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898B1 -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898B1
KR101766898B1 KR1020160038709A KR20160038709A KR101766898B1 KR 101766898 B1 KR101766898 B1 KR 101766898B1 KR 1020160038709 A KR1020160038709 A KR 1020160038709A KR 20160038709 A KR20160038709 A KR 20160038709A KR 101766898 B1 KR101766898 B1 KR 10176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raw water
tank
se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홍필현
Original Assignee
이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수 filed Critical 이창수
Priority to KR102016003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42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73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rotary devices or vibration mechanisms, e.g.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7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free vortex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15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wa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본체로부터 배수되는 원수가 통과되는 여과탱크 내부에 여재층을 구비하여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을 흡착하여 거르는 복수 개의 여과장치; 복수 개의 상기 여과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장치를 통과하는 원수를 담수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여과장치를 통과하는 원수가 상기 저장본체로 재순환되도록 원수를 담수하여 저장하는 저장수조; 상기 여과장치의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상기 여과장치에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역세수의 공급을 진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여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수로부터 고형폐기물을 분리하여 배출하고, 원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순환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구성에 의해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을 거르도록 복수 개의 여과장치가 설치되고, 저장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원수에 복수의 정화공정을 행하므로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고, 정화된 원수의 신뢰도가 향상되어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진동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진동전달부를 따라 여과탱크 내부로 전달되므로 역세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여재층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여재층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킬 수 있으므로 역세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여재층으로부터 분리된 현탁고형 물질을 여과탱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진동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여과탱크 내부로 진동을 제공하는 분리공정이 진행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진동부의 구동이 중단 후에 역세수가 공급되는 역세공정이 진행되므로 여재층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쉽게 분리시켜 여과탱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이러한 세척작업에 의해 여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여재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RIFICATION SYSTEM FOR WATER HAVING BACK WASH FUNCTION}
본 발명은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대상물이 담수되는 저장본체에로부터 배출되는 원수을 복수의 여과장치 구동에 의해 정화시키고, 복수의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정화된 원수를 저장본체로 순환시켜 재활용하며, 각각의 여과장치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탈수장치에서 회수하여 여과장치를 통해 정화하고 저장본체로 순환시켜 재활용할 수 있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와 하수의 처리방법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보통 세 가지 방법을 적절히 조합하여 정수, 하수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물리적 처리 방법은 고액분리의 목적으로 수중의 부유 물질과 콜로이드 물질의 제거를 위한 처리 방법으로 유지비가 적게 드나 효율이 낮다.
화학적 처리 방법은 용해성 유기물질과 무기물질의 제거를 위한 처리방법이며, 화학약품을 사용하므로 슬러지 생산이 크며, 유지비가 많이 든다.
생물학적 처리 방법은 하수 중에 존재하는 유기물 중에서 생물에 의해서 분해 가능한 유기물과 부유물질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시키는 방법이며, 생물학적 처리공정은 호기성 분해와 혐기성 분해로 대별할 수 있다.
한편, 하수처리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특허로 등록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특허등록 제446041호 "생물막법, 활성탄, 활성탄 필터 및 모래여과법과 고급산화공법을 연계한 산업폐수 중수처리시스템"에서는 회전형 생물막법과 활성탄 및 활성탄 흡착여과법, 모래여과법 및 고급산화공법 (Advanced Oxidation Process)을 결합 연계하여 정유공장 등의 폐수를 처리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348413호 "자외선 및 오존 발생 에이오피 챔버 및 이를 이용한수처리 장치"에서는 수조 외부에 설치되어 자외선 및 그로부터 생성되는 오존을 이용하여 물 속의 유해 미생물을 살균하고 유기물을 분해하여 정화하며 탈취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에이오피 챔버(AOP Chamber: Advanced Oxidation Process Chamber) 및 그를 이용한 새로운 수처리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656562호 "수처리 재활용 시스템"에서는 하수나 오수 또는 폐수 내의 미세한 유기물 및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더불어 자외선과 오존처리를 통해 방류수의 수질을 높이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정수처리장의 방류수는 대장균, 냄새, 탁도 그리고 색도로 인하여 그대로 재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2001년말 기준으로 국내 184개소 정수처리장에서 방류되는 2차 처리수는 하루 약 2천만톤으로서, 막대한 양이 하천으로 방류되어 버려지고 있으나, 연간 재이용되는 처리수는 약 1.74억톤으로 재이용률이 2.4% 밖에 되지 않는다.
이러한 처리수의 연간재 이용률을 5% 정도 올릴 경우, 약 3.6억톤 유효용량의 댐을 확보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정수처리장 2차 처리수의 재이용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물 부족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정수처리장 2차 처리수의 재이용은 사용된 수돗물을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등으로 재활용하는 중수도와 달리 기존의 정수처리장에서 처리되어 방류되는 방류수를 재이용 용도에 맞게 처리한 후 재이용할 수 있어 손쉽게 대량의 용수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수처리장을 신설 또는 증설하는 경우 처리수를 지역특성에 적합하게 재이용할 있는 계획을 수립 및 시행토록 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용수 재이용의 용도는 세정용수, 살수용수, 조경용수, 하천유지용수, 농업용수 및 냉각용수로 이용될 수 있고, 2차 처리수의 재이용은 용도에 따라 처리기준에 차이가 있으며, 예컨대 살수용수나 조경용수로 사용될 경우 색도 처리가 필요 없는 반면, 세정용수의 경우 색도가 20도를 넘지 않아야 하고, 색도 처리에는 응집 침전법, 펜톤산화법, 오존처리법, 활성탄 흡착법 및 UV/H2O2 산화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원수를 염소처리로 소독하는 경우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 THM)과 같은 소독부산물이 발생하여 수원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하수처리장에 설치되어 있는 염소소독장치들까지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활성탄,R/0(역삼투압) 그리고 멤브레인과 같은 기술들의 경우 높은 처리효율로 인하여 상용화되어 있으나, 종래 기술에 의한 활성탄(여과재)을 이용한 정화장치는 대개 정화탱크에 활성탄을 넣고 원수를 상기 정화탱크의 활성탄에 통과시켜 정화하는 것으로, 용량이 커질 수밖에 없으므로 비싼 유지비 및 설치비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활성탄은 흡착에 의해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시적으로 이물질로 오염되고, 오염정도에 따라 정화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세척을 필요로 하며 별도의 세척시설을 설치하여 사용함에 따라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수처리장, 하수처리장, 오.폐수 처리장, 수영장, 양식장, 산업현장, 기타 식품제조공장에 적용되어 물을 정화한 후 처리수로 공급하되, 정화부와 역세부를 상하로 배열하여 면적을 극소화하는 정수처리장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용 정화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처리 시설용 정화장치는, 원수 공급관과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받으며 원수를 여과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정화부와, 정화부 내부에 형성되는 필터 카트리지와, 처리수 배수관 및 역세수 공급관과 각각 연결되며 필터 카트리지를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처리수배수관을 통해 배수하거나 역세수를 공급받아 필터 카트리지에 분사함으로써 필터 카트리지를 세척하도록 하는 역세수 공급부로 이루어진 정화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0832호(2012년 08월 02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정수처리장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용 정화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정화장치는, 하나의 정화장치에 의해 정화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이 효과적으로 걸러질 수 없고, 한 번의 여과공정에 의해 걸러진 원수을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재활용되는 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어려우므로 원수의 재활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정화대상물이 담수되는 저장본체에로부터 배출되는 원수을 복수의 여과장치 구동에 의해 정화시키고, 복수의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정화된 원수를 저장본체로 순환시켜 재활용하며, 각각의 여과장치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탈수장치에서 회수하여 여과장치를 통해 정화하고 저장본체로 순환시켜 재활용할 수 있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본체로부터 배수되는 원수가 통과되는 여과탱크 내부에 여재층을 구비하여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을 흡착하여 거르는 복수 개의 여과장치; 복수 개의 상기 여과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장치를 통과하는 원수를 담수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본체로부터 배수되는 원수가 저장된 후에 상기 여과장치로 공급되고, 상기 여과장치를 통과하는 원수가 상기 저장본체로 재순환되도록 원수를 담수하여 저장하는 저장수조; 상기 여과장치의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상기 여과장치에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역세수의 공급을 진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여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수로부터 고형폐기물을 분리하여 배출하고, 원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순환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여과장치는, 원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에 원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제2배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에 역세수를 공급하는 배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여과공정이 개시되면 저장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저장수조에 담수된 후에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여과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여과탱크에 상기 저장수조로부터 원수를 공급하여 여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 (b) 상기 여과탱크를 통과한 원수를 상기 저장본체에 순환시키고, 상기 여과탱크에서 걸러진 물을 저장탱크에 담수하며,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여과탱크 중 다른 상기 여과탱크에 원수를 공급하여 여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 (c) 상기 여과탱크를 통과한 원수를 저장수조에 담수하는 단계; (d) 조작부를 통해 여과장치의 세척작업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조작부에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와류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여재층에 고압의 세척수에 의한 와류와 기포를 발생시키는 단계; (f) 상기 여재층에 와류와 기포가 발생되면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g)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진동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여과탱크에 구비되는 여재층에 진동을 전달하여 상기 여재층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키는 단계; (h) 상기 여재층에 진동이 전달되면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진동부에 전원을 차단하고, 배관부를 지나 상기 제2배관을 통해 상기 여재층의 배출면 측으로 역세수를 공급하는 단계; (j) 상기 여재층에 역세수가 공급되면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k) 상기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역세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l) 역세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1배관을 통해 상기 여재층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린스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m) 상기 린스모드가 개시되면 제4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n) 제4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세척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을 거르도록 복수 개의 여과장치가 설치되고, 저장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원수에 복수의 정화공정을 행하므로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고, 정화된 원수의 신뢰도가 향상되어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진동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진동전달부를 따라 여과탱크 내부로 전달되므로 역세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여재층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여재층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킬 수 있으므로 역세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여재층으로부터 분리된 현탁고형 물질을 여과탱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진동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여과탱크 내부로 진동을 제공하는 분리공정이 진행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진동부의 구동이 중단 후에 역세수가 공급되는 역세공정이 진행되므로 여재층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쉽게 분리시켜 여과탱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이러한 세척작업에 의해 여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여재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여과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진동부 및 진동전달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와류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여과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진동부 및 진동전달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와류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은, 저장본체(200)로부터 배수되는 원수가 통과되는 여과탱크(10) 내부에 여재층(30)을 구비하여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을 흡착하여 거르는 복수 개의 여과장치(150, 180)와, 복수 개의 여과장치(150, 180) 사이에 설치되고 여과장치(150, 180)를 통과하는 원수를 담수하여 저장하는 저장탱크(170)와,
저장본체(22)로부터 배수되는 원수가 저장된 후에 여과장치(150, 180)로 공급되고, 여과장치(150, 180)를 통과하는 원수가 저장본체(200)로 재순환되도록 원수를 담수하여 저장하는 저장수조(172)와, 여과장치(150, 180)의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여과장치(150, 180)에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역세수의 공급을 진행하는 제어부(100)와, 여과장치(150, 18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수로부터 고형폐기물을 분리하여 배출하고, 원수를 저장탱크(170)로 순환시키는 탈수장치(19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저장본체(200)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는 저장수조(172)에 담수된 후에 펌프(152)의 구동에 의해 복수 개의 여과탱크(10)를 통과하면서 각각의 여과탱크(10)에 설치되는 여재층(30)을 지나면서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복수 개의 여재층(30)을 지나면서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여과장치(150, 180)는, 저장본체(200)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통과되는 제1여과장치(150)와, 저장탱크(170)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통과되는 제2여과장치(180)를 포함하므로 2차례에 걸쳐 여과공정이 진행된다.
제2여과장치(180)를 통과한 원수는 저장수조(172)에 담수된 후에 펌프(152)의 구동에 의해 제1여과장치(150)에 공급되고, 제1여과장치(150)를 통과한 후에 저장본체(200)로 순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저장본체(200)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를 제1여과장치(150), 제2여과장치(180) 및 제1여과장치(150)를 거치며 현탁고형 물질을 3차에 걸쳐 거른 후에 저장본체(200)로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여과공정이 장기간 지속되어 여재층(30)에 현탁고형 물질이 누적되어 통수율이 낮아지면 작업자의 조작 또는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역세공정이 진행되어 여재층(30)에 누적된 현탁고형 물질을 여재층(30)으로부터 분리시켜 배출시키게 된다.
제1여과장치(150) 및 제2여과장치(180)의 여재층(30)을 역방향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는 역세수는 탈수장치(190)에 공급되고, 탈수장치(190)에 공급되는 역세수는 현탁고형 물질과 역세수를 분리시키는 탈수공정을 통하여 역세수와 현탁고형 물질이 분리되어 역세수는 저장탱크(170)로 순환되고, 현탁고형 물질은 케이크 형태로 배출되어 소각된다.
본 실시예의 제1여과장치(15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수는 저장탱크(170)에 담수된 후에 구동펌프(154)의 구동에 의해 제2여과장치(180)에 공급되어 여과되므로 제1여과장치(15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수를 여과하여 재순환시킬 수 있게 되어 원수의 재활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3차에 걸쳐 여과공정이 진행되므로 저장본체(200)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고, 역세수를 공급하여 여재층(30)의 통수율이 일정치 이상 유지될 수 있으며, 역세수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켜 배출하고 역세수를 저장본체(200)로 순환시키므로 물의 소비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여과장치(150, 180)는, 원수가 통과되도록 여과탱크(10)에 설치되는 제1배관(18) 및 제2배관(16)과, 제1배관(18)을 통해 여과탱크(10)에 원수를 공급하거나 제2배관(18)을 통해 여과탱크(10)에 역세수를 공급하는 배관부를 포함한다.
여과탱크(10)의 내부에는 원수가 통과되도록 여재층(30)이 수납되는데, 여재층(30)의 하단은 여과탱크(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거름망에 의해 지지되고, 여과탱크(10)의 상부에는 원수를 여과탱크(10) 내부로 안내하는 제1배관(18)이 설치되며, 여과탱크(10)의 하부에는 여재층(30)을 통과한 원수가 여과탱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2배관(16)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배관(18)을 통해 여과탱크(10)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는 여재층(30)을 통과하면서 현탁고형 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여재층(30)을 통과한 원수는 제2배관(16)을 따라 여과탱크(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여과공정이 장기간 진행되면 여재층(30)에 누적되는 현탁고형 물질에 의해 여재층(30)에 형성되는 공극의 단면적이 감소되면서 원수의 통수율이 낮아지게 된다.
특히, 수영장에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영장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다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원수가 모아지게 되는데, 이때, 여재층(30)의 통수율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수영장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의 배출량이 감소되면서 수영장에 담수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작부(80)를 통해 세척작업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진동부(5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여과탱크(10) 내부로 진동을 전달하게 되므로 여재층(30)이 진동되면서 여재층(30)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배관부는, 원수가 공급되는 급수관(12)과, 급수관(12)을 통해 여과탱크(10)로 공급되는 원수가 여재층(30)을 통과하여 배출되어 순환되도록 여과수를 안내하는 순환관(14)과, 제2배관(16)을 따라 공급되는 역세수가 여재층(30)을 통과한 후에 여과탱크(10)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되는 배수관(19)과, 순환관(14)과 배수관(19)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11)과, 급수관(12)과 제1배관(18)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13)과, 급수관(12) 및 제1연결관(13)과 제2배관(16) 및 순환관(14)을 연결하는 제3연결관(15)과, 제1배관(18) 및 제2연결관(11)과 배수관(19) 및 제1연결관(11)을 연결하는 제4연결관(17)과, 제3연결관(15)에 설치되는 제1밸브(12a)와, 제2연결관(13)에 설치되는 제2밸브(14a)와, 제4연결관(17)에 설치되는 제3밸브(16a)와, 순환관(14)에 설치되는 제4밸브(18a)와, 제1연결관(11)에 설치되는 제5밸브(19a)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00)의 구동에 의해 급수관(12)을 따라 공급되는 원수가 제2연결관(13) 및 제1배관(18)을 따라 여재층(30)의 상면에 공급되고, 여재층(30)을 통과한 여과수는 제2배관(16) 및 순환관(14)을 따라 원수가 배출된 원수탱크 또는 수영장의 풀 내부로 여과수가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순환공정 및 여과공정이 반복하여 진행되므로 수영장과 같은 원수탱크 내부의 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제거하면서 원수탱크의 수질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조작부(80)를 통해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제1밸브(12a) 및 제3밸브(16a)가 개방되고, 제2밸브(14a), 제4밸브(18a) 및 제5밸브(19a)가 폐쇄된 후에 급수관(12)을 통해 역세수가 공급되면 급수관(12), 제3연결관(15) 및 제2배관(16)을 통해 여재층(30)의 하부로 공급되는 역세수가 역방향으로 여재층(30)을 통과하면서 여재층(30)으로부터 떨어지는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켜 제1배관(18), 제4연결관(17) 및 배수관(19)을 따라 현탁고형 물질 및 역세수를 여과탱크(10)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세척작업에 의해 여재층(30)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이 분리되어 배출되면 여재층(30)을 이루는 알갱이들 사이의 간격, 즉 공극의 단면적이 증가되면서 여재층(30)의 통수율이 향상되므로 여재층(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원수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제거하는 정상적인 여과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제2밸브(14a) 및 제4밸브(18a)가 개방되고, 제1밸브(12a), 제3밸브(16a) 및 제5밸브(19a)는 차단된다.
따라서 급수관(12)을 따라 공급되는 원수는 제2연결관(13) 및 제1배관(18)을 따라 여재층(30)의 상부로 공급되고, 여재층(30)을 통과하면서 현탁고형 물질이 제거되는 여과수는 제2배관(16) 및 순환관(14)을 따라 여과탱크(10) 외부로 배출되어 원수탱크로 순환된다.
또한, 역세수에 의한 세척공정이 아닌 정방향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여재층(30)을 청소하는 세척공정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제2밸브(14a) 및 제5밸브(19a)가 개방되고, 제1밸브(12a), 제3밸브(16a) 및 제4밸브(18a)가 폐쇄된다.
따라서 급수관(12)을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는 제2연결관(13) 및 제1배관(18)을 따라 여재층(30) 상부로 공급되고, 여재층(30)을 통과하면서 현탁고형 물질을 여재층(3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세척수는 제2배관(16), 제1연결관(11) 및 배수관(19)을 따라 여과탱크(10) 외부로 배출된다.
진동부(50)는, 여과탱크(10)에 구비되는 안착블록(52)과, 안착블록(52)에 설치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54)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진동모터(54)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안착블록(52)을 통해 여과탱크(10)에 진동을 제공하게 되므로 여과탱크(10) 내부에 수납되는 여재층(30)이 진동에 의해 유동되면서 여재층(30)을 이루는 알갱이 흡착된 현탁고형 물질이 여재층(30)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진동부(50)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여재층(30) 내부로 전달하도록 여과탱크(10)에 구비되는 진동전달부(70)를 더 포함하므로 안착블록(52)을 통해 여과탱크(10)의 외벽에 전달되는 진동은 진동전달부(70)를 따라 여재층(30) 내부로 더 효과적으로 전달되면서 여재층(30)을 이루는 알갱이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이 쉽게 떨어지게 된다.
진동전달부(70)는, 여재층(30)에 함침되도록 여과탱크(10) 구비되고 여과탱크(10)와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진동플레이트(74)와, 여과탱크(10)와 진동플레이트(74) 사이에 설치되는 진동지지대(72)를 포함한다.
진동지지대(72)는 여과탱크(10)의 내벽으로부터 여과탱크(10)의 중앙부 측을 연장되고, 진동지지대(72)의 단부에는 진동플레이트(74)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의 진동플레이트(74)는 평면형상이 원을 이루는 폐곡선을 이루고, 진동플레이트(74)의 외주면을부터 여과탱크(10) 측으로 다수 개의 진동지지대(72)가 설치되어 진동플레이트(74)와 여과탱크(1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진동플레이트(74)를 지지하게 된다.
진동플레이트(74)는, 여과탱크(10) 내부에 여과탱크(10)와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여과탱크(10)의 내경과 비교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74a)와, 제1플레이트(74a)의 내경과 비교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1플레이트(74a) 내부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74b)와, 제2플레이트(74b)의 내경과 비교하여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2플레이트(74b) 내부에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74c)를 포함한다.
또한, 진동지지대(72)는, 여과탱크(10)와 제1플레이트(74a)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지지대(72a)와, 제1플레이트(74a)와 제2플레이트(74b) 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72b)와, 제2플레이트(74b)와 제3플레이트(74c) 사이에 설치되는 제3지지대(72c)를 포함한다.
제1지지대(72a), 제2지지대(72b) 및 제3지지대(72c)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제1플레이트(74a) 내지 제3플레이트(74c)와, 제1지지대(72a) 내지 제3지지대(72c)에 의해 이루어지는 진동전달부(70)의 평면 형상은 거미줄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거미줄 모양으로 형성되는 진동전달부(70)는 여재층(30)의 내부에 함침되게 배치되므로 진동모터(54)로부터 안착블록(52)을 따라 제1지지대(72a)에 전달되는 진동은 제1플레이트(74a)를 진동시키고 제2지지대(72b) 및 제3지지대(72c)를 통해 제2플레이트(74b) 및 제3플레이트(74c)에 전달되면서 여재층(30) 내부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여재층(30)에 고압의 공기 및 세척수를 분사하여 여재층(30)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키는 와류부(90)를 더 포함하므로 진동부(50)의 작동에 의해 여재층(30)에 진동을 제공하기 전에 다수 개의 알갱이들로 이루어지는 여재층(30)에 와류를 제공하여 여재층(30)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와류부(90)는, 여과탱크(10)에 설치되고 여재층(10)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노즐(92)과, 노즐(92) 측으로 세척수를 압송하는 세척펌프(96)와, 세척펌프(96)와 노즐(92)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를 유입하여 세척수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오리피스부(98)를 포함한다.
여과탱크(10)의 둘레면에는 설치홀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설치홀부에는 노즐(92)이 설치되며, 설치홀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노즐(92)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여과탱크(10)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분사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노즐(92)의 둘레면에는 여과탱크(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94)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92a)가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결합플레이트(92a)를 안착홈부(94)에 안착시켜 체결부재로 결합시키면 노즐(92)의 단부가 여과탱크(10)의 내부에 경사진 상태로 삽입된다.
다수 개의 노즐(92)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다수 개의 노즐(92)로부터 동시에 세척수가 분사되면 여과탱크(10) 내부에는 와류가 형성되면서 여재층(30)을 이루는 알갱이들을 유동시키면서 여재층(30)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지지대(72)와 진동플레이트(74)는 연결부(110)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부(110)는, 진동플레이트(74)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돌기(112)와, 연결돌기(112)를 감싸도록 진동지지대(72)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홈부(114)와, 연결홈부(114)와 연결돌기(112)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볼트부재(116)와, 볼트부재(116)와 체결되고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너트부재(118)를 포함한다.
따라서 진동지지대(72)와 진동플레이트(74)를 연결하는 연결부(110)에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진동지지대(72)와 진동플레이트(74)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여과공정이 개시되면 저장본체(200)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저장수조(172)에 담수된 후에 제1배관(18) 및 제2배관(16)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여과탱크(10) 중 어느 하나의 여과탱크(10)에 저장수조(172)로부터 원수를 공급하여 여재층(30)을 통과시키는 단계(S12), 여과탱크(10)를 통과한 원수를 저장본체(200)에 순환시키고, 여과탱크(10)에서 걸러진 물을 저장탱크(170)에 담수하며, 저장탱크(170)로부터 복수 개의 여과탱크(10) 중 다른 여과탱크(10)에 원수를 공급하여 여재층(30)을 통과시키는 단계(S14), 및 여과탱크(10)를 통과한 원수를 저장수조(172)에 담수하는 단계(S16)를 포함하는 여과 정상모드가 진행되는 단계(S10)와, 조작부(80)를 통해 여과장치의 세척작업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조작부(80)에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제1배관(18) 및 제2배관(16)이 구비되는 여과탱크(10)에 설치되는 와류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여재층(30)에 고압의 세척수에 의한 와류와 기포를 발생시키는 단계(S30)와, 여재층(30)에 와류와 기포가 발생되면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0)와,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와류부(90)의 구동을 중단하고 진동부(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여과탱크(10)에 구비되는 여재층(30)에 진동을 전달하여 여재층(30)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키는 단계(S50)와, 여재층(30)에 진동이 전달되면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60)와,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진동부(50)에 전원을 차단하고, 여재층(30)의 배출면 측으로 역세수를 공급하는 단계(S70)와, 여재층(30)에 역세수가 공급되면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80)와,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역세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S90)와, 역세수의 공급이 차단되면 제1배관을 통해 여재층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린스모드를 개시하는 단계(S100)와, 린스모드가 개시되면 제4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10)와, 제4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세척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여과공정이 개시되면, 저장본체(200)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저장수조(172)에 담수되고, 저장수조(172)로부터 제1여과장치(150)에 연결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펌프(152)의 구동에 의해 저장수조(172)에 담수된 원수가 제1여과장치(150)에 공급된다.
원수는, 제1여과장치(150)의 여과탱크(10)를 통과하면서 여재층(30)을 통과하고, 저장탱크(170)에 담수된 후에 구동펌프(154)의 작동에 의해 저장탱크(170)에 담수된 원수가 제2여과장치(180)의 여과탱크(10)에 공급되고, 여과탱크(10)를 통과하면서 여재층(30)에 의해 현탁고형 물질이 2차에 걸쳐 걸러진 원수는 저장수조(172)에 담수된다.
이후에, 저장수조(172)에 저장되는 원수는 제1여과장치(150)를 통과하면서 현탁고형 물질이 재차 걸러진 후에 저장본체(200)로 순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되는 여과장치(150, 180)의 정상모드가 개시되면, 제2밸브(14a) 및 제4밸브(18a)가 개방되고, 제1밸브(12a), 제3밸브(16a) 및 제5밸브(19a)가 차단되어 여재층(30) 상면으로 원수가 공급되는 여과 정상모드가 진행된다.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부(80)를 통해 여과작업이 입력되면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2밸브(14a) 및 제4밸브(18a)가 개방되고, 제1밸브(12a), 제3밸브(16a) 및 제5밸브(19a)가 차단된다.
따라서 급수관(12), 제2연결관(13) 및 제1배관(18)을 따라 공급되는 원수는 여재층(30)의 상부로 공급되어 여재층(30)을 통과하면서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이 제거되어 제2배관(16) 및 순환관(14)을 통해 원수탱크로 순환된다.
장기간 여과작업이 진행되어 여재층(30)의 통수율이 낮아지면 작업자는 조작부(80)를 통해 세척작업을 입력하고, 이때,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1밸브(12a) 및 제3밸브(16a)가 개방되고 제2밸브(14a), 제4밸브(18a) 및 제5밸브가 차단되며, 펌프(96)로부터 세척수가 압송되어 다수 개의 노즐(92)을 통해 여과탱크(10) 내부에 와류가 생성된다.
이때, 오리피스부(98)를 통과하는 세척수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간을 통과하게 되면서 유속이 빨라지고 압력 차이가 생성되므로 오리피스부(98)와 연결되는 배관을 따라 공기가 유입되어 노즐(92)을 통해 고압의 세척수 및 공기가 분사되어 여재층(30)에 와류와 함께 기포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다수의 알갱이들로 이루어지는 여재층(30)에 와류와 함께 기포가 발생되면서 여재층(30)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과탱크(10) 내부에 공기층이 유입되면 여과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밴트밸브(10a)에 의해 여과탱크(10) 내부에 충진되는 공기층을 배출시키게 된다.
와류가 생성된 후로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면, 펌프(96)의 구동이 정지되고, 진동모터(54)에 전원이 공급되어 안착블록(52)으로부터 제1지지대(72a), 제1플레이트(74a), 제2지지대(72b), 제2플레이트(74b), 제3지지대(72c) 및 제3플레이트(74c)로 진동이 전달된다.
이렇게 진동전달부(7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은 여재층(30) 내부에 함침되는 제1지지대(72a), 제1플레이트(74a), 제2지지대(72b), 제2플레이트(74b), 제3지지대(72c) 및 제3플레이트(74c)에 의해 여재층(30) 내부를 유동시키게 되므로 다수의 알갱이로 이루어지는 여재층(30)이 유동되면서 알갱이에 흡착된 현탁고형 물질이 여재층(30)을 이루는 알갱이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진동공정이 개시된 후에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1밸브(12a) 및 제3밸브(16a)가 개방되고 제2밸브(14a), 제4밸브(18a) 및 제5밸브(19a)가 차단되며 펌프(82)가 구동되어 공급관(12)으로부터 역세수가 제3연결관(15) 및 제2배관(16)을 따라 여재층(30)의 하부로 공급되고, 여재층(30)을 역방향으로 통과한 역세수는 제1배관(18), 제4연결관(17) 및 배수관(19)을 따라 여과탱크(10) 외부로 배출되어 탈수장치(190)에 공급된다.
역세수의 공급이 개시된 후에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역세수 공급이 차단되고, 제2밸브(14a), 제5밸브(19a)가 개방되고 제1밸브(12a), 제3밸브(16a) 및 제4밸브(18a)가 개방되는 린스모드가 진행된다.
따라서 급수관(12), 제2연결관(13), 제1배관(18)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여재층(30)을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여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키고, 제2배관(16), 제1연결관(11) 및 배수관(19)을 따라 저장탱크(170)가 아닌 탈수장치(190)로 되고, 탈수장치(190)를 통과하면서 원수와 현탁고형 물질이 분리되어 원수는 저장탱크(170)로 순환되고, 현탁고형 물질은 고형폐기물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린스모드가 개시되고 제4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세척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다시 여과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부(100)로부터 정지신호가 송신되어 제2밸브(14a) 및 제4밸브(18a)가 개방되며, 제1밸브(12a), 제3밸브(16a) 및 제5밸브(19a)가 차단되어 여과작업으로 모드가 전환된다.
이로써, 정화대상물이 담수되는 저장본체에로부터 배출되는 원수을 복수의 여과장치 구동에 의해 정화시키고, 복수의 여과장치를 통과하여 정화된 원수를 저장본체로 순환시켜 재활용하며, 각각의 여과장치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탈수장치에서 회수하여 여과장치를 통해 정화하고 저장본체로 순환시켜 재활용할 수 있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여과탱크 12 : 급수관
12a : 제1밸브 14 : 순환관
14a : 제2밸브 16 : 제2배관
16a : 제3밸브 18 : 제1배관
18a : 제4밸브 19 : 배수관
19a : 제5밸브 30 : 여재층
50 : 진동부 52 : 안착블록
54 : 진동모터 70 : 진동전달부
72 : 진동지지대 72a : 제1지지대
72b : 제2지지대 72c : 제3지지대
74 : 진동플레이트 74a : 제1플레이트
74b : 제2플레이트 74c : 제3플레이트
80 : 조작부 82 : 펌프
90 : 와류부 92 : 노즐
94 : 안착홈부 96 : 펌프
100 : 제어부 110 : 연결부
112 : 연결돌기부 114 : 연결홈부
116 : 볼트부재 118 : 너트부재
150 : 제1여과장치 170 : 제1저장탱크
172 : 제2저장탱크 180 : 제2여과장치
190 : 탈수장치 200 : 저장본체

Claims (3)

  1. (a) 여과공정이 개시되면 저장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저장수조에 담수된 후에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여과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여과탱크에 상기 저장수조로부터 원수를 공급하여 여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
    (b) 상기 여과탱크를 통과한 원수를 상기 저장본체에 순환시키고, 상기 여과탱크에서 걸러진 물을 저장탱크에 담수하며,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여과탱크 중 다른 상기 여과탱크에 원수를 공급하여 여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
    (c) 상기 여과탱크를 통과한 원수를 저장수조에 담수하는 단계;
    (d) 조작부를 통해 여과장치의 세척작업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조작부에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와류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여재층에 고압의 세척수에 의한 와류와 기포를 발생시키는 단계;
    (f) 상기 여재층에 와류와 기포가 발생되면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g)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진동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여과탱크에 구비되는 여재층에 진동을 전달하여 상기 여재층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키는 단계;
    (h) 상기 여재층에 진동이 전달되면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진동부에 전원을 차단하고, 배관부를 지나 상기 제2배관을 통해 상기 여재층의 배출면 측으로 역세수를 공급하는 단계;
    (j) 상기 여재층에 역세수가 공급되면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k) 상기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역세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l) 역세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1배관을 통해 상기 여재층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린스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m) 상기 린스모드가 개시되면 제4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n) 제4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세척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세효율 증강형 여과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역세효율 증강형 여과장치이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저장본체로부터 배수되는 원수가 통과되는 상기 여과탱크 내부에 상기 여재층을 구비하여 원수에 포함되는 현탁고형 물질을 흡착하고 거르는 복수 개의 여과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b) 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여과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장치를 통과하는 원수를 담수하여 저장하는 상기 저장탱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저장본체로부터 배수되는 원수가 저장된 후에 상기 여과장치로 공급되고, 상기 여과장치를 통과하는 원수가 상기 저장본체로 재순환되도록 원수를 담수하여 저장하는 상기 저장수조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여과장치의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상기 여과장치에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역세수의 공급을 진행하는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은, 상기 여과장치, 상기 저장탱크, 상기 저장수조,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여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수로부터 고형폐기물을 분리하여 배출하고, 원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순환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장치는,
    원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에 원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제2배관을 통해 상기 여과탱크에 역세수를 공급하는 배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2. 삭제
  3. (a) 여과공정이 개시되면 저장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저장수조에 담수된 후에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여과탱크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여과탱크에 상기 저장수조로부터 원수를 공급하여 여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
    (b) 상기 여과탱크를 통과한 원수를 상기 저장본체에 순환시키고, 상기 여과탱크에서 걸러진 물을 저장탱크에 담수하며,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여과탱크 중 다른 상기 여과탱크에 원수를 공급하여 여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
    (c) 상기 여과탱크를 통과한 원수를 저장수조에 담수하는 단계;
    (d) 조작부를 통해 여과장치의 세척작업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조작부에 세척작업이 입력되면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와류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여재층에 고압의 세척수에 의한 와류와 기포를 발생시키는 단계;
    (f) 상기 여재층에 와류와 기포가 발생되면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g)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여과탱크에 설치되는 진동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여과탱크에 구비되는 여재층에 진동을 전달하여 상기 여재층으로부터 현탁고형 물질을 분리시키는 단계;
    (h) 상기 여재층에 진동이 전달되면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진동부에 전원을 차단하고, 배관부를 지나 상기 제2배관을 통해 상기 여재층의 배출면 측으로 역세수를 공급하는 단계;
    (j) 상기 여재층에 역세수가 공급되면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k) 상기 제3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역세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l) 역세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1배관을 통해 상기 여재층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린스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m) 상기 린스모드가 개시되면 제4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n) 제4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세척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효율 증강형 여과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38709A 2016-03-30 2016-03-30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6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709A KR101766898B1 (ko) 2016-03-30 2016-03-30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709A KR101766898B1 (ko) 2016-03-30 2016-03-30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898B1 true KR101766898B1 (ko) 2017-08-09

Family

ID=5965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709A KR101766898B1 (ko) 2016-03-30 2016-03-30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8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839B1 (ko) * 2018-02-28 2018-08-21 강성만 정수처리장치
CN114307280A (zh) * 2021-11-12 2022-04-12 湖南钦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设备方便更换滤料的系统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80B1 (ko) * 2003-07-04 2005-10-11 지철권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
JP2007152193A (ja) * 2005-12-02 2007-06-21 Nihon Pure Water Inc 水浄化装置および水浄化方法
JP2010264334A (ja) * 2008-06-19 2010-11-25 Nagaoka International Corp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JP2011011116A (ja) * 2009-06-30 2011-01-20 Nagaoka International Corp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KR101041411B1 (ko) * 2010-11-01 2011-06-14 유승열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80B1 (ko) * 2003-07-04 2005-10-11 지철권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
JP2007152193A (ja) * 2005-12-02 2007-06-21 Nihon Pure Water Inc 水浄化装置および水浄化方法
JP2010264334A (ja) * 2008-06-19 2010-11-25 Nagaoka International Corp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JP2011011116A (ja) * 2009-06-30 2011-01-20 Nagaoka International Corp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KR101041411B1 (ko) * 2010-11-01 2011-06-14 유승열 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839B1 (ko) * 2018-02-28 2018-08-21 강성만 정수처리장치
CN114307280A (zh) * 2021-11-12 2022-04-12 湖南钦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设备方便更换滤料的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62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eatment
US6426005B1 (en) Sequential descending bed filters with reject/washwater containing impurities being fed to a separate unit for elimination of impurities
Bhargava Physico-chemical waste water treatment technologies: an overview
KR101334995B1 (ko) 나노 및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중수도 장치
US7258798B2 (en) Potable water treatment plant and method of maintaining same
JP2011088053A (ja) 淡水化処理設備及び方法
JP6194887B2 (ja) 淡水製造方法
RU2426696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4108830A (zh) 新型中水深度处理及回用系统
ES2956322T3 (es) Tratamiento de agua residual y método para la industria textil
KR20180008175A (ko) 가압식 막여과 정수처리장치
KR101766898B1 (ko) 역세기능을 구비한 수처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20093B1 (ko) 염도 및 온도 자동조정장치 일체형 염장수 순환, 여과시스템
KR101029589B1 (ko) 다중 스트로 여과막을 구비한 복합 수처리 장치
KR102512015B1 (ko) 자외선 및 오존 미세기포를 이용한 기포부상식 수처리시스템
KR101858028B1 (ko) 고속 복합 수처리 장치
ZA200201560B (en)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and treating waste water in order to obtain drinking water.
KR101629256B1 (ko) 역세효율 증강형 여과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70832B1 (ko) 정수처리장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용 정화장치
KR101671410B1 (ko) 빗물과 잡배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재이용수 처리 장치
KR101973738B1 (ko) 침지막과 가압막을 이용한 세라믹 막여과 공정의 세정 방법
KR101206476B1 (ko) 하천 및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재이용한 농업용수 공급장치
JP4399036B2 (ja) 有機性汚水の処理方法
KR100496766B1 (ko) 나선형 배플 장착 자외선 접촉장치 및 이를 이용한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 시스템
KR20170029853A (ko) 하 폐수 처리의 탈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