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950B1 - 산업용 냉각기 - Google Patents

산업용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950B1
KR101924950B1 KR1020180070311A KR20180070311A KR101924950B1 KR 101924950 B1 KR101924950 B1 KR 101924950B1 KR 1020180070311 A KR1020180070311 A KR 1020180070311A KR 20180070311 A KR20180070311 A KR 20180070311A KR 101924950 B1 KR101924950 B1 KR 101924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in
protrusion
condenser
concave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환수
Original Assignee
강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환수 filed Critical 강환수
Priority to KR102018007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0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of the single uni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04Assemblies of fins having different features, e.g. with different fin dens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1100),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저장하는 수액기(200), 상기 수액기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300), 상기 팽창 밸브에서 팽창된 냉매가 가열되어 증발되는 증발기(400) 및 상기 증발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500)를 포함하는 산업용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용 냉각기 {Industrial Cooler}
본 발명은 산업용 냉각기 특히, 공냉식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 금형, 오일 쿨러, 호퍼, 제습 장치, 온조기 냉각수 공급, 압출 냉각 Roll등에서 고온의 금속등을 냉각하기 위하여 산업용 냉각기가 사용된다.
산업용 냉각기의 기본적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응축기(100), 수액기(200), 팽창 밸브(300), 증발기(400) 및 압축기(500)릉 포함한다.
증발기(400)는 내부에 응축기(100)에서 응축되고 팽창 밸브(300)에서 팽창된 저온 저압의 냉매가 통과하게 되며, 상기 저온 저압의 냉매는 피냉각물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고온으로 증발하게 된다.
증발기(400)에서 증발된 고온 저압의 냉매는 압축기(500)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으로 되며, 이는 응축기(100)를 통과하면서 저온 고압의 냉매로 변화된다.
응축기(100)에서 고온의 냉매를 냉각시키는데, 냉각시키는 방식에 따라 공냉식과 수냉식으로 구분된다.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냉매를 냉각하는 방식이 공냉식으로 팬(600)을 응축기 옆에 또는 위에 설치하여 공기를 응축기로 순환시켜서 응축기를 흐르는 냉매를 냉각시키게 된다.
응축기로 배출되는 냉매는 수액기(200)에 저장되어 있다가 팽창 밸브(300)을 통해 팽창되면서 압력이 떨어지고 증발기(400)로 보내진다.
응축기(100)에는 냉각 핀(120)이 부착되어 응축기(110)를 통과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의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냉각 핀(120)에는 사용중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어 열효율을 감소시킬수 있어 이러한 이물질 제거가 필요하다.
또한, 고온 냉매는 상기 응축기(100)의 입구를 통해 들어와 냉각되어 하부의 출구를 통해 나가게 되는데, 고온 냉매가 들어오는 냉각 핀(120)의 상부는 하부에 비하여 열에 의한 변형이 크게 된다.
등록 특허 제10-1198414호 (2012.10.31) 공개 특허 제10-2011-0112533호 (2011.10.13)
본 발명은 냉각 핀을 응축기로부터 분리해서 주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냉각 핀의 열전달 효율을 증가 시키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냉각 핀이 고온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1100),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저장하는 수액기(200), 상기 수액기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300), 상기 팽창 밸브에서 팽창된 냉매가 가열되어 증발되는 증발기(400) 및 상기 증발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500)를 포함하는 산업용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응축기(1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냉각핀(12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1200)은 응축기(1100)를 감싸며 서로 맞추어지는 제1 냉각핀(1210) 및 제2 냉각핀(1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냉각핀(1210)은 수직 몸체(1211), 상기 수직 몸체(1211)의 측면에 돌출된 제1 돌출부(1212), 제2 돌출부(1216) 및 복수의 내측 돌출부(1215)와 측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는 복수의 오목 홈(1217)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 돌출부(1212) 및 제2 돌출부(1216)는 수직 몸체(1211)의 양쪽 단부 쪽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 돌출부(1215)는 상기 제1 돌출부(1212) 및 제2 돌출부(1216)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냉각핀(1210)의 복수의 오목 홈(1217)은 상기 복수의 내측 돌출부(1215) 사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냉각핀(1220)은 수직 몸체(1221), 상기 수직 몸체(1221)의 측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는 제1 오목부(1222), 제2 오목부(1226), 복수의 내측 오목부(1225) 및 오목 홈(1227)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부(1222) 및 제2 오목부(1226)는 수직 몸체(1221)의 양쪽 단부 쪽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 오목부(1225)는 상기 제1 오목부(1222) 및 제2 오목부(1226)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냉각핀(1220)의 복수의 오목 홈(1227)은 상기 복수의 내측 오목부(1225) 사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돌출부(1212)와 제2 돌출부(1216)는 상기 내측 돌출부(1215)에 비하여 단면의 크기기 크고, 상기 제1 오목부(1222)와 제2 오목부(1226)은 상기 내측 오목부(1225)에 비하여 단면의 크기가 크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냉각핀(1210) 및 제2 냉각핀(122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오목부(1222)는 수직 몸체(1221)의 양쪽 단부에서 상부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목부(1226)은 수직 몸체(1221)의 양쪽 단부에서 하부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냉각핀(1220)은 상단면에서 제1 오목부(1222)까지 관통하는 제1 수직홀(1223)과 하단면에서 제2 오목부(1226)까지 관통하는 제2 수직홀(122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홀(1223)의 상부와 제2 수직홀(1226)의 하부에는 카운터 보링(1224, 1229)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부(1212)의 상부에는 제1 나사산 홀(1213)이 제2 돌출부(1216)희 하부에는 제2 나사산 홀(12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세서 상기 제1 냉각핀(1210)의 복수의 오목 홈(1217)과 상기 제2 냉각핀(1220)의 복수의 오목 홈(1227)의 오목홈 사이에 응축기(1100)가 위치한다.
본 발명은 냉각 핀을 응축기에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여 주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하였고 이로 인하여 냉각 핀의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온부에서 냉각 핀의 두께가 저온부에서 보다 크게 하여 고온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이 적용되는 산업용 냉각기의 도식도이다.
도 2는 종래 냉각핀이 부착된 응축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종래 냉각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핀이 부착된 응축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응축기의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이 적용되는 산업용 냉각기의 도식도이며 도 2는 종래 냉각핀이 부착된 응축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래 냉각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핀이 부착된 응축기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응축기의 모습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서 냉각 핀(1200)이 상부에서 하부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단과 끝단이 평행한 사다리꼴 형태가 된다.
상기 냉각핀(1200)은 제1 냉각핀(1210)과 제2 냉각핀(1220)으로 이루어진다.
제1 냉각핀(1210)의 오목 홈(1217)과 제2 냉각핀(1220)의 오목홈(1227)은 응축기(1100)를 감싸면서 서로 결합하게 된다.
제1 냉각핀(1210)은 수직 방향의 몸체(1211)와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내측 돌출부(12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211) 측면의 양쪽 끝 부분에는 제1 돌출부(1212)와 제2 돌출부(1216)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돌출부(1212)의 상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산 홀(1213)이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2 돌출부(1216)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나사산 홀(121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냉각핀(1220)은 수직 방향의 몸체(1221)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내측 오목부(1225)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 냉각핀(1210)의 내측 돌출부(1215)와 맞추어지면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냉각핀(1220)의 수직 몸체(1221)의 양쪽 단부 부분에서는 제1 오목부(1222) 및 제2 오목부(1226)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냉각핀(1210)의 제1 돌출부(1212)와 제2 돌출부(1216)와 맞추어진다.
상기 제1 돌출부(1212)와 제2 돌출부(1216)는 제1 나사산 홀(1213) 및 제2 나사산 홀(1218)이 형성되므로, 상기 내측 돌출부(1215)에 비하여 단면의 크기기 크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오목부(1222)와 제2 오목부(1226)은 제1 돌출부(1212)와 제2 돌출부(1216)과 맞추어지므로, 내측 오목부(1225)에 비하여 단면의 크기가 크다.
또한, 상기 제2 냉각핀(122)에는 수직 몸체(1221)의 상단면에서 상기 제1 오목부(1222) 까지 관통되는 제1 수직 홀(1223)과 상기 제1 수직홀(1223)의 상부에 볼트의 머리가 놓일 수 있는 제1 카운터 보링(12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몸체(1221)의 하단면에서 상기 제2 오목부(1226)까지 관통되는 제2 수직 홀(1228)과 상기 제2 수직홀(1228)의 하부에 볼트의 머리가 놓일 수 있는 제2 카운터 보링(1229)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냉각 핀(1200)은 제1 냉각핀(1210)과 제2 냉각핀(1220)이 응축기(1100)를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는 형태이다.
상기 제1 냉각핀(1210)의 제1 돌출부(1212), 제2 돌출부(1216) 및 내측 돌출부(1215) 각각은 제2 냉각핀(1220)의 제1 오목부(1222), 제2 오목부(1226) 및 내측 오목부(1225)와 맞추어지면서 서로 결합한다.
또한, 제1 볼트는 제2 냉각핀(1210)의 상단면으로부터 제1 오목부(1222)까지 관통하는 제1 수직홀(1223)을 통과하여 제1 돌출부(1212)의 제1 나사산 홀(1213)에 끼워지면서 제1 냉각핀(1210)과 제2 냉각핀(1220)을 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볼트는 제2 냉각핀(1210)의 하단면으로부터 제2 오목부(1226)까지 관통하는 제2 수직홀(1228)을 통과하여 제2 돌출부(1216)의 제2 나사산 홀(1218)에 끼워지면서 제1 냉각핀(1210)과 제2 냉각핀(12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냉각핀(1200)을 분해 조립이 용이한 상태로 제작하여 냉각핀(1200)을 응축기 관(1100)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냉각핀(1200)은 상부에서 하부로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의 고온부에서 열변형이 적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 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응축기 200: 수액기
300: 팽창 밸브 400: 증발기
500: 압축기 600: 팬
1100: 응축기 1200: 냉각핀
1210: 제1 냉각핀 1220: 제2 냉각핀

Claims (4)

  1.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1100), 상기 응축기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저장하는 수액기(200), 상기 수액기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300), 상기 팽창 밸브에서 팽창된 냉매가 가열되어 증발되는 증발기(400) 및 상기 증발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500)를 포함하는 산업용 냉각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냉각핀(120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1200)은 응축기(1100)를 감싸며 서로 맞추어지는 제1 냉각핀(1210) 및 제2 냉각핀(1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핀(1210)은 수직 몸체(1211), 상기 수직 몸체(1211)의 측면에 돌출된 제1 돌출부(1212), 제2 돌출부(1216) 및 복수의 내측 돌출부(1215)와 측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는 복수의 오목 홈(1217)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1212) 및 제2 돌출부(1216)는 수직 몸체(1211)의 양쪽 단부 쪽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 돌출부(1215)는 상기 제1 돌출부(1212) 및 제2 돌출부(1216)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냉각핀(1210)의 복수의 오목 홈(1217)은 상기 복수의 내측 돌출부(1215) 사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냉각핀(1220)은 수직 몸체(1221), 상기 수직 몸체(1221)의 측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는 제1 오목부(1222), 제2 오목부(1226), 복수의 내측 오목부(1225) 및 오목 홈(1227)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부(1222) 및 제2 오목부(1226)는 수직 몸체(1221)의 양쪽 단부 쪽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 오목부(1225)는 상기 제1 오목부(1222) 및 제2 오목부(1226)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냉각핀(1220)의 복수의 오목 홈(1227)은 상기 복수의 내측 오목부(1225) 사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돌출부(1212)와 제2 돌출부(1216)는 상기 내측 돌출부(1215)에 비하여 단면의 크기기 크고, 상기 제1 오목부(1222)와 제2 오목부(1226)은 상기 내측 오목부(1225)에 비하여 단면의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냉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핀(1210) 및 제2 냉각핀(122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냉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1222)는 수직 몸체(1221)의 양쪽 단부에서 상부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목부(1226)은 수직 몸체(1221)의 양쪽 단부에서 하부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냉각핀(1220)은 상단면에서 제1 오목부(1222)까지 관통하는 제1 수직홀(1223)과 하단면에서 제2 오목부(1226)까지 관통하는 제2 수직홀(122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홀(1223)의 상부와 제2 수직홀(1226)의 하부에는 카운터 보링(1224, 1229)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1212)의 상부에는 제1 나사산 홀(1213)이 제2 돌출부(1216)희 하부에는 제2 나사산 홀(12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냉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핀(1210)의 복수의 오목 홈(1217)과 상기 제2 냉각핀(1220)의 복수의 오목 홈(1227)의 오목홈 사이에 응축기(1100)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냉각기.
KR1020180070311A 2018-06-19 2018-06-19 산업용 냉각기 KR101924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11A KR101924950B1 (ko) 2018-06-19 2018-06-19 산업용 냉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11A KR101924950B1 (ko) 2018-06-19 2018-06-19 산업용 냉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950B1 true KR101924950B1 (ko) 2018-12-04

Family

ID=6466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311A KR101924950B1 (ko) 2018-06-19 2018-06-19 산업용 냉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9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432Y1 (ko) 1997-10-22 2000-04-01 황한규 에어컨의 응축기 홀더 브래킷
JP3497827B2 (ja) 2000-09-08 2004-02-16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小型空気調和機
KR101132186B1 (ko) 2010-04-07 2012-04-05 주식회사 대일 산업용 냉각기의 온도제어 시스템
KR101702810B1 (ko) 2016-06-07 2017-02-03 신경재 열교환 장치용 물결형 냉각 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432Y1 (ko) 1997-10-22 2000-04-01 황한규 에어컨의 응축기 홀더 브래킷
JP3497827B2 (ja) 2000-09-08 2004-02-16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小型空気調和機
KR101132186B1 (ko) 2010-04-07 2012-04-05 주식회사 대일 산업용 냉각기의 온도제어 시스템
KR101702810B1 (ko) 2016-06-07 2017-02-03 신경재 열교환 장치용 물결형 냉각 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377B1 (ko) 차량용 컨덴서
JP5620710B2 (ja) 車両空調システム用エバポレータ組立品、車両用空調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hvacシステム
CN102200365A (zh) 冰箱
KR101924950B1 (ko) 산업용 냉각기
KR20060129789A (ko) 실외기 없는 에어컨
CN208671191U (zh) 一种一体式立式空调机组
KR102402382B1 (ko) 냉동컴프레셔용 공냉식 가스냉각기
KR101924948B1 (ko) 수냉식 산업용 냉각기
CN209415848U (zh) 辅助过冷蒸发式冷凝器
CN207335526U (zh) 一种石墨冷凝设备
WO2020140211A1 (zh) 换热器、换热组件及空调设备
TWM522328U (zh) 製冷裝置
CN215260182U (zh) 空调室外机
CN212842308U (zh) 一种复叠式冷水机组
CN212870289U (zh) 一种线缆车间生产用具有防堵塞功能的冷水机
CN205351865U (zh) 一种冷热两用温控机
CN215892816U (zh) 一种风冷式工业冷水机
KR200169554Y1 (ko) 열교환기용 파이프
CN210014507U (zh) 一种间接蒸发冷却复合电制冷的内循环空调装置
KR200239504Y1 (ko) 냉난방기의 공냉식 응축기 열교환 장치
CN209459255U (zh) 板换磁悬浮机
US20230251043A1 (en) Thermoelectric cooling device and cold water generator having same
CN216845185U (zh) 一种双冷源风冷工业冷水机组
KR101151872B1 (ko) 터보냉동기의 증발기용 전열관
CN210874740U (zh) 一种用于气液分离及冷却的外置后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