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458B1 - 차량용 시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458B1
KR101925458B1 KR1020170056289A KR20170056289A KR101925458B1 KR 101925458 B1 KR101925458 B1 KR 101925458B1 KR 1020170056289 A KR1020170056289 A KR 1020170056289A KR 20170056289 A KR20170056289 A KR 20170056289A KR 101925458 B1 KR101925458 B1 KR 10192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elastic
support
seat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504A (ko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주)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 filed Critical (주)대한
Priority to KR102017005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458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60N2/544Compression or tension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차량용 시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시트장치는: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시트쿠션이 구비되는 시트프레임과, 시트프레임과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착석에 의해 시트프레임이 눌려질 때 시트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와, 시트쿠션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신체하중을 감안하여 탄성지지부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장치{SEAT SUPPORTING DEVICE FOR HEAVY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조절부를 이용하여 시트쿠션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신체 하중에 따라 탄성복원력을 조절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버스 등의 일반 차량과, 지게차,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 차량에는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되어 있다. 시트는 사람이 않을 수 있는 시트쿠션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시트프레임과, 시트프레임의 저면에 구비되어 차량 바닥에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동차에는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슬라이딩 장치 및 시트백 경사각도조절장치 등이 구비되어 운전자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하고 있다.
기존의 트랙터, 지게차,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 차량은 고속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시트에 운전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기존의 일반 차량 및 중장비 차량에는 시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텐션 스프링장치가 정형화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신체 하중에 따라 탄성력을 조절하지 못하여 신체가 가벼운 운전자의 경우에는 시트가 하드하고, 신체가 무거운 운전자의 경우에는 시트가 소프트하여 운전자의 신체 하중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텐션스프링을 연결지지하는 텐션지지구조가 적절하게 연결되지 못하여 시트가 착석자의 신체하중을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발휘할 때, 텐션지지구조가 시트의 전후좌우 위치를 균일하게 지지하지 못하므로 시트가 미세하게 흔들려 착석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1289호(발명의 명칭: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높이조절장치, 2013.10.16: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탄성조절부를 이용하여 시트쿠션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신체 하중에 따라 탄성복원력을 조절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는,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시트쿠션이 구비되는 시트프레임; 상기 시트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착석에 의해 상기 시트프레임이 눌려질 때 상기 시트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 및 상기 시트쿠션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신체하중을 감안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에서 손잡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부재; 상기 나사축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회전에 의해 너비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탄성지지부에 구비된 스프링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재를 신축시켜 상기 시트쿠션의 착석감을 위해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재에 접촉돌부가 지지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좌우이동시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력을 증진시켜 상기 스프링부재의 신축을 향상시키는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축부재의 단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에 설치되어 연장되는 서포트부재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좌우 이동에 맞춰 상기 스프링부재의 신축에 의한 탄성복원력을 신체 하중에 따라 외부에 알리는 알림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림표시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프레임의 슬라이드홀 외측으로 연결되어 신체 하중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좌우 이동에 대해 상기 설치부재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 축 연결되어 회동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길이가 긴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설치부재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홀의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후이동축; 및 상기 전후이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프레임에 구비되는 눈금부재에 표기된 하중 수치를 지시하는 지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설치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내돌부; 및 상기 안내돌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접촉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전후 직진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시트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시트쿠션의 전측 하중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시트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시트쿠션의 후측 하중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부; 및 상기 전방지지부와 상기 후방지지부 및 상기 탄성조절부와 상기 후방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시트쿠션의 착석시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강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측에 한 쌍 구비되는 전방지지브라켓; 상기 시트프레임에 축 연결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에 하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전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측에 한 쌍 구비되는 후방지지브라켓; 상기 후방지지브라켓에 하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시트프레임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후방지지부재; 및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작동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둘레에 고정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전측설치부; 어느 하나의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후측설치부; 및 상기 전측설치부와 상기 후측설치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강시 상기 전측설치부와 상기 후측설치부의 간격이 벌려지므로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시트프레임이 상승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는, 탄성조절부를 이용하여 시트쿠션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신체 하중에 따라 탄성복원력을 착석자의 의도대로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지지부의 지지력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시트프레임을 탄성 복원시킴으로써, 착석자에게 부드러우면서 시트프레임이 눌려질수록 하드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후방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후방 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와 탄성조절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에서 탄성조절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에서 탄성지지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후방 일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후방 타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와 탄성조절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에서 탄성조절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에서 탄성지지부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는, 지지플레이트(100), 시트프레임(200), 탄성지지부(300) 및 탄성조절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플레이트(100)는 차량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의 신체 하중을 지지하는 바닥판이다.
지지플레이트(100)에는 차량의 바닥에서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구조기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00)는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시트프레임(200)은 지지플레이트(100)에 연결되고, 시트쿠션(210)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시트프레임(200)은 판재를 수직으로 ㄷ자 형으로 배치하고, 복수의 원형봉으로 상호 연결하여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는 틀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시트프레임(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시트프레임(200)에는 상측에 스펀지 등의 쿠션재로 이루어진 시트쿠션(210)이 덮여진다.
시트쿠션(210)의 하측에는 시트쿠션(210)에 안착된 착석자의 신체하중을 시트프레임(2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쿠션판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300)는 시트프레임(200)과 지지플레이트(100)를 지지하고, 착석에 의해 시트프레임(200)이 눌려질 때 시트프레임(200)에 탄성력과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즉, 시트프레임(200)은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설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시트쿠션(210)에 착석한 착석자의 신체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복원력이 발휘되어 신체하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착석자에게 쿠션감과 부드러운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300)는, 지지플레이트(100)와 시트프레임(200)을 연결하고, 시트쿠션(210)의 전측 하중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부(310)와, 지지플레이트(100)와 시트프레임(200)을 연결하고, 시트쿠션(210)의 후측 하중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부(320)와, 전방지지부(310)와 후방지지부(320) 및 탄성조절부(400)와 후방지지부(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시트쿠션(310)의 착석시 시트프레임(200)의 하강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작동부(330)(340)를 포함한다.
전방지지부(310)는 시트프레임(200)의 전방 하중을 지탱하고, 후방지지부(320)는 시트프레임(200)의 후방 하중을 지탱한다.
탄성작동부(330)는 시트프레임(200)의 일측부위에서 전방지지부(310)와 후방지지부(320)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시트프레임(200)의 타측부위에서 탄성조절부(400)와 후방지지부(320)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탄성작동부(330)는 시트프레임(200)의 양측부위 모두에서 전방지지부(310)와 후방지지부(320)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조절부(400)는 삭제된다.
전방지지부(310)는, 지지플레이트(100)의 전측에 한 쌍 구비되는 전방지지브라켓(311)과, 시트프레임(200)에 축 연결되는 지지축(312)과, 지지축(312)의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313)와, 전방지지브라켓(311)에 하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측이 회동부재(31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전방지지부재(314)를 포함한다.
전방지지브라켓(311)은 지지플레이트(100)의 상측면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고, ㄱ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설치된다.
지지축(312)은 시트프레임(200)의 양측 판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회전이 방지되도록 일체로 고정된다.
회동부재(313)는 도 2에 도시된 확대 단면도에서처럼, 지지축(312)의 외주면과 미세한 틈새를 형성하면서 전방지지부재(314)의 회전에 의해 지지축(312)에 대해 설정각도 회동한다.
전방지지부재(314)는 길이가 긴 판재 형태로 형성된다.
전방지지부재(314)는 시트쿠션(210)에 착석한 착석자의 신체하중에 의해 시트프레임(200)이 하측으로 눌려질 때, 지지축(312)과 회동부재(313)를 통해 하측으로 전달되는 신체하중을 전방지지브라켓(311)의 힌지를 통해 지지플레이트(100)에 전달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한다.
전방지지부재(314)에는 시트프레임(200)의 눌림에 의해 전방지지브라켓(311)에 대해 회전시 전방지지브라켓(311)에 걸려 전방지지부재(314)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여 시트프레임(200)의 하강을 정지하는 전방이동제한부(315)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이동제한부(315)는 전방지지부재(314)의 중심부위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전방지지부재(314)가 과도하게 하강하는 경우에, 전방지지브라켓(311)의 걸림턱부위에 걸려 시트프레임(200)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이다.
후방지지부(320)는, 지지플레이트(100)의 후측에 한 쌍 구비되는 후방지지브라켓(321)과, 후방지지브라켓(321)에 하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측이 시트프레임(200)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후방지지부재(322)와, 후방지지부재(322)의 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축(323)을 포함한다.
후방지지부재(322)는 길이가 긴 판재 형태로 형성된다.
후방지지부재(322)는 시트쿠션(210)에 착석한 착석자의 신체하중에 의해 시트프레임(200)이 하측으로 눌려질 때, 하측으로 전달되는 신체하중을 후방지지브라켓(321)의 힌지를 통해 지지플레이트(100)에 전달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한다.
후방지지브라켓(321)에는 시트프레임(200)의 하강에 의해 후방지지부재(322)의 회전시 연결축(323)이 걸려 연결축(322)의 상승을 제한하여 시트프레임(200)의 하강을 차단하는 후방이동제한부(324)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축(323)은 후방지지브라켓(321)에 연결된 후방지지부재(322)의 힌지보다 더 후방에 위치한 후방지지부재(322)의 끝단부위에 수평으로 연결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탄성작동부(330)는, 회동부재(313)의 둘레에 고정되는 링크부재(331)와, 링크부재(331)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332)와, 연결부재(332)에 구비되는 전측설치부(333)와, 후방지지부재(322)의 상측에 구비되는 후측설치부(334)와, 전측설치부(333)와 후측설치부(334)를 상호 연결하고, 시트프레임(200)의 하강시 전측설치부(333)와 후측설치부(334)의 간격이 벌려지므로 지지플레이트(100)로부터 시트프레임(200)이 상승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5)를 포함한다.
탄성작동부(330)는 도 5 및 도 7을 기준으로, 시트프레임(200)의 좌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전방지지부(310)와 후방지지부(320)를 상호 연결하여 신체하중을 지탱하면서 시트프레임(2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전측설치부(333)에는 탄성부재(335)의 일단이 걸리는 장착공이 형성된다. 장착공은 상하로 관통된 구멍이다.
후측설치부(334)에는 탄성부재(335)의 타단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된다. 걸림홀은 후측으로 개방된 함몰홈이다.
탄성부재(335)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35)는 길이조절이 임의대로 이루어지지는 않지만, 시트프레임(200)의 하강에 의해서 늘어나므로 턴성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335)의 탄성력은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탄성작동부(340)는, 후방지지부재(322)의 상측에 구비되는 후측설치부(341)와, 탄성조절부(400)와 후측설치부(341)를 상호 연결하고, 시트프레임(200)의 하강에 대해 지지플레이트(100)로부터 시트프레임(200)이 상승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342)를 포함한다.
탄성작동부(340)는 도 6 및 도 7을 기준으로, 시트프레임(200)의 우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탄성조절부(400)와 후방지지부(320)를 상호 연결하여 신체하중을 지탱하면서 시트프레임(2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스프링부재(342)는 시트프레임(200)의 하강에 의해서 탄성복원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탄성조절부(400)에 의해 길이 조절이 임의대로 이루어지므로 탄성력 조절이 가능하다. 이 경우, 착석자의 무게에 따라 조작을 통해 스프링부재(342)의 길이를 조절하므로 탄성력이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200)의 일측에 탄성작동부(330)를 적용하고, 시트프레임(200)의 타측에 탄성작동부(340)를 적용하지만, 경우에 따라 시트프레임(200)의 좌우 양측에 탄성작동부(330)를 모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여 시트쿠션(210)의 착석에 의해 시트프레임(200)이 하강하면서, 탄성지지부(300)가 지지력과 탄성복원력을 발휘하는 상태를 살펴본다.
시트쿠션(210)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으면, 도 10의 첫 번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연이어, 도 10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210)에 사용자가 착석하면, 시트프레임(200)이 눌려지면서, 전측의 지지축(312)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회동부재(313)에 고정된 한 쌍의 전방지지부재(314)를 전방지지브라켓(311)의 힌지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회동부재(313)에 고정된 탄성작동부(330)의 링크부재(3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부재(332)를 우측으로 당겨주게 된다.
한편, 시트프레임(200)은 후방부위도 하측으로 눌려지게 되므로 시트프레임(200)의 후측에서 힌지 연결된 후방지지부재(322)가 후방지지브라켓(321)의 힌지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후방지지부재(322)의 상측 후측설치부(334)에 일측이 연결되고, 연결부재(332)의 전측설치부(333)에 타측이 연결된 탄성부재(335)가 연결부재(330)의 우측(전측) 이동에 의해 벌려지면서 탄성복원력을 발휘하여 시트쿠션(210)을 하드하게 만든다.
이때, 탄성부재(335)의 반대측에 배치된 스프링부재(342) 역시 시트프레임(200)이 눌려지면서, 후방지지부재(322)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후방지지부재(322)의 후측설치부(341)에 걸려진 스프링부재(342)가 탄성조절부(400)와 탄성연결되므로 시트프레임(2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전방지지부재(314)는 하강하다가 전방이동제한부(315)가 전방지지브라켓(311)에 걸리므로 시트프레임(200)의 전측 하강이 제한되고, 후방지지부재(322)는 하강하다가 후단부에 연결된 연결축(323)이 후방지지브라켓(322)의 상측에 구비된 후방이동제한부(324)에 걸리므로 시트프레임(200)의 후측 하강이 제한된다.
한편, 시트쿠션(210)에서 사용자의 하중이 제거되면, 상술할 반대과정을 거치면서, 시트프레임(200)이 지지플레이트(100)로부터 상승하여 시트쿠션(210)의 위치가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탄성조절부(400)는 시트쿠션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신체하중을 감안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탄성조절부(400)는, 시트프레임(200)에서 손잡이부재(412)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부재(410)와, 나사축부재(410)에 체결되어 손잡이부재(412)의 회전에 의해 너비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이동부재(420)와, 이동부재(4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탄성지지부(300)에 구비된 스프링부재(342)에 연결되어 이동부재(420)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부재(342)를 신축시켜 시트쿠션(210)의 착석감을 위해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430)를 포함한다.
나사축부재(410)는 시트프레임(200)의 일측 판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고, 이동부재(420)가 이동하는 일부 구간에만 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절부재(430)는 이동부재(420)의 상하측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중간부위는 비워진 상태로 형성된다.
탄성조절부(400)는, 시트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조절부재(430)에 접촉돌부(442)가 지지되어 조절부재(430)의 좌우이동시 조절부재(430)의 회전력을 증진시켜 스프링부재(342)의 신축을 향상시키는 접촉부재(440)를 더 포함한다.
접촉부재(440)에는 이동부재(42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슬롯홈부(44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손잡이부재(412)를 회전하여 이동부재(4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힌지 연결된 조절부재(430)가 우측으로 당겨지면서, 접촉부재(440)의 접촉돌부(442)에 접촉지지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부재(442)를 신장시켜 탄성력은 증가한다. 이로써, 시트쿠션(210)의 착석감을 하드하게 구성되므로 신체 하중이 무거운 착석자를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손잡이부재(412)를 회전하여 이동부재(4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힌지 연결된 조절부재(43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접촉부재(440)의 접촉돌부(442)에 접촉지지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부재(442)를 수축시켜 탄성력은 감소한다. 이로써, 시트쿠션(210)의 착석감을 소프트하게 구성되므로 신체 하중이 가벼운 착석자를 지지할 수 있다.
나사축부재(410)의 단부는 시트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연장되는 서포트부재(450)에 축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450)는 이동부재(420)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도록 일측으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부(451)가 형성된다.
탄성조절부(400)는 이동부재(420)의 좌우 이동에 맞춰 스프링부재(342)의 신축에 의한 탄성복원력을 신체 하중에 따라 외부에 알리는 알림표시부(460)를 포함한다.
알림표시부(460)는, 이동부재(420)에 힌지 연결되는 작동부재(461)와, 작동부재(461)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재(462)와, 설치부재(462)에 구비되어 시트프레임(200)의 슬라이드홀 외측으로 연결되어 신체 하중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463)와, 이동부재(420)의 좌우 이동에 대해 설치부재(462)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467)를 포함한다.
작동부재(461)는 이동부재(420)의 상측에 축 연결되어 회동한다.
작동부재(461)는 길이가 긴 판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부재(462)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원형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설치부재(46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표시부재(463)는, 설치부재(462)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후이동축(464)과, 전후이동축(464)에 구비되어 시트프레임(200)에 구비되는 눈금부재(466)에 표기된 하중 수치를 지시하는 지시부재(465)를 포함한다.
눈금부재(46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21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면에 지시부재(465)의 단부가 가리키는 스프링부재(442)의 탄성복원력에 대한 조절 수치가 눈금으로 표기되어 있다.
안내부재(467)는, 설치부재(462)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내돌부(468)와, 안내돌부(468)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접촉부재(440)에 구비되어 설치부재(462)의 전후 직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부(469)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알림표시부(46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손잡이부재(412)를 회전하여 이동부재(420)를 우측으로 이동하면, 작동부재(461)가 후측으로 이동하여 설치부재(462), 전후이동축(464) 및 지시부재(465)를 후측으로 이동시켜 지시부재(465)가 눈금부재(466)에 스프링부재(342)의 탄성복원력을 반영한 신체하중 눈금을 표시한다.
이때, 설치부재(462)의 하측에 구비된 안내부재(467)의 안내돌부(468)는 접촉부재(440)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부(469)를 따라 후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설치부재(462)의 후측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한다.
한편, 손잡이부재(412)를 회전하여 이동부재(420)를 좌측으로 이동하면, 작동부재(461)가 전측으로 이동하여 설치부재(462), 전후이동축(464) 및 지시부재(465)를 전측으로 이동시켜 지시부재(465)가 눈금부재(466)에 스프링부재(342)의 탄성복원력을 반영한 신체하중 눈금을 표시한다.
이때, 설치부재(462)의 하측에 구비된 안내부재(467)의 안내돌부(468)는 접촉부재(440)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부(469)를 따라 전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설치부재(462)의 전측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한다.
탄성지지부(300)는 시트쿠션(210)에서 하중 제거시 탄성작동부(330)의 급격한 탄성복원에 의해 시트프레임(200)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댐핌완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핑완충부(500)는, 지지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제1설치브라켓(510)와, 회동부재(313)에 설치되는 제2설치브라켓(520)과, 제1설치브라켓(510)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제2설치브라켓(520)에 힌지 연결되어 댐핑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핑부재(530)를 포함한다.
제1,제2설치브라켓(510,52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을 지지하는 댐핑부재(530)의 양단부의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댐핑부재(530)는 가스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지지플레이트 200 : 시트프레임
210 : 시트쿠션 300 : 탄성지지부
310 : 전방지지부 311 : 전방지지브라켓
312 : 지지축 313 : 회동부재
314 : 전방지지부재 315 : 전방이동제한부
320 : 후방지지부 321 : 후방지지브라켓
322 : 후방지지부재 323 : 연결축
324 : 후방이동제한부 330 : 탄성작동부
331 : 링크부재 332 : 연결부재
334 : 후측설치부 335 : 탄성부재
340 : 탄성작동부 341 : 후측설치부
342 : 스프링부재 400 : 탄성조절부
410 : 나사축부재 420 : 이동부재
430 : 조절부재 440 : 접촉부재
450 : 서포트부재 460 : 알림표시부
461 : 작동부재 462 : 설치부재
463 : 표시부재 464 : 전후이동축
465 : 지시부재 467 : 안내부재
468 : 안내돌부 469 : 안내홈부
500 : 댐핑완충부 510 : 제1설치브라켓
520 : 제2설치브라켓 530 : 댐핑부재

Claims (13)

  1.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시트쿠션이 구비되는 시트프레임; 상기 시트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착석에 의해 상기 시트프레임이 눌려질 때 상기 시트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 및 상기 시트쿠션에 착석하는 착석자의 신체하중을 감안하여 상기 탄성지지부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에서 손잡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축부재; 상기 나사축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회전에 의해 너비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탄성지지부에 구비된 스프링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재를 신축시켜 상기 시트쿠션의 착석감을 위해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좌우 이동에 맞춰 상기 스프링부재의 신축에 의한 탄성복원력을 신체 하중에 따라 외부에 알리는 알림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표시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프레임의 슬라이드홀 외측으로 연결되어 신체 하중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좌우 이동에 대해 상기 설치부재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재에 접촉돌부가 지지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좌우이동시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력을 증진시켜 상기 스프링부재의 신축을 향상시키는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부재의 단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에 설치되어 연장되는 서포트부재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 축 연결되어 회동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길이가 긴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는,
    상기 설치부재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홀의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후이동축; 및
    상기 전후이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프레임에 구비되는 눈금부재에 표기된 하중 수치를 지시하는 지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설치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내돌부; 및
    상기 안내돌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접촉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전후 직진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시트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시트쿠션의 전측 하중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시트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시트쿠션의 후측 하중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부; 및
    상기 전방지지부와 상기 후방지지부 및 상기 탄성조절부와 상기 후방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시트쿠션의 착석시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강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측에 한 쌍 구비되는 전방지지브라켓;
    상기 시트프레임에 축 연결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전방지지브라켓에 하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전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측에 한 쌍 구비되는 후방지지브라켓;
    상기 후방지지브라켓에 하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시트프레임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후방지지부재; 및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작동부는,
    상기 회동부재의 둘레에 고정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되는 전측설치부;
    어느 하나의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후측설치부; 및
    상기 전측설치부와 상기 후측설치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시트프레임의 하강시 상기 전측설치부와 상기 후측설치부의 간격이 벌려지므로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시트프레임이 상승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KR1020170056289A 2017-05-02 2017-05-02 차량용 시트장치 KR101925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89A KR101925458B1 (ko) 2017-05-02 2017-05-02 차량용 시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89A KR101925458B1 (ko) 2017-05-02 2017-05-02 차량용 시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504A KR20180122504A (ko) 2018-11-13
KR101925458B1 true KR101925458B1 (ko) 2018-12-06

Family

ID=6439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89A KR101925458B1 (ko) 2017-05-02 2017-05-02 차량용 시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17B1 (ko) * 2019-03-14 2019-07-11 고대성 프레스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281A (ja) * 1998-10-16 2000-04-25 Araco Corp サスペンション機構付き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281A (ja) * 1998-10-16 2000-04-25 Araco Corp サスペンション機構付き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504A (ko)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US6419317B1 (en) Seat depth adjus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seat
US7614693B2 (en) Seating area adjuster
US7073863B1 (en) Infinitely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ssembly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US3632166A (en) Vehicle seat having combined contour and tilt adjustment
US8038198B2 (en) Vehicle seats
KR101256557B1 (ko) 절첩가능한 팔걸이대
US3954245A (en) Vehicle seat and support assembly therefor
US3999800A (en) Vehicle seat
US8596721B2 (en) Vehicle seat
US8414055B2 (en) Vehicle seat
EP1050428B1 (en) Full seat adjustable suspension
JP5313480B2 (ja) チルト機構組込みサスペンション機構
KR101925458B1 (ko) 차량용 시트장치
KR101925457B1 (ko) 차량용 시트장치
KR101600199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2979781B2 (ja) シートのバックル干渉防止装置
KR102125978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JP4438556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長可変の車両用シート
CN113619460B (zh) 车辆座椅的扶手
KR102522891B1 (ko)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JP200003725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538654B2 (ja) シート装置
KR101679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