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104B1 -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104B1
KR101931104B1 KR1020170102245A KR20170102245A KR101931104B1 KR 101931104 B1 KR101931104 B1 KR 101931104B1 KR 1020170102245 A KR1020170102245 A KR 1020170102245A KR 20170102245 A KR20170102245 A KR 20170102245A KR 101931104 B1 KR101931104 B1 KR 10193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roscope
handle
delete delete
grip
rota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환
Original Assignee
황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환 filed Critical 황주환
Priority to KR102017010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하여 누구나 손쉽게 다양한 형태로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이로스코프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 그 이상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중심축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Gyroscopic type exerciser}
본 발명은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하여 누구나 손쉽게 다양한 형태로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이로스코프이 원리를 이용하여 운동을 행할 수 있게 구성된 종래의 운동장치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1845호, 제10-1635781호, 제10-1701222호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선행기술들은 손목을 단련하기 위한 운동구 형태로서 다른 신체부위에 대한 운동은 거의 불가능하고 사용상 제약이 뒤따르게 되어 전신을 대상으로 하는 운동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87660호의 자이로스코프 전신운동구가 공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엔 양 손으로 잡고 전신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손을 잡는 손잡이가 고정된 한 위치에서만 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하기엔 한계가 있다.
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1845호(공고일자: 2015.03.12.), 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35781호(공고일자: 2016. 07. 22.), 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01222호(공고일자: 2017.01.24.), 4.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87660호(공개일자: 2008.10.01.) 5.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5/0101454호 (공개일자: 2005.05.12.) 6.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087414호(공고일자: 2002.05.15.) 7.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88117호(공개일자: 2000.10.17.) 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543호(공고일자: 2003.02.26.)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이로스코프의 원리를 이용하되, 손잡이를 다양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이로스코프의 구성이나 손잡이의 구성을 납짝하게 구성하여 장치가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줄여서 휴대가 용이하고 운동시에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양측에 자이로스코프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되, 회전중심축 방향과 손잡이의 설치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운동토르크 변화가 손잡이에 가해지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이로스코프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 그 이상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중심축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중심축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중심축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중심축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구성하되, 회전중심축의 위치와 손잡이의 설치방향을 서로 달리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가 가요성 손잡이로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자이로스코프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중간에 가요성 연결부를 구성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와 상기 가요성 연결부는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고정형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고정형으로 이루어지되, 길게 연장부를 갖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각도 변위가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중심축과 같은 위치 및 방향으로 별도의 손잡이를 더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자이로스코프의 원리를 이용하되, 손잡이를 다양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자이로스코프의 구성이나 손잡이의 구성을 납짝하게 구성하여 장치가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줄여서 휴대가 용이하고 운동시에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손잡이의 양측에 자이로스코프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되, 회전중심축 방향과 손잡이의 설치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운동부하의 변화가 손잡이에 가해지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예로서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예시도,
도 3은 도 1의 일부 생략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다른 작동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평면 예시도,
도 8은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 일부를 변형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1에 도시한 예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자이로스코프(1)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 그 이상 위치에 손잡이(2)를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2)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중심축(10)의 축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자이로스코프(1)에 있어서 회전중심축(10)의 축방향과 손잡이(2)의 설치방향이 동일하게 되면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체(12)에 의한 원심방향 부하가 그대로 손잡이(2)에도 동일하게 운동부하로 전달되어서 운동의 효과가 제한될 수 밖에 없게 되지만, 자이로스코프(1)에 있어서 회전중심축(10)의 축방향과 손잡이(2)의 설치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되면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체(12)에 의한 원심방향 부하가 그대로 손잡이(2)에 전달되는게 아니라 손잡이(2)에 의한 자이로스코프(1)의 위치변위에 따라 불규칙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운동하는 사람은 이러한 불균형 현상에 대하여 균형을 잡고자 손잡이(2)에 힘을 가하여야 하는 반작용이 크게 작용하게 되고, 결국 운동부하가 증대되면서 그 운동부하는 운동하는 사람의 전신으로 전달되어 운동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게 되는 점을 적극 활용하고자 함이다.
그 중, 상기 손잡이(2)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1)에 있어서 회전중심축(10)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서 손잡이(2)의 설치방향과 회전중심축(10)의 축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하게 되면,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체(12)에 의한 원심방향 부하가 그대로 손잡이(2)에 전달되는게 아니라 순간적으로 전,후, 좌, 우 방향 등 수시로 변화하면서 손잡이(2)와 함께 자이로스코프(1)의 위치를 변위시킴에 따라 더 더욱 불규칙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운동하는 사람은 이에 대하여 균형을 잡고자 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반작용이 크게 작용하게 되고, 결국 운동부하가 증대되면서 운동하는 사람의 전신으로 전달되어 운동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위에서 설명한 사항은 상기 손잡이(2)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1)에 있어서 회전중심축(10)이 서로 일치하지 않은 일례로서 손잡이(2)의 설치방향과 회전중심축(10)의 축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에도 손잡이(2)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1)에 있어서 회전중심축(10)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여러 경우가 있을 수 있겠으나, 예를 들면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중심축(10)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구성하되, 회전중심축(10)의 위치와 손잡이(2)의 설치방향을 서로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서로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겠으나 상호간 유사한 작용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이로스코프(1)는 외측 케이싱(16)의 내측에 회전중심축(10)을 갖는 회전체(12)를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전체적으로 납짝하게 구성하여 휴대시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적게 하여 휴대가 편리하게 구성하고 외측엔 외부 안전과 내부 보호를 위한 투명커버(14)를 설치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회전체(12)의 구동원은 모터에 의한 구동방식이나 아니면 수동에 의한 구동방식 모두 채택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손잡이(2)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요성 손잡이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손잡이(2)를 잡고 운동하게 되는 경우 자이로스코프(1)와 손잡이(2) 사이에 변위가 발생하거나 아니면 자이로스코프(1)와 손잡이(2)의 결합체가 운동시 움직이는 변위에 제한을 가하여 운동에 변화를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자이로스코프(1)(1)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엔 중앙의 손잡이(2)를 중심으로 양측의 자이로스코프(1)(1)가 양 방향으로 동시에 운동부하가 작용하게 되므로 한쪽 손이나 양쪽 손으로 손잡이(2)를 잡고 운동하게 되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2)는 중간에 가요성 연결부(3)를 설치하여 구성하게 되면, 도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 손잡이(2)를 양쪽 손으로 각각 잡고 벌렸다 오무렸다 하는 반복 동작이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위스팅(twisting) 하는 반복 동작 등 다양한 형태의 운동 동작이 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와 상기 가요성 연결부(3)는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부(3)를 분리하게 되면 자이로스코프(1)와 손잡이(2) 만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 즉, 자이로스코프(1)와 손잡이(2)가 고정형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엔 컴팩트하게 손잡이(2)를 잡고 자이로스코프(1)에 의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이로스코프(1)와 고정 결합되는 손잡이(2)의 대향측에 별도의 손잡이(2')를 더 설치하여 자이로스코프(1)를 중심으로 손잡이(2)와 손잡이(2')를 각각 양 손으로 잡고 자이로스코프(1)에 의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는 고정형으로 이루어지되, 길게 연장되게 연장부(20)를 갖도록 구성하여 상기 연장부(20)의 끝부분을 바닥에 위치하도록 세워 놓은 상태에서 손잡이(2)를 잡고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적은 힘으로도 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운동하는 사람이 노약자 등을 대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이외에도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2')는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중심축(10)을 중심으로 각도 변위가 가능하게 양측에 동시에 구성하되, 각각의 손잡이(2)(2')는 예를 들면 회전중심축(10)의 외측으로 별도의 힌지축(22)을 구성하고 상기 힌지축(22)에 손잡이(2)의 U자 프레임(24) 끝부분을 결합하여 힌지축(22)을 중심으로 각도 변위가 가능하게 구성하여 각도 변위에 따라 자이로스코프(1)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2') 이외에 별도로 손잡이(2")를 더 설치하되,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중심축(10)과 같은 위치로서 회전중심축(10)과 동일한 방향으로도 별도의 손잡이(2")를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힌지축(22)을 이용하여 별도의 손잡이(2")를 더 설치하여 이들 손잡이(2")를 이용하여 자이로스코프(1)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이로스코프(1)에 의한 원리를 이용하되, 손잡이(2)(2')(2")를 다양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자이로스코프(1)의 구성이나 손잡이(2)의 구성을 납짝하게 구성하여 장치가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줄여서 휴대가 용이하고 운동시에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손잡이(2)의 양측에 자이로스코프(1)(1)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되, 회전중심축(10)의 축방향과 손잡이(1)의 설치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구성하게 되는 경우엔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운동부하의 변화가 손잡이(2)에 가해지는 반작용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1; 자이로스코프, 2, 2', 2": 손잡이,
3: 가요성 연결부, 10: 회전중심축,
12: 회전체, 14: 투명커버,
16: 케이싱, 20: 연장부,
22: 힌지축, 24: U자 프레임

Claims (14)

  1. 자이로스코프(1)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 그 이상 위치에 손잡이(2)를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2)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중심축(10)의 축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구성하되,
    상기 자이로스코프(1)는 외측 케이싱(16)의 내측에 회전중심축(10)을 갖는 회전체(12)를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전체적으로 납짝하게 구성하여 휴대시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적게 하여 휴대가 편리하게 구성하고, 외측엔 외부 안전과 내부 보호를 위한 투명커버(1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2)는 고정형으로 이루어지되, 길게 연장되게 연장부(20)를 갖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2. 삭제
  3. 자이로스코프(1)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 그 이상 위치에 손잡이(2)를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2)의 설치방향과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중심축(10)의 축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구성하되,
    상기 자이로스코프(1)는 외측 케이싱(16)의 내측에 회전중심축(10)을 갖는 회전체(12)를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전체적으로 납짝하게 구성하여 휴대시 차지하게 되는 공간을 적게 하여 휴대가 편리하게 구성하고, 외측엔 외부 안전과 내부 보호를 위한 투명커버(1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자이로스코프(1)와 고정 결합되는 손잡이(2)의 대향측에 별도의 손잡이(2')를 더 설치하여 자이로스코프(1)를 중심으로 손잡이(2)와 손잡이(2')를 각각 양 손으로 잡고 자이로스코프(1)에 의한 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2)(2')는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중심축(10)을 중심으로 각도 변위가 가능하게 양측에 동시에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2)(2')는 상기 회전중심축(10)의 외측으로 별도의 힌지축(22)을 구성하고, 상기 힌지축(22)에 상기 손잡이(2)의 U자 프레임(24) 끝부분을 결합하여 힌지축(22)을 중심으로 각도 변위가 가능하게 구성하여 각도 변위에 따라 자이로스코프(1)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2') 이외에 별도로 손잡이(2")를 더 설치하되,
    상기 자이로스코프(1)의 회전중심축(10)과 같은 위치로서 회전중심축(10)과 동일한 방향으로도 별도의 손잡이(2')를 더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KR1020170102245A 2017-08-11 2017-08-11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KR10193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45A KR101931104B1 (ko) 2017-08-11 2017-08-11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45A KR101931104B1 (ko) 2017-08-11 2017-08-11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104B1 true KR101931104B1 (ko) 2018-12-20

Family

ID=6495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245A KR101931104B1 (ko) 2017-08-11 2017-08-11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1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414B2 (ja) * 1992-02-05 2000-09-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ータ出力装置
JP2000288117A (ja) * 1999-04-05 2000-10-17 Mitsubishi Precision Co Ltd 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305543Y1 (ko) * 2002-01-11 2003-02-26 짜오-씽 차이 관성을 이용한 손잡이조절식 수동 운동기구
US20050101454A1 (en) * 2003-10-24 2005-05-12 Dworzan William S. Handheld gyroscopic exercis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7414B2 (ja) * 1992-02-05 2000-09-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ータ出力装置
JP2000288117A (ja) * 1999-04-05 2000-10-17 Mitsubishi Precision Co Ltd 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305543Y1 (ko) * 2002-01-11 2003-02-26 짜오-씽 차이 관성을 이용한 손잡이조절식 수동 운동기구
US20050101454A1 (en) * 2003-10-24 2005-05-12 Dworzan William S. Handheld gyroscopic exercis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7040Y1 (ko) 실내운동용 흔들자전거
JP3935144B2 (ja) 衝突試験用模擬人体の腕機構
KR100955892B1 (ko) 복합 구동 자전거
US4505267A (en) Portable massaging device
WO2018040672A1 (zh) 一种遥控器及其摇杆装置
JP2016123851A (ja) マッサージ装置
US20130274077A1 (en) Motion mechanism in a weight device
KR101931104B1 (ko) 자이로스코프 운동장치
KR200305543Y1 (ko) 관성을 이용한 손잡이조절식 수동 운동기구
KR102151767B1 (ko) 플라이휠을 이용한 상지운동기구
KR101967210B1 (ko) 전환 가능한 구조를 갖는 보행 보조기
KR101904990B1 (ko) 재활로봇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재활로봇
KR102068013B1 (ko) 자석을 구비한 손목단련 운동구
KR101891723B1 (ko) 운동기구
JP2016007493A (ja) マッサージ機
WO2016104021A1 (ja) マッサージ装置
CN209092049U (zh) 一种摇摆机
KR100549296B1 (ko) 근력강화용 전신운동 장치
KR101066893B1 (ko) 마사지기용 구동장치
KR20210054837A (ko) 이동 로봇용 2중 플리퍼 및 이를 가지는 이동 로봇
US9072651B1 (en) Personal apparatus for sexual stimulation
CN213100796U (zh) 便于握持的游戏方向盘
KR200444614Y1 (ko) 세차운동 실험기구
US20030190999A1 (en) Swingable exercising device
JP3221974U (ja) 手回しオルゴ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