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247B1 - 땀 유도용 헤어밴드 - Google Patents

땀 유도용 헤어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247B1
KR101929247B1 KR1020170091567A KR20170091567A KR101929247B1 KR 101929247 B1 KR101929247 B1 KR 101929247B1 KR 1020170091567 A KR1020170091567 A KR 1020170091567A KR 20170091567 A KR20170091567 A KR 20170091567A KR 101929247 B1 KR101929247 B1 KR 101929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at
band
inducing
guid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스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스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스켐
Priority to KR102017009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247B1/ko
Priority to US16/629,417 priority patent/US11406147B2/en
Priority to PCT/KR2018/007843 priority patent/WO2019017639A1/ko
Priority to JP2020502307A priority patent/JP6976008B2/ja
Priority to CN201880047304.XA priority patent/CN110913722B/zh
Priority to EP18835415.3A priority patent/EP3656248A4/en
Priority to TW107124775A priority patent/TWI67102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6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ead, e.g. diade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0Apparel
    • Y10S2/11Head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Cosme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운동 또는 작업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이마 부분으로 흐르는 땀이 눈 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하여 땀을 유도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hair band)로서,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체결하여 장착할 수 있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제1 밴드 부재와 제2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밴드부와 상기 제1 밴드 부재와 제2 밴드 부재 사이에 마련된 땀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와 땀 유도부는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마련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땀 유도용 헤어밴드{Hair band for sweat-diverting}
본 발명은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 또는 작업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이마 부분으로 흐르는 땀이 눈 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작업을 하거나, 등산 또는 운동 등을 할 경우 신체의 활동에 따라 많은 양의 땀이 배출된다. 땀에는 수분을 주로 하며 일부 요소, 요산, 지방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마라톤, 조깅, 사이클 및 등산 등의 운동을 하거나 야외 작업 등을 하면 체온 조절을 위해 땀이 흐르며, 이러한 땀에 함유된 미량의 화학성분이 눈에 들어가게 되면, 눈에 통증이 오게 되고 시야를 흐리게 하여 운동이나 등산을 함에 있어 방해 요소가 된다.
즉, 마라톤, 조깅, 사이클, 등산, 피지컬 피트니스(physical fitness) 등의 운동시, 신체부위 중 머리에서 이마로부터 흐르는 땀이 안면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땀의 흡수를 위한 헤어밴드를 착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헤어밴드는 주로 땀받이 부분이 섬유재로 형성되어 땀의 일부를 흡수하지만, 계속해서 흐르는 땀을 흡수하기에는 기능상 무리가 있다. 또 땀받이 부분이 땀에 젖을 경우 땀받이가 땀에 의해 부드러운 재질이 딱딱해지거나, 변형이 일어나 이질감을 느껴 신경이 예민한 사람은 아예 헤어밴드를 벗어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4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실질적으로 비 흡수성 밴드가 전방 밴드부 및 2개의 측면 밴드부를 포함하며, 밴드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배수 구조가 마련되고, 배수 구조는 배수 베이스와 배수 립을 포함하고, 전방 밴드부 및 제1 및 제2 측면 밴드부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된 배수 구조는 대략 U 자형 단면을 갖는 땀 채널을 형성하고, 배수 베이스는 중앙 부분에 제1 두께를 갖고, 그 단부에 제2 두께를 갖으며, 제1 두께는 제2 두께보다 크고, 배수 베이스는 중심부로부터 단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제1 두께로부터 제2 두께로 흐르며, 체결 구조는 2개의 패스너 및 탄성 루프 부재를 갖는 헤드 밴드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접착제에 의해 착용자에게 부착될 수 있는 땀 유도 장치로서, 머리 주위를 둘러싸지 않고 얼굴의 일부분(이마 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그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장치의 베이스에서 결합되는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포함하고, 착용자의 이마에 접착되어 사용되는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땀 배출 모자의 안쪽 전면에 결합되는 땀 배출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땀 배출 밴드는 일측 면이 상기 땀 배출 모자의 안쪽 전면에 결합되는 제1 밴드 부재, 일측 면이 이마에 밀착되는 제2 밴드 부재 및 상기 제1 밴드 부재의 타측 면의 하단과 상기 제2 밴드 부재의 타측 면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밴드 부재와 상기 제2 밴드 부재 사이에 도랑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땀 배출 모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4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에 탄력적으로 착용되는 헤어밴드(100), 땀넘침 방지턱(200), 땀 배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땀 배수 홈은 이마에서 흐르는 땀이 수용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헤어밴드의 전방 중앙부분에서 헤어밴드 양측면 중앙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되고, 땀넘침 방지턱(200)의 양 끝단부에는 땀 배수 홈을 통해 이송되는 땀이 배출되는 땀 배출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땀넘침 방지턱(200)은 상기 헤어밴드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땀 가이드부와 상기 땀 가이드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전후방으로 지그재그 주름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에 땀이 채워지는 주름 홈이 형성되는 땀넘침 방지부를 구비한 땀받이 밴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공보 US 7,398,559 (2008.07.15) 미국 특허공보 US 9,009,869 (2015.04.2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551호(2012.09.10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976호(2012.10.05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U 자형으로 마련된 배수 구조에서 중앙 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되고, 전방 밴드부에서 피부 접촉부가 배수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과다한 땀의 배출 시, 땀이 넘쳐 사용자의 눈 부분으로 흐를 수 있게 되며, 밴드부와는 별도로 탄성 루프 부재와 후크 파스너(fastener)를 마련해야 하므로 제조 과정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수부의 길이가 피부 접촉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배수부가 피부 접촉 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땀의 배출이 배수부를 통해 얼굴 부분으로 흐르게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접착 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눈 부분에 부착시키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접착 부재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반복 사용을 할 수 없으며, 접착 부재가 사용자의 피부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전용 모자를 사용하여야 하고, 모자에 밴드가 장착되므로 땀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모자를 사용자의 눈썹 부분까지 착용해야 하며, 이에 따라 모자의 챙 부분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고, 또한 사용 시 모자의 위치 변동에 따라 밴드의 위치도 변경되어 땀 배출 기능을 확실하게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모자를 착용하여야 땀 배출 기능을 실현하므로, 격렬한 운동시 모자가 벗겨지는 경우, 본연의 기능을 실현할 수 없으며, 피트니스 등 실내 운동시 통상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하지 않으므로 그 효용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 과다한 땀의 배출 시 사용자가 모자의 착용에 따른 답답함에 의해 모자를 벗는 경우, 땀 배출의 기능을 전혀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으며, 모자에 밴드를 장착하기 위해 밴드 부재를 필요 이상의 크기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4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다수의 주름 홈이 마련된 방지턱(200)의 부분이 헤어밴드부(100)보다 낮게 형성되어 과다한 땀의 배출 시 상기 특허문헌 1에 관해 제시된 바와 같이, 땀이 넘쳐 사용자의 눈 부분으로 흐를 수 있게 되며 벨크로 파스너와 고정링을 마련해야 하므로 제조 과정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밴드부와 땀 유도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체결 구조에 의해 착용 후 헤어밴드의 흘러내림과 풀어짐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헤어밴드의 밀착도를 높게 하여 땀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고, 쾌적한 사용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는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하여 땀을 유도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hair band)로서,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체결하여 장착할 수 있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 상기 제1 체결부를 구비한 제1 밴드 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를 구비한 제2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밴드부와 상기 제1 밴드 부재와 제2 밴드 부재 사이에 마련된 땀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 밴드부와 땀 유도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땀 유도부는 일 측면이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밀착되는 제1 유도 부재,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에 연속되어 마련된 땀 안내부, 상기 제1 유도 부재와 간격을 두고 상기 땀 안내부에 연속되어 마련된 제2 유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1 밴드 부재, 상기 제2 유도 부재 및 제2 밴드 부재는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2 유도 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외측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상기 제1 유도 부재 사이에서 틈새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제1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2 유도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유도 부재와 상기 제2 유도 부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다수의 제2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양단부에서 땀 안내부의 폭은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중앙 부분에서의 땀 안내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땀 유도부는 중앙부와 양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땀 유도부는 상기 밴드부에 대해 5~30도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에는 다수의 땀 배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상부는 마루와 골을 구비한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물결 형상의 마루의 부분은 상기 제2 유도 부재와 동일 높이이고, 상기 골의 부분은 상기 제2 유도 부재보다 낮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헤어밴드를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이중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밴드 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고정 돌기, 상기 제2 밴드 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고정 돌기,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돌기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밴드 부재 및 제2 밴드 부재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 부재에는 상기 제2 밴드 부재의 일부분이 통과하여 상기 제2 고정 돌기가 상기 제1 밴드 부재의 다수의 체결구에 체결되게 하기 위한 관통 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1 밴드 부재와 제2 밴드 부재에는 각각 헤어밴드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1 밴드 부재와 제2 밴드 부재에 각각 마련된 구멍에 인접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땀 안내부의 양단부에는 땀 배출 부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상부는 외측을 향해 굽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밴드부와 땀 유도부는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의하면, 체결 부재를 구비한 밴드부와 땀 유도부가 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의하면, 체결 부재가 밴드부와 함께 일체로 마련되므로, 체결 부재의 파손 또는 망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의하면, 제1 유도 부재의 상부가 마루와 골을 구비한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마 부분에서 흘러내린 땀이 마루에서 골을 향해 흘러내린 후 땀 안내부로 흐르게 하여 땀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의하면, 이중 체결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시 땀 유도용 헤어밴드 흘러내림과 풀어짐 등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둘레인 원형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의하면, 제1 밴드 부재와 제2 밴드 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원형 구멍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시, 착용감을 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헤어밴드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땀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땀받이 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체결 상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땀 안내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제1 유도 부재의 양단부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구조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체로 이루어진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대해 각각의 부분을 구획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 제1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1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체결 상태도 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용 상태도 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하여 땀을 유도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hair band)로서,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체결하여 장착할 수 있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를 포함하는 밴드부(10)와 상기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 사이에 마련된 땀 유도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10)와 땀 유도부(20)는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밴드부(10)와 땀 유도부(2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100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 압착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10)와 땀 유도부(20)는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며, 수지로서는 실리콘 수지 또는 연성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발수성(撥水性)을 가지며 생리적으로 무해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여 통상의 금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가 인체에 무해하며 사람피부와 가장 유사한 경도를 가진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여 금형 등에 의해 일체로 마련되는 경우, 피부 압박을 줄 수 있어 이질감을 해소하며, 하나의 공정에 의해 완성되므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밴드부(10)와 땀 유도부(2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헤드 밴드 장치 등에서 밴드부와 별도로 탄성 루프 부재, 후크 파스너(fastener) 등을 구비하므로 제조 공정이 번잡하고 이에 따른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땀 유도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이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밀착되는 제1 유도 부재(21), 상기 제1 유도 부재(21)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21)에 연속되어 마련된 땀 안내부(22), 상기 제1 유도 부재(21)와 간격을 두고 상기 땀 안내부(22)에 연속되어 마련된 제2 유도 부재(23)를 포함하며, 그 단면이 도 2에서 확대 부분인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으로 하여 일체로 마련된다.
본원 발명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21)의 외측은 사용시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맞닿는 부분을 의미하고, 제1 유도 부재(21)의 내측은 땀 안내부(22)를 향한 부분을 의미하며, 제2 유도 부재(23)의 내측은 땀 안내부(22)를 향한 부분을 의미한다.
또 상기 제1 유도 부재(21)의 상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와 골을 구비한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마루와 골의 각 부분은 땀 안내부(22)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된다. 또 상기 물결 형상의 마루의 부분은 상기 제2 유도 부재(23)와 대략 동일 높이이고, 상기 골의 부분은 제2 유도 부재(23)보다 낮게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유도 부재(23)의 높이를 제1 유도 부재(2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유도 부재(21)의 마루의 부분을 제2 유도 부재(23)보다 낮게 마련하여 과다한 땀의 배출 시, 땀이 제2 유도 부재(23)를 넘쳐 사용자의 눈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서 흘러내리는 땀이 제1 유도 부재(21)의 내측을 따라 땀 안내부(22)로 쉽게 타고 내려가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 의하면, 물결 형상의 구배를 통해 이마 부분으로 흘러내린 땀이 마루에서 골을 향해 흘러내린 후 땀 안내부(22)로 흐르므로,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의 땀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게 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마 부분에서 흘러내린 땀 방울이 작은 경우 땀 안내부로 유도되지 않고 헤어밴드의 상부를 따라 흐르는 상태가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유도 부재(21)의 상부가 물결 형상의 구배를 갖도록 마련되므로, 마루 부분으로 흐른 땀 방울은 곧바로 골 부분으로 흘러 땀 안내부(22)로 유도되고, 골 부분으로 흐른 땀 방울은 마루 부분에 의해 저지되어 땀 안내부(22)로만 유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헤어밴드의 상부를 따라 흐르는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이마 부부에 맞닿는 부분인 상기 제1 유도 부재(21)의 외측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상기 제1 유도 부재(21) 사이에서 틈새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제1 돌기(211)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유도 부재(21)의 외측의 하부에 다수의 제1 돌기(211)를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이마 부분의 피부와의 접촉 면을 최소화하여 착용시의 압박감 및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이마 부분의 피부와 제1 유도 부재(21) 사이에 미세한 틈새를 만들어져 외부 공기를 소통시킴으로써 쾌적한 사용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1 돌기(211)에 의해 착용시 제1 유도 부재(21)가 이마 부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1 유도 부재(21)의 상부에 형성된 마루 및 골 부분과 이마 부분의 밀착도를 높여 땀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며, 땀이 제1 유도 부재(21)의 외측을 통해 새어나와 얼굴을 타고 눈 부분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제1 밴드 부재(11), 제2 유도 부재(23) 및 제2 밴드 부재(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유도 부재(23)의 내측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유도 부재(21)와 제2 유도 부재(23)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다수의 제2 돌기(231)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된다. 상기 다수의 제2 돌기(23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착용시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땀 유도용 헤어밴드가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서 늘어나 제1 유도 부재(21)와 제2 유도 부재(23)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 유도 부재(21)의 내측으로 유도된 땀이 땀 안내부(22)로 안내된다. 또한, 도 2에서는 다수의 제2 돌기(231)가 제2 유도 부재(23)의 내측의 상부에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유도 부재(23)의 내측의 중앙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유도 부재(21)의 내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21)의 양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제1 유도 부재(21)의 양단부에서는 마지막의 골 부분이 제1 유도 부재(21)의 하단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에 의해 땀 안내부(22)로 유도된 땀이 땀 유도부(20)에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유도 부재(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 뒷부분까지 연장되게 마련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분으로 땀이 배출되게 한다.
상기 땀 유도부(20)의 제2 유도 부재(23)의 양측에 연속하여 마련된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헤어밴드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원형 구멍(111,121)이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에 각각 10개의 구멍이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이루는 재질에 따라 가감 가능하다. 상기 원형 구멍(111,121)은 신축 가능하여 착용감을 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통기성을 통해 공기유도를 시켜 사용시 쾌적함을 갖게 한다. 즉 상기 원형 구멍(111,121)은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상으로 변형되어 착용감을 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헤어밴드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이마 부분에 장착한 후, 땀 유도부(20)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끌면서 상하로 이동시켜 장착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원형 구멍(111,121)이 신장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형상으로 변형되며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는 제2 유도 부재(23)가 제1 유도 부재(21)보다 길게 형성되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 부재(21)의 양단부가 상기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에 각각 마련된 구멍(111,121)에 인접하여 마련되므로, 땀 안내부(22)로 유도된 땀이 사용자의 얼굴 부분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장착하고 땀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제2 유도 부재(23)가 제1 유도 부재(21)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2 유도 부재(23)의 양측이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에 연속하여 마련되며, 제1 유도 부재(21)가 사용자의 귀 뒷부분까지 연장되게 마련되므로, 땀이 사용자의 얼굴 부분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의 단부에는 체결 부재가 연속하여 마련된다.
이 체결 부재는 헤어밴드를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로 이루어진 이중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체결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밴드 부재(11)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고정 돌기(113), 상기 제2 밴드 부재(12)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고정 돌기(123),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돌기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밴드 부재(11) 및 제2 밴드 부재(12)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체결구(112, 122)를 포함하며, 제1 밴드 부재(11)에는 제2 밴드 부재(12)의 일부분이 통과하여 제2 고정 돌기(123)가 상기 제1 밴드 부재(11)의 다수의 체결구(112)에 체결되게 하기 위한 관통 홀(114)이 마련된다.
상기 이중 체결부를 이용하여 제2 밴드 부재(12)의 제2 고정 돌기(123)가 관통 홀(114)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밴드 부재(11)의 다수의 체결구(112) 중의 어느 하나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밴드 부재(11)의 제1 고정 돌기(113)가 제2 밴드 부재(12)의 다수의 체결구(122) 중의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띠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다수의 체결구(112, 122)는 도 2에서 4개를 마련하여 각각 4단계의 크기조절을 통해 사람마다 다른 두상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 가능하게 하며, 종래의 기술과 같이 별도의 유동성을 갖기 위한 추가 부품, 예를 들어 밴드 또는 O 링 등을 배제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과 직물로 된 고무 밴드가 땀으로 인한 냄새,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체결구(112, 122)를 도 2에서는 4개를 마련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개 미만 또는 4개를 초과하여 마련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는 밴드부(10)와 땀 유도부(20)는 금형(1000)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밴드부(10)에 이중 체결부가 마련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의 부품 파손, 예를 들어 버클, 버튼 또는 매직 테이프 등의 기능 상실, O 링의 파손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밴드 부재(12)의 제2 고정 돌기(123)가 관통 홀(114)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밴드 부재(11)의 다수의 체결구(112)에 체결되고, 상기 제1 밴드 부재(11)의 제1 고정 돌기(113)가 제2 밴드 부재(12)의 다수의 체결구(122)에 체결되는 구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시 땀 유도용 헤어밴드 흘러내림과 풀어짐 등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따른 원형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제1 고정 돌기(113)와 제2 고정 돌기(123)가 각각 다수의 체결구(112, 122) 중의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고정 돌기(113)와 제2 고정 돌기(123)가 다수의 원형 구멍(111,121) 중의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 제2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2 실시 예를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2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그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로서, 땀 유도부(20)의 제1 유도 부재(21)와 제2 유도 부재(23)의 상태 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땀 유도부(20)가 중앙부와 양단부로 이루어진 형상에서 상기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땀 유도부(20)는 상기 밴드부(10)에 대해 5~20도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실시 예에서는 밴드부(10)와 땀 유도부(20)이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착용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땀 유도용 헤어밴드 자체를 경사지게 착용하는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제2 실시 예에서는 땀 유도부(20)가 밴드부(10)에 대해 5~20도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이마 부분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착용을 하여도 땀 유도부(20)가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땀 안내부(22)도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땀 안내부(22)로 유도된 땀이 제1 유도 부재(21)의 양단부로 원활하게 유도되어 배출된다.
한편, 제1 유도 부재(21)가 중앙부와 양단부로 이루어진 형상에서 상기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유도 부재(21)의 중앙부에서의 마루는 제2 유도 부재(23)와 대략 동일 높이로 마련되며, 상기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제1 유도 부재(21)의 마루가 제2 유도 부재(23)의 높이보다 점차 낮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 예에서는 제1 유도 부재(21)의 마루가 직선상에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유도 부재(21)의 마루가 곡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 제3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3 실시 예를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3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그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땀 유도부(20)가 밴드부(10)에 대해 10~30도의 경사(α)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제3의 실시 예에서 땀 유도부(20)가 밴드부(1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 이외는 제1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땀 유도부(20)가 밴드부(1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형(1000)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대략 직선 형상으로 착용을 하여도, 땀 유도부(20)가 밴드부(10)에 대해 경사지게 장착되므로, 제2 실시 예와 같이 땀 안내부(22)로 유도된 땀이 제1 유도 부재(21)의 양단부로 원활하게 유도되어 배출된다.
[ 제4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4 실시 예를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4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그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의 각각에 하나의 긴 구멍(111, 121)이 마련된 것이다. 즉 제1 실시 예에서는 헤어밴드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에 각각 10개의 구멍이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제4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긴 구멍을 마련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하나의 긴 구멍(111,121)을 마련하므로, 밴드부(10)와 땀 유도부(20)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금형(10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 제5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5 실시 예를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5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그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로서, 제1 유도 부재(21)의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 부재(21)에 다수의 땀 배출구(212)를 마련한 것이다.
즉 다수의 땀 배출구(2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 부재(21)의 마루가 형성된 부분의 하부에 마련된다. 또 도 9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다수의 땀 배출구(212)가 마루 형성 부분의 하부에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골이 형성된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밀착되는 제1 유도 부재(21)에 다수의 땀 배출구(21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 유도 부재(21)가 장착된 이마 부분에서 발생하는 땀을 땀 배출구(212)를 통해 땀 안내부(22)로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착용에서 더욱 쾌적함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5 실시 예의 구조는 상술한 제2 내지 제4 실시 예의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 제6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6 실시 예를 도 10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6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그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땀 안내부의 단면도로서, 제1 실시 예의 변형인 제1 유도 부재(21)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는 제1 유도 부재(21)의 상부가 외측을 향해 굽혀진 상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1 유도 부재(21)의 상부가 외측을 향해 굽혀진 상태로 마련되는 것에 의해, 사용시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제1 유도 부재(21)의 밀착력이 향상되어 이마 부분에서 흐르는 땀이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맞닿는 부분인 제1 유도 부재(21)의 외측으로 향해 흐르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 제7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7 실시 예를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7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그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제1 유도 부재의 양단부의 단면도로서, 제1 유도 부재(21), 땀 안내부(22), 제2 유도 부재(23)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는 땀 유도부(20)가 중앙부와 양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땀 안내부(22)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즉, 땀 안내부(22)의 중앙 부분은 도 2 또 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제1 유도 부재(21)의 양단부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자 형으로 마련되어 땀 안내부(22)의 폭이 제1 유도 부재(21)의 중앙 부분에서의 양단부로 갈수록 땀 안내부(22)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제1 유도 부재(21)의 양단부가 제2 유도 부재(23)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 부분으로 눌려지는 구조로 되므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도 땀 유도부(20)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제8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8 실시 예를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8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그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 부재(21)의 양단부에 땀 배출 부재(30)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땀 배출 부재(30)는 제1 유도 부재(21)와 땀 안내부(22) 및 제2 유도 부재(23)의 일부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에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땀 배출 부재(30)는 예를 들어 흡착재, 합성 수지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마련되고, 빨대 또는 스트링(string)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 땀 배출 부재(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땀 안내부(22)로 유도된 땀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지 않고 직접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땀 배출에 대해 더욱 쾌적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 제9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9 실시 예를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9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그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가 마련되지 않고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 사이가 개방된 구조로 마련된다. 즉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 내에는 각각 구부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금속재의 핀(60)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핀(60)은 밴드부(10)와 땀 유도부(20)를 금형(1000)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1000) 내의 제1 밴드 부재(11)와 제2 밴드 부재(12)의 형성 부분에 미리 장착하고, 밴드부(10)와 땀 유도부(20)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핀(60)의 강도, 길이 등은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밀착 시킬 정도이며 충분하며, 특정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는 체결 부재를 마련하지 않으므로, 체결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보다 단순화된 금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 제10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제10 실시 예를 도 14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10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그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가 헤어밴드의 장착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과 같이 탄성 루프 부재(40)와 이 루프 부재(40)에 결합되는 스트랩(strap, 50)을 마련한 것이다. 또 스트랩(50)으로서는 버클, 버튼, 매직 테이프 중의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같이 예를 들어 탄성 루프 부재와 후크 파스너를 적용하여도, 제1 유도 부재(21)의 상부가 마루와 골을 구비한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물결 형상의 구배를 통해 이마 부분에서 흘러내린 땀이 마루에서 골을 향해 흘러내린 후 땀 안내부(22)로 흘러 종래의 기술에 비해 땀 흐름이 원활하게 유도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땀 유도용 헤어밴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0 : 밴드부
11 : 제1 밴드 부재
12 : 제2 밴드 부재
20 : 땀 유도부
21 : 제1 유도 부재
22 : 땀 안내부
23 : 제2 유도 부재

Claims (19)

  1.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탄력적으로 착용하여 땀을 유도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hair band)로서,
    상기 헤어밴드를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로 이루어진 이중 체결부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
    상기 제1 체결부에 연속하여 마련된 제1 밴드 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에 연속하여 마련된 제2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밴드부와
    상기 제1 밴드 부재와 제2 밴드 부재 사이에 마련된 땀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 밴드부와 땀 유도부는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고,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서 단일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2. 제1항에서,
    상기 땀 유도부는
    일 측면이 사용자의 이마 부분에 밀착되는 제1 유도 부재,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에 연속되어 마련된 땀 안내부,
    상기 제1 유도 부재와 간격을 두고 상기 땀 안내부에 연속되어 마련된 제2 유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밴드 부재, 상기 제2 유도 부재 및 제2 밴드 부재는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4. 제2항에서,
    상기 제2 유도 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5. 제2항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외측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이마 부분과 상기 제1 유도 부재 사이에서 틈새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제1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6. 제2항에서,
    상기 제2 유도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유도 부재와 상기 제2 유도 부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다수의 제2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7. 제2항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양단부에서 땀 안내부의 폭은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중앙 부분에서의 땀 안내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8. 제1항에서,
    상기 땀 유도부는 중앙부와 양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9. 제1항에서,
    상기 땀 유도부는 상기 밴드부에 대해 5~30도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10. 제2항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에는 다수의 땀 배출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11. 제2항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상부는 마루와 골을 구비한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12. 제11항에서,
    상기 물결 형상의 마루의 부분은 상기 제2 유도 부재와 동일 높이이고, 상기 골의 부분은 상기 제2 유도 부재보다 낮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13. 삭제
  14. 제1항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밴드 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고정 돌기, 상기 제2 밴드 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고정 돌기,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돌기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밴드 부재 및 제2 밴드 부재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 부재에는 상기 제2 밴드 부재의 일부분이 통과하여 상기 제2 고정 돌기가 상기 제1 밴드 부재의 다수의 체결구에 체결되게 하기 위한 관통 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15. 제2항에서,
    상기 제1 밴드 부재와 제2 밴드 부재에는 각각 헤어밴드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제1 밴드 부재와 제2 밴드 부재에 각각 마련된 구멍에 인접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17. 제3항에서,
    상기 땀 안내부의 양단부에는 땀 배출 부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18. 제3항에서,
    상기 제1 유도 부재의 상부는 외측을 향해 굽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19. 제1항에서,
    상기 밴드부와 땀 유도부는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 유도용 헤어밴드.
KR1020170091567A 2017-07-19 2017-07-19 땀 유도용 헤어밴드 KR101929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567A KR101929247B1 (ko) 2017-07-19 2017-07-19 땀 유도용 헤어밴드
US16/629,417 US11406147B2 (en) 2017-07-19 2018-07-11 Hairband for guiding sweat
PCT/KR2018/007843 WO2019017639A1 (ko) 2017-07-19 2018-07-11 땀 유도용 헤어밴드
JP2020502307A JP6976008B2 (ja) 2017-07-19 2018-07-11 汗誘導用ヘアバンド
CN201880047304.XA CN110913722B (zh) 2017-07-19 2018-07-11 汗液诱导用发带
EP18835415.3A EP3656248A4 (en) 2017-07-19 2018-07-11 HAIR BAND FOR WELDING GUIDANCE
TW107124775A TWI671022B (zh) 2017-07-19 2018-07-18 汗液誘導用髮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567A KR101929247B1 (ko) 2017-07-19 2017-07-19 땀 유도용 헤어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247B1 true KR101929247B1 (ko) 2018-12-14

Family

ID=6474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567A KR101929247B1 (ko) 2017-07-19 2017-07-19 땀 유도용 헤어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06147B2 (ko)
EP (1) EP3656248A4 (ko)
JP (1) JP6976008B2 (ko)
KR (1) KR101929247B1 (ko)
CN (1) CN110913722B (ko)
TW (1) TWI671022B (ko)
WO (1) WO20190176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63Y1 (ko) * 2018-12-26 2020-06-22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
KR20220077025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코리아스포츠 땀 흘림 방지용 헤어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7485S1 (en) * 2018-11-13 2021-11-30 Durham Enterprises Corporation Hair elastic
USD938650S1 (en) * 2018-11-13 2021-12-14 Durham Enterprises Corporation Hair elastic
USD959740S1 (en) 2019-07-26 2022-08-02 Sparkly Soul, Inc. Thin headband with a single row of stitching
USD959739S1 (en) 2019-07-26 2022-08-02 Sparkly Soul, Inc. Thin, glittered headband with a single row of stitching
CN111617400B (zh) * 2020-05-26 2021-06-15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防疫用防护头罩
USD1000757S1 (en) * 2022-06-20 2023-10-10 Chao Huang Sweat headb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525A (ja) * 2000-10-27 2002-07-19 Teizo Hirata 汗取りバンド
KR200459163Y1 (ko) * 2011-10-24 2012-03-21 주홍일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2539A (en) * 1921-04-29 1921-10-04 Carl M Tipograph Sweatband
US2320782A (en) * 1942-05-28 1943-06-01 Thomas H Larsen Forehead perspiration diverter
US4638512A (en) * 1985-04-11 1987-01-27 Frankel Alfred R Sweat collecting headband
JPH0719363Y2 (ja) * 1988-08-24 1995-05-10 米正株式会社 パーマ液等の垂れ落ち防止バンド
US4941210A (en) * 1988-12-02 1990-07-17 Konucik George J Quick-change sweat band
US5432955A (en) * 1994-05-23 1995-07-18 Plotka; Artur P. Quick release reusable sweatband
KR19980061440U (ko) * 1997-03-25 1998-11-05 이오승 모자의 길이조절용 밴드 결속구
US6353936B2 (en) * 1999-12-30 2002-03-12 Erick P. Flatt Perspiration redirecting head band apparatus
US6584984B2 (en) * 2001-03-17 2003-07-01 Paula L. Kelly Protective headband
US8296866B2 (en) * 2005-05-16 2012-10-30 Kelly Paula L Sweatband
US7398559B2 (en) * 2005-10-11 2008-07-15 Gutr, Inc. Perspiration redirecting head band device
TWM312226U (en) * 2006-11-16 2007-05-21 Qbas Co Ltd Hair band adjusting apparatus
KR200462551Y1 (ko) * 2011-02-21 2012-09-14 윤문희 땀 배출 모자
KR200462976Y1 (ko) 2012-04-13 2012-10-16 이형식 땀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땀받이밴드
US20150143615A1 (en) * 2012-04-23 2015-05-28 Daniel A. LePage Liquid Collector Mountable to an Object for Collecting Liquid from the Object
TWM437077U (en) * 2012-05-04 2012-09-11 Jin-Long Xie Sweat guiding strap
US10813401B2 (en) * 2013-07-31 2020-10-27 Zymplr LC Headband to reduce concussions and traumatic brain injuries
CA2935020C (en) 2013-12-27 2022-10-18 Rosecroft Components, Inc. Sweat diverter
US10383386B2 (en) * 2015-04-02 2019-08-20 Carl J. Abraham Universal protective headgear
CN106063603A (zh) * 2016-07-18 2016-11-02 徐泱忠 导汗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525A (ja) * 2000-10-27 2002-07-19 Teizo Hirata 汗取りバンド
KR200459163Y1 (ko) * 2011-10-24 2012-03-21 주홍일 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63Y1 (ko) * 2018-12-26 2020-06-22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
KR20220077025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코리아스포츠 땀 흘림 방지용 헤어밴드
KR102602728B1 (ko) * 2020-12-01 2023-11-16 주식회사 코리아스포츠 땀 흘림 방지용 헤어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7816A (zh) 2019-03-01
EP3656248A4 (en) 2021-01-13
WO2019017639A1 (ko) 2019-01-24
TWI671022B (zh) 2019-09-11
EP3656248A1 (en) 2020-05-27
JP2020529874A (ja) 2020-10-15
CN110913722B (zh) 2022-08-02
US11406147B2 (en) 2022-08-09
JP6976008B2 (ja) 2021-12-01
US20200196690A1 (en) 2020-06-25
CN110913722A (zh)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247B1 (ko) 땀 유도용 헤어밴드
US6238413B1 (en) Apparatus for applying cranial occipital pressure
US8209778B2 (en) Headgear
US7398559B2 (en) Perspiration redirecting head band device
US10182607B2 (en) Headgear safety apparatus
US11388944B2 (en) Chin strap
US20020007195A1 (en) Apparatus for applying cranial occipital pressure
US20070044204A1 (en) Sweatband
CN217012881U (zh) 一种口罩佩戴带
US20110308528A1 (en) Sleep disorder relief device and method
KR200490048Y1 (ko)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CN212754373U (zh) 一种可调松紧的头戴式口罩
KR102317939B1 (ko) 마스크 착용밴드
KR200462976Y1 (ko) 땀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땀받이밴드
JP2002201525A (ja) 汗取りバンド
US20130261523A1 (en) Conformable Back Brace
KR20140002514A (ko) 안면 팩용 기구
CN212165040U (zh) 一种人工学头带
JP3227275U (ja) 背筋姿勢矯正ベルト
CN218773384U (zh) 矫形固定护腰带
CN214285895U (zh) 易于识别的头戴式眼针装置
CN219207582U (zh) 一种冬夏两用可拆卸的理疗颈椎护脖套
WO2018201216A1 (en) Garment fitting mechanism and hat incorporating same
CN207492190U (zh) 一种可调节后帮面的舒适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