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292B1 - 정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292B1
KR101929292B1 KR1020170115047A KR20170115047A KR101929292B1 KR 101929292 B1 KR101929292 B1 KR 101929292B1 KR 1020170115047 A KR1020170115047 A KR 1020170115047A KR 20170115047 A KR20170115047 A KR 20170115047A KR 101929292 B1 KR101929292 B1 KR 101929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information display
schedule
tim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우
이경룡
고건일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1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by controlling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di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시간대 별 일정(schedule)을 수신하는 통신부; 부도체; 상기 부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감지하는 터치 인터페이스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현재 시간을 동기화하고, 상기 정전용량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시간대 별 일정 중 임의의 일정을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선택되는 임의의 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각화(visualization)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표시 장치 {INFORMA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시간, 일정 등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는데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태블릿 디바이스(tablet device) 등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들 디바이스들은 통화나 메시지 전송과 같은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시간이나 일정, 영상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들 디바이스들을 통한 정보 표시 기능은 IT 기계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시간이나 일정과 같이 신속성과 직관성이 요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데에는 특화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7-0073398호, 2017.06.2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물건들, 예를 들어 탁상 시계, 가구, 가전제품 등에 온라인 상의 시간이나 일정과 같은 정보를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부도체 소재들, 예를 들어 목재(wood), 콘크리트(concrete), 유리 등의 소재로 터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시간대 별 일정(schedule)을 수신하는 통신부; 부도체; 상기 부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감지하는 터치 인터페이스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현재 시간을 동기화하고, 상기 정전용량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시간대 별 일정 중 임의의 일정을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선택되는 임의의 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각화(visualization)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대 별 일정은 복수의 일정이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감지신호의 유지 시간 또는 발생 횟수에 따라 상기 현재 시간에 가장 인접하는 시간대의 일정만을 표시하거나, 상기 가장 인접하는 시간대의 일정을 포함한 상기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을 전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장 인접하는 시간대의 일정만을 표시하는 경우와 상기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을 전부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도체는,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부도체; 및 상기 정보 표시 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제2 부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부도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표시부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제1 도체; 상기 제2 부도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부도체의 내부 인접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부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제2 도체; 및 상기 제1 도체 및 상기 제2 도체가 형성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도체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투명 재질은 목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도체는 고체 혼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1 부도체는 원형 시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단말 장치 또는 서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탁상 시계, 가구, 가전제품 등에 온라인 상의 시간이나 일정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고, 다양한 부도체 소재들, 예를 들어 목재, 콘크리트, 유리 등의 소재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간이나 일정과 같은 정보를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100)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100)의 일 형태로서, 예를 들어 시간 및 일정을 표시하는데 적합한 탁상 시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탁상 시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2의 탁상 시계의 시간 및 일정을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탁상 시계의 동기화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탁상 시계, 가구, 가전제품 등에 온라인 상의 시간이나 일정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고, 다양한 부도체 소재들, 예를 들어 목재, 콘크리트, 유리 등의 소재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간이나 일정과 같은 정보를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100)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1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터치 인터페이스부(102), 센서부(102a), 제어부(104), 전원부(106), 표시부(108), 구동부(110) 및 통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부(102)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인터페이스부(102)는 정보 표시 장치(100)의 부도체와 접하는 내부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부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인터페이스부(102) 내에는 센서부(102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부(102a)에 의해 사용자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이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104)는 터치 인터페이스부(102)의 정전용량의 감지신호에 따라 정보 표시 장치(100)의 시간대 별 일정 중 임의의 일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현재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다.
전원부(106)는 정보 표시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8)는 전원부(106)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04)에 의해 동기화된 현재 시간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8)는 제어부(104)에 의해 선택되는 임의의 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각화(visualization)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구동부(110)는,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장치(100)의 시간 표시 중 시침(hour hand)을 표시하기 위한 물리적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10)는 제어부(104)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통신부(112)는 네트워크(1)를 통해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로부터 시간대 별 일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시간대 별 일정을 제어부(104)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2)는, 예를 들어 유선 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기능 및 광대역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2)는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기능,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P 기반의 광대역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1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1)는 정보 표시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장치(200)를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1)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방식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현재 시간 정보와, 클라이언트 장치(200)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의 시간대 별 일정을 네트워크(1)를 통해 정보 표시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장치(20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정보 표시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컴퓨터, 패드(pad) 컴퓨터 등의 모바일 단말과, 테스크탑, 서버 컴퓨터 등의 고정형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100)의 일 형태로서, 예를 들어 시간 및 일정을 표시하는데 적합한 탁상 시계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정보 표시 장치(100)의 구성 요소와 함께, 도 2 및 도 3의 탁상 시계를 통한 시간 및 일정 표시 기능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표시 장치(100)의 일 형태인 탁상 시계는 전면부(10)와 몸체부(30), 그리고 철심(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부(10)와 몸체부(30)는 부도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10)는, 예를 들어 반투명 재질의 목재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부(30)는, 예를 들어 고체 혼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체 혼합 재료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부도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몸체부(30)와 접촉되는 내부 면에는 사용자 접촉에 의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도체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10)는 부도체로 이루어지며, 전면부(10)와 접촉되는 내부 면에는 사용자 접촉에 의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도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이때, 전면부(10)는 시간 표시 기능에서 분침(minute hand)을 표시할 수 있고, 철심(12)은 시침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10)는 원형의 시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도 2의 탁상 시계의 분해 사시도로서, 전면부(10), 철심(12), 제1 브라켓(13), 발광 소자(14), 제1 도체(16), 제2 브라켓(18), 아크릴판(20), 스텝 모터(22), 홀 센서(24), 몸체부(30), 프레임(32), 제2 도체(34) 및 후면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10)는 제1 부도체로 명명될 수 있으며, 반투명 재질의 목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철심(12)은 시간 표시 기능에서 시침을 표시하기 위한 물리적인 구성요소로서, 후술하는 스텝 모터(22)의 구동을 축으로 하여 시간 단위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3)은 제1 부도체인 전면부(1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일정 개수의 구멍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브라켓(13)은 전면부(10)와 동일하게 원형의 시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4)는 제1 브라켓(13)의 구멍부에 삽입 장착되어 일정 광량이 발생되도록 발광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14)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14)를 통해 발광되는 광은 반투명 재질의 전면부(1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소자(14)의 표시는 정보 표시 장치(100)의 시간 표시 기능에서 분침을 표시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제1 도체(16)는 제1 부도체인 전면부(10)와 접촉되도록 제1 브라켓(13)의 후면에 배치되며, 전면부(1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정전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도체(16)는 전면부(10)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원형 형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 접촉에 의한 정전용량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 예를 들어 구리(Copper)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체(16)를 통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은 터치 인터페이스부(102) 내의 센서부(102a)가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부(102a)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은 제어부(104)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도체(16)를 통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은 정보 표시 장치(100)의 동기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제 2 브라켓(18)은 아크릴판(20)과 스텝 모터(22), 그리고 홀 센서(24)를 고정 장착하기 위한 수단이다.
스텝 모터(22)는, 예를 들어 브러시리스(brushless) 직류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홀 센서(24)는 시침 표시를 위한 철심(12)의 회전 주기를 측정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제2 부도체로 명명될 수 있으며, 탁상 시계 형상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30)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와 같은 고체 혼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2)은 몸체부(30)와 제2 브라켓(18)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도체(34)는 제2 부도체인 몸체부(30)와 접촉하도록 몸체부(30)의 내부 인접 면에 배치되며, 몸체부(3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정전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체(34)를 통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은 터치 인터페이스부(102) 내의 센서부(102a)가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부(120a)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은 제어부(104)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도체(34)를 통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은 정보 표시 장치(100)의 일정, 예를 들어 최근 일정 및 전체 일정의 표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2의 탁상 시계의 시간 및 일정을 표시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는 도 3의 구성에 의해 현재 시간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반투명 재질의 목재로 이루어진 전면부(10)를 통해 발광 소자(14)의 광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소자(14)의 광은,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장치(100)의 현재 시간 중 분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철심(12)은 정보 표시 장치(100)의 현재 시간 중 시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시침을 나타내는 철심(12)은 3시 방향을 가리키고, 전면부(10)를 통해 표시되는 발광 소자(14a)는 6시 방향을 가리키므로, 현재 시간은 3:30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도 4와 같이 현재 시간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부(30)를 접촉하여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 중 현재 시간에 가장 인접하는 시간대의 일정을 표시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시침을 나타내는 철심(12)은 5시 방향을 가리키고, 전면부(10)를 통해 표시되는 발광 소자(14b)는 12시 방향을 가리키므로, 현재 시간에 가장 인접하는 시간대의 일정은 5:00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30)의 사용자 접촉 여부 확인은, 몸체부(30)의 내부 인접 면에 배치된 제2 도체(34)를 통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에 의해 구현 가능함은 주지한 바와 같다. 다만,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 중 현재 시간에 가장 인접하는 시간대의 일정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 미만의 접촉 유지 시간, 예를 들어 2초 미만의 접촉 유지 시간을 제어부(104)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도 6은 사용자가 몸체부(30)를 일정 시간 이상, 예를 들어 2초 이상 접촉을 유지하여 복수의 시간대 별 전체 일정을 표시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전체 일정의 경우에는 각각의 일정 별로 범위를 나타내는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5:00~6:00 범위의 제1 일정과, 7:30~9:00 범위의 제2 일정을 나타내는 경우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몸체부(30)와 사용자 간의 접촉 유지 시간에 따라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을 전부 표시하거나 현재 시간에 가장 인접한 최근 일정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사용자가 몸체부(30)를 접촉하는 횟수에 따라서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몸체부(30)를 최초 1회 접촉했다면 도 5와 같은 최근 일정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몸체부(30)를 두 번 접촉했다면 도 6과 같은 전체 일정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몸체부(30)를 접촉하여 일정을 확인하고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 중 현재 시간에 가장 인접하는 시간대의 일정만을 표시하는 경우와,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을 전부 표시하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해, 전면부(1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발광 소자(14)의 광의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현재 시간에 가장 인접하는 시간대의 일정을 나타내는 발광 소자(14b)는 황색으로, 도 6과 같이 전체 일정을 나타내는 발광 소자(14c)는 청색으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몸체부(30)와의 접촉을 해제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다시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모드로 복귀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 8은 도 2의 탁상 시계의 동기화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시간의 동기화는 정보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04)가 네트워크(1)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0)와 현재 시간을 동기화하는 경우도 있으나,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현재 시간을 동기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면부(10)와 접촉되도록 전면부(10)의 후면에 배치되어 전면부(1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제1 도체(16)와, 이러한 제1 도체(16)에서 형성된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센서부(102a)와, 이러한 센서부(102a)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장치(200)와의 동기화를 명령하는 제어부(104)에 의해 현재 시간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탁상 시계에 온라인 상의 시간이나 일정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고, 목재나 콘크리트와 같은 부도체 소재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간이나 일정과 같은 정보를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표시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다만, 도 2 내지 도 8은 탁상 시계를 정보 표시 장치(100)로 예시한 것이며, 그 밖에 부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는 소재들, 예를 들어 가구, 가전제품 등의 다양한 소재들을 정보 표시 장치(100)로 활용할 수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정보 표시 장치
102: 터치 인터페이스부
102a: 센서부
104: 제어부
106: 전원부
108: 표시부
110: 구동부
112: 통신부
1: 네트워크
200: 클라이언트 장치
10: 전면부
12: 철심
13: 제1 브라켓
14: 발광소자
16: 제1 도체
18: 제2 브라켓
20: 아크릴판
22: 스텝 모터
24: 홀 센서
30: 몸체부
32: 프레임
34: 제2 도체
36: 후면부

Claims (9)

  1.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schedule)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부도체;
    상기 부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감지하는 터치 인터페이스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와 현재 시간을 동기화하고, 상기 정전용량의 감지신호가 제1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현재 시간에 가장 인접하는 시간대의 하나의 일정을 선택하고, 상기 정전용량의 감지신호가 제2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을 선택하는 제어부; 및
    시간을 나타내는 시침과 상기 시침이 위치되는 영역의 둘레에 위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제1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침의 이동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의 일정을 시각화(visualization)하여 표시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상기 제2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을 시간에 따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용량의 감지신호가 상기 제1 감지신호 또는 상기 제2 감지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상기 감지신호의 유지 시간 또는 발생 횟수에 따라 정해지는
    정보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하나의 일정을 표시하는 경우와 상기 선택된 복수의 시간대 별 일정을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정보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는,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부도체; 및
    상기 정보 표시 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제2 부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부도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표시부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제1 도체;
    상기 제2 부도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부도체의 내부 인접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부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제2 도체; 및
    상기 제1 도체 및 상기 제2 도체가 형성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도체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재질은 목재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도체는 고체 혼합 재료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1 부도체는 원형 시계 형상인
    정보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단말 장치 또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KR1020170115047A 2017-09-08 2017-09-08 정보 표시 장치 KR101929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47A KR101929292B1 (ko) 2017-09-08 2017-09-08 정보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047A KR101929292B1 (ko) 2017-09-08 2017-09-08 정보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292B1 true KR101929292B1 (ko) 2018-12-14

Family

ID=6474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047A KR101929292B1 (ko) 2017-09-08 2017-09-08 정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952A (ko) * 2019-01-18 2020-07-28 울산과학기술원 시간 정보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015Y1 (ko) * 2006-07-06 2006-10-04 김정섭 엘이디 디스플레이 시계
JP4252754B2 (ja) * 2001-02-23 2009-04-08 アスラブ・エス アー 電子機能作動手段を含む携帯物および上記電子機能を制御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2754B2 (ja) * 2001-02-23 2009-04-08 アスラブ・エス アー 電子機能作動手段を含む携帯物および上記電子機能を制御する方法
KR200428015Y1 (ko) * 2006-07-06 2006-10-04 김정섭 엘이디 디스플레이 시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952A (ko) * 2019-01-18 2020-07-28 울산과학기술원 시간 정보 표시 장치
KR102191543B1 (ko) * 2019-01-18 2020-12-15 울산과학기술원 시간 정보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7321B2 (ja) センサ及び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
EP3021564B1 (en) Energy-management system, controller,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 and program
JP6108645B1 (ja) モーターモジュールシステム
US10705629B1 (en) Customizable control system
RU2562097C2 (ru) Резкий переход в круговом световодном кольце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с функциональ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с определенным началом и концом
CN102693073A (zh) 用于方向敏感按钮指派的方法和装置
CN1959568B (zh) 处理器装置
KR20080025884A (ko) 아날로그 시계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10390783B (zh) 分段灯指示器
KR20090023735A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929292B1 (ko) 정보 표시 장치
US20200146442A1 (en) Optical Workplace Status Display System
US20150066232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isplay system
KR20170132020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TW201701171A (zh) 電子機器控制系統、電子機器控制方法及通訊終端
US20090160762A1 (en) User input device with expanded functionality
KR101483851B1 (ko) 홈 컨트롤을 위한 유비쿼터스 가상 현실(uvr) 기반의 저작 장치 및 방법
US202201212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modular interactive platform with satellite accessories
WO2016032880A1 (en) Security devic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JP2015153301A (ja) 自動販売機、自動販売機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ITRM20120096A1 (it) Apparato e dispositivi solidali per la condivisione di messaggi di messaggistica elettronica, e relative tecniche di utilizzo.
KR200492479Y1 (ko) 다이얼이 구비 된 월패드
KR20180023571A (ko) PoE를 이용한 IoT 객실 시스템
JP6651100B2 (ja) テーブル席情報入力端末装置
KR102034094B1 (ko) 조명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조명장치를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