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418B1 -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418B1
KR101868418B1 KR1020170002547A KR20170002547A KR101868418B1 KR 101868418 B1 KR101868418 B1 KR 101868418B1 KR 1020170002547 A KR1020170002547 A KR 1020170002547A KR 20170002547 A KR20170002547 A KR 20170002547A KR 101868418 B1 KR101868418 B1 KR 10186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pattern
vegetables
vegetable
fol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균
Original Assignee
마니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니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니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418B1/ko
Priority to CN201780080991.0A priority patent/CN110113938B/zh
Priority to PCT/KR2017/013709 priority patent/WO2018128273A1/ko
Priority to JP2019536192A priority patent/JP6905593B2/ja
Priority to US16/475,848 priority patent/US109846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43Protective shelters for young plants, e.g. tubular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6Device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 e.g. marking, maturing,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4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to be fastened or secured by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e.g. by thermo-adhe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6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or identifying pla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1Sleeve shaped label, i.e. wrapped around a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85Stamp-like lab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고정장치없이 미성숙된 과채류에 장착가능하고, 과채류의 성장에 따라 그 형상이 가변되며,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새길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외면과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면에 의해 정의된 개구를 갖고, 절단된 부분이 없는 고리 형상이고,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 및 상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제1 접힘부와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의 내면은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제1 대향면과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에 의해 형성된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은 상기 개구에 배치되는 미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의 양쪽을 압박하여 상기 과채류의 표면에 장착가능하고, 상기 부재의 형상은, 상기 과채류의 성장에 따른 상기 과채류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화된다.

Description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FORMING PATTERNS ON SURFACE OF fruits and vegetables}
본 발명은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고정장치없이 미성숙된 과채류에 장착가능하고, 과채류의 성장에 따라 그 형상이 가변되며,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새길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의 산지와 상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과일이나 채소에 상표나 특정 문자를 새겨 판매하여 다른 상품들과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과일을 과일 본연의 형태가 아닌 소정의 형태로 형성하거나 과일의 표면에 '합격', '복' 등의 문자나 그림을 새겨 넣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불러 일으켜 판매를 촉진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시도 중 과일에 상표나 산지, 기념메시지 등의 문자나 그림을 영구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과일의 생장과정 중에 소정의 표시를 나타내는 형상의 스티커를 부착해서 부착 부위에 햇빛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스티커의 형태에 대응하는 모양의 표시가 과일 표피의 변색에 의해 형성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과일의 적당한 생장시기에 맞추어 스티커를 부착하여야 하고 변색이 되기 위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스티커 부착 후 과실류의 성장과 바람이나 폭우 등으로 인하여 부착상태가 느슨해져 선명한 문자나 도형을 얻지 못하는 불량 인쇄 상태의 과실류가 다량으로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사과나 수박 등 표피의 색이 선명한 과일의 경우에는 문자표시 효과가 있으나, 배나 감 등의 경우에는 빛 차단에 의한 문자형성에 별 다른 효과를 얻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과일의 생성 과정에서 표피를 상처를 내어 과일의 표면에 문자 또는 도형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과실류의 표피에 상처를 내어 형성하는 경우 성정과정에 있는 과실류의 표피에 흠집을 내어야 하므로 상당한 정밀도가 요구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과일의 성장에 따라 상처가 회복되어 문자나 도형을 인식하지 못하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명확히 식별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과채류의 표면에 별도의 고정장치없이 장착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외면과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면에 의해 정의된 개구를 갖고, 절단된 부분이 없는 고리 형상이고,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 및 상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제1 접힘부와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의 내면은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제1 대향면과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에 의해 형성된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은 상기 개구에 배치되는 미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의 양쪽을 압박하여 상기 과채류의 표면에 장착가능하고, 상기 부재의 형상은, 상기 과채류의 성장에 따른 상기 과채류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화된다.
삭제
본 발명의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하면,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명확히 식별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과채류의 표면에 별도의 고정장치없이 장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서트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치가 미성숙된 과채류에 장착된 이후에 미성숙된 과채류가 성숙된 과채류로 성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장치를 제거했을 경우에 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형성된 문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부재(130)와 패턴(170)을 포함한다.
부재(130)는 광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부재(130)가 광 투과성을 가지면, 개구(150)에 과채류가 삽입된 경우에도 과채류의 표면으로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부재(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또한, 부재(130)는 광 투과성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재(130)는 불투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부재(130)는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한 어떠한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채류가 배인 경우, 배는 일반적으로 불투명한 봉투에 씌워진 채 성장하기 때문에 부재(130)는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한편, 과채류가 사과인 경우, 사과는 일반적으로 성장 시 빛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재(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부재(130)는 수지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130)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부재(130)는 폴리머(polymer)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등을 포함한다.
부재(130)는 고리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부재(130)는 절단된 부분이 없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리 형상의 부재(130)는 내부에 개구(150)를 갖는다.
부재(130)의 개구(150)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가 끼워질 해당 과채류의 크기에 대응된다.
부재(130)는 외면(130a)과 내면(130b)을 포함한다. 내면(130b)은 부재(130)의 개구(150)를 정의한다. 개구(150)로 사과 및 배 등과 같은 과채류가 삽입된다.
부재(130)는 개구(150)에 배치되는 과채류의 표면의 양쪽을 압박하여 과채류의 표면에 장착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과채류의 성장에 따른 과채류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부재(130) 자체의 재질과 형상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는 과채류의 표면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과채류에 고정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부재(130)의 내면(130b)의 단면 형상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부재(130)의 내면의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이면, 부재(130)의 내면 사이에 끼워지는 과채류의 표면을 양쪽에서 압박하고, 과채류의 표면을 압박하면서 과채류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부재(130)의 내면(130b)의 단면 형상은 과채류의 성장에 따른 과채류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즉, 부재(130)의 내면(130b)의 단면 형상은 타원 형상에서 과채류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부재(130)는 내면(130b)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150)를 갖는다. 개구(150)는 내면(130b)에 의해서 정의되므로, 개구(150)의 단면 형상도 타원 형상을 갖는다.
개구(150)의 형상은, 개구(150)의 중심부에서 내면(130b) 방향으로 작용되는 방사상의 외력에 대응하여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50)에 과채류가 배치된 경우, 과채류의 성장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 개구(150)의 형상은 변화된다. 개구(150)의 형상은 타원통의 형상에서 과채류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부재(130)의 내면의 면적은, 개구(150)의 중심부에서 내면(130b) 방향으로 작용되는 방사상의 외력과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부재(130)의 내면의 면적은 과채류의 성장에 따라 거의 늘어나지 않는다.
여기서, 개구(150)에 배치된 과채류의 표면과 마주보는 부재(130)의 내면의 면적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개구(150)에 배치된 과채류의 성장에 따라 과채류의 표면과의 접촉 면적은 점점 증가된다.
부재(130)는 제1 접힘부(110a)와 제2 접힘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힘부(110a)와 제2 접힘부(110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힘부(110a)와 제2 접힘부(110b)는, 원통 형상의 부재가 양측에서 작용된 외력에 의해서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접힘부(110a)와 제2 접힘부(110b)에 의해서, 부재(130)의 내면(130b)의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접힘부(110a)와 제2 접힘부(110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형상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접힘부(110a)와 제2 접힘부(110b)는 굴곡진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접힘부의 개수가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힘부의 개수는 3개 이상으로서 다수일 수 있다.
부재(130)는 패턴(170)을 갖는다. 예를 들어, 부재(130)의 내면(130b)에 패턴(170)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170)은 내면(130b)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내면(130b)으로부터 돌출 또는 연장된 양각 패턴일 수 있다. 여기서, 패턴(170)은, 음각 패턴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에서,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3에 도시된 장치(100')의 패턴(170')은,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패턴(170)과 다른 형상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장치(100')의 패턴(170')은 내면(130a)의 일 부분에 패여서 형성된 음각 패턴이다.
한편, 패턴(170)은, 도 2에 도시된 양각 패턴 및 도 3에 도시된 음각 패턴이 아닌, 부재(130)의 내면(130b), 외면(130b) 및 내부 중 어느 한 곳에 인쇄되어 형성된 프린팅 패턴일 수 있다. 패턴(170)이 프린팅 패턴인 경우, 프린팅 패턴(170)은 투명, 불투명 및 반투명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의 부재(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이고, 프린팅 패턴(170)은 불투명한 재질이면, 사과의 표면에서 프린팅 패턴(170)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사과 본연의 색상으로 형성시키고, 프린팅 패턴(170)과 대응되는 부분은 사과가 빛을 받지 못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색(예를 들어, 노란색)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의 부재(130)는 투명한 재질이고, 프린팅 패턴(170)은 반투명한 재질이면, 사과의 표면에서 프린팅 패턴(170)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사과 본연의 색상으로 형성시키고, 프린팅 패턴(170)과 대응되는 부분은 사과가 빛을 받지 못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색과는 다른 색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써, 부재(130)가 불투명한 재질이고, 프린팅 패턴(170)이 투명한 재질이면, 부재(130)와 대응되는 부분의 색깔은 사과가 빛을 받지 못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색을 띠는 반면, 프린팅 패턴(170)에 대응되는 부분은 사과 본연의 색상을 띤다.
상기 세 가지 예를 살펴보면, 프린팅 패턴(170)의 투명도를 조절하면 과채류의 표면에서 프린팅 패턴(170)과 대응되는 부분에 다양한 색상의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는, 도 1과 비교하여, 인서트(pattern insert, 190)를 더 포함한다. 인서트(19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인서트(19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의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인서트(190)는 부재(130)와 패턴(170) 사이에 배치된다. 인서트(190)의 일 면에 패턴(170)이 형성된다.
인서트(190)의 다른 일 면은 부재(130)의 내면(130b)에 결합된다.
인서트(190)는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인서트(190)는 다각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인서트(19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서, 부재(130)의 내면(130b)의 변화에 대응하여 부재(130)의 내면(130b)에 잘 부착될 수 있다.
인서트(190)는 부재(190)와 같은 재질일 수 있으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의 부재(130)는 투명(또는 반투명)하고, 패턴(170)과 인서트(190)의 투명도가 서로 다를 경우, 과채류의 표면에서 패턴(170)과 인서트(190)에 대응되는 부분의 색상이 다른 부분과 다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턴(170)과 대응되는 부분과 인서트(190)에 대응되는 부분도 서로 다른 색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서트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도 1과 비교하여, 인서트(190')를 더 포함한다. 인서트(19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인서트(19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들의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인서트(190')는 부재(130)와 패턴(170) 사이에 배치된다. 인서트(190')의 일 면에 패턴(170)이 형성된다.
인서트(190')의 일 면은 평평할 수도 있고,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인서트(190')의 일 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질 경우, 인서트(190')의 일 면의 률은 인서트(190')의 다른 일 면의 곡률과 다를 수 있다.
인서트(190')의 다른 일 면은 부재(130)의 내면(130b)에 결합된다.
인서트(190')의 다른 일 면은, 부재(130)의 내면(130b)과 대응되는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인서트(190')의 다른 일 면은, 절단틈(195)을 가질 수 있다. 절단틈(195)는 인서트(190')의 다른 일 면에서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선 방향일 수도 있다.
절단틈(195)의 단면 형상은 'V'자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원 형상일 수도 있고,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절단틈(195)은 부재(130)를 성숙한 과채류로부터 벗겨낼 때, 성숙한 과채류의 표면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부재의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절단틈이 없다면, 과채류의 표면에 아무런 손상없이 성장한 과채류로부터 부재(130)를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과채류의 성장이 완료된 뒤, 사용자가 가위 또는 칼과 같은 절단 기구로 부재(130)를 절단부(A) 방향을 따라 절단할 때, 절단틈(195)을 이용하여 장치(10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절단틈(195)을 통해 상기 절단 기구가 쉽게 부재(130)와 성숙된 과채류 사이로 들어갈 수 있으며, 절단틈(195)이 상기 절단 기구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직선으로 정확하고 쉽게 부재(130)를 절단할 수 있다.
인서트(19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서, 부재(130)의 내면(130b)의 변화에 대응하여 부재(130)의 내면(130b)에 잘 부착될 수 있다.
인서트(190')는 부재(190)와 같은 재질일 수 있으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의 부재(130)는 투명(또는 반투명)하고, 패턴(170)과 인서트(190')의 투명도가 서로 다를 경우, 과채류의 표면에서 패턴(170)과 인서트(190')에 대응되는 부분의 색상이 다른 부분과 다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턴(170)과 대응되는 부분과 인서트(190')에 대응되는 부분도 서로 다른 색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에 도시된 인서트(190')에 패턴(17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패턴(170)과 인서트(190')가 서로 떨어져서 부재(130)의 내면(130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서트(190')는 절단용으로만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100)의 양측, 특히 제1 접힘부(110a)와 제2 접힘부(110b)로 외력을 가하여 부재(130)의 개구(150)를 벌린다. 벌려진 개구(150)로 미성숙된 과채류(200)를 삽입시킨다. 부재(130)가 미성숙된 과채류(200)의 표면 상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면, 제1 접힘부(110a)와 제2 접힘부(110b)로 가해진 외력을 제거한다. 그러면,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130)와 제1 접힘부(110a)와 제2 접힘부(110b)에 의해 형성된 탄성에 의하여 부재(130)는 미성숙된 과채류(200)를 압박하게 되고, 미성숙된 과채류(200)를 압박하는 힘에 의해서 부재(130)는 미성숙된 과채류(200)에 장착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장치(100)가 미성숙된 과채류(200)에 장착된 이후에 미성숙된 과채류(200)가 성숙된 과채류(200')로 성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미성숙된 과채류(200)가 성숙된 과채류(200')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는 과채류의 성장에 따라 부재(130)의 형상이 변화된다. 즉, 과채류(200)의 성장에 따라 부재(130)의 형상이 과채류(200)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화된다.
미성숙된 과채류(200)가 성숙된 과채류(200')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부재(130)의 형상이 과채류(200)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화되는데, 부재(130)의 내면(130b)에 형성된 패턴(170)은, 과채류(200)가 부재(130)의 개구(150)를 빈틈없이 메꾸기 전까지는 과채류(200)의 표면에 새겨지지 않는다. 부재(130)의 내면(130b)에 형성된 패턴(170)은, 과채류(200)가 부재(130)의 개구(150)를 빈틈없이 메꾼 이후에 과채류(200)의 표면에 새겨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를 사용하면, 미성숙된 과채류(200)가 부재(130)의 개구(150)만큼 성장되지 않은 때에는 패턴(170)이 과채류(200)의 표면에 완벽하게 새겨지는 것이 아니라, 부재(130)의 내면(130b)과 접하는 과채류(200)의 표면 둘레가 부재(130)의 내면(130b) 둘레와 같아진 이후에 패턴(170)이 과채류(200')의 표면에 새겨지기 때문에, 패턴(170)과 대응되는 문자가 과채류(200')의 표면에 번지거나 뭉그러지지 않고 명확하고 깔끔하게 형성되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장치(100)를 제거했을 경우에 성숙된 과채류(200')의 표면에 형성된 문자(27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숙된 과채류(200')의 표면에 장착된 장치(100)를 제거하면, 성숙된 과채류(200')의 표면에 소정의 문자(270)가 형성된다. 소정의 문자(270)는 도 1에 도시된 패턴(17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패턴(170)은 양각 패턴이므로, 문자(270)는 양각 패턴에 대응되는 음각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음각 패턴(170')을 갖는 장치(100')를 사용하면, 도 9에 도시된 성숙된 과채류(200')에는 양각 형태의 문자(27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 100')를 사용하면, 과채류(200')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앞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형태에 따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들(100, 100') 각각은, 봉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 내부에 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부재(130)의 외면(130a)이 봉지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봉지는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배나 사과와 같은 과채류는, 일반적으로 봉지를 씌운 채 성장시키기 때문에, 상기 과채류의 표면에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치(100, 100') 자체를 봉지 내부에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치(100, 100')를 미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에 장착한 후, 봉지를 씌우면, 미리 장착된 장치(100, 100')가 봉지를 씌우는 과정에서 비틀어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치(100, 100')와 과채류(200')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있는 경우, 과채류(200')가 성장하면서 이러한 이물질에 의하여 과채류(200')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낙하하는 이물질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치(100, 100')와 과채류(20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와 같은 외부덮개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재(130)가 봉지 내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100, 100':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130: 부재
170: 패턴

Claims (22)

  1. 외면과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면에 의해 정의된 개구를 갖고, 절단된 부분이 없는 고리 형상이고,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 및
    상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제1 접힘부와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의 내면은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제1 대향면과 제2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에 의해 형성된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은, 상기 개구에 배치되는 미성숙된 과채류의 표면의 양쪽을 압박하여 상기 과채류의 표면에 장착가능하고,
    상기 부재의 형상은, 상기 과채류의 성장에 따른 상기 과채류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화되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부재의 내면과 접하는 상기 과채류의 표면 둘레가 상기 부재의 내면 둘레와 같아진 이후에 상기 과채류의 표면에 새겨지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채류의 성장에 따라 상기 부재의 내면과 상기 과채류의 표면이 접촉하는 접촉면적은 증가하되 상기 과채류의 표면과 마주보는 상기 부재의 내면의 면적은 일정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는, 각지거나 굴곡진,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양각 패턴 또는 음각 패턴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부재의 내면, 외면 및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된 프린팅 패턴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과 상기 부재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 인서트를 더 포함하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패턴과 떨어져 배치된 인서트를 더 포함하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부재의 내면과 결합하는 일 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의 일 면은, 절단틈을 갖는,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의 투명도와 상기 패턴의 투명도는 서로 다른,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봉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지 내부에 상기 부재가 결합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70002547A 2017-01-06 2017-01-06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10186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47A KR101868418B1 (ko) 2017-01-06 2017-01-06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CN201780080991.0A CN110113938B (zh) 2017-01-06 2017-11-28 用于在果菜类表面上形成图案的装置
PCT/KR2017/013709 WO2018128273A1 (ko) 2017-01-06 2017-11-28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JP2019536192A JP6905593B2 (ja) 2017-01-06 2017-11-28 果菜類の表面にパターン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
US16/475,848 US10984681B2 (en) 2017-01-06 2017-11-28 Device for forming pattern on surface of fruiting vegeta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47A KR101868418B1 (ko) 2017-01-06 2017-01-06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418B1 true KR101868418B1 (ko) 2018-06-20

Family

ID=6276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547A KR101868418B1 (ko) 2017-01-06 2017-01-06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84681B2 (ko)
JP (1) JP6905593B2 (ko)
KR (1) KR101868418B1 (ko)
CN (1) CN110113938B (ko)
WO (1) WO20181282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662A (ko) 2019-10-31 2021-05-10 마니팜 주식회사 패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20210062224A (ko) 2019-11-21 2021-05-31 마니팜 주식회사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8896B2 (en) * 2018-04-19 2021-11-23 Peter Stine Fruit and vegetable skin patterned oxidizer
CN117426228B (zh) * 2023-09-26 2024-04-16 北京农学院 一种用于蟠桃表面精细化成像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827A (ko) * 1973-10-18 1975-06-09
JPS5130747U (ko) * 1974-08-28 1976-03-05
JPS52122540A (en) * 1976-04-02 1977-10-14 Kanji Makino Selffappearing method of desired indication on surface of fruit vegetable
JPS61274626A (ja) * 1984-10-18 1986-12-04 林 昌吾 「こ」工芸に於いての綜合的予備加工裁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79A (en) * 1888-04-24 Elastic band
US5195893A (en) * 1991-01-09 1993-03-23 Casale Angelo J Shape retaining stencil for three dimensional image placement
KR20000024276A (ko) 2000-02-02 2000-05-06 주진용 과일 또는 채소 표피의 형상성형방법
CN1422516A (zh) * 2001-12-02 2003-06-11 张英涛 图案苹果
CN1183823C (zh) * 2002-11-19 2005-01-12 段振 水果套模造型方法及模型
KR200325495Y1 (ko) 2003-06-17 2003-09-02 최홍천 부조,환조형 농작물
KR200340868Y1 (ko) 2003-11-24 2004-02-05 (주)태방파텍 농산물 저장용 포장봉지
US7125049B2 (en) * 2004-03-30 2006-10-24 Grand Band, Inc. Bookmarks
KR20070055942A (ko) 2006-05-12 2007-05-31 박청일 과일음각(陰刻)용 편직 모형자루
CN201054907Y (zh) * 2006-12-01 2008-05-07 吴永亭 一种温室型果实套袋
KR200435959Y1 (ko) 2006-12-11 2007-03-23 양종권 과일 표면에 문자를 새기는 밴드
ATE476375T1 (de) * 2008-04-14 2010-08-15 Procter & Gamble FLEXIBLES PAKET MIT ABREIßMÖGLICHKEITEN
US9207527B1 (en) * 2012-05-24 2015-12-08 Ryan Shoosha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a pumpkin
CN204132081U (zh) * 2014-09-30 2015-02-04 徐世慧 一次套袋的双缠绕丝纸加膜双层水果套袋
CN205143001U (zh) * 2015-12-04 2016-04-13 中国热带农业科学院南亚热带作物研究所 一种嵌合式水果果面文字段生成模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827A (ko) * 1973-10-18 1975-06-09
JPS5130747U (ko) * 1974-08-28 1976-03-05
JPS52122540A (en) * 1976-04-02 1977-10-14 Kanji Makino Selffappearing method of desired indication on surface of fruit vegetable
JPS61274626A (ja) * 1984-10-18 1986-12-04 林 昌吾 「こ」工芸に於いての綜合的予備加工裁培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662A (ko) 2019-10-31 2021-05-10 마니팜 주식회사 패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102318098B1 (ko) * 2019-10-31 2021-10-28 마니팜 주식회사 패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20210062224A (ko) 2019-11-21 2021-05-31 마니팜 주식회사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3868A (ja) 2020-02-06
WO2018128273A1 (ko) 2018-07-12
US10984681B2 (en) 2021-04-20
CN110113938B (zh) 2022-07-19
CN110113938A (zh) 2019-08-09
US20190355283A1 (en) 2019-11-21
JP6905593B2 (ja)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418B1 (ko)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ES2147920T3 (es) Bolsa flexible que contiene articulos absorbentes compresible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la misma.
SI1567414T1 (sl) Naprava in postopek pakiranja izdelkov v raztegljivo folijo iz umetne snovi
US3408758A (en) Display card
KR101924873B1 (ko)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200435959Y1 (ko) 과일 표면에 문자를 새기는 밴드
KR20210062224A (ko)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US3528330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forming articles from sheet material stock
DE69113051D1 (de) Originalitäts-verschlusskappe mit entlastungsfenstern im haltering.
ES2154729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formar y etiquetar recipientes para envasado.
KR101469666B1 (ko) 친환경 재활용 컵 홀더
KR200391965Y1 (ko) 라벨지
DE60304018D1 (de) Behälter mit abnehmbarem Schutzelement, insbesondere vor dessen erster Benutzung
KR20210051662A (ko) 패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CN206822492U (zh) 芒果去核器
BR7907073A (pt) Embalagem para discos de membrana de plastico individuais e processo para preparar a mesma
GB2252963A (en) Tamper evident closure with removable membrane
KR101951909B1 (ko) 과채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20000024276A (ko) 과일 또는 채소 표피의 형상성형방법
CN209822146U (zh) 一种生鲜打包标签
CN208264864U (zh) 趣味包装纸箱
CN2661657Y (zh) 胶带截断器
DE29712265U1 (de) Vorrichtung zur Zubereitung eines Brot-Snacks
CN206748570U (zh) 模切废料清废装置
DE69600116D1 (de) Tube zur Verpackung von Schüttgu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Tu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