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293B1 - 배관 압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압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293B1
KR101927293B1 KR1020160167871A KR20160167871A KR101927293B1 KR 101927293 B1 KR101927293 B1 KR 101927293B1 KR 1020160167871 A KR1020160167871 A KR 1020160167871A KR 20160167871 A KR20160167871 A KR 20160167871A KR 101927293 B1 KR101927293 B1 KR 10192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teel wire
spiral
fabric
spira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719A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6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2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2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 B21C37/121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2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 B21C37/124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the tubes having a special shape, e.g. with corrugated wall, flexibl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30Finishing tubes, e.g. sizing, burn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도되는 강선이 가상의 나선형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나선 형성부, 원단과 상기 강선을 결합하고 상기 나선 형성부로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상기 강선 사이에 위치한 상기 원단 부분을 눌러주어 이웃한 상기 강선 사이 간격(Pitch)을 좁혀 압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압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compression apparatus for duc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duc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 압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에는 환기를 위한 배관이 설치된다. 배관은 함석판을 가공하여 직선형의 관 형태로 제작된다. 그런데, 관 형태의 배관은 절첩성과 유연성이 없고 부피가 커서 제작 및 운반은 물론 시공 작업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부피를 줄여 운반과 시공이 용이한 플렉시블 한 나선형 배관이 제안되고 있다. 나선형 배관은 원단과 원단이 기설정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강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선과 원단은 가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에 의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들에는 강선을 나선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가이드하는 강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강선홈은 가이드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를 통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배관이 배출될 때 원단은 펼쳐진 상태로 배출된다. 이에 공간이 한정된 장소에서 배관을 길게 형성하지 못하고 기설정된 길이 내에서 끊어줘야 했다.
그리고, 가이드들이 설치면과 수직 하게 배치되어 있어 첫 번째 가이드의 강선홈으로 공급된 강선이 두 번째 가이드의 강선홈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지 못하였다. 이에 작업자가 강선을 강제로 강선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큰 힘으로 당겨줘야 했다.
등록특허 제10-1280229호 (2013.06.25.)
본 발명은 제조되어 배출되는 배관을 압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강선이 나선 형성부의 강선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장치는 유도되는 강선이 가상의 나선형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나선 형성부, 원단과 상기 강선을 결합하고 상기 나선 형성부로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상기 강선 사이에 위치한 상기 원단 부분을 눌러주어 이웃한 상기 강선 사이 간격(Pitch)을 좁혀 압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부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원단과 접하는 누름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롤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강선보다 상기 나선형의 가상 중심에 더 근접되어 상기 원단을 상기 가상의 나선형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누름롤러와 떨어져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차단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롤러의 직경은 상기 누름롤러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원단과 결합된 상기 강선은 상기 차단롤러와 상기 누름롤러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서로 접하여 회전하는 구동롤러 및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과 상기 강선은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지지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제조장치는 상기 구동롤러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롤러의 틀어진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테이블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조절 베이스 및 상기 조절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절 베이스가 회전할 수 있도록 밀고 당기는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베이스는 상기 조작부재 조작 시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조절 베이스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포스트, 상기 테이블에 설치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상기 포스트와 나사 결합된 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조절 베이스와 상기 지지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부재는, 상기 조절 베이스와 상기 지지롤러 사이에 위치한 이격 베이스 및 상기 이격 베이스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승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선 형성부는, 상기 가상의 나선형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나선 형성부들은 각각,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와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강선홈이 형성된 나선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선 형성부들의 강선홈은 상기 가상의 나선형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나선롤러는, 상기 강선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외부롤러 및 상기 외부롤러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내부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도부를 통과한 상기 원단과 상기 강선은 상기 외부롤러와 상기 내부롤러 사이를 통해 이동하고 상기 강선은 상기 강선홈을 따라 나선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제조장치는 상기 유도부로 공급되는 상기 강선과 상기 원단을 가이드하는 공급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압축장치는, 공급되는 강선을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나선 형성부 및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강선과 연결된 원단을 눌러주어 나선형의 강선 간격(Pitch)을 좁혀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나선형을 이루면서 이웃한 강선 사이에 위치한 원단은 압축부의 누름롤러에 의해 눌린다. 원단은 가상의 나선형의 중심 방향으로 눌린다. 눌린 원단은 주름이 형성되며 이웃한 강선의 피치는 좁혀진다. 이에 나선 형성부에서 전방으로 배출된 배관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배관이 압축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한정된 길이 내에서 배관을 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롤러들의 강선홈들이 가상의 나선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강선은 이웃한 강선홈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나선형을 이루므로 나선형 형성에 따른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배관의 제조 품질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롤러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조절바를 조작하여 지지롤러가 구동롤러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틀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롤러의 각도 조절로 지지롤러와 구동롤러 사이로 원단은 원활하게 유입되어 원단이 지지롤러와 구동롤러 사이에서 정체하지 않는다. 이에 배관 제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공급 가이드와 유도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유도부와 각도 조절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지지롤러 조절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1의 나선 형성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강선홈을 설명하기 위해 외부롤러를 전개한 개략도.
도 7은 도 1의 압축부와 나선 형성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압축부의 누름롤러가 원단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누름롤러가 원단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압축부가 원단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압축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배관 제조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배관 압축장치가 적용된 배관 제조장치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장치(100)는 유도부(50), 나선 형성부(70) 및 배관 압축장치(이하, 압축부(80)라 함)를 포함하며 공급되는 원단(1a)과 강선(1b)을 결합하여 나선형을 이루는 배관(1)(도 10 참조)을 형성한다. 강선(1b)은 원단(1a)이 기설정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배관 제조장치(10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는 테이블(11) 및 테이블(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테이블(11)과 수직한 칼럼(12)을 포함한다. 칼럼(12)에는 설치 베이스(30)가 분리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테이블(11)의 일측에는 원단(1a)과 강선(1b)을 유도부(50)로 공급하는 공급유닛(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공급유닛은 원단(1a)이 감긴된 원단드럼, 강선(1b)이 감긴된 강선드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장치(100)는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원단(1a)과 강선(1b)을 유도부(50)로 가이드하는 공급 가이드(20)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공급 가이드(20)는 원단(1a)을 유도부(50)로 가이드하는 원단 가이드(21) 및 강선(1b)을 유도부(50)로 가이드하는 강선 가이드(22)를 포함한다. 강선 가이드(22)는 원단 가이드(21)의 일측으로 편심 되어 중첩되어 있다. 이에 강선(1b)은 원단(1a)의 폭 방향(W) 일측과 중첩된다.
유도부(50)는 구동롤러(51) 및 지지롤러(52)를 포함한다. 유도부(50)는 중첩된 원단(1a)과 강선(1b)을 보조 원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나선 형성부(70)로 유도한다. 보조 원단에 의해 결합된 원단(1a)과 강선(1b)은 나선 형성부(70)의 가이드로 나선 형태로 회전하여 1 피치(Pitch)(P1) 전진한다. 1 피치 전진하면 보조 원단은 제거된다. 1 피치 전진한 원단(1a)의 타측 외부면은 원단 가이드(21)에서 공급되는 원단(1a)의 일측 내부면과 중첩된다. 강선 가이드(22)에서 공급된 강선(1b)은 중첩된 원단(1a) 사이로 유입된다. 열풍 노즐(40)을 통해 중첩된 원단(1a) 사이로 열풍이 분사되고 원단(1a)은 열풍 열에 의해 용융된다.
구동롤러(51) 및 지지롤러(5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동하여 회전한다. 구동롤러(51)는 일측이 설치 베이스(30)(도 1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롤러(51)는 칼럼(12)에 배치된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동력 연결되어 회전한다. 구동롤러(51)에는 유도홈(5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유도홈(511)은 구동롤러(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지지롤러(52)는 구동롤러(51) 아래에서 원단(1a)과 강선(1b)이 구동롤러(51)에 밀착되도록 지지한다. 지지롤러(52)에는 유도홈(511)과 연결되는 지지홈(512)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홈(511)과 지지홈(512)에 강선(1b)이 위치한다. 그러나 지지홈(512)은 생략될 수 있다. 지지롤러(52)는 테이블(11)에 배치된 각도 조절부(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강선(1b)과 용융된 원단(1a)은 구동롤러(51) 및 지지롤러(52) 사이를 통과하고 원단(1a)의 용융된 부분이 압착되면서 원단(1a)의 중첩된 부분이 서로 결합된다. 강선(1b)은 압착된 원단(1a) 사이에서 고정된다. 결합된 원단(1a)과 강선(1b)은 나선 형성부(70)로 유도된다. 강선(1b)은 유도홈(511)의 가이드로 나선 형성부(70)의 강선홈(721a)으로 가이드되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전진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각도 조절부(60)는 조절 베이스(61), 조작부재(62) 및 간격 조절부재(63)를 포함하며 원단(1a)이 구동롤러(51)의 회전속도에 따라 구동롤러(51)와 지지롤러(52) 사이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각도 조절부(60)는 구동롤러(51)의 길이 방향 중심(51c)을 기준으로 지지롤러(52)의 틀어진 각도(D)를 설정한다.
조절 베이스(6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테이블(11)에 힌지(611) 연결되어 있다. 조절 베이스(61)는 타측에 외력이 가해지면 힌지(611)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조절 베이스(61)의 움직임으로 지지롤러(52)는 중심(51c)을 기준으로 틀어진다.
조작부재(62)는 포스트(621), 고정블록(622) 및 조절바(623)를 포함한다. 조작부재(62)는 조절 베이스(61) 타측에 위치하여 조절 베이스(61)의 타측을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외력을 가해 조절 베이스(61)가 힌지(611)를 기준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포스트(62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조절 베이스(61) 타측 상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포스트(621)는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블록(622)은 조절 베이스(61)의 타측 일측면으로부터 떨어져 포스트(621)와 마주하고 테이블(11)에 고정되어 있다.
조절바(62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이 고정블록(622)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조절바(623)의 타측은 포스트(621)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간격 조절부재(63)는 이격 베이스(631) 및 승강바(632)를 포함하며 지지롤러(52)의 외부 둘레와 구동롤러(51)의 외부 둘레 간격을 조절한다.
이격 베이스(631)는 조절 베이스(61)와 지지롤러(52) 사이에 위치한다. 이격 베이스(631)는 조절 베이스(61)의 상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지지바(6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격 베이스(631)의 길이 방향 양 끝에는 결합홀(631a)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바(632)는 이격 베이스(631)의 양측에 위치한다. 승강바(632) 하부는 결합홀(631a)을 관통하고 상부는 지지롤러(52)와 연결되어 지지롤러(52)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승강바(632)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격 베이스(631)의 양측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결합홀(631a)을 관통한 승강바(632)와 체결되는 너트가 배치되어 있다.
너트에 체결되는 승강바(632)의 위치에 따라 지지롤러(52)와 구동롤러(51)의 간격이 조절된다. 지지롤러(52)와 구동롤러(51)의 간격은 강선(1b)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각도 조절부(6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조절바(623)의 회전 방향에 따라 포스트(621)는 고정블록(622)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조절바(623) 회전 시 포스트(621)에 포스트를 밀고 당기는 외력이 가해진다. 포스트(621) 이동으로 조절 베이스(61)는 힌지(611)를 기준으로 움직인다.
한편, 조절 베이스(61)가 움직일 때 포스트(621)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고정블록(622)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조절바(623)와 간섭되지 않아 조절 베이스(61)의 움직임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롤러(52)를 지지한 간격 조절부재(63)가 이격 베이스(631)와 연결되어 있어 지지롤러(52) 또한 조절 베이스(61)를 따라 움직이게 되어 지지롤러(52)는 중심(51c)을 기준으로 틀어진다.
이에 구동롤러(51)의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조절바(623)를 조작하여 지지롤러(52)가 구동롤러(51)의 길이 방향 중심(51c)으로부터 틀어진 각도(D)를 조절하여 지지롤러(52)와 구동롤러(51) 사이로 원단(1a)이 원활하게 유입되어 원단(1a)이 지지롤러(52)와 구동롤러(51) 사이에서 정체하지 않는다. 한편 지지롤러(52)의 틀어진 각도(D)가 증가할수록 나선 형성부(70)의 나선 각도와 일치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나선 형성부(70)는 설치 베이스(30)의 가상의 중심점(30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유도부(50)에서 유도된 강선(1b)이 나선형이 되도록 가이드한다. 나선 형성부(70)들은 각각 결합몸체(71) 및 나선롤러(72)를 포함한다.
결합몸체(71)는 일측이 설치 베이스(30)와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다. 결합몸체(71)에는 외부 샤프트(711)가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 샤프트(712)는 외부 샤프트(711)에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 샤프트(712)는 결합몸체(71)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외부 샤프트(711)와 내부 샤프트(712)는 간격을 두고 있다.
나선롤러(72)는 외부롤러(721) 및 내부롤러(722)를 포함한다. 외부롤러(721)는 외부 샤프트(711)와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내부롤러(722)는 내부 샤프트(712)와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내부롤러(722)의 둘레와 외부롤러(721)의 둘레는 떨어져 있다.
외부롤러(721)의 둘레에는 강선홈(721a)이 형성되어 있다. 강선홈(721a)은 외부 샤프트(7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웃한 나선 형성부(70)의 강선홈(721a)들은 가상의 나선형(73)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각 강선홈(721a)이 가상의 나선형(73)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롤러(721)의 길이 방향 중심(721c)은 가상의 나선형(73)과 직각(R)을 이룬다. 이에 설치 베이스(30)로부터 중심(721c)은 직각을 이루지 않고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다. 내부롤러(722) 또한 외부롤러(721)를 따라 경사져 있다.
결합되어 나선 형성부(70)로 유도된 원단(1a)과 강선(1b)은 외부롤러(721)와 내부롤러(722) 사이로 삽입되며 강선(1b)은 강선홈(721a)으로 유도된다. 내부롤러(722)는 원단(1a)과 강선(1b)의 내부 둘레를 지지하고, 외부롤러(721)는 원단(1a)과 강선(1b)의 외부 둘레를 지지한다.
강선홈(721a) 들이 가상의 나선형(73)으로 연결되어 있어 원단(1a)과 강선(1b)은 나선형태로 나선 형성부(70) 들의 외부롤러(721)와 내부롤러(722) 사이를 이동하면서 1 피치(P)식 전진한다. 이웃한 강선홈(721a)이 가상의 나선형(73)으로 연결되어 강선은 이웃한 강선홈(721a)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1 피치 전진한 원단(1a)과 강선(1b)은 다시 구동롤러(51)와 지지롤러(52)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1 피치 전진한 원단(1a)의 타측 외부는 원단 가이드(21)에서 공급되는 원단(1a)의 일측 내부와 중첩된다. 강선 가이드(22)에서 공급되는 강선(1b)은 중첩된 원단(1a) 사이로 유입된다. 중첩된 원단(1a)에 열풍이 가해지면서 공급되는 원단(1a)과 1 피치 전진한 원단(1a)이 서로 결합되어 배관(1)(도 10 참조)이 제조된다. 원단(1a)과 강선(1b)이 1 피치식 전진함에 따라 배관(1)은 나선 형성부(70) 전방으로 배출된다(도 10 참조).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압축부(80)는 고정 브라켓(81), 누름롤러(82) 및 차단롤러(83)를 포함하며 나선 형성부(70)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강선(1b) 사이에 위치한 원단(1a) 부분을 눌러주어 이웃한 강선(1b) 사이 피치(P2)를 좁힌다. 압축부(80)는 배열된 나선 형성부(70)에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81)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가상의 나선형(73)을 따라 배열되어 일측이 외부 샤프트(711)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 브라켓(81)은 칼럼(12)과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81)의 타측에는 수직 하게 롤러 샤프트(811)가 결합되어 있다.
누름롤러(82)는 롤러 샤프트(811)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누름롤러(82)는 롤러 샤프트(8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위치 조절될 수 있다. 롤러 샤프트(811)의 위치 조절은 피치(P1)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나선형을 이루면서 이웃한 강선(1b) 사이에 위치한 원단(1a) 부분은 누름롤러(82)에 의해 눌린다. 원단(1a)과 접한 누름롤러(82) 부분은 강선(1b)보다 가상의 나선형(73)의 가상 중심(73c)에 더 근접되어 있다. 이에 원단(1a)은 누름롤러(82)에 의해 중심(73c) 방향으로 눌린다. 눌린 원단(1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이 형성되며, 원단(1a)의 눌림으로 이웃한 강선(1b)의 피치(P2)가 좁혀진다. 피치(P2)가 피치(P1) 보다 좁혀지면서 나선 형성부(70)에서 전방으로 배출된 배관(1)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배관(1)이 압축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제안된 길이 내에서 긴 배관(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누름롤러(82)의 일부분이 강선(1b) 보다 가상의 나선형(73)의 가상의 중심(73C)에 더 근접하므로 강선(1b)은 누름롤러(82)와 측면과 접하여 걸리게 된다. 강선(1b)의 걸림으로 압축되는 배관(1)이 나선 형성부(70)로 밀리는 것을 차단한다.
차단롤러(83)는 고정 브라켓(81)과 누름롤러(82) 사이에 위치하여 롤러 샤프트(811)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강선(1b)은 차단롤러(83)와 누름롤러(82) 사이를 통과한다. 차단롤러(83)의 직경은 누름롤러(82)의 직경보다 작다. 누름롤러(82)가 강선(1b)이 나선 형성부(70)로 밀리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차단롤러(83)는 강선(1b)이 나선 형성부(70)로 밀리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한다. 그러나 차단롤러(83)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차단롤러(83)와 누름롤러(82)의 간격에 따라 압축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제조장치(1)는 배출 가이드(90)를 더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배출 가이드(90)는 나선 형성부(70) 전방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고 압축부(80)를 통해 압축되면서 배출되는 배관(1)(도 10 참조)을 지지한다. 배출 가이드(90)는 압축되어 회전하는 배관(1)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롤러 및 롤러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골조를 포함한다. 롤러와 배관이 접하게 되어 압축된 배관(1)는 팽창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배관 1a: 원단
1b: 강선
100: 배관 제조장치 11: 테이블
12: 칼럼 20: 공급 가이드
21: 원단 가이드 22: 강선 가이드
30: 설치 베이스 40: 열풍 노즐
50: 유도부 51: 구동롤러
511: 유도홈 52: 지지롤러
521: 지지홈 60: 각도 조절부
61: 조절 베이스 611: 힌지
62: 조작부재 621: 포스트
622: 고정블록 623: 조절바
63: 간격 조절부재 631: 이격 베이스
631a: 결합홀 632: 승강바
64: 지지바 70: 나선 형성부
71: 결합몸체 711: 외부 샤프트
712: 내부 샤프트 72: 나선롤러
721: 외부롤러 721a: 강선홈
722: 내부롤러 73: 가상의 나선형
80: 압축부 81: 고정 브라켓
811: 롤러 샤프트 82: 누름롤러
83: 차단롤러 90: 배출 가이드

Claims (14)

  1. 유도되는 강선이 가상의 나선형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나선 형성부,
    원단과 상기 강선을 결합하고 상기 강선을 상기 나선 형성부로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으로 배출된 이웃한 상기 강선 사이에 위치한 상기 원단 부분을 눌러주어 이웃한 상기 강선 사이 간격(Pitch)을 좁혀 압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 형성부를 통과한 상기 원단이 상기 압축부에 의해 눌리므로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으로 배출된 이웃한 강선의 피치(P2)는 상기 나선 형성부에 위치한 이웃한 상기 강선 사이 피치(P1)보다 좁혀져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으로 배출된 배관은 압축된 상태가 되는
    배관 제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압축부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원단과 접하는 누름롤러
    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누름롤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강선보다 상기 나선형의 가상 중심에 더 근접되어 상기 원단을 상기 가상의 나선형의 중심 방향으로 누르는 배관 제조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누름롤러와 떨어져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차단롤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롤러의 직경은 상기 누름롤러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원단과 결합된 상기 강선은 상기 차단롤러와 상기 누름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배관 제조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유도부는,
    서로 접하여 회전하는 구동롤러 및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과 상기 강선은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지지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결합되는
    배관 제조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구동롤러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롤러의 틀어진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테이블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조절 베이스 및
    상기 조절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절 베이스가 회전할 수 있도록 밀고 당기는 조작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베이스는 상기 조작부재 조작 시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배관 제조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조절 베이스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포스트,
    상기 테이블에 설치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상기 포스트와 나사 결합된 조절바
    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조절 베이스와 상기 지지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간격 조절부재는,
    상기 조절 베이스와 상기 지지롤러 사이에 위치한 이격 베이스 및
    상기 이격 베이스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승강바
    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나선 형성부는, 상기 가상의 나선형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 형성부들은 각각,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와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강선홈이 형성된 나선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 형성부들의 강선홈은 상기 가상의 나선형을 따라 연결되어 있는
    배관 제조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나선롤러는,
    상기 강선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 외부롤러 및
    상기 외부롤러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내부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를 통과한 상기 원단과 상기 강선은 상기 외부롤러와 상기 내부롤러 사이를 통해 이동하고 상기 강선은 상기 강선홈을 따라 나선형태로 이동하는
    배관 제조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유도부로 공급되는 상기 강선과 상기 원단을 가이드하는 공급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14. 공급되는 강선을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나선 형성부 및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으로 배출된 상기 강선과 연결된 원단을 눌러주어 나선형의 강선 간격(Pitch)을 좁혀 압축하는 압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 형성부를 통과한 상기 원단이 상기 압축부에 의해 눌리므로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으로 배출된 이웃한 강선의 피치(P2)는 상기 나선 형성부에 위치한 이웃한 상기 강선 사이 피치(P1)보다 좁혀져 상기 나선 형성부 전방으로 배출된 배관은 압축된 상태가 되는
    배관 압축장치.
KR1020160167871A 2016-12-09 2016-12-09 배관 압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KR10192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871A KR101927293B1 (ko) 2016-12-09 2016-12-09 배관 압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871A KR101927293B1 (ko) 2016-12-09 2016-12-09 배관 압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19A KR20180066719A (ko) 2018-06-19
KR101927293B1 true KR101927293B1 (ko) 2018-12-10

Family

ID=6279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871A KR101927293B1 (ko) 2016-12-09 2016-12-09 배관 압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2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71Y1 (ko) * 2013-10-21 2014-01-15 (주)선주에어테크 나선형 덕트제조장비의 덕트피치조절장치
KR101494994B1 (ko) * 2011-02-07 2015-02-23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29B1 (ko) 2011-04-27 2013-07-05 강덕례 결착식 주름관 에어덕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994B1 (ko) * 2011-02-07 2015-02-23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KR200470871Y1 (ko) * 2013-10-21 2014-01-15 (주)선주에어테크 나선형 덕트제조장비의 덕트피치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19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294B1 (ko) 건축물 지붕용 빗물받이 성형장치
KR102221144B1 (ko) 알루미늄 로드 신선장치
KR101687476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US20230302709A1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a continuous strip
JP2001526116A (ja) スクリュー製造方法と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KR101927293B1 (ko) 배관 압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KR101181111B1 (ko) 파이프홈 형성장치
KR101927285B1 (ko) 각도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제조장치
KR101552220B1 (ko) 비굴착 관로보수용 롤형 폴리에틸렌 접철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비굴착 관로보수용 롤형 폴리에틸렌 접철관
JP5057970B2 (ja) 管状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マンドレル・アセンブリ
JP4471762B2 (ja) ライニ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0160717U (zh) 一种金属管焊管机
KR101121081B1 (ko) 횡방향 포밍장치 및 포밍성형기
JP5778050B2 (ja) 製管装置
CN205599816U (zh) 盾构管片单片网外弧钢筋和内弧钢筋的弯弧装置
CN107672069A (zh) 一种可实现柱状曲面加工的多线切割机
CN102036764A (zh) 螺旋管制造装置的接合夹具
KR101431118B1 (ko) 타원형 단면의 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조장치
KR100763024B1 (ko) 케이블 레이드 글로멧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167948B1 (ko) 건축용 라운드 패널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건축용 라운드 패널
RU234433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бк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EP3753644B1 (en) Roll-forming machine and method for roll-forming
KR200351907Y1 (ko) 파이프 용접비드 제거장치
JP2021102309A (ja) 製管機
JP6778543B2 (ja) 溝付き金属管の製造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