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718B1 -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Google Patents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5718B1 KR101925718B1 KR1020170081222A KR20170081222A KR101925718B1 KR 101925718 B1 KR101925718 B1 KR 101925718B1 KR 1020170081222 A KR1020170081222 A KR 1020170081222A KR 20170081222 A KR20170081222 A KR 20170081222A KR 101925718 B1 KR101925718 B1 KR 1019257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rehabilitation
- link
- support
- paralyzed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10000000323 shoulder join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37 restrai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1000000585 muscular atroph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4220 muscle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6010023201 Joint contracture Diseases 0.000 abstract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8000001738 Nervous System Trau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0428 Muscle Weak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289 Muscle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372 Muscular weak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8129 cerebral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763 muscle atroph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0431 spinal cor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468 Hemi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204 Joint dislo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9565 Muscle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877 Shoulder Dislo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50 d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14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0 mo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18 muscle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412 nervous system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57 wrist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should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63B23/03591—Upper and lower limb moving in phase, i.e. right foot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ight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 등의 상하지 재활에 사용되는 재활치료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신체기능이 상실되거나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그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재활치료기기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뇌졸증이나 척수손상, 또는 뇌성마비와 같은 중추신경계 환자는 편마비/경직 등으로 인해 상하지의 운동능력이 심각하게 저하되므로, 정상적인 거동 및 보행이 곤란하거나 불편하다. 따라서, 정상인으로서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재활훈련이 필요하고, 이때 보조적으로 다양한 재활치료기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보행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관절 움직임을 수동적으로 만들어 주고, 환자의 운동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재활치료가 행해지는데, 초기 재활단계에서는 빠른 움직임 훈련과 직립 상태에서의 체중 부하 훈련 등이 주로 이루어지며, 이때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재활치료기기가 사용된다.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s are being used as a means to restore function when physical function is lost or not smooth.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such as stroke, spinal cord injury, or cerebral palsy,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pper and lower limbs is seriously deteriorated due to hemiplegia / stiffness, so that normal behavior and walking are difficult or inconvenient. Therefore, rehabilitation training is required to run a social life as a normal person, and various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s are used as an auxiliary. Generally, in patients with gait disturbances, rehabilitation therapy is performed to passively move joints and restore the patient's ability to exercise. In the initial rehabilitation phase, rapid movement training and weight-bearing training in an upright state are mainly performed ,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is used.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전동식 기립형 하지재활 장치는 재활환자의 둔부 또는 허리에 밴드를 감아 직립 상태를 유지시킨 채로 상지와 하지를 재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재활치료기기는 기립 상태에서의 체중부하훈련에 특화되어 있고, 보행에 필요한 훈련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비측 상하지의 근력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재활훈련이 실행되는 경우에 어깨가 탈구되고, 상하지 통증을 유발하여 2차적 손상이 유발될 수도 있다.The electric standing-type inferior-limb-based rehabilitation apparatu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is configured to rehabilitate the upper limb and the lower limb while keeping the upright state by winding a band around the hip or waist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However,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is specialized in weight-bearing training in standing sta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raining necessary for walking is not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upper and lower paralyzed side is insufficient, the shoulder is dislocated, and the secondary pain may be caused by causing the upper and lower pain.
이에 종래 재활치료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앉은 자세에서 양손 및/또는 양발을 일정한 강도와 속도로 회전시켜 상하지의 빠른 움직임 훈련 및 보행 동작과 유사한 상하지의 상호교환적인 움직임 훈련을 실행할 수 있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club having both hands and / or both feet rotated at a constant strength and speed in a sitting pos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that can perform interchangeable movement train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환자의 앉은 키 높이에 따라 상지재활부의 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되고, 환자의 마비측 어깨를 고정하며, 움직임 훈련 중인 마비측 하지에 대해 전기자극을 가하여 근 수축을 유도할 수 있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par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atient's seat and to fix the paralysis shoulder of the patient and to induce muscle contraction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And to provide a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는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제1 기어 및 제1 모터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하부기어박스, 및 앉아있는 환자의 양발을 받치도록 상기 하부기어박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페달을 포함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환자의 하지를 재활시키는 하지재활부; 제2 기어 및 제2 모터를 수용하는 상부기어박스, 및 상기 환자의 양손에 파지되도록 상기 상부기어박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환자의 상지를 재활시키는 상지재활부;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지재활부에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A top and bottom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disposed on the floor; A lower gear box that houses the first gear and the first motor and is disposed on the base and a pair of pedals that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gear box to support the seat of the sitting patient and that rotate along a circular trajectory A rehabilitation unit for rehabilitating the patient's lower limb while rotating; And a pair of knob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gear box to be held by both hands of the patient and rotating along a circular locus, Upper limb rehabilitation department to rehabilitate upper limb of patient;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and connected to the upper rehabilitation unit, the length of which is adj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하지재활부 및 상기 상지재활부는 각각의 상기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상기 환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된다.Further, in the upper and lower limb exercising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running rehabilitation unit and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unit are automatically driven by each motor or manually driven by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관 형태의 외관;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외관 내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내관;을 포함한다.Further, in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may have a hollow tube-like outer appearan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inner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erted and raised and lowered in the outer tu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함몰된 다수의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외관을 관통하여 다수의 상기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핀; 을 더 포함한다.In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recessed conca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A fixing pin inserted into either on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다수의 분절 세그먼트가 회동 가능하게 서로 힌지결합되어 형성된다.Further, in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is formed by hinging together a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so as to be rotat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분절 세그먼트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egment seg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게 재활훈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tness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for displaying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to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하지재활부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하지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기;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per or lower limb exerciser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lectric stimulator disposed in the under-rehabilitation section and applying an electric stimulus to the lower limbs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의 어깨관절을 받치는 어깨관절현수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y exerciser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houlder joint suspend portion supporting the shoulder joint of the upper paralyzed side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어깨관절현수부는 상기 환자가 등을 기대고 앉을 수 있도록 등받이가 형성된 좌석; 및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의 겨드랑이에 밀착되도록, 상기 등받이의 측면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어깨관절받침대;를 포함한다.Further, in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ulder joint suspension unit may include a seat having a backrest for allowing the patient to sit on the back; And a shoulder joint pedestal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and projecting forwar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underarm of the paralyzed upper limbs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어깨관절받침대는 회동 가능하게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젖혀진다.In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ulder joint pedestal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ckrest and is turned backw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의 팔꿉관절을 받치는 팔꿉관절현수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y exerciser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holstery hanger for supporting the upper arm of the paralyzed upper limb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팔꿉관절현수부는 상기 환자의 마비측 팔꿈치에 밀착 배치되는 팔꿉관절받침대; 및 일단이 상기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팔꿉관절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rest standing part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alyzed elbow of the patient, And a second link,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grest support, and a second link, And a link portion including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form an ang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팔꿉관절현수부는 상기 환자의 마비측 팔꿈치에 감싸는 패드; 및 일단은 상기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에 결합되고 상향으로 신축 가능한 높이조절봉, 및 상기 높이조절봉의 말단에서부터 상기 환자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패드에 연결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Further, in the upper and lower limb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arm suspension part includes a pad for wrapping around the paralyzed elbow of the patient; And a support rod including a height adjustment rod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seat in which the patient is seated and which is extendable and retractable upwardly and a connecting rod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to the front of the patient and connected to the pa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어깨관절현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의 겨드랑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어깨관절받침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어깨관절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ulder joint suspension part includes: a support extending from the support frame in the paralyzed upper direction of the patient; A shoulder joint pedestal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underarm of a paralyzed upper limb of the patient; And a linkage connecting the support and the shoulder joint pedest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에 있어서, 상기 팔꿉관절현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상기 환자의 마비측 팔꿈치에 밀착 배치되는 팔꿉관절받침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팔꿉관절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Further, in the upper and lower limb exerciser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rest standing part may include: a support extending from the support frame in the paralyzed upper direction of the patient; An ankle restrainer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alyzed elbow of the patient; And a second link,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grest support, and a second link And a link portion including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지의 빠른 움직임 훈련 및 앉은 자세에서 보행 동작과 유사한 상호교환적인 움직임 훈련을 통해 근육 위축이나 약화, 및 관절 구축을 2차적 손상 없이 안전하게 근육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store muscular function without secondary damage and with muscle atrophy or weakness and joint build-up through rapid movement training of upper and lower parts and interchangeable movement training similar to walking movement in sitting position.
또한, 환자별 앉은 키 높이를 고려하여 상지재활부의 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므로 장시간 동안 앉은 자세에서 재활훈련을 용이하게 적용시켜 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환자의 마비측 어깨를 고정함으로써 어깨 탈구를 방지함과 아울러 팔꿉 및 손목 관절의 움직임 훈련을 원활하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unit is variab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patient's sitting heigh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raining effect by easily apply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in a sitting position for a long time, Prevention and training of movements of the wrist joints are improved smoothly.
나아가, 움직임 훈련 중인 마비측 하지에 대해 전기자극을 가하여 하지의 감각 입력 및 운동 출력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crease sensory input and exercise output of the lower limb by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paralyzed lower limbs during the movement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 A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 B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의 어깨관절현수부 및 팔꿉관절현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p and bottom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circle A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circle B shown in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top and bottom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houlder joint suspension part and an arm articulation part of a top and bottom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 A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 B의 확대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and bottom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circle A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circle B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는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10), 제1 기어 및 제1 모터를 수용하고 베이스(10) 상에 배치된 하부기어박스(21), 및 앉아있는 환자(1)의 양발을 받치도록 하부기어박스(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페달(23)을 포함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환자(1)의 하지를 재활시키는 하지재활부(20), 제2 기어 및 제2 모터를 수용하는 상부기어박스(31), 및 환자(1)의 양손에 파지되고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손잡이(33)를 포함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환자(1)의 상지를 재활시키는 상지재활부(30), 및 베이스(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지재활부(30)에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top and bottom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는 상하지 신체기능이 상실되어 재활치료가 요구되는 환자(1)의 재활치료에 사용되는 기기이다. 특히, 뇌졸증,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경우에는 마비/경직으로 인한 운동능력 저하로 거동 및 보행에 장애가 발생하는바,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훈련이 요구되고, 이때 다양한 재활치료기기가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재활치료기기 중 기립형 재활기기는 재활환자의 둔부 또는 허리에 밴드를 감아 직립 상태를 유지시킨 채로 상지와 하지를 재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활치료기기는 기립 상태에서의 체중부하훈련에 특화되어 있고, 보행에 필요한 훈련이 제공되지 않으며, 마비측 상하지의 근력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재활훈련이 실행되는 경우에 어깨가 탈구되고, 상하지 통증을 유발하여 2차적 손상이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바, 이에 대한 문제점 해결방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가 안출되었다.The upper and lower limb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used for rehabilitation of a patient (1)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body functions are lost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is required. Particularly, in patients suffering from central nervous system injuries such as stroke, spinal cord injury, cerebral palsy and the like, the movement and ability to walk due to paralysis / stiffness are obstructed, and rehabilitation training for restoring body function is required. Therapeutic devices are used as an adjunct. Among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apparatuses, the standing rehabilita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rehabilitate the upper limbs and the lower limbs while maintaining the upright state by winding a band around the hip or waist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However, these rehabilitation treatment machines are specialized in weight-bearing training in standing state, training is not provided for walking, and shoulder dislocation occurs when rehabilitation training is performed with insufficient muscle strength on the paralyzed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secondary damage is induced by causing pain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were foun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를 이용할 수 있는 환자(1)는 재활치료가 필요한 요치료자이면 족하고, 반드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재활환자의 초기 재활훈련에 최적화되지만, 그 재활훈련 시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도 없다.Here, the patient (1) who can use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s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ffices as a therapist who needs rehabilitation therapy,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injuries. Further, although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ized for the initial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the rehabilitation training time need not necessarily be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는 베이스(10), 하지재활부(20), 상지재활부(30), 및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top and bottom exercise machines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베이스(10)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가 배치되는 건물 공간의 바닥에 배치되는 구성부분이다. 베이스(10)는 다수의 부재가 서로 결합된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신속한 이동성 확보를 위해 베이스(10)의 하부에는 캐스터(caster, 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캐스터의 구름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 도시되지 않음)가 함께 제공되어 소정의 위치에 베이스(10)를 정지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 상에는 하지재활부(20)가 배치된다.The
하지재활부(20)는 회전운동을 통해 환자(1)의 하지 부위에 대해 재활치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상세하게는 하부기어박스(21), 및 한 쌍의 페달(23)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기어박스(21)는 내부에 제1 기어 및 제1 모터를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베이스(10) 상에 배치된다. 한편, 한 쌍의 페달(23)은 환자(1)의 양발을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기어박스(21)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이때, 페달(23)은 제1 크랭크암(25)에 의해 하부기어박스(21) 내의 제1 기어 및 제1 모터와 연결된다. 또한, 제1 크랭크암(25)에 연결된 페달(23)은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므로, 환자(1)는 앉은 자세에서 상기 페달(23)의 회전에 따라 하지를 회전시킴으로써, 빠른 움직임 및 보행 동작과 유사한 하지 재활훈련을 할 수 있다. The lower
하지재활부(20)의 회전은 상기 제1 모터가 전기적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제1 기어 및 제1 크랭크암(25)을 통해 페달(23)에 전달되는 방식으로 자동 구동되거나, 또는 환자(1)가 페달(23)을 밟는 방식으로 수동 구동될 수 있다. 자동 구동되는 경우에 회전 강도와 회전 속도는 제1 모터의 회전력 제어를 통해 조절 가능하다. 이때, 회전 강도와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제어회로가 내장된 제어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수동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1 모터가 제1 기어로부터 분리되어 회전력이 제1 모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조화될 수 있다.The rotation of the
또한, 페달(23)에는 스트랩(strap, 27)이 배치되어 환자(1)의 발을 페달(23)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A
한편, 환자(1)는 앉은 자세에서 하지 재활을 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1)는 휠체어에 앉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된 의자에 앉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지재활부(30)는 회전운동을 통해서 환자(1)의 상지 부위에 대해 재활치료를 실행한다. 상재재활부는 상부기어박스(31), 및 한 쌍의 손잡이(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기어박스(31)는 내부에 제2 기어 및 제2 모터를 수용하는 케이스이고, 한 쌍의 손잡이(33)는 환자(1)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부기어박스(31)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손잡이(33)는 제2 크랭크암(35)에 연결되어,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므로, 환자(1)는 손잡이(33)를 잡은 상태로 상지를 회전시켜 상지 재활훈련을 할 수 있다. 이때, 상지에 대해서는 빠른 움직임 훈련과 동시에 하지 재활과 상호교환적인 움직임 훈련이 제공된다.The upper
이때, 상지재활부(30)의 회전은 상기 제2 모터가 전기적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제2 기어 및 제2 크랭크암(35)을 통해 손잡이(33)에 전달되는 방식으로 자동 구동되거나, 또는 환자(1)가 손잡이(33)를 잡고 돌리는 방식으로 수동 구동될 수 있다. 자동 구동되는 경우에 회전 강도와 회전 속도는 제2 모터의 회전력 제어를 통해 조절 가능하다. 이때, 회전 강도와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제어회로가 내장된 제어박스가 장착될 수 있는데, 그 제어박스는 전술한 하지재활부(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박스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수동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2 기어가 제2 모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upper
이러한 상지재활부(30)는 지지프레임(40)의 상부에 연결된다.The upper
지지프레임(40)은 베이스(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그 말단이 상지재활부(30)에 연결되는 프레임이다. 여기서, 지지프레임(40)의 길이는 가변적으로 조절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지지프레임(40)은 외관(41) 및 내관(43)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참조). 여기서, 외관(41)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관(43)은 그 외관(41)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와 외경을 가진다. 따라서, 내관(43)이 외관(41) 내에 삽입되어 승하강됨에 따라 지지프레임(40)의 길이가 조절되고, 이에 의해 상지재활부(30)의 높이가 달라진다. The
한편, 소정의 위치에서 내관(43)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프레임(40)은 외관(41)의 외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핀(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관(43)의 외주면에는 내관(4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함몰된 다수의 삽입홈(45)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핀(47)이 외관(41)을 관통하여 다수의 삽입홈(45)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내관(43)이 소정의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The
이렇게 길이가 가변적인 지지프레임(40)은 본 발명을 사용하는 환자(1)의 앉은 키 높이를 고려한 것으로, 앉은 키가 큰 환자(1)는 지지프레임(40)의 길이를 늘이고, 앉은 키가 작은 환자(1)는 그 길이를 줄여서, 환자(1)에게 적합한 위치에 상지재활부(30)를 배치함으로써, 환자(1)는 15 ~ 20분 정도 앉은 자세에서 재활훈련을 편하게 받을 수 있다.The
또한, 상지재활부(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지지프레임(40)은 다수의 분절 세그먼트(40a, 40b)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 참조). 여기서, 다수의 분절 세그먼트(40a, 40b)는 지지프레임(40)을 구성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편으로, 서로 힌지결합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분절 세그먼트(40a, 40b)는 힌지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고, 그 회동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분절 세그먼트(40a)에 연결된 상지재활부(30)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는, 길이가 가변인 지지프레임(40)에 의해서도 환자(1)에게 적합한 위치에 상지재활부(30)를 배치시킬 수 없는 경우, 상지재활부(3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이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용 가능하다.Further,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upper
여기서, 분절 세그먼트(40a, 40b)의 회동은 회동구동부(5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구동부(50)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이나 공기압 등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실린더 구조의 엑추에이터로서, 실린더 또는 피스톤이 회동시키고자 하는 분절 세그먼트(40a, 40b)에 결합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그 분절 세그먼트(40a, 40b)를 회동시킬 수 있다. 다만, 회동구동부(50)가 반드시 상기 피스톤·실린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모터가 힌지결합부에 장착되어 힌지축을 회전시키는 방식과 같이 다양한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rotation of the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지의 빠른 움직임 훈련 및 앉은 자세에서 보행 동작과 유사한 상호교환적인 움직임 훈련을 통해 근육 위축이나 약화, 및 관절 구축을 2차적 손상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환자별 앉은 키 높이를 고려하여 상지재활부(30)의 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므로 장시간 동안 앉은 자세에서 재활훈련을 용이하게 적용시켜 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Gener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use muscular atrophy, weakness, and joint build-up without secondary damage through rapid movement training of upper and lower parts and interchangeable movement training similar to walking movement in sitting position. Also, since the position of the upp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는 재활훈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60)는 환자(1)의 시야 내에 배치되어야 하는바, 예를 들어 상지재활부(30)의 외면, 또는 지지프레임(40)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0)에 표시되는 재활훈련 데이터는 환자(1)가 수행하고 있는 재활훈련에 관한 정보로서, 상지재활부(30) 및/또는 하지재활부(20)의 회전 강도 및 속도, 재활시간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s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top and bottom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도기는 전기자극기(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자극기(70)는 움직임 훈련 중인 환자의 하지(3)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장비로서, 특히 마비측 하지(3)의 발목 주변 근육들에 전기자극을 가할 수 있다. 마비된 근육에 적절한 강도의 전기자극이 순차적으로 가하지면, 근육의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근육이 운동신경계와 단절된 뒤 나타나는 근위축을 방지·지연시켜 근육의 기능 퇴화를 막을 수도 있다. 한편, 전기자극기(70)는 전기자극 빈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근육의 피로를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저주파 자극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자극기(70)는 자극 빈도 이외에도 자극의 진폭과 파동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upper and lower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이러한 전기자극기(70)는 하지재활부(20)에 배치되는바, 페달(23)이나, 또는 스트랩(27)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This
한편, 근력이 충분하지 못한 마비측 상지에 대해서 회전운동에 기반한 재활훈련을 실행하는 경우, 어깨가 탈구되고, 팔꿈치가 정확한 궤적에서 벗어나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여 재활 효과의 저하 및 2차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는 어깨관절현수부 및/또는 팔꿉관절현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revolving-based rehabilitation training on the paralyzed upper limb with insufficient muscle strength, the shoulder is dislocated, and the elbow moves out of the correct trajectory and moves in the wrong direction, have.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exercise machines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oulder joint suspension part and / or an upholstery joint suspension par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의 어깨관절현수부 및 팔꿉관절현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to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houlder joint suspension part and an arm articulation part of a top and bottom exercise machin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어깨관절현수부(80)는 환자(1)의 마비측 상지의 어깨관절을 받치도록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어깨관절현수부(80)는 마비측 상지의 겨드랑이에 대하여 상향으로 지지력을 가해 어깨관절을 떠받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The shoulder
한편, 팔꿉관절현수부(90)는 환자(1)의 마비측 상지의 팔꿉관절을 받치도록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마비측 상지의 팔꿉관절에 밀착되어 상향으로 지지력을 가하고, 팔꿉관절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orearm
이러한 어깨관절현수부(80) 및 팔꿉관절현수부(90)는 도면에서와 같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지만, 어느 하나만 제공되어도 무방하다.The shoulder
이하에서는 어깨관절현수부(80) 및 팔꿉관절현수부(90)에 대해 구체적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houlder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현수부(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81), 및 어깨관절받침대(8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houlder
여기서, 좌석(81)은 환자(1)가 등을 기대고 앉을 수 있도록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형태로 제공된다. Here, the
어깨관절받침대(8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부재로서, 그 일단은 등받이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환자(1)쪽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마비측 상지의 겨드랑이에 밀착된다. 따라서, 마비측 상지의 어깨관절은 최종적으로 어깨관절받침대(83)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어깨관절받침대(83)의 외면에는 쿠션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재활훈련하는 환자(1)의 겨드랑이를 무리 없이 편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어깨관절받침대(83)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방으로 젖힐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등받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어깨관절받침대(83)가 받드시 좌석(81) 등받이의 한쪽 측면에만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양 측면 모두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고 사용하지 않는 쪽은 뒤로 젖힐 수 있다.The shoulder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팔꿉관절현수부(90)는, 도 5와 같이, 팔꿉관절받침대(91), 및 링크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팔꿉관절받침대(91)는 마비측 팔꿈치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팔꿈치와 밀착되는 부위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팔꿈치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그 위에는 쿠션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될 수도 있다. Here, the
링크부(93)는 팔꿉관절받침대(91)를 고정하면서, 팔꿈치에 지지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제1 링크(93a), 제2 링크(93b), 및 탄성부재(9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93a), 및 제2 링크(93b)는 기구학에서 링크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부재로서, 제1 링크(93a)의 일단은 환자(1)가 앉을 수 있는 좌석(8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링크(93b)의 일단에 힌지결합된다. 한편, 제2 링크(93b)의 타단은 팔꿉관절받침대(9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팔꿉관절받침대(91)는 제1 및 제2 링크(93a, 93b)에 의해 좌석(81)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링크(93a, 93b)의 말단은 모두 회동 가능하여, 팔꿉관절받침대(9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움직이면서 팔꿉관절받침대(91)를 고정한다. 여기서, 링크부(93)에 의해 팔꿈치에 가해지는 지지력은 탄성부재(93c)에 의해 발생한다. 탄성부재(93c)는 제1 링크(93a)와 제2 링크(93b)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도록 제1 링크(93a)와 제2 링크(93b)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링크(93a)와 제2 링크(93b) 사이의 각도가 소정의 각도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면 복원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93c)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의 경우 말단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그 고리형 말단이 제1 링크(93a)와 제2 링크(93b)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1 링크(93a)와 제2 링크(93b)를 서로 연결한다.The link portion 93 is formed so as to apply a supporting force to the elbow while fixing the
한편, 제1 링크(93a)가 소정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좌석(8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링크(93a)와 그 좌석(81)이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링(98)에 의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98)은 소정의 위치에 제1 링크(93a)를 고정하고, 팔꿉관절받침대(91)의 움직임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제1 링크(93a)가 회동할 때에 반발력을 발생시켜, 제1 링크(93a)의 회동범위를 조절함으로써, 팔꿈치에 지지력을 가한다. 이러한 스프링(98)은 제1 링크(93a)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하나씩 배치되거나, 또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하나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98)의 말단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좌석(81)과 제1 링크(93a)를 연결하는데, 이때 스프링(98)은 말단 중 어느 하나의 일단이 좌석(81)에 부착된 연결편(97)의 관통홀에 걸리는 방식으로, 좌석(81)에 연결될 수 있다.The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팔꿉관절현수부(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94), 및 지지봉(9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여기서, 패드(94)는 환자(1)의 마비측 팔꿈치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패드(94)는 팔꿈치와 밀착되므로, 팔꿈치에 부담을 주지 않는 소재로서 가죽이나, 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하여 그 소재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지지봉(95)은 좌석(81)과 패드(94)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그 일단은 좌석(81)에, 타단은 패드(94)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지지봉(95)은 팔꿈치가 하강할 때에 반발력을 발생하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그 반발력이 반드시 지지봉(95)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소정의 탄성밴드(95c)가 지지봉(95)과 패드(94)를 연결하고, 그 탄성밴드(95c)가 당겨지면서 반발력이 생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력을 가지는 지지봉(95)과 탄성밴드(95c)는 동시에 사용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는바, 지지봉(95)과 패드(94)를 연결하는 부재가 반드시 탄성밴드(95c)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한편, 지지봉(95)은 높이조절봉(95a)과 연결봉(95c)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봉(95a)은 좌석(81)에 결합되어, 상향으로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로드(rod)이다. 신축 가능한 높이조절봉(95a)은 중공관 형태의 2개 이상의 분절이 결합된 구조로서, 어느 하나의 제1 분절에 다른 하나의 제2 분절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삽입된 분절이 승하강하면서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게 된다. 한편, 승하강되는 분절은 소정의 위치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수단은 제1 분절의 외면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된 제2 분절의 외면에 밀착되는 나사봉일 수 있다. 이때, 나사봉의 타단에는 나사봉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그 고정수단이 반드시 나사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공지의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환자(1)의 앉은 키에 따라 높이조절봉(95a)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supporting
연결봉(95c)은 높이조절봉(95a)의 말단에서부터 환자(1)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로드로서, 연결봉(95c)의 말단에 패드(94)가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봉(95c)도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봉(95c)은 상술한 높이조절봉(95a)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그 고정수단에 의해 적합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환자(1)마다 상지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팔꿈치에 용이하게 패드(94)를 배치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상술한 바와 다른 구조로도, 어깨관절현수부(80) 및/또는 팔꿉관절현수부(90)가 형성될 수 있다.The shoulder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깨관절현수부(80)는 지지대(85), 어깨관절받침대(87), 및 연결대(89)를 포함할 수 있다.7, the shoulder
여기서, 지지대(85)는 지지프레임(40)으로부터 환자(1)의 마비측 상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어깨관절받침대(87)는 마비측 상지의 겨드랑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Here, the support 85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어깨관절받침대(87)의 외면에는 쿠션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상지에 대한 재활훈련 중 겨드랑이의 부담을 덜 수 있다. 한편, 연결대(89)는 지지대(85)와 어깨관절받침대(87)를 연결한다. A cushion membe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여기서, 연결대(89)의 일단이 지지대(85)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지지대(85)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연결대(89)가 지지대(85)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되는 위치가 변하므로, 환자(1)별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대(89)는 다수의 분절로서, 어느 하나의 분절이 다른 분절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in, one end of the connecting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팔꿉관절현수부(90)는 지지대(96), 팔꿉관절받침대(91), 및 링크부(93)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지지대(96)는 지지프레임(40)으로부터 환자(1)의 마비측 상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팔꿉관절현수부(90)가 상기 어깨관절현수부(80)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지지대(85)를 사용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의 팔꿉관절받침대(91), 및 링크부(93)는 제1 링크(93a)가 상기 지지대(9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의 팔꿉관절받침대(91), 및 링크부(93)와 동일하게 구성되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환자 10: 베이스
20: 하지재활부 21: 하부기어박스
23: 페달 30: 상지재활부
31: 상부기어박스 33: 손잡이
40: 지지프레임 40a, 40b: 분절 세그먼트
41: 외관 43: 내관
45: 삽입홈 47: 고정핀
50: 회동구동부 60: 디스플레이
70: 전기자극기 80: 어깨관절현수부
81: 좌석 83, 87: 어깨관절받침대
85, 96: 지지대 89: 연결대
90: 팔꿉관절현수부 91: 팔꿉관절받침대
93: 링크부 93a: 제1 링크
93b: 제2 링크 93c: 탄성부재
94: 패드 95: 지지봉
95a: 높이조절봉 95b: 연결봉 1: patient 10: base
20: undercut rehabilitation part 21: lower gear box
23: Pedal 30: Upper body rehabilitation part
31: upper gear box 33: handle
40:
41: Appearance 43: Inner pipe
45: insertion groove 47: fixing pin
50: rotation driving part 60: display
70: electric stimulator 80: shoulder joint suspension
81:
85, 96: support 89: connecting rod
90: Upper arm part 91: Upper arm part
93:
93b:
94: pad 95: support rod
95a:
Claims (16)
제1 기어 및 제1 모터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하부기어박스, 및 앉아있는 환자의 양발을 받치도록 상기 하부기어박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페달을 포함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환자의 하지를 재활시키는 하지재활부;
제2 기어 및 제2 모터를 수용하는 상부기어박스, 및 상기 환자의 양손에 파지되도록 상기 상부기어박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회전 구동하면서 상기 환자의 상지를 재활시키는 상지재활부;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지재활부에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의 팔꿉관절을 받치는 팔꿉관절현수부;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의 어깨관절을 받치는 어깨관절현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팔꿉관절현수부는
상기 환자의 마비측 팔꿈치에 밀착 배치되는 팔꿉관절받침대; 및
일단이 상기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팔꿉관절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링크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팔꿉관절현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상기 환자의 마비측 팔꿈치에 밀착 배치되는 팔꿉관절받침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팔꿉관절받침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깨관절현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상기 환자의 마비측 상지의 겨드랑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어깨관절받침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어깨관절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
A base disposed on the floor;
A lower gear box that houses the first gear and the first motor and is disposed on the base and a pair of pedals that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gear box to support the seat of the sitting patient and that rotate along a circular trajectory A rehabilitation unit for rehabilitating the patient's lower limb while rotating;
And a pair of knob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gear box to be held by both hands of the patient and rotating along a circular locus, Upper limb rehabilitation department to rehabilitate upper limb of patient; And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and connected to the upper rehabilitation unit, the length of which is adjusted,
And a shoulder joint suspending portion supporting the shoulder joint of the paralyzed upper limb of the patient, the shoulder joint suspending portion supporting the shoulder joint of the paralyzed upper limb of the patient,
The above-
An ankle restrainer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alyzed elbow of the patient; And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pivotably coupled to the undercarriage support, And a link portion including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so as to form an angle of
The above-
A support extending from the support frame in the paralyzed upper direction of the patient;
An ankle restrainer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alyzed elbow of the patient; And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legrest support, and a second link having a first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And a link portion including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he shoulder-
A support extending from the support frame in the paralyzed upper direction of the patient;
A shoulder joint pedestal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underarm of a paralyzed upper limb of the patient; And
A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support and the shoulder joint pedestal.
상기 하지재활부 및 상기 상지재활부는
각각의 상기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상기 환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되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der-rehabilitation unit and the upper-limb rehabilitation unit
Wherein the motor is automatically driven by each of the motors, or manually driven by the patient.
상기 지지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관 형태의 외관;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외관 내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내관;
을 포함하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frame
An outer shape of a hollow tub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inner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serted and raised and lowered in the outer tube;
And a rehabilitation treatment machine.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함몰된 다수의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외관을 관통하여 다수의 상기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핀;
을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frame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 fixing pin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through the outer tub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ubject.
상기 지지프레임은
다수의 분절 세그먼트가 회동 가능하게 서로 힌지결합되어 형성되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segment segments are rotatably hinged to each other.
상기 분절 세그먼트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
The method of claim 5,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egment segm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ubject.
상기 환자에게 재활훈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for displaying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to said pati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ubject.
상기 하지재활부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하지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기;
를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용 상하지운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stimulator which is disposed in the underarm rehabilitation section and applies electric stimulation to the base of the pati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subjec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1222A KR101925718B1 (en) | 2017-06-27 | 2017-06-27 |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1222A KR101925718B1 (en) | 2017-06-27 | 2017-06-27 |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5718B1 true KR101925718B1 (en) | 2018-12-05 |
Family
ID=6474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1222A KR101925718B1 (en) | 2017-06-27 | 2017-06-27 |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5718B1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16315A (en) * | 2018-12-11 | 2019-02-12 | 陈浩 | A kind of limbs recovering aid system for apoplexy sequela patient |
CN109793994A (en) * | 2019-03-24 | 2019-05-24 | 吴国萍 | A kind of comprehensive leg Neurology therapeutic equipment |
CN109925677A (en) * | 2019-03-28 | 2019-06-25 | 安徽中科裕田智能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upper limb muscle strength super-equal-length training equipment |
CN110064173A (en) * | 2019-05-13 | 2019-07-30 | 河南翔宇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 Multi-joint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N110841246A (en) * | 2019-11-19 | 2020-02-28 | 安徽工程大学 | Medical rehabilitation type combined instrument |
CN111973956A (en) * | 2020-09-02 | 2020-11-24 |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fter interventional therapy of cardiology |
KR20210072174A (en) * | 2019-12-06 | 2021-06-17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Exercising chair |
CN113274248A (en) * | 2021-05-19 | 2021-08-20 | 郑州大学 |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
CN113304449A (en) * | 2021-07-09 | 2021-08-27 | 合肥工业大学 | Crank rocker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N113520801A (en) * | 2021-08-19 | 2021-10-22 | 淮北贵翔堂医药有限公司 | Full-automatic stroke arm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N113786312A (en) * | 2021-08-20 | 2021-12-14 | 北京大学深圳医院 | Rehabilitation device after total knee joint replacement |
CN113908486A (en) * | 2021-11-23 | 2022-01-11 | 金华市妇幼保健院(金华市妇幼保健计划生育服务中心) | Limb function movement and fixing device |
KR20220026634A (en) * | 2020-08-25 | 2022-03-07 | 오학철 | Joint exercise device for home |
CN115300862A (en) * | 2022-08-17 | 2022-11-08 | 上海几可工业设计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rehabilitation machine |
KR20230045687A (en) | 2021-09-27 | 2023-04-05 | 신종호 | Smart auto rehabilitation apparatu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4016775U (en) * | 2014-08-12 | 2014-12-17 | 曾德胜 | upper and lower limbs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
2017
- 2017-06-27 KR KR1020170081222A patent/KR10192571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4016775U (en) * | 2014-08-12 | 2014-12-17 | 曾德胜 | upper and lower limbs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16315A (en) * | 2018-12-11 | 2019-02-12 | 陈浩 | A kind of limbs recovering aid system for apoplexy sequela patient |
CN109793994A (en) * | 2019-03-24 | 2019-05-24 | 吴国萍 | A kind of comprehensive leg Neurology therapeutic equipment |
CN109925677A (en) * | 2019-03-28 | 2019-06-25 | 安徽中科裕田智能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upper limb muscle strength super-equal-length training equipment |
CN110064173B (en) * | 2019-05-13 | 2024-01-02 | 河南翔宇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 Multi-joint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N110064173A (en) * | 2019-05-13 | 2019-07-30 | 河南翔宇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 Multi-joint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N110841246A (en) * | 2019-11-19 | 2020-02-28 | 安徽工程大学 | Medical rehabilitation type combined instrument |
KR20210072174A (en) * | 2019-12-06 | 2021-06-17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Exercising chair |
KR102323896B1 (en) * | 2019-12-06 | 2021-11-10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Exercising chair |
KR20220026634A (en) * | 2020-08-25 | 2022-03-07 | 오학철 | Joint exercise device for home |
KR102428378B1 (en) * | 2020-08-25 | 2022-08-03 | 오학철 | Joint exercise device for home |
CN111973956A (en) * | 2020-09-02 | 2020-11-24 |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fter interventional therapy of cardiology |
CN113274248A (en) * | 2021-05-19 | 2021-08-20 | 郑州大学 |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
CN113274248B (en) * | 2021-05-19 | 2023-04-25 | 郑州大学 |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
CN113304449A (en) * | 2021-07-09 | 2021-08-27 | 合肥工业大学 | Crank rocker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N113520801A (en) * | 2021-08-19 | 2021-10-22 | 淮北贵翔堂医药有限公司 | Full-automatic stroke arm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CN113786312A (en) * | 2021-08-20 | 2021-12-14 | 北京大学深圳医院 | Rehabilitation device after total knee joint replacement |
KR20230045687A (en) | 2021-09-27 | 2023-04-05 | 신종호 | Smart auto rehabilitation apparatus |
CN113908486A (en) * | 2021-11-23 | 2022-01-11 | 金华市妇幼保健院(金华市妇幼保健计划生育服务中心) | Limb function movement and fixing device |
CN115300862A (en) * | 2022-08-17 | 2022-11-08 | 上海几可工业设计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rehabilitation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5718B1 (en) |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KR100942968B1 (en) | A movement machine for rehabilitation medical cure | |
JP5259629B2 (en) | Training equipment for the disabled | |
KR100436899B1 (en) | Stretch Therapy Apparatus | |
CN100589787C (en) | Robot for multiple posture exoskeleton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 |
RU2609994C2 (en) | Device for therapy of motion activity | |
US20100270771A1 (en) | Walking auxiliary equipment | |
US7452308B2 (en) | Cross-crawl chair | |
JP7365356B2 (en) | medical walker | |
KR20210043761A (en) |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nd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287134B1 (en) | Chiropractic and parasp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 |
US20090048549A1 (en) | Orthopedic arm and shoulder brace | |
US10470961B2 (en) |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passive physical rehabilitation | |
CN107468483B (en) | Upper limb swinging device and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with same | |
JP2018518208A (en) | A device that drives walking in an upright position and lower limbs of a person in a supine or partially lying position | |
JP2016505304A (en) | Rehabilitation device with shadow legs | |
JP3420546B2 (en) | Lower limb exercise device | |
KR101964039B1 (en) | Customized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for elder which is into lower body. | |
JP2012005523A (en) | Rehabilitation device for rotational movement of upper limb | |
KR20210072174A (en) | Exercising chair | |
TW201330843A (en) | Gait rehabilitation device | |
US11701288B2 (en) | Pivoting lower limb therapy device | |
CN113101146A (en) | Kneeling position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hemiplegic patient | |
CN113474057A (en) | Device for exercising the body in a continuous and controlled manner | |
KR20200066912A (en) | Whellchair foot hold for rehabilitation exerci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