윤형빈
Priority to KR102016010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4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6Sleeping bags for outdoor sl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3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with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영이나 캠핑시 지열 및 수분 차단기능을 갖춘 취침용 침낭을 제공하고, 위급상황이나 긴급상황 발생시 인명 구조용 구명 튜브로 사용할 수 있는 비상용 침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용 침낭{EMERGENCY SLEEPING BAG}
본 발명은 등산, 낚시와 같이 야외에서 활동(이하 "야영"이라 함)하면서 숙박을 해결하기 위한 취침용 침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의 수분이나 지열을 차단하고 신체의 체온을 보온할 수 있고, 위급 또는 긴급상황 발생시 인명 구조장비로 활용할 수 있는 비상용 침낭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침낭은 등산 또는 낚시와 같이 야외에서 활동하면서 숙박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솜이나 새털과 같은 보온재가 충진되어 체온을 보온함으로써 효과적인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해준다.
통상적인 침낭은 보편적으로 기온이 떨어지는 시기나 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야영문화가 계절에 관계없이 보편화되면서 야영장비도 간소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의 변화에 따라 본 발명자는 보온재를 생략한 일회용 침낭(등록특허 제10-1528979호)을 제안한 바 있다.
전술한 일외용 침낭은 실외 또는 야외에서 취침시 신체를 보온할 수 있는 침낭을 제공함에 있어 내면에 에어층을 미리 마련함으로써 단열 및 보온성을 확보하고, 가벼우며 쉽게 찢기지 않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일회용 침낭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일회용 침낭은 단열재 쉬트의 내부에 상하좌우로 연속해서 캡슐형 에어포켓이 배치되어 있어 에어포켓이 지닌 부피로 인해 침낭 보관과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고, 또한 침낭 제조시 캡슐형 에어포켓이 쉽게 손상되면서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망사형 심재에 의해 침낭이 쉽게 늘어나거나 찢기지 않는 잇점이 있는 반면에 침낭 제조가 까다롭고 비용이 증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침낭 사용시 침낭속으로 에어를 주입하였을 때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침낭 제조 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침낭의 부피를 줄이고, 수분과 지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체온을 보온할 수 있으며, 위급 혹은 긴급상황 발생시 인명 구조장비로 활용할 수 있는 비상용 침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침낭에 있어서,
각각 2겹의 폴리에틸렌재질로 이루어진 상/하부 쉬트의 가장자리 테두리 중 일측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를 봉합하여 형성되는 출입구를 포함하는 포켓과;
상기 상/하부 쉬트 각각에는 내측으로 공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초음파 융착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팽창 포켓과;
상기 상/하부 쉬트의 양 모서리에 상/하부 쉬트의 내부와 연통되게끔 결합되는 자동에어충진장치로 구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비상용 침낭은 2겹으로 이루어진 양 상/하부 쉬트 내측에 마련되는 저장공기층에 의해 수분 차단과 단열효과를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침낭은 상/하부 쉬트에 마련된 팽창포켓은 팽창포켓을 형성하는 봉합선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하부 쉬트의 표면에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진 은박을 피복(코팅)함으로써 태양열과 자외선 반사나 수분이나 지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한 것에 특징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침낭의 출입구 둘레에 조임끈을 결합하여 출입구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취침시 포켓내측으로 바람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낭은 하부 쉬트의 길이는 상부 쉬트보다 더 길게 연장하여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덮개로서의 기능과 침낭 베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침낭은 사용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에어층이 형성되므로 종래의 침낭과 같이 캡슐형 에어포켓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침낭 제조시 불량이 발생되는 일이 없고, 캡슐형 에어포켓에 상응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침낭의 보관이나 휴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쉬트내의 에어층에 의해서 침낭의 단열, 보온, 수분 차단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간절기에 침낭으로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고, 또한 물놀이 용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 긴급상황 발생시 인명 구조장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가 쉽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면서 저렴한 일회용 침낭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침낭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낭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침낭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침낭(100)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낭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비상용 침낭(100)은 출입구(103)가 마련된 포켓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하부 쉬트(100a)(100b)는 각각 2겹의 폴리에틸렌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양 쉬트(100a)(100b)를 중첩시킨 뒤 테두리면를 초음파 융착기(도면에는 미도시)로 융착하여 봉합함으로써 상/하부 쉬트(100a)(100b) 사이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포켓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의 출입구(103)의 주연부에는 그 둘레에 출입구(10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임끈(104)이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상/하부 쉬트(100a)(100b)는 그 표면에 초음파 융착기의 융착에 의해 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획되는 팽창포켓(101)들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L1는 침낭(10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부 쉬트(100a)(100b)의 중앙을 초음파 융착기로 융착시킨 봉합선이고, 도면부호 L2는 독립된 팽창포켓(101)를 구획하는 봉합선이며, 도면부호 L3는 침낭(100)의 테두리를 봉합하는 봉합선이고 L4는 후술하는 덮개에 마련된 봉합선이다.
한편, 상기한 상/하부 쉬트(100a)(100b)는 길이가 서로 동일해도 무방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쉬트(100a)의 출입구(103)를 가릴 수 있도록 하부 쉬트(100b)를 상부 쉬트보다 길게 연장하여 덮개(102)가 일체형으로 갖추어져 있는 구성이다.
상기 덮개(102)는 출입구(103)속으로 이물질이나 해충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침시 얼굴을 덮을 수 있는 기능 내지 역할을 하는 것이고, 또 침낭(100) 사용시 상/하부 쉬트(100a)(100b)속으로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덮개(102)를 베개로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상부/하부 쉬트(100b)의 표면에는 알루미늄재의 은박(도면에는 미도시)이 피복되어 있다. 은박에 의해 상기 침낭(100)은 지면의 수분을 차단할 수 있고 상부 쉬트의 경우에는 태양열 내지 자외선을 반사 할 수 있다.
전술한 상/하부 쉬트(100a)(100b)의 양 모서리부분 즉, 출입구(103)의 타측 모서리에는 상/하부 쉬트(100a)(100b)와 각각 연통되도록 에어자동충진장치(110)가 각각 결합되어 있어 팽창포켓내의 공기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에어자동충진장치(110)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에어자동충진장치(110) 대용으로, 마개를 구비한 에어 주입구(물놀이용 튜브에 부착된 것, 도면에는 미도시)를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 침낭(100)속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데 좀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전술한 상부 쉬트(100a)에는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인쇄물을 인쇄한 침낭(1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부 쉬트 표면에 캡슐형 에어포켓(종래 침낭)을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않으므로, 침낭(100) 제조시 불량이 발생되는 일이 없고, 또한 캡슐형 에어포켓이 지닌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침낭(100)을 사용할 때, 팽창포켓 내의 공기층에 의해 단열과 수분을 차단하는 효과를 할 수 있고, 신체의 체온을 보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급 혹은 긴급상황 발생시 인명 구조장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덮개가 일체형으로 갖추어져 있어 별도로 제작하거나 준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제작이 용이한 제품인 것이다.
100: 침낭
101: 팽창 포켓
102: 덮개
103: 출입구
104: 조임끈
110: 자동에어충진장치
L1~L4: 봉합선

Claims (2)

  1. 각각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상/하부 쉬트(100a)(100b)의 가장자리 테두리 중 출입구(103)가 형성되는 일측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을 봉합하여 출입구가 형성되게 제작된 통상적인 침낭에 있어서,
    본 발명의 비상용 침낭의 구성은,
    상기 상/하부쉬트(100a)(100b)는 각각 2겹의 폴리에틸렌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2겹의 폴리에틸렌재질내측 사이에는 공지의 초음파융착에 의해 형성되는 봉합선(L1~L4)에 의해 공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팽창포켓(101)이 구획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 쉬트(100b)에는 덮개(102)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덮개는 상기 출입구를 가릴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쉬트(100a)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시켜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103)에는 조임끈(104)이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 쉬트의 양 모서리에 상/하부 쉬트의 내부와 통해지도록 각각의 공지된 자동에어충진장치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침낭.
  2. 삭제
KR1020160105823A 2016-08-19 2016-08-19 비상용 침낭 KR10193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23A KR101931490B1 (ko) 2016-08-19 2016-08-19 비상용 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23A KR101931490B1 (ko) 2016-08-19 2016-08-19 비상용 침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836A KR20180020836A (ko) 2018-02-28
KR101931490B1 true KR101931490B1 (ko) 2018-12-24

Family

ID=6140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823A KR101931490B1 (ko) 2016-08-19 2016-08-19 비상용 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4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836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8296A (en) Hypothermia protection suit collapsible into compact package for storage
ES2283882T3 (es) Bolsas acoplables.
ES2300906T3 (es) Ayuda de flotacion.
ES2240276T3 (es) Bolsa de pliegues laterales, hecha de un material flexible soldable.
US3951160A (en) Ball umbrella
ES2281019T3 (es) Bolsa con banda elastica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US4658452A (en) Sportsman's pad
US3676879A (en) Hood
KR101931490B1 (ko) 비상용 침낭
ES2737996T3 (es) Cobertura para la cabeza
US200800470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sulated sleeping chamber
JP2014209956A (ja) 防災頭巾兼用カバン
KR100800525B1 (ko) 커버
KR200487571Y1 (ko) 내부 공기 배출 구조를 갖는 침낭
JP6786852B2 (ja) パウチ
CN106986102A (zh) 热熔密封充气防震包装袋的制作方法及一种热熔密封充气防震包装袋
KR100923783B1 (ko) 재난구호용 키트
KR200456274Y1 (ko)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휴대용 보관 용기
JP2005082096A (ja) レーダー波反射器具
CN103054673A (zh) 一种软体担架式保温袋
US20200199899A1 (en) Thermal insulating structure for above-ground pool and above-ground pool
CN210284559U (zh) 一种具有快速充气功能的救生腰包
CN205972397U (zh) 复合保温隔层、保温套及保温笼车
US611829A (en) Thirds to leonid as westervelt and george trotter
KR101528979B1 (ko) 일회용 침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