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364B1 -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364B1
KR101926364B1 KR1020180082159A KR20180082159A KR101926364B1 KR 101926364 B1 KR101926364 B1 KR 101926364B1 KR 1020180082159 A KR1020180082159 A KR 1020180082159A KR 20180082159 A KR20180082159 A KR 20180082159A KR 101926364 B1 KR101926364 B1 KR 10192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unit
filter
sludge
filt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성상호
최창형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3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hollow discs side by side on, or around, one or more tubes, e.g. of the leaf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시스템을 자동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고 여과재의 주입과 역세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항상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원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처리하고 응집된 슬러지를 여과처리 하는 슬러지 처리부; 상기 슬러지 처리부로부터 여과 처리된 원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해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후단에 결합되는 미세여과처리부; 여과포에 여과재가 코팅되도록 하는 여과재코팅공정을 진행시키는 여과재코팅제어부; 상기 여과재코팅제어부에 구비되어 여과재와 물의 비율을 일정하게 혼합하기 위한 여과재혼합제어부; 미세여과처리부의 여과포에 코팅이 되지 않고 통과한 여과재를 순환시켜 여과포에 코팅이 되도록 하는 여과재순환제어부; 원수를 미세여과처리부로 공급하여 여과공정을 진행시키는 여과제어부; 여과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부; 물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자동사방밸브; 역세척공정을 진행시키는 역세척제어부; 및 상기 여과재코팅제어부를 재가동시키도록 하는 반복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AUTOMATIC CONTROL SYSTEM FOR WATER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면서 각 시스템을 자동으로 작동 및 정지시키고 여과재의 주입과 역세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항상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산업이 다양화, 고도화됨에 따라 각 분야에서 다양하고 많은 양의 오염물질들이 방출되고 있으며, 인구 밀집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활폐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국에서 발생되는 생활오수량은, 예컨데 1일 15,441천 톤으로 170 여개의 하수종말처리장과 7만 6천여개소의 오수처리시설을 통하여 처리되고 있고, 생활오수 처리율은 73%로부터 처리효율을 80%로 높일 계획으로 있다. 이외에도 산업폐수가 예컨데 1일 4,068천 톤 그리고 축산폐수가 1일 125천톤이 발생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그대로 방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에는 하수 처리장에서 배출되는 하수 처리수를 하천에 방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수자원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하수도법이 개정되어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도록 의무화함에 따라 재이용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하수처리수 재이용율은 대부분 장내 세척수 및 청소수 등으로 사용되고, 장외는 하천유지용수 등으로 사용될 뿐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수자원을 개발하고 장래의 물부족 사태를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양의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것이 시급한 현실이다.
종래 사용되어 온 국내외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전처리 공정은 대부분이 드럼필터여과 또는 다층여과, 모래여과, 활성탄 등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나, 입자성 물질의 제거가 불안정하여 처리설비의 불안정 문제가 계속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활성탄 여과는 단시간의 운전에도 활성탄의 교체시점이 발생하여 운전비 상승을 야기하고 또한 미생물 번식으로 인한 여과수의 수질악화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하수처리 방류수의 재사용은 세척수, 청소수, 하천유지수로 밖에 사용을 못하고 있으며, 하수처리수 수질의 악화로 시설설치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 부지 등이 상수도 사용절감 등에 의한 편익보다 높아 경제적 손해 발생으로 재이용수 사용을 회피하고 있다.
또한, 여러 장치가 결합되어 하폐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작업자가 일일이 제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즉, 작업자가 항상 장치의 상태를 감시할 수가 없기 때문에 각 장치의 제어시간을 놓쳐 장치에 부하가 걸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여과 및 역세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이 또한 적정한 타이밍을 맞추고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92206호 문헌 2 :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6-016633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다양한 공정을 작업자가 확인을 하지 않아도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여 작동시킴으로써 항상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은 힘으로도 다수층의 여과판을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한번의 조임 작업으로 사방 전체에 골고루 힘이 가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여과판의 수리 및 교체 시 해당 층의 여과판만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아도 항상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에서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의 원형 여과판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에서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의 원형 여과판을 조립하기 전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에서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의 원형여과판을 최상층까지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에서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의 플로팅장치의 예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에서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의 플로팅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판을 수리 또는 교체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은 슬러지 처리부(100)와 미세여과처리부(200) 및 여과재코팅제어부(300)와 여과제어부(400)가 구비되고, 압력센서부(500) 및 자동사방밸브(600), 그리고, 역세척제어부(700)와 반복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러지 처리부(100)에는 응집제 분사부(110)가 결합되어 슬러지 처리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에 응집제를 분쇄하여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응집하고, 응집된 슬러지를 여과처리한다.
여기서,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200)는 다수단으로 적층되는 원형 여과판(21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판(220), 그리고, 원형 여과판(210)을 견고하게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지지포스트(230)와 연결바(240) 및 덮개뭉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여과판(210)은 일측 외측 방향으로 주결합부(211)가 돌출 형성되고, 대접되는 외측 방향으로는 걸림대(2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결합부(211)는 외측부와 연통되도록 반원형의 결합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대(212)는 일측이 만곡되어 형성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판(220)은 다수단으로 적층되는 여과판(210)을 지지하게 되며, 지지포스트(230)는 원형 여과판(210)의 주결합부(211)와 걸림대(212)에 결합되어 여과판(2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기둥 형태로 되어 하부판(220)의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각각 견고히 고정 결합되어 세워진다. 2개의 지지포스트(230) 상단은 연결바(240)에 의해 서로 견고히 연결된다.
덮개뭉치(25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연결바(240)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조임대(251)와, 회전조임대(251)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252) 및 회전조임대(251)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대(253), 그리고, 여과판(210)의 상부를 덮는 덮개판(254)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적층된 여과판(210) 중 중도부의 여과판(210)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 여과판(210)을 들어 올려 이격시킬 수 있도록 플로팅장치(2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로팅장치(260)는 제1상부아암(261)과 제2상부아암(262)이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제1하부아암(263)과 제2하부아암(264)이 서로 힌지 결합된다. 또한, 제1,2상부아암(261)(262)은 각각 제1,2하부아암(263)(264)과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승하강부재(265)가 길이방향으로 나사 결합된다.
제1,2하부아암(263)(264)가 접하는 하단부에는 하단지지부(266)가 결합되되, 하단지지부(266)에는 반원형의 결합홈(267)이 형성되고, 제1,2상부아암(261)(262)가 접하는 상단부에는 상단지지부(268)가 결합되되, 상단지지부(268)에도 마찬가지로 반원형의 결합홈(269)이 형성된다.
한편, 적층되어 조립되는 여과판(210)과 여과판(210)의 사이에는 여과포(215)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재코팅제어부(300)는 여과재희석액탱크(312)로부터 여과재희석액을 원수공급관(206) 측으로 일정량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미세여과처리부(200)의 여과포(215)에 여과재가 코팅되도록 한다. 그리고, 여과재혼합제어부(314)가 더 구비되어 여과재희석액탱크(312)에 혼합되는 여과재와 물의 비율을 일정하게 혼합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과재순환제어부(350)를 더 구비하여 미세여과처리부(200)를 거치면서 여과포(215)에 코팅이 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한 여과재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다시 여과재코팅제어부(300)에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미세여과처리부(200) 측으로 반복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여과재가 여과포(215)에 코팅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제어부(400)는 여과재코팅제어부(300)의 작동 설정시간 동안 작동하고 여과재희석액의 공급이 중단되면, 고압펌프(205)의 작동에 의해 원수만 계속해서 미세여과처리부(200)로 공급함으로써 여과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압력센서부(500)는 미세여과처리부(200)의 여과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미세여과처리부(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부(500)는 미세여과처리부(200)의 여과시 압력을 측정한다. 또한, 압력센서부(500)와 함께 또는 별도로 제어타이머(5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여과수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측정부(50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자동사방밸브(600)는 원수공급관(206)과 여과수배출관(207)이 서로 교차되도록 하여 그 중도부에 결합된다. 자동사방밸브(600)는 물의 흐름을 원수공급관(206)으로 유입되어 미세여과처리부(200)를 거쳐 여과수배출관(207)으로 배출되거나, 반대로 여과수배출관(207)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 미세여과처리부(200)를 거친 후 원수공급관(206)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역세척제어부(700)는 압력센서부(500)의 측정치가 기준값 이상이면 여과를 중단시키고 자동사방밸브(600)를 작동시켜 여과수배출관(207) 측을 통해 미세여과처리부(200) 측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역세척공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타이머(502)에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마찬가지로 자동으로 역세척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자동사방밸브(600)가 작동하면서 여과가 중단되고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공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탁도측정부(504)에서 측정한 여과수의 탁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마찬가지로 역세척제어부(700)에서는 여과를 중단하고 역세척공정이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반복제어부(800)는 역세척공정이 완료된 후 다시 자동사방밸브(600)를 작동시켜 고압펌프(205)에 공급되는 원수가 원수공급관(206) 측을 통해 미세여과처리부(20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슬러지 처리부(100)에 유입되는 원수에 응집제를 분사하여 슬러지를 응집 여과처리한다(S105). 이를 위해 응집제 분사부(110)에서 응집제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슬러지의 응집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슬러지 처리부(100)를 거치면서 응집된 슬러지가 여과처리된 원수를 고압펌프(205)를 이용하여 미세여과처리부(200)로 공급하여(S100) 2차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여과재코팅제어부(300)를 작동시킨다(S110).
그리고, 여과재혼합제어부(314)가 작동되어(S120) 여과재가 물에 골고루 희석되며, 자동으로 개방되는 여과재희석액탱크(312)의 밸브를 통해 활성탄 또는 규조토 등의 여과재가 희석된 여과재희석액이 원수공급관(206) 측으로 일정량 공급되도록 제어된다(S125). 여과재희석액탱크(312)에는 여과재와 물이 미리 설정한 비율로 일정하게 혼합되어 있다. 여과재희석액은 여과포(215)를 거치면서 여과재만 여과포(215)에 걸러져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어 코팅된다(S130).
이때, 여과재코팅제어부(300)에 의해 공급된 여과재희석액 중 여과포(215)의 기공보다 작은 입자의 여과재가 여과포(215)에 코팅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여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해 여과재순환제어부(350)가 동시에 작동된다(S135). 여과재순환제어부(350)가 작동하면서 자동사방밸브(600)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고 여과포(215)를 통과한 여과재희석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원수공급관(206)을 통해 여과판(210) 측으로 순환공급 된다. 반복하여 순환공급되는 여과재희석액은 이미 여과포(215)에 코팅된 여과재와 여과재 사이에 걸리게 되므로 모든 여과재가 코팅이 되게 된다.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작동된 여과재코팅제어부(300)와 여과재순환제어부(350)의 작동이 멈추면, 마찬가지로 자동사방밸브(600)가 작동하면서 여과제어부(400)가 작동하여 원수를 원수공급관(206) 측으로 공급하게 된다(S140). 원수에 포함된 다양한 이물질은 여과포(215)에 코팅된 여과재에 의해 걸러지고, 여과수만 여과포(215)를 통과하여 여과수배출관(207)을 통해 배출된다(S150).
이렇게 일정 시간 이상동안 반복하여 여과가 이루어지면 여과재에 걸러진 이물질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여과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이때, 고압으로 공급되는 원수가 이물질로 인해 여과가 용이하지 않으면서 미세여과처리부(200) 내부에 압이 차게 되고, 이는 압력센서부(500)에 의해 측정이 되어(S155), 미리 설정한 기준 압력값 이상이 되면 역세척제어부(700)가 작동하여 역세척 공정으로 자동 제어되게 된다(S160). 이때에도 자동사방밸브(600)가 작동하면서 원수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역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탁도측정부(504)가 구비된 경우에는, 여과효율이 저하됨으로 인해 탁도측정부(504)에 측정된(S156) 여과수의 탁도가 기준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역세척제어부(700)가 작동하여 역세척 공정으로 자동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일정시간 동안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어타이머(502)에 설정한(S157) 시간 이상의 여과가 이루어지면 마찬가지로 역세척제어부(700)가 작동하여 역세척 공정으로 자동 제어할 수도 있다.
역세척제어부(700)에 의해 고압의 역세척수가 공급이 되면(S165) 여과포(215)에 부착된 여과재와 이물질이 탈리되면서 배출이 되고, 미세여과처리부(200)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일정 시간동안 역세척제어부(700)가 작동 후 정지하면 다시 반복제어부(800)가 작동하면서(S170) 자동사방밸브(600)를 제어하여 고압펌프(205)에 의해 원수가 원수공급관(206) 측으로 자동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여과재코팅제어부(300)를 작동시켜 여과재의 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여과제어부(400)에 의해 여과를 진행하며, 역세척제어부(700)에 의해 역세척을 진행하는 등 모든 공정을 반복공정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200)는 하부판(220)의 상부에 여과판(210)을 올려 결합하되, 먼저, 주결합부(211)의 반원형 결합홈(213)을 일측 지지포스트(230)에 결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주결합부(211)가 일측 지지포스트(230)에 끼워지면 여과판(210)을 회전시켜 주결합부(211)의 반대측에 돌출된 걸림대(212)가 타측의 지지포스트(230)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다시 다수층의 여과판(210)을 상기와 같은 순서로 적층하여 조립한다. 여과판(210)의 적층이 완료되면, 상부의 덮개뭉치(250)에 의해 최상층 여과판(210)을 견고히 가압한다. 이를 위해 연결바(240)에 결합된 회전조임대(251)의 핸들(252)을 돌려 가압대(253)가 덮개판(254)의 상부 중앙부를 가압하도록 한다.
한편, 적층되어 조립된 여과판(210) 중 중도부의 여과판(210)에 이상이 발생하여 교체 또는 수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로팅장치(260)를 이용한다.
이를 위해 먼저 덮개뭉치(250)의 핸들(252)을 돌려 회전조임대(251)가 상승하게 함으로써, 가압대(253)가 덮개판(254)으로부터 이격되거나, 가압대(253)와 함께 덮개판(454)이 상승하여 가압되어 있던 여과판(210)의 사이가 느슨해지면서 상부에 여유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교체 또는 수리를 하고자 하는 여과판(210)의 하단부측 양측 지지포스트(230)에 각각 플로팅장치(260)의 하단지지부(266)의 반원형 결합홈(261)을 끼워 결합하고, 교체 또는 수리를 하고자 하는 여과판(210)의 상측 부분으로 플로팅장치(260)의 상단지지부(268)에 형성된 결합홈(269)을 양측 지지포스트(230)에 각각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승하강부재(265)를 회전시키면 제1,2상부아암(261)(262)와 제1,2하부아암(263)(264)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단지지부(268)가 상승하게 되고, 상단지지부(268) 상부측의 여과판(210) 전체가 들어 올려지면서 플로팅장치(260)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판(210)이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따라서, 교체 또는 수리작업을 하고자 하는 여과판(210)을 일측 지지포스트(230)를 축으로 회전시켜 앞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므로, 쉽게 교체 또는 수리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교체 또는 수리작업을 마친 후에는 다시 양측 플로팅장치(260)의 승하강부재(265)를 조정하여 들어올려진 상태의 여과판(210)을 하강시킨 후, 플로팅장치(260)를 지지포스트(230)로부터 분리하고, 상기와 같은 여과판(210) 가압작업을 수행하여 여과판(210)의 조립작업을 완료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교체 또는 수리를 하고자 하는 여과판(210)의 상측에 적층된 모든 여과판(210)을 모두 분리하고 작업을 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플로팅장치(260)를 이용하여 상측 여과판(210)을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린 후 작업을 완료하고 다시 그대로 하강시켜 조립함으로써,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200 :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 210 : 여과판
220 : 하부판 230 : 지지포스트
240 : 연결바 250 : 덮개뭉치
260 : 플로팅장치 300 : 여과재코팅제어부
312 : 여과재희석액탱크 314 : 여과재혼합제어부
350 : 여과재순환제어부 400 : 여과제어부
500 : 압력센서부 600 : 자동사방밸브
700 : 역세척제어부 800 : 반복제어부

Claims (4)

  1. 응집제 분사부에 의해 응집제 분쇄하여 분사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응집처리하고, 응집된 슬러지를 여과처리 하는 슬러지 처리부;
    상기 슬러지 처리부로부터 여과 처리된 원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해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후단에 결합되며, 일측 외측방향으로 반원형의 결합홈이 상하 관통 형성되는 주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 외측방향으로는 내측부가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대가 돌출 형성되는 원형 여과판이 다수단으로 적층되어 상기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에서 미세 이물질을 2차 여과처리하는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
    고압펌프를 작동시켜 원수를 상기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로 공급하면서, 여과재희석액을 원수와 함께 공급하여 여과포에 여과재가 코팅되도록 하는 여과재코팅공정을 진행시키는 여과재코팅제어부;
    상기 여과재코팅제어부에 구비되어 여과재와 물의 비율을 일정하게 혼합하기 위한 여과재혼합제어부;
    상기 여과재코팅제어부와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 사이에 결합되어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의 여과포에 코팅이 되지 않고 통과한 여과재를 상기 여과재코팅제어부에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다시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 측으로 순환시켜 여과포에 코팅이 되도록 하는 여과재순환제어부;
    상기 여과재코팅제어부의 작동 설정 시간이 지나 여과재희석액의 주입이 중단되면, 원수를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로 공급하여 여과공정을 진행시키는 여과제어부;
    상기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여과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부;
    원수공급관과 여과수배출관이 교차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물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자동사방밸브;
    상기 압력센서부의 측정치가 기준값 이상이면 여과를 중단시키고, 상기 자동사방밸브를 작동시켜 역세척수가 여과공정과 반대방향으로 주입되어 여과포에 부착된 이물질과 여과재를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역세척공정을 진행시키는 역세척제어부; 및
    상기 역세척공정이 완료되면 자동사방밸브를 작동시켜 원수가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로 공급되면서 상기 여과재코팅제어부를 재가동시키도록 하는 반복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슬러지 여과처리부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양측에 결합되어 세워지는 2개의 지지포스트;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기 주결합부의 결합홈이 상기 일측 지지포스트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대가 타측 지지포스트에 걸리도록 적층되는 원형 여과판;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판의 상부를 덮는 덮개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뭉치는,
    상기 연결바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조임대;
    상기 회전조임대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상기 회전조임대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대; 및
    상기 가압대의 하단에 구비되어 여과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에 결합하여 여과판과 여과판 사이를 이격시키는 플로팅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플로팅장치는 제1상부아암과 제2상부아암이 서로 힌지 결합되고, 제1하부아암과 제2하부아암이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2상부아암은 각각 제1,2하부아암과 힌지에 의해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승하강부재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2하부아암의 하단부에는 반원형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단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상부아암의 상단부에는 반원형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상단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4. 삭제
KR1020180082159A 2018-07-16 2018-07-16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KR10192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59A KR101926364B1 (ko) 2018-07-16 2018-07-16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159A KR101926364B1 (ko) 2018-07-16 2018-07-16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364B1 true KR101926364B1 (ko) 2019-03-07

Family

ID=6576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159A KR101926364B1 (ko) 2018-07-16 2018-07-16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3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75B1 (ko) * 2019-04-10 2019-09-30 한화레저주식회사 양방향 수처리 장치
CN111221293A (zh) * 2020-01-21 2020-06-02 广东原之生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畜禽养殖场消毒自动控制系统、方法及存储介质
KR102407366B1 (ko) * 2022-02-08 2022-06-10 (주)에스엘엠 선체 청소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331B1 (ko) 1996-03-04 1998-12-01 김정국 크레인 유지관리 시스템
KR20030092206A (ko) 2002-05-27 2003-12-06 미래환경기술(주) 드럼필터 및 와류형여과기를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처리장치
KR100811848B1 (ko) * 2007-04-19 2008-03-10 한국기계연구원 여과장치의 배럴 형성용 유니트링, 및 이를 채용한여과장치
KR101128324B1 (ko) * 2011-11-14 2012-03-27 박준석 역세척 기능을 갖는 자동 폐수처리장치 및 그 폐수처리방법
KR20160090525A (ko) * 2015-01-22 2016-08-01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용해성 유기물의 처리가 용이한 수영장 수처리 시스템
KR20180074926A (ko) * 2016-12-26 2018-07-0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331B1 (ko) 1996-03-04 1998-12-01 김정국 크레인 유지관리 시스템
KR20030092206A (ko) 2002-05-27 2003-12-06 미래환경기술(주) 드럼필터 및 와류형여과기를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처리장치
KR100811848B1 (ko) * 2007-04-19 2008-03-10 한국기계연구원 여과장치의 배럴 형성용 유니트링, 및 이를 채용한여과장치
KR101128324B1 (ko) * 2011-11-14 2012-03-27 박준석 역세척 기능을 갖는 자동 폐수처리장치 및 그 폐수처리방법
KR20160090525A (ko) * 2015-01-22 2016-08-01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용해성 유기물의 처리가 용이한 수영장 수처리 시스템
KR20180074926A (ko) * 2016-12-26 2018-07-0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75B1 (ko) * 2019-04-10 2019-09-30 한화레저주식회사 양방향 수처리 장치
CN111221293A (zh) * 2020-01-21 2020-06-02 广东原之生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畜禽养殖场消毒自动控制系统、方法及存储介质
CN111221293B (zh) * 2020-01-21 2021-11-09 广东原之生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畜禽养殖场消毒自动控制系统、方法及存储介质
KR102407366B1 (ko) * 2022-02-08 2022-06-10 (주)에스엘엠 선체 청소 시스템
WO2023153598A1 (ko) * 2022-02-08 2023-08-17 (주)에스엘엠 선체 청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364B1 (ko) 원형여과판을 적용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US7553418B2 (en) Method for water filtration
US5611921A (en) Sewage dewatering process and equipment
KR101334995B1 (ko) 나노 및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중수도 장치
CA2580153A1 (en) Integrated particulate filtration and dewatering system
CN201882988U (zh) 一种氯碱化工废水处理及回用系统
KR101342551B1 (ko) 단일혼합 슬러지 저류조내 총 고형물 농도향상과 탈수용 상.하부 여과포에 고압력 세정수를 노즐에 공급되게 한 탈수슬러지 함수율 저감장치 및 그 저감방법
CN104341054B (zh) 实现污水零排放的中水回用智能一体化设备及其应用
EP3898532B1 (en) Wastewater treatment and method for textile industry
KR101199583B1 (ko) 분리막침전조를 이용한 화학폐수 처리장치
DE19845808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Abwasser
JP2008207051A (ja) フィルタープレス、排出土処理装置及び排出土処理車両
KR20180074926A (ko)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의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503076A (zh) 一种用于乳化含油废水的二级预处理工艺
KR101917179B1 (ko) 여과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
KR100512709B1 (ko) 폐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여과시스템 및 여과방법
KR101889710B1 (ko)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
KR101610599B1 (ko) 고조류 및 고탁도 시에 적용하는 용존 공기 부상 장치와 침지형 분리막조를 이용한 고도 수처리 장치 및 고도 수처리 방법
KR101766898B1 (ko)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45994B1 (ko) 세척수 리사이클 장치
CN202430095U (zh) 一种小区污水再生回用循环系统
CN220143044U (zh) 一种中水回收用过滤装置
Brügger et al. Reuse of filter backwash water by implementing ultrafiltration technology
KR20190131661A (ko) 다중 여과설비
CN220116244U (zh) 一种改良的污水处理站碳滤池管道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