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990B1 -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990B1
KR101926990B1 KR1020170106374A KR20170106374A KR101926990B1 KR 101926990 B1 KR101926990 B1 KR 101926990B1 KR 1020170106374 A KR1020170106374 A KR 1020170106374A KR 20170106374 A KR20170106374 A KR 20170106374A KR 101926990 B1 KR101926990 B1 KR 101926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base
elastic member
vehicl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8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magnetostrictive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요크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진자; 상기 가진자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가진자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가진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되, 상기 가진자의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진자 및 탄성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이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SOUND GENERATOR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일부를 진동으로 증폭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액티브한 주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소음은 차단해야 할 대상으로 판단되어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친환경 차량으로 불리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 모터만으로 주행할 때에는 엔진이 구동될 때와 대비하여 엔진의 구동음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보행자가 자동차의 접근을 인지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고, 운전자가 느끼는 속도감이나 주행감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행자가 자동차의 접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운전자에게는 주행감을 느끼게 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irtual Engine Sound System)과 같은 사운드 발생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운드 발생 시스템은 가상의 엔진음과 경고음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여 보행자들이 자동차의 접근을 쉽게 인식하도록 하거나,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일부를 진동으로 증폭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경우, 과대한 공극으로 인해 진동발생력이 감소되고, 상하로 진동하는 요크 사이에 코일이 존재하여 코일이 손상되며 공극에 의해 사이즈가 증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17-0075373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일부를 진동으로 증폭하여 운전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면서도 컴팩트한 사이즈로 설계 가능하고, 부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요크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진자; 상기 가진자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가진자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가진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되, 상기 가진자의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진자 및 탄성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이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가진자는,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자기에너지의 경로를 확보하는 하부요크;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에 의해 전류인가 시 자기에너지가 발생되는 상기 자석; 및 상기 자석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석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누설자속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요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은 상기 하부요크의 내측으로 만입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의 만입되지 않은 주변에는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자석 및 상부요크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간극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이 권취되는 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일이 상기 간극부에 삽입됨으로써, 전류의 인가 시 상기 가진자가 진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베이스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는 상기 보빈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진자의 최외곽면을 따라 폐쇄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저지부와 상기 저지부에서 연장된 후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진자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진자의 진동 시 상기 상측탄성부재 및 하측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가진자가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가진자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가진자의 중심측에는 상기 가진자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가이드축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진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진자의 진동 시 상기 가진자가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가진자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재와 고정부는 각각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저지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가진자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고정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진자의 진동 시 상기 가진자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와 가진자 사이 또는 상기 커버와 가진자 사이 중 어느 한군데 이상에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또는 베이스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증폭홈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가진자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균일하게 분산된 후 전파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중심측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요철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차체에 설치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진자로부터 발생된 진동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전달된 후 상기 베이스와 케이스의 형상를 따라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청구항 1의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으로서, 제어부에서 차량의 각부에 설치된 검출수단으로부터 엔진회전속도, 엔진부하 및 차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달받는 정보수집단계; 상기 정보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주파수 또는 진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산출단계; 상기 산출단계로부터 산출된 산출값을 증폭기에 입력하여 증폭시키는 증폭단계; 및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가진자에 전달하는 진동발생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에 따르면, 상부요크 및 하부요크와 코일과의 간극, 하부요크와 커버 또는 베이스와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콤팩트한 사이즈로 설계가 가능하며 구동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진자의 횡방향 유동에 의해 코일이 손상되던 것을 횡방향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 향상 및 안정적인 성능의 구현이 가능하며 부품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절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상하방향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낸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낸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도 8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종래와 본 발명의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구동력을 비교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상하방향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낸 간략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낸 간략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10은 종래와 본 발명의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구동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은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구비되고, 요크와 자석(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진자(200); 상기 가진자(2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가진자(200)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300);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되고 상기 가진자(2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되, 상기 가진자(200)의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400); 및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진자(200) 및 탄성부재(400)가 수용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300)이 고정되는 커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0)는 도면에서는 원판형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꼭 그러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10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증폭홈(130)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가진자(200)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균일하게 분산된 후 전파된다. 상기 증폭홈(130)은 강성의 증대와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베이스(100)의 중심측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요철형상의 돌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베이스(100)의 내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의 일부를 진동으로 증폭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에는 내측 즉 상기 커버(500)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11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 특히 상기 베이스(100)의 돌출부(150)와 가진자(200) 사이에는 댐퍼(800)가 구비되어 구동력을 댐핑한다.
상기 베이스(100)에는 가진자(200)가 설치된다. 상기 가진자(200)는 요크와 자석(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안착홈(231)이 형성되고, 자기에너지의 경로를 확보하는 하부요크(230); 상기 안착홈(231)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300)에 의해 전류인가 시 자기에너지가 발생되는 상기 자석(250); 및 상기 자석(25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석(25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누설자속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요크(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요크(230)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홈(231)은 상기 하부요크(230)의 내측으로 만입형성되되, 상기 안착홈(231)의 만입되지 않은 주변에는 테두리부(233)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233)와 상기 자석(250) 및 상부요크(21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간극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요크(230)의 상면 특히 상기 테두리부(233)의 상면과 상기 하부요크(230)의 하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체결홀(6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진자(200)의 중심측에는 상기 가진자(200)의 상부요크(210), 자석(250) 및 하부요크(230)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270)이 형성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300)은 전기에너지가 발생되고 자기에너지를 쇄교하는 코일(330)과 상기 코일(330)이 권취되는 보빈(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300)은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가진자(200)를 진동시킨다. 상기 진동발생수단(300)의 코일(330)은 상기 가진자(2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진동발생수단(300)의 코일(3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류는 상기 보빈(310)에 권취된 상기 코일(330)을 따라 전류의 방향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진자(200)의 자석(250)은 가진자(200)의 반경방향으로 자속의 방향이 형성되고,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상기 가진자(200)에는 상하방향으로 힘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코일(330)이 상기 가진자(200)의 자석(250)이 위치되는 상기 가진자(200)의 간극부(235)에 삽입됨으로써, 전류의 인가 시 상기 가진자(200)가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지지부재(110)에 고정되고 상기 가진자(2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해 상기 가진자(200)가 상하방향으로는 진동가능하되, 상기 가진자(200)의 횡방향 이동은 구속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가진자(200)의 최외곽면을 따라 폐쇄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저지부(410)와 상기 저지부(410)에서 연장된 후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되는 고정부(430)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가진자(20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원인 것을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 가진자(200)의 형상과 그에 따른 탄성부재(400)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할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가진자(200)의 형상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링일 수 있다. 여기서 링이 상기 저지부(410)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저지부(410)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3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430)는 상기 지지부재(110)에 고정되므로, 상기 고정부(430)와 지지부재(110)는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가진자(20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 것을 예를들어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가진자(20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진자(200)의 진동 시 상기 상측탄성부재(400a) 및 하측탄성부재(400b)에 의해 상기 가진자(200)가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가진자(200)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된다. 이러한 내용은 도 5에 도시하였다. 즉,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가진자(2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밀착되되, 더 나아가서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저지부(410)는 체결부재(600)에 의해 상기 가진자(200)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고정부(430)는 체결부재(60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1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진자(200)의 진동 시 상기 가진자(200)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가진자(200)의 하측에만 구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가진자(200)의 하측에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진자(200)의 관통홀(270)에는 상기 관통홀(270)을 관통하여 가이드축(29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진자(200)의 진동 시 상기 가진자(200)가 상기 가이드축(290)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가진자(200)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된다. 이러한 내용은 도 7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가진자(200)의 하측에 밀착되되, 더 나아가서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저지부(410)는 체결부재(600)에 의해 상기 가진자(200)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고정부(430)는 체결부재(60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10)에 체결되며, 상기 가이드축(290)을 따라 상기 가진자(200)가 상하방향으로 진동됨으로써, 상기 가진자(200)의 진동 시 상기 가진자(200)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500)는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500)와 베이스(1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가진자(200) 및 탄성부재(400)가 수용되고, 상기 커버(500)에는 상기 진동발생수단(300)이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5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베이스(100)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5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기(510)에 상기 진동발생수단(300)의 보빈(310)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버(50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증폭홈(530)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가진자(200)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균일하게 분산된 후 전파된다. 상기 증폭홈(530)은 강성의 증대와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500)와 가진자(200) 사이에는 댐퍼(8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진자(200)의 구동력이 댐핑된다.
상기 커버(500)에는 본 발명의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이 차체에 설치되기 위한 체결부재(7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진자(200)로부터 발생된 진동은 상기 탄성부재(400)를 통해 상기 베이스(100)에 전달된 후 상기 베이스(100)와 케이스의 형상를 따라 상기 체결부재(7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가진자(200)의 횡방향의 진동을 억제하고 가진자(200)의 가진력을 상하방향의 커버(500) 또는 베이스(100)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상기 가진자(200)의 진동에 의한 엔진의 소음의 일부를 진동으로 증폭하는 효과를 증대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청구항 1의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으로서, 제어부(910)에서 차량의 각부에 설치된 검출수단(930)으로부터 엔진회전속도, 엔진부하 및 차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달받는 정보수집단계(S100); 상기 정보수집단계(S100)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주파수 또는 진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산출단계(S300); 상기 산출단계(S300)로부터 산출된 산출값을 증폭기(950)에 입력하여 증폭시키는 증폭단계(S500); 및 상기 증폭기(950)에서 증폭된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가진자(200)에 전달하는 진동발생단계(S7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910)는 상기 검출수단(930)으로부터 엔진회전속도, 엔진부하 및 차속 등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부(910)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주파수 또는 진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상기 증폭기(950)에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진동발생수단(300)의 코일(330)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가진자(200)를 진동시킨다. 상기 가진자(200)의 요크(210,230)와 자석(250)은 상하진동을 하고, 상기 가진자(200)에서 발생된 상하진동은 상기 탄성부재(400)를 통해 상기 베이스(100)로 전달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체결부재(7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해 상하방향의 중 한 방향으로만 구동력이 전달되어 구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요크(210) 및 하부요크(230)와 코일(330)과의 간극, 하부요크(230)와 커버(500) 또는 베이스(100)와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콤팩트한 사이즈로 설계가 가능하며 구동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진자(200)의 횡방향 유동에 의해 코일(330)이 손상되던 것을 횡방향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 향상 및 안정적인 성능의 구현이 가능하며 부품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베이스 110 : 지지부재
130 : 증폭홈 150 : 돌출부
200 : 가진자 210 : 상부요크
230 : 하부요크 231 : 안착홈
233 : 테두리부 235 : 간극부
250 : 자석 270 : 관통홀
290 : 가이드축 300 : 진동발생수단
310 : 보빈 330 : 코일
400 : 탄성부재 410 : 저지부
430 : 고정부 500 : 커버
510 : 고정돌기 530 : 증폭홈
600 : 체결부재 610 : 체결홀
700 : 체결부재 800 : 댐퍼
910 : 제어부 930 : 검출수단
950 : 증폭기
S100 : 정보수집단계
S300 : 산출단계
S500 : 증폭단계
S700 : 진동발생단계

Claims (1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요크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진자;
    상기 가진자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가진자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가진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되, 상기 가진자의 횡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진자 및 탄성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이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가진자의 중심측에는 상기 가진자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가이드축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진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진자의 진동 시 상기 가진자가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가진자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진자는,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자기에너지의 경로를 확보하는 하부요크;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발생수단에 의해 전류인가 시 자기에너지가 발생되는 상기 자석; 및
    상기 자석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자석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누설자속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요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하부요크의 내측으로 만입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의 만입되지 않은 주변에는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자석 및 상부요크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간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이 권취되는 보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일이 상기 간극부에 삽입됨으로써, 전류의 인가 시 상기 가진자가 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베이스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는 상기 보빈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진자의 최외곽면을 따라 폐쇄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저지부와 상기 저지부에서 연장된 후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진자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진자의 진동 시 상기 상측탄성부재 및 하측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가진자가 탄성지지됨으로써, 상기 가진자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재와 고정부는 각각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저지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가진자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고정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진자의 진동 시 상기 가진자의 횡방향 유동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가진자 사이 또는 상기 커버와 가진자 사이 중 어느 한군데 이상에는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또는 베이스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증폭홈이 만입형성되어 상기 가진자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이 균일하게 분산된 후 전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측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요철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차체에 설치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진자로부터 발생된 진동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전달된 후 상기 베이스와 케이스의 형상를 따라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15. 삭제
KR1020170106374A 2017-08-23 2017-08-23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KR101926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74A KR101926990B1 (ko) 2017-08-23 2017-08-23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74A KR101926990B1 (ko) 2017-08-23 2017-08-23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990B1 true KR101926990B1 (ko) 2018-12-07

Family

ID=6466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374A KR101926990B1 (ko) 2017-08-23 2017-08-23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9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1304B2 (en) 2020-12-21 2023-04-1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effect for electric vehicle
US11628767B2 (en) 2020-12-14 2023-04-18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playing virtual after-burn sound in electric vehicle
KR20230065801A (ko) 2021-11-05 202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772554B2 (en) 2020-12-01 2023-10-0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providing virtual sound in electric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661B1 (ko) * 2000-09-21 2004-05-03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다기능 음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661B1 (ko) * 2000-09-21 2004-05-03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다기능 음향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554B2 (en) 2020-12-01 2023-10-0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providing virtual sound in electric vehicle
US11628767B2 (en) 2020-12-14 2023-04-18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playing virtual after-burn sound in electric vehicle
US11631304B2 (en) 2020-12-21 2023-04-1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effect for electric vehicle
KR20230065801A (ko) 2021-11-05 202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990B1 (ko)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KR102428403B1 (ko) 차량의 사운드 발생 시스템
US8616536B2 (en) Active dynamic vibration absorber apparatus for vehicle
US8504239B2 (en) Damping apparatus for reducing vibration of automobile body
US9608503B2 (en) Actuator for damping low-frequency oscillations
JP5820253B2 (ja) スピーカ
KR101184286B1 (ko) 차량용 전동식 능동 동흡진기 장치
CN101330988A (zh) 多功能型振动促动器
JPH1038020A (ja) 制振器
US11323821B2 (en) Vibration speaker
KR101768531B1 (ko) 차량 음향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저음 진동 발생기
CN113518290A (zh) 振动扬声器
WO2011158434A1 (ja) 車両用スピーカユニット
JP6755627B2 (ja) 車両用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6282118A (ja) 車両の騒音低減システム
JP2008307955A (ja) 加振装置
JP2006282117A (ja)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
JP2008213734A (ja) 車両の騒音低減システム
JP2000166210A (ja) 発音振動体
JP2007015471A (ja) サスペンションサポート
KR100962585B1 (ko) 다기능 스피커
KR20230023168A (ko) 익사이터
JP2012210836A (ja) 車両用防振装置
KR20210105511A (ko) 진동스피커 및 그 제어방법
JP4576290B2 (ja) スピー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