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098B1 -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098B1
KR101926098B1 KR1020170078054A KR20170078054A KR101926098B1 KR 101926098 B1 KR101926098 B1 KR 101926098B1 KR 1020170078054 A KR1020170078054 A KR 1020170078054A KR 20170078054 A KR20170078054 A KR 20170078054A KR 101926098 B1 KR101926098 B1 KR 101926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roasting
tank
unit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각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8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B01F15/00396
    • B01F15/0093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27/1143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screw-shaped, e.g.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7/23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6General build-up of the mixers
    • B01F35/561General build-up of the mixers the mixer being built-up from a plurality of modules or stacked plates comprising complete or partial elements of the mixer
    • B01F7/00416
    • B01F7/0095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곡물을 볶는 단계에서 곡물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곡물 볶음 장치는 곡물을 단계별로 볶는 다수 개의 교반조와; 교반조에 설치되어 교반조의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는 계측 유닛과; 교반조 내부에 설치되어 곡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 유닛과; 다수 개의 교반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다수 개의 교반조와 연결부에 각각 배치되는 온도 조절부와; 계측 유닛, 교반 유닛 및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다수 개의 교반조는 곡물을 특정 습도로 맞추기 위한 전처리 교반조와; 특정 습도로 맞추어진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동안 볶는 로스팅 교반조와; 특정 조건으로 볶아진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동안 숙성하는 숙성 교반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곡물 볶는 과정에서 곡물이 과열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곡물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GRAIN ROAST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곡물을 볶는 단계에서 곡물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 보리 등은 곡물을 솥에 찌고 불로 볶아 미수가루로 만들어 건강 다이어트 식품으로 음용하거나, 참깨나 들깨 등은 불에 볶은 다음 착유하여 참기름, 들기름을 얻고 있다. 종래의 경우 곡물을 볶기 위해 교반조를 이용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교반기 및 가열 장치의 잠열로 인해 곡물을 볶는 과정에서 상기 곡물이 과열되어 곡물이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조를 이용하여 곡물을 볶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659518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6-0135385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1993-0021113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1-004410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물을 볶기 위해 곡물의 습도를 맞추는 전처리 단계와, 곡물을 로스팅 하는 단계 및 곡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각 단계별로 교반조의 온도와 습도 등을 제어하여 곡물이 과열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곡물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 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 장치는 곡물을 단계별로 볶는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상기 교반조(100)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조(100)의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는 계측 유닛(200)과; 상기 교반조(100) 내부에 설치되어 곡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 유닛(300)과;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C)와;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상기 연결부(C)에 각각 배치되는 온도 조절부(H)와; 상기 계측 유닛(200), 상기 교반 유닛(300) 및 상기 온도 조절부(H)를 제어하는 제어부(CON)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는 상기 곡물을 특정 습도로 맞추기 위한 전처리 교반조(100-1)와; 상기 특정 습도로 맞추어진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동안 볶는 로스팅 교반조(100-2)와; 상기 특정 조건으로 볶아진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동안 숙성하는 숙성 교반조(100-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C)는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와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C1); 및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와 상기 숙성 교반조(100-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C2)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조(10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의 중앙부에는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교반조 본체(110); 및 상기 교반조 본체(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 유닛(200)은 상기 교반조 본체(110)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온도 계측부(210); 및 습도 계측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H)는 상기 연결부(C)와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 및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에 각각 설치되는 가열부(H1); 및 상기 숙성 교반조(100-3)에 설치되는 냉각부(H2)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의 배출구(111)에는 제1연결부(C1)가 설치되어 로스팅 교반조(120)와 연통되고,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의 커버(120)에는 투입구(IN)가 형성되어 곡물이 전처리 교반조(100-1)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의 커버(120)에는 상기 제1연결부(C1)가 설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의 배출구(111)에는 제2연결부(C2)가 설치되어 숙성 교반조(130)와 연통되며, 상기 숙성 교반조(100-3)의 커버(120)에는 상기 제2연결부(C2)가 설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숙성 교반조(100-3)의 배출구(111)를 통해 곡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교반 유닛(300)은 상기 교반조(100)의 교반부 본체(110)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면의 배출구(110)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교반봉(310)과; 상기 교반봉(310)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교반봉(3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나선 형상인 이송 스크류(320); 및 상기 교반봉(31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교반봉(310)을 회전하고 상기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구동부(330)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H)가 상기 교반봉(3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ON)는 상기 계측 유닛(200), 상기 교반 유닛(300) 및 상기 온도 조절부(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곡물 볶음 장치를 이용하여 곡물을 단계별로 볶는 곡물 볶음 방법에 있어서, 곡물을 전처리 교반조(100-1)에 투입한 후, 상기 곡물이 특정의 습도가 되도록 전처리 교반조(100-1)를 가열하는 전처리 단계(S110)와, 상기 전처리 단계(S110)에 의해 특정 습도로 건조된 곡물을 로스팅 교반조(100-2)에 투입한 후 상기 곡물을 특정 시간동안 특정 온도로 가열하는 로스팅 단계(S120)와, 상기 로스팅 단계(S120)에 의해 볶아진 곡물을 숙성 교반조(100-3)에 투입한 후 상기 곡물을 특정 시간동안 특정 온도로 숙성하는 숙성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CON)는 곡물 종류에 따른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교반조(100)의 온도와 습도를 피드백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교반 유닛(300)의 이송 스크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곡물이 교반조(100)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10)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되게 하거나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제어하여 곡물이 배출구(110)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어 교반조(100) 내부에 볶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은 곡물의 습도를 맞추는 전처리 단계와, 곡물을 로스팅 하는 단계 및 곡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각 단계별로 교반조의 온도와 습도 등을 제어하여 곡물이 과열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곡물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볶음 장치의 각 교반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볶음 장치의 교반조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볶음 장치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 볶음 장치(10)는 곡물을 단계별로 볶는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상기 교반조(100)에 설치되는 계측 유닛(200)과, 상기 교반조(100)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 유닛(300)과,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C)및, 상기 계측 유닛(200)과 교반 유닛(300)을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는 상기 곡물을 특정 습도로 맞추기 위한 전처리 교반조(100-1)와, 특정 습도로 맞추어진 상기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볶는 로스팅 교반조(100-2)와, 특정 조건으로 볶아진 상기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숙성하는 숙성 교반조(100-3)를 포함한다.
즉, 곡물을 볶기 위해 곡물을 특정 습도로 맞추기 위한 단계와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동안 볶는 단계 그리고 상기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 단계로 구분한 후 상기 각 단계별로 교반조(100-1)(100-2)(1003-)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 단계별로 맞는 온도로 곡물을 가공할 수 있으므로 곡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처리 단계나 숙성 단계에서는 로스팅 단계보다 낮은 온도가 필요하며, 이러한 전처리 단계나 숙성 단계에서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추게 되면 곡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연결부(C)에는 온도 조절부(H)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온도 조절부(H)는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계측 유닛(200)이 상기 교반조(100)에 설치되어 교반조(100)의 온도와 습도 등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CON)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상기 교반 유닛(300) 또한 제어부(CON)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교반조(100)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CON)는 교반조(100)에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널리 알려진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C)는 교반조(100) 사이를 연결하여 곡물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와 로스팅 교반조(100-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C1) 및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와 숙성 교반조(100-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C2)로 이루어진다. 즉, 전처리 교반조(100-1) 내부에서 가공된 곡물은 제1연결부(C1)를 통해 로스팅 교반조(100-2)로 이동하고,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 내부에서 가공된 곡물은 제2연결부(C2)를 통해 숙성 교반조(100-3)로 이동한다.
상기 교반조(10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의 중앙부에는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교반조 본체(110)와, 상기 교반조 본체(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교반조(100)는 전처리 교반조(100-1)와 로스팅 교반조(100-2) 그리고 숙성 교반조(100-3)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교반조(100-1,100-2,100-3) 모두 교반조 본체(110)와 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조(100) 중 전처리 교반조(100-1)의 배출구(111)에는 제1연결부(C1)가 설치되어 로스팅 교반조(120)와 연통퇴고,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의 커버(120)에는 투입구(IN)가 형성되어 곡물이 전처리 교반조(100-1)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교반조(100) 중 로스팅 교반조(100-2)의 커버(120)에는 상기 제1연결부(C1)가 설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의 배출구(111)에는 제2연결부(C2)가 설치되어 숙성 교반조(130)와 연통된다.
상기 교반조(100) 중 숙성 교반조(100-3)의 커버(120)에는 상기 제2연결부(C2)가 설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숙성 교반조(100-3)의 배출구(111)를 통해 곡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계측 유닛(200)은 교반조 본체(110) 일 측에 설치되고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온도 계측부(210) 및 습도 계측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 계측부(210)는 널리 알려진 온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습도 계측부(220) 역시 널리 알려진 습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H)는 상기 연결부(C)와 전처리 교반조(100-1) 및 로스팅 교반조(100-2)에 각각 설치되는 가열부(H1)와, 상기 숙성 교반조(100-3)에 설치되는 냉각부(H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부(H1)는 커버(120)에 설치될 수 있고, 교반조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널리 알려진 열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H2)는 숙성 교반부(100-3)의 교반조 본체(110)에 설치되는 워터 자켓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H1)는 교반조 본체(110)의 두께면에 열선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냉각부(H2)는 교반부 본체(110)의 두께면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워터 자켓으로 기능하여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다만, 이는 교반조(100)를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는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교반조(100)를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는 구성인 한, 상기 온도 조절부(H)가 다른 구성을 이용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교반 유닛(300)은 교반조(100) 내부의 곡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곡물을 교반조(100) 내부에서 볶는 경우 상기 곡물을 교반조(100)의 배출구(111)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고, 곡물을 교반조(100)로 부터 배출하는 경우 상기 곡물을 배출구(111) 방향으로 이송한다.
상기 교반 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조(100)의 교반부 본체(110)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면의 배출구(111)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교반봉(310)과, 상기 교반봉(310)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교반봉(3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나선 형상인 이송 스크류(320)와, 상기 교반봉(31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교반봉(310)을 회전하고 상기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구동부(330)로 이루어진다. 즉,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는 구동부(330)에 의해 교반봉(310)이 회전하면 상기 교반봉(310)의 외측면에 고정된 이송 스크류(320)가 연동되어 회전한다. 상기 이송 스크류(32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곡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한다.
상기 교반조(100) 내부에서 곡물이 특정 온도로 가공되므로 상기 교반봉(310) 내부에 온도 조절부(H)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H) 역시 제어부(CON)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H)에 의해 교반봉(310)을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곡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교반봉(3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이 포함된 서포터(340)를 교반봉(310) 양측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ON)는 상기 교반조(100)에 설치되는 계측 유닛(200)과, 교반 유닛(300) 및 온도 조절부(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ON)는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등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곡물 볶음 장치(10)를 이용한 볶음 방법(S100)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곡물 볶음 장치(10)는 곡물을 단계별로 볶는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상기 교반조(100)에 설치되는 계측 유닛(200)과, 상기 교반조(100)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 유닛(300)과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C)와, 상기 계측 유닛(200) 및 교반 유닛(300)을 제어하는 제어부(CON)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는 상기 곡물을 특정 습도로 맞추기 위한 전처리 교반조(100-1)와, 상기 특정 습도로 맞추어진 곡물을 특정 조건으로 볶는 로스팅 교반조(100-2)와, 상기 특정 조건으로 볶아진 곡물을 별도의 특정 조건으로 숙성하는 숙성 교반조(100-3)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연결부(C)에는 온도 조절부(H)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온도 조절부(H)는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볶음 장치(10)에 의해 곡물을 볶기 위해 우선 곡물을 전처리 교반조(100-1)에 투입한 후, 상기 곡물이 특정의 습도가 되도록 전처리 교반조(100-1)를 가열하는 전처리 단계(S110)를 수행한다. 상기 전처리 단계(S110)에서 습도는 습도 계측부(220)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습도를 기 설정된 습도로 맞추기 위해 온도 조절부(H)의 가열부(H1)를 가동하여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동안 가열한다. 이러한 전처리 교반조(100-1)의 습도 측정과 가열 등의 과정은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수행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전처리 단계(S110)에 의해 특정 습도로 건조된 곡물을 로스팅 교반조(100-2)에 투입한 후 상기 곡물을 특정 시간과 온도로 가열하는 로스팅 단계(S120)를 수행한다.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에서 특정 습도를 가지도록 가열된 곡물은 제1연결부(C1)를 통해 로스팅 교반조(100-2)로 투입된 후 특정 시간과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다. 상기 로스팅 단계(S120)에서 온도와 시간은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됨은 상술된 바와 같다.
상기 로스팅 단계(S120)에 의해 볶아진 곡물을 특정 시간과 온도로 숙성하는 숙성 단계(S130)를 수행한다. 상기 숙성 단계(S130)는 숙성 교반조(100-3)에서 수행된다. 상기 숙성 단계(S130)는 전처리 단계(S110) 또는 로스팅 단계(S120) 보다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상기 숙성 교반조(100-3)에 투입된 곡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각부(H2)를 작동한다. 상기 냉각부(H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온도가 낮은 냉각수가 유동하는 워터 자켓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숙성 단계(S130) 역시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됨은 상술된 바와 같다.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와 로스팅 교반조(100-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C1)에는 가열부(H1)가 구비되어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와 로스팅 교반조(100-2) 및 제1연결부(C1) 자체가 열원이 되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곡물은 전처리 교반조(100-1)와 로스팅 교반조(100-2)에서 가열된다. 이때, 곡물이 전처리 교반조(100-1)와 로스팅 교반조(100-2) 사이의 제1연결부(C1)를 통해 이동할 때 냉각되므로 않되므로 상기 제1연결부(C1)에도 가열부(H1)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CON)는 상기 계측 유닛(2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각 교반조(100)의 온도와 습도 등을 제어하며 이때, 가공되는 곡물 종류에 따른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교반조(100)의 온도와 습도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곡물은 교반조(100) 내부에 머무르면서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동안 가공된다. 이때, 상기 교반 유닛(300)의 이송 스크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곡물이 배출구(110)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곡물이 교반조(100) 내부에서 순환되며 볶아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교반 유닛(300)의 이송 스크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여 곡물이 교반조(100)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10) 방향으로 배출되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교반조 110 : 교반조 본체
120 : 커버 200 : 계측 유닛
210 : 온도 계측부 220 : 습도 계측부
300 : 교반 유닛 310 : 교반봉
320 : 이송 스크류

Claims (8)

  1. 곡물 볶음 장치에 있어서,
    곡물을 단계별로 볶는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상기 교반조(100)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조(100)의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는 계측 유닛(200)과; 상기 교반조(100) 내부에 설치되어 곡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 유닛(300)과;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C)와;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상기 연결부(C)에 각각 배치되는 온도 조절부(H)와; 상기 계측 유닛(200), 상기 교반 유닛(300) 및 상기 온도 조절부(H)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는 상기 곡물을 특정 습도로 맞추기 위한 전처리 교반조(100-1)와;, 상기 특정 습도로 맞추어진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동안 볶는 로스팅 교반조(100-2)와;, 상기 특정 조건으로 볶아진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 교반조(100-3)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조(10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의 중앙부에는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교반조 본체(110); 및 상기 교반조 본체(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유닛(300)은 상기 교반조(100)의 교반부 본체(110)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면의 배출구(110)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교반봉(310)과 상기 교반봉(310)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교반봉(3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나선 형상인 이송 스크류(320); 및 상기 교반봉(31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교반봉(310)을 회전하고 상기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구동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C)는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와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C1); 및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와 상기 숙성 교반조(100-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C2)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 유닛(200)은 상기 교반조 본체(110)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온도 계측부(210); 및 습도 계측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H)는 상기 연결부(C)와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 및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에 각각 설치되는 가열부(H1); 및 상기 숙성 교반조(100-3)에 설치되는 냉각부(H2)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의 배출구(111)에는 상기 제1연결부(C1)가 설치되어 로스팅 교반조(120)와 연통되고,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의 커버(120)에는 투입구(IN)가 형성되어 곡물이 전처리 교반조(100-1)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의 커버(120)에는 상기 제1연결부(C1)가 설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의 배출구(111)에는 제2연결부(C2)가 설치되어 숙성 교반조(130)와 연통되며,
    상기 숙성 교반조(100-3)의 커버(120)에는 상기 제2연결부(C2)가 설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숙성 교반조(100-3)의 배출구(111)를 통해 곡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구동부(330)에 의해 교반봉(310)이 회전하면 상기 교반봉(310)의 외측면에 고정된 이송 스크류(320)가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이송 스크류(32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곡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되,
    곡물을 교반조(100) 내부에서 볶는 경우 상기 곡물을 교반조(100)의 배출구(111)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고, 곡물을 교반조(100)로 부터 배출하는 경우 상기 곡물을 배출구(111) 방향으로 이송하는 곡물 볶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H)가 상기 교반봉(310) 내부에 구비되는 곡물 볶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CON)가 상기 계측 유닛(200), 상기 교반 유닛(300) 및 상기 온도 조절부(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곡물 볶음 장치.
  6. 곡물을 단계별로 볶는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상기 교반조(100)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조(100)의 온도와 시간을 측정하는 계측 유닛(200)과; 상기 교반조(100) 내부에 설치되어 곡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는 교반 유닛(300)과;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C)와;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와 상기 연결부(C)에 각각 배치되는 온도 조절부(H)와; 상기 계측 유닛(200), 상기 교반 유닛(300) 및 상기 온도 조절부(H)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교반조(100)는 상기 곡물을 특정 습도로 맞추기 위한 전처리 교반조(100-1)와;, 상기 특정 습도로 맞추어진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동안 볶는 로스팅 교반조(100-2)와;, 상기 특정 조건으로 볶아진 곡물을 특정 온도에서 특정 시간 동안 숙성하는 숙성 교반조(100-3)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조(10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의 중앙부에는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교반조 본체(110); 및 상기 교반조 본체(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 유닛(300)은 상기 교반조(100)의 교반부 본체(110)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면의 배출구(110)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교반봉(310)과 상기 교반봉(310)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교반봉(3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나선 형상인 이송 스크류(320); 및 상기 교반봉(31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교반봉(310)을 회전하고 상기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구동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C)는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와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C1); 및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와 상기 숙성 교반조(100-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C2)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 유닛(200)은 상기 교반조 본체(110)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온도 계측부(210); 및 습도 계측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부(H)는 상기 연결부(C)와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 및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에 각각 설치되는 가열부(H1); 및 상기 숙성 교반조(100-3)에 설치되는 냉각부(H2)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의 배출구(111)에는 상기 제1연결부(C1)가 설치되어 로스팅 교반조(120)와 연통되고,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의 커버(120)에는 투입구(IN)가 형성되어 곡물이 전처리 교반조(100-1)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의 커버(120)에는 상기 제1연결부(C1)가 설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의 배출구(111)에는 제2연결부(C2)가 설치되어 숙성 교반조(130)와 연통되며,
    상기 숙성 교반조(100-3)의 커버(120)에는 상기 제2연결부(C2)가 설치되어 연통되고, 상기 숙성 교반조(100-3)의 배출구(111)를 통해 곡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곡물 볶음 장치를 이용하여 곡물을 볶는 방법으로서,
    곡물을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에 투입한 후, 상기 곡물이 특정 습도가 되도록 상기 전처리 교반조(100-1)를 가열하는 전처리 단계(S110)와;
    상기 전처리 단계(S110)에 의해 특정 습도로 건조된 곡물을 상기 로스팅 교반조(100-2)에 투입한 후 상기 곡물을 특정 시간 동안 특정 온도로 가열하는 로스팅 단계(S120)와;
    상기 로스팅 단계(S120)에 의해 볶아진 곡물을 상기 숙성 교반조(100-3)에 투입한 후 상기 곡물을 특정 시간 동안 특정 온도로 숙성하는 숙성 단계(S130)를 포함하며,
    구동부(330)에 의해 교반봉(310)이 회전하면 상기 교반봉(310)의 외측면에 고정된 이송 스크류(320)가 연동되어 회전하며, 상기 이송 스크류(32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곡물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하되,
    곡물을 교반조(100) 내부에서 볶는 경우 상기 곡물을 교반조(100)의 배출구(111)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고, 곡물을 교반조(100)로 부터 배출하는 경우 상기 곡물을 배출구(111) 방향으로 이송하는 곡물 볶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CON)는 곡물 종류에 따른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교반조(100)의 온도와 습도를 피드백 제어하는 곡물 볶음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유닛(300)의 이송 스크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곡물이 교반조(100)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10)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되게 하거나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제어하여 곡물이 배출구(110)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어 교반조(100) 내부에 볶아지도록 하는 곡물 볶음 방법.
KR1020170078054A 2017-06-20 2017-06-20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 KR101926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54A KR101926098B1 (ko) 2017-06-20 2017-06-20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54A KR101926098B1 (ko) 2017-06-20 2017-06-20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098B1 true KR101926098B1 (ko) 2018-12-06

Family

ID=6467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54A KR101926098B1 (ko) 2017-06-20 2017-06-20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0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5730A (zh) * 2019-03-14 2019-08-02 江苏大学 一种能够自动升降的潜水搅拌机
KR20190124196A (ko) * 2019-10-28 2019-11-04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곡물볶음장치
CN112515217A (zh) * 2020-12-03 2021-03-19 湖南康琪壹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接骨木莓籽提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654B1 (ko) * 2000-10-02 2003-05-14 안이성 다단계 가열과 냉각을 이용한 볶음시스템
KR100659518B1 (ko) * 2004-10-07 2006-12-20 안경훈 커피가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654B1 (ko) * 2000-10-02 2003-05-14 안이성 다단계 가열과 냉각을 이용한 볶음시스템
KR100659518B1 (ko) * 2004-10-07 2006-12-20 안경훈 커피가열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5730A (zh) * 2019-03-14 2019-08-02 江苏大学 一种能够自动升降的潜水搅拌机
KR20190124196A (ko) * 2019-10-28 2019-11-04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곡물볶음장치
KR102174365B1 (ko) 2019-10-28 2020-11-04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곡물볶음장치
CN112515217A (zh) * 2020-12-03 2021-03-19 湖南康琪壹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接骨木莓籽提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098B1 (ko)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
US20150000535A1 (en) Cooking device
CN108289560A (zh) 烹饪谷物颗粒的方法和设备
CN205994254U (zh) 电饭煲
US9320293B2 (en) Popcorn kettle
KR100977997B1 (ko) 커피원두 볶음장치
US3703861A (en) Raw organic material cooker
WO20181539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starch-containing food
CN207370067U (zh) 具有燃气辐射式燃烧器的爆米花机器及相关系统
KR101342548B1 (ko) 곡물 볶음장치
CN107536444A (zh) 电饭煲及电饭煲的煮饭控制方法
CN203802244U (zh) 食物烹煮装置
US20150320251A1 (en) Food cooking device
US6085637A (en) Beverage serving apparatus
KR101973179B1 (ko) 곡물 볶음 장치 및 방법
US20060283333A1 (en) Rotary steam blancher
JP2002333273A (ja) 豆類の加熱乾燥機と豆類の乾燥装置
KR101958919B1 (ko) 현미 칩 로스터 장치
CN106174644A (zh) 智能的烘干设备
JP2011115251A (ja) 炊飯器
EP34008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king starch-containing food
KR101133318B1 (ko) 곡립 볶음기
JP4040652B2 (ja) 立体蒸らしコンベアとそれを用いる炊飯システム
CN104605415B (zh) 一种用于炒制瓜子的自动配料机
KR101555346B1 (ko) 현미가공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