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610B1 -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610B1
KR101925610B1 KR1020160048030A KR20160048030A KR101925610B1 KR 101925610 B1 KR101925610 B1 KR 101925610B1 KR 1020160048030 A KR1020160048030 A KR 1020160048030A KR 20160048030 A KR20160048030 A KR 20160048030A KR 101925610 B1 KR101925610 B1 KR 101925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forming
transparent
material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854A (ko
Inventor
이하영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스엘 filed Critical (주)아이에스엘
Priority to KR102016004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61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0Ornamental shape of the graduations or the surface of the dial; Attachment of the graduations to the di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2Selection of materials for dials or graduations mark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가 형성되는 투명 PC층을 형성하고, 금속 재질이 표현되되 소정의 빛 투과율을 갖는 재질표현층을 형성하며, 투명 PC층과 상기 재질표현층을 투과한 빛을 흡수하여 전류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부를 형성하는 제조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재질표현층은 투명 PC층 및 태양 전지부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태양광을 수집하여 초침이 구동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되, 외부에서는 금속의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재질표현층으로 인해 태양 전지부 또는 집광판이 노출되지 않아 디자인 적으로 뛰어나다. 특히, 재질표현층은 소정의 빛은 투과하되 소정의 빛은 반사하고 소정의 금속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뛰어나 디자인적인 구매욕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RECHARGEABLE SOLAR POWERED WATCH EXPRESSING METAL TEXTURE}
본 발명은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태양광을 흡수하되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계는 배터리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에 의해 초침 등이 작동하는 구성을 이룬다. 따라서, 손목 시계와 같이 비교적 소형의 시계 같은 경우 초 소형의 배터리가 삽입되어 손목 시계의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하지만, 손목 시계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손목에 차고 다니기 때문에 무게를 경량화 하는 연구가 개발되어 왔다. 크기가 작은 손목 시계의 경우 초침 등을 작동시키는 수 많은 기어들이 내부에 복잡하게 위치되어 유기적으로 구동된다. 크기가 작은 손목 시계는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시계를 분해하는 과정이 동반되어야 하고, 복잡한 내부 구성으로 배터리 교체로 인해 시계가 파손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또한,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배터리 교체 또는 분해를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배터리가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에 대한 문제로 인해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광 충전식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이미 상용화가 되었다. 다만, 태양광을 수집하는 집광판이 태양광에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소정의 집광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때로 이와 같은 것은 디자인을 해치는 요소로 작용하여 판매자 또는 디자이너 입장에서 매우 큰 문제점으로 다가올 수 있다. 특히, 브랜드를 갖는 시계 또는 손목 시계 등의 경우 태양광을 이용하되, 집광판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시계 또는 시계의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8347 (공고일자: 15.05.1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태양광을 이용해 시계를 구동시키면서도 태양 전지부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계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의 또 다른 과제는 원하는 재질 및 색으로 시계를 장식하면서도 태양광을 이용해 시계를 구동시킬 수 있는 시계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문자가 형성되는 투명 PC층을 형성하고, 금속 재질이 표현되되 소정의 빛 투과율을 갖는 재질표현층을 형성하며, 투명 PC층과 재질표현층을 투과한 빛을 흡수하여 전류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부를 형성하고, 재질표현층은 투명 PC층 및 태양 전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의 외면에서 볼 때 시계의 저면에 특정 색 또는 질감을 가지면서도 태양광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의 내부에 태양 전지부가 위치되고, 육안으로 태양 전지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디자인 적으로 뛰어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 내부에 태양 전지부가 위치되고 태양 전지부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빛만이 투과되는 재질표현층이 그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태양 전지부는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재질표현층은 소정의 색, 금속 재질 및 질감 등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 적으로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의 재질표현층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의 투명 PC층, 재질표현층 및 태양 전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의 투명 PC층, 재질표현층 및 태양 전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1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질표현층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의 재질표현층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은 문자(11)가 형성되는 투명 PC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00), 금속 재질이 표현되되 소정의 빛 투과율을 갖는 재질표현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00), 투명 PC층(10)과 재질표현층(20)을 투과한 빛을 흡수하여 전류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부(30)를 형성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시계에 적용될 수 있지만, 올바른 전달을 위하여 손목 등에 착용되는 손목에 착용되는 원 테형의 손목형 시계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손목 시계로 일례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손목 시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명 PC층(10) 및 재질표현층(20)은 원형으로 구비되되 측면에 회전 방지부(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PC층(10) 및 재질표현층(20)은 원형으로 구비되나, 원형으로 구비되었을 때 의도치 않게 회전되어 시계의 초침으로 시간을 알아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본 발명의 제조 공정 또는 또 다른 제조 공정 중에 투명 PC층(10) 또는 재질표현층(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에 회전 방지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투명 PC층(10) 또는 재질표현층(20)의 측면에 구비되는 회전 방지부(15)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투명 PC층(10), 재질표현층(20) 및 태양 전지부(30)는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명 PC층(10), 재질표현층(20) 및 태양 전지부(30)는 원통의 시계 케이스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재질표현층(20)은 투명 PC층(10) 및 태양 전지부(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투명 PC층(10) 및 재질표현층(20) 및 태양 전지부(30)는 순차적으로 케이스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케이스 내부에 태양 전지부(30)가 위치되고, 태양 전지부(30) 위에 재질표현층(20)이 위치되고, 재질표현층(20) 위에 투명 PC층(10)이 위치될 수 있다.
투명 PC층(10)은 문자(11)가 형성될 수 있으나, 문자(11)가 형성되지 않은 민무늬의 투명 PC층(1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침이 가르키는 초를 뜻하는 문자(11)가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재질표현층(20)은 금속의 재질이 표현되되 소정의 빛 투과율을 갖는다. 상세하게, 재질표현층(20)은 소정의 빛을 반사하되 소정의 빛은 투과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재질표현층(20)은 소정의 빛은 반사하여 육안으로 투명하지 않아 금속의 재질감이 느껴지도록 구현하되 나머지 소정의 빛은 투과되어 태양 전지부(30)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태양 전지부(30)는 태양광을 수집하여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화시킨다. 상세하게 태양 전지부(30)는 투명 PC층(10)과 재질표현층(20)을 투과한 태양광을 흡수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시계의 바늘이 구동될 수 있도록 동력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와 도 5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의 재질이 표현되되 소정의 빛 투과율을 갖는 재질표현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소정의 빛 만이 통과되는 반투명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210), 반투명층(100) 상면에 제 1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 제 1 수지층을 주형(50)으로 가압하여 제 1 패턴(201)을 성형하는 단계(S230), 제 1 수지층 상면에 투명의 제 1 패턴 보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250), 반투명층(100) 저면에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260) 및 상온 건조 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소정의 빛 만이 통과되는 반투명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210)에서 반투명층(100)은 소정의 빛은 반사하되, 소정의 빛은 투과된다. 상세하게, 반투명층(100)은 복수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투명층(100)은 서로 상이한 빛 굴절률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반투명층(100)은 복수의 적층구조와 각 층마다 상이한 빛 굴절률로 인해 소정의 빛은 통과되되 소정의 빛은 반사함으로써 제조자가 의도한 금속의 재질 및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투명층(100)은 약 1000개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반투명층(100)은 약 1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재질표현층(20)은 소정의 가시광선을 반사함으로써 금속의 재질 및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반투명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210) 이후, 반투명층(100) 상면에 제 1 수지층을 형성(S220)한다. 여기서 제 1 수지층은 투명 재질의 제 1 수지층이 형성된다. 그 다음, 제 1 수지층 상면에 주형(50)을 가압하여 제 1 패턴(201)을 성형(S230)한다. 따라서, 주형(50)은 제 1 패턴(201)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주형(50)에 의해 가압되어 제 1 패턴(201)이 형성된 제 1 수지층은 주형(50)이 가압되는 중 또는 가압되고 이탈된 후에 자외선 등의 빛을 조사하여 제 1 수지층을 경화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1 및 12를 참고하면, 제 1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 S230) 이후, 제 1 패턴(201)이 성형된 제 1 수지층 상면에 투명의 제 1 패턴 보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수지층의 상면에 제 1 패턴(201)이 형성되고, 제 1 패턴(201)은 서로 높낮이가 상이한 패턴을 가질 수 있는데, 외부 충격 또는 온도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패턴이 파손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패턴(201)이 형성된 제 1 수지층 상면에 제 1 패턴 보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 1 패턴 보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250) 이후, 반투명층(100) 저면에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반투명층(100) 저면에 고온의 스크린인쇄를 통해 반투명의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소정의 빛이 반사되어 재질 또는 질감을 형성하는 반투명층(100) 저면에 고온의 스크린인쇄를 함으로써 반투명의 색상층(400)을 형성하면 재질 또는 질감에 색상이 더 입지기 때문에 금속 재질 및 질감의 표현성이 높아진다. 즉, 금속의 재질 및 질감 표현이 가능한 반투명층(100) 저면에 반 투명의 색상층(400)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재질 및 질감 표현이 가능한 반투명층(100)에 반투명의 색상층(400)이 반사되어 관찰자에게 금속에 대한 재질감 표현이 더 구체화되어 뛰어난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260) 이후, 상온에서 건조하는 단계(S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색상층(400)은 고온의 스크린인쇄를 통해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온의 스크린인쇄 후에는 형성된 색상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속 냉각을 수행한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제 1 패턴(201)이 형성된 제 1 수지층과 제 1 패턴(201)을 보호하는 제 1 패턴 보호층(300)이 형성되기 때문에 급속냉각이 아닌, 상온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린인쇄로 인해 고온을 갖게 되는 재질표현부를 급속 냉각을 하는 경우 제 1 수지층 상면에 형성된 제 1 패턴(201)과 제 1 패턴(201)을 보호하는 패턴 보호층 사이의 빈 공간의 공기가 고온 또는 냉각으로 인해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1 패턴 보호층(300) 또는 제 1 패턴(201)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패턴(201) 및 제 1 패턴 보호층(300)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인쇄를 통해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반드시 상온 상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의 제 1 패턴(201)을 성형하는 단계(S230) 이후, 열처리 단계(S240)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패턴(201)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제 1 패턴(201)에 열을 가해 열처리 함으로써 제 1 패턴(201)을 제 1 반구형 패턴(202)으로 성형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패턴(201)에 열처리를 함으로써 제 1 패턴(201)을 오목 또는 볼록의 반구형상을 갖는 제 1 반구형 패턴(202)으로 성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패턴(201)은 100도 내지 150 도의 온도를 10분 내지 30분간 열처리 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주형(50)을 반구형 패턴으로 구비하여 열처리를 거치지 않고 반구형 패턴으로 패터닝할 수 있으나, 나노 공정의 정밀함을 고려하여 직각으로 이루어진 제 1 패턴(201)을 우선 형성한 뒤, 열처리 단계를 거쳐 제 1 반구형 패턴(202)으로 성형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제 1 반구형 패턴(202)은 제 1 패턴(201)보다 가시광선의 반사각을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반사된 가시광선이 금속에 대한 재질감을 더 높여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 8을 참고하면, 제 1 패턴(201)의 선폭 및 제 1 패턴(201) 간의 거리는 소정의 조건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제 1 패턴(201)의 선폭 및 제 1 패턴(201) 간의 거리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소정의 조건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패턴(201)의 선폭은 제 1 패턴(201)의 중심축 간의 거리의 1/2 길이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패턴(201)의 선폭은 제 1 패턴(201)과 또 다른 제 1 패턴(201)의 각 중심축 간의 거리의 1/2 길이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패턴(201)의 선폭 및 제 1 패턴(201)의 중심축 간의 거리를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하면 금속 재질 표현에 대한 시인성이 높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도 14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에서 재질표현층(20)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투명층(100) 저면에 제 2 패턴(251)을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재질표현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소정의 빛만이 통과되는 반투명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210), 반투명층(100) 저면에 제 2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 제 2 수지층을 주형(50)으로 가압하여 제 2 패턴(251)을 형성하는 단계(S230), 제 2 수지 저면에 투명의 제 2 패턴 보호층(350)을 형성하는 단계(S250),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260) 및 상온 건조 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소정의 빛이 통과되되 소정의 빛은 반사되는 반투명층(100)을 형성(S210)한다.(도 5참고) 반투명층(100)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반투명층(100) 저면에 제 2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를 더 포함한다.(도 14 참고) 여기서, 제 2 수지층은 투명한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수지층을 반투명층(100) 저면에 형성(S220)한 다음, 주형(50)을 이용해 제 2 수지층의 저면에 제 2 패턴(251)을 형성(S230)한다.(도 15 참고) 주형(50)을 통해 제 2 패턴(251)을 형성하기 때문에 주형(50)은 제 2 패턴(251)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주형(50)으로 제 2 수지층을 가압하는 동안 또는 가압하고 이탈한 뒤에 제 2 수지층에 UV 등의 빛을 조사하여 형성된 제 2 패턴(251)을 경화시키는 과정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제 2 수지층에 제 2 패턴(251)을 형성하는 단계(S230) 이후, 제 2 패턴(251)이 형성된 제 2 수지층 저면에 제 2 패턴(251)을 보호하는 제 2 패턴 보호층(350)을 형성하는 단계(S260, 도 19 및 20 참고)와 제 2 패턴 보호층(350) 저면에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260) 및 상온 건조 단계(S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하면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제 2 패턴 보호층(350)은 형성하는 단계(S250) 이후, 제 2 패턴 보호층(350) 저면에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패턴 보호층(350) 저면에 고온의 스크린인쇄를 통해 반투명의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가시광선을 반사함으로써 금속의 재질감 표현이 가능한 반투명층(100) 저면 방향에 반 투명의 색상층(400)을 형성함으로써 반투명의 색상층(400)이 반사되어 관찰자에게 금속의 재질감 표현이 더 구체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금속 재질감에 대한 시인성이 높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도 8 및 10을 참고하면, 제 1 패턴(201)뿐만 아니라, 열처리 단계를 거쳐 제 1 반구형 패턴(202)으로 성형되는 제 1 반구형 패턴(202)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 1 반구형 패턴(202)의 선폭은 제 1 반구형 패턴(202)의 중심축 간의 거리의 1/2 길이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2 실시예에 따른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의 제 2 패턴(251)을 성형하는 단계(S230) 이후, 열처리 단계(S240)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패턴(251)을 성형하는 단계에서 제 2 패턴(251)에 열을 가해 열처리 함으로써 제 2 패턴(251)을 제 2 반구형 패턴(252)으로 성형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패턴(251)에 열처리를 함으로써 제 2 패턴(251)을 오목 또는 볼록의 반구형상을 갖는 제 2 반구형 패턴(252)으로 성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패턴(251)은 100도 내지 150 도의 온도를 10분 내지 30분간 열처리 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주형(50)을 반구형 패턴으로 구비하여 열처리를 거치지 않고 반구형 패턴으로 패터닝할 수 있으나, 나노 공정의 정밀함을 고려하여 직각으로 이루어진 제 2 패턴(251)을 우선 형성한 뒤, 열처리 단계를 거쳐 제 2 반구형 패턴(252)으로 성형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제 2 반구형 패턴(252)은 제 2 패턴(251)보다 가시광선의 반사각을 제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반사된 가시광선이 금속에 대한 재질감을 더 높여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8을 참고하면, 제 2 패턴(251)의 선폭 및 제 2 패턴(251) 간의 거리는 소정의 조건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제 2 패턴(251)의 선폭 및 제 2 패턴(251) 간의 거리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소정의 조건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패턴(251)의 선폭은 제 2 패턴(251)의 중심축 간의 거리의 1/2 길이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패턴(251)의 선폭은 제 2 패턴(251)과 또 다른 제 2 패턴(251)의 각 중심축 간의 거리의 1/2 길이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패턴(251)의 선폭 및 제 2 패턴(251)의 중심축 간의 거리를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하면 금속의 재질감 표현이 높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제 2 패턴(251)뿐만 아니라, 열처리 단계를 거쳐 제 2 반구형 패턴(252)으로 성형되는 제 2 반구형 패턴(252)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 2 반구형 패턴(252)의 선폭은 제 2 반구형 패턴(252)의 중심축 간의 거리의 1/2 길이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투명 PC층 11: 문자
15: 회전 방지부 20: 재질표현층
30: 태양 전지부 50: 주형
100: 반투명층 200: 제 1 수지부
201: 제 1 패턴 202: 제 1 반구형 패턴
250: 제 2 수지부 251: 제 2 패턴
252: 제 2 반구형 패턴 300: 제 1 패턴 보호층
350: 제 2 패턴 보호층 400: 색상층

Claims (8)

  1. 문자(11)가 형성되는 투명 PC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00);
    금속 재질이 표현되되 소정의 빛 투과율을 갖는 재질표현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00);
    상기 투명 PC층(10)과 상기 재질표현층(20)을 투과한 빛을 흡수하여 전류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부(30)를 형성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재질표현층(20)은 상기 투명 PC층(10) 및 상기 태양 전지부(3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재질표현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소정의 빛 만이 통과되는 반투명층(100)을 형성하는 단계(S210);
    상기 반투명층(100) 상면에 제 1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220);
    상기 제 1 수지층을 주형(50)으로 가압하여 단면이 사각인 제 1 패턴(201)을 성형하는 단계(S230);
    가시광선의 반사각을 제어하고, 금속에 대한 재질감을 더 높여주기 위해 상기 단면이 사각인 제 1 패턴(201)을 100도 내지 150도의 온도로 10분 내지 30분간 열처리하여 돌출된 단면이 반구형인 제 1 반구형 패턴(202)으로 성형하는 단계(S240);
    상기 제 1 수지층 상면에 상기 제 1 패턴(201)을 보호하는 투명의 제 1 패턴 보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S250);
    상기 반투명층(100)의 저면에 고온의 스크린인쇄를 통해 반투명의 색상층(400)을 형성하는 단계(S260); 및
    상기 제 1 패턴(201)과 상기 제 1 패턴 보호층(300) 사이의 공기가 팽창 또는 수축하여 상기 제 1 패턴(201) 및 상기 제 1 패턴 보호층(300) 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온 상에서 건조시키는 단계(S2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48030A 2016-04-20 2016-04-20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 KR101925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30A KR101925610B1 (ko) 2016-04-20 2016-04-20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30A KR101925610B1 (ko) 2016-04-20 2016-04-20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54A KR20170119854A (ko) 2017-10-30
KR101925610B1 true KR101925610B1 (ko) 2018-12-05

Family

ID=6030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030A KR101925610B1 (ko) 2016-04-20 2016-04-20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6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358A (ja) * 2000-11-08 2002-05-22 Citizen Watch Co Ltd ソーラーセル用文字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6456A (ja) * 2009-05-28 2010-12-09 Citizen Watch Kawaguchiko Co Ltd 表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55916A (ja) * 2010-06-23 2015-08-27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時計用表示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358A (ja) * 2000-11-08 2002-05-22 Citizen Watch Co Ltd ソーラーセル用文字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6456A (ja) * 2009-05-28 2010-12-09 Citizen Watch Kawaguchiko Co Ltd 表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55916A (ja) * 2010-06-23 2015-08-27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時計用表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54A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7937B (zh) 棱镜-光栅光波导耦合器及光波导设备
KR101749598B1 (ko)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JP2009117352A (ja) 高照明効率の光反射構造を備えた照明器具
CN103069310A (zh) 表面结构、菲涅尔透镜和用于制造表面结构的工具
RU244300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атрицы искаженных опт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KR101925610B1 (ko)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태양광 충전식 시계 제조 방법
CN109239815A (zh) 盖板及其形成方法、盖板母板、电子设备
JP4455726B2 (ja) 太陽電池時計
JP2009192587A (ja) ワイヤグリッド型偏光素子
JP6237991B2 (ja) 太陽電池複合型表示体
JP201506090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時計、及び電子機器
US20160062317A1 (en) Solar cell module, timepiece, and electronic device
CN110675756B (zh) 面板模组及其制作方法和触控装置
WO2003046657A3 (en) Optical devices based on nanocryst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449961B (zh) 聚光型太陽能發電模組之光學透鏡結構改良
JP2011106908A (ja) 表示装置および腕時計
JP6056167B2 (ja) 時計
JP2003307608A (ja) 回折光学素子の製造方法
US10174909B2 (en) Optical member and microlens array
CN202473694U (zh) 一体式密封弹性键盘垫
US6917474B2 (en) Lens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lens array
CN102592873B (zh) 一体式密封弹性键盘垫
KR20190000018A (ko)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JP4275778B2 (ja) 太陽電池時計
JP2012173555A (ja) 波長依存型平面光学素子と、それを用いた焦電型赤外線センサ及び波長依存型平面光学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