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529B1 - 광액세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액세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529B1
KR101930529B1 KR1020137018041A KR20137018041A KR101930529B1 KR 101930529 B1 KR101930529 B1 KR 101930529B1 KR 1020137018041 A KR1020137018041 A KR 1020137018041A KR 20137018041 A KR20137018041 A KR 20137018041A KR 101930529 B1 KR101930529 B1 KR 101930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line
optical path
receiving st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017A (ko
Inventor
토시아키 쿠리
Original Assignee
고쿠리쯔겡큐가이하쯔호진 죠호쯔신겡큐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쯔겡큐가이하쯔호진 죠호쯔신겡큐기코 filed Critical 고쿠리쯔겡큐가이하쯔호진 죠호쯔신겡큐기코
Publication of KR2013013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15Architecture aspects
    • H04J14/0217Multi-degree architectures, e.g. having a connection degree greater than tw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4WDM mesh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H04L12/2879Access multiplexer, e.g. DSLA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type on the uplink side, i.e. towards the service provider network
    • H04L12/2885Arrangements interfacing with opt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가입자 단말 혹은 종단 장치의 접속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가입자 단말 혹은 종단 장치끼리를 전용회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광액세스 시스템을 실현한다.
복수의 수용국이 접속된 네트워크로, 수용국은, 복수의 광회선 종단 장치와 광로 선택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모두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가, 싱글 스타형 광로로 접속되고, 수용국의 상기 광회선 종단 장치와 상기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와는, 광로 선택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는 광네트워크로서, 가입자측의 광단말이나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수용국(X)의 광회선 종단 장치(B)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하고, 또한, 다른 수용국(Y)의 광회선 종단 장치(C)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수용국(X)의 광로 선택 수단, 상기 네트워크, 상기 수용국(Y)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한다.

Description

광액세스 시스템{OPTICAL ACCESS SYSTEM}
본 발명은, 광네트워크이면서, 가입자 단말 혹은 종단(終端) 장치끼리의 통신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전용회선을 구성할 수 있는 광액세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네트워크로서, 수용국(收容局)으로부터 가입자 단말까지의 액세스망의 네트워크로서는, 다음과 같이 점유형과 공유형이 알려져 있다.
(1) 점유형
수용국으로부터 가입자 단말까지 전용의 광케이블로 연결한다.
(2) 공유형
수용국으로부터 분기점(分岐點)까지는 전용의 광케이블로 연결하고, 그 분기점으로부터 복수의 가입자 단말까지는, 각각의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능동 소자를 이용하는 것과 수동 소자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2a) AON(Active Optical Network)
상기의 분기점에서는, 능동 소자로 분기시키는 것으로, 전송 내용에 따라 어느 가입자 단말로 분기할 것인지를 구별한다.
2b) PON(Passive Optical Network)
상기의 분기점에서는, 수동 소자인 스플리터로 전송 광을 단지 분기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다음의 것이 있다.
2b1) A-PON
프로토콜로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을 이용한 것.
2b2) B-PON
파장 분할 다중(WDM)을 이용한 것.
2b3) E-PON
프로토콜로서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을 이용한 것.
상기의 예 중에서, 점유형은, 가입자에게 있어서 가장 자유도나 안전성이 높고, 가장 바람직하지만, 공유형에 비해 광배선 설비가 소규모로 족하기 때문에, 공유형이 자주 사용된다. 또 공유형 중, AON은 능동 소자가 분산 설치되어, 유지 관리에 수고가 들기 때문에, PON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PON(Passive Optical Network)에서는, 수용국으로부터 복수의 가입자 단말까지, 물리적으로 광 전송로를 공유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 공유 부분에 있어서의 액세스 제어가 필수이며, 광 전송로를 강요하기 위한 룰이 되는 표준화가 필요하는 등, 점유형에 비해, 그 광 전송로의 이용에 제한이 많다. 또, 스플리터의 분기 특성에 의해, 분기 손실이 분기수와 함께 증대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게다가 스플리터로 단지 분기하고 있기 때문에, 다운링크(down-link)의 광신호는, 동일 스플리터 산하의 가입자 모두에 대해서 전달(delivery)되어 버린다. 이러한 전달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안전성에 개선 여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플리터 산하의 가입자에게의 전달에 있어서의 논리적 분리나 각 가입자로의 회선의 감시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덧붙여, 액세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자원, 즉 보틀넥 부분의 통신용량에 대해서는, 고정된 패시브 시스템때문에, 장래의 가입자 증가를 향한 수요와 공급에 유연하게 응답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광액세스 시스템에서는, 광네트워크에 있어서의 광로의 전환을 행하지만, 복수의 네트워크를 광신호인 상태로 접속을 전환할 수 있는 광노드 및 광분기 삽입 장치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적어도 2 회선의 광전송로에 의해 각각이 구성되어 있는 링망(A, B)의 교차 부분에 배치되어, 복수의 링망 (A, B)을 서로 광접속하는 광노드로서, 복수의 링망(A, B)을, 복수의 회선을 전환하여 광접속하는 광크로스커넥트 스위치부와, 광크로스커넥트 스위치부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광액세스 시스템에서는, 파장 다중 광네트워크이기도 하지만, 파장 다중 광네트워크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의 개시가 있다. 이것은,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대용량 광액세스 서비스를 행할 수가 있는 파장 다중 광네트워크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복수의 계층화된 구조를 가지는 광네트워크에 있어서, 최상위의 네트워크는, 센터 노드와 리모트 노드를 가지는 링 네트워크이며, 중간의 네트워크는, 그 상위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노드를 센터 노드로 하는 링 구성이며, 최하위의 네트워크는, 복수의 ONU(광서비스 유니트)로부터의 트래픽을 집약하는 수용국을 중심으로 하여, 각 ONU와 수용국의 사이를 각각 광파이버로 직접 연결하는 스타 네트워크이며, 최상위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센터 노드와 각 ONU가 각각 파장이 다른 광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이 양자의 사이에 개재하는 노드에 있어서는, 전기적 처리를 행하지 않고 광신호인 상태로 증폭과 분기 또는 라우팅을 행하는 것이다.
일본 특개 2006-191212호 공보 일본 특개 2001-313660호 공보
광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가입자 단말의 접속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가입자 단말 혹은 종단 장치끼리를 광영역의 전용회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종래의 광네트워크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입자 단말 혹은 종단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광로를 점유하며, 가입자 단말 혹은 종단 장치끼리를 전용회선으로 연결할 수가 있는 광액세스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액세스 시스템은, 복수의 수용국이 광로로 접속되어 네트워크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국은, 복수의 광회선 종단 장치와 광로 선택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국에는, 모두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가 접속되며, 상기 수용국과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상기 광회선 종단 장치와는 광로로 접속되고, 상기 수용국의 상기 광회선 종단 장치와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와는, 상기 광로 선택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제어장치로 제어되는 광네트워크로서,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수용국의 광회선 종단 장치(B)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하고,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수용국(X)에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수용국(Y)의 광회선 종단 장치(C)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X)의 광로 선택 수단, 상기 네트워크, 상기 수용국(Y)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하며,
상기 전용 광로가 복수 있는 경우에, 그들은, 분리되어 서로 독립이다.
또,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접속하는 수용국에 접속된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D)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하고,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접속하는 수용국(X)에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수용국(Y)에 접속하는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E)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X)의 광로 선택 수단, 상기 네트워크, 및 상기 수용국(Y)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하는 것이다.
상기 광로 선택 수단은, 광로를 전환하기 위한 광스위치를 이용한 광교환기, 광로를 분리하기 위한 광로 분기기, 혹은, 광 빔 스플리터이다.
상기 수용국에는,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의 복수가 접속하는 것이며, 그 접속은 싱글 스타형 광로에 의하는 것이다.
상기 수용국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에 추가하여 그 외의 네트워크도 커버하는 코어 네트워크에, 광로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메쉬(mesh)형, 다중 링형, 혹은, 상기 메쉬형에 있어서의 한 쌍의 수용국 사이가 복수의 광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단, 여기서 말하는, 「메쉬형」이란 특수한 케이스로서, 싱글 링형, 스타형, 트리형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광로는, 각각 분리 가능한 채널이 다중화된 것으로서,
상기 광로 선택 수단은, 복수의 광신호를 입력하고, 분할 다중 가능한 광채널 성분으로 분리하여, 상기 광채널 성분을, 교환 혹은 복제한 후, 재(再)다중하여 얻어지는 새로운 복수의 광신호를 동적으로 출력처(出力先)에 할당하는 동적 광채널 할당 장치이다.
상기 채널의 다중화는, 파장 분할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간 분할 다중화, 편파(偏波) 분할 다중화, 전파(傳搬)경로 분할 다중화, 부호 분할 다중화, 혹은, 직교 함수계를 이용하여 2차 변조함으로써 다중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분할 다중화의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상기 어느 분할 다중화의 조합이다.
또, 상기 광로는, 광파이버 전송로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광로는, 광파이버 전송로, 혹은, 광공간 전송로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채널의 다중화에 있어서, 개개의 분리 가능한 채널의 적어도 1개에 대하여, 적어도 1개의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에 있어서, 개개의 파장의 적어도 1개의 파장에 대하여, 적어도 1개의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논리 네트워크는, 상기 수용국의 광회선 종단 장치,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로 종단 장치가 논리적으로 독립인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수용국의 광회선 종단 장치를 논리적으로 분리한 부분,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의 일부를 논리적으로 분리한 부분,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로 종단 장치의 일부를 논리적으로 분리한 부분을 조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광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가입자 단말 혹은 종단 장치끼리, 혹은, 가입자 단말과 수용국과의 접속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서, 전용회선으로 연결할 수가 있게 되어, 상기 접속 간의 통신의 안전성이 높아지며, 또한 독자적인 통신 형태를 이용할 수가 있게 되기 때문에, 그 통신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네트워크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액세스 시스템의 예로서, 광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것은, 수용국(1a, 1b, 1c, 1d, 1e)이, 다수의 광파이버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2a, 2b, 2c, 2d, 2e)로 접속된 것이다. 각각의 수용국에는, 가입자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5)가 접속되어 있으며, 가입자는, 이 가입자 광단말(5)로부터의 출력 광을, 광회선 종단 장치로 광전 변환하여 전기신호로 하거나, 광입력 단자를 가진 광단말에 입력하거나 하여 이용한다.
도 2는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수용국(1a)에 접속된 또 하나의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D)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의 교환기(4)를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한다. 또, 수용국(1c)에 접속하는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E)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수용국(1a)의 교환기(4a), 상기 네트워크, 및 수용국(1c)의 교환기(4c)를 경유하는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한다.
도 3은 수용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는, 광교환기(31)의 하측에 광로에 접속된다. 이 광교환기(31)는, 광스위치나 광결합기와, 멀티플렉서나 디멀티플렉서를 이용한 것이다. 이 광교환기(31)으로부터의 출력의 일부는 OLT(Optical Line Terminal:광회선 종단 장치)에서 광전 변환되어 전기신호가 되며,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가상화 기능 제어부(33)에서 신호 처리되어, 그 신호 처리 결과의 제어 신호가 광교환기(31)에 적용된다. 또, 이 액세스 네트워크는, 광교환기(31)를, 다른 수용국의 광교환기와 접속함으로써 구성한다.
도 4는 수용국 내의 광교환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교환기는, 파장 다중화된 광신호를 입출력으로 하는 것이다. 좌측으로부터 입력한 광신호에 대해서, 증폭한 후, 디멀티플렉서(DEMUX)를 이용하여 파장마다 광로로 전개하며, 다기능 스위치(Versatile Switch)를 이용하여, 광로의 시간적 교환 및 공간적 교환을 행하고, 멀티플렉서(MUX)를 이용하여 재차 파장 다중을 행한 후, 증폭하여 출력한다.
도 5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풀메쉬형이며, 임의의 2개의 수용국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주(主)노드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제어기를 설치하고 있다. (b)는, 부분적인 메쉬형이며, 임의의 수용국은, 4 이상의 수용국과 접속되어 있다. (c)는, 링 형상으로 수용국을 배치하고, 이웃하는 수용국과는 복수의 광로로 접속한 것이다.
도 6은 코어 네트워크에 도 1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접속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의 수용국은, 도 3의 횡파선(橫破線)의 상측의 코어 네트워크 부분을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기능 혹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장치에,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경우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광액세스 시스템의 예로서, 도 1에, 광네트워크의 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수용국(1a, 1b, 1c, 1d, 1e)이, 다수의 광파이버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2a, 2b, 2c, 2d, 2e)로 접속된 것이다. 각각의 수용국에는, 가입자 광단말(5)이 접속되어 있으며, 가입자는, 이 가입자 광단말(5)로부터의 출력 광을, 광회선 종단 장치로 광전 변환해서 전기신호로 하며, 유선 LAN(근거리 통신망)이나 무선 LAN에 접속하거나, 광입력 단자를 가진 광단말에 입력하거나 하는 등하여, 이용한다. 여기서, 광파이버의 일부는, 광공간 전송로로 치환할 수도 있다.
도 1에 있어서,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수용국(1a)의 광회선 종단 장치(B)와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는, 수용국(1a)에 접속하고 있다. 수용국(1a)의 광로 선택 수단은, 예를 들면 광교환기(4)이며, 이 교환기(4)에 의해,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수용국(1a)의 광회선 종단 장치(B)가, 전용 광로에 의해 접속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용 광로란, 상기 광회선 종단 장치(A와 B) 이외의 광회선 종단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또한, 도 1에서,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는, 수용국(1a)에 접속하고 있다. 또, 수용국(1a)은, 수용국(1b)을 경유하여, 수용국(1c)에 접속하고 있다. 수용국(1c)에는, 광회선 종단 장치(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는, 광회선 종단 장치(C)에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로부터 광회선 종단 장치(C)에 이르는 접속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국(1a)의 광로 선택 수단, 상기 광네트워크, 수용국(1c)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한 전용 광로가 형성된다.
실시예 2
도 2에 있어서도,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는, 수용국(1a)에 접속하며, 수용국(1a)의 광회선 종단 장치(B)와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용국(1a)의 광로 선택 수단은, 예를 들면 광교환기(4)이며, 이 교환기(4)에 의해, 우선,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수용국(1a)의 광회선 종단 장치(B)가, 전용 광로에 의해 접속한다. 또, 수용국(1a)에 접속된 또 하나의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D)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의 교환기(4)를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한다.
또, 도 2에 있어서, 수용국(1a)은 수용국(1c)에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수용국(1c)에 접속하는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E)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수용국(1a)의 교환기(4a), 상기 네트워크, 및 수용국(1c)의 교환기(4c)를 경유하는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한다.
실시예 3
도 3에, 수용국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의 광액세스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3의 횡파선의 하측의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을 이용한다. 이 경우의 구성에서는,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는, 광교환기(31)의 하측에 광로에 접속된다. 이 광교환기(31)는, 광스위치나 광결합기와, 멀티플렉서나 디멀티플렉서를 이용한 것이다. 이 광교환기(31)로부터의 출력의 일부는 OLT(Optical Line Terminal: 광회선 종단 장치)(32)에서 광전 변환되어 전기신호로 되며, 액세스 네트워크 가상화 기능 제어부(33)에서 신호 처리되어, 그 신호 처리 결과의 제어 신호가 광교환기(31)에 적용된다. 이 액세스 네트워크 가상화 기능 제어부(33)는, 논리 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개개의 분리 가능한 채널의 적어도 1개에 대하여, 적어도 1개의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한 것이다. 또, 이 액세스 네트워크는, 광교환기(31)를, 다른 수용국의 광교환기와 접속함으로써 구성한다.
도 4에, 도 3의 수용국 내의 광교환기의 예를 나타낸다. 이 광교환기(40)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입출력으로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좌측으로부터 입력한 광신호에 대해서, 광증폭기(41)로 증폭한 후, 디멀티플렉서(DEMUX)(42)를 이용하여 파장마다 광로로 전개하고, 다기능 스위치(Versatile Switch)(43)를 이용하여, 광로의 시간적 교환 및 공간적 교환을 행하며, 멀티플렉서(MUX)(44)를 이용하여 재차 파장 분할 다중을 행한 후, 광증폭기(45)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파장 분할 다중화에 있어서, 개개의 파장의 적어도 1개의 파장에 대하여, 적어도 1개의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가 있다.
도 5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형태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풀 메쉬형이며, 임의의 2개의 수용국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주노드에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제어기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5(b)는, 부분적인 메쉬형이며, 임의의 수용국은, 4 이상의 수용국과 접속되어 있다. 또, 도 5(c)는, 링형상으로 수용국을 배치하고, 이웃하는 수용국과는 복수의 광로로 접속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가, 도 5(a)로부터 (c)의 접속 형태로 되어 있으면, 그 부분에서는, 본 발명을 적용해도, 전용 광로가 1 계통(系統)이면, 그 적용에 의해 다른 접속을 완전히 제외해버리는 장해는 발생하지 않는다.
수용국 간의 광로에 필요한 수는, 일반적으로는, 실현하고자 하는 전용 광로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다른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실현하고자 하는 상황마다, 미리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실현하고자 하는 전용 광로의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전용 광로가 되는 광로를 삭제했을 경우에, 네트워크가 분단되지 않으면 된다. 즉, 최초로, 예를 들면 트리(樹) 형상의 네트워크를 우선 가정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전용 광로분의 접속을 제거하여, 여기의 접속에 원하는 광로수로부터의 부족이나 분단이 생기는 경우에는, 그 부족분이나 분단을 보충하도록 그 부족 또는 분단 부분을 접속하는 광로를 새롭게 설치한다. 이 작업을, 실현하고자 하는 전용 광로의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행하면, 목적으로 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광로는, 각각 분리 가능한 채널이 다중화된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광로 선택 수단은, 복수의 광신호를 입력하고, 분할 다중 가능한 광채널 성분으로 분리하여, 상기 광채널 성분을, 교환 혹은 복제한 후, 재다중하여 얻어지는 새로운 복수의 광신호를 동적으로 출력처에 할당하는 동적 광채널 할당 장치이다. 특히, 상기의 채널의 다중화는, 파장 분할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간 분할 다중화, 편파 분할 다중화, 전파경로 분할 다중화, 부호 분할 다중화, 혹은, 직교 함수계를 이용하여 2차 변조함으로써 다중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분할 다중화의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상기 분할 다중화의 어느 조합으로 한다.
또, 상기 논리 네트워크는, 상기 수용국의 광회선 종단 장치,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로 종단 장치가 논리적으로 독립인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 한다. 즉, 상기 논리 네트워크를, 상기 수용국의 광회선 종단 장치를 논리적으로 분리한 부분,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의 일부를 논리적으로 분리한 부분,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로 종단 장치의 일부를 논리적으로 분리한 부분을 조합하여 형성한다.
실시예 4
도 6은, 코어 네트워크에 도 1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접속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의 수용국은, 도 3의 횡파선의 상측의 코어 네트워크 부분을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이때, 게이트웨이로서 기능하는 네트워크 제휴 기능 제어부(34)로, 프로토콜 변환을 행하고, 그 다음에, 코어 네트워크 가상화 기능부 (35)로,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며, 트랜스폰더(transponder, 36)를 통하여, 광교환기(37)로 소정의 광로를 선택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혹은, 또한, 광교환기(31)와 광교환기(37)를 직접 연결하는 광로(38)를 통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를 접속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어느 수용국에 직접 접속하는 광단말이나 광회선 종단 단말로부터 코어 네트워크에 전용 광로로 접속하는 경우, 그 수용국으로부터의 코어 네트워크에의 접속이 풀(full)인 때에도, 예를 들면 이웃하는 수용국에 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용 광로를 설정하여 접속하고, 그곳으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의 광교환기와 코어 네트워크의 광교환기를 연결하는 광로를 통하여 접속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다음과 같은 실용적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1) 수용국과 가입자와의 사이의 파이버의 자원을 점유할 수 있음으로써, 기존의 규격이나 다른 가입자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새롭게 창조된 서비스나 커스터마이즈된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제공 및 향수할 수 있게 된다.
(2) 패시브 인프라와 액티브 인프라를 소결합(loosely-coupled)화함으로써 기술 혁신을 수반하는 설비 경쟁에 근거한 서비스 경쟁이 촉진되고, 또한, 수용국 간의 자원 제휴나 멀티테넌트(Multi-tenant)화에 의해, 다양한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제공 및 향수할 수 있게 된다.
(3) 기존 아키텍쳐는 오버레이에 의해 논리적으로 공존 가능하기 때문에, 기술적 이점의 인계(引繼)나 원활한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이 가능하다.
(4) 어댑티브(adaptive) 설비의 국사(局舍, building) 내 배치에 의한 운용·보수 환경의 안정화, 자원의 상호 제휴나 통합 관리에 의한 효율화 등에 의해, 수요 변동에 알맞는 서비스를 안정시켜 즉시에 제공 및 향수할 수 있게 된다.
(5) 광선로 감시의 용이화나 비동보(非同報)화에 의한 시큐리티 향상에 의해,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게 제공 및 향수할 수 있게 된다.
(6) 광분기 손실의 저감이나 파이버 단위 혹은 파장·편파 단위의 슬리프 대응 등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전력 절약화에 의한 자연 환경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도 6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묶음으로써, 이 액세스 네트워크를, 거대한 싱글 스타(single star) 구성으로 볼 수가 있다. 금후, 본 발명을 이용하여, 거대한 싱글 스타 접속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내부의 광배선에 대해서는, 불필요하게 다수인 배선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내부 배선을 절약한 거대한 싱글 스타 접속이 실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a, 1b, 1c, 1d, 1e 수용국
2a, 2b, 2c, 2d, 2e 광케이블
3 광회선 종단 장치
4, 4a, 4c 광교환기
5 가입자 광단말
30 수용국
31 광교환기
32 OLT(Optical Line Terminal: 광회선 종단 장치)
33 액세스 네트워크 가상화 기능 제어부
34 네트워크 제휴 기능 제어부
35 코어 네트워크 가상화 기능부
36 트랜스폰더
37 광교환기
38 광로
40 광교환기
41 광증폭기
42 디멀티플렉서
43 다기능 스위치
44 멀티플렉서
45 광증폭기

Claims (13)

  1. 복수의 수용국이 광로로 접속되어 액세스 네트워크가 형성되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를 복수개 포함하고, 각각의 액세스 네트워크의 수용국의 적어도 하나가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네트워크에 대하여,
    상기 수용국은, 수용국의 복수의 광회선 종단 장치와 광로 선택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국에는, 모두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가입자측의 광회선 종단 장치가 접속되며, 상기 수용국과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상기 가입자측의 광회선 종단 장치는 광로로 접속되고, 상기 수용국의 상기 광회선 종단 장치와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상기 가입자측의 광회선 종단 장치는, 상기 광로 선택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어장치로 제어되는 광네트워크로서,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상기 가입자측의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수용국의 광회선 종단 장치(B)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A-B)를 형성하여 접속하고, 상기 광회선 종단 장치(A)와 광회선 종단 장치(B)의 사이의 전용 광로(A-B)에는 상기 광회선 종단 장치(A)와 광회선 종단 장치(B) 이외의 다른 광회선 종단 장치가 접속되지 않고,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수용국(X)에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수용국(Y)의 광회선 종단 장치(C)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X)의 광로 선택 수단, 상기 네트워크, 상기 수용국(Y)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A-C)를 형성하여 접속하며, 상기 광회선 종단 장치(A)와 광회선 종단 장치(C)의 사이의 전용 광로(A-C)에는 상기 광회선 종단 장치(A)와 광회선 종단 장치(C) 이외의 다른 광회선 종단 장치가 접속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기 복수의 수용국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국의 상기 광로 선택 수단은, (1) 광로에 의한 채널, 및 (2) 서로 논리적으로 접속하는, 수용국의 광회선 종단장치, 액세스 네트워크 가상화 기능 제어부, 네트워크 제휴 기능 제어부, 코어 네트워크 가상화 기능부, 트랜스폰더에 의해 구성되는 논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광로 선택 수단에 접속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접속하는 수용국에 접속된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D)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하고,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가 접속하는 수용국(X)에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수용국(Y)에 접속하는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E)에 대하여,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광회선 종단 장치(A)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국(X)의 광로 선택 수단, 상기 네트워크, 및 상기 수용국(Y)의 광로 선택 수단을 경유해서, 전용 광로를 형성하여 접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선택 수단은, 광로를 전환하기 위한 광스위치를 이용한 광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국에는,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상기 가입자측의 광회선 종단 장치의 복수가 접속하는 것이며, 그 접속은 싱글 스타형 광로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국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네트워크에 추가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광로만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메쉬형, 다중 링형, 혹은, 상기 메쉬형에 있어서의 한 쌍의 수용국 사이가 복수의 광로로 접속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는, 다중화 방법으로 다중화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다중화된 신호는 각각의 신호로 분리 가능하며,
    상기 광로 선택 수단은, 복수의 광신호를 입력하여, 분할 다중 가능한 광채널 성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광채널 성분을, 교환 혹은 복제한 후, 재(再)다중화하여 얻어지는 새로운 복수의 광신호를 동적으로 출력처에 할당하는 동적 광채널 할당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방법은, 파장 분할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간 분할 다중화, 편파 분할 다중화, 부호 분할 다중화, 직교 함수계를 이용하여 변조함으로써 다중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분할 다중화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분할 다중화 중 어느 분할 다중화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는, 광파이버 전송로를 이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는, 광파이버 전송로, 혹은, 광공간 전송로를 이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신호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분리 가능한 신호에 대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한 신호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분리 가능한 신호의 파장에 대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용국의 광회선 종단 장치,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상기 가입자 측의 광회로 종단 장치가 채널에 관하여 논리적으로 독립인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수용국의 광회선 종단 장치에서의 논리적으로 분리한 채널, 상기 수용국의 광로 선택 수단의 일부에서의 논리적으로 분리한 채널, 상기 가입자측의 광단말 혹은 상기 가입자 측의 광회로 종단 장치의 일부에서의 논리적으로 분리한 채널을 조합하여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액세스 시스템.
KR1020137018041A 2010-12-20 2011-12-12 광액세스 시스템 KR101930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3327A JP5704694B2 (ja) 2010-12-20 2010-12-20 光アクセスシステム
JPJP-P-2010-283327 2010-12-20
PCT/JP2011/079265 WO2012086559A1 (ja) 2010-12-20 2011-12-12 光アクセス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017A KR20130130017A (ko) 2013-11-29
KR101930529B1 true KR101930529B1 (ko) 2018-12-18

Family

ID=4631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041A KR101930529B1 (ko) 2010-12-20 2011-12-12 광액세스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74164B2 (ko)
JP (1) JP5704694B2 (ko)
KR (1) KR101930529B1 (ko)
WO (1) WO2012086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97801B1 (en) * 2011-11-25 2014-01-08 ADVA Optical Networking SE Meshed protected passive optical access network structure and optical network unit structure therefore
JP6328352B2 (ja) 2015-03-09 2018-05-23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Ledドライバ
EP3091678B1 (en) * 2015-05-06 2019-07-10 ADVA Optical Networking SE Optical wdm transmiss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146A (en) 1993-03-01 1994-09-27 At&T Bell Laboratories All-optical network architecture
JP3773380B2 (ja) * 1999-07-28 2006-05-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ノード制御装置、ノード装置、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光パス設定方法
JP2001313660A (ja) 2000-02-21 2001-11-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波長多重光ネットワーク
FI20031104A0 (fi) * 2003-07-25 2003-07-25 Nokia Corp Yksikuituinen suojaus tietoliikenneverkoissa
CA2557733C (en) * 2004-10-29 2011-11-2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JP4593267B2 (ja) 2004-12-28 2010-12-08 富士通株式会社 光ノードおよび光分岐挿入装置
JP4024265B2 (ja) * 2005-12-05 2007-12-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ノード、光通信ネットワーク、光パス予約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876753B2 (en) * 2005-12-13 2011-01-25 Fujitsu Limited IP multi-cast video ring distribution and protection
CN101047583B (zh) * 2006-03-31 2011-12-14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支持虚拟局域网服务的无源光网络系统及相应方法
US7706688B2 (en) * 2006-07-17 2010-04-27 University Of Ottawa Wavelength reconfigurable optical network
US20080069564A1 (en) * 2006-09-20 2008-03-20 Tellabs Operations, Inc. Optical Aggregation and Proxy Device
US8090256B2 (en) * 2006-10-04 2012-01-03 Arizona Board Of Regents, A Body Corporate Of The State Of Arizona,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and optical communication schemes
DE102006055928A1 (de) * 2006-11-27 2008-06-12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Steuerung eines Regenerators für Datenburst-Signale eines Systems mit Punkt-zu-Multipunkt-Verbindungen, Übertagungssystem mit Punkt-zu-Multipunkt-Verbindungen und Regenerator
EP2101449A4 (en) * 2006-12-15 2012-02-29 Fujitsu Lt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ITS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WI351831B (en) * 2007-09-19 2011-11-01 Ind Tech Res Inst Self-healing ring-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sy
CN101459656B (zh) * 2007-12-13 2012-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源光网络汇聚节点设备、系统及数据传输方法
JP5092895B2 (ja) * 2008-05-23 2012-12-05 富士通株式会社 光通信装置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EP2489201B1 (en) * 2009-10-16 2015-03-25 Xieon Networks S.à.r.l.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n optical network
KR101290814B1 (ko) * 2009-12-21 2013-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전달 계층 방식의 수동형 광 네트워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017A (ko) 2013-11-29
US20130272701A1 (en) 2013-10-17
WO2012086559A1 (ja) 2012-06-28
JP5704694B2 (ja) 2015-04-22
US9374164B2 (en) 2016-06-21
JP2012134641A (ja)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1957B2 (en) Optical access network
US7164861B2 (en) Node apparatus, optic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network, and system switching method
RU2599927C2 (ru) Оптическое линейно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US20150312657A1 (en) Data Center Network and Method for Deploying the Data Center Network
TWI477095B (zh) 一種可菊環連接的光網路單元
WO2010105506A1 (zh) 信号传输系统、方法以及相关装置
CN102106103A (zh) 光网络
US7536103B2 (en) Reconfigurable optical switching system
KR101930529B1 (ko) 광액세스 시스템
JP2013506329A (ja) パッシブ光ネットワークの装置および方法
CN106605381A (zh) 光网络中的可重新配置的分插复用
US20140233938A1 (en) System for interconnecting nodes attached to a passive optical network
US9148222B2 (en) AFDX network with a passive optical network
KR101027735B1 (ko) 이종 통신 서비스의 광선로 공유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07067952A (ja) 光スイッチ装置、光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そのシステム、光波長多重伝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09867B2 (ja) 光アクセス終端装置
WO2016115988A1 (zh) 一种光交叉连接调度的装置、方法及光电混合交叉系统
EP2637333B1 (en) Optical TDM Backhauling Network
US2024009779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2175305A (ja) 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5853823B2 (ja) ネットワークの制御方法
US11811448B2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WO2023238226A1 (ja) 光伝送装置及び光伝送方法
JP2024033285A (ja) パケットバッファ及び経路切替方法
US20060251356A1 (en) Modular, reconfigurable optical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