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754B1 - 차량용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754B1
KR101928754B1 KR1020150093580A KR20150093580A KR101928754B1 KR 101928754 B1 KR101928754 B1 KR 101928754B1 KR 1020150093580 A KR1020150093580 A KR 1020150093580A KR 20150093580 A KR20150093580 A KR 20150093580A KR 101928754 B1 KR101928754 B1 KR 10192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knob
rotation
lock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205A (ko
Inventor
차홍준
김대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7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B60K235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이 가능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하는 노브, 상기 노브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는 잠금 유닛, 및 상기 잠금 유닛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로드, 및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잠금 로드에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를 구비한 위치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Transmis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이 가능한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속 장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어비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변속 레버를 조작하여 변속기(Transmission)의 기어비를 바꾸게 된다.
이러한 변속 장치의 변속 모드로는 운전자가 변속단을 바꿀 수 있는 수동 변속 모드와 운전자가 주행 모드(D)을 선택시에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단이 바뀌는 자동 변속 모드가 있다.
이와 함께, 하나의 변속 장치에서 수동 변속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스포츠 모드형 변속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스포츠 모드형 변속 장치는 기본적으로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운전자가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수동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동 변속을 하는 변속 장치 옆에 자동 변속을 할 수 있는 변속 장치를 구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변속 레버는 운전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차량 내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변속 레버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와 콘솔 박스 사이에 노출되어 있다.
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 조작은 변속 레버의 일정 거리로 이동시켜 변속단을 선택하기 때문에 이동 궤적에 따른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변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이얼 방식의 변속 조작이 가능하게 하여 필요로 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차량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변속 조작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US2013/0220055(2013.08.2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이얼 방식의 노브를 통한 변속 조작이 가능하게 하여 차량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고, 간단한 구성을 통해 노브의 회전을 구속시키거나 구속 해제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하는 노브, 상기 노브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는 잠금 유닛, 및 상기 잠금 유닛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로드, 및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잠금 로드에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를 구비한 위치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노브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킬 때 액추에이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노브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기 위한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회전이 구속된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회전이 구속된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회전이 구속 해제된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회전이 구속 해제된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저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압착 부재 및 제2 압착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변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노브 조립체(100), 복귀 유닛(200), 잠금 유닛(300) 및 구동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운전자의 용이한 변속 조작이 가능하도록 대부분 차량의 센터페이시아와 콘솔 박스 사이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의 접근성이 우수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노브 조립체(100)는 외부 힘에 의해 회전되어 변속단의 선택이 가능하게 하는 노브(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브(110)에는 선택 가능한 변속단이나 현재 선택된 변속단 등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11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브(110)의 회전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변속단이 주차단(P), 후진단(R), 중립단(N), 주행단(D)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브(110)의 회전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변속단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표시 장치(111)는 노브(110)가 회전될 때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고, 노브(110)와 함께 회전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노브(110)만 차량 내부로 노출되고, 변속 기능이나 시프트 록 기능 등에 필요한 각종 구성 요소들은 차체 내부에 수용되어 차량용 변속 장치(1)가 차량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노브 조립체(100)는 외부 힘에 의해 노브(110)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어 조작감이 발생되도록 하는 조작감 발생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작감 발생 유닛(120)은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디턴트 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작감 발생 유닛(120)의 일측에는 조작감 발생 유닛(120)이 회전할 때 복수의 디턴트 홈(121) 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릿(Bullet)(121a)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불릿(121a)은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121b)에 의해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불릿(121a)은 조작감 발생 유닛(120)이 회전할 때 복수의 디턴트 홈(12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복수의 디턴트 홈(121) 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되어 조작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불릿(121a)이 단일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불릿(121a)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귀 유닛(200)은 특정 상황 하에서 노브(110)가 기설정된 변속단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귀 유닛(200)은 노브(110)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기어 유닛(130)과 서로 맞물리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복귀 유닛(200)은 후술할 구동 유닛(400)에 회전되어 노브(110)가 기설정된 변속단으로 복귀되도록 노브(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복귀 유닛(200)에 의해 노브(110)가 기설정된 변속단으로 복귀되도록 회전될 때 전술한 조작감 발생 유닛(120)은 노브(110)와 함께 회전될 수도 있고, 노브(110)만 회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귀 유닛(200)은 주차단 이외의 변속단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 노브(110)를 주차단으로 복귀시키거나 운전자로부터 별도의 조작 명령이 요청되는 경우 노브(110)를 기설정된 변속단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잠금 유닛(300)은 복수의 변속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서 하나 이상의 변속 조건이 만족될 때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 해제시키고, 변속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때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시프트 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유닛(300)은 현재 변속단이 주차단 또는 후진단일 때 변속 조건으로서 브레이크 신호가 발생되고 차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 해제시켜 다른 변속단의 선택이 가능하게 하고, 브레이크 신호가 발생되지 않거나 차량 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시켜 다른 변속단의 선택이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차단 또는 후진단에서의 변속 조건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변속단에 대한 변속 조건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없을 수도 있다.
잠금 유닛(300)은 잠금 로드(310) 및 위치 조정 유닛(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잠금 로드(310)는 위치 조정 유닛(320)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어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시킬 수 있다.
잠금 로드(310)는 회전축(310a)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311) 및 제2 로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드(311)는 일단이 전술한 복수의 디턴트 홈(121)과 유사하게 조작감 발생 유닛(120)이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홈(122) 중 어느 하나의 고정 홈에 삽입되거나 복수의 고정 홈(12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즉, 제1 로드(311)는 위치 조정 유닛(320)에 의해 잠금 유닛(310)의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일단이 복수의 고정 홈(122) 중 어느 하나의 고정 홈에 삽입되어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시킬 수 있고, 복수의 고정 홈(122)으로부터 이탈되어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로드(311)의 일단은 복수의 고정 홈(122) 중 어느 하나의 고정 홈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복수의 고정 홈(123)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조작감 발생 유닛(120)을 향하여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드(312)의 일단에는 위치 조정 유닛(320)에 형성된 삽입 부재(32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31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홀(312a)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삽입 부재(321)가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삽입 부재(321)의 중심축(Ax2)은 위치 조정 유닛(320)의 회전축(Ax1)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위치 조정 유닛(320)이 회전할 때 삽입 부재(321)는 위치 조정 유닛(320)의 회전축(Ax1)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이때, 삽입 부재(321)의 중심축(Ax2)이 위치 조정 유닛(320)의 회전축(Ax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조정 유닛(32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삽입 부재(321)는 주기적으로 가이드 홀(312a)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된다.
즉, 초기에 삽입 부재(321)가 도 6 및 도 7과 같이 가이드 홀(312a)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1 로드(311)의 일단이 복수의 고정 홈(122) 중 어느 하나의 고정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위치 조정 유닛(320)이 회전하는 경우 도 8 및 도 9와 같이 삽입 부재(321)가 가이드 홀(312a)의 일측으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 로드(312)에 힘을 가하여 제1 로드(311)의 일단이 복수의 고정 홈(12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잠금 로드(320)를 회전시켜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 해제시키게 된다.
이후, 도 8 및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위치 조정 유닛(320)이 지속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다시 전술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삽입 부재(321)가 가이드 홀(312a)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로드(311)의 일단이 복수의 고정 홈(122) 중 어느 하나의 고정 홈에 삽입되도록 잠금 로드(320)를 회전시켜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삽입 부재(321)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시키거나 구속 해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시프트 록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400)은 복귀 유닛(200) 및 잠금 유닛(300)으로 구동력을 제공하여 노브(110)가 기설정된 변속단으로 복귀되도록 하거나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게 된다.
구동 유닛(400)은 액추에이터(410), 회전 부재(420), 제1 압착 부재(430) 및 제2 압착 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420)는 액추에이터(410)의 구동 방향에 따라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시계 반대 방향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410)의 회전축에 웜 기어가 구비되어 있고, 회전 부재(420)가 웜 휠인 경우 액추에이터(4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부재(42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부재(420)는 전술한 위치 조정 유닛(320)의 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 부재(420)로부터 연장된 샤프트(322)가 삽입되는 중공(420a)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 부재(420)의 중공(420a)을 통과한 샤프트(322)는 복귀 유닛(200)의 중공(200a)에 삽입되어 결과적으로 복귀 유닛(200), 회전 부재(420) 및 위치 조정 유닛(320)이 동일한 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 부재(420)는 중공(420a)의 둘레를 따라 제1 압착 부재(430)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1 삽입 홈(421)이 형성되고, 복귀 유닛(200)는 중공(200a)의 둘레를 따라 제1 압착 부재(430)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2 삽입 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420)는 제1 삽입 홈(421)의 반대측에 중공(420a)의 둘레를 따라 제2 압착 부재(440)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3 삽입 홈(422)이 형성되고 잠금 유닛(300), 즉 위치 조정 유닛(310)은 샤프트(322)의 둘레를 따라 제2 압착 부재(440)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4 삽입 홈(320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압착 부재(430) 및 제2 압착 부재(440)는 스프링으로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회전 부재(42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 부재(420)의 회전 방향과 제1 압착 부재(430)가 감겨진 방향이 같기 때문에 도 10과 같이 회전 부재(420)의 제1 삽입 홈(421)의 내측면과의 마찰로 인해 제1 압착 부재(430)는 압축되면서 제1 삽입 홈(421) 및 제2 삽입 홈(210)의 내측 일면에 밀착되는 반면, 제2 압착 부재(440)는 이완되어 제3 삽입 홈(422) 및 제4 삽입 홈(320a)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42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압착 부재(430)에 의해 회전 부재(420)와 함께 복귀 유닛(200)이 회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복귀 유닛(200)과 맞물리는 기어 유닛(130)이 회전되어 노브(110)가 기설정된 변속단으로 복귀되도록 회전되는 반면, 위치 조정 유닛(320)은 회전되지 않아 잠금 로드(310)의 위치는 이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회전 부재(42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 부재(420)의 회전 방향과 제2 압착 부재(440)가 감겨진 방향이 같기 때문에 도 11과 같이 제2 압착 부재(440)는 압축되면서 제3 삽입 홈(422) 및 제4 삽입 홈(320a)의 내측 일면에 밀착되는 반면, 제1 압착 부재(430)는 이완되어 제1 삽입 홈(421) 및 제2 삽입 홈(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42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압착 부재(440)에 의해 회전 부재(420)와 함께 위치 조정 유닛(320)이 회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2 로드(312)의 가이드 홀(312a)에 삽입된 삽입 부재(321)이 회전되면서 가이드 홀(321a)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잠금 로드(310)의 위치가 가변되어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시키거나 구속 해제시킬 수 있게 되고, 복귀 유닛(200)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노브(110)의 회전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변속단들 중 변속 조건을 가지는 변속단(예를 들어, 주차단 및 후진단)에서 액추에이터(410)에 의해 회전 부재(42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 조정 유닛(320)을 회전시킴으로써, 삽입 부재(321)를 가이드 홀(312a)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시켜 변속 조건에 따라 조작감 발생 유닛(12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변속 조건이 없는 변속단(예를 들어, 주행단)에서는 잠금 로드(310)가 조작감 발생 유닛(120)의 회전을 구속 해제시키는 상태, 즉 삽입 부재(321)가 가이드 홀(312a)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 부재(42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공용 액추에이터(410)를 통해 회전 부재(420)의 회전 방향을 달리하고, 회전 부재(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압착 부재(430) 및 제2 압착 부재(440) 중 어느 하나가 압착되면서 회전 부재(420)의 회전 방향으로 복귀 유닛(200) 및 위치 조정 유닛(320)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어 노브(110)를 기설정된 변속단으로 복귀시키거나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는 것과 같이 복수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노브(110)를 기설정된 변속단으로 복귀시키는 경우는 주로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이고, 변속단에 따라 노브(110)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는 경우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이기 때문에 단일의 액추에이터(410)를 통해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노브 조립체
110: 노브
120: 조작감 발생 유닛
130: 기어 유닛
200: 복귀 유닛
300: 잠금 유닛
310: 잠금 로드
311: 제1 로드
312: 제2 로드
312a: 가이드 홀
320: 위치 조정 유닛
321: 삽입 부재
400: 구동 유닛
410: 액추에이터
420: 회전 부재
430: 제1 압착 부재
440: 제2 압착 부재

Claims (11)

  1. 소정 방향으로 회전되어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하는 노브;
    상기 노브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는 잠금 유닛; 및
    상기 잠금 유닛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로드; 및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잠금 로드에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를 구비한 위치 조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의 중심축은,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홀의 양측을 왕복하여 상기 잠금 로드가 상기 노브의 회전을 구속하는 위치와 상기 노브의 회전을 구속 해제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회전할 때 회전되어 조작감이 발생되도록 하는 조작감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조작감 발생 유닛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키는 차량용 변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발생 유닛은,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로드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고정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감 발생 유닛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차량용 변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로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로드 및 제2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는,
    일단이 상기 복수의 고정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로드에는,
    상기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이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로드는,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가이드 홀의 일측에 위치할 때 상기 조작감 발생 유닛의 회전을 구속시키고,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가이드 홀의 타측에 위치할 때 상기 조작감 발생 유닛의 회전을 구속 해제시키는 차량용 변속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은,
    주차단 및 후진단 중 적어도 하나의 변속단에서 회전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1. 삭제
KR1020150093580A 2015-06-30 2015-06-30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92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80A KR101928754B1 (ko) 2015-06-30 2015-06-30 차량용 변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80A KR101928754B1 (ko) 2015-06-30 2015-06-30 차량용 변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05A KR20170003205A (ko) 2017-01-09
KR101928754B1 true KR101928754B1 (ko) 2018-12-13

Family

ID=5781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580A KR101928754B1 (ko) 2015-06-30 2015-06-30 차량용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697B1 (ko) * 2017-06-30 2022-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0030373B (zh) * 2017-12-28 2021-06-01 德韧营运有限责任公司 位置自动复位的变速器换档组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508B1 (ko) * 2009-02-09 2011-12-05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차량의 기어변속 장치
KR101356766B1 (ko) * 2012-01-10 2014-01-28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기어 변속 시스템
US20130220055A1 (en) 2012-02-28 2013-08-29 Nissan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KR101376743B1 (ko) * 2012-08-21 2014-03-2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05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46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11255426B2 (en) Rotary shifter with auto-return and cam lock mechanism
US8464601B2 (en) Actuating device comprising a locking mechanism
EP2963314B1 (en) Shift range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US9618110B2 (en) Shift/tilt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1691843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2016223526A (ja) 車両用シフトレンジ切り替え装置
US11143296B2 (en) Automotive transmission
CN109798355B (zh) 车辆用变速装置
KR10248491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CN110030373A (zh) 位置自动复位的变速器换档组件
KR10192875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1656687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EP3246600A1 (en) Transmission shifter with multi-position lockout
US20190195342A1 (en) Transmission shifter assembly with secondary shifting
WO2017110454A1 (ja) シフト装置
CN110886837B (zh) 车辆用变速装置
JP2019006139A (ja) シフト装置
JP7359644B2 (ja) レンジ選択機構
KR102289737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23541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49815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2238729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WO2019207914A1 (ja) シフト装置
JP2019006138A (ja) 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