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329B1 - Prone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girdle - Google Patents

Prone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gir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329B1
KR101927329B1 KR1020170039001A KR20170039001A KR101927329B1 KR 101927329 B1 KR101927329 B1 KR 101927329B1 KR 1020170039001 A KR1020170039001 A KR 1020170039001A KR 20170039001 A KR20170039001 A KR 20170039001A KR 101927329 B1 KR101927329 B1 KR 101927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pport
guide rail
sea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9367A (en
Inventor
김영기
김관섭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329B1/en
Publication of KR2018010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3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8Supine patient supports or bases, e.g. improving air-way access to the l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2Upper body, e.g.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와위 자세를 취하는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를 받쳐주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상호 교차하며 결합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가지고,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상호 접근 및 이격함에 따라 상기 서포트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승강 유니트; 및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켜 상기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ypass-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heart portion of a physician who takes a prone position;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units having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mutually intersecting with the support and lifting the support as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mutually approach and separate; And a pair of height adjustment unit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by mutually approaching and separa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Description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PRONE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GIRDLE}{PRONE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ATION GIRDLE}

본 발명은,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는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를 받쳐 심폐소생을 시행할 수 있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ped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ped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ant that can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supporting a heart portion of a physician who takes a prone position.

복와위 체위(prone) 예컨대, 엎드린 자세는 수술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 주로, 허리 수술, 뇌 수술 등 다양한 수술 환경에서 복와위 자세를 취하게 된다.A prone position (prone), for example, prone position, is commonly used in the surgical setting. It usually takes a stomach and a stomach stance in various surgical environments such as back surgery and brain surgery.

아울러, 응급실 등 특수의료 환경에서도 기도 내 이물질의 배출 등에 이로워서 복와위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In addition, even in a special medical environment such as an emergency room, it may be necessary to take a stomach and a stomach posture because of the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way.

특히, 피시술자가 복와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심폐소생을 해야 하는 위급 상황이 발생하여, 다시 양와위 체위(supine) 예컨대, 반듯이 드러누운 자세를 취할 경우, 실혈의 위험성과 꼭 필요한 의학적 시술의 중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세 변경에 의해 자칫 시술의 골든 타임을 놓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이 방해되어 시술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which a physician has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a state of taking a prone position, and again taking a supine position such as a supine position, the risk of blood loss and the interruption of necessary medical procedure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ccur. In addition, not only the golden time of the procedure can be missed by changing the posture, but also the procedure is interrupted and the procedure is delayed.

따라서, 피시술자가 복와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시술을 지속하면서 심폐소생을 시행할 경우 의학적으로 커다란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great medical merit wh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carried out while the patient continues to perform the procedure with the stomach and stomach position taken.

이에 의해, 본 출원인은 복와위 자세를 취하는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를 받쳐 심폐소생을 시행할 수 있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Thus,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bypass-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supporting the heart portion of a patient who takes a prone position.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21965호(고안의 명칭: 침구 치료용 가대, 등록일: 2006.05.10.)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21965 (Name of design: Acupuncture for bedding treatment, registration date: 2006.05.1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시술자가 복와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시술을 받는 도중에 심폐소생이 필요한 경우, 피시술자의 자세 변경없이 복와위 자세를 취하는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심폐소생을 시행할 수 있으며, 시술의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고 시술의 방해없이 지속적으로 시술할 수 있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diac arrest system for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bypass-assisted CPR assist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resuscitation and continuously performing the procedure without interrupting the procedure without missing the golden time of the procedure.

본 발명의 목적은, 복와위 자세를 취하는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를 받쳐주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에 상호 교차하며 결합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가지고,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상호 접근 및 이격함에 따라 상기 서포트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승강 유니트; 및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켜 상기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를 포함하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for supporting a heart portion of a physician who takes a prone position;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units having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mutually intersecting with the support and lifting the support as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mutually approach and separate; And a pair of height adjustment unit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by mutually approaching and separa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승강 유니트의 각 제1링크는 상기 서포트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는 각각 상기 서포트에 대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first links of the pair of lifting units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units may be dispos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upports.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는 각각, 상기 제1링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파지가능한 손잡이를 갖는 작동 로드; 및 상기 작동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제2링크의 단부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units each include: an operating rod having the first link rotatably coupled and a grip capable of being gripped; And a guide rail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rod and movably receiving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link.

상기 가이드 레일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상기 제2링크의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제2링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guide rail for supporting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link reciprocating along the guide rail to restrict movement of the second link.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링크의 단부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일 수 있다.The stopper may be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ormed at an interval along the guide rails and engaging with ends of the second link.

상기 서포트는, 동일 평면을 이루며 일렬로 배치되고,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를 받쳐주는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 및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대각방향으로 결합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브레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lates arranged in a line and coplanar to each other to support a heart part of a patient; And a brace coupled to the adjacent pair of the seating plates in a diagonal direction for interconnecting a pair of adjacent seating plates.

상기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안착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링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링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link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ating plate located outsid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and the second link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plate.

상기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는 피시술자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재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may be finish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that buffers the force applied to the subject.

본 발명에 따르면, 피시술자가 복와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시술을 받는 도중에 심폐소생이 필요한 경우, 피시술자의 자세 변경없이 복와위 자세를 취하는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심폐소생을 시행할 수 있으며, 시술의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고 시술의 방해없이 지속적으로 시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required during a procedure in which a physician is in a state of taking a double-stance posi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an be performed by simply installing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on the heart of a patient who takes a double- You can continue to do the procedure without interrupting the procedure without missing the golden time of the proced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가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가 하강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bdominal aortic resuscitation assist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vat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limb CPR resuscitator of FIG. 1 in a lowered state,
3 is a left side view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nd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technicia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elements mentioned. Although "first ","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가 도시되어 있다.1 to 3 illustrate a bypass-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10)는 서포트(11)와, 한 쌍의 승강 유니트(21a,21b)와,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31a,31b)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bypass-assist CPR assistan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11, a pair of elevation units 21a and 21b, a pair of height adjustment units 31a, 31b.

서포트(11)는 복와위 자세를 취하는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서포트(11)는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13)와, 각 안착 플레이트(13)를 상호 연결하는 브레이스(17)를 포함한다.The support (11) serves to support the heart part of the patient who takes the stomach and stomach position. The support (11)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lates (13) and a brace (17) interconnecting the seating plates (13).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13)는 장방형의 판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13)는 동일 평면을 이루며 일렬로 배치된다. 한편, 설명의 편리상, 바깥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안착 플레이트(13) 중, 도 1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안착 플레이트를 전방 안착 플레이트라 하고, 후방에 위치하는 안착 플레이트를 후방 안착 플레이트라고 한다.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13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13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same plane. On the other hand, among the pair of seating plates 13 located outsid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ating plate located forward in FIG. 1 is referred to as a front seating plate, and the seating plate located rearward is referred to as a rear seating plate.

또한,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13)는 솜, 스펀지, 깃털, 라텍스, 고무 등과 같은 완충재로 마감 처리된다. 이에 의해, 서포트(11)가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를 받칠 때, 피시술자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13 are finish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cotton, sponge, feather, latex, rubber or the like. As a result, when the support 11 supports the heart portion of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buffer the force applied to the subject.

브레이스(17)는 일정 길이의 띠 형상을 가진다. 브레이스(17)는 인접하는 한 쌍의 안착 플레이트(13)의 저부면에 대각방향으로 결합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안착 플레이트(13)를 상호 연결한다. 브레이스(17)는 인접하는 한 쌍의 안착 플레이트(13)와 함께 관절 운동을 한다. 이에, 각 브레이스(17)는 인접하는 한 쌍의 안착 플레이트(13)에 상호 나란하게 결합된다.The brace 17 has a band shape of a constant length. The braces 17 are coupl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djacent pair of seating plates 13 to interconnect the adjacent pair of seating plates 13. [ The brace 17 performs a joint motion together with the pair of adjacent seating plates 13. Thus, each brace 17 is coupled to the adjacent pair of seating plates 13 in parallel.

한 쌍의 승강 유니트(21a,21b)는 서포트(11)를 승강시킨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도 1의 좌측에 위치하는 승강 유니트를 좌측 승강 유니트(21a)라 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승강 유니트를 우측 승강 유니트(21b)라고 한다.The pair of lifting units 21a and 21b elevate the support 11.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eft and right lift units 21a and 21b are referred to as the left and right lift units 21a and 21b, respectively.

한 쌍의 승강 유니트(21a,21b)는 서포트(11)에 상호 교차하며 결합되는 제1링크(23) 및 제2링크(25)를 포함한다.The pair of lifting units 21a and 21b includes a first link 23 and a second link 25 which are mutually intersect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11.

제1링크(23)와 제2링크(25)는 각각 동일한 길이의 바아 형상을 가지며, 제1링크(23)와 제2링크(25)의 각 중앙은 연결핀(27)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링크(23)와 제2링크(25)가 연결핀(2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호 접근 및 이격함에 따라, 서포트(11)는 승강하게 된다.Each of the first link 23 and the second link 25 has a bar shape having the same length and each center of the first link 23 and the second link 25 is coupled by a connecting pin 27. As a result, as the first link 23 and the second link 25 rotate about the connecting pin 27 to approach and separate from each other, the support 11 is raised and lowered.

한편, 한 쌍의 승강 유니트(21a,21b)의 각 제1링크(23)는 서포트(11)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결합된다. 예컨대, 좌측 승강 유니트(21a)의 제1링크(23)의 일단부는 서포트(11)의 전방 안착 플레이트(13)의 일측에 힌지핀(2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 승강 유니트(21b)의 제1링크(23)의 일단부는 서포트(11)의 후방 안착 플레이트(13)의 타측에 힌지핀(2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links 23 of the pair of lifting units 21a and 21b are coupled to the support 11 in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link 23 of the left lift unit 21a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ont mount plate 13 of the support 11 by a hinge pin 29, and the right lift unit 21b One end of the first link 23 of the support 1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ar seating plate 13 of the support 11 by a hinge pin 29. [

그리고, 한 쌍의 승강 유니트(21a,21b)의 각 제2링크(25)는 서포트(11)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결합된다. 예컨대, 좌측 승강 유니트(21a)의 제2링크(25)의 일단부는 서포트(11)의 후방 안착 플레이트(13)의 일측에 힌지핀(2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 승강 유니트(21b)의 제2링크(25)의 일단부는 서포트(11)의 전방 안착 플레이트(13)의 타측에 힌지핀(2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각 제2링크(25)의 자유단부에는 후술할 높이 조절 유니트(31a,31b)의 스토퍼(45)에 걸림 유지되는 걸림구(26)가 마련되어 있다.The second links 25 of the pair of lifting units 21a and 21b are coupled to the support 11 in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one end of the second link 25 of the left lift unit 21a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mount plate 13 of the support 11 by a hinge pin 29, and the right lift unit 21b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eating plate 13 of the support 11 by a hinge pin 29. [ The free ends of the second links 25 are provided with hooks 26 which are engaged with the stoppers 45 of the height adjusting units 31a and 31b to be described later.

이로써,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1링크(23)와 제2링크(25)는 전체적으로 'X'자 형태를 이루며, 서포트(11)에 결합된다.The first link 23 and the second link 25 of the lifting units 21a and 21b are formed in an X shape as a whole and are coupled to the support 11.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31a,31b)는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1링크(23) 및 제2링크(25)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켜, 서포트(11)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도 1의 좌측에 위치하는 높이 조절 유니트를 좌측 높이 조절 유니트(31a)라 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높이 조절 유니트를 우측 높이 조절 유니트(31b)라고 한다.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units 31a and 31b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11 by mutually approaching and spacing the first link 23 and the second link 25 of the lift units 21a and 21b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located on the left side of FIG. 1 is referred to as a left height adjustment unit 31a,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reof is referred to as a right height adjustment unit 31b.

좌측 높이 조절 유니트(31a)와 우측 높이 조절 유니트(31b)는 서포트(11)에 대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The left height adjustment unit 31a and the right height adjustment unit 31b are dispos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11.

각 높이 조절 유니트(31a,31b)는 작동 로드(33)와 가이드 레일(41)을 포함한다.Each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s 31a and 31b includes an operation rod 33 and a guide rail 41. [

작동 로드(33)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아 형상을 가진다. 작동 로드(33)의 일단부에는 제1링크(23)가 로드 결합핀(3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operating rod 33 has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link (23)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operating rod (33) by a rod engaging pin (35).

작동 로드(33)의 타단부에는 작동 로드(33)를 파지하여 작동 로드(33)를 동작시키기 위한 손잡이(37)가 마련되어 있다.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rod 33 is provided with a handle 37 for holding the operating rod 33 to operate the operating rod 33.

가이드 레일(41)은 작동 로드(33)에 결합된 로드 결합핀(35)과 손잡이(37) 사이에 마련되어, 제2링크(25)의 왕복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 레일(41)은 작동 로드(33)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고, 이 가이드 레일(41)에는 제2링크(25)의 단부가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The guide rail 41 is provided between the handle 37 and the rod engaging pin 35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33 and guide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econd link 25. The guide rail 41 is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rod 33 and the end of the second link 25 is movably provided on the guide rail 41.

스토퍼(45)는 가이드 레일(41)에 마련되어,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제2링크(25)의 단부 예컨대, 제2링크(25)에 결합된 걸림구(26)를 지지하여 제2링크(25)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45)로서 가이드 레일(41)의 내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이 마련되어 있다.The stopper 45 is provided on the guide rail 41 and supports the end of the second link 25 reciprocating along the guide rail 41 such as the stopper 26 coupled to the second link 25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link 2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pper 4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ail 41 at an interval.

이에 의해,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제2링크(25)의 걸림구(26)가 복수의 스토퍼(45) 중 어느 하나에 걸림으로써, 제2링크(25)는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서포트(11)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second link 25 of the second link 25, which moves along the guide rail 41, is caught by one of the plurality of stoppers 45,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support 11 can be fixed.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45)로서 가이드 레일(41)에 부분적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퍼(45)는 가이드 레일(41)의 내측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돌출된 걸림턱 등의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45 is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partially recessed in the guide rail 41, but the stopper 45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cking protrus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10)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 of the bypass-assisted CPR assistan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복와위 시술대와 복와위 자세를 취하고 있는 시술자의 가슴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유니트(21a,21b)가 절첩된 상태의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10)를 배치한다. 이 때,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10)의 서포트(11)가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를 받쳐주도록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10)를 위치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2, a bypass-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ant 10 in a state in which the lift-up units 21a and 21b are folded is disposed between the abdominal and thoracic treatment pads and the chest of the practitioner in a stomach-up position. At this time, the assistant CPR assistant 10 is placed so that the support 11 of the assistant CPR assistant 10 supports the heart portion of the recipient.

다음,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31a,31b)의 각 조작 로드(33)를 파지한 상태에서 각 조작 로드(33)를 상호 접근시키면, 각 조작 로드(33)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1링크(23)와 제2링크(25)는 상호 접근하도록 연결핀(2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2링크(25)의 단부는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이동하며, 서포트(11)는 복와위 시술대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동시에,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1링크(23)와 제2링크(25)가 상호 접근함에 따라, 서포트(11)의 각 안착 플레이트(13)가 브레이스(17)와의 관절 운동에 의해 상호 접근하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안착 플레이트(13)가 이루는 서포트(1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변형되며 상승하고, 시술자의 심장 부위를 받쳐주는 면적이 증대하게 된다.Next, when the operating rods 33 of the pair of height adjusting units 31a and 31b are gripped and the operating rods 33 are moved closer to each other, The first link 23 and the second link 25 of the units 21a and 21b are rotated about the connecting pin 27 so as to mutually approac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econd link 25 of each of the lifting units 21a and 21b moves along the guide rail 41, and the support 11 is raised from the position of the abdominal wall and above.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link 23 and the second link 25 of each of the lift units 21a, 21b approach each other, each of the seating plates 13 of the support 11 is moved to the joint movement with the brace 17 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11 formed by each of the seating plates 13 is deformed into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s a whole, and the area for supporting the heart portion of the practitioner is increased.

이어서, 서포트(11)가 원하는 높이로 상승하면, 각 조작 로드(33)의 이동을 중지한다. 이 때,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2링크(25)의 걸림구(26)를 가이드 레일(41)의 스토퍼(45)에 걸림 유지함으로써, 서포트(11)는 복와위 시술대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Then, when the support 11 ascends to a desired height, the movement of each operation rod 33 is stopped. At this time, by holding the stopper 45 of the guide rail 41 with the stopper 26 of the second link 25 of each of the elevation units 21a, 21b, the support 11 is moved And maintains the constant height.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10)의 설치가 완료된다.Thus, the installation of the bypass-assist CPR assistan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이와 같이, 복와위 시술대와 피시술자 사이에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10)의 설치가 완료되면, 피시술자가 복와위 시술대에서 복와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자세 변경없이, 시술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힘을 가하면서 피시술자에게 심폐소생을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의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고 시술의 방해없이 지속적으로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폐소생 이외에, 시술자의 폐 속에 있는 혈종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manner,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bypass-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ant (10) is completed between the abdominal aortic ankle and the physician, the patient can perform the operation without changing the posture of the assistant It is possible not only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o the physician while applying the force to the excluded area, but also to continue the operation without interruption of the procedure without missing the golden time of the procedure. In addition to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oreign substances such as hematoma in the lung of the practitioner can be easily discharged.

한편, 심폐소생의 시행이 완료되면,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31a,31b)의 각 가이드 레일(41)의 스토퍼(45)에 걸림유지된 제2링크(25)의 걸림구(26)가 스토퍼(45)로부터 이탈하도록 각 조작 로드(33)에 순간적인 힘을 가한 후,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2링크(25)의 걸림구(26)가 각 가이드 레일(41)의 스토퍼(45)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31a,31b)의 각 조작 로드(33)를 상호 접근시킨다.When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completed, the hooking hole 26 of the second link 25 held by the stopper 45 of each guide rail 41 of the pair of height adjusting units 31a and 31b The second link 25 of each of the elevation units 21a and 21b is guided by the engaging hole 26 of each of the guide rails 41 The operating rods 33 of the pair of height adjusting units 31a and 31b are brought closer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stopper 45. [

한 쌍의 높이 조절 유니트(31a,31b)의 각 조작 로드(33)를 상호 접근함에 따라, 각 조작 로드(33)의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1링크(23)와 제2링크(25)는 상호 이격하도록 연결핀(2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2링크(25)는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이동하며, 서포트(11)는 복와위 시술대를 향해 하강하게 된다. 동시에, 각 승강 유니트(21a,21b)의 제1링크(23)와 제2링크(25)가 상호 이격함에 따라, 서포트(11)의 각 안착 플레이트(13)가 브레이스(17)와의 관절 운동에 의해 상호 이격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11)의 각 안착 플레이트(13)는 단을 이루며, 서포트(11)는 전체적으로 마름모형의 단면 형상으로 변형되며 하강한다.As the operating rods 33 of the pair of height adjusting units 31a and 31b approach each other, the first links 23a of the elevating units 21a and 21b ar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stance of the operating rods 33 And the second link 25 are rotated about the connecting pin 27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econd link 25 of each of the elevation units 21a, 21b moves along the guide rail 41, and the support 11 is lowered toward the abdominal aorta.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link 23 and the second link 25 of the lift units 21a and 21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respective seating plates 13 of the support 11 are moved to the joint movement with the brace 17 2, each of the seating plates 13 of the support 11 forms an end, and the support 11 is deformed into a cross-sectional shape as a whole and descends.

이어서, 서포트(11)가 원하는 높이로 하강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10)를 복와위 시술대와 피시술자 사이로부터 인출한다.Then, when the support 11 is lowered to a desired height, the bypass-assist CPR assistan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from between the abdominal-and-abdominal operation band and the patien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시술자가 복와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시술을 받는 도중에 심폐소생이 필요한 경우, 피시술자의 자세 변경없이 복와위 자세를 취하는 피시술자의 심장 부위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심폐소생을 시행할 수 있으며, 시술의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고 시술의 방해없이 지속적으로 시술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required during a procedure in which a patient is in a state of taking a stomach-up stomach,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easily performed at the heart of a patient who takes a stomach- And it is possible to continue the procedure without interruption of the procedure without missing the golden time of the procedur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
11 : 서포트
13 : 안착 플레이트
17 : 브레이스
21a,21b : 승강 유니트
23 : 제1링크
25 : 제2링크
31a,31b : 높이 조절 유니트
33 : 작동 로드
41 : 가이드 레일
45 : 스토퍼
10: Reciprocal Assisted Recipie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1: Support
13: seat plate
17: Brace
21a and 21b:
23: First link
25: second link
31a, 31b: height adjustment unit
33: Operation rod
41: Guide rail
45: Stopper

Claims (8)

복와위 시술의 시술자의 심폐소생 상황에서, 시술대와 피시술자의 가슴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링크;
상기 링크에 배치되고,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서포트; 및
상기 링크를 작동시켜 상기 서포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작동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는 상호 이격되고, 상기 서포트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는 피시술자의 가슴을 지지하도록 상호 밀착하여 단일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apsi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aratus disposed between a treatment table and a chest of a patient in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tate of a surgeon in a double-limb surgery,
link;
A support disposed on the link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eating plates; And
And an operating rod for operating said link to lift and lower said support,
Wherein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are spac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lowered and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support the chest of the person to be tr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raised and lowered to form a single horizontal plane, Br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호 교차하여 배치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작동 로드는 한 쌍으로 존재하고, 한 쌍의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서포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includes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link, the second link, and the actuating rod are in a pair, and a pair of the first link, the second link, and the actuating rod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i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 중 이웃하는 안착 플레이트를 대각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브레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상단에는 상기 서포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하단에는 상기 작동 로드가 배치되고,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가 교차되는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서포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braces connecting the adjacent seating plates of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in a diagonal direction,
Wherein the support is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he operation rod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Wherein the operating rod changes an angle at which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ntersect, thereby lifting and lowering the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제2링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부에 형성되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는 상기 제1링크의 하단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ion rod includes a guide rail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econd link and a stopper formed on a part of the guide rail,
A lower end of the first link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a handle gripped by a us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ail, and the stopper is formed between one side of the guide rail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ail 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링크의 단부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인,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opper is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that are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along the guide rails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link is engaged.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안착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링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링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ating plate located outside of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and the second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착 플레이트는 피시술자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는 완충재로 마감 처리된, 복와위 심폐소생 보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ating plates are finish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that buffers the force applied to the subject.
KR1020170039001A 2017-03-28 2017-03-28 Prone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girdle KR1019273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001A KR101927329B1 (en) 2017-03-28 2017-03-28 Prone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gir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001A KR101927329B1 (en) 2017-03-28 2017-03-28 Prone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gir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367A KR20180109367A (en) 2018-10-08
KR101927329B1 true KR101927329B1 (en) 2019-03-12

Family

ID=6386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001A KR101927329B1 (en) 2017-03-28 2017-03-28 Prone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gir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3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462B1 (en) * 2021-10-21 2024-03-25 정미경 Height adjustable angular tissue c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697A (en) * 2002-07-08 2004-03-25 Nakajima Meriyasu:Kk Pillow and abdominal area mattress for prone position
CN201185976Y (en) 2008-05-09 2009-01-28 段晓丽 Gas-filled type prone position breast pad
US8336142B1 (en) 2008-02-15 2012-12-25 See Jeffrey J Body and head support
CN205162581U (en) * 2015-09-09 2016-04-20 卫俊锋 Full duplex self -adaptation pillow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965B2 (en) 1993-08-06 2001-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Discharge panel dri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697A (en) * 2002-07-08 2004-03-25 Nakajima Meriyasu:Kk Pillow and abdominal area mattress for prone position
US8336142B1 (en) 2008-02-15 2012-12-25 See Jeffrey J Body and head support
CN201185976Y (en) 2008-05-09 2009-01-28 段晓丽 Gas-filled type prone position breast pad
CN205162581U (en) * 2015-09-09 2016-04-20 卫俊锋 Full duplex self -adaptation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367A (en)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37605B2 (en)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and upper body elevation system
US9801782B2 (en) Support devices for head u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U2531141C2 (en) Shoulder brace for automated cpr system
US6371119B1 (en) Tiltable backboar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N204709363U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tegration automaton
WO2016015613A1 (en) Gynaecological examination table
US10667987B2 (en) Uniform chest compression CPR
CN104582662A (en) Patient repositioning system
KR101927329B1 (en) Prone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girdle
CN211382358U (en) Orthopedic nursing support
CN107249544B (en) Cardio-pulmonary massage and/or resuscitation device
CN214105060U (en) Anesthesia operation table for women and children hospital
CN209019096U (en) Spinal surgery is with resetting apparatus
CN208355625U (en) A kind of cardiological patients postoperative care device
CN203693915U (en) Medical foldable shovel type stretcher
KR20160127596A (en) Integrated functional stretcher-cart platform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emergency resuscitation care
CN210990790U (en) Limb fixing device for pediatric emergency treatment
CN205434241U (en) Diagnosis and treatment bed for department of cardiology
CN209074732U (en) A kind of operation on hip joint drag hook
CN208388868U (en) A kind of fixed transport plates of the multiple adjusting of orthopaedics
CN208511389U (en) Modified form fire victim's training rehabilitation device
CN112206147A (en) Multifunctional emergency treatment device special for emergency department
CN219941129U (en) Anesthesia auxiliary device and operating table
CN110946732A (en) Nephrosis hemodialysis bed
CN207575163U (en) A kind of adjustable bedstead processing unit applied to column D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