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802B1 -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802B1
KR101926802B1 KR1020170066048A KR20170066048A KR101926802B1 KR 101926802 B1 KR101926802 B1 KR 101926802B1 KR 1020170066048 A KR1020170066048 A KR 1020170066048A KR 20170066048 A KR20170066048 A KR 20170066048A KR 101926802 B1 KR101926802 B1 KR 10192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level
wort
inner tub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환
Original Assignee
임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윤환 filed Critical 임윤환
Priority to KR102017006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7/00Preparation of wor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맥즙 제조 장치에는 워트 순환 레벨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맥주여과가 원할하여 맥즙 제조시 작업 시간 단축과 장치의 내구도와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Wort 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level of wort}
본 발명은 맥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에서 하부로 워트액이 공급되며 워트액의 배출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맥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맥주 제조 공정은 보리로 녹맥아, 건조맥아 및 분쇄 맥아 형성, 당화, 여과 및 맥즙 형성, 호프 투입과 발효 및 여과를 거쳐 생맥주 및 병맥주를 제조하기까지 다단계로 이루어지는 공정이다.
맥아(malt; 몰트)는 보리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여 발아시킨 것으로, 발아 시 효소인 아밀라아제의 활성이 강하게 되므로 이 효소력을 이용하여 곡식 전분을 분해하는 당화 공정에 이용되어 알코올 발효시킨 후 맥주, 위스키 및 보드카 등의 제조에 활용된다.
적합한 맥즙(wort; 워트)을 많이 얻기 위하여 분쇄 맥아를 적당한 온도와 산도의
담금 용수에 담그는 담금(mashing; 매슁)공정을 통해 몰트를 당화시키고, 아밀라아제와 단백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맥아 성분을 추출한다.
이때 몰트를 여과시켜 맥즙(워트)을 얻는 장치를 맥즙 제조 장치라고 한다. 맥즙 제조 장치에서 순환되는 물과 워트는 몰트에서 발효에 필요한 당을 추출한다.
종래 워트의 제조는 몰트를 소정 크기의 반응 용기에 넣고 물과 함께 넣어 55℃ ~ 75℃를 유지하면서 교반기에 의해 교반하는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워트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식에는 적용될 수 있으나, 소량의 수제 맥주 제조시에는 설비 크기 및 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으며, 특히 수제 맥주의 특성상 제품 풍미를 미묘하게 조절하는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특허 제1549062호에서, 스크린에 의하여 상부를 몰트충전공간, 하부를 워트순환공간으로 구분한 내부 용기와,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맥즙저장공간을 형성한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물 또는 워트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부를 구비한 맥즙 제조 장치를 제안하였다.
또, 출원인은 특허 제1661095호에서, 도 1에 도시한 맥즙제조장치(1')에서, 내통(10')을 스크린(12')으로 구분하여 상부를 몰트가 충전된 몰트공간(14'), 하부를 워트공간(13')으로 구분하고, 외통(20')과의 사이에 순환공간(40')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통(10')의 외면에 타공홀(11')을 다수 천공한 구조를 제안하였다. 워트공간(13')을 통해 배출된 워트는 순환펌프부(30')의 분사노즐(34')을 통하여 배출되고 순환공간(40') 내부를 환류하면서 타공홀(11')을 통하여 다시 내통(10')으로 진입하여 몰트를 여과 및 추출하고 워트를 생성하는 순환 사이클을 이룬다. 사이클이 반복되어 정화된 워트는 순환공간(40')에 저류하며, 밸브(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50')은 워트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이다.
이 구조에서 워트는 분사노즐(34')을 통하여 기본적으로 위로 상승하면서 내통(10')으로 진입하므로, 워트가 내통(10')의 상부 보다는 중간 또는 하부의 타공홀(11')을 통하여 내통(10')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이 경향이 없어도 최소한 내통(10')의 외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스며든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독일 특허 제101 50 395호는 소직경의 내통의 상하부에 두 개의 스크린을 설치하고 워트가 내통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진행하면서 몰트를 여과시키도록 한 맥즙 제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상의 선행 특허들은 워트의 순환 구조에 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만, 워트의 수면, 즉 레벨 조절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맥즙 제조 장치에 있어서, 워트의 레벨 조절은 당화-여과-끓임으로 이어지는 맥즙 제조 공정상 특히 여과(lautering) 시간 단축으로 인한 효율의 증대에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워트의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포함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의 바깥에서 내통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외통;을 포함하며, 상기 내통에는 레벨 조절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의 레벨 조절 슬롯은, 상기 내통에 충전된 워트가 외부로 분출되는 레벨이 달라지도록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맥즙 제조 장치는 레벨 조절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벨 조절 기구를 내통의 레벨 조절 슬롯에 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레벨 조절 슬롯을 통하여 워트가 분출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레벨 조절 기구는 바디와, 바디에 천공된 분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의 레벨 조절 슬롯과 분출구가 교차하는 높이에서 워트의 분출 레벨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레벨 조절 슬롯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커버를 설치하여 슬롯의 개방 면적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포함하는 내통; 상기 내통의 바깥에서 내통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외통; 및 상기 내통과 밀접하여 장착되는 조절조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내통을 통과하는 제 1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조는 조절조를 통과하는 제 2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슬롯과 상기 제 2슬롯이 교차하여 연통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맥즙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내통의 상부공간에는 몰트(malt)가 충전되며, 상기 상부공간, 스크린 및 하부공간을 통하여 상기 몰트와 접촉하는 워트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조절조는 상기 내통의 내부에 장착되며, 좌우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과 제 2슬롯이 교차하여 연통되는 영역은 상기 내통 또는조절조의 회전에 의하여 변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은 아래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진 형상이며, 상기 제2 슬롯은 아래로 갈수록 상기 일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슬롯은 폭이 10 ~ 30mm, 길이가 150 ~ 200mm, 경사각이 40도 내지 70도일 수 있다.
상기 워트의 수준이 상기 제 1슬롯과 상기 제 2슬롯이 교차하여 연통되는 영역 이상이 될 때, 워트는 상기 내통의 제 1슬롯을 통하여 분출되어 외통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흐르는 별도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통의 상기 하부 공간에는 투과공을 더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저류한 워트는 상기 투과공을 통하여 상기 하부 공간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을 통하여 하부 공간으로 흐르는 워트와. 상기 투과공을 통하여 하부 공간으로 흐르는 워트는 합류하여 상기 내통의 상부 공간으로 흐르도록 한 펌프 및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맥즙 제조시 가장 많은 시간이 요하는 여과공정의 시간 단축으로 에너지의 절감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맥즙 제조 장치의 스크린에 쌓이는 메쉬의 압착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속히 맥즙을 제조할 수 있으며, 장치의 고장을 막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인 특허 제1661095호의 맥즙 제조 장치를 도시한다.
도 2a는 워트 레벨 조절 기구가 없는 맥즙 제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워트 레벨 조절 기구를 구비한 맥즙 제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즙 제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즙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즙 제조 장치에 있어 워트 레벨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워트 레벨 조절 기구를 구비한 맥즙 제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워트 레벨 조절 기구를 구비한 맥즙 제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 ?),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연결', '설치' 또는 '부착'한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간의 직접적인 연결 또는 직접적인 설치나 부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것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통한 연결, 설치 또는 부착을 포함하는 것으로 최대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도 2를 토대로 본 발명의 워트의 레벨 조절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워트로 기재하지만, 이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물과 혼합된 워트액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2a는 워트 레벨 조절 기구가 없는 맥즙 제조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맥즙 제조 장치의 내통(inner housing; 10)은 스크린(S)을 기준으로 몰트 공간(12)과 워트 공간(14)으로 구분되어 있다. 몰트 공간(12)에는 몰트(M)가 충전되어 있고 스크린(S)을 통과한 워트는 워트 공간(14)에 모이며 펌프(P)의 구동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다시 내통(10)의 상부로 공급되는 순환 사이클을 이루고 있다.
도면에서 내통(10) 내부의 점선 화살표는 워트 또는 워트액의 흐름을 도시한다.
그런데, 이 경우 워트는, 수준(水準), 즉 워트 레벨이 내통(10)의 상면에 도달하기까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오직 스크린(S)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몰트(M)에서 여과된 부산물이나 크기가 축소된 몰트(M)가 점점 하부로 침전하여 매쉬(m; mash)를 형성하고 스크린(S) 상에 엉키거나 스크린(S)의 체(sieve)를 막는 압착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압착 현상은 워트가 내통(10)의 상면에서 자연적으로 오버플로우 되어 배출되는 별도의 경로가 형성되기까지 계속된다. 매쉬(m)는 점점 스크린(S)에 축적되며 응결되거나 고화하기 쉽다.
이는 몰트 공간(12) 내에서 워트 여과 작용을 현저히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스크린(S)의 고장 나아가 메쉬(m)의 미세한 고형 침전물이 펌프(P)로 유입되는 것으로 인한 작동 문제를 가져온다.
내통(10)의 높이가 높을수록 워트는 오래 잔류하며 침전물이 누적되는 문제는 심각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워트의 레벨(h)을 조절할 수 있는 맥즙 제조 장치(1)를 제공한다.
워트의 레벨(h)이 조정 가능하면, 예를 들어 레벨(h)을 낮추면, 워트의 상당량을 적절한 시간에 신속히 내통(10)에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메쉬(m) 형성을 처음부터 방지할 수 있다. 또, 배출된 워트 만큼 스크린(S)을 통과하는 워트는 감소하므로 스크린(S)에 주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설령 소량의 메쉬가 존재하여도 엉키거나 고형화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워트의 경로는 도 2b에서와 같이 스크린(S)을 향하여 흐르는 제1경로(ⓐ)와 내통(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조절 가능한 제2경로(ⓑ)로 분기된다.
본 발명은 워트의 분출 레벨(h)을 조정하는 것을 발명의 특징으로 하므로, 이 범위 안에서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즙 제조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맥즙 제조 장치(1)는 외통(30; outer housing)과 외통의 내부에 안착된 내통(10)을 포함한다. 내통(10)과 외통(30) 사이 공간에는 코일 형상의 히터(50)가 내장된다. 외통(30) 외면에는 워트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60)가 설치되어 있다.
내통(10)의 상부에는 복수의 긴 슬롯(10s)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0s)은 소정 간격을 두고 동일한 높이에서 복수 개 천공되어 있다. 슬롯(10s)은 아래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진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측으로 경사진 형상의 슬롯이어도 무방하다.
내통(10)의 내부에는 내통(10)과 긴밀히 밀접하여 조절조(adjusting vessel; 20)가 장착된다. 조절조(20)에는 복수의 긴 슬롯(20s)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20s)은 소정 간격을 두고 동일한 높이에서 복수 개 천공되어 있다. 슬롯(20s)은 아래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진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우측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수직 형상의 슬롯이어도 무방하다.
조절조(20)의 슬롯(20s)은 내통(10)의 슬롯(10s)에 대응한다. 조절조(20)는 내통(10)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g)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조절조(20)를 수동으로 또는 크랭크와 같은 작업 도구룰 통하여 좌우로 회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슬롯(20s)과 슬롯(10s)의 교차 영역이 가변되며, 조절조(20) 내부의 워트가 외부로 분출되는 높이 레벨이 달라진다.
슬롯(10s)과 슬롯(20s)이 교차하여 연통(communication)되는 영역은 워트의 높이 조절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워트의 분출 레벨을 변경하는 기능 면에서 내통(10)과 조절조(20)의 구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절조(20)를, 내통(10)의 외면에 내통(10)과 밀접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조절조(20)를 움직이지 않고, 내통(10)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즙 제조 장치(1)의 측면도이다.
내통(10)과 외통(30) 사이에는 공간(60)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10)과 조절조(20)의 슬롯(10s,20s)이 교차하여 레벨(h)에서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내통(10)은 스크린(S)에 의하여 상부의 몰트공간(12)과 하부의 워트공간(14)으로 구획된다. 워트공간(14)을 둘러싸는 내통(10)에는 복수의 투과공(22)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장치로서의 펌프(P)는, 내통(10)의 워트공간(14)과 연통하는 제1라인(40)과 펌프(P)에서 내통(10)의 상부까지 연통된 제2라인(42)에 연결되어 있다. 제2라인(42)의 선단에는 워트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34)이 설치된다.
워트의 높이가 레벨(h) 이하인 경우 워트는 자연적인 중력에 의하여 몰트공간(12)과 워트공간(14)을 차례로 통과하고 제1라인(40)을 통하여 펌프(P)로 압송된 후, 제2라인(42)을 통해 다시 몰트공간(12)으로 도입되는 순환 사이클을 형성한다.
워트의 높이가 점점 상승하여 레벨(h)에 도달하면, 워트가 슬롯(10s,20s)을 통하여 내통(10) 외부로 분출되기 시작하며, 공간(60)에 저류하다 투과공(22)을 통과하여 워트공간(14)으로 흐른다. 이 유동 경로는 제2경로(ⓑ)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2경로(ⓑ)를 따라 흐른 워트는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스크린을 통과하여 자연 낙하하는 워트의 흐름, 즉 제1경로(ⓐ)의 워트와 합해져서 펌프(P)를 통한 순환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도 4에서 밸브(60)는 이를 삭제하여도 무방하다. 또, 최종 맥즙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라인을 제2라인(42)에서 분기하여 연통시켜 도시하지 않은 저장 탱크나 용기에 맥즙이 모이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즙 제조 장치(1)에 있어 워트 레벨(h)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간략화를 위해 슬롯(10s,20s)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 5a에서 내통(10)의 슬롯(10s)과 조절조(20)의 슬롯(20s)은 하부가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한 레벨(h)이 워트레벨이 되며, 워트가 레벨(h) 위로 상승하면 내통(10) 외부로 분출되어 제2경로(ⓑ)가 형성된다.
도 5a에서 조절조(2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6b에 도시한 것처럼 내통(10)의 슬롯(10s)과 조절조(20)의 슬롯(20s)은 중앙부가 교차하게 된다. 따라서, 레벨(h)이 상승하며, 워트가 레벨(h) 위로 상승하면 내통(10) 외부로 분출되어 제2경로(ⓑ)가 형성된다.
도 5b에서 조절조(20)를 좌측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6c에 도시한 것처럼 내통(10)의 슬롯(10s)과 조절조(20)의 슬롯(20s)은 하부가 교차하게 된다. 따라서, 레벨(h)이 더욱 상승하며, 워트가 레벨(h) 위로 상승하면 내통(10) 외부로 분출되어 제2경로(ⓑ)가 형성된다.
추가로, 도 5c에서 조절조(20)를 더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슬롯(10s,20s)이 교차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워트 레벨(h)은 도 5a와 같은 가장 아래의 수준이 된다. 하지만, 워트는 내통(10)과 조절조(20)의 두 슬롯을 통하여 분출되므로 많은 양의 워트 분리가 가능하다.
발명자가 본 발명을 실험한 바에 의하면, 높이 575mm, 너비 535mm인 내통(10)의 경우, 슬롯(10s) 폭 20mm, 길이 170mm, 경사각도 약 60도에서 소정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슬롯의 폭이 약 10 ~ 30mm, 길이가 약 150 ~ 200mm, 경사각도가 약 40도 내지 70도로 설계하면 적절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워트 레벨조절은 신속한 여과의 특징을 가져오므로 맥즙 제조 공정상 시간 단축의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즙 제조 장치(1)는 여과 대상인 몰트 중량이 큰 경우는 워트 레벨(h)을 미리 낮추어 가동하고, 반대로 몰트 중량이 큰 경우는 워트 레벨(h)을 미리 높여 가동할 수 있다. 또, 장치의 가동 중에도 스크린(S)의 막힘 정도와 펌프의 구동 상태에 따라 워트 레벨(h)을 조절할 수 있다.
워트 레벨(h)의 조절은 몰트(M)의 여과 정도, 따라서 맥주 원료의 순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맥주의 맛 조절에 중요한 필수 조건이다. 적절한 워트 레벨(h)은 라우터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 맥즙 제조 장치(1)의 부품 내구성과 작동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내통(10)에는 긴 형상의 레벨 조절 슬롯(10a)이 형성되고, 조절조(20)에는 원형의 슬롯(20a)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조(20)를 내통(10)에 긴밀히 밀착하여 삽입하면, 레벨 조절 슬롯(10a)과 슬롯(20a)이 교차하는 높이에서 분출 레벨(h)이 형성된다. 레벨(h) 이하에서도 내통(10) 외부로 분출되는 워트는 존재할 수 있지만, 레벨 조절 슬롯(10a) 하부(10a') 대부분이 조절조(20)의 면으로 폐쇄되므로 분출 워트량은 적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다음,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하여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
내통(10)에는 긴 형상의 레벨 조절 슬롯(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의 실시예와 달리 예를 들어 평판형의 바디(100a)와, 바디에 천공된 분출구(100b)로 이루어지는 레벨 조절 기구(100)를 구비하고 있다. 바디(100a)는, 내통(10)과 접하는 면은 밀봉 부착 가능한 실리콘 패드로 제작하고, 실리콘 패드위에 금속 재질의 베이스를 부착한 이중층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바디(100a)의 높이는 레벨 조절 슬롯(10a)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 조절 기구(100)를 내통(10)의 레벨 조절 슬롯(10a)에 밀착하여 부착하면, 레벨 조절 슬롯(10a)과 분출구(100b)가 교차하는 높이에서 분출 레벨(h)이 형성된다. 따라서, 앞서의 실시예와 같이, 라우터링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레벨 조절 기구(100)의 부착 높이를 상하로 변경함으로써 레벨 조절 슬롯(10a)의 분출 레벨(h)이 달라진다.
레벨 조절 기구(100)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력성 있는 밴드 형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레벨 조절 슬롯(10a)의 하부를 모두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출구(100b)는 생략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는 조절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더욱 간단한 방법으로 워트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의 워트 레벨 조절 기능은 다만 일례를 제시한 것이며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첫째, 내통과 조절조의 슬롯, 레벨 조절 슬롯은 상호 교차하여 워트 레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 크기, 형상 및 각도는 적절히 변형할 수 있다. 또, 슬롯 및 레벨 조절 슬롯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내통과 조절조 각각 하나의 대형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둘째, 내통과 조절조는 상대적인 운동으로 슬롯의 교차부를 변경시킬 수 있는 한 어느 부재도 회전 가능하다.
셋째, 레벨 조절 기구는 레벨 조절 슬롯을 커버하는 한, 크기, 갯수나 형상은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넷째, 펌프를 위주로 한 순환 구동 장치는 내장형의 펌프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제1라인 및 제2라인의 연통 경로와 설치 위치 또는 저장 라인의 부가나 삭제등도 역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내통의 레벨 조절 슬롯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커버를 두어 개방 면적이 달라지도록 미닫이 형식으로 제작하는 등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유사한 영역에까지 미친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1): 맥즙 제조 장치 (10): 내통 (20): 조절조
(30); 외통 (10s): 슬롯 (20s): 슬롯
(P): 펌프 (S): 스크린 (50): 히터 (60): 밸브

Claims (13)

  1.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포함하는 내통; 및
    상기 내통의 바깥에서 내통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외통;을 포함하며,
    상기 내통에는 레벨 조절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의 레벨 조절 슬롯은, 상기 내통에 충전된 워트가 외부로 분출되는 레벨이 달라지도록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맥즙 제조 장치는 레벨 조절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벨 조절 기구를 내통의 레벨 조절 슬롯에 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레벨 조절 슬롯을 통하여 워트가 분출되는 높이가 조절 되는, 맥즙 제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조절 기구는 바디와, 바디에 천공된 분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의 레벨 조절 슬롯과 분출구가 교차하는 높이에서 워트의 분출 레벨이 형성되는, 맥즙 제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조절 슬롯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커버를 설치하여 슬롯의 개방 면적이 달라지도록 한, 맥즙 제조 장치.
  5.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포함하는 내통;
    상기 내통의 바깥에서 내통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장착된 외통; 및
    상기 내통과 밀접하여 장착되는 조절조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내통을 통과하는 제 1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조는 조절조를 통과하는 제 2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슬롯과 상기 제 2슬롯이 교차하여 연통되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맥즙 제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부공간에는 몰트(malt)가 충전되며, 상기 상부공간, 스크린 및 하부공간을 통하여 상기 몰트와 접촉하는 워트가 흐르도록 한, 맥즙 제조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조는 상기 내통의 내부에 장착되며, 좌우로 회전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제 2슬롯이 교차하여 연통되는 영역은 상기 내통 또는 조절조의 회전에 의하여 변하는, 맥즙 제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아래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진 형상이며, 상기 제2 슬롯은 아래로 갈수록 상기 일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인, 맥즙 제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슬롯은 폭이 10 ~ 30mm, 길이가 150 ~ 200mm, 경사각이 40도 내지 70도인, 맥즙 제조 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워트의 수준이 상기 제 1슬롯과 상기 제 2슬롯이 교차하여 연통되는 영역 이상이 될 때, 워트는 상기 내통의 제 1슬롯을 통하여 분출되어 외통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흐르는 별도의 경로를 형성하는, 맥즙 제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기 하부 공간에는 투과공을 더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저류한 워트는 상기 투과공을 통하여 상기 하부 공간으로 흐르도록 한, 맥즙 제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통하여 하부 공간으로 흐르는 워트와. 상기 투과공을 통하여 하부 공간으로 흐르는 워트는 합류하여 상기 내통의 상부 공간으로 흐르도록 한 펌프 및 라인을 포함하는, 맥즙 제조 장치.
KR1020170066048A 2017-05-29 2017-05-29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 KR10192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48A KR101926802B1 (ko) 2017-05-29 2017-05-29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048A KR101926802B1 (ko) 2017-05-29 2017-05-29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802B1 true KR101926802B1 (ko) 2018-12-07

Family

ID=6466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048A KR101926802B1 (ko) 2017-05-29 2017-05-29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300A (ko) 2019-08-29 2021-03-10 박형민 맥주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062B1 (ko) 2015-04-03 2015-09-02 임윤환 맥즙 제조장치
WO2017153818A1 (en) 2016-03-08 2017-09-14 Sanders Julian Veysey Two vessel compact beer brew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062B1 (ko) 2015-04-03 2015-09-02 임윤환 맥즙 제조장치
WO2017153818A1 (en) 2016-03-08 2017-09-14 Sanders Julian Veysey Two vessel compact beer brew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300A (ko) 2019-08-29 2021-03-10 박형민 맥주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3738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мешивания,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и/или разделения
KR101926802B1 (ko) 워트 레벨 조절이 가능한 맥즙 제조 장치
US20100291261A1 (en) Continuous brewing process
KR20180092955A (ko) 커피 머신 및 커피 머신 작동 방법
US45342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an curd
CN102986333B (zh) 棕榈种子清洗薄化引发装置
US5292431A (en) Pressurized percolating filter of the type used for the regeneration of water in aquariums
US9409105B2 (en)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extraction and/or separation
DE102011111273A1 (de) Mälzereivorrichtung zum Mälzen von Keimgut
CN106473196B (zh) 一种黄豆芽清洗去皮装置的操作方法
CN108102851A (zh) 一种酿酒用的装置
DE10038682C1 (de) Gefäß für die Bierherstellung
JPH11206244A (ja) 出芽玄米製造装置
CN213141960U (zh) 啤酒酿造机用谷物箱
CN106244413B (zh) 一种食醋固态酿造一体机
Leiper et al. Brewhouse technology
DE2331842C3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Befeuchten von cerealem Korngut vor dessen Mahlung
KR101870836B1 (ko)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산소 용해수를 이용하는 발아미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아미의 제조방법
JP2010051917A (ja) 可変バッフルトレイ
KR100998672B1 (ko) 맥주 제조용 월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21085806U (zh) 一种米浆研磨装置
CN219578252U (zh) 一种大米浸泡装置
CN105709659A (zh) 一种离心造粒装置
CN115553478B (zh) 一种饲料生产用的玉米清洗剥粒粉料一体化设备
CN219722156U (zh) 一种过滤材料的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