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089B1 -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089B1
KR101929089B1 KR1020150000666A KR20150000666A KR101929089B1 KR 101929089 B1 KR101929089 B1 KR 101929089B1 KR 1020150000666 A KR1020150000666 A KR 1020150000666A KR 20150000666 A KR20150000666 A KR 20150000666A KR 101929089 B1 KR101929089 B1 KR 101929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uide panel
guide
sidewalk b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140A (ko
Inventor
임철수
임아름
임다운
임미래
Original Assignee
임철수
임아름
임다운
임미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수, 임아름, 임다운, 임미래 filed Critical 임철수
Priority to KR102015000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0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횡단보도 양쪽 가장자리의 보행자 통로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선의 점자보도블록을 상부 면이 투명한 케이스형 보도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내부에 회전되는 다수의 삼각형안내패널을 장착하고 상기 안내패널 각 면에 신호등의 신호색깔인 적색 및 녹색 또는 '위험하니 뒤로물러나세요' 등 안내 문자를 형성하여 보행신호등과 연동하여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패널이 회전되며 진행 및 정지의 색깔 또는 안내 문자를 표시하여 보행신호를 하는 시스템으로서, 신호등의 진행신호인지 정지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신호등과 동시에 안전선보도블록이 진행 및 정지의 색깔을 표시하게 하기 위하여 신호등의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
상기 신호감지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안전선보도블록으로 하여금 보행자의 보행 및 정지의 색깔 또는 안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부;
상면을 윈도우로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하면서 진행 및 정지의 색깔 또는 안내 문자를 표시하는 안내패널, 상기 안내패널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패널을 회전 및 정지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상기 신호등의 점등신호에 따라 회전 및 정지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부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선보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A traffic light system synchronized with paving block}
본 발명은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횡단보도 보행자신호등이 적색신호 시 보행자가 대기하는 대기선 즉 안전선의 보도블록을 신호등과 연동하여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보도블록을 통해 안내 문자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등이 적색신호인지 녹색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적색신호면 보도블록으로 하여금 '위험하니 뒤로 물러서 주십시오', 녹색신호면 '좌우를 살피며 건너 가세요' 등 안내 문자를 표시하게 하기위하여 신호등의 전원케이블을 직접 또는 간접연결 하는 방법으로 신호감지부를 설치하고 신호감지부로 하여금 전기신호를 감지하고 컨트롤부가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보도블록으로 하여금 상기와 같은 안내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컨트롤하며 상기 보도블록은 케이스형으로 형성하여 케이스 상면부는 윈도우로 형성되며, 케이스내부에서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안내패널이 구동부로 하여금 회전되면서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내용의 안내 문자를 표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차도를 보행자가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신호하는 장치로서 통상 차도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의 양측에 보행자신호인 적색과 녹색의 조명을 이용하여 보행자가 대기 또는 차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보행자들은 횡단보도에 인접한 안전선의 보도블록에서 건너편 신호등을 확인하여 횡단보도를 건너가게 되는데 이때 저 시력자 및 노약자들은 건너편의 신호등의 인식이 어려울 수 있으며 또한 트럭 등 대형차량이 횡단보도에 근접하여 정차할 경우 건너편 신호등이 보이지 않는 경우 불편하며 또한 보행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안전선보도블록 안쪽으로 들어와 있을 경우 도로 갓길을 주행하는 차량들로 하여금 교통사고의 위험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또한 안전선의 보도블록은 보행자가 왕래하는 인도에 설치되어 차도와 구분하며 안전하게 대기하라는 일종의 안전선으로서 안전선보도블록 상면을 투명하게 하여 내부에서 불빛이 비추도록 한 발광보도블록이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10-2005-0135105,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20-2012-0001975,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20-2006-0027635,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10-2009-0045327을 살펴보면 신호등과 발광보도블록을 연계하여 보행자신호에 따라 발광보도블록의 발광신호가 연동되며 즉 신호등 신호가 적색이면 발광보도블록의 발광신호도 적색, 신호등 신호가 녹색으로 바뀌면 발광보도블록의 발광신호가 동시에 녹색발광으로 바뀌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보도블록에 발광으로 처리함으로 야간에는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낮에는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의 신호등 및 전광판은 발광부위에 그늘막이 형성되어 있어 발광부에 그늘이 형성되므로 신호등 및 전광판의 발광 빛이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보도블록의 경우 보행자가 보도블록의 상면부 윈도우 바로위에서 아래로 봐야 하기 때문에 그늘막 등을 설치할 수 없어 햇빛의 직사광선이 보도블록 위로 직접 비추어 보행자로 하여금 보도블록의 발광 색을 확인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야간보다 낮에 횡단보도 이용자가 월등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낮에는 작동하지 않고 야간에만 작동하는 결정적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적색신호 시 '위험하니 뒤로 물러서 주십시오', 녹색신호 시 '좌우를 살피며 건너가세요' 등 안내 문자를 표시하지 못함으로 단순 야간에 발광기능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은, 종래에 사용되던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시스템과는 다른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은, 발광보도블록의 발광상태를 낮에는 확인할 수 없는 기존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상부면이 윈도우로 이루어진 보도블록 내부에 삼각형 모양의 다수개의 안내패널을 설치하여 삼각형의 각 면을 신호등의 신호에 따른 안내 문자를 형성하여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상기 삼각형안내패널이 회전됨으로 보행자가 낮에도 보도블록의 안내 문자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어 종래의 시스템이 안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은,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제어부와 보도블록이 연동하여 안내문자 또는 신호를 표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보행자신호등이 적색신호인지 녹색신호인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컨트롤부로 전송하는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을 제어하며 보행자신호등이 적색신호인지 녹색신호인지를 컨트롤부로 전송하는 신호등제어부;
상기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도블록으로 안내문자를 표시하도록 하는 컨트롤부; 상기 보행자신호등의 적색신호 및 녹색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내용의 안내문자를 표시하는 보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은, 상기 보도블록은, 상면을 윈도우로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되면서 안내문자 또는 신호를 표시하는 다수의 삼각형안내패널 또는 평판안내패널, 상기 삼각형안내패널 또는 평판안내패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보도블록은, 상면을 윈도우로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제1문자표시부와 제2문자표시부가 중첩되게 형성 또는 제1문자표시부 및 제2문자표시부와 바탕표시부가 중첩되게 형성되며, 제1문자표시부는 투명패널에 문자액정이 형성되고, 제2문자표시부는 투명 또는 칼라의 패널에 문자액정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부의 신호에 따라 제1문자표시부의 문자가 표시되면 제2문자표시부의 문자는 표시되지 않고, 제2문자표시부의 문자가 표시되면 제1문자표시부의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보도블록은, 상면을 윈도우로 형성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 측은 투명창 다른 일 측은 불투명창으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내부의 불투명창 측에 형성되는 제2안내패널 수납부, 각각의 다른 내용의 안내문자 또는 신호를 표시하는 제1안내패널 및 제2안내패널, 상기 제2안내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또는 자석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부의 신호에 따라 제2안내패널이 제2안내패널 수납부로 이동 또는 투명창 쪽으로 이동하며, 제1안내패널 및 제2안내패널이 투명창을 통해 안내문자 또는 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보도블록은, 상면을 윈도우로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부안내문자 표시면과 하부안내문자 표시면이 상하 교체되며 안내문자를 표시하는 것 또는 안내문자표시 디스플레이부로 안내문자를 표시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은, 신호등과 연동하여 안전선보도블록의 안내문자를 신호등 신호에 따라 동시에 보여줌으로 보행자가 신호의 인식이 편리하며, 또한 '위험하니 뒤로물러나세요' 등 안내 문자를 표시하며,
특히 신호등과 연동된 보도블록의 안내 문자가 통행량이 많은 낮에도 선명하게 인식이 가능함으로 낮과 밤 겸용으로 안전선의 보도블록을 통한 위험안내가 가능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이며, 또한 보행자신호등이 적색신호 시 안전선보도블록의 신호도 정지신호를 표시하거나 또는 '위험하니 안전선 밖으로 나오세요'라는 문구가 표현됨으로 적색신호에서 녹색신호로 바뀌기 전 보행자들이 안전선을 넘어 차도에 진입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보행자들의 편리와 교통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설치된 모습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방법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방법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보도블록을 일부 절개한 확대도.
도 6은 도5 A에서 B까지의 단면도.
도 7은 도5 C에서 D까지의 단면도.
도 8은 안내패널 사시도.
도 9는 안내패널 종류.
도 10은 안전선 보도블록의 사이즈별 사시도.
도 11은 제1전원감지부인 커플링 확대도.
도 12는 삼각안내패널과 V자형안내패널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부 종류들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수개의 풀리 또는 축연장부를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도14의 연결방법의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른 방법의 안내패널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른 방법의 안내패널 사시도.
도 18은 안내패널 회전부 다른 방법을 나타낸 단면계략도.
도 19는 도18의 안내패널을 회전하는 과정의 T자형회전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계략도.
도 20은 도18의 안내패널을 녹색면으로 회전된 상태의 T자형회전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계략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중 안내패널 올림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평면 내부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케이스 다른 방법의 평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중 삼각안내패널이 상부로 올라간 상태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중 삼각안내패널이 상부로 올라가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중 삼각안내패널이 회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안전선 보도블록 배면을 나타내는 계략적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안전선 보도블록 다른 방법의 배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안전선 보도블록 다른 방법의 배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안전선 보도블록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멀티탭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0은 본 발명의 안전선 보도블록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멀티탭의 다른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들.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 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 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시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제3, 제4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의 속성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신호' 란, 정지하라는 적색 또는 보행하라는 녹색 표시를 말하며, '신호등제어부' 란, 기존 신호등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등을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과 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일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제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설치된 모습의 개략도이고 도2, 도3,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먼저 도1을 살펴보면 차도(1)에 보행자가 안전하게 건너갈 수 있도록 횡단보도(4)가 설치되어 있으며 횡단보도(4) 양쪽 끝 인도(2)와 연결되는 부분에 안전선의 보도블록(5)이 설치되어 있다.
보행자가 신호등(3)의 보행신호에 따라 횡단보도(4)을 건너가게 되는데 신호등(3)이 보행자가 건너가는 녹색등에서 정지신호인 적색등으로 바뀌면 인도(2)의 횡단보도(4)쪽에 설치되어 있는 보도블록(5)이 '안전선 밖으로 나오세요' 녹색신호일 경우 '좌우를 살피며 건너가세요' 등 안내 문자를 보여준다.
또한, 밝기감지센서(3-3)를 통해 신호등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주간이라 할지라도 안개, 황사, 스모그, 우천 등으로 인해 주변이 어두울 경우 이를 컨트롤부(6)에 전송하여 컨트롤부(6)로 하여금 보도블록(5)의 발광부가 발광되게 하여 어떤 환경이든 효율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2를 살펴보면, 신호등(3)의 적색 또는 녹색신호를 통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가게 되는데 신호등(3)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31), (32)에 신호감지부(7),(7-1)를 설치하여 상기 신호감지부(7),(7-1)로부터 신호등(3)의 전원흐름을 감지하면 컨트롤부(6)에서 이를 전달받아 보도블록(5)이 안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컨트롤하게 되며 컨트롤부(6) 설치는 신호등지주, 안전선의 보도블록내부, 안전선의 보도블록주변 중 현장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설치하면 될 것이다.
또한, 신호감지부(7),(7-1)는 적색신호 전원케이블과 녹색신호 전원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에 형성하거나 또는 양쪽케이블에 모두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안전선보도블록(5)에 전원공급은 신호등에 공급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며 경우에 따라 신호등 전원공급케이블에서는 신호등의 점등유무의 신호만 전달받고 안전선보도블록(5)에 전원공급은 가로등의 전원을 공급받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전선보도블록(5)에 가로등의 전원을 공급할 경우 가로등은 통상 야간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주간에는 단전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야간에 공급되는 가로등의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였다가 주간에 가로등의 전원이 단전되면 안전선보도블록(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도면 미도식)를 설치하였으며 이때 배터리는 통상의 배터리를 말하며 신호등지주, 가로등지주, 안전선보도블록주변 중 현장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설치하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감지부(7)는, 신호등의 전원케이블(31), (32)에 커플링(17)을 형성하여 신호등의 점등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이용하여 안전선의 보도블록(5)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보도블록(5)은 상면을 윈도우로 형성한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되면서 안내문자 또는 신호를 표시하는 다수의 삼각형안내패널(12-1) 또는 평판안내패널(12-2), 상기 삼각형안내패널(12-1) 또는 평판안내패널(12-2)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3) 및 구동부(14)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는, 다수의 삼각안내패널(12-1) 또는 평판안내패널(12-2) 일 측에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 기어(13-7), 풀리(13-8), 축연장부(13-9), T자형회전부(101) 중 어느 하나와 구동부가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안내패널(12)은 다수개로 이루어진 삼각형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삼각형모양의 다수의 안내패널(12-1)은 각 면 중 제1면(12-3)은 '위험하니 뒤로물러나세요' 등 안내 문자, 제2면(12-4)은 '좌우를 살피며 건너가세요' 등 안내 문자, 제3면(12-5)은 기타문자로 형성되어 있다.
신호등(3)의 신호가 적색이 되면 컨트롤부(6)에서 보도블록(5)의 구동부(14)를 컨트롤하여 회전부(13)를 통해 다수개의 안내패널(12)을 회전시켜 안내패널(12)의 제1면(12-3)이 케이스(11)상면인 윈도우(9)쪽으로 향하도록 하면 보행자는 신호등(3)의 적색신호와 동시에 보도블록(5)의 '위험하니 뒤로물러나세요' 등 안내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4)를 통해 안내패널(12)을 구동시키는 것은 각각의 안내패널축(19) 일측에 구동부를 연결 또는 각각의 안내패널(12)에 연결된 회전부(13) 즉 제1회전부(13-1), 제2회전부(13-2), 제3회전부(13-3), 제4회전부(13-4), 제5회전부(13-5)가 서로 연결되어 구동부회전부(13-6)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부(14)의 회전에 따라 다수개의 안내패널(12)이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각 회전부(13)는 기어(13-7), 풀리(13-8), 축연장부(13-9)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서 구동부(14)를 통해 안내패널(12)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방법의 장치는 모두 회전부(13)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즉 구동부회전부(13-6)와 기어로 연결, 체인(도면 미도식)으로 연결, 끈(80)으로 연결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동부(14)는 안내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모터를 사용하게 될 것이며 모터이외 솔레로이드 등 안내패널을 회전시키기에 구동되는 모든 장치들은 구동부(14)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이때 보도블록(5)의 삼각안내패널(12-1)이 '위험하니 뒤로 물러나세요' '안전선 밖으로 나오세요' 등 안내문자(21)가 보임으로 보행자는 안전선의 보도블록(5)바깥쪽에서 기다리게 될 것이다.
또한, 삼각안내패널(12-1)을 회전 시 일정시간 간격으로 안내패널 어느 한 면과 다른 한 면을 교차하며 좌우로 회전하면 한 면과 다른 한 면이 빠른 속도로 왔다 갔다 함으로 보행자로 하여금 깜박 깜박 하게 보임으로 안전선의 보도블록(5)에 시선을 집중 및 표시를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6)는, 정전 등 시스템 고장 시 케이스(11)의 윈도우(9)에 표시되는 신호표시가 삼각형의 안내패널(12-1) 3면 중 신호 또는 안내문자 표시가 아닌 일반 색을 표시할 수 있도록 삼각안내패널(12-1)을 회전 시켜 보행자로 하여금 고장임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평소 신호대기인 보행자들을 보면 신호대기 중 안전선을 넘어 도로변까지 진입하여 있는 경우를 많이 목격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진행하는 차량에 의하여 매우 위험한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 무의식적으로 안전선을 넘어 서 있을 경우 상기와 같이 안전선의 보도블록(5)에서 "안전선 밖으로 나오세요", "위험하니 뒤로 물러나세요" 등 안내 문자가 보일 경우 보행자는 뒤로 물러나 안전하게 신호대기를 하고 있을 것이다.
(제2실시 예)
상기 제1실시 예의 신호감부(7)와 달리 기존 신호등(3)을 제어하는 신호등제어부(도면 미도식)와 안전선의 보도블록 컨트롤부(6)를 연결하여 상기 신호등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안전선의 보도블록(5)으로 하여금 신호등(3)의 신호에 따라 안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3을 살펴보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방법의 구성도로서 신호등(3)의 신호감지를 제2신호감지부(7),(7-2)를 통해 신호등(3)의 발광부에 광원센서(8)를 형성하여 신호등(3)의 점등 유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제2신호감지부(7),(7-2)는 광원센서(8)로서 신호등발광부(3-1)의 광원을 감지하는 것이다.
도4를 살펴보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 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른 방법의 구성도로서, 신호등(3)의 신호감지를 제1신호감지부(7)(7-1)인 커플링(17) 및 제2신호감지부(7-2)인 광원센서(8)를 사용하지 않고 신호등(3) 전원케이블(31)(32)에 직접 연결하여 신호등(3)의 점등 유무를 감지하는 것 즉 컨트롤부(6)와 연결된 제7케이블(37), 제8케이블(38), 제9케이블(39)을 직접연결(7-3)하여 신호등(3)의 신호에 따라 보도블록(5)의 안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실시 예의 신호감지(7)와 달리 기존 신호등(3)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용 안내방송 컨트롤부(도면 미도식)와 보도블록(5) 컨트롤부(6)를 연결하여 신호등의 점등유무를 감지 즉 상기 시각장애인용 안내방송 컨트롤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안전선의 보도블록(5)으로 하여금 신호등(3)의 신호에 따라 안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실시 예의 신호감지(7)와는 달리 기존 신호등(3)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잔여시간표시 컨트롤부(도면 미도식)와 보도블록(5) 컨트롤부(6)를 연결하여 신호등(3)의 점등 유무를 감지 즉 상기 신호잔여시간표시 컨트롤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보도블록(5)으로 하여금 신호등(3)의 신호에 따라 안내 문자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안전선의 보도블록(5)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보도블록을 일부 절개한 확대도이고 도6은 도5A에서 B까지의 단면도이며 도7은 도5C에서 D까지의 단면도로서, 도5, 내지 도7을 살펴보면 구동부(14)와 연결된 구동부 회전부(13-6)를 통해 기어(13-7)로 연결될 경우 제1회전부(13-1)가 회전되며 제1회전부(13-1)와 제2회전부(13-2), 제3회전부(13-3), 제4회전부(13-4), 제5회전부(13-5)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부(14)의 회전에 따라 안내패널(12)이 회전되게 된다.
또한, 야간에 안내패널(12)을 밝히기 위하여 발광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발광부(16)는 케이스(11)내부에 형성되는 제1발광부(16-1) 또는 삼각안내패널(12-1) 내부에 형성되는 제2발광부(16-2)로 이루어지며, 발광부는 조도센서에 의해 야간에 조명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패널(12)은 안내패널 축(19)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안내패널 축(19)은 케이스(11)의 양측 가장자리의 벽의 축 지지부에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장착 시 베어링(18)또는 오일레스베어링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안내패널(12) 내부의 제2발광부(16-2)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안내패널 축(19)에 형성된 관통 공으로 전원케이블이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8은 안내패널 사시도이고 도9는 안내패널 종류 사시도로서 도8, 도9를 살펴보면, 안내패널 축(19)에 고정된 삼각안내패널(12-1)은 제1면(12-3), 제2면(12-4), 제3면(12-5)으로 형성되며 안내패널(12) 일 측에 회전부(13)가 형성되어 있어 안내패널 회전 시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안내패널 제1면과 제2면이 왔다갔다 또는 제1면과 제3면이 왔다갔다 또는 제2면과 제3면이 왔다갔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패널(12)은 삼각형모양(12-1), 평판모양(12-2), V자형모양, 11자형 색상별모양(12-7), 상하원판의 =자형모양(12-6)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10은 안전선 보도블록의 사이즈별 사시도로서 도10을 살펴보면, 보도블록(5) 상면 윈도우에 시각장애인용 점자돌기(60)를 형성하였으며 보도블록(5) 사이즈는 기존 점자보도블록의 크기 또는 가로로 길게 형성한모양 등 사이즈별로 다양한 제품을 설치할 수 있으며 가로길이가 긴 보도블록의 경우 케이스 내에 일정간격으로 칸막이 형식의 일정간격 지지부(15)를 형성하여 보행자가 보도블록(5)위에 서있을 경우 경고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11은 제1신호감지부(7-1)의 커플링(17) 확대도로서, 도11을 살펴보면 전원케이블(31)이 통과하도록 커플링집게(70)가 힌지(71)를 통해 양쪽으로 케이블(31)을 감싸고 있어 케이블(31)의 전기흐름을 감지하는 것이다.
도12는 삼각형안내패널 단면도로서 도12를 살펴보면 삼각형안내패널(12-1) 중앙에 안내패널 축(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패널 축(19)을 관통하여 케이블(72)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72)은 제2발광부(16-2)와 연결된다.
또한 안내패널 제1면(12-3), 안내패널 제2면(12-4), 안내패널 제3면(12-5)에 각각 안내문자표시 색깔 필름 또는 색깔별 발광천(2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안내문자(21)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회전부 종류들의 사시도 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수개의 풀리 또는 축연장부를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15는 도14의 연결방법의 확대도로서 도13 내지 도15를 살펴보면,
구동부(14)를 통해 안내패널(12)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 회전부(13)를 통해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회전부(13)는 기어(13-7) 또는 풀리(13-8) 또는 축연장부(13-9) 또는 T자형회전부(101)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회전부(13)를 기어(13-7)로 형성할 경우 구동부회전부(13-6)와 안내패널 일 측에 형성된 다수의 기어(13-1)(13-2)(13-3)(13-4)(13-5)를 연결하면 되며 회전부(13)를 풀리(13-8) 또는 축연장부(13-9)로 형성할 경우 도14와 같이 끈(80)을 이용하여 다수의 풀리(13-8) 또는 다수의 축연장부(13-9)를 구동부회전부(13-6)와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풀리(13-8) 또는 축연장부(13-9)는, 구동부(14)와 끈(80)으로 연결되며 각 풀리(13-8) 또는 축영장부(13-9)를 끈(80)이 한 바퀴(88) 감싸서 연결되며 풀리(13-8) 또는 축연장부(13-9)둘레 중 어느 한 지점(81)에 끈(80)을 고정시켜 끈(80)으로 하여금 풀리(13-8) 또는 축연장부(13-9)를 회전 시 풀리 또는 축연장부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안내패널인 삼각형(12-1)은 제1면과 제2면이 왔다 갔다 하며 즉, 제1면은 적색 또는 '안전선 밖으로 나오세요' 등 안내문자, 제2면은 녹색 또는 '좌우를 살피며 건너가세요' 등 안내문자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내패널(12-1)이 한쪽으로만 계속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제1면과 제2면이 좌우로 왔다 갔다 함으로 회전부의 한 바퀴 중 3분의1만 왔다 갔다 회전되므로 끈(80) 고정부(81)로 인해 안내패널이 회전되는 것은 방해되지 않는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른 방법의 안내패널 사시도이고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른 방법의 안내패널 사시도로서 도16을 살펴보면, 안내패널(12-6) 상하면 전체를 한 장으로 형성하여 회전봉(90)에 의해 상하면이 전체적으로 교체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17을 살펴보면, A는 안내패널 가림판(12-8)으로서 B의 안내패널(12-7)위에 형성되며 A의 안내패널 가림판(12-8)아래에서 B의 안내패널(12-7)이 좌우로 왔다 갔다 하면 B의 안내패널에 11자 형식으로 적색(91) 녹색(9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A안내패널 가림판(12-8)의 관통공(12-9) 또는 투명창(12-9)을 통해 적색(91) 및 녹색(92)을 외부로 비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봉(90)을 통해 안내패널(12-7)을 11자형의 한줄의 색(91),(92) 칸만큼만 좌우로 왔다 갔다 할 수 있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18은 안내패널 회전부 다른 방법을 나타낸 단면계략도이고 도19는 도18의 안내패널을 회전하는 과정의 T자형회전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계략도이며 도20은 도18의 안내패널을 녹색면으로 회전된 상태의 T자형회전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계략도로서 도18 내지 도20을 살펴보면,
삼각안내패널(12-1)를 회전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 회전부축(102)을 전진 후진 하므로 T자형회전부(101)를 통해 안내패널(12-1)을 회전 시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삼각안내패널(12-1) 일측에 T자형회전부(101)를 형성하고 T자형회전부(101)와 회전부축(102)을 연결하면 상기 회전부축(102) 타측이 구동부(1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부(14)의 회전 또는 직선운동에 따라 삼각안내패널(12-1)이 좌우로 회전하며 적색과 녹색의 신호를 표시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18과 같이 회전부축(102)을 A쪽으로 밀어주면 T자형회전부(101)가 A쪽으로 회전되며 삼각안내패널(12-1) 적색면(12-4) 또는 안내문자가 상부로 향하게 되며 녹색신호 또는 다른 안내 문자를 표시하고자 할 경우 회전부축(102)을 B쪽으로 당기면 도19와 같이 T자형회전부(101)가 회전되며 삼각안내패널(12-1)을 회전시킨다.
회전부축(102)을 B쪽으로 더 당기면 도20과 같이 T자형회전부(101)가 회전되며 안내패널(12-1)의 녹색면(12-3) 또는 다른 안내문자가 상부로 향하게 된다.
반복해서 회전부축(102)을 A쪽과 B쪽으로 밀었다 당겼다 하면 삼각안내패널(12-1)은 좌우로 회전되면서 적색(12-4)과 녹색(12-3) 또는 각각 다른 안내 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회전부축(102) 타측은 구동부(1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부(14)의 구동에 따라 회전부축(102)이 A쪽과 B쪽으로 왔다 갔다 하며 회전부축(102) 왔다 갔다에 의해 T자형회전부(101)가 좌우로 왔다 갔다 회전하게 되며 안내패널축(19)에 삼각안내내패널(12-1)과 T자형회전부(101)가 고정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내패널이 좌우로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즉 회전부축(102)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축을 전진 후진함으로 T자형회전부를 통해 안내패널(19)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중 안내패널 올림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평면 내부도이고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케이스 다른 방법의 평단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중 삼각안내패널이 상부로 올라간 상태의 단면도, 도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중 삼각안내패널이 상부로 올라가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록 중 삼각안내패널이 회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21 내지 도25를 살펴보면,
상기 보도블록(5)은, 삼각안내패널(12-1)이 회전되어 평면(12-3), 12-4), (12-5)이 케이스의 상면을 향할 때는 상기 삼각형안내패널(12-1)이 위로 올라가고 상기 삼각형안내패널(12-1)이 회전 시 삼각형안내패널(12-1) 꼭짓점(12-1-2)이 케이스의 상면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삼각형안내패널(12-1)이 점점 아래로 내려오도록 형성하여 상기 삼각형안내패널(12-1)이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안내문자표시 시 상기 케이스상면 윈도우에 삼각형안내패널의 평면이 밀착된 상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보도블록(5)의 안내패널(12)은 주로 삼각형안내패널(12-1)을 사용하게 되는데 삼각형안내패널(12-1)이 케이스(11)내에서 회전 후 삼각형의 평면(12-1-1)이 상부로 향하면 도24와 같이 안내패널위 공간(11-3)이 생기며 삼각안내패널의 평면(12-1-1)은 케이스(11)내부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다.
이럴 경우 안내가 용이하지 못해 도23과 같이 삼각형안내패널(12-1)이 회전 후 상부로 올라가 안내패널평면(12-1-1)이 케이스(11) 윈도우(9)에 근접하여 안내되게 해야 할 것이다.
도25와 같이 삼각안내패널(12-1)이 케이스(11)아래에서 회전하여 도24를 거쳐 도23과 같이 형성된다.
그러기 위하여 도21, 도22를 살펴보면 구동부(14)를 통해 안내패널의 회전부(13-8, 13-9)를 회전함과 동시 구동부(14)를 통해 기어(85)를 회전시켜 회전축(86)이 회전되면 풀리 또는 기어(84)를 끈 또는 체인(83)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양측의 회전축(86)이 회전된다.
이때 양측 회전축(86)에 고정 형성되어 있는 안내패널올림봉(87)이 회전축(86)의 회전에 의해 안내패널올림봉(87) 가장자리(87-1)가 상부로 올라가면서 삼각안내패널을 상부로 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축(86)의 회전균형은 삼각안내패널(12-1)의 평면이 상부로 향할 때 안내패널올림봉(87)의 가장자리(87-1)가 위로향하도록 회전되게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22와 같이 외부케이스(11-1) 내에 내부케이스(11-2)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케이스(11-2)에 삼각안내패널을 장착하여 안내패널올림봉(87)이 내부케이스(11-2)를 올리면 내부케이스(11-2)에 장착되어 있는 삼각안내패널이 상부로 올라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26, 도27, 도28은 본 발명의 안전선 보도블록 배면을 나타내는 계략적인 단면도이고 도29, 도30은 본 발명의 안전선 보도블록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멀티탭의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26 내지 도30을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1)는, 플러그수납부(93)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수납부(93)에 수납되는 플러그는 플러그1개, 플러그2개, 쌍플러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플러그(94)와 연결되는 멀티탭(100)은 다수개의 콘센트 또는 쌍콘센트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안전선에 보도블록(5)을 설치 시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즉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도블록(5) 중 어느 하나가 장애발생시 장애발생 된 보도블록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보도블록 아래 부분에 다수의 보도블록을 설치할 수 있도록 멀티탭(100)을 설치 후 멀티탭(100)의 다수의 콘센트(97)에 각각 플러그(94)를 꼽아 설치하게 된다.
콘센트(97)에 플러그(94)를 꽂을 때 방수 및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고무파킹(97-2)을 형성 하였으며 콘센트너트(97-1)에 플러그 고정볼트(94-1)를 통해 고정 시켰다.
또한, 케이스(11)배면에 플러그 수납부(93)를 형성하여 보도블록(5)을 멀티탭(100)에 연결설치 후 길게 늘어진 플러그케이블(95)과 플러그(94)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콘센트(97)에 플러그(94)를 꽂을 때 도26과 같이 플러그(94) 1개를 꽂을 수 있을 것이고 구동부(14)와 발광부(16)에 전원을 각각 공급하기위하여 도27과 같이 플러그(94) 2개를 각각 꽂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30과 같은 쌍콘센트(98)에 도28과 같은 쌍플러그(96)를 꽂아 구동부(14)와 발광부(16)에 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3)
도3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 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들로서 도31을 살펴보면, 도5 내지 도9와는 달리 보도블록(201) 내부에 형성되는 문자안내패널(202), (203)은 투명문자액정(207)으로 이루어진 문자안내패널로서, 도31B, 도31C와같이 제1문자표시부(202)아래 제2문자표시부(203) 그 아래 바탕표시부(204)로 겹치게 형성하며, 바탕표시부(204)는 기존의 보도블록과 같은 색인 노랑바탕이 바람직 할 것이다.
바탕표시부(204)위에 형성된 제1문자표시부(202)와 제2문자표시부(203)는 도31D, 도31E와 같이 투명패널에 투명문자액정(20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행자신호등(3)이 적색신호인 경우 전기적 작용에 의하여 제1문자표시부(202)가 문자를 표시하고 제2문자표시부(203)는 표시하지 않으면 제2문자표시부(203)는 전체가 투명해지면서 보도블록(5)은 노랑바탕에 검정글씨로 '위험하니 뒤로 물러나세요' 라는 안내문자(207)를 표시한다.
반대로 신호등(3)이 녹색신호인 경우에는 제2문자표시부(203)가 문자를 표시하고 제1문자표시부(202)가 문자를 표시하지 않으므로 제1문자표시부(202)는 전체가 투명해지면서 제2문자표시부(203)의 문자(207)인 '좌우를 살피며 건너가세요'란 안내문자(207)가 표시된다.
또한 바탕표시부(204)를 형성하지 않고 제1문자표시부(202)와 제2문자표시부(203)만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제1문자표시부(202)는 투명패널에 투명문자액정(207)을 형성하고, 제2문자표시부(203)는 노란색 등 칼라패널에 투명문자액정(207)을 형성하면, 전기적 작용에 의하여 노란색 등 칼라패널에 검정글씨의 안내문자(207)가 표시된다.
현장에 설치할 때는 도31F, 도31G와 같이 도31A와 같은 각각 다른 문자의 보도블록(5)이 다수개가 연결되어 설치됨으로 상기와 같은 안내문구가 표시된다.
(실시예 4)
도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과 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들로서 도32를 살펴보면, 도5 내지 도9 및 도31과는 달리 보도블록(301)은 보도블록(301)의 중심부(301-1)를 기준으로 일 측은 투명창(302) 다른 일 측은 불투명창(303) 으로 형성되며, 도32B와 같이 보도블록(301)케이스 내부의 불투명창(303)쪽에 형성되며 제2안내패널(306)을 수납하는 제2안내패널수납부(304), 각각의 다른 내용의 안내 문자를 표시하는 제1안내패널(305)과 제2안내패널(30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안내패널(305)이 고정 형성되고 그 위에 제2안내패널(306)이 투명창(302)과 불투명창(303)으로 왔다 갔다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제1안내패널(305)아래에 제2안내패널지지대(310)와 벨트 또는 체인(309)로 연결된 회전부(308) 및 구동부(307)가 형성되어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신호등(3)이 적색신호 시 도32B와 같이 구동부(307)에 의해 제2안내패널(306)이 투명창(302)쪽으로 이동하면 제1안내패널(305)의 문자는 보이지 않으면서 제2안내패널(306)의 문자가 투명창(302)을 통해 표시되며, 반대로 신호등(3)이 녹색신호로 바퀴면 도32C와 같이 구동부(307)에 의해 제2안내패널(306)이 불투명창(303)쪽으로 이동하면 제2안내패널(306)은 제2안내패널수납부(304)에 수납되며 제1안내패널(305)의 안내문자가 투명창(302)을 통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1안내패널(305)은, 도32G와 같이 제1안내패널(305) 양쪽 가장자리(312)에 제2안내패널(306)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통로(312)가 형성되며, 제2안내패널(306)은 도32 I, J와 같이 제2안내패널지지대(310)가 형성되어 양쪽의 제2안내패널지지대(310)을 제2안내패널연결부(311)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부(30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안내패널지지대(310)가 이동통로(312)를 통해 좌우 이동하면서 제2안내패널(306)을 이동시킨다.
도32E와 같이 제2안내패널(306)이 투명창(302)쪽으로 이동하면 투명창(302)을 통해 제2안내패널(306)의 문자가 표시되며, 도32F와 같이 제2안내패널(306)이 불투명창(303)쪽으로 이동하면 투명창(302)을 통해 제1안내패널(305)의 문자가 표시된다.
또한, 제2안내패널(306)을 이동시키는 구동부(307)대신 자석을 이용하여 자석에 전기를 공급 차단의 반복을 통하여 제2안내패널(306)을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과 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의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들로서 도33A를 살펴보면, 도5 내지 도9 및 도31 및 도32와는 달리 보도블록(5)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안내문자표시면(401)과 하부안내문자표시면(402)을 신호에 따라 서로 교체하며 안내문자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자안내패널(404)은 도33B와 같이 LED의 디스플레이부(404)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안내 문자를 표시하는 모든 방법 및 형성은 안내패널 또는 문자안내패널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차도 1-1 : 차량정지선
2 : 인도 3 : 신호등
3-1 : 신호등발광부 3-2 : 사람감지부
3-3 : 밝기감지센서 4 : 횡단보도
5 : 안전선보도블록 6 : 컨트롤부
7 : 신호감지부 7-1 : 제1신호감지부
7-2 : 제2신호감지부 7-3 : 제3신호감지부
8 : 광원센서 9 : 윈도우
11: 안전선보도블록케이스 11-1 : 외부케이스
11-2 : 내부케이스 11-3 : 안내패널 위 공간부
12 : 안내패널
12-1 : 삼각안내패널 12-1-1 : 평면
12-1-2 : 꼭짓점 12-2 : 평판안내패널
12-3 : 안내패널 제1면(녹색) 12-4 : 안내패널 제2면(적색)
12-5 : 안내패널 제3면(기타색) 12-6 : 상하면 전체회전 안내패널
12-7 : 11자형 안내패널 12-8 : 안내패널 가림판
12-9 : 관통공 또는 투명창
13 : 회전부
13-1 : 제1회전부 13-2 : 제2회전부
13-3 : 제3회전부 13-4 : 제4회전부
13-5 : 제5회전부 13-6 : 구동부회전부
13-7 : 기어 13-8 : 풀리
13-9 : 축연장부
14 : 구동부 15 : 일정간격 지지부
16 : 발광부
16-1 : 제1발광부 16-2 : 제2발광부
17 : 커플링
18 : 축지지부, 베어링 19 : 안내패널 축
20 : 테이프 또는 발광 천 21 : 안내문자
31 : 제1케이블 32 : 제2케이블
33 : 제3케이블 34 : 제4케이블
35 : 제5케이블 36 : 제6케이블
37 : 제7케이블 38 : 제8케이블
39 : 제9케이블
50 : 광고부 60 : 장애인 점자돌기
70 : 커플링집개 71 : 힌지
72 : 케이블 80 : 끈
81 : 풀리 또는 축연장부에 끈 고정
83 : 끈 또는 체인 84 : 풀리 또는 기어
85 : 구동부 풀리 또는 기어 86 : 회전 축
87 : 안내패널 올림봉 87-1 : 올림봉 가장자리
88 : 끈이 풀리를 한바퀴 감아서 연결
90 : 회전봉
91 : 적색 92 : 녹색
93 : 플러그 수납부 94 : 플러그
94-1 : 플러그 고정볼트 95 : 플러그케이블
96 : 쌍 플러그 96-1 : 쌍 플러그 고정볼트
97 : 콘센트 97-1 : 콘센트너트
97-2 : 고무파킹 98 : 쌍 콘센트
99 : 콘센트케이블 100 : 멀티탭
101 : T자형회전부 102 : 회전부축
201 : 상면을 일부절개한 보도블록 202 : 제1문자표시부
203 : 제2문자표시부 204 : 바탕표시부
205 : 제1문자표시부가 표시된모습 206 : 제2문자표시부가 표시된모습
207 : 문자액정
301 : 보도블록 301-1 : 중심부
302 : 투명창 303 : 불투명창
304 : 제2안내패널 수납부 305 : 제1안내패널
306 : 제2안내패널 307 : 구동부
308 : 회전부 309 : 벨트 또는 체인
310 : 제2안내패널 지지대 311 : 제2안내패널 지지대연결부
312 : 제2안내패널 이동통로
401 : 상부안내문자 표시면 402 : 하부안내문자 표시면
403 : 상하표시면 회전부 404 : 디스플레이부

Claims (17)

  1.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제어부와 보도블록이 연동하여 안내를 표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도블록으로 안내를 표시하도록 하는 컨트롤부;
    보행자신호등의 적색신호 및 녹색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내용의 안내를 표시하는 보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보도블록은,
    상면을 윈도우로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되면서 안내신호 또는 안내문자를 표시하는 삼각형안내패널;
    상기 삼각형안내패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삼각형안내패널이 회전되어 평면이 케이스의 상면을 향할 때는 상기 삼각형안내패널이 위로 올라가고 상기 삼각형안내패널이 회전 시 삼각형안내패널의 꼭짓점이 케이스의 상면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삼각형안내패널이 점점 아래로 내려오도록 형성하여 상기 삼각형안내패널이 상기 케이스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안내표시 시 상기 케이스의 상면 윈도우에 삼각형안내패널의 평면이 밀착된 상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과 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보행자신호등이 적색신호이면 구동부를 통하여 삼각형안내패널의 제1면이 상부로 향하게 회전되도록 하고, 보행자신호등이 녹색신호이면 구동부를 통하여 삼각형안내패널의 제2면이 상부로 향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과 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보행자신호등이 녹색점멸신호이면 구동부를 통하여 삼각형안내패널의 제1면과 다른 한 면 또는 제2면과 다른 한 면이 일정시간간격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상부로 향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과 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블록은,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조도센서에 의해 야간에만 조명이 발광되도록 하거나 또는 주야간 모두 조명이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제어부와 보도블록이 연동하여 안내를 표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감지부 또는 신호등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도블록으로 안내를 표시하도록 하는 컨트롤부;
    보행자신호등의 적색신호 및 녹색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내용의 안내를 표시하는 보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보도블록은,
    상면을 윈도우로 형성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 측은 투명창 다른 일 측은 불투명창으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내부의 불투명창 측에 형성되는 제2안내패널 수납부;
    각각의 다른 내용의 안내문자 또는 안내신호를 표시하는 제1안내패널 및 제2안내패널;
    상기 제2안내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 또는 자석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부의 신호에 따라 제2안내패널이 제2안내패널 수납부로 이동 또는 투명창 쪽으로 이동하며, 제1안내패널 및 제2안내패널이 투명창을 통해 안내문자 또는 안내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KR1020150000666A 2015-01-05 2015-01-05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KR101929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66A KR101929089B1 (ko) 2015-01-05 2015-01-05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66A KR101929089B1 (ko) 2015-01-05 2015-01-05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40A KR20160084140A (ko) 2016-07-13
KR101929089B1 true KR101929089B1 (ko) 2019-03-12

Family

ID=5650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666A KR101929089B1 (ko) 2015-01-05 2015-01-05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44072C1 (ru) * 2016-08-16 2018-02-0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айтТе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овещения водителей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N107393315B (zh) * 2017-06-03 2021-06-18 山东星志智能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采集实时数据的城市交通信号控制系统
KR101968879B1 (ko) * 2018-12-28 2019-07-03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Led 바닥형 보행신호 보조장치
KR102128623B1 (ko) * 2019-09-09 2020-06-30 박새로미 광고기능을 갖는 경계블록
KR102337797B1 (ko) * 2020-06-05 2022-01-12 박새로미 사물인터넷이 연결되어 광고기능 및 태양광 발전 기능을 제공하는 경계블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684A (ja) * 2001-02-02 2002-08-16 Iwasaki Electric Co Ltd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242B1 (ko) * 2001-09-05 2003-11-01 주식회사 에스.피.에스 주차유도용 상황표시장치
KR100718328B1 (ko) * 2005-09-06 2007-05-17 임철수 도로 안내 표지 장치
KR200470034Y1 (ko) * 2012-03-13 2013-11-25 배길한 보행자신호등과 점등 보도블록 전원선의 간접연결 점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684A (ja) * 2001-02-02 2002-08-16 Iwasaki Electric Co Ltd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40A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089B1 (ko) 신호등과안전선보도블록 연동시스템
KR100679852B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보도블럭의 조명시스템 및그에 의한 보도블럭
KR101054541B1 (ko) 횡단보도의 신호 조명 컨트롤 장치
JP2009032260A (ja) 歩行者保護装置
CN105090799A (zh) 具有反光和警示导引功能的隧道灯及隧道照明系统
KR101234779B1 (ko)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신호등 구조
CN204437792U (zh) 一种人体红外线感应led灯
CN113301683A (zh) 一种智慧城市照明集中控制器、控制方法及智能路灯
KR101319694B1 (ko) 현수막 고정 장치
JP3242084B2 (ja) チェーンゲート
KR20130114918A (ko) 도로의 볼라드 제어장치
KR200470034Y1 (ko) 보행자신호등과 점등 보도블록 전원선의 간접연결 점등장치
KR20150137355A (ko) 보행자 신호 연동형 횡단보도 안전 유도시스템
CN109578871A (zh) 一种可调整照射角度的台阶灯
KR20170019841A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20190048065A (ko) 스마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RU108875U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сиг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90052741A (ko)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KR102105488B1 (ko) 회전형 교통 신호 안내 장치
KR100980970B1 (ko) 도로 시설물의 보호장치
CN113551194A (zh) 一种节能环保型多功能太阳能路灯
KR200342746Y1 (ko) 전선권취구
KR101228191B1 (ko) 방향표시의 움직임이 구현되는 시선유도장치
CN204922622U (zh) 具有反光和警示导引功能的隧道灯及隧道照明系统
KR101071375B1 (ko) 시설물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