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262B1 -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262B1
KR101929262B1 KR1020160177510A KR20160177510A KR101929262B1 KR 101929262 B1 KR101929262 B1 KR 101929262B1 KR 1020160177510 A KR1020160177510 A KR 1020160177510A KR 20160177510 A KR20160177510 A KR 20160177510A KR 101929262 B1 KR101929262 B1 KR 101929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body
case
poppet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838A (ko
Inventor
차의규
Original Assignee
차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형규 filed Critical 차형규
Priority to KR102016017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2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with a plurality of the diaphra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압력 공기의 공급원에 연결된 인렛 포트(112)와 상기 인렛 포트(112)에 각각 연결되어 압력 공기를 제어 기구의 조작을 위해 배출시키는 제1아울렛 포트(114) 및 제2아울렛 포트(115)를 구비한 밸브바디(110); 상기 밸브바디(11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대기와 연결된 관통구멍(122)을 가지며 중심선을 따라 통로가 형성된 스풀(120); 상기 스풀(120)의 양단부를 개폐시키는 포핏 디스크(135); 상기 인렛 포트(112)와 상기 제1아울렛 포트(114) 및 제2아울렛 포트(115)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1아웃시트와 제2아웃시트를 개폐시키는 아웃시트 디스크(136)를 구비한 제1포핏(132) 및 제2포핏(133); 상기 제1포핏(132)과 상기 제2포핏(133)을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152) 및 제2스프링(153); 상기 밸브바디(110)에 설치된 복수개의 다이어프램; 상기 밸브바디(110)가 내장된 케이스(170); 상기 케이스(170)의 하부에 형성된 케이스 배출관로(174); 상기 제어기기에서 배출된 공기가 되돌아오는 통로인 에어 배출로(116)에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 배출관로(174)에 연통된 바디 배출포트(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Air pressure adjustment pilot valve assembly}
본 발명은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포지셔너 또는 기기 등의 제어 기구를 조작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럿 밸브조립체는 다른 밸브 또는 기기 등에서의 제어 기구를 조작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제어 밸브를 통칭한다. 이러한 파일럿밸브 조립체는 밸브, 포지셔너 또는 기기 등의 제어 기구를 조작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제어용 조립체로 에어 인렛포트와 두 개의 공기배출포트가 있다.
파일럿 밸브바디 내부에 있는 스풀은 양끝단에 엔드스풀이 있어서 두 개의 압력실의 압력차이에 의한 힘의 차이로 좌우로 이동하며 두 개의 포핏들을 축방향으로 밀어서 두 개의 아웃시트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각각의 공기배출포트로의 공기 배출을 제어한다.
에어 인렛포트를 통해 입력된 공기는 한쪽 압력실의 압력에 의한 힘이 다른 쪽의 압력실의 압력에 의한 힘보다 크게 되면 엔드스풀이 좌측으로 이동하며 한쪽 포핏을 축방향으로 밀어서 한쪽 아웃시트와의 간격을 크게 하여 한쪽 공기배출포트로 공기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에어 인렛포트를 통해 입력된 공기는 한쪽 압력실의 압력에 의한 힘이 다른쪽 압력실의 압력에 의한 힘보다 커지면 엔드스풀이 우측으로 이동하며 다른 쪽의 포핏을 축방향으로 밀어서 다른 쪽의 아웃시트와의 간격을 크게 하여 다른 쪽의 공기배출포트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파일럿 밸브바디에 구비된 레귤레이터는 입력된 공기를 약 1.5㎏f/㎠의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조절되며, 조절된 압력은 토크모터의 노즐에 연결되어 압력이 떨어지면 파일럿 밸브 조립체와 연결된 포트를 통해 상기 다른 쪽의 압력실과 연결되어 스풀을 제어한다.
그런데, 기존의 파일럿밸브 조립체는 실린더, 밸브 등에서 되돌아 오는 AIR를 파일럿밸브에서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고 이를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방식은 배출공기가 케이스 내부를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의 습기, 유해가스 등으로 인한 케이스 내부 부품의 부식, 변질 등 수명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배출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들어와서 케이스 내부를 반드시 지나간 다음에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의 습기, 유해가스로 인한 케이스 내부 부품의 부식, 변질 등의 좋지 않은 영향이 생기고, 이와 같은 좋지 않은 영향 때문에 파일럿밸브 조립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5-0006292호(1995.03.20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303509호(2001.07.11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162509호(1998.08.3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케이스 내부를 거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새로운 파일럿밸브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압 제어용 파일럿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압력 공기의 공급원에 연결된 인렛 포트와 상기 인렛 포트에 각각 연결되어 압력 공기를 제어 기구의 조작을 위해 배출시키는 제1아울렛 포트 및 제2아울렛 포트를 구비한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대기와 연결된 관통구멍을 가지며 중심선을 따라 통로가 형성된 스풀; 상기 스풀의 양단부를 개폐시키는 포핏디스크; 상기 인렛 포트와 상기 제1아울렛 포트 및 제2아울렛 포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1아웃시트와 제2아웃시트를 개폐시키는 포핏 디스크를 구비한 제1포핏 및 제2포핏; 상기 제1포핏과 상기 제2포핏을 각각 상기 스풀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 상기 스풀이 수용된 밸브바디의 내부 공간을 대기와 연결시키는 공간과, 일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받는 공간(제어기기에서 공기를 공급받는 공간) 및 제어기기(예를 들어, 압력변환기 등)에서 배출된 공기를 공급받는 공간으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밸브바디에 설치된 복수개의 다이어프램; 상기 밸브바디가 내장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둘레부의 벤트홀과 연통된 케이스 배출관로; 상기 제어기기에서 배출된 공기가 되돌아오는 통로인 에어 배출로에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 배출관로에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 배출관로를 통해 상기 에어가 지나가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벤트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바디 배출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배출로와 상기 바디 배출포트 사이에 연통된 드레인 패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 배출로의 상단부를 막아주는 어퍼 실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 배출로를 통해 되돌아오는 에어가 상기 어퍼 실드부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밸브바디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바디 배출포트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케이스 배출관로로 통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드레인 패스는 상기 밸브바디의 하부에서 상기 에어 배출로를 향하여 상향 연장되고, 상기 바디 배출포트의 하단부는 상기 바디 배출포트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 배출관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하부에 배출 관로를 만들고, 파일럿밸브 조립체의 하부에 배출 포트를 연결하여 케이스 내부를 거치지 않고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공기가 케이스 내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가 방지되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기, 유해가스 등으로 인한 케이스 내부 부품의 부식, 변질과 같이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로 공기의 습기, 유해가스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수한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구조를 취함으로 인하여 케이스 내부의 부품 부식, 변질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케이스 내부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의 주요부인 공기 배출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케이스와 밸브바디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부 케이스의 바텀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는 압력 공기의 공급원에 연결된 인렛 포트(112)와 상기 인렛 포트(112)에 각각 연결되어 압력 공기를 제어 기구의 조작을 위해 배출시키는 제1아울렛 포트(114) 및 제2아울렛 포트(115)를 구비한 밸브바디(110)와, 이 밸브바디(11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대기와 연결된 관통구멍(122)을 가지며 중심선을 따라 통로가 형성된 스풀(120)과, 이 상기 스풀(120)의 양단부를 개폐시키는 포핏 디스크(135)와, 상기 인렛 포트(112)와 제1아울렛 포트(114) 및 제2아울렛 포트(115)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1아웃시트(138)와 제2아웃시트(139)를 개폐시키는 아웃시트 디스크(136)를 구비한 제1포핏(132) 및 제2포핏(133)과, 제1포핏(132) 및 제2포핏(133)을 각각 스풀(120)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152) 및 제2스프링(153)과, 상기 스풀(120)이 수용된 밸브바디(110)의 내부 공간을 대기와 연결된 공간과, 일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받는 공간 및 제어기기에서 배출된 공기를 공급받는 공간으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밸브바디(110)에 설치된 복수개의 다이어프램과, 상기 밸브바디(110)가 내장된 케이스(170)와, 상기 케이스(17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70) 둘레부의 벤트홀(172)과 연통된 케이스 배출관로(174)와, 상기 제어기기에서 배출된 공기가 되돌아오는 통로인 에어 배출로(116)에 연통됨과 동시에 케이스 배출관로(174)에 연통된 바디 배출포트(117)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바디(110)는 여러 개의 분할된 바디가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풀(120)은 밸브바디(110)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 스풀(120)에는 축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엔드스풀(12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스풀(120)과 엔드스풀(120)은 중심선을 따라 관통된 통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풀(120)이 중공 축의 구조를 취한다.
상기 스풀(120)의 좌측 단부에 구비된 엔드스풀(120)은 제1엔드스풀(125)이고, 스풀(120)의 우측 단부에 구비된 엔드스풀(120)은 제2엔드스풀(126)이다.
상기 제1엔드스풀(125)의 끝단은 제1포핏(132)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제2엔드스풀(126)의 끝단은 제2포핏(13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1포핏(132) 및 제2포핏(133) 제1엔드스풀(125) 및 제2엔드스풀(126)을 개폐하도록 반구형 단부를 갖는 포핏 디스크(135)와, 제1밸브바디(110) 및 제5밸브바디(110)에 구비된 제1아웃시트 및 제2아웃시트를 개폐하도록 반구형 단부를 갖는 아웃시트 디스크(1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아웃시트는 인렛 포트(112)와 제1아울렛 포트(114)를 연결시키며, 상기 인렛 포트(112)는 제어기기(예를 들어, 포지셔너 등)를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를 메인라인에서 공급받고, 상기 제1아울렛 포트(114)는 인렛 포트(112)에서 공급되어 제1아웃시트를 통과한 공기를 제어 기기(포지셔너 등)를 작동시키도록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제2아웃시트는 인렛 포트(112)와 제2아울렛 포트(115)를 연결시키며, 상기 인렛 포트(112)는 제어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를 메인라인에서 공급받고, 상기 제2아울렛 포트(115)는 상기 인렛 포트(112)에서 공급되어 제2아웃시트를 통과한 공기를 제어 기기를 작동시키도록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스풀(120)은 복수개의 다이어프램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풀(120) 결합홀에 삽입된다. 스풀(12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다이어프램이 연결된 것이다. 상기 다이어프램들은 스풀(120)이 수용된 밸브바디(110)의 내부 공간을 분리시킨다.
제1 다이어프램은 제1바디와 제2바디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밸브바디(110)와 스풀(120)에 고정되며, 제1다이어프램(161)과 제1아웃시트 사이에는 인렛 포트(112), 제1아울렛 포트(114) 및 스풀(120)의 내부 통로(123)를 연결시키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다이어프램은 제2바디와 제3바디 사이에 위치되도록 밸브바디(110)와 스풀(120)에 고정되며, 제1다이어프램(161)과 제2다이어프램(162) 사이에는 대기와 연결된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은 상기 스풀(120)에 형성된 관통구멍(122)을 통해 스풀(120)의 통로에 연결된다.
또한, 제3다이어프램(163)은 제3바디와 제4바디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밸브바디(110)와 스풀(120)에 고정되며, 제2다이어프램(162)과 제3다이어프램(163)의 사이에는 제어공기 공급포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받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다이어프램(164)은 제4바디와 제5바디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밸브바디(110)와 스풀(120)에 고정되며, 제3다이어프램(163)과 제4다이어프램(164)의 사이에는 인렛 포트(112), 제2아울렛 포트(115) 및 스풀(120)의 내부 통로(123)를 연결시키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다이어프램(163)의 양측에 위치된 공간을 이루는 스풀(120)의 표면 중 그 스풀(120)의 축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표면, 즉 챔버 면적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이 상기 스풀(120)을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을 각각 발생시키며, 제3 다이어프램의 우측 챔버 면적을 제3다이어프램(163)의 좌측 챔버 면적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어공기 공급포트로 공기가 공급되면 스풀(120)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스풀(120)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밸브바디(110)의 좌측 단부는 캡(11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제1포핏(132)은 제1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해 의해 우측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고, 상기 제2포핏(133)은 제2스프링(153)의 탄성력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는다. 이때, 캡(111)은 스냅링(111SR)에 의해 제1바디에 고정된다.
상기 바디 배출포트(117)는 케이스 배출관로(174)를 통해 에어가 지나가서 케이스(170)의 벤트홀(172)로 배출되도록 밸브바디(110)의 하부에 형성된다. 밸브바디(110)의 내부에서 밸브바디(110)의 하부 쪽으로 바디 배출포트(117)가 연통되어 있다. 밸브바디(110)의 내부에서 밸브바디(110)의 저면으로 바디 배출포트(117)가 연통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밸브바디(110)에 구비되어 에어 배출로(116)의 상단부를 막아주는 어퍼 실드부(1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 배출로(116)는 제어 기기에서 되돌아오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배출 통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 배출로(116)를 통해 되돌아오는 에어가 어퍼 실드부(119)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밸브바디(110)의 하부에 구비된 바디 배출포트(117)를 통해 케이스(170)의 하부에 구비된 케이스 배출관로(174)로 통과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바디(110)의 내부에는 에어 배출로(116)와 바디 배출포트(117) 사이에 연통된 드레인 패스(118)가 더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 패스(118)는 밸브바디(110)의 하부에서 에어 배출로(116)를 향하여 상향 연장되고, 상기 바디 배출포트(117)의 하단부는 바디 배출포트(117)를 통하여 케이스 배출관로(174)와 연통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면, 파일럿 밸브바디(110) 내부에 있는 스풀(120)은 양끝단에 제1엔드스풀(125)과 제2엔드스풀(126)이 구비되어, 압력실 A(110PR)와 압력실 B(112PR)의 압력차이에 의한 힘의 차이로 좌우로 이동하며 제1포핏(132)과 제2포핏(133)을 축방향으로 밀어서 제1아웃시트 또는 제2아웃시트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아울렛 포트(114)와 제2아울렛 포트(115)로의 공기 배출을 제어한다.
인렛 포트(112)(AIR INLET)을 통해 입력된 공기는 압력실 B(112PR)의 압력에 의한 힘이 압력실 A(110PR)의 압력에 의한 힘보다 크게 되면 제1엔드스풀(125)과 제2엔드스풀(126)이 좌측으로 이동하며 제1포핏(132)을 축방향으로 밀어 제1아웃시트와의 간격을 크게 하여 제1아울렛 포트(114)로 공기 배출을 한다.
마찬가지로, 인렛 포트(112)를 통해 입력된 공기는 압력실 A(110PR)의 압력에 의한 힘이 압력실 B(112PR)의 압력에 의한 힘보다 커지면 제1엔드스풀(125)과 제2엔드스풀(126)이 우측으로 이동하며 제2포핏(133)을 축방향으로 밀어 제2아웃시트와 간격을 크게 하여 제2아울렛 포트(115)로 공기 배출을 한다.
이때, 상기 밸브바디(110)의 내부에는 에어 배출로(116)와 바디 배출포트(117) 사이에 연통된 드레인 패스(118)가 더 구비되어, 상기 에어 배출로(116)를 통해 되돌아오는 에어가 드레인 패스(118)를 통해 흘러서 바디 배출포트(117)를 통과하여 케이스 배출관로(174)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 배출로(116)를 통해 되돌아오는 에어가 드레인 패스(118)를 통하여 밸브바디(110) 내부에서 밸브바디(110)의 하부에 있는 바디 배출포트(117)로 나오고, 상기 바디 배출포트(117)로 나온 에어는 케이스(170)의 내부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케이스 배출관로(174)를 통과하여 케이스(170)의 하부 일측 둘레부에 구비된 벤트홀(172)을 통해 케이스(170)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케이스(170)의 내부로 에어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스(170) 하부에 배출 관로를 만들고, 파일럿밸브 조립체의 하부에 배출 포트를 연결하여 케이스(170) 내부를 거치지 않고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공기가 케이스(170) 내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가 방지되기 때문에 케이스(17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기, 유해가스 등으로 인한 케이스(170) 내부 부품의 부식, 변질과 같이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패스(118)는 밸브바디(110)의 하부에서 에어 배출로(116)를 향하여 상향 연장되고, 상기 드레인 패스(118)의 하단부는 바디 배출포트(117)를 통하여 케이스 배출관로(174)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에어 배출로(116)를 통해 되돌아오는 에어가 어퍼 실드부(119)에 의해 차단되어 밸브바디(110)에서 위쪽으로는 에어가 흐르지 않고 밸브바디(110)에서 하부쪽으로 에어가 흘러서 케이스(170) 내부 하측에 구비된 케이스 배출관로(174)로만 통과되므로, 배출공기가 케이스(170) 내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습기, 유해가스 등으로 인한 케이스(170) 내부 부품의 부식, 변질 등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요인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어퍼 실드부(119)가 에어 배출로(116)와 상기 케이스(170)의 내부 공간 사이를 차단하는 밀폐 차단부의 기능을 하므로, 이러한 어퍼 실드부(119)의 구성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 하겠다.
또한, 상기 케이스(170)는 하부 케이스(171)와 상부 케이스(17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71)에는 밸브 바디(110)의 저면과 상면이 밀착되는 케이스 바텀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바텀부의 내부에 케이스 배출관로(174)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 배출관로(174)는 바디 배출포트(117)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70)에서 밸브 바디(110) 부분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하부 케이스(171)를 따로 분리하면 되므로, 케이스(170)와 밸브 바디(110) 부분의 조립 및 분해가 신속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71) 내부의 케이스 배출관로(174) 상에는 다른 부분보다 사이즈가 더 큰 쇽업 관로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밸브바디(110)의 드레인 패스(118)에서 케이스(170)의 케이스 배출관로(174)로 일정 압력의 배출 공기가 빠져 나갈 때에 압력이 상기 쇽업 관로부(175)를 통과하면서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밸브바디(110) 내부의 드레인 패스(118) 쪽으로 공기 배출시의 역류 압력이 작용되어 밸브바디(110)에 연결된 제어기기 등에 역류 압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어기기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공기가 쇽업 관로부(175)에서 적당한 압력으로 낮아진 상태에서 배출되므로, 공기의 배출 기능에 보다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71)와 밸브바디(11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셋트 돌기와 셋트홈이 구비되어, 상기 셋트돌기(PP)와 셋트홈(PG)을 맞춰주면, 상기 하부 케이스(171)의 케이스 배출관로(174)와 밸브바디(110)의 드레인 패스(118) 하단부와 연통된 바디 배출포트(117)가 자동으로 만나도록 정렬되므로, 상기 케이스 배출관로(174)와 바디 배출포트(117)를 맞추어서 케이스(170)와 밸브바디(110)를 조립하기가 보다 수월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밸브바디 112. 인렛 포트
114. 제1아울렛 포트 115. 제2아울렛 포트
116. 에어 배출로 117. 바디 배출포트
118. 드레인 패스 119. 어퍼 실드부
120. 스풀 122. 관통구멍
123. 내부 통로 125. 제1엔드스풀
126. 제2엔드스풀 130. 포핏 디스크
132. 제1포핏 133. 제2포핏
135. 포핏 디스크 152. 제1스프링
153. 제2스프링 170. 케이스
172. 벤트홀 174. 케이스 배출관로

Claims (2)

  1. 공기압 제어용 파일럿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압력 공기의 공급원에 연결된 인렛 포트(112)와 상기 인렛 포트(112)에 각각 연결되어 압력 공기를 제어 기구의 조작을 위해 배출시키는 제1아울렛 포트(114) 및 제2아울렛 포트(115)를 구비한 밸브바디(110);
    상기 밸브바디(11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대기와 연결된 관통구멍(122)을 가지며 중심선을 따라 통로가 형성된 스풀(120);
    상기 스풀(120)의 양단부를 개폐시키는 포핏 디스크(135);
    상기 인렛 포트(112)와 상기 제1아울렛 포트(114) 및 제2아울렛 포트(115)를 연결시키기 위한 제1아웃시트와 제2아웃시트를 개폐시키는 아웃시트 디스크(136)를 구비한 제1포핏(132) 및 제2포핏(133);
    상기 제1포핏(132)과 상기 제2포핏(133)을 각각 상기 스풀(120)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152) 및 제2스프링(153);
    상기 스풀(120)이 수용된 밸브바디(110)의 내부 공간을 대기와 연결시키는 공간과, 일정 압력의 공기를 공급받는 공간 및 제어기기에서 배출된 공기를 공급받는 공간으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밸브바디(110)에 설치된 복수개의 다이어프램;
    상기 밸브바디(110)가 내장된 케이스(170);
    상기 케이스(17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70) 둘레부의 벤트홀(172)과 연통된 케이스 배출관로(174);
    상기 제어기기에서 배출된 공기가 되돌아오는 통로인 에어 배출로(116)에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 배출관로(174)에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 배출관로(174)를 통해 상기 에어가 지나가서 상기 케이스(170)의 상기 벤트홀(172)로 배출되도록 상기 밸브바디(110)의 하부에 형성된 바디 배출포트(117);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바디(110)의 내부에는 파일럿밸브 조립체.
    상기 밸브바디(11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배출로(116)와 상기 바디 배출포트(117) 사이에 연통된 드레인 패스(118)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바디(110)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 배출로(116)의 상단부를 막아주는 어퍼 실드부(1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 배출로(116)를 통해 되돌아오는 에어가 상기 어퍼 실드부(119)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밸브바디(11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바디 배출포트(117)를 통해 상기 케이스(170)의 하부에 구비된 케이스 배출관로(174)로 통과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
  2. 삭제
KR1020160177510A 2016-12-23 2016-12-23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 KR101929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10A KR101929262B1 (ko) 2016-12-23 2016-12-23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10A KR101929262B1 (ko) 2016-12-23 2016-12-23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838A KR20180074838A (ko) 2018-07-04
KR101929262B1 true KR101929262B1 (ko) 2019-03-13

Family

ID=6291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510A KR101929262B1 (ko) 2016-12-23 2016-12-23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2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73Y1 (ko) * 2004-05-13 2004-07-27 주식회사 영텍 공압제어용 파일럿밸브조립체
JP2007040513A (ja) 2005-06-27 2007-02-15 Sp Kenkyusho:Kk ポジショナーのパイロット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73Y1 (ko) * 2004-05-13 2004-07-27 주식회사 영텍 공압제어용 파일럿밸브조립체
JP2007040513A (ja) 2005-06-27 2007-02-15 Sp Kenkyusho:Kk ポジショナーのパイロット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838A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912B1 (ko) 파일럿식 3포트 전환밸브
US9279433B2 (en) Poppet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a pneumatic actuator
JP6148239B2 (ja) 着座荷重付勢をもつボリュームブースター
US5971022A (en) Selector valve with counterflow prevention means
JPH02190687A (ja) パイロット制御される方向切換弁
US11067191B2 (en) Top cover for a soft throttling valve body, soft throttling valv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soft throttling valve
JP2006349041A (ja) パイロット式2ポート弁
CN107120329B (zh) 带隔离阀组件的比例压力控制器
KR101929262B1 (ko) 공기배출 방식을 개선한 공기압 조절용 파일럿밸브 조립체
US11846306B2 (en) Air cylinder, head cover, and rod cover
CN110030219B (zh) 先导换向阀和包括所述先导换向阀的阀系统
TW202314129A (zh) 真空噴射器及具備該真空噴射器的真空產生裝置
US10738898B2 (en) Switching valve
JP2019530831A (ja) 商用車の空気処理システム用の圧力調整弁
JP6966961B2 (ja) 制御弁
JP4905978B2 (ja) 圧力逃がし機能をもつ切換え弁
TW202120816A (zh) 氣壓缸、頭蓋及桿蓋
US20210324961A1 (en) Spool valve
US4830050A (en) Fluid control valve
CN111226046B (zh) 控制阀
CN112334691A (zh) 配备有压力释放阀的放气系统
JP6100550B2 (ja) 圧力制御弁
JP2001025939A (ja) 高圧クーラントバルブ
KR102043967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2018076941A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