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749B1 - 더치커피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749B1
KR101926749B1 KR1020170083005A KR20170083005A KR101926749B1 KR 101926749 B1 KR101926749 B1 KR 101926749B1 KR 1020170083005 A KR1020170083005 A KR 1020170083005A KR 20170083005 A KR20170083005 A KR 20170083005A KR 101926749 B1 KR101926749 B1 KR 101926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collecting
nozzl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덕환
Original Assignee
위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덕환 filed Critical 위덕환
Priority to KR102017008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추출용 더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단에 구성되며 추출된 커피원액을 모으게 되는 컵 용기 구조의 지지통, 상기 지지통의 상부에 탑재되며 물을 공급하는 컵 용기 구조이면서 내주연의 중앙 부근이 밀폐되며 물의 투하량을 조절하는 깔때기 형상의 노즐이 구비된 물탱크, 및 상기 지지통의 상단에 걸착되는 방식으로 탑재되면서 상기 물탱크를 지지하는 구조이며, 커피분말이 내부에 수용된 통 형상 구조의 거치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한시적으로 가두어 놓았던 물을 동력 없이 특정 시점에 자연 낙하시켜 여러 갈래의 물줄기 형태로 커피분말을 향해 오랫동안 자동 투하되게 하여 커피분말 전체의 고른 젖음(wetting)을 유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 장치{Duct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동력에 의한 자연 낙하되는 여러 갈래의 물줄기로 커피 분말 전체를 오랫동안 적셔줄 수 있는 방식으로 커피 추출액을 얻게 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 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더치커피가 각광받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커피는 암을 예방하는 효능까지 갖게 됨에 따라 단순히 음용하기 위한 식품이 아닌 건강과 다이어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필수 기호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더치커피(Dutch Coffee)는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내 커피를 일컫는 용어로서, 특히 영어식 명칭으로는 콜드브루(Cold brew) 라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더치커피의 제조 방식은 별도의 전용 기구에 분쇄한 원두를 넣고 찬물 또는 상온의 물에 짧게는 3 ~ 4시간, 길게는 8 ~ 12시간 정도 우려내면서 커피 원액을 추출하게 된다.
추출 방식에 따라 침출식(浸出式)과 점적식(點滴式)으로 구분되는데, 침출식은 용기에 분쇄한 원두와 물을 넣고 10 ~ 12시간 정도 실온에서 숙성시킨 뒤 걸러낸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며, 점적식은 용기에서 우려낸 커피가 한 방울씩 떨어지게 하는 방식으로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오랜 시간을 걸쳐 추출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로 짧은 시간에 추출한 일반 커피에 비하여 쓴맛이 덜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갖게 된다.
특히, 더치커피의 소비에 맞추어 더치커피의 액 추출에 요구되는 다양한 추출 기구들도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며, 추출 기구의 더 나은 제품을 위한 기술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가정에서는 각 개인들이 직접 더치커피를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게 가정용 추출 기구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대부분 더치커피 액 추출 기구들은 분쇄된 더치커피 분말로 낙수되는 물이 한 방울씩 천천히 느리게 떨어지는 관계로 더치커피 분말의 전체 면적을 적시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한계성으로 커피 추출에 걸리는 시간이 과다히 소요되는 문제도 있으며, 더치커피 분말의 일부 부위만 적시어지는 관계로, 더치커피의 고른 추출이 불가하고, 이로 인하여 더치커피의 향미도 덜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다시 말해 더치커피 액 추출 기구는 커피 분말로 낙수되는 물이 한 방울씩 천천히 투하되는 관계로, 커피 추출에 걸리는 시간이 과다히 소요되고, 더욱이 물이 한 방울씩 특정 방향으로만 투하되는 관계로 커피 분말 전체를 적실 수 없는 한계성으로 커피 추출의 효용성이 저하되며, 커피 향미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허문헌 01 : 등록실용신안 제20-0481426호 특허문헌 02 : 등록실용신안 제20-0479512호 특허문헌 03 : 등록실용신안 제20-0478513호 특허문헌 04 : 등록특허 제10-1704350호 특허문헌 05 : 등록특허 제10-1701251호 특허문헌 06 : 등록특허 제10-1667184호 특허문헌 07 : 등록특허 제10-1709102호 특허문헌 08 : 등록특허 제10-1668580호 특허문헌 09 : 등록특허 제10-1558895호 특허문헌 10 : 등록특허 제10-1597969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방울씩 느리게 투하되는 물을 한시적으로 집수하였다가 일정 시점에 커피 분말을 향해 여러 갈래의 물줄기를 자연 낙하하는 방식으로 오랫동안 투하되게 한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에 구성되며 추출된 커피원액을 모으게 되는 컵 용기 구조의 지지통, 상기 지지통의 상부에 탑재되며 물을 공급하는 컵 용기 구조이면서 내주연의 중앙 부근이 밀폐되며 물의 투하량을 조절하는 깔때기 형상의 노즐이 구비된 물탱크, 및 상기 지지통의 상단에 걸착되는 방식으로 탑재되면서 상기 물탱크를 지지하는 구조이며, 커피분말이 내부에 수용된 통 형상 구조의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의 내주연에 구비된 노즐의 하단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투하되는 물을 한시 동안 모으기 위한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의 회전 젖힘을 유도하는 받침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상기 노즐에서 투하되는 물을 한시적으로 모으는 원통 형상의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일측엣 상기 집수통의 내부와 관통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의 젖힘 시에 상기 집수통의 내부에 담긴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물을 여러 갈래의 줄기로 투하시키는 노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수단은 토션스프링이 이용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상기 거치대의 상단에는 상기 커피분말을 담을 수 있으며 바닥 부위에 커피원액의 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컵 용기 구조의 바스켓이 걸착되는 방식으로 탑재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한 방울씩 느리게 천천히 떨어지는 물을 한시적으로 집수한 상태에서 특정 시점에 여러 갈래의 물줄기를 자연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커피 분말을 향하여 오랫동안 투하되게 함으로써 커피 분말 전체의 젖음(wetting) 효과 및 커피추출액의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이로 인한 진한 향미의 커피 추출액 보급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각 구성 요소가 탑재되는 다단 구성이되, 컵 용기와 같은 형상임에 따라, 미관의 모던함과 심플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각 가정에 보급될 커피 추출 기구로서 그 구매가 높게 기대되고, 커피 추출의 효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제1 실시 예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물탱크, 거치대, 바스켓, 및 지지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치대, 바스켓, 지지통의 결합 구조에서 물탱크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수부의 상세 구성을 제1 실시 예로 도시한 개념적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집수부의 상세 구성을 제2 실시 예로 도시한 개념적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로 설명된다.
본 발명은 현대 사회에서 음용되는 커피의 추출에 있어 커피 분말을 찬물에서 장시간 우려내는 방식으로 음용할 수 있는 더치 커피(Dutch Coffee) 라는 용어에서 유래 된바 커피 분말을 향해 떨어지는 물을 한시적으로 집수한 상태에서, 어느 시점에 집수된 물을 커피 분말에 일시에 여러 갈래의 줄기로 오랫동안 낙수되게 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커피 분말의 전체 표면적을 적시게 하는 효과로 인한 커피 추출액의 진한 향미 제공과 함께, 커피 추출의 소요 시간 절감, 및 커피 추출 방식의 혁신을 도모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제1 실시 예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할 수 있는바, 상단 위치에서 물을 담은 상태로 일정한 양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컵 용기 구조의 물탱크(100)와, 중단 위치에서 상기 물탱크를 거치하는 통 구조의 거치대(200), 중단 위치에서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커피분말(CP)을 담고 있는 컵 용기 구조의 바스켓(210)과, 하단 위치에서 상기 거치대를 걸착한 상태로 추출된 커피원액을 담게 되는 컵 용기 구조의 지지통(3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물탱크(100)는 통 구조이면서 상단의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100a)을 더 포함하며, 내주연을 따라 깔때기 모양의 노즐(110)이 일체화되어 통의 내부 중간이 막혀 있는 구조이다.
상기 거치대(200)는 통 구조이면서 제1 원주링(201)과 상기 제1 원주링의 하단에서 일체화된 제2 원주링(20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원주링(201)은 상기 제2 원주링(202)에 비하여 그 직경이 더 큰 관계로, 상기 제1,2 원주링의 경계가 단턱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통(300)의 상단에 걸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원주링(201)은 그 내주연을 따라 걸림 구조를 갖는 원주턱(200a)이 더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커피분말(CP)이 담긴 바스켓(210)을 수용하며 걸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바스켓(200)은 컵 용기 구조이면서 커피분말(CP)을 담게 되고, 상단 주연을 따라 납작한 편(扁) 모양의 원주편(210a) 및 저면에 커피원액(CE)이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210b)을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지지통(300)은 컵 구조이면서 상단에 걸착된 거치대(200)를 통하여 상기 거치대(200)에 거치된 바스켓(210)을 포함한 물탱크(100)에 이르는 하중을 지탱하며 상기 바스켓(210)에 담긴 커피분말(CP)로부터 추출되는 커피원액(CE)을 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100)의 내주연 중간 지점에서 깔때기 형태로 일체화된 노즐(110)의 하단에는, 도면 1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와 같은 제1 실시 예의 집수부(150)가 더 구성된다.
즉, 상기 집수부(150)는 상기 물탱크(100)의 노즐(110)로부터 낙수되는 물(W)을 한시적으로 가둘 수 있는 집수통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집수통은 상단에 투입구(151)가 형성되면서 집수통 내부의 바닥이 양쪽으로 경사지되 후술될 토션스프링(160)의 위치로부터 먼 위치 방향으로는 경사면(152)이 형성되고 토션스프링(160)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위치 방향으로는 경사막(153)이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경사면(152)의 내부에는 집수통의 재질로 채워져 있되, 상기 경사막(153)의 내부에는 빈공간(15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경사면(152)의 끝단에는 집수통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는 배출관(155)이 적어도 두 곳 이상 절곡되며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155)의 끝단에 설치된 노즐부(156)를 통하여 한시적으로 집수된 물(W)이 여러 갈래의 물줄기로 오랫동안 낙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52)은 그 내부가 채워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토션스프링(160)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물이 담기는 형태에 하중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집수통의 젖힘 이후 상태에서는 집수통 내부에 담긴 물의 배출 방향으로 경사져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경사막(153)은 그 내부가 빈공간(154)으로 형성되면서 경사져 물이 담기는 형태가 물의 하중 증가를 유도하는 구조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150)의 저면에는 집수부(150)에 집수된 물(W)의 하중에 따라, 상기 집수부(150)가 하부 방향으로 젖혀지며 물(W)이 오랫동안 낙하될 수 있게 한 받침수단으로서 토션스프링(16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160)은 물탱크(100)의 내주연 중 어느 한 내주연 지점에 형성된 축에 힌지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토션스프링(160)의 일단이 집수부(150)의 집수통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집수통을 탄성력으로 지지하며 떠받치고 있으며, 상기 토션스프링(160)의 타단은 상기 물탱크(10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구조다.
따라서, 물탱크(100)의 노즐(110)로부터 낙수되는 물(W)이 상기 집수부(150)의 집수통에 모여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집수통에 물(W)이 일정한 목표 수위까지 채워지게 되면, 그 물(W)의 하중이 집수통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토션스프링(160)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하중에 이르기 때문에, 상기 토션스프링(160)의 일단이 하부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토션스프링(160)의 젖힘 동작에 따라, 상기 집수부(150)의 집수통도 하부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젖혀지게 되면서, 집수통에 집수된 물(W)이 자중에 의해 집수통의 일측에 연결된 배출관(155)을 거쳐 상기 배출관(155)의 끝단에 설치된 노즐부(156)를 통하여 여러 줄기 형태로 오랫동안 낙하됨으로써, 바스켓(210)에 담긴 커피분말(CP)을 향하여 투하되는 과정에서 커피분말(CP) 전체를 고르게 적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더치커피 추출 장치에 대한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가 비어 있는 지지통(300)의 상단에 거치대(200)를 걸착되게 한다. 이때 상기 거치대(200)는 제1 원주링(201)과 그 하단의 제2 원주링(20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원주링(201)이 상기 제2 원주링(202)에 비하여 그 직경이 큰 관계로 제1,2 원주링(201,202)의 경계가 단턱 구조이며, 이러한 단턱 부분이 지지통(300)의 상단에서 걸착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200)의 걸착 이후, 바스켓(210)에 커피분말(CP)을 적정량 투입한 다음, 상기 거치대(200)의 내부로 상기 바스켓(210)을 수용하면서 상기 거치대(200)의 내주연에 상기 바스켓(210)을 걸착시킨다.
이때, 상기 바스켓(210)은 그 상단 주연을 따라 납작한 편(扁) 모양의 원주편(210a)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200)의 제1 원주링(201)의 내주연을 따라 원주턱(200a)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바스켓(201)은 상기 제1 원주링(201)에서 걸착되는 것이며, 상세하게는 상기 바스켓(210)의 원주편(210a)이 상기 거치대(200)의 제1 원주링(201) 내주를 따라 형성된 원주턱(200a)에 걸려 있게 된다.
상기 바스켓(210)의 상기 거치대(200) 걸착 이후, 물탱크(100)에 적정량의 물(W)을 투입한 다음, 상기 물탱크(100)를 상기 거치대(200)의 제1 원주링(201) 내주에 안착시키되, 실제는 상기 바스켓(210)의 원주편(210a) 상단에 상기 물탱크(100)의 바닥 부위가 놓이며 안착되는 것이다.
이 상태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물탱크(100)에 담긴 물이 노즐(110)을 통하여 한 방울씩 투하되면서 상기 노즐(110)의 하단에 위치된 집수부(150)의 집수통에 한시적으로 모여지게 된다.
상기 집수통에 모여진 물(W)이 적정 수위까지 채워지게 되면, 집수통을 포함한 집수된 물(W)의 하중이 집수통의 저면을 받치고 있는 토션스프링(160)의 탄성력보다 강하여 토션스프링(160)의 일단부를 하부 방향으로 젖히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토션스프링(160)의 일단부 젖힘 동작에 따라, 상기 집수부(150)의 집수통도 하부 방향으로 젖혀지는 동작을 통하여, 상기 집수통에 모여진 물(W)이 배출관(155)을 거쳐 노즐부(156)를 통과하며 여러 물줄기 형태로 낙하되어, 바스켓(210)에 담긴 커피분말(CP) 전체를 고르게 적시는 방식으로 커피원액(CE)이 추출될 수 있다.
즉, 커피원액(CE)은 상기 커피분말(CP)로부터 추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바스켓(2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공(210b)들을 통하여 추출되면서 낙하되어 지지통(300)에서 모여지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집수부(150)의 집수통에 담긴 물(W)은 상기 집수통의 회전 젖힘에 의해 여러 갈래의 줄기로 쏟아짐에 따라, 상기 집수통에 담긴 물(W)의 량이 점진적으로 소멸되고, 이러한 물(W)의 양의 소멸로 인하여 상기 집수통은 토션스프링(1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점진적으로 수평 상태의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집수통(152)에 담긴 물(W)이 쏟아지고 나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 집수통 및 소정의 물을 합친 하중보다 강하여 집수통은 수평의 원위치대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장치는, 제2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부(150-1)의 집수통이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좁은 고깔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집수통의 내부 바닥에서부터 상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유지한 부위에는 기밀부재(160-2)가 구성되고, 상기 기밀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160-1)을 통해 탄성을 지닌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밀부재(160-2)의 바로 하부에 해당되는 집수통에는 내외부로 관통된 노즐(150-2)이 집수통의 둘레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60-1)은 그 일단이 상기 기밀부재(160-2)이 저부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집수통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제2 실시 예는 하기에서 그 작용 관계가 설명될 수 있다.
즉, 집수부(150-1)의 집수통에 일정 수위에 이르기까지 물(W)이 채워질 경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60-1)은 더 이상의 탄성력이 유지되지 못함에 따라, 기밀부재(160-2)가 상기 물(W)의 하중 영향에 기인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기밀부재(160-2)가 소정의 이동에 따라, 집수통의 둘레를 따라 노출된 노즐(150-2)을 통하여 집수된 물(W)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낙하 되는바, 이때 상기 물(W)은 상기 집수통이 하부 방향으로 그 직경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관계로 상기 노즐(150-2)들로부터 배출되더라도 커피분말(CP)의 중심 부위뿐만 아니라 전체를 적셔줄 수 있게 된다.
일정량의 물(W)이 외부로 배출되면, 다시 기밀부재(160-2)는 압축코일스프링(160-1)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원 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노즐(150-2)로 배출될 수 있는 물(W)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 장치에 사용되는 원두는 분쇄도나 로스팅 포인트나 사용자가 원하는 맛의 포인트에 따라 굵거나 가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노즐(110)에 필터 장착이 더 부가되며, 상기 바스켓(210)에 담긴 커피분말(CP)의 상 하단층에는 원형 여과지로서 세라믹필터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필터는 커피분말(CP)이 쏟아지는 것을 막아주면서 커피분말(CP) 내부의 물(W) 흐름을 조절하며 잡미를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즉, 물이 커피분말(CP)로 떨어질 때에 커피분말(CP)의 상층에 있는 세라믹필터는 커피분말(CP)의 패지는 현상을 막고, 물과 커피분말(CP)이 일정한 비율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추출된 커피원액(CE)에는 카페인 성분이 거의 없거나 적은 양으로 함유되는 관계로 순한 커피이고, 이는 카페인이 섭씨 80℃의 물에서 녹기 때문에 낮은 온도의 물에서 추출되는 더치커피에 카페인의 함유량은 적을 수밖에 없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커피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 절감과 커피 분말 전체의 고른 적셔짐을 가능케 하여, 커피 추출의 효용성 제고와 함께, 커피의 진한 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100 : 물탱크
150 : 집수부
200 : 바스켓 거치대
300 : 용기

Claims (4)

  1. 하단에 구성되며 추출된 커피원액을 모으게 되는 컵 용기 구조의 지지통; 상기 지지통의 상부에 탑재되며 물을 공급하는 컵 용기 구조이면서 내주연의 중앙 부근이 밀폐되며 물의 투하량을 조절하는 깔때기 형상의 노즐이 구비된 물탱크; 및 상기 지지통의 상단에 걸착되는 방식으로 탑재되면서 상기 물탱크를 지지하는 구조이며, 커피분말이 내부에 수용된 통 형상 구조의 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의 내주연에 구비된 노즐의 하단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투하되는 물을 한시 동안 모으기 위한 집수부; 및 상기 집수부의 회전 젖힘을 유도하는 받침수단;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는, 상기 노즐에서 투하되는 물을 한시적으로 모으는 원통 형상의 집수통; 상기 집수통의 일측엣 상기 집수통의 내부와 관통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의 젖힘 시에 상기 집수통의 내부에 담긴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물을 여러 갈래의 줄기로 투하시키는 노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수단은, 토션스프링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상단에는 상기 커피분말을 담을 수 있으며 바닥 부위에 커피원액의 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컵 용기 구조의 바스켓이 걸착되는 방식으로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20170083005A 2017-06-30 2017-06-30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1926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005A KR101926749B1 (ko) 2017-06-30 2017-06-30 더치커피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005A KR101926749B1 (ko) 2017-06-30 2017-06-30 더치커피 추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749B1 true KR101926749B1 (ko) 2018-12-07

Family

ID=6466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005A KR101926749B1 (ko) 2017-06-30 2017-06-30 더치커피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82B1 (ko) *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더치커피의 농도편차를 줄이기 위한 물 공급 구조 개선형 더치커피 추출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8906A (zh) * 2014-12-22 2016-07-20 杜文娟 双斗利用重心变动的无动力加水装置的调试方法
KR101709102B1 (ko) * 2016-05-12 2017-02-22 박종진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8906A (zh) * 2014-12-22 2016-07-20 杜文娟 双斗利用重心变动的无动力加水装置的调试方法
KR101709102B1 (ko) * 2016-05-12 2017-02-22 박종진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82B1 (ko) *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더치커피의 농도편차를 줄이기 위한 물 공급 구조 개선형 더치커피 추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3165B2 (en) Coffee brewer
CA2292813C (en) Tea brewing apparatus
US4520716A (en) Drip-type coffee making apparatus
US7997187B2 (en) Brewed beverage maker
US5746113A (en) Infusion vessel
US20030167928A1 (en) Grind and brew coffee apparatus
JP5524961B2 (ja) 飲料調合
KR101395307B1 (ko) 워터드립 커피용 추출장치
ES2915831T3 (es) Sistema comercial de preparación y dispensación de café con prensa francesa
US3696733A (en) Automatic dripolator, single compartment
US20120234182A9 (en) Apparatus for Extracting Cold-Brewed Coffee Concentrate
US20100263548A1 (en) Drink extracting apparatus
JP2004514487A (ja) 茶入れ装置
CN102525276A (zh) 高功率、单人量、自动滴漏式酿制饮料机以及相关的斗勺
JP5554249B2 (ja) 飲料を作るプロセスで使われるのに適する部品のセット
US20180289197A1 (en) Cold brew beverage brewing systems
WO2013074423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US20040055472A1 (en) One-cup coffee brewer
US20050172818A1 (en) Apparatus for making espresso coffee
KR101926749B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US4793246A (en) Electrically operated hot beverage maker
EP2506743B1 (fr) Appareil de preparation de boissons infusees avec reserve amovible
US2467817A (en) Coffee-making device
US6170387B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eated beverage
KR100851541B1 (ko) 즉석 술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