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064B1 -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 Google Patents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064B1
KR101925064B1 KR1020180037917A KR20180037917A KR101925064B1 KR 101925064 B1 KR101925064 B1 KR 101925064B1 KR 1020180037917 A KR1020180037917 A KR 1020180037917A KR 20180037917 A KR20180037917 A KR 20180037917A KR 101925064 B1 KR101925064 B1 KR 101925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evaporation source
deposition
substrat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699A (ko
Inventor
황창훈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레드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레드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레드온
Priority to PCT/KR2018/0038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86634A1/ko
Priority to JP2018543231A priority patent/JP2019518131A/ja
Publication of KR2018011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161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haracterized by the layout of the process chambers
    • H01L51/001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해상도 AMOLED 박막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양산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로딩챔버(40);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 면소스 인버전챔버(43);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 면소스 냉각챔버(45); 기판저장챔버(46); 마스크저장챔버(47); 및 기판언로딩챔버(4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챔버들과 연결된 로봇챔버(30)가 구비된 팔각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기판에 미세 패턴박막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를 사용함으로써, 기판에 미세패턴을 증착할 시에 유기물 기체의 퍼짐 현상으로 야기되는 미세패턴 증착의 어려움을 방지하고, 기판과 마스크 사이의 미세한 공간에 의한 세도우 현상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며, 기판의 증착공정이 연속하여 진행됨에 따라 아이들링 타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유기물 사용효율이 상승하고, 고진공의 환경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공정 시간 및 제조 단가가 줄어들어 생산수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vertical type plane source evaporation for high definition AMOLED devices}
본 발명은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챔버가 연결되어 있는 다각형 모듈에서 로봇을 이용하여 공정을 수행하고, 이와 같은 모듈들이 일렬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고해상도 플렉서블 AMOLED 박막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면증발원 증착기가 장착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에 관한 것이다.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ing Emitted Diode) 소자는 기존의 LCD 소자를 대체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각광받고 있는 소자로서, 전기를 공급하면 유기물질에서 발광현상이 발생하는 자발광 소자이며, 반응속도가 매우 빠르고 미세패턴의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AMOLED 소자는 칼라필터와 Back light unit이 필요없는 단순한 구조로 생산공정 또한 간단하고, 초박막형 구성이 가능하여 초박막형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데에 적합하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AMOLED 소자는 현재 스마트폰과 대형 TV에도 응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폴더블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활용도가 높아 한국, 중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 경쟁적으로 개발연구 및 생산을 시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AMOLED 디스플레이는 유리 기판 또는 PI기판에 TFT소자를 구성한 후에 전극과 다층의 유기물질을 고진공 증착하고 캐소드 전극층을 증착한 후 봉지공정을 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유기박막들은 주로 고진공 챔버에서 유기물 파우더들을 열 복사에 의해 증발하고, 증발된 유기물 분자들이 미세한 세도우 마스크 또는 미세 금속 마스크의 오프닝을 관통하여 기판에 미세한 패턴 박막으로 증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진공에서 열증발 증착을 하기 위해서는 고진공 챔버내에 유기물 파우더 증발원과 기판 설치장치 및 미세한 세도우 마스크와 TFT 기판을 매우 정밀하게 정렬하는 얼라이너 장치 등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대면적의 기판에 균일한 유기박막의 증착이 가능하고, 온도에 매우 민감한 유기분자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고진공 열증착기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생산용 증착기는 수십개의 고진공 챔버가 연결되어 사용하므로, 고진공을 유지하도록 하는 부품과 챔버의 디자인 기술 및 제조 기술이 필요하며, 리크(Leak)방지용 기술 및 자동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OLED 제품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기박막의 패턴과 색상을 더욱 미세하게 제조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선형증발원을 사용하는 현재 증착장비기술로는 해상도가 떨어져 고해상도의 AMOLED 소자를 생산할 수 없다.
도 1은 600ppi급의 해상도를 갖는 AMOLED 소자를 생산하는 종래의 AMOLED 박막 생산 증착기술의 일예를 설명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진공 챔버(미도시)의 상부에 기판(10)이 배치되고, 기판의 바로 하부에 마스크(12)가 정렬되어 부착되어 있고, 그 하부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선형 증발원(14)이 전후방향으로 스캐닝하며 상방향으로 유기물을 증발시켜 퍼짐각도를 가지고 분출 증발되는 유기물 기체 분자빔(13)이 기판에 미세패턴(1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선형 증발원으로부터 분출되는 유기물 분자들의 퍼짐각도로 인하여 세도우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세도우거리(SD)가 큰(예:3~8㎛) 패턴이 형성되므로, 극미세한 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AMOLED 박막생산 증착기는 기판의 대형화로 인한 기판의 처짐현상 또는 마스크의 처짐현상에 의해 미세 얼라인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초고해상도의 소자를 제작하는 것에 한계가 있고, 그 결과 생산수율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양산장비에 있어서도, 종래의 생산장비는 하나의 기판에 유기패턴을 증착한 후, 다른 기판에 마스크가 얼라인되는 동안에도 증발원에서는 계속해서 유기물기체가 증발하는 아이들링(Idling) 타임이 발생하여 유기물의 사용효율이 저감되고, 아이들링 타임에 의해 전체적인 제조공정 시간이 길어져 궁극적으로 생산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8844호
본 발명은 상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기판에 미세패턴을 증착할 시에 면증발원을 사용하여 유기물 기체의 퍼짐 현상으로 야기되는 미세패턴 증착의 어려움을 방지하고, 기판과 마스크 사이의 미세한 공간에 의한 세도우 현상을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기판에 미세패턴을 증착시 흐름이 끊기지 않고 연속하여 증착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아이들링 타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유기물 사용효율이 상승하고, 고진공의 환경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공정 시간 및 제조 단가가 줄어들어 생산수율이 증대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는,
기판로딩챔버(40); 면소스 증착챔버(42); 면소스 인버전챔버(43); 면증발원 증착챔버(44); 면소스 냉각챔버(45); 기판저장챔버(46); 마스크저장챔버(47); 및 기판언로딩챔버(4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챔버들과 연결된 로봇챔버(30)가 구비된 팔각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기판에 미세 패턴박막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면소스 증착챔버(42)는,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로 구성되고, 각 챔버의 내측에는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가 구비되고,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상기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의 2개의 증착챔버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상기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의 각 챔버내에서 전후진 이동하며 스캐닝하여 상기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에 유기박막(22)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상기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의 각 챔버를 교대로 이동하며, 상기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에 유기박막(22)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면소스 인버전챔버(43)는, 유기박막(22)이 형성된 면증발원(20)을 회전시켜 상하위치를 바꾸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면증발원 증착챔버(44)는,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로 구성되며, 각 면증발원 증착챔버내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기판과 마스크가 정렬되어 구비되고, 하부 또는 상부에는 면증발원(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면증발원(20)에 증착된 유기박막(22)에서 증발된 유기물 기체가 기판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는,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는 기판과 마스크 및 면증발원(20)이 구비되는 증착준비가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완료되면 연속해서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진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면증발원(20)의 후면에는 면증발가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면소스 냉각챔버(45)는, 내부에 냉각판(25)이 구비되어, 증착된 유기박막(22)을 증발시킨 면증발원(20)의 가열된 금속막시트(S)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로봇챔버(30)는,
진공로봇회전몸체와 상기 진공로봇회전몸체에 연결된 엔드이펙터로 된 로봇(31)을 포함하며, 기판과 면증발원, 금속면시트 및 마스크는 상기 로봇(31)에 의해 각 챔버로 인입 및 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는,
기판로딩챔버; 면소스 증착챔버; 면증발원 증착챔버; 면소스 냉각챔버; 기판저장챔버; 마스크저장챔버; 또는 기판언로딩챔버;에서 선택된 다수개의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선택된 챔버들과 연결된 로봇챔버가 구비된 육각모듈이나 사각모듈을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기판증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는,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팔각모듈과, 제 12항의 육각모듈 또는 사각모듈을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판은 기판 로딩되어 플립되고 전처리되며, 정공주입층의 오픈마스크공정, 정공수송층의 세도우마스크 증착공정과 RGB 패턴의 세도우마스크 패턴공정, 전자층(ETL/EIL)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투명전극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CPL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기판 언로딩 및 Flip 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기판 로딩 및 베이크 모듈(121), Flip 및 플라즈마 전처리 공정모듈(122), 정공주입층(HIL) 오픈마스크 공정모듈(123), 정공수송층(HTL)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111, 112, 113), RGB 패턴의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115,116,117), 전자층(ETL/EIL) 오픈마스크 공정모듈(125), 투명전극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모듈(126), CPL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모듈(127), 기판 언로딩 및 Flip 모듈(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속적으로 기판증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모듈 중 기판 로딩, 언로딩 및 Flip 모듈은 사각의 로봇이송 챔버형태로 구성되고, 오픈마스크 공정모듈은 육각의 로봇이송 챔버형태로 구성되며,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은 팔각의 로봇이송 챔버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은, 비대칭 팔각구조이며,
기판로딩챔버;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면소스 인버전챔버;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 면소스 냉각챔버; 기판저장챔버; 마스크저장챔버; 및 기판언로딩챔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
상기 오픈마스크 공정모듈은, 육각구조이며,
기판로딩챔버;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 면소스 냉각챔버; 마스크저장챔버; 및 기판언로딩챔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는,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및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기판증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챔버들과 연결된 로봇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를 사용함으로써, 기판에 미세패턴을 증착할 시에 유기물 기체의 퍼짐 현상으로 야기되는 미세패턴 증착의 어려움을 방지하고, 기판과 마스크 사이의 미세한 공간에 의한 세도우 현상을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는 기판에 미세패턴을 증착시 흐름이 끊기지 않고 연속하여 증착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아이들링 타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유기물 사용효율이 상승하고, 고진공의 환경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공정 시간 및 제조 단가가 줄어들어 생산수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형증발원이 스캐닝하면서 기판에 유기물 패턴을 증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증발원에 유기박막을 증착하고, 면증발원의 유기박막을 재증발하여 기판에 유기물 패턴을 증착하는 공정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하여 기판에 유기물 패턴을 증착하는 팔각모듈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팔각모듈에서 면증발원과 기판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하여 기판에 유기물 패턴을 증착하는 육각모듈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모듈들이 연결되어 구성된 양산장비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증발원에 유기박막을 증착하고, 면증발원의 유기박막을 재증발하여 기판에 유기물 패턴을 증착하는 공정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하여 기판에 유기물 패턴을 증착하는 팔각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팔각모듈에서 면증발원과 기판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하여 기판에 유기물 패턴을 증착하는 육각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모듈들이 연결되어 구성된 양산장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및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기판증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챔버들과 연결된 로봇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는, 기판(10)에 연속적으로 미세 패턴박막을 증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판로딩챔버(40); 면소스 증착챔버(42); 면소스 인버전챔버(43); 면증발원 증착챔버(44); 면소스 냉각챔버(45); 기판저장챔버(46); 마스크저장챔버(47); 및 기판언로딩챔버(4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챔버들과 연결된 중앙에는 로봇챔버(30)가 구비된 팔각모듈(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10)과 면증발원(20), 금속면시트, 마스크는 로봇챔버(30)내의 로봇(31)에 의해 각 챔버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기판로딩챔버(40)는 증착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TFT(Thin Film Transister) 기판(10)이 구비되고, 기판언로딩챔버(41)에는 증착공정이 완료된 기판(10)이 구비된다.
면소스 증착챔버(42)는, 챔버의 내측 상부에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를 구비하고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에 유기박막(22)을 증착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유기물 선형증발원(21)으로부터 분출된 유기물 기체가 상부에 구비된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의 하부에 증착되어 유기박막(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유기물 파우더(P)를 담고 있는 저장 도가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와 이격된 평행한 라인(미도시)을 따라 전후진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금속면시트 전체를 스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기물 선형증발원(21)으로부터 분출되는 유기물 기체는 비행하여 금속면시트 전체에 유기박막이 증착되게 된다.
이때,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유기물 파우더(P)를 담고 있는 저장 도가니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별개로 구성되어 챔버내에 구비된 히터내에 안착되어 가열될 수 있다.
유기물 기체는 유기물 저장 도가니에 저장된 유기물 파우더(P)의 기화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유기물 선형증발원(21)에는 증발노즐을 더 포함하여, 스캔하면서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 전체면적에 유기물 기체를 분사시 유기물 기체의 퍼짐각도를 줄여 면시트를 벗어난 영역으로 분사되어 낭비되는 유기물의 양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면소스 증착챔버(42)는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로 구성된다. 이때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의 각 챔버의 내측 상부에는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가 구비되고,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의 어느 하나의 증착챔버에서 다른 증착챔버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 구성에서,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각 챔버를 교대로 이동하며 적어도 2개의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에 유기박막(22)을 연속적으로 증착시킨다. 또한,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의 각 챔버내에서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전후진 왕복이동하며 스캐닝하여 해당 챔버내의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에 유기박막(22)을 증착시킨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 중 어느 하나의 면소스 증착챔버(42)에서 유기박막 증착이 완료된 면증발원(20)을 진공로봇(31)이 배출하면, 새로운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를 인입하는 동안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다른 증착챔버(42)로 이동되어 해당 증착챔버내에 구비된 다른 면증발원(25)의 금속면시트에 마찬가지로 전후진 운동을 하면서 스캐닝하여 유기박막(22)을 증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휴지시간 없이 계속해서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아이들링 타임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유기물 파우더(P)가 내부에서 고형화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유기물 파우더(P)의 사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면소스 인버전챔버(43)는 금속면시트(S)의 일면에 유기물이 증착되어 유기박막(22)이 형성된 면증발원(20)을 회전하여 유기박막이 형성된 면증발원(20)의 증착면이 상부 또는 하부로 위치하도록 면증발원(20)의 증착면인 전면과 비증착면인 후면의 상하위치를 뒤바꾸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면소스 증착챔버에서 유기박막(22)은 면증발원(20)의 하부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를 회전시켜 유기박막(22)이 면증발원(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유기박막이 상부에 위치된 면증발원(20)은 면증발원 증착챔버(44)로 이동되어, 챔버 내측상부에 배치된 기판에 상향식 면증발증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발명에서는 면소스 증착챔버에서 금속면시트를 증착챔버의 내측상부에 구비하고, 유기물 선형증발원을 증착챔버의 내측하부에 구비함으로써, 유기박막이 면증발원의 하부에 증착되고, 면증발원 증착챔버내에서 내측상부에 구비된 기판에 상방향 증착을 위해 면증발원을 상하위치를 바꾸는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면소스 증착챔버에서 금속면시트가 챔버의 내측하부에 구비되고,면증발원 증착챔버내에서 내측하부에 구비된 기판에 하방향 증착을 하고자 할때도 면증발원의 상하위치를 바꾸는 공정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면증발원 증착챔버(44)는, 증착챔버 내측상부에 기판과 마스크 얼라이너들을 구비하고 챔버 내측하부에는 면증발가열장치(23)와 면증발원(20)을 구비하여, 기판(10)에 유기물을 증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챔버 하부의 면증발가열장치(23) 위에 안착되는 면증발원(20)의 유기박막(22)으로부터 분출된 유기물기체가 상부에 구비된 마스크가 정렬된 기판에 패턴으로 증착된다.
이와 같은 면증발원 증착챔버(44)는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로 구성된다. 이때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의 각 증착챔버의 내측 상부에는 로봇에 의해 이송된 기판과 마스크가 미세 정렬되어 구비되고, 내측 하부에는 면증발가열장치(23)와 로봇에 의해 각 챔버로 이송된 면증발원(20)이 구비되되, 하나의 증착챔버에서 증착을 하는 동안 다른 증착챔버에서는 기판과 마스크 및 면증발원이 로봇에 의해 이송되어 증착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과정이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의 2개의 챔버에서 번갈아가며 이루어지며 증착이 수행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양산장비에서는 연속적으로 기판에 유기물을 증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면증발원(20)은 후면에 구비된 면증발가열장치(23)에 의해 가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에서 기판에 유기물이 증착되는 증착공정이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 중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내에서 면증발원(20)으로부터 제1 기판에 증착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다른 증착챔버에서는 로봇이 제2 기판과 마스크를 이송하여 인입시키면 제2 기판과 마스크가 미세정렬을 하고, 또한 로봇이 면증발원을 이송하여 인입시켜 증착을 준비한다.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제1 기판에 증착이 완료되면, 증착준비가 완료된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면증발원(20)이 가열되어 제2 기판에 유기물을 증착시키는 증착공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증착챔버에서 증착을 하는 동안 다른 증착챔버에서는 증착준비를 하는 과정이 두개의 증착챔버에서 번갈아가며 이루어지므로 연속적으로 기판 증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각 면증발원 증착챔버(44)내에서 면증발원(20)으로부터 기판(10)에 증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면증발가열장치에 의해 면증발원(20)에 증착된 유기박막(22)이 증발하게 되고, 기화된 유기물 기체가 방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비행하여 마스크(12)의 미세패턴을 통과하여 기판(10)에 증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증착과정에서 세도우 현상은 기판과 마스크의 정렬 및 그들간의 거리에 의해서도 발생되는 바, 기판(10)과 마스크(12)의 정렬 및 사이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정렬 얼라이먼트(미도시)가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면증발원(20)과 기판(10) 사이의 거리를 짧게하여 면증발원으로부터 기화된 유기물 기체가 방출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최단거리 수직이동에 의해 기판에 증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도우 현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면소스 냉각챔버(45)는, 내부에 냉각판(25)이 구비된 챔버로서, 증착된 유기박막(22)을 증발시킨 면증발원(20)의 가열된 금속막시트를 냉각판(25)에 밀착시켜 빠른 시간내에 냉각되도록 하는 것이다. 냉각챔버에는 다수개의 금속막시트가 저장될 수 있으며, 냉각된 금속막시트는 재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냉각판(25)의 내부에는 냉각수라인(26)을 더 형성하여 냉각판(25)이 항상 저온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냉각챔버(45) 내에 별도의 냉각설비가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냉각챔버(45) 내부로 금속막시트를 인입 또는 반출하는 것 역시 진공로봇에 의해 수행된다.
기판저장챔버(46)는 TFT 기판(10)이 구비되어 있는 챔버로서, 구비된 기판은 로봇에 의해 기판로딩챔버(40)로의 이동 및 기판로딩챔버(40)에서 면증발원 증착챔버(44)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마스크저장챔버(47)는, 패턴이 형성된 다수개의 마스크(12)가 구비된 챔버로서, 구비된 마스크는 로봇에 의해 면증발원 증착챔버(44)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로봇챔버(30)는 기판로딩챔버(40),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 면소스 인버전챔버(43),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 면소스 냉각챔버(45), 기판저장챔버(46), 마스크저장챔버(47) 및 기판언로딩챔버(41)와 연결되도록 팔각모듈(110)의 중앙에 팔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진공로봇회전몸체와 몸체에 연결된 엔드이펙터(end effector)로 된 진공로봇(31)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10)과 면증발원(20), 금속면시트(S), 마스크(12)는 이 진공로봇에 의해 각 챔버로 이송된다.
즉, 로봇(31)은 기판(10)과 면증발원(20), 금속면시트(S), 마스크(12)를 각 챔버에 인입하거나 챔버로부터 반출할 수 있도록, 진공로봇회전몸체가 로봇챔버(30)에 고정되어 있고 엔드이팩터가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 엔드이팩터는 각각의 챔버의 내부로 기판(10), 면증발원(20) 또는 마스크(12)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몸체가 늘어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팔각 모듈(110) 내에서, 증착공정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팔각 모듈(110) 밖에서 이전 공정을 끝낸 기판(10)은 기판 로딩 챔버(40) 내로 이송되고, 로봇챔버(30)의 로봇(31)은 기판 로딩 챔버(40)에 인입된 기판(10)을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로 이송한다.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의 각 챔버의 내측 상부에는 냉각된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가 면소스 냉각챔버(45)로부터 이송되어 배치된다.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 중 하나의 챔버에서 구비된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을 통해 상부로 증발된 유기물 기체가 면증발원(20)의 금속막시트에 유기박막(22)으로 증착되어, 면증발원(20)을 형성한다.
증착이 완료되어 면증발원(20)이 형성되면, 로봇은 형성된 면증발원(20)을 면소스 인버전챔버(43)로 이송하고, 이송된 면증발원(20)은 면소스 인버전챔버내에서 유기박막이 형성된 위치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하위치가 변경된다.
한편,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 중 하나의 챔버에서 증착을 완료한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 중 다른 챔버로 이동하여 해당 챔버의 상부로 유기물 기체를 증발시키고, 증발된 유기물 기체는 해당 챔버내에 구비된 면증발원(20)의 금속막시트에 유기박막으로 증착되므로, 연속적으로 면증발원(2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판(10)은 기판로딩챔버(40)로부터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의 각 챔버로 이송되고, 마스크(12)는 마스크저장챔버(47)로부터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의 각 챔버로 이송되어, 기판(10)에 미세 정렬된다.
유기박막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하위치가 변경된 면증발원(20)은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 중 하나의 챔버로 이송되고, 면증발원(20)으로부터 상부로 증발된 유기물 기체는 마스크를 거쳐 기판에 미세패턴으로 증착된다
기판에 증착이 완료되면, 로봇은 완료된 기판(20)을 기판언로딩챔버(41)로 이송하고, 기판은 다음 공정모듈로 이송된다.
한편,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 중 하나의 챔버에서 면증발원(20)으로부터 기판(10)으로 증착을 완료하는 와중에,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 중 다른 챔버에 로봇이 기판로딩챔버(40)로부터 기판(10)을 이송하여 인입시켜주면 기판(10)과 마스크(12)는 미세 정렬을 하며 면소스 인버젼챔버(43)로부터 면증발원(20)이 로봇에 의해 이송되어 면증발원(20)으로부터 기판(10)으로 증착을 준비한다. 이렇게 한 챔버에서는 증착을 하고 다른 챔버에서는 증착준비를 하는 과정이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의 두 챔버에서 번갈아가며 이루어져서, 연속적으로 기판 증착이 가능하게 된다.
증착된 유기박막을 소진한 면증발원(20)의 가열된 금속면시트는 대략 200℃ 정도로 가열된 상태이므로, 로봇에 의해 면소스 냉각챔버(45)로 이송되고, 냉각수에 의해 냉각판상에서 냉각된다.
냉각된 면증발원의 금속면시트는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로 이송되어 재사용된다.
팔각 모듈(110)의 기판 로딩 챔버(40)와 기판 언로딩 챔버(4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 로봇챔버(30)를 기준으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정 라인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기판 로딩 챔버(40)와 기판 언로딩 챔버(41)는 인접된 모듈로의 기판이송을 위해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기판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기판(10)을 이송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이송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는, 기판로딩챔버; 면소스 증착챔버; 면증발원 증착챔버; 면소스 냉각챔버; 기판저장챔버; 마스크저장챔버; 또는 기판언로딩챔버;에서 선택된 다수개의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선택된 챔버들과 연결된 로봇챔버가 구비된 육각모듈이나 사각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는, 기판(10)에 미세 패턴박막을 증착시키기 위하여, 기판로딩챔버(40);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 면소스 냉각챔버(45); 마스크저장챔버(47); 및 기판언로딩챔버(4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챔버들과 연결된 중앙에는 로봇챔버(32)가 구비된 육각모듈(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10)과 면증발원(20), 마스크는 로봇챔버(32)내의 로봇(35)에 의해 각 챔버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육각모듈(120)에서,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는 하향식으로 면증발증착공정을 수행하여 가열된 면증발원으로부터 마스크가 정렬된 기판에 유기물이 증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면증발가열장치가 챔버 내측상부에 배치되고, 기판(10)이 챔버 내측하부에 구비되며, 면증발원(20)이 챔버 내측 상부에 배치된 면증발가열장치로부터 가열되어 하향식으로 유기물을 기판에 증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향식으로 면증발증착공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는,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42)에서 유기박막(22)이 면증발원(20)의 하부에 증착되고, 유기박막이 하부에 증착된 면증발원(20)이 이 상태 그대로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44) 내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면소스 인버전챔버는 필요없게 된다.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의 구성적 특징은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은 다수개의 모듈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생산공정라인 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산장비는, 기판 로딩 및 베이크 모듈(121), Flip 및 플라즈마 전처리 공정모듈(122), 정공주입층(HIL) 오픈마스크 공정모듈(123), 정공수송층(HTL)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111, 112, 113), RGB 패턴의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115,116,117), 전자층(ETL/EIL) 오픈마스크 공정모듈(125), 투명전극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모듈(126), CPL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모듈(127), 기판 언로딩 및 Flip 모듈(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크공정은 기판의 baking공정을 의미하며, Flip공정은 기판을 뒤집는 공정을 의미한다. 또한, CPL 오픈마스크 증착공정은 평탄화역할과 유기물질을 보호하는 CPL(Capping Layer)을 증착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기판은 기판 로딩 및 베이크 모듈(121)로 소개되어 히팅공정이 수행되고, 플립 및 플라즈마 전처리 모듈(122)로 이송되어 기판은 플립되고 전처리공정이 수행된다. 이후에는, 정공주입층의 오픈마스크 공정 모듈(123)로 이송되어 공정이 수행되고, 정공수송층의 세도우마스크 모듈(111, 112, 113)과 RGB 패턴의 세도우마스크 모듈(115,116,117)로 이송되면서 패턴 증착공정이 수행된다. 그런 다음, 전자수송층과 전자주입층(ETL/EIL) 오픈마스크 모듈(125), 투명전극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모듈(126), CPL층 공정 모듈(127), 기판 언로딩 및 Flip 모듈(131)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공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 중 기판 로딩, 언로딩 및 Flip 모듈은 사각의 로봇이송 챔버형태로 구성되고, 오픈마스크 공정모듈은 육각의 로봇이송 챔버형태로 구성되며,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은 팔각의 로봇이송 챔버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세도우마스크 공정은 모두 팔각 모듈에서 수행되며, 오픈마스크 공정은 주로 육각 모듈에서 수행된다.
이때,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은, 비대칭 팔각구조이며, 기판로딩챔버;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면소스 인버전챔버;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 면소스 냉각챔버; 기판저장챔버; 마스크저장챔버; 및 기판언로딩챔버;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오픈마스크 공정모듈은, 육각구조이며, 기판로딩챔버;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 면소스 냉각챔버; 마스크저장챔버; 및 기판언로딩챔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 모듈이 연결되는 부위는 한 모듈의 기판 언로딩 챔버와 다음 모듈의 기판 로딩 챔버가 서로 연결되는 형식을 취한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다각 모듈로서 팔각모듈, 육각모듈 및 사각모듈을 예시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가진 다각모듈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모듈은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각 모듈 간의 연결부위도 고진공을 유지하고 있어서, 각각의 공정을 진행할 때마다 고진공의 환경을 해체 또는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 부위에는 리킹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하여 고진공의 환경이 온전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본 양산장비를 통해 목적하는 생산 TACT타임은 대략 45초로서, 제조가능한 AMOLED 소자의 고해상도는 2250ppi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10 : 기판 11 : 유기물 패턴
12 : 마스크 13 : 유기물 기체 분자빔
14 : 선형 유기물 증발원 20 : 면증발원
21 : 유기물 저장 도가니 22 : 유기박막
23 : 면증발가열장치 S : 금속면시트
30,32 : 로봇챔버 31,35 : 로봇
40 : 기판 로딩 챔버 41 : 기판 언로딩 챔버
42 : 이중 면소스증착챔버 43 : 면소스 인버전챔버
44 :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 45 : 면소스 냉각챔버
46 : 기판저장챔버 47 : 마스크저장챔버
110 : 팔각 모듈 120: 육각 모듈
121 : 기판 로딩 및 베이크 모듈
122 : Flip 및 플라즈마 전처리 모듈
123 : 정공주입층 오픈마스크 모듈
111,112,113 : 정공수송층의 세도우마스크 모듈
115,116,117 : RGB 패턴의 세도우마스크 모듈
125 : 전자층(ETL/EIL) 오픈마스크 모듈
126 : 투면전극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모듈
127 : CPL층 공정 모듈
131 : 기판 언로딩 및 Flip 모듈 P : 유기물 파우더

Claims (18)

  1. 기판로딩챔버(40); 유기물 선형증발원(21)에 의해 금속면시트(S)에 증착이 이루어지는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로 구성된 면소스 증착챔버(42); 유기물이 일면에 증착된 상기 금속면시트(S)로 형성된 면증발원(20)을 회전시켜 증착면의 상하위치를 바꾸는 공정을 수행하는 면소스 인버전챔버(43); 상기 면증발원(20)에 의해 기판에 증착이 이루어지는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로 구성된 면증발원 증착챔버(44); 면소스 냉각챔버(45); 기판저장챔버(46); 마스크저장챔버(47); 및 기판언로딩챔버(4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챔버들과 연결된 로봇챔버(30)가 구비된 팔각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는,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는 기판과 마스크 및 면증발원(20)이 구비되는 증착준비가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완료되면 연속해서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기판에 미세 패턴박막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소스 증착챔버(42)는,
    각 챔버의 내측에는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가 구비되고, 상기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상기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의 2개의 증착챔버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상기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의 각 챔버내에서 전후진 이동하며 스캐닝하여 상기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에 유기박막(22)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 선형증발원(21)은 상기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의 각 챔버를 교대로 이동하며, 상기 면증발원(20)의 금속면시트(S)에 유기박막(22)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증발원 증착챔버(44)는,
    각 면증발원 증착챔버내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기판과 마스크가 정렬되어 구비되고, 하부 또는 상부에는 상기 면증발원(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면증발원(20)에 증착된 유기박막(22)에서 증발된 유기물 기체가 기판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면증발원(20)의 후면에는 면증발가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소스 냉각챔버(45)는,
    내부에 냉각판(25)이 구비되어, 증착된 유기박막(22)을 증발시킨 면증발원(20)의 가열된 금속막시트(S)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챔버(30)는,
    진공로봇회전몸체와 상기 진공로봇회전몸체에 연결된 엔드이펙터로 된 로봇(31)을 포함하며, 기판과 면증발원, 금속면시트 및 마스크는 상기 로봇(31)에 의해 각 챔버로 인입 및 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12. 기판로딩챔버;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 면소스 냉각챔버; 기판저장챔버; 마스크저장챔버; 또는 기판언로딩챔버;에서 선택된 다수개의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선택된 챔버들과 연결된 로봇챔버가 구비된 육각모듈이나 사각모듈을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기판증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에서는 유기물 선형증발원에 의해 금속면시트에 유기물 증착이 이루어져 면증발원이 형성되고,
    상기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는 상기 면증발원으로부터 기판에 증착이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는 기판과 마스크 및 면증발원이 구비되는 증착준비가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완료되면 연속해서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기판에 미세 패턴박막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13. 제 1항 내지 제 4항, 제6 항, 제 7항,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팔각모듈과, 제 12항의 육각모듈 또는 사각모듈을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판은 기판 로딩되어 플립되고 전처리되며, 정공주입층의 오픈마스크공정, 정공수송층의 세도우마스크 증착공정과 RGB 패턴의 세도우마스크 패턴공정, 전자층(ETL/EIL)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투명전극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CPL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기판 언로딩 및 Flip 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14. 기판 로딩 및 베이크 모듈(121), Flip 및 플라즈마 전처리 공정모듈(122), 정공주입층(HIL) 오픈마스크 공정모듈(123), 정공수송층(HTL)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111, 112, 113), RGB 패턴의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115,116,117), 전자층(ETL/EIL) 오픈마스크 공정모듈(125), 투명전극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모듈(126), CPL 오픈마스크 증착공정 모듈(127), 기판 언로딩 및 Flip 모듈(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듈중 증착이 이루어지는 공정모듈에서,
    면증발원은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에서 유기물 선형증발원에 의해 금속면시트에 유기물 증착이 이루어져 형성되고,
    상기 면증발원으로부터 기판에의 증착은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는 기판과 마스크 및 면증발원이 구비되는 증착준비가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완료되면 연속해서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기판증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중 기판 로딩, 언로딩 및 Flip 모듈은 사각의 로봇이송 챔버형태로 구성되고, 오픈마스크 공정모듈은 육각의 로봇이송 챔버형태로 구성되며,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은 팔각의 로봇이송 챔버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세도우마스크 공정모듈은, 비대칭 팔각구조이며,
    기판로딩챔버;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면소스 인버전챔버;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 면소스 냉각챔버; 기판저장챔버; 마스크저장챔버; 및 기판언로딩챔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마스크 공정모듈은, 육각구조이며,
    기판로딩챔버;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 면소스 냉각챔버; 마스크저장챔버; 및 기판언로딩챔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18.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 및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기판증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챔버들과 연결된 로봇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중 면소스 증착챔버에서는 유기물 선형증발원에 의해 금속면시트에 유기물 증착이 이루어져 면증발원이 형성되고,
    상기 이중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는 상기 면증발원으로부터 기판에 증착이 이루어지되,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는 기판과 마스크 및 면증발원이 구비되는 증착준비가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의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완료되면 연속해서 다른 면증발원 증착챔버에서 증착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기판에 미세 패턴박막을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KR1020180037917A 2017-04-02 2018-04-02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KR101925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3842 WO2018186634A1 (ko) 2017-04-02 2018-04-02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JP2018543231A JP2019518131A (ja) 2017-04-02 2018-04-02 蒸発源を用いた高解像度amoled素子の量産装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658 2017-04-02
KR20170042658 2017-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699A KR20180111699A (ko) 2018-10-11
KR101925064B1 true KR101925064B1 (ko) 2018-12-04

Family

ID=6386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17A KR101925064B1 (ko) 2017-04-02 2018-04-02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518131A (ko)
KR (1) KR101925064B1 (ko)
CN (1) CN1090752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3273B (zh) * 2020-12-31 2022-12-16 南京深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amoled掩模版表面镀膜设备
CN114540769A (zh) * 2022-01-17 2022-05-27 合肥莱德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式蒸镀系统及多基板蒸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721A (ko) * 2006-02-17 2007-08-22 황창훈 벨트식 면소스를 이용하는 유기소자의 수직식 증착방법
WO2008069259A1 (en) * 2006-12-05 2008-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ilm formation apparatus, film formation meth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KR20140145383A (ko) * 2013-06-13 2014-12-23 진중 김 인라인형 대면적 oled 하향식 증착기
KR102162798B1 (ko) * 2014-08-12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TWM525538U (zh) * 2014-11-07 2016-07-11 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基板處理系統
KR101713613B1 (ko) * 2015-08-03 2017-03-09 주식회사 야스 왕복이송장치를 이용한 기판 연속 이송 인라인 증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699A (ko) 2018-10-11
CN109075267A (zh) 2018-12-21
JP2019518131A (ja)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897B1 (ko) 증착원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막 증착 장치
KR101826068B1 (ko) 유기층 증착 장치
KR101678056B1 (ko)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0498B1 (ko)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74877B1 (ko)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01351B1 (ko)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74875B1 (ko)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3017B1 (ko)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5417552B2 (ja) 蒸着粒子射出装置および蒸着装置
US8883259B2 (en)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20120094025A1 (en) Substrate Depositing System and Method
KR101174883B1 (ko)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93192B1 (ko) 박막 증착 장치
JP2011047048A (ja) 薄膜蒸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29895A (ko)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US8709837B2 (en)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KR101925064B1 (ko)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양산장비
KR20170102615A (ko) 플렉서블 oled 소자 패턴 제작용 면증발 증착기
JP2015001024A (ja) 有機層蒸着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KR101174885B1 (ko)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21648B1 (ko) 수직형 면증발원을 이용한 고해상도 amoled 소자의 클러스터형 양산장비
KR100762683B1 (ko) 유기 증발 증착원 및 이를 포함한 유기 증발 증착장치
KR101234231B1 (ko)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813199B1 (ko) 개구부의 각도가 상이한 증착원 및 이를 이용하는 박막증착 장치
WO2012108363A1 (ja) 坩堝、蒸着装置、蒸着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