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873B1 -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873B1
KR101924873B1 KR1020170105388A KR20170105388A KR101924873B1 KR 101924873 B1 KR101924873 B1 KR 101924873B1 KR 1020170105388 A KR1020170105388 A KR 1020170105388A KR 20170105388 A KR20170105388 A KR 20170105388A KR 101924873 B1 KR101924873 B1 KR 10192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vegetables
cases
patter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균
Original Assignee
마니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니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니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873B1/ko
Priority to PCT/KR2018/009491 priority patent/WO2019039802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성장된 과채류에 손쉽게 장착가능하고, 미성장된 과채류의 성장 과정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장착 위치가 크게 변동되지 않고,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새길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open-top)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가지며 외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상에 배치된 패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FORMING PATTERNS ON SURFACE OF FRUITS AND VEGETABLES}
본 발명은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성장된 과채류에 손쉽게 장착가능하고, 미성장된 과채류의 성장 과정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장착 위치가 크게 변동되지 않고,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새길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의 산지와 상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과일이나 채소에 상표나 특정 문자를 새겨 판매하여 다른 상품들과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과일을 과일 본연의 형태가 아닌 소정의 형태로 형성하거나 과일의 표면에 '합격', '복' 등의 문자나 그림을 새겨 넣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불러 일으켜 판매를 촉진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시도 중 과일에 상표나 산지, 기념메시지 등의 문자나 그림을 영구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과일의 생장과정 중에 소정의 표시를 나타내는 형상의 스티커를 부착해서 부착 부위에 햇빛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스티커의 형태에 대응하는 모양의 표시가 과일 표피의 변색에 의해 형성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과일의 적당한 생장시기에 맞추어 스티커를 부착하여야 하고 변색이 되기 위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스티커 부착 후 과실류의 성장과 바람이나 폭우 등으로 인하여 부착상태가 느슨해져 선명한 문자나 도형을 얻지 못하는 불량 인쇄 상태의 과실류가 다량으로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사과나 망고, 수박 등 표피의 색이 선명한 과일의 경우에는 문자표시 효과가 있으나, 배나 감, 오렌지, 귤, 메론 등의 경우에는 빛 차단에 의한 문자형성에 별 다른 효과를 얻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과일의 생성 과정에서 표피를 상처를 내어 과일의 표면에 문자 또는 도형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과실류의 표피에 상처를 내어 형성하는 경우 성정과정에 있는 과실류의 표피에 흠집을 내어야 하므로 상당한 정밀도가 요구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과일의 성장에 따라 상처가 회복되어 문자나 도형을 인식하지 못하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85166에 "과일이나 채소의 열매 형상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성장하는 채소의 열매나 과일 외 측에서 성장기의 열매를 2장의 판으로 감싸도록 하고 2장의 판 내부에는 여러 조각의 독립된 형태로서 성장하는 열매 주변에 위치되게 하면서 탄성 밴드나 고무줄로 판과 연결하거나 고정시켜 과일 외주면 마다 독립적으로 가압 되는 압력을 상황에 따라 조절 가능한 열매 형상 제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는 열매 형상 제어 장치의 2장의 판이 과일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과일의 생장을 억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특허의 열매 형상 제어 장치는 과일의 전체 형상이 미리 결정된 형상이 되도록 하므로, 과일에 특정한 문양이나 문자 등을 새기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8516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명확히 식별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미성장된 과채류에 손쉽게 장착가능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미성장된 과채류의 성장 과정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장착 위치가 크게 변동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새길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open-top)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가지며 외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상에 배치된 패턴부; 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 상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걸림부들 사이에 형성된 홈에 걸려 결합되는 탄성고리일 수 있다.
상기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며 고리 형태를 갖는 비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어느 하나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함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단면은, 원 형상, 타원 형상, 다각 형상, 별 형상, 식물 형상, 꽃 형상, 식물 잎 형상, 사람 또는 동물 형상, 글자 형상, 및 자연 또는 인공 캐릭터 또는 조형물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문자, 문양, 그림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케이스의 내면 상에 설치된 탄성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open-top)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가지며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상에 배치된 패턴부; 및 상기 한 쌍의 케이스들의 개구부들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케이스들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open-top)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가지며 외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를 양측의 그립부로서 포함하는 집게;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상에 배치된 패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open-top)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가지며 외면에 걸림부가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 상기 한 쌍의 케이스에 각각 양측의 그립부가 연결된 집게;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상에 배치된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하면,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명확히 식별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미성장된 과채류에 손쉽게 장착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미성장된 과채류의 성장 과정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장착 위치가 크게 변동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새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B 라인을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외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내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미성장 과채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성장을 마친 과채류 상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B 라인을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덜 익은 과채류(10) 상에 설치되어, 과채류(10)가 성장하면서 과채류의 표면에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한 쌍의 케이스(110, 120),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케이스(110, 120)는 과채류(10)를 그 사이에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open-top) 그릇 또는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각각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케이스(110, 120)가 서로 내면이 대향하도록 위치하면 그 사이에 공간이 생기며, 과채류(10)는 그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 120)는 각각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112, 122) 및 그 내면에 형성된 패턴부(114, 1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케이스의 각각이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지만, 두 개의 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만 패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과채류(10)는 한 쌍의 케이스(110, 1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들(110, 120)은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에 의해 과채류(10) 상에 지지되어 있다.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는 걸림부들(112, 122)에 의해 규정된 체결홈들 각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가 걸림부들(112, 122)에 의해 규정된 하나의 체결홈에 함께 위치할 수도 있다. 즉, 걸림부들(112, 122)은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을 가이드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체결홈을 형성한다. 도 1에서는 케이스(110)에 형성된 걸림부들(112)들의 개수는 체결홈의 개수보다 많다.
상기 탄성 부재(140) 또는 비탄성 부재(150)는 그 개수와 위치는 과채류의 크기, 과채류의 딱딱함 정도, 탄성 부재의 탄성력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2개의 탄성 부재(140) 및 3개의 비탄성 부재(150)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탄성 부재(140)는 고리 또는 밴드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재질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14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비탄성 부재(150)는 고리 형상을 가지며, 비탄성 재질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40)는 과채류(10)가 미성장한 상태에서 과채류(10) 상에 케이스(110, 120)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140)의 원주는 케이스들(110, 120)이 설치되는 시점의 미성장 과채류(10)의 둘레(circumference)의 일정 범위 내에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140)는 미성장 과채류(10) 상에 케이스(110, 120)들을 지지하도록 케이스들(110, 120)이 미성장 과채류(10) 상에 설치되는 시점의 케이스들(110, 120)의 둘레 이하의 원주를 갖는다. 상기 고리 형상을 갖는 탄성 부재가 상기 미성장 과채류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체결홈에서 측정한 상기 케이스들의 둘레보다 작은 원주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 미성장 과채류가 설치될 때, 즉 초기 설치시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탄성 부재(150)는 과채류(10)가 성장을 마치기 전에 과채류(10)에 대해 케이스(110, 120)를 통한 압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비탄성 부재(150)의 원주는 성장을 마친 과채류(10)의 둘레(circumference)의 일정 범위 내에 있다. 예컨대, 비탄성 부재(150)는 케이스들(110, 120)이 미성장 과채류(10)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도록 성장을 마친 과채류(10)가 사이에 위치할 때의 케이스들(110, 120)의 둘레보다 작은 원주를 갖는다. 즉, 상기 고리 형상을 갖는 비탄성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 미성장 과채류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외력을 부여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미성장 과채류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한 미성장 과채류가 되었을 때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외력을 부여할 수 있는 원주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탄성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외력이 부여될 때부터 설치된 미성장 과채류(10)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예컨대, 비탄성 부재(150)는 성장을 마친 과채류(10)가 케이스들(110, 120) 사이에 배치된 경우 그 위치하는 체결홈에서 케이스들(110, 120)의 둘레의 약 90% 내외의 크기의 원주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비탄성 부재(150)는 과채류(10)가 90% 정도 성장한 이후 과채류(10)를 둘러싼 케이스(110, 120)가 과채류(10)을 압박하도록 90% 성장한 과채류(10)가 케이스들(110, 120) 사이에 위치한 경우의 케이스들(110, 120)의 둘레의 일정 범위 내의 원주를 갖는다. 그에 따라, 과채류(10)가 과채류가 90% 정도 성장했을 때부터 비탄성 부재(150)에 의하여 압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케이스(110 또는 120)의 내면에 형성된 패턴부(114 또는 124)의 패턴이 과채류(10)의 표면에 새겨지기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90%라는 수치는 본 발명의 일 예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는 케이스들(110, 120)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들(112, 122)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에 위치한다. 체결홈들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케이스들(110, 120)이 예컨대,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룬다면, 체결홈들에서의 케이스들(110, 120)의 둘레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체결홈들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케이스들(110, 120)이 예컨대, 구형의 형상을 이룬다면, 체결홈들에서의 케이스들(110, 120)의 둘레는 다른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는 자신이 위치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케이스들(110, 120)의 둘레는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가 위치하는 상기 걸림부들(112, 122) 사이에 형성된 체결홈들에서 각각 다르기 때문에,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는 케이스들(110, 120) 상에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원주가 다를 수 있다.
도 1에서는, 3개의 비탄성 부재(150)중 1개는 과채류(10)의 중심에 배치되고, 2개는 과채류(10)의 양 단부 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비탄성 부재(150)가 과채류(10)의 중심에 배치되므로, 과채류(10)의 성장 시 케이스(110, 120)가 받는 압력 때문에 케이스의 형태 변형을 보다 적게 한다.
이에 따라, 걸림부(112, 122),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로 인해, 한 쌍의 케이스(110, 120)가 과채류를 감싼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과채류(10)를 조개 껍질 같은 한 쌍의 케이스(110, 120)가 감싸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 120)의 내면에는 패턴부(114, 124)가 형성되어 있다.
과채류(10)의 표면은 각 케이스(110, 120)이 내면과 맞닿아 있다. 또한, 과채류(10)의 표면의 일부는 패턴부(114, 124)와 맞닿아 있다. 과채류(10)의 외면 상에 위치한 케이스(110, 120)를 탄성 부재(140) 또는 비탄성 부재(150)가 압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턴부(114, 124)는 케이스(110, 1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110, 120)의 패턴부(114, 124)와 맞닿아 있는 과채류(10)의 표면 부분은 패턴부(114, 124)로 인해 각 케이스(110, 120)이 내면과 맞닿아 있는 표면 부분에 비해 더 압박될 수 있다. 또한, 과채류(10)가 성장하여 커질수록 탄성 부재(140) 또는 비탄성 부재(150)에 의한 압박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과채류(10)가 성장을 완료하면, 과채류(10)의 표면에서 패턴부(114, 124)에 대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덜 성장하여 함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패턴부(114, 124)는 케이스(110, 120)의 내면으로부터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110, 120)의 패턴부(114, 124)와 맞닿아 있는 과채류(10)의 표면 부분은 패턴부(114, 124)로 인해 각 케이스(110, 120)이 내면과 맞닿아 있는 표면 부분에 비해 덜 압박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과채류(10)가 성장하여 커질수록 탄성 부재(140) 또는 비탄성 부재(150)에 의한 압박력이 패턴부(114, 124)에 해당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작아진다. 따라서, 과채류(10)가 성장을 완료하면, 과채류(10)의 표면에서 패턴부(114, 124)에 대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더 성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하나의 케이스의 내면 및 외면을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외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내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하나의 케이스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한 쌍의 케이스들 중 다른 하나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 및 기능을 가지므로, 다른 하나의 케이스는 하나의 케이스에 관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과 달리, 도 3에서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2개의 탄성 부재(140) 및 2개의 비탄성 부재(150)를 포함한다. 2개의 탄성 부재(140)는 케이스(110)의 중심 영역에 걸림부들에 의해 규정된 체결홈들에 걸려 있고, 2개의 비탄성 부재(150)는 케이스(110)의 상부와 하부에 걸림부들에 의해 규정된 체결홈들에 걸려 있다.
각 케이스(110)의 외면은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광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가 광 투과성을 가지면, 케이스(110)에 과채류가 위치된 경우에도 과채류의 표면으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광 투과성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불투명할 수도 있다.
즉, 케이스(110)는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한 어떠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채류가 배인 경우, 배는 일반적으로 불투명한 봉투에 씌워진 채 성장하기 때문에 케이스(110)는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한편, 과채류가 사과인 경우, 사과는 일반적으로 성장 시 빛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케이스(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수지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폴리머(polymer)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사이클로올레핀공중합체(cyclic olefin copolymer (COC)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상부가 개방된(open-top) 그릇 또는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갖는다. 하나의 케이스(110)는 다른 케이스와의 사이에 과채류가 배치된 경우 과채류를 감싸도록 그 형상이 결정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용기의 형상은 반구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용기의 형상은 반구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과채류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용기의 단면이 타원 형상, 다각 형상, 하트 형상, 별 형상, 식물 형상, 꽃 형상, 식물 잎 형상, 사람 또는 동물 형상, 글자 형상, 자연 또는 인공 캐릭터 또는 조형물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가 표현 가능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만약 과채류의 형상이 타원형이면, 케이스(110) 용기는 반타원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의 걸림부(112)는 케이스(110)의 외면에 형성된다. 걸림부(112)는 케이스(110)의 외면에 결합된 것일 수도 있고, 케이스(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케이스(110, 120)가 과채류를 감쌀 때, 걸림부(112, 122)는 한 쌍의 케이스(110, 120)가 과채류 상에 지지되도록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리도록 케이스(110, 120)의 외면의 반구형 형상의 둘레를 따라 각 케이스(110, 1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걸림부(112, 122)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그에 따라, 걸림부들(112 또는 122) 사이에 홈이 형성되고,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는 상기 걸림부들(112 또는 122) 사이에 홈 또는 오목부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다시 말해, 걸림부(112)는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가 각 케이스(110, 120)의 외표면 상에서 지지되도록 케이스(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내면에 형성된 패턴부(114)를 포함한다. 패턴부(114)는 케이스(110)의 내면에 배치된다. 패턴부(114)는 케이스(110)의 내면에 결합된 것일 수도 있고, 케이스(110)의 내면과 일체일 수도 있다. 즉, 케이스(110)는 양각 형태 또는 음각 형태일 수 있다. 즉, 패턴부(114)는, 케이스(110)의 내면 및 외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된 입체 패턴일 수 있다. 또한, 패턴부(114)는 미리 결정된 글자, 문양, 그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는 패턴부(114)는 알파벳 R을 나타내고 있다. 알파벳 R이 과채류의 표면에 새겨지기 때문에, 패턴부(11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미러(mirror) 이미지에 해당하는 패턴을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패턴부(114)는 과채류의 표면에 새길 글자, 문양, 또는 그림의 좌우 미러 이미지에 해당하는 패턴을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턴부(114, 124)는 프린팅 기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턴부(114, 124)는 몰딩 기법에 의해 케이스(110, 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부(114, 124)는, 케이스(110, 120)의 내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오목하거나 볼록하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과채류가 도 1의 한 쌍의 케이스(110, 120)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성장하면, 과채류의 표면은 케이스(110)의 내면과 맞닿게 된다. 과채류의 표면의 일부는 케이스(110)의 내면 상에 형성된 패턴부(114)에도 맞닿게 된다. 패턴부(114)는 케이스(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내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것이다.
한편, 패턴부(114)의 투명도를 조절하면 과채류의 표면에서 패턴부(114)과 대응되는 부분에 다양한 색상의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컨대, 패턴부(114, 124)가 프린팅 기법에 의해 형성된 경우, 패턴부(114, 124)는 투명, 불투명 및 반투명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 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패턴부(114, 124)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과채류 예컨대, 붉은 사과의 표면중 패턴부(114, 124)와 대응되는 부분은 햇빛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붉어지지 않으며, 패턴부(114, 124)에 대응하지 않는 붉은 사과의 부분은 붉은 사과 본연의 색상을 띠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스(110, 12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패턴부(114, 124)가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과채류 예컨대, 붉은 사과의 표면중 패턴부(114, 124)와 대응되는 부분은 햇빛을 받기 때문에 붉어지며, 패턴부(114, 124)에 대응하지 않는 붉은 사과의 부분은 햇빛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붉은 사과가 빛을 받지 못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색을 띠게 된다.
사과의 표면에서 프린팅 패턴(170)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사과 본연의 색상으로 형성시키고, 프린팅 패턴(170)과 대응되는 부분은 사과가 빛을 받지 못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색과는 다른 색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써, 케이스(131)가 불투명한 재질이고, 프린팅 패턴(170)이 투명한 재질이면, 케이스(131)와 대응되는 부분의 색깔은 사과가 빛을 받지 못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색을 띠는 반면, 프린팅 패턴(170)에 대응되는 부분은 사과 본연의 색상을 띤다.
만약, 상기 패턴부(114, 124)는 몰딩 기법에 의해 케이스(110, 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패턴부(114, 124) 상에 채색을 함으로써 과채류에 형성되는 패턴과 나머지 표면이 다른 색을 띠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과채류가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패턴이 형성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5(a)는 미성장 과채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성장을 마친 과채류 상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다 성장하지 않은 즉, 미성장의 과채류를 한 쌍의 케이스(110, 120)가 감싸고 있고, 한 쌍의 케이스(110, 120)는 탄성 부재(140)에 의해 과채류의 표면 상에서 지지된다. 탄성 부재(140) 및 비탄성 부재(150)는 케이스(110, 120) 상에 형성된 걸림부(112, 122)에 걸려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채류가 다 성장하지 않았을 때, 한 쌍의 케이스(110, 120)을 탄성 부재(140)를 이용하여 과채류(10)에 설치한다.
과채류(10)를 케이스(110, 120)로 감싸기 전이나, 과채류(10)의 크기가 작을 때는 탄성 부재(140)는 한 쌍의 케이스(110, 120)를 압박하면, 케이스들(110, 120) 사이의 간격이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즉, 탄성 부재(140)는 한 쌍의 케이스들(110, 120)가 계속 과채류(10) 상에 지지되도록 즉, 과채류(10)에 지속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압박력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미성장 과채류(10)는 패턴부(114, 124)와 맞닿게 된다.
또한, 비탄성 부재(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들(110, 120)이 미성장 과채류(10)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도록 성장을 마친 과채류(10)가 사이에 위치할 때의 케이스들(110, 120)의 둘레보다 작은 원주를 갖는다.
예컨대, 비탄성 부재(150)는 성장을 마친 과채류(10)가 케이스들(110, 120) 사이에 배치된 경우 그 위치하는 체결홈에서 케이스들(110, 120)의 둘레의 약 90% 내외의 크기의 원주를 가질 수 있다.
미성장 과채류(10) 상에 케이스(110, 120)를 설치할 때, 비탄성 부재(150)는 길이가 남아서 도 5(a)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늘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채류(10)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면서 커지게 되면, 비탄성 부재(150)의 늘어진 부분이 점점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과채류(10)는 90% 정도 성장하였을 때, 비탄성 부재(150)는 최대로 당겨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과채류(10)가 90% 정도 성장했을 때부터 과채류(10)가 성장할수록 비탄성 부재(150)에 의하여 압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케이스(110 또는 120)의 내면에 형성된 패턴부(114 또는 124)의 패턴이 과채류의 표면에 새겨지기 시작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120)의 내부 곡률 반경이 과채류(10)의 곡률 반경보다 더 커서, 과채류(10) 예컨대, 사과가 더 자랄 때 케이스(110, 120) 내의 여유 부분을 서서히 채워가면서 커지게 된다. . 과채류(10)가 완전히 성장했을 때도 여유 부분이 다소 남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여유 부분 없이 과채류(10)가 케이스(110, 120)에 완전히 끼인 채 자라거나 케이스(110, 120)의 테두리 가장자리를 넘어서 자랄 경우에는 케이스(110, 120)의 테두리 형상이 과채류에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케이스(110)의 내면 상에 설치된 탄성 시트 또는 필름(21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 시트(210)는 패턴부(114)를 덮고 있기 때문에, 과일이 자랄 때 과피가 패턴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한다. 통상적으로, 패턴부(114)는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패턴부(114)가 과피와 맞닿으면 과피의 표면이 스크래치 등으로 손상 당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시트(210)는 패턴부(114)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탄성 시트(210)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시트(210)는 매우 유연하므로 과일이 자라면서 과일표면이 패턴의 요철형태로 변하는데 저항이 없다.
또한, 탄성 시트(210)는 성장한 과일로부터 케이스를 벗겨 낼 때도, 딱딱한 패턴 모서리가 과일을 긁어 과피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open-top)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가지며,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80a, 180b)가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110a, 110b) 및 상기 한 쌍의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80a, 180b)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케이스(110a, 110b)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140) 또는 비탄성 부재(1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케이스(110, 120)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부들(180a, 180b)은 한 쌍의 케이스(110, 120)가 과채류에 설치될 때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들(180a, 180b)이 각 케이스마다 8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부들의 개수는 과채류 상에 한 쌍의 케이스(110b, 120b)를 과채류 상에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open-top)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가지며 외면에 걸림부(322, 332)가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320, 330)를 양측의 그립부로서 포함하는 집게(300), 상기 걸림부(322, 332)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140) 및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상에 배치된 패턴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상기 걸림부(322, 332)에 결합되는 비탄성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게(300)는 한 쌍의 케이스(320, 330)에 연결된 손잡이(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케이스(320, 330)를 과채류(1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과채류에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를 설치한 후부터 과채류가 성장한 후 수확할 때까지 집게가 과채류(10)에 달려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open-top) 용기(container)의 형상을 가지며 외면에 걸림부(112, 122)가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110, 120), 상기 한 쌍의 케이스(110, 120)에 각각 양측의 그립부(420a, 420b)가 연결된 집게(400), 상기 걸림부(112, 122)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140) 및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상에 배치된 패턴부(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상기 걸림부(112, 122)에 결합되는 비탄성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의 양측의 그립부(420a, 420b)에 상기 한 쌍의 케이스(110, 120)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체결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어떠한 방식도 가능하다.
도 9의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케이스(110, 120)를 과채류(10)에 체결할 때는 집게(40)를 케이스(110 12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케이스(110 120)가 과채류(10)에 체결된 이후에는 집게는 아래로 빼내어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과채류(10)가 성장하는 기간과 수확할 때, 케이스만 과일에 달려있고, 집게(400)가 케이스(110, 120)에 연결될 필요가 없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성장된 과채류(10)가 생장하는 과정에서도 과채류(10)에 잘 매달려 있고, 특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며, 자연적인 힘(바람, 비 등)에 의해서 과채류(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과채류(10)는 케이스(110, 120)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110, 120)이 탄성 부재 또는 비탄성 부재에 의해 과채류(10) 상에 지지됨으로써, 패턴부(114, 124)와 대응되는 패턴이 성숙된 과채류(10)의 표면에서 번지거나 뭉그러지지 않고 명확하고 깔끔하게 형성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10: 과채류
100: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110, 120, 110a, 110b, 320, 330: 케이스
140: 탄성 부재
150: 비탄성 부재

Claims (12)

  1. 상부가 개방된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외면의 둘레를 따라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걸림부를 가지며, 서로 내면이 대향하도록 위치하면 그 사이에 과채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곡률을 갖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케이스;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홈 중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케이스들이 내면이 대향하도록 위치될 때 상기 한 쌍의 케이스들을 감싸는 고리 형상을 갖는 탄성 부재;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홈 중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며 고리 형상을 갖는 비탄성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상에 배치된 패턴부;를 포함하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리 형상을 갖는 탄성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 미성장 과채류가 설치될 때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상기 미성장 과채류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체결홈에서 측정한 상기 케이스들의 둘레보다 작은 원주를 갖고,
    상기 고리 형상을 갖는 비탄성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 미성장 과채류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외력을 부여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미성장 과채류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한 미성장 과채류가 되었을 때부터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외력을 부여할 수 있는 원주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 과채류가 성장을 마친 과채류가 되었을 때, 상기 성장을 마친 과채류에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 형상이 남아 있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곡률 반경은 성장을 마친 과채류의 곡률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스는 수지, 플라스틱, 및 폴리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한 쌍의 케이스중 어느 하나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함몰함으로써 형성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문자, 문양, 그림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스의 내면 상에 설치된 탄성 시트를 더 포함하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05388A 2017-08-21 2017-08-21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10192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88A KR101924873B1 (ko) 2017-08-21 2017-08-21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PCT/KR2018/009491 WO2019039802A2 (ko) 2017-08-21 2018-08-19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88A KR101924873B1 (ko) 2017-08-21 2017-08-21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873B1 true KR101924873B1 (ko) 2018-12-04

Family

ID=6466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88A KR101924873B1 (ko) 2017-08-21 2017-08-21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4873B1 (ko)
WO (1) WO20190398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3203B (zh) * 2020-08-13 2023-03-17 北京农学院 一种在大桃表面形成图案的方法及表面具有图案的大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67B1 (ko) * 2001-09-07 2003-09-19 최민욱 생육중의 과일 보호용 플라스틱 케이스
KR200415378Y1 (ko) 2006-02-24 2006-05-02 김규석 과실 육성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056A (ja) * 1994-06-15 1995-12-19 Tanakaya:Kk 緩衝包装物
KR200466970Y1 (ko) * 2011-02-28 2013-05-20 지일환 인삼 표피에 대한 성장형 문양 형성 케이스
KR20160085166A (ko) * 2015-01-07 2016-07-15 서정수 과일이나 채소의 열매 형상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67B1 (ko) * 2001-09-07 2003-09-19 최민욱 생육중의 과일 보호용 플라스틱 케이스
KR200415378Y1 (ko) 2006-02-24 2006-05-02 김규석 과실 육성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802A3 (ko) 2019-05-09
WO2019039802A2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418B1 (ko)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US20160021963A1 (en) Visor with Plug In Accessory Sockets
US8549879B2 (en) Ornaments for eyeglasses
US7028507B2 (en) Article of jewelry
US20150181971A1 (en) Visor Improvements
KR101924873B1 (ko)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CA2463060A1 (en) Stacked adhesive optical sensor
USRE46627E1 (en) Hand held punches for use in making individual jewelry display cards and kit encompassing same
US7874298B2 (en) Unit and method for decorating nails
US8991776B1 (en) Display
KR20190028100A (ko) 과채류 제조 방법 및 동일 방법으로 제조된 과채류
CN112970666B (zh) 一种简便式动物近视诱导装置及制作方法
KR20210062224A (ko)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EP1837841B1 (en) Picture display tool and container with screen section
DE60304018D1 (de) Behälter mit abnehmbarem Schutzelement, insbesondere vor dessen erster Benutzung
CN201986519U (zh) 家禽脚环
Day Central Mexican Imagery in Greater Nicoya
JP2005095589A (ja) 物品支持装置
JP7042894B1 (ja) 人形用眼球
US20090107615A1 (en) Cast art
CN202435865U (zh) 新型食用菌和蔬菜以及水果的定型保护套
CN211409453U (zh) 一种新生儿腕带
DK9300537U3 (da) Skjuler til kosmetisk afdækning af engangsemballage til fødevarer, urtepotter og lignende
KR101951909B1 (ko)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JP6716808B2 (ja) 表示具と果実の生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