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712B1 -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shock absorber having crista structure - Google Patents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shock absorber having crista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712B1
KR101927712B1 KR1020160163546A KR20160163546A KR101927712B1 KR 101927712 B1 KR101927712 B1 KR 101927712B1 KR 1020160163546 A KR1020160163546 A KR 1020160163546A KR 20160163546 A KR20160163546 A KR 20160163546A KR 101927712 B1 KR101927712 B1 KR 101927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witchboard
block
earthquak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3602A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주)대경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산전 filed Critical (주)대경산전
Priority to KR102016016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712B1/en
Publication of KR20180063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6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7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16F15/085Use of both rubber and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지진의 횡파 뿐만 아니라 종파의 영향을 감쇄시켜 수배전반의 안전이 도모될 수 있도록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수배전반과, 수배전반 하부의 기초와 수배전반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강성부재로 형성되는 상부판 및, 상부판 하부에서 상부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부판과 분리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변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로서,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리된 후 서로 접합되는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과,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 사이에 삽입되어 주위 진동에 따라 가변되는 하부블록의 진동에너지를 감쇄시켜 상부블록으로 전달시키는 절연쿠션 및, 상부블록의 측면과 하부블록의 측면을 연결시키는 연결재로 구성되는 완충모듈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직방향 진동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진동도 소산될 수 있고, 지진과 같은 상황에서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피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비상 상황으로 인하여 정전이 되더라도 자체 발전수단으로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피해 상황을 조사할 수 있는 수단 및 비상 검침 조명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내진 수배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resistant power transmission / distribution system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buffering means so as to attenuate not only the transverse waves of an earthquake but also the influence of the longitudinal waves so that the safety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an be improved. A variable frame comprising a top plate formed of a rigid member and a bottom plate disposed to face the top plate at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separated from the top plate as a frame and an elastic material buffer member dispos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 insulating cushion which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joined to each other and transmits the vibration energy to the upper block by attenuating the vibration energy of the lower block,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block and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block. The vibration can be dispers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amage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in case of an earthquake or the like, and even if a power failure occurs due to an emergency such as an earthquak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ans to investigate the damage situation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and a seismic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anel that can use the emergency meter illumination.

Description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shock absorber having crista structu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a shock absorbing crista structure,

본 발명은 내진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진의 횡파 뿐만 아니라 종파의 영향을 감쇄시켜 수배전반의 안전이 도모될 수 있도록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trofit switchboard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buffering means so as to attenuate not only the transverse waves of an earthquake but also the influence of longitudinal waves so that the safety of the switchboard can be attained.

수배전반은 각종 시설물 또는 건축물에 설치되어,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압으로 다운시켜서 시설물 또는 건축물 내부의 전력소모기기에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설비이다.The switchboard is installed in various facilities or buildings, and distributes the power to the power consumption equipment inside the facility or the building by supplying power from the power plant down to low pressure.

수배전반은 이처럼 전력공급을 위하여 내부에 변압기, 컨버터, 차단기, 누전검출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가 내장된다. 그런데 각 기기마다 외부 회로와 통전되는 수많은 전류 접점이 존재하므로 외부 진동에 취약한 특징이 있다. 아파트와 같은 거주용 건물을 포함한 각종 건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시설에도 수배전반은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장치이며, 수배전반의 이상으로 인하여 전력공급이 정지될 경우 상당한 피해와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배전반을 외부 진동으로부터 보호시킬 수단이 필요하다.In order to supply the electric power to the switchboard, various devices including a transformer, a converter, a breaker, and an earth leakage detector are built in. However, there are many current contacts that are energized with external circuits for each device, which is vulnerable to external vibration. In addition to various buildings including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the switchboards are essential devices in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If the power supply is stopped due to abnormalities of the switchboard, it may cause considerable damage and inconvenience. Therefore, a means is needed to protect the switchgear from external vibrations.

수배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원으로서 대표적인 것은 지진이며, 지진 이외에도 수배전반에 내장되는 기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진동이 있을 수 있고, 기타 수배전반 설치 환경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있다.As a vibration source affecting the switchboard, a typical example is an earthquake. In addition to an earthquake, there may be various vibrations generated in equipment installed in a switchboard, and there is vibration generated in other installation environments of a switchboard.

지진은 진동방향과 진행방향이 일치되는 P파와,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수직을 이루는 S파와, 수평 및 수직 방향의 진동이 혼합되는 표면파가 있다.An earthquake is a P wave whose direction of vibration and direction coincides with each other, an S wave whose direction of vibration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vibration, and a surface wave of which vibr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s mixed.

이때 P파는 수배전반에 수평 방향의 진동을 유발시키고, S파는 수직방향의 진동을 유발시키며, 표면파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이 혼합되는 형태의 진동을 유발시킨다.At this time, the P wave induces the horizontal direction vibration in the switchboard, and the S wave causes the vertical direction vibration, and the surface wave causes the vibration in the form of mixi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지진의 진동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진동을 모두 감쇄시키거나 흡수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vibration of the earthquake, a means for attenuating or absorbing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vibrations is required.

또한 지진 이외에도 다양한 진동이 수배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특히 교통수단 내지 주위의 시설물 등을 원인으로 하는 진동은 장시간 지속되는 진동이므로 진동의 축적으로 인한 미세한 기기의 위치 틀어짐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earthquakes, various vibrations can affect the switchboard. In particular, vibrations caused by transportation means or surrounding facilities are vibrations that last for a long time, which may lead to a minute displacement of equipment due to vibration accumulation.

지진의 진동을 감쇄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기술은 수직 방향의 진동 감쇠를 위한 것들이고, 수평 방향의 진동을 적극적으로 감쇠시키거나 흡수시키는 기술은 찾아보기 힘들다.As to the prior art for attenuating or blocking vibration of an earthquake, most of the techniques are for attenuating vertical vibration, and it is hard to find a technique for actively attenuating or absorbing th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더욱이 지진 이외에도 기기의 수명에 심각한 영향이 초래될 수 있는 일상적인 진동의 감쇠나 제거를 위한 기술은 전무하며, 특히 지진 등의 영향으로 인한 수배전반 내부 기기의 피해 발생 여부가 본격적인 진단 전에도 어느 정도 파악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수배전반은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Furthermore, there is no technique for attenuation or removal of ordinary vibration that may seriously affect the life of the equipment other than earthquakes. In particular, There is no such thing as a switchboard equipped with means to make it possible.

등록특허공보 제10-1081571호(등록일자: 2011. 11. 02)
Patent Registration No. 10-1081571 (registered on November 02, 2011)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지진과 같은 외부 진동이 발생되는 상황에서 수배전반에 전달되는 수직방향 진동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진동도 철저하게 소산시킬 수 있고, 또한 지진 등의 영향으로 인한 수배전반 내부 기기의 피해 발생 여부가 본격적인 진단 전에 어느 정도 파악될 수 있으며, 지진으로 정전이 초래되더라도 자체 피해 점검 수단이 가동될 수 있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bration damping device capable of thoroughly dissipating vibr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vertical vibration transmitted in a switchboard in an external vibration such as an earthquak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ismic retrofit switchgear having a generator capable of detecting the damage of the internal equipmen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nfluence of the equipment on a certain level before the full-scale diagnosis and operating the self-damage check means even if the power failure occurs due to the earthquak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은 수배전반과, 수배전반 하부의 기초와 수배전반 저면 사이에 고정부재로 설치되며, 서로 분리된 상부판 및, 상부판 하부에서 상부판과 대향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변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 저면 및 하부판 상면에 각각 부착되는 네오프렌 방진패드와,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로서,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리된 후 서로 접합되는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과,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 사이에 삽입되어 주위 진동에 따라 가변되는 하부블록의 진동에너지를 감쇄시켜 상부블록으로 전달시키는 절연쿠션 및, 상부블록의 측면과 하부블록의 측면을 연결시키는 연결재로 구성되는 완충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블록의 저면에는 다수의 굴곡이 돌출되고, 하부블록의 상면은 상기 굴곡에 대응되게 다수의 함몰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쿠션은 상면에는 상부블록의 굴곡에 대응되는 함몰부위가 형성되고, 절연쿠션의 저면에는 하부블록 상면의 함몰부위에 대응되는 굴곡이 형성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n earthquake-resistant switchboard comprising a protruding structure buffe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board, a base between the base of the switchboard and a bottom of the switchboard, And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he buffer member is an elastic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buffer member separates horizontally at a constant height. An insulating cushion inserted between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to transmit the vibration energy to the upper block by attenuating the vibration energy of the lower block varying according to the ambient vibration, And a coupling member connecting side surfaces of the block, A plurality of depressions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a de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block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on cushion,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a depress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is formed.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블록 저면 및 절연쿠션 저면의 굴곡과 절연쿠션 상면 및 하부블록 상면의 함몰부위는 반구형 굴곡 또는 반구형 함몰부위이다.Preferably, the curvature of the upper block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cushi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cush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are hemispherical bend or hemispherical depression.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쿠션 저면의 반구형 굴곡 부피가 상부블록 저면의 반구형 굴곡보다 크게 형성된다.Preferably, the hemispherical bending volum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cush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mispherical bending of the bottom block of the upper block.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재는 복수개의 강선이 일정한 곡률로 꼬여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이며, 완충모듈의 외측을 향하여 휘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a wire rop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is formed in a shape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buffer module.

이 경우 상기 상부판은 바람직하게는 수배전반 저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상부 수평판과 상부 수평판 둘레에서 일체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수직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판은 수배전반 저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하부 수평판과 하부 수평판 둘레에서 일체로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수직판으로 이루어져서, 상부판과 하부판은 상부 수직판과 하부 수직판이 서로 대면되게 겹쳐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박스 형태를 이루되, 상부 수직판과 하부 수직판 사이에는 완충탄성판이 삽입된다.In this case, the upper plate preferably comprises an upper horizontal plate having a shap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witchgear bottom, and an upper vertical plate integral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upper horizontal plate, and the lower plate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upper and the lower plates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vertical plate and the lower vertical plate face each other in a superimposed manner, And a buffering elastic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vertical plate and the lower vertical plate.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탄성판의 양면에는 길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완충돌기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되, 완충탄성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돌기와 타면에 형성되는 완충돌기는 길이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다.In particular, preferably,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buffer elastic plate. The buffer protrusion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uffer elastic plate and the buffer protrusion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한편,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기기들 사이 및 수배전반 내부 바닥면과 상기 기기 저면 사이에는 제2완충모듈이 삽입 설치된다.Meanwhile, a second buffer module is inserted between the devices inside the switchgear an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witchgea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vice.

여기서 상기 제2완충모듈은 수배전반 내부 기기 벽면 또는 기기 저면과 수배전반 바닥에 각각 부착되는 지지판과, 지지판 간을 연결시키는 와이어로프이거나 또는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메시이다.The second cushioning module is a wire rope connecting a support plate attached to the wall of the internal equipment or the bottom of the equipment and the bottom of the power transmission and control panel, and a wire mesh having a constant shape.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배전반 내부 기기의 변위를 영상으로 포착하여 상기 변위의 거리 및 공간 좌표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apt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internal equipment of the switchboard unit as an image and calculating distance and space coordinate data of the displacement.

상기 제어부는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기기의 일정 지점을 타깃으로 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시키는 컨버터와, 상기 디지털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일정 지점의 공간 좌표 및 진동에 의한 변위정도를 산출시키는 연산장치와, 상기 공간 좌표 및 진동에 의한 변위정도 값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amera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to acquire an image of a target point of the internal device, a converter to convert the image of the camera into digital information, a controller to calculate the digital information, And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patial coordinates and the degree of displacement by vibration.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수배전반 외부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외부의 특정 위치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컨버터로 영상을 전송시키는 외부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Particularly preferably,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camera installed outside the switchboard to acquire an image of a specific location outside the switchboard and transmit the image to the converter.

또한 상기 내진 수배전반은 수배전반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수배전반의 기울기 각도 데이터를 수신 받으면서, 수배전반의 기울기 및 수배전반 내부의 기기, 모선 등의 변위에 따른 충전부 이격거리 미달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 및 수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arthquake-resistant power transmission / distribution panel further includes a tilt sensor installed at a certain point of the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panel,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tilt angle data of the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nel from the tilt sensor, An alarm for generating an alarm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of the charging unit distance, and a means for automatically sh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switchgear.

이 경우 수배전반의 몸체를 이루는 외함 상부 표면에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연장 암과, 연장 암 단부에 부착되어 현수되며 수배전반 하부 기초의 진동을 연장 암으로 전달받아 진동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비상발전모듈을 더 포함한다.In this case, an extension arm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nclosure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switchgear, and a suspension arm attach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arm to transmit the vibration of the substation base to the extension arm, And supplying the generated power to the control unit.

여기서의 상기 비상발전모듈은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증폭부재와, 진동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부재와, 동력전달부재에 회전축이 연결됨으로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로 이루어진다.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module includes a case, a vibration amplifying member incorporated in the case, a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converting a vibration motion into a rotational motion,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connecting a rotation shaft to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증폭부재는 길게 형성되는 실린더 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는 왕복가이드와, 왕복가이드 양 단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왕복가이드에 삽입되어 왕복운동 하는 피스톤 및, 피스톤 암과 고정 연결되며 장공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암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preferably, the vibration amplifying member i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ng length, a reciprocating guide having a long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pring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reciprocating guide, a reciprocating piston inserted into the reciprocating guide, And a piston arm fixedly connected to the piston arm and projecting out of the long hole.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피스톤 암과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와, 커넥팅 로드 타단에 핀 저널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는 회전 암과, 회전 암 중심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며, 회전 암의 회전을 증폭시키는 회전증폭부재로 이루어진다.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connecting rod to which the piston arm is hingedly connected at one end, a rotary arm to which a pin journal is inserted a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amplifying the amplified signal.

이때 상기 회전증폭부재는 회전 암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전 캡과, 회전 캡에 삽입되어 회전 캡과 함께 회전되며 내주면에 기어이빨이 형성되는 링기어와 링기어 내주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복수개의 위성기어 및 복수개의 위성기어 모두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썬 기어로 구성되는 유성기어로 이루어져서,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이 썬 기어 중심에 삽입됨으로써 발전기가 구동된다.
The rotation amplifying member includes a rotary cap connected to the rotary arm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cap, a ring gear inserted in the rotary cap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cap and having gear teeth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satellites And a sun gear coupled to both the gear and the plurality of satellite gears so that the generator is driven by inserting the rotary shaft of the generator into the center of the sun gear.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에는, 외부에서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수직방향 진동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진동도 소산될 수 있고, 지진과 같은 상황에서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피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지진과 같은 비상 상황으로 인하여 정전이 되더라도 자체 발전수단으로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피해 상황을 조사할 수 있는 수단 및 비상 검침 조명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earthquake-resistant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the earthquake-proof projection structure buffe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vertical vibration but also horizontal vibration can be dissip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in real- And it is possible to use a means for checking the damage situation applied to the power supply and distribution system by the self-generating means even if a power failure occurs due to an emergency such as an earthquake, and an emergency meter reading illumin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수배전반의 정면도,
도 2는 완충모듈의 정단면도,
도 3은 완충모듈의 사시도,
도 4a는 완충탄성판의 정면 사시도,
도 4b는 완충탄성판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가변프레임 및 완충모듈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수배전반의 정투시도,
도 6b는 제2완충모듈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6c는 6b와 다른 제2완충모듈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제어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비상발전모듈의 투시 사시도,
도 10은 진동증폭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진동증폭부재와 동력전달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동력전달부재의 작동 개념도,
1 is a front view of a seismic retrofit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buffer modul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ffer module,
4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buffer elastic plate,
4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ushioning elastic plate,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variable frame and the buffer modul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ismic retrofit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econd buffer module,
Figure 6c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econd buffer module different from 6b,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trol sec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ontrol unit,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modul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amplifying member,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amplifying member and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Fig. 12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1)과, 가변 프레임(10)과, 완충모듈(1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witchboard 1, a variable frame 10, and a buffer module 13.

수배전반(1)은 통상의 시설물이나 공장 또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수배전반을 말하며, 철제 외함(2)의 내부에는 시설물이나 건축물 내부의 각 지점으로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시키는 전력분배 기기들이 내장된다.The switchgear (1) refers to a switchboard installed in an ordinary facility, a factory or a building, and the inside of the steel enclosure (2) houses power distribution devices for distributing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to facilities or points within the building.

가변 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1) 하부의 기초(5)와 수배전반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강성부재로 형성되는 상부판(11) 및, 상부판(11) 하부에서 상부판(11)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부판(11)과 분리되는 하부판(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변프레임(10)을 이루는 상부판(11)은 수배전반(1) 저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상부 수평판(111)과 상부 수평판(111) 둘레에서 일체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수직판(112)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판(12)은 수배전반(1) 저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하부 수평판(121)과 하부 수평판(121) 둘레에서 일체로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 수직판(122)으로 이루어진다. 2, the variable frame 10 is a frame provided between the base 5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gear 1 and the bottom of the power distribution panel, and includes a top plate 11 formed of a rigid member, And a lower plate 12 arranged to face the upper plate 11 at the lower part and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1. The upper plate 11 constituting the variable frame 10 integrally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horizontal board 111 and the upper horizontal board 111 having a shap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board 1 The lower plate 1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horizontal plate 121 and the lower horizontal plate 121 having a shap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witchboard 1, And a lower vertical plate 122 which is made of a metal.

이때 상부판(11)과 하부판(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직판(112)과 하부 수직판(122)이 서로 대면되게 겹쳐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박스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11)과 하부판(12) 중 어느 하나가 미세하게 크기가 작게 제작됨으로써 상부판(11)이 하부판(12)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고 또는 하부판(12)이 상부판(11)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6,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plates 112 and 1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face-to-face manner to form a box shape.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 size so that the upper plate 11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plate 12 or the lower plate 12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11 As shown in FIG.

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6과는 달리 상부판(11)과 하부판(12)이 수배전반(1) 저면 크기보다 작게 제작되며, 수배전반(1) 하부의 복수개소에 상부판(11)과 하부판(12)이 설치될 수도 있다.6,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ar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bottom size of the switchboard 1, and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below the switchboard 1, May be installed.

완충모듈(1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1)과 하부판(1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로서,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리된 후 서로 접합되는 상부블록(131) 및 하부블록(133)과, 상부블록(131) 및 하부블록(133) 사이에 삽입되어 주위 진동에 따라 가변되는 하부블록(133)의 진동에너지를 감쇄시켜 상부블록(131)으로 전달시키는 절연쿠션(132) 및, 상부블록(131)의 측면과 하부블록(133)의 측면을 연결시키는 연결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차례로 상부블록(131), 절연쿠션(132), 하부블록(133)의 순서로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buffer module 13 is an elastic material buffer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top plate 11 and the bottom plate 12. The buffer module 13 is separated from the buffer module 13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vibration energy of the lower block 133 inserted between the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and between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is varied according to the ambient vibration,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block 131 to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block 133. [ Accordingly, the upper block 131, the insulating cushion 132, and the lower block 133 are installed in this order from top to bottom.

여기서 상부블록(131)의 저면과 하부블록(133)의 상면은 평면이 아니라 굴곡이 지게 형성되며, 서로 한쪽이 돌출되는 굴곡면(1311)이 형성되면 나머지 한쪽은 함몰되는 형태의 함몰면(1331)이 형성되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더욱 견고하게 맞물릴 수 있다.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lock 1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133 are formed to be curved rather than flat, and when the curved surface 1311 protruding from one another is formed, the other one of the depressions 1331 May be formed to be more firmly engaged than in the case of being formed in a plane.

그런데, 지진파 중 P파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유발시키므로 수평방향의 진동이 흡수되어 소산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부블록(131)과 하부블록(133) 사이에 절연쿠션(132)이 삽입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P waves in the seismic waves cause the horizontal vibration, a structure is needed in which th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bsorbed and dissipated. Therefore, the insulating cushion 132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절연쿠션(132)은 상부블록(131) 저면의 굴곡면(1311)과 하부블록(133) 상면의 함몰면(133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블록(131)과 하부블록(133)은 서로 견고하게 맞물리면서도 이와 동시에 서로가 수평방향으로 절연쿠션(132)의 탄성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으므로 하부블록(132)의 진동이 상부블록(131)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결국 기초(5)의 수평 진동이 수배전반(1)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The insulating cushion 13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rved surface 131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lock 131 and the shape of the depressed surface 133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133. [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are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mutually freely variable within the elastic range of the insulating cushion 1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vibration of the base 5 can be block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witchboard 1.

이 경우 상부블록(131) 저면, 절연쿠션(132), 하부블록(133)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면(1311)과 함몰면(13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면(1311)과 함몰면(1331)이 모두 반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돌출면(1311)은 함몰면(1331)에 대하여 전 방향으로 동일한 탄성력으로 밀려날 수 있고, 따라서 상부블록(131)과 하부블록(133) 서로간의 가변 동작은 더욱 부드럽고 자유로워 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jecting surface 1311 and the recessed surface 133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lock 131, the insulating cushion 13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133 may be hemispherical, as shown in FIG. 2 . The protruded surface 1311 and the depressed surface 1331 are both hemispherical so that the protruded surface 1311 can be pushed by the same elastic force in al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depressed surface 1331, (133) The mutual action between them can be made softer and more free.

또한 상부블록(131) 저면의 굴곡면(1311)으로 형성되는 반구 부피보다 하부블록(133) 상면의 함몰면(1331)으로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함몰 공간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굴곡면(1311)으로 형성되는 반구가 함몰면(1331)으로 형성되는 반구 공간에 더욱 깊이 삽입될 수 있게 되어 결국 상부블록(131)과 하부블록(133) 사이에 상대 가변이 너무 먼 거리까지 진행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The hemispherical depressed space formed by the depressed surface 133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133 is formed larger than the hemispherical volume formed by the curved surface 131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lock 131, The hemisphere formed by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can be inserted more deeply into the hemispherical space formed by the depressed surface 1331 so that the relative variable is effectively prevented from proceeding too far between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

그리고 상부블록(131)과 하부블록(133)의 측면을 연결시키는 연결재는 복수개의 강선이 일정한 곡률로 꼬여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134)일 수 있다. 즉 상부블록(131)과 하부블록(133)은 연결재 이외에는 서로 분리된 구조이므로, 상부블록(131)과 하부블록(133)이 상하진동으로 서로 이탈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may be a wire rope 134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hat is,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except for the connecting material, so that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up-down vibration.

이때 상부블록(131)과 절연쿠션(132) 및 하부블록(133)의 이탈을 방지시키면서도 또한 절연쿠션(132)의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진동 감쇄 작용을 더욱 철저하게 해 줄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134)가 설치된다. 와이어로프(134)는 복수개의 강선이 꼬여서 제작되는 만큼 상당한 강성을 가지므로 상부블록(131)과 하부블록(133) 간의 연결이 확실히 보장된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와이어로프(134)는 일괴암적인 단일 강성부재가 아니라 복수개의 부재가 서로 꼬인 상태일 뿐이므로 전체적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지닌다. 따라서 와이어로프(134)로 인하여 상부블록(131)과 하부블록(133) 간의 이탈 방지 및 수평, 수직 방향 진동 감쇄가 모두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연쿠션(132)의 탄성률과 와이어로프(134)의 탄성률이 서로 다르므로 와이어로프(134)의 공진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block 131, the insulation cushion 132, and the lower block 133, and also to more thoroughly perform the vibration damping a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sulation cushion 132, Is installed. Since the wire rope 134 i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the wire rope 134 has a considerably high rigidity,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is surely ensure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wire rope 134 is not a monolithic single-stiffness member, but a plurality of members are twis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ire rope 134 has a uniform elasticity as a who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upper block 131 and the lower block 133 and to attenuate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brations due to the wire rope 134. Further, since the elastic modulus of the insulation cushion 132 and the elastic modulus of the wire rope 13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sonance of the wire rope 134 is effectively suppresse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직판(112)과 하부 수직판(122) 사이에는 완충탄성판(16)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2, a cushioning elastic plate 16 may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vertical plate 112 and the lower vertical plate 122, as shown in FIG.

완충탄성판(16)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에는 길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완충돌기(162,163)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되, 완충탄성판(16)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돌기(162)와 타면에 형성되는 완충돌기(163)는 길이방향이 서로 직교한다.4A and 4B,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162 and 16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uffer elastic plate 16 at regular intervals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protrusions 162 and the buffer protrusions 163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4a에 도시된 완충탄성판(16)의 일면과 도 4b에 도시된 완충탄성판(16)의 타면을 비교하면, 양 면에 형성되는 선형의 완충돌기(162,163) 방향이 서로 직교로 교차됨을 알 수 있다.Comparing one surface of the cushioning elastic plate 16 shown in Fig. 4A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cushioning elastic plate 16 shown in Fig. 4B, the directions of the linear cushioning protrusions 162 and 163 formed on both surfaces cross each other at right angles Able to know.

완충탄성판(16)의 길게 형성되는 선형의 완충돌기(162,163)는 완충돌기(162,163)가 없는 상태에 비하여 보다 더 큰 탄성력을 제공 해 줄 수 있다. 그런데, 완충탄성판(16)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는 선형의 완충돌기(162,163)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완충탄성판(16)의 두께가 단지 두꺼워지는 정도의 탄성력 제공에 그칠 수 있다.The long buffering protrusions 162 and 163 of the buffering elastic plate 16 can provide a greater elastic force than the buffering protrusions 162 and 163 do not have. However, if the buffer bushing protrusions 162 and 163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uffer bushing plate 16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the elasticity of the buffering bushing plate 16 may only be increas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thickness of the buffering bushing plate 16 becomes thick.

그러나 완충탄성판(16) 양면의 선형 완충돌기(162,163)가 서로 방향이 직교로 교차되게 형성됨으로써 완충탄성판(16) 전체로서는 양면의 접촉이 고르게 분산되면서 완충작용이 일어나므로 더욱 뛰어난 완충 효과를 제공 해 줄 수 있고, 또한 더 많은 자재를 사용하여 돌기 두께까지 모두 완충탄성판(16)의 두께로 제작하고 돌기를 형성시키지 않는 경우보다 탄성력으로 인한 완충작용은 더욱 향상되면서 제작비용은 더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However, since the linear buffer bosses 162 and 163 on both sides of the buffering elastic plate 16 are form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e entire buffering elastic plate 16 is uniformly dispersed in contact on both sides, And the buffering effect due to the elastic force is further improved than in the case where the protruding thickness is made up to the thickness of the buffering elastic plate 16 by using more materials and the protrusions are not formed, It is effective.

그리고 도 6에 점선의 원형으로 표시된 구역에는 제3완충모듈(14)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3완충모듈(14) 자체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중심에 스프링 또는 직선 와이어로프가 설치되고 측면에는 구부러진 와이어로프가 설치되어 수평 및 수직방향 진동 감쇄 작용을 보조할 수 있다.A third buffer module 14 may be installed in a region indicated by a dotted circle in FIG. Although the third cushioning module 14 itself is not shown, a spring or straight wire rope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and a bent wire rope may be installed at the side to assis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bration damping operation.

한편,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수배전반(1) 내부의 기기(3)들 사이 및 기기(3)와 수배전반(1) 내부 바닥면 사이에는 제2완충모듈(2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완충모듈(2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1) 내부 기기(3) 벽면 또는 기기(3) 저면과 수배전반(1) 바닥에 각각 부착되는 지지판(211,212)과, 지지판(211,212) 간을 연결시키는 와이어로프(213)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 완충기일 수 있다. 여기서 제2완충모듈20)을 이루는 와이어로프 완충기에서의 와이어로프(213)는 상기 완충모듈(13)에서의 와이어로프(134) 보다 훨씬 단면직경이 작고 더욱 유연하게 거동한다.6A, a second buffer module 2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devices 3 inside the switchgear 1 and between the device 3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witchgear 1. 6B, the second buffer module 20 includes support plates 211 and 212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internal equipment 3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device 3 and the bottom of the switchboard 1, 211, 212) of the wire rope (213). Where the wire rope 213 in the wire rope cushion constituting the second cushioning module 20 is much smaller in cross-sectional diameter than the wire rope 134 in the cushioning module 13 and behaves more flexibly.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평판(111)의 저면과 상부블록(131)의 상면 사이 및 하부블록(133)의 저면과 하부 수평판(121)의 상면 사이에는 도 6c에 도시된 와이어메쉬 완충기(15)가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메쉬 완충기(15)는 다공재질로 형성되는 강성재질의 부재이므로 충분한 탄성력을 가져서 완충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한편, 진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형되면서 와이어메쉬 완충기(15)의 다공 사이로 열이 빠져나감으로써 진동을 감쇄 및 소산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메쉬 완충기(15)는 공진을 억제시키는 작용도 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board 1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131, an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lock 13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board 121, A mesh buffer 15 may be installed. Since the wire mesh buffer 15 is a member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it can have a sufficient elasticity to actively absorb the buffering effect, while the vibration energy is deformed into heat energy and heat is released to the pores of the wire mesh buffer 15 The vibration can be attenuated and dissipated. The wire mesh buffer 15 also acts to suppress resonanc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내진 수배전반에는 제어부(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수배전반(1) 내부에 설치되고 수배전반(1)의 내부 기기(3)의 표면 중에서 식별이 용이한 일정 지점을 타깃으로 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31)와, 카메라(31)의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획득 장치(34)와, 영상획득 장치(34)의 영상을 수신 받아 디지털 정보로 변환시키는 컨버터(미도시)와, 상기 디지털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일정 지점의 공간 좌표 및 진동에 의한 변위정도를 산출시키는 연산기와, 상기 공간 좌표 및 진동에 의한 변위정도 값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control section 3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eismic retrofitting / securing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camera 31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switchboard 1 for acquiring an image targeted at a certain point on the surface of the internal device 3 of the switchboard 1, A converter (not shown) for receiving the image of the image acquiring device 34 and converting the image into digital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mputing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redetermined point An arithmetic unit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displacement due to vibration, and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displacement due to the spatial coordinates and the vibration.

지진이 발생 되면 수배전반(1) 내에 설치된 각종 기기(3)나 부품들이 지진의 충격으로 설치 위치가 틀어질 수 있다.When an earthquake occurs, various devices (3) and components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1) may be tripped due to an impact of an earthquake.

이로 인하여 접속 불량, 누전, 단락, 단선 등이 발생될 수 있고, 전기 화재가 발생되거나 전력을 공급받는 설비들의 고장이 초래될 수 있다.This may lead to connection failure, short circuit, short circuit, disconnection, etc., resulting in electric fire or failure of the power supply facilities.

따라서 기기(3)의 설치 위치가 진동으로 인하여 변동되었는지 여부가 즉각적으로 파악되지 않으면 피해상황 파악 및 유지보수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오랜 시간 단전이 되면서 심각한 피해가 초래될 수 있다.Therefore, if it is not immediately known wheth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evice 3 has been changed due to the vibration,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grasp and maintain the damage situation, and serious damage may occur due to a long time shutdown.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31)를 이용하여 기기(3)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함으로써 기기(3)의 위치 변위 발생 여부와 변위 거리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of the device 3 is obtained by using the camera 31, thereby proposing a system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device 3 occurs and the displacement distance in real time.

이때 위치 변위가 발생되는 객체는 수배전반(1) 내부의 기기(3)들이다. 진동으로 인하여 기기(3)의 위치 변위 발생으로 인한 접속 불량, 누전, 단락, 단선 등의 문제는 기기(3)간의 상대적인 위치 변위로 인하여 발생된다.At this time, the object where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ccurs is the devices 3 inside the switchboard 1. Problems such as connection failure, short circuit, short circuit, disconnection due to the occurrence of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device (3) due to vibration are caused by relative positional displacement between the devices (3).

이때 기기(3)의 위치 변위 발생으로 인한 문제가 정확하게 파악되기 위해서는 진동으로 인하여 각 기기(3)들이 최초 설치 위치로부터 어떤 경로로 이동되어 변위가 일어났는지와, 진동으로 인한 기기(3)들의 변위 후 각 기기(3)들의 정확한 위치가 어느 지점인지가 파악되어야 한다.In order to precisely understand the problem caused by the occurrence of the displacement of the device 3,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how the displacement of each device 3 from the initial installation position due to the vibration occurs and the displacement of the devices 3 due to the vibrat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at which point the precise position of each device 3 is located.

즉 각 기기(3)의 변위 경로와, 변위 후의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어야 하는 것이다.That is, the displacement path of each device 3 and the precise position after the displacement must be grasped.

이 경우 기기(3)의 변위 측정을 위한 카메라(31)는 수배전반(1) 내부에 배치되는데, 정확하게는 수배전반(1)의 외함(2) 내벽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배전반(1) 자체가 진동으로 인하여 변위가 발생되더라도 카메라(31)는 수배전반(1) 외함(2)과 별도로 변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camera 31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device 3 i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switchboard 1, more precisely, on the inner wall of the enclosure 2 of the switchboard 1. Therefore, even if displacement occurs due to the vibration of the switchboard 1 itself, the camera 31 is configured not to be displaced separately from the enclosure 2 of the switchboard 1.

따라서 카메라(31)는 수배전반(1) 내부에서 진동으로 인하여 각 기기(2)들이 변위될 때 수배전반(1) 내부의 최초 설치 위치에서 각 기기(3)들이 어느 정도로 변위되었는가를 포착할 수 있게 된다.The camera 31 is capable of capturing the degree to which each device 3 has been displaced in the initial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interior of the switchboard 1 when the devices 2 are displaced due to vibration in the interior of the switchboard 1 .

다만, 수배전반(1) 자체도 진동에 의하여 변위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31)는 한 지점에 완벽하게 고정된 것은 아니지만 일단 중요한 것은 수배전반(1) 내부의 각 기기(3)의 위치가 수배전반(1) 내부에 최초에 설치된 지점에서 어느 정도로 위치가 변동되었는지 이다. 따라서 수배전반(1) 자체의 변위 문제는 후술하기로 한다.Although the camera 31 is not perfectly fixed at one poin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position of each device 3 inside the switchgear 1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gear 1, And how much the position has changed in the initial installed position inside. Therefore, the displacement problem of the switchboard 1 itself will be described later.

카메라(31)가 수배전반(1) 내부 각 기기(3)의 변위를 포착하려면, 카메라(31)에 대해서는 위치가 불변인 기준 지점이 필요하다.In order for the camera 31 to capture the displacement of each device 3 in the switchboard 1, a reference point whose position is unchanged for the camera 31 is requir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카메라(31)는 수배전반(1)의 외함(2)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기준 지점 역시 수배전반(1) 외함(2)의 내면에 존재해야 한다.10, since the camera 31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enclosure 2 of the switchboard 1, the reference point must also be pres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2 of the switchboard 1 as shown in FIG.

왜냐하면 진동으로 인하여 수배전반(1) 외함(2)이 변위됨으로써 이에 부착된 카메라(31)도 함께 변위되더라도 상기 기준 지점과 카메라(31) 상호간의 상대 위치는 불변이어야 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camera 31 should be unchanged even if the camera 31 attached thereto is displaced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enclosure 2 due to the vibration.

따라서 상기 기준 지점은 수배전반(1) 외함(2)의 내면 어느 지점이어야 한다. 도 10에서는 상기 기준 지점을 수배전반(1) 외함(2)의 내면 중 바닥면으로 정하였으나, 반드시 바닥면일 필요는 없고 기준 지점은 벽면이거나 천장일 수도 있다.Therefore, the reference point should be at any point inside the switchgear (1) enclosure (2). In FIG. 10, the reference point is defined as the bottom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1) of the switchboard (1), but it is not necessarily the bottom surface and the reference point may be the wall surface or the ceilin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지점에는 기준 반사 마커(312)가 구비될 수 으며, 수배전반(1)의 내부 기기(3)들은 수배전반(1)의 저면 또는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기 프레임(4)에 취부된다.8, the reference markers 312 may be provided at the reference point, and the internal devices 3 of the switchboard 1 may be mounted on the device frame 4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switchboard 1 .

이 경우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면 수배전반(1) 내부 기기(3)들이 기기프레임(4)상에서 조금씩 변위가 발생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ibration due to the earthquake occurs, the internal devices (3) of the switchboard (1) may be displaced little by little on the device frame (4).

기기 프레임(4) 자체는 수배전반(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므로 수배전반(1)의 외함(2)과 분리되어 변위가 발생되지는 않는다.Since the device frame 4 itself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witchboard 1, the device frame 4 is not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2 of the switchboard 1 and is not displaced.

따라서 상기 기준 지점 및 기준 반사 마커(312)는 기기프레임(4)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reference point and the reference reflection marker 312 may be installed in the apparatus frame 4. [

이때 기준 반사 마커(312)는 기기 프레임(4)이나 또는 수배전반(1) 외함(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공간 좌표의 기준이 되는 배경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reflection marker 312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evice frame 4 or the enclosure 1 of the switchboard 1 to provide a background image as a reference of spatial coordinates.

또한 변위 관측의 대상인 수배전반(1) 내부 기기(3)들은 진동으로 인하여 수배전반(1) 및 기기프레임(4)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위치가 변위될 수 있으므로 내부 기기(3)들에는 가변 반사 마커(311)가 부착된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devices 3 of the switchboard 1, which is the object of the displacement observation, can be displaced independently of the switchboard 1 and the device frame 4 due to vibration, the internal devices 3 are provided with the variable reflection markers 311 Is attached.

가변 반사 마커(311)는 정확하게는 수배전반(1) 내부의 각 기기(3)들이 각각 내장되는 기기용 외함의 표면에 부착된다.The variable reflection markers 311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ppliance enclosure in which the respective devices 3 inside the switchboard 1 are individually housed.

이 경우 지진 등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어 수배전반(1) 내부의 각 기기(11)들의 변위가 발생되면, 카메라(31)는 기준 반사 마커(311)를 기준으로 하여 가변 반사 마커(312)가 이동되는 궤적과 위치를 포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가변 반사마커(312)가 부착된 수배전반(1) 내부의 각 기기(3)들이 변위된 위치와 궤적을 포착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a vibration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is generated and a displacement of each device 11 in the switchboard 1 is generated, the camera 31 moves the variable reflection marker 312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reflection marker 311 Thereby capturing the displaced position and the trajectory of each device 3 in the switchboard 1 to which the variable reflectance markers 312 are attached.

여기서 기준 반사 마커(312)는 가변 반사 마커(311)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가변 반사 마커(311)의 변화된 위치가 포착될 수 있는 보정 수단이 된다.Here, the reference reflection marker 312 is a correction means capable of capturing the changed position of the variable reflection marker 311 even if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reflection marker 311 is changed.

이로써 기준 반사 마커(312)의 공간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지진으로 인한 진동의 전과 후의 가변 반사 마커(311)의 이동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기기(3)들의 변위 궤적과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displacement trajectory and position of the devices 3 can be grasped by grasping the moving position of the variable reflection marker 311 before and after the vibration due to the earthquake with reference to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reflection marker 312.

참고로 가변 반사 마커(311)와 기준 반사 마커(312)는 카메라(31)의 영상 타깃으로 활용되며, 오차를 줄여줄 수 있다.For reference, the variable reflection marker 311 and the reference reflection marker 312 are used as an image target of the camera 31, and the error can be reduced.

가변 반사 마커(311)와 기준 반사 마커(312)는 구형 물체가 원형 판에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reflection marker 311 and the reference reflection marker 312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spherical object is attached to the circular plate.

가변 반사 마커(311)와 기준 반사 마커(312)는 상부가 구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카메라(31) 위치가 어디든지 간에 카메라(31)의 촬영 방향에 대하여 수직면을 제공 해 줄 수 있으므로 정확한 반사광을 카메라(31)가 얻을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variable reflection markers 311 and the reference reflection markers 312 ar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t the top, a vertical surface can be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31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camera 31, 31) can be obtained.

반사 마커가 이용됨으로써 정확한 반사 영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저해상도 카메라도 사용 가능하여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오차는 0.002mm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수동적인 방식의 가변 반사 마커(311)와 기준 반사 마커(312) 대신에 적외선 신호를 보내는 능동 마커(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다.Since a reflective image can be obtained by using a reflection marker,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because a low-resolution camera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error can be kept below 0.002 mm. However, an active mark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an infrared signal may be attached instead of the passive reflective reflective marker 311 and the reference reflective marker 312 shown in FIG.

카메라(31)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 물건의 공간 좌표 또는 변위를 측정 해 내는 기술 자체는 다양한 공지 기술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The techniques for measuring spatial coordinates or displacements of an objec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the camera 31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대표적인 3차원 변위 측정 기술로는 호모그래피 기반의 측정기술,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등이 있다. 이 경우 일단 수배전반(1) 내부의 기기(3)간의 설치 위치가 중요하므로 수배전반(1) 내부의 기기(3) 위치 변위가 파악될 수 있도록 카메라(31)는 수배전반(1) 내부에 배치되며, 수배전반(1) 자체의 위치 변위 감시를 위하여 수배전반(1) 외부에도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Representative three-dimensional displacement measurement techniques include homography-based measurement technology and DLT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The camera 31 is disposed inside the switchboard 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evice 3 inside the switchboard 1 is important so that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device 3 inside the switchboard 1 can be grasped, A camera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witchboard (1) to monitor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switchboard (1) itself.

카메라(31)의 대수는 하나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두 대 이상이 배치된다.The number of cameras 31 may be one, but two or more cameras are preferably disposed.

카메라(31)는 수배전반(1) 내부의 일정 지점 중 지진의 진동이 일어나더라도 변위가 일어나지 않는 지점에서 일단 배경 영상을 획득하고 컨버터로 전송시키면, 컨버터에서는 카메라(31)가 획득한 영상을 디지털화 하며, 컨버터에서 산출된 디지털 영상 정보를 수신 받는 연산장치는 상기 배경 영상의 공간 좌표를 산출하며 이것을 기준 공간 좌표로 둔다.The camera 31 digitizes the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31 in the converter once the background image is acquired and transmitted to the converter at a point where no vibration occurs even if vibration of the earthquake occurs at a certain point inside the switchboard 1 , The computing device receiving the digital imag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verter calculates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background image and sets it as the reference space coordinates.

또한 카메라(31)는 수배전반(1) 내부 기기(3)들의 일정 부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컨버터로 보내어 배경 영상의 공간 좌표 산출과 마찬가지 과정으로 기기(3)들의 공간 좌표도 산출시킨다.In addition, the camera 31 acquires real-time images of certain parts of the internal devices 3 of the switchboard 1 and sends them to the converter to calculate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devices 3 in the same manner as the space coordinate calculation of the background image.

이때 사전에 획득된 상기 배경 영상의 공간 좌표와 수배전반(1) 내부의 모선 등의 기기(3)의 공간 좌표를 알고리즘화의 방식으로 비교하여 기기(3)들의 위치 변위가 발생되는지 여부와 어느 정도로 기기(3)들의 위치 변위가 발생되는지가 파악될 수 있다.At this time, by comparing the space coordinates of the background image acquired in advance and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device 3 such as busbars inside the switchgear 1 in an algorithmic mann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devices 3 occurs It can be grasped whether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devices 3 is occurring.

또한 제어부(30)는 기울기 센서(32)로부터 수배전반(1)의 기울기 각도 데이터를 수신 받으면서, 수배전반(1)의 기울기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an alarm according to the tilt of the switchboard 1 while receiving the tilt angle data of the switchboard 1 from the tilt sensor 32.

이 경우 경보가 발생되기 시작되는 수배전반(1)의 기울기는 수배전반의 규격과 설치위치 등 주변환경에 따라 적정하게 세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lope of the switchgear 1 where an alarm starts to be generated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the specification of the switchboar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또한 수배전반(1)이 지진등에 의한 진동으로 기울어지면서 모선 및 기기의 변위가 발생될 경우, 내부의 각 충전부 간의 절연거리가 관련 규정에 의거한 안전거리 이내로 좁혀지거나 또는 모선 등과 기기간의 이격 거리가 관련규정에 따른 범위 이내로 좁혀질 경우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경보기에 의한 경보가 발생되면 수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busbar (1) is tilted by vibration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and the displacement of the busbar and the equipment occurs,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internal live parts is narrowed to within the safe distance according to the relevant regulations, or the distance between the busbar, If an alarm is generated by the alarm, a means for automaticall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switchboard may be provided.

기울기 센서(32)는 수배전반(1)의 기울기가 미세하게 변화되더라도 포착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수배전반(1)의 상부에 설치된다.(미도시)The tilt sensor 32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witchboard 1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witchboard 1 can be captured even if the inclination of the switchboard 1 changes slightly (not shown).

여기서 기울기 센서(32)는 아날로그 방식의 기울기 센서와 디지털 방식의 기울기 센서를 모두 포함하지만, 아날로그 방식의 기울기 센서의 경우에도 기울기 측정치가 제어부에 송신될 수 있도록 기울기 측정치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tilt sensor 32 includes both an analog tilt sensor and a digital tilt sensor, but in the case of an analog tilt sensor, means for converting the tilt measurement value to a digital value so that the tilt measurement valu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

이처럼 기울기 센서(32)와 카메라(31)에 의한 공간좌표 획득으로 수배전반(1) 및 수배전반(1) 내부 기기(3)에 발생되는 변위가 포착될 수 있다. 또한 수배전반(10) 자체의 변위 측정을 위하여 외부에 별도의 카메라(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atial coordinates acquisition by the tilt sensor 32 and the camera 31 can capture the displacements generated in the switchboard 1 and the internal equipment 3 of the switchboard 1. In addition, a separate camera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outside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switchboard 10 itself.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10) 내부에서 사전에 획득된 변동되지 않는 지점인 상기 배경영상과, 수배전반(10) 내부에 배치되는 기기 모선(11-1)들의 일정 부위와, 수배전반(10) 외부의 일정 부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반사 마커(311)가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background image, which is a non-fluctuating point obtained in advance within the switchboard 10, a certain portion of the device buses 11-1 disposed inside the switchboard 10, 10, a variable reflection marker 311 may b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uter side as shown in FIG.

또한 앞서 설명된 지진의 진동이 일어나더라도 변위가 일어나지 않는 지점에서 상기 배경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기준 반사 마커(312)가 마련된다.In addition, a reference reflection marker 312 is provided to acquire the background image at a point where displacement does not occur even if vibration of the earthquake described above occurs.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내진 수배전반에서는 외부 기관인 한국지진연구소나 또는 지진연구센터와 지진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하면서 지진 발생 가능성을 감시할 수 있는 전력감시제어 시스템 및 화재 수신반(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arthquake-resistant switch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a fire receiver 60, which can monitor the possibility of an earthquake while periodically or real-time receiving various data related to an earthquake and an earthquake- May be further included.

전력감시제어 시스템 및 화재 수신반(60)은 한국지진 연구소 또는 지진연구센터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상에 접속되어 지자기 자료, GPS 자료 또는 수배전반(1)이 위치하는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지역의 지진 발생 가능 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자료를 통하여 지진이 사전에 예측 가능할 수 있으며, 수신된 자료의 축적을 바탕으로 수배전반(1)이 설치된 위치 자체의 장기적인 지질학적 상태가 파악될 수 있다.The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the fire receiver (60) are connected to a network connected to the Korea Earthquake Research Institute or an earthquake research center, and can be used for earthquake data, GPS data, or any earthquake that may affect the area where the switchboard (1) Data on the possible occurrence conditions can be received. At this time, the earthquake can be predicted through the received data, and the long-term geological condition of the location of the switchboard 1 can be grasped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the received data.

이렇게 축적된 자료는 향후 지진 예측과 지진에 대한 대처를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실제 지진 상황에서 한층 신속하게 지진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The accumulated data can be usefully used to predict earthquakes and cope with earthquakes in the future,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earthquakes more rapidly in actual earthquake situations.

이를 위하여 자료 축적을 위한 서버(미도시)가 전력감시제어 시스템 및 화재 수신반(60)에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server (not shown) for storing data may be provided in the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the fire receiving unit 60.

그리고 제어부(30)와 전력감시제어 시스템 및 화재 수신반(60)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원(33)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전원(33)은 지진으로 인하여 단전이 되더라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축전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And a control power source 33 for supplying a separate power source to the control unit 30, the power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the fire receiver 60. The control power source 33 may be supplied with power from a storage battery (not shown) so that the power source can be supplied even if the power source is short-circuited due to an earthquake.

한편, 비상발전모듈(40)은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와, 케이스(41)에 내장되는 진동증폭부재(42)와, 동력전달부재 및 발전기(47)로 이루어져서 기초로부터 전달받는 진동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변환시켜 내부 발전기를 구동하여 생산되는 전력으로 비상시 제어전원(33)에 전력을 공급하여 제어부(30)를 가동시킨다.9 and 12,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module 40 includes a case 41, a vibration amplifying member 42 embedded in the case 41, a power transmitting member and a generator 47, Converts the vibration energy received from the foundation into rotational energy, drives the internal generator, and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power source (33) in an emergency with the produced electric power to operate the control unit (30).

진동증폭부재(4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가이드(421)와, 왕복가이드(421) 내부 양 단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스프링(423)과, 두 개의 스프링(423)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422)과, 피스톤(422)에 고정연결되는 피스톤 암(4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진동의 영향으로 비상발전모듈(40)에 진동이 전달되면 피스톤(422)이 왕복가이드(421) 내부에서 진동하게 되는데, 이때 스프링(423)의 영향으로 인하여 바람의 영향이 빠른 속도로 진자운동이 반복되는 왕복 운동으로 전환됨으로써 비상발전모듈(40)의 진동 횟수가 증폭되는 결과가 된다. 즉 지진의 영향으로 비상발전모듈(40)이 한번 진동하는 동안 피스톤(422)은 수회 왕복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10, the vibration amplifying member 42 includes a reciprocating guide 421, two springs 423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reciprocating guide 421, and two springs 423 inserted between both springs 423, A piston 422 which moves and a piston arm 43 fixedly connected to the piston 422. Accordingly, when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module 40 due to the influence of the vibration, the piston 422 vibrates in the reciprocating guide 421. At this time, the influence of the wind 423 influences the pendulum motion Is switched to the repeated reciprocating motion, the number of times of vibration of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module 40 is amplified. That is, the piston 422 oscillates several times during the vibration of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module 40 due to the effect of the earthquake.

여기서 왕복가이드(421)는 원통형상의 미끄럼 베어링일 수 있으며 또는 강성 파이프일 수 있다. 왕복가이드(421)가 강성 파이프인 경우에는 내주면에 흑연이 도포되어 마찰에 의한 열화가 방지되고 스프링(423)과 왕복가이드(421) 내주면 간에 마찰로 인한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이 경우 왕복가이드(421)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됨으로써 피스톤 암(43)이 피스톤(422)과 함께 자유롭게 왕복운동할 수 있다.Here, the reciprocating guide 421 may be a cylindrical sliding bearing or a rigid pipe. When the reciprocating guide 421 is a rigid pipe, graphite is a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deterioration due to friction, and interferenc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pring 42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guide 421 can be minimized. 10,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reciprocating guide 4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iston arm 43 can freely reciprocate together with the piston 422.

피스톤(422)에 고정 연결되는 피스톤 암(43)은 동력전달부재로 진동을 전달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암(43)의 단부는 힌지(431)로 커넥팅 로드(44)의 일단에 연결되고, 커넥팅 로드(44) 타단은 회전 암(45)과 힌지 결합된다. 이 경우 회전 암(45)의 일면에 편심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핀 저널(451)이 커넥팅 로드(44) 타단에 삽입됨으로써 회전 암(45)과 커넥팅 로드(44)가 힌지 결합된다.The piston arm 43 fixedly connected to the piston 422 transmits vibration to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The end of the piston arm 4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44 by a hinge 431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44 is hinged to the rotary arm 45 as shown in Fig. A pin journal 451 formed at a position eccentric to one surface of the rotary arm 45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44 so that the rotary arm 45 and the connecting rod 44 are hingedly engaged.

커넥팅 로드(44)와, 회전 암(45)으로 인하여 피스톤(422)의 왕복 운동은 회전 운동으로 변형된다. 회전 암(45)의 회전운동은 회전증폭부재로 전달된다. 참고로 피스톤(422)의 왕복 운동이 회전 암(45)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는 원리가 도 11에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422 due to the connecting rod 44 and the rotary arm 45 is deformed into rotational motion. The rotary motion of the rotary arm 45 is transmitted to the rotary amplifying member. The principle in which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422 is converted in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ry arm 45 is shown in Fig. 11 in order.

회전증폭부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암(45)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전 캡(461)과, 회전 캡(461)에 삽입되어 회전 캡(461)과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되며 내주면에 기어이빨이 형성되는 링 기어(4631)와 링 기어(4631) 내주면에 치합되어 링 기어(4631)에 연동되어 회전되며 링 기어(4631)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위성기어(4632) 및 복수개의 위성기어(4632) 모두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썬 기어(4633)로 구성되는 유성기어(463)로 이루어진다.11, the rotation amplifying member is composed of a rotary cap 461 connected to the rotary arm 45 and rotated together therewith, a rotary cap 461 inserted into the rotary cap 461, rotated at the same angular speed as the rotary cap 461, A plurality of satellite gears 4632 which are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gear 4631 and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ing gear 4631 and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ring gear 4631, And a planetary gear 463 composed of a sun gear 4633 which is engaged with both of the planetary gears 4632 and rotated.

유성기어(463)가 회전증폭부재에 채택됨으로써 회전 암(45)이 한 번 회전 될 때 유성기어(463) 중심에 배치된 썬 기어(4633)는 수 회 내지 10회 이상 회전 될 수 있다. 여기서 썬 기어(4633)의 중심에 발전기(47)의 회전축(471)이 삽입되어 발전기(47)가 구동된다. 따라서 지진으로 인한 비상발전모듈(40)의 진동이 한 번 일어날 때 발전기(47)의 회전축(471)은 수십회 회전될 수 있게 되어 미세한 바람의 진동이 있더라도 발전기(47)에 전력이 생산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회전운동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The sun gear 4633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lanetary gear 463 can be rotated several to ten times or more when the planetary gear 463 is adopted to the rotation amplifying member so that the rotary arm 45 is rotated once. Here, the rotation shaft 471 of the generator 47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un gear 4633, and the generator 47 is driven. Therefore, when the vibration of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module 40 due to the earthquake occurs once, the rotary shaft 471 of the generator 47 can be rotated several tens of times so that electric power can be generated in the generator 47 even if there is minute wind vibration Sufficient rotational kinetic energy can be deliver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 수배전반 2 : 외함
3 : 기기 4 : 기기프레임
5 : 기초 10 : 가변 프레임
11 : 상부판 12 : 하부판
13 : 완충모듈 14 : 제3완충모듈
15 : 와이어메쉬 완충기 16 : 완충탄성판
20 : 제2완충모듈 30 : 제어부
31 : 카메라 32 : 기울기 센서
33 : 제어전원 34 : 영상획득장치
35 : 제어기 40 : 비상발전모듈
41 : 케이스 42 : 진동증폭부재
43 : 피스톤 암 44 : 커넥팅 로드
45 : 회전 암 47 : 발전기
111 : 상부 수평판 112 : 상부 수직판
113 : 네오프렌 방진패드 114 : 고정볼트
121 : 하부 수평판 122 : 하부 수직판
123 : 네오프렌 방진패드 124 : 앙카볼트
131 : 상부블록 132 : 절연쿠션
133 : 하부블록 134,213 : 와이어로프
1311 : 굴곡면 1331 : 함몰면
161 : 중앙판 162,163 : 완충돌기
210 : 와이어로프 완충기 211,212 : 지지판
311 : 가변 반사 마커 312 : 기준 반사 마커
921 : 왕복가이드 922 : 피스톤
923 : 스프링 924 : 마개
931 : 힌지 951 : 핀 저널
961 : 회전 캡 962 : 메인 저널
963 : 유성기어 9631 : 링 기어
9632 : 위성 기어 9633 : 썬 기어
971 : 회전축
1: Switchboard 2: Enclosure
3: Device 4: Device frame
5: Foundation 10: Variable Frame
11: top plate 12: bottom plate
13: buffer module 14: third buffer module
15: wire mesh buffer 16: buffer elastic plate
20: second buffer module 30:
31: camera 32: tilt sensor
33: Control power source 34: Image acquisition device
35: Controller 40: Emergency power generation module
41: Case 42: Vibration amplifying member
43: piston arm 44: connecting rod
45: rotary arm 47: generator
111: upper horizontal board 112: upper vertical board
113: Neoprene vibration proof pad 114: Fixing bolt
121: Lower horizontal board 122: Lower vertical board
123: Neoprene dustproof pad 124: Anchor bolt
131: upper block 132: insulating cushion
133: Lower block 134, 213: Wire rope
1311: curved surface 1331: depressed surface
161: central plate 162, 163: buffering projection
210: Wire rope shock absorber 211, 212:
311: variable reflection marker 312: reference reflection marker
921: reciprocation guide 922: piston
923: spring 924: stopper
931: Hinge 951: Pin Journal
961: Rotating cap 962: Main journal
963: planetary gears 9631: ring gear
9632: Satellite gear 9633: Sun gear
971:

Claims (17)

외함과, 외함에 내장되는 전력분배기기들로 이루어지는 수배전반과;
수배전반 하부의 기초와 수배전반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강성 재질의 프레임으로서, 수배전반 저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상부 수평판과 상부 수평판 둘레에서 일체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과, 수배전반 저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하부 수평판과 하부 수평판 둘레에서 일체로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 수직판으로 이루어져서 상부판 하부에서 상부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부판과 분리되는 하부판 및, 상부 수직판과 하부 수직판 사이에 삽입되는 완충탄성판으로 구성되는 가변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완충모듈로서, 상부판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블록과, 하부판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블록과,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쿠션 및, 상부블록의 측면과 하부블록의 측면을 연결시키는 연결재로 이루어지되, 상부블록의 저면과 하부블록의 상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굴곡이 형성되고, 절연쿠션은 하부블록으로부터 상부블록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며, 연결재는 복수개의 강선이 일정한 곡률로 꼬여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인 완충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블록의 저면에는 다수의 반구형 굴곡이 돌출되고, 하부블록의 상면은 상기 굴곡에 대응되게 다수의 반구형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쿠션은 상면에는 상부블록의 굴곡에 대응되는 반구형 함몰면이 형성되고, 절연쿠션의 저면에는 하부블록 상면의 반구형 함몰면에 대응되는 반구형 굴곡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연쿠션 저면의 반구형 굴곡 부피가 상부블록 저면의 반구형 굴곡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블록의 반구형 굴곡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부블록의 반구형 함몰면 내에서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가변됨으로써, 하부블록으로부터 상부블록으로 전달되는 수직 또는 수평 진동이 감쇄되고,
상기 완충탄성판의 양면에는 길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완충돌기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되, 완충탄성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완충돌기와 타면에 형성되는 완충돌기는 길이방향이 서로 직교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완충돌기들의 탄성력이 완충탄성판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An enclosure and a power distribution unit built into the enclosure;
A frame made of a rigid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bas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panel and the bottom of the power distribution panel and including an upper horizontal plate having a shap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power distribution panel and an upper vertical plate extending integrally down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upper horizontal plate A lower horizontal board having a shap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oor of the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a lower vertical board integrally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eriphery of the lower horizontal board to be opposed to the upper boar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ard, A variable frame formed of a cushioning elastic plate inserted between the upper vertical plate and the lower vertical plate;
An upper cushion installed between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and an upper cushion provided between the upper cushion and the lower block. The cushioning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lock and a top surface of the lower block are formed with curved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insulating cushion attenuates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lower block to the upper block, And the coupling member is a wire rope hav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twist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recess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lock,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recess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to correspond to the bends,
The insulation cushion has a hemispherical de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block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on cushion, and a hemispherical curve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depression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on cushion.
The hemispherical bending volume of the insulating cushion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mispheric bending of the upper block bottom so that all or part of the hemispherical bending of the upper block is vertically or horizontally varied within the hemispherical depression surface of the lower block, The vertical or horizontal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upper block is attenuated,
A plurality of buffer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shioning elastic plate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cushioning protrusion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ushioning elastic plate and the cushion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at right angles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buffering protrusions is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uffering elastic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의 기기들 사이 및 수배전반 내부 바닥면과 상기 기기 저면 사이에는 제2완충모듈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buffer module is inserted between the devices inside the switchgear and betwee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witchgea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vice, and the protruding structure buffering means is provid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모듈은 수배전반 내부 기기 벽면 또는 기기 저면과 수배전반 바닥에 각각 부착되는 지지판과, 지지판 간을 연결시키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 완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buffer module is a wire rop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attached to the wall of the inner equipment or the bottom of the equipment and the floor of the power transmission and control panel and a wire rope connecting the support p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내부 기기의 변위를 영상으로 포착하여 상기 변위의 거리 및 공간 좌표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for capt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internal equipment of the switchboard unit as an image to calculate distance and space coordinate data of the displacem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기기의 일정 지점을 타깃으로 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시키는 컨버터와, 상기 디지털 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일정 지점의 공간 좌표 및 진동에 의한 변위정도를 산출시키는 연산장치와, 상기 공간 좌표 및 진동에 의한 변위정도 값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amera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to acquire an image of a target point of the internal device, a converter to convert the image of the camera into digital information, a controller to calculate the digital information, And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displacement due to the spatial coordinate and the vibration. The earthquake-resistant switchboard according to claim 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배전반 외부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외부의 특정 위치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컨버터로 영상을 전송시키는 외부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camera installed outside the switchboard to acquire an image of a specific location outside the switchboard and transmit the image to the convert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 수배전반은 수배전반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수배전반의 기울기 각도 데이터를 수신 받으면서, 수배전반의 기울기 및 수배전반 내부의 기기, 모선 등의 변위에 따른 충전부 이격거리 미달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 및 수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arthquake-resistant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tilt sensor installed at a certain point of the power transmission /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tilt angle data of the switchboard from the tilt sensor and detects the tilt of the switchgear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alarm and the switchgear for generating an alarm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device, Wherein the protruding structure buffering means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intercepting the protruding structure buffering me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상부 표면에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연장 암과, 연장 암 단부에 부착되어 현수되며, 수배전반 하부 기초의 진동을 연장 암을 통해 전달받아 진동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비상발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10. The method of claim 9,
An extension arm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nclosure to the outside, a suspension arm attached to an end of the extension arm, the vibration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extension arm to generate power by vibration energy, And an emergency generator module for supplying the emergency generator module to the emergency generator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발전모듈은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증폭부재와, 진동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전달부재와, 동력전달부재에 회전축이 연결됨으로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14. The method of claim 13,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power generation module comprises a case, a vibration amplifying member incorporated in the case, a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converting a vibration motion into a rotational motion, and a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connecting a rotation shaft to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Seismic switchgear with structural buffering mean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증폭부재는 길게 형성되는 실린더 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는 왕복가이드와, 왕복가이드 양 단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왕복가이드에 삽입되어 왕복운동 하는 피스톤 및, 피스톤 암과 고정 연결되며 장공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vibration amplifying member is a cylinder having a long shape and includes a reciprocating guide having a long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pring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reciprocating guide, a reciprocating piston inserted into the reciprocating guide, And a piston arm protruding out of the long hole, wherein the protruding structure buffering means is provid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피스톤 암과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커넥팅 로드와, 커넥팅 로드 타단에 핀 저널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는 회전 암과, 회전 암 중심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며, 회전 암의 회전을 증폭시키는 회전증폭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connecting rod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piston arm, a rotary arm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with a pin journal inserted thereinto, Wherein the protruding structure buffering means is provided with a rotation amplifying member for allowing the protruding structure buffering mean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증폭부재는 회전 암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전 캡과, 회전 캡에 삽입되어 회전 캡과 함께 회전되며 내주면에 기어이빨이 형성되는 링기어와 링기어 내주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복수개의 위성기어 및 복수개의 위성기어 모두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썬 기어로 구성되는 유성기어로 이루어져서,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이 썬 기어 중심에 삽입됨으로써 발전기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rotation amplifying member includes a rotary cap connected to the rotary arm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cap, a ring gear inserted in the rotary cap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cap and having gear teeth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satellite gears And a planetary gear comprising a sun gear coupled to both of the plurality of satellite gears, wherein the rotary shaft of the generator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un gear to drive the generator.
KR1020160163546A 2016-12-02 2016-12-02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shock absorber having crista structure KR101927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546A KR101927712B1 (en) 2016-12-02 2016-12-02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shock absorber having crista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546A KR101927712B1 (en) 2016-12-02 2016-12-02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shock absorber having crista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602A KR20180063602A (en) 2018-06-12
KR101927712B1 true KR101927712B1 (en) 2018-12-11

Family

ID=6262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546A KR101927712B1 (en) 2016-12-02 2016-12-02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shock absorber having crista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7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19B1 (en) * 2018-11-13 2019-04-01 김진복 Aseismicity apparatus for power substation
CN109616926B (en) * 2019-01-30 2024-02-23 国网河南省电力公司商丘供电公司 Power equipment management device
IT201900005478A1 (en) 2019-04-09 2020-10-09 Univ Pisa DEVICE TO PROTECT ARTIFACTS, IN PARTICULAR WORKS OF ART, FROM SEISMIC ACTIONS AND VIBRATORY PHENOMENA IN GENERAL
KR102260306B1 (en) * 2019-06-07 2021-06-17 주식회사 서광전기 Electric panel of seismic capability
KR102070608B1 (en) * 2019-06-11 2020-01-29 (주)대산이엔지 seismic device for distribution board
KR102118342B1 (en) * 2019-10-01 2020-06-03 주식회사 대경산전 Seismic device for ESS
KR102293002B1 (en) * 2019-11-25 2021-08-24 엘에스일렉트릭 (주) Thermal image monitoring apparatus and distributing panel having the same
KR102472206B1 (en) * 2020-11-23 2022-11-30 오석환 Fire detector having earthquake resistant function
CN112431898B (en) * 2020-12-09 2022-05-31 河南跃薪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Elastic rubber shock absorber for suspension of mining dump truck
KR102568876B1 (en) * 2021-06-08 2023-08-21 오석환 Vibration isolation switchboard
CN116191823B (en) * 2023-02-14 2023-08-22 大庆恒驰电气有限公司 Be applied to shock-resistant dc-to-ac converter of beam-pumping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402Y1 (en) * 2004-08-10 2004-12-0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Seismic Isolator
KR101520906B1 (en) 2014-12-04 2015-05-18 (주)태성계전 Hybride vibrating energy reducing type for earthquake resistant electrical panel board
KR101582313B1 (en) * 2015-08-26 2016-01-05 (주)유성계전 Seismic Switchgear
KR101593148B1 (en) 2015-04-20 2016-02-15 신원중전기(주) earthquake-proof panel boar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926A (en) * 2010-06-28 2012-01-04 김정태 Elastomeric supporter and seismic isol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081571B1 (en) 2011-04-20 2011-11-08 진영이티에스 (주) Seismic device for distributing board using the seismic spr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402Y1 (en) * 2004-08-10 2004-12-0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Seismic Isolator
KR101520906B1 (en) 2014-12-04 2015-05-18 (주)태성계전 Hybride vibrating energy reducing type for earthquake resistant electrical panel board
KR101593148B1 (en) 2015-04-20 2016-02-15 신원중전기(주) earthquake-proof panel board
KR101582313B1 (en) * 2015-08-26 2016-01-05 (주)유성계전 Seismic Switchg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602A (en)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712B1 (en)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shock absorber having crista structure
KR101582313B1 (en) Seismic Switchgear
KR20190000879A (en)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pendulum type shock absorber
KR20180063603A (en) Seismic switchgear equipped with pendulum type shock absorber
US10401169B2 (en) Enhanced power transmission towe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overhead power systems
KR101377110B1 (en) Seismic device for distributing board
US20180295535A1 (en) Sensor and monitoring system
KR101049407B1 (en) Earthquake resistnat type switchgear using elastic supporting element providing kinesis
KR101663976B1 (en) power supply with 3dimension seismic isolator
US11754463B2 (en) Remote tower monitoring system
JPH0514062B2 (en)
US11511967B2 (en) Base isolation apparatus, lifting apparatus, and base isolation unit
KR101742306B1 (en) The Distribution Board With Earthquake-proof Device
KR101386253B1 (en) Seismic reinforcing device
KR20200059055A (en)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electric distributer employing the same
KR101835567B1 (en) Seismic device for power supply
KR102155297B1 (en) Smart seismic device of distribution panel, solar connection panel, motor control panel
KR102269570B1 (en)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having a function of seismic isolation
KR101349616B1 (en) Earthquake-proofing switchboard
KR101724255B1 (en) Earthquake-Proof Generator
KR102559476B1 (en) Sensing and Responding System Of Multi Purpose Type Distributing Board Base
KR101520906B1 (en) Hybride vibrating energy reducing type for earthquake resistant electrical panel board
KR102165355B1 (en) A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KR20140066316A (en) The panel having quake-proof performance
KR20180062616A (en) Distributing board having the prevention function of electric leakage caused and the self-checking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