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617B1 - 멀티모드단말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모드단말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617B1
KR101924617B1 KR1020120101558A KR20120101558A KR101924617B1 KR 101924617 B1 KR101924617 B1 KR 101924617B1 KR 1020120101558 A KR1020120101558 A KR 1020120101558A KR 20120101558 A KR20120101558 A KR 20120101558A KR 101924617 B1 KR101924617 B1 KR 10192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terminal
wireless connection
connection interfa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116A (ko
Inventor
박현호
이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1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6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와 제2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가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만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비활성화하고 있을 때에, 상기 이동단말기는 제2 네트워크에 포함된 네트워크 엔티티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언제 활성화할지를 판단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는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기술에 관하여 공개한다.

Description

멀티모드단말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Method for activating wireless access interface of multi-mode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개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멀티모드단말(MMT, Multi-Mode Terminal)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특히 오프-상태에 있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통신단말은 무선접속 인터페이스(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전화 서비스,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 전자우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통신망으로서, 전화망,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WMAN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Bluetooth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과 같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각 통신망은 통신요금, QoS(Quality of Service), 및 서비스 커버리지(coverage)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성격을 갖는다.
다양한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통신단말은 복수개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나 선택에 따라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복수개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가진 통신단말을 멀티-모드 단말(MMT, Multi-Mode Terminal)이라 한다. 이러한 멀티-모드 단말에서는 복수개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둘 경우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동시에 온-상태에 있는 복수개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간의 간섭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모드 단말에서 제공하는 복수개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중 하나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만을 활성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만 활성화하는 경우에는 비활성화된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지원하는 네트워크는 탐색하기가 어렵다. 이와 관련해서 GPS나 실내외 측위기술을 이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GPS를 이용하는 경우 실내 측위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WLAN의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 측위를 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으나 전력 소모면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외의 실내측위 방법도 아직 이동단말에서는 보편화 되지 못하고 있다.
제1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와 제2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가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만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비활성화하고 있을 때에, 상기 이동단말기는 제2 네트워크에 포함된 네트워크 엔티티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언제 활성화할지를 판단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 있는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활성화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과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제1 네트워크를 위한 상향링크신호를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할 때에, 제2 네트워크에 포함된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액세스포인트)가 이 상향링크신호를 엿들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네트워크에 포함된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상향링크신호를 엿들을 수 있을 때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포함된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이동단말기 근처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신호를 엿들은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이 네트워크 엔티티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네트워크에 속한 다른 엔티티가, 상향링크신호를 엿들었다는 사실을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가, 자신이 송신한 상향링크신호를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티티가 엿들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기는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이후에, 제2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액세스포인트 중 어느 것에 접속할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제2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액세스포인트 중 어느 것에 접속할지를 제2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컨트롤 엔티티(예컨대, 컨트롤 게이트웨이)가 결정하여 이동단말기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수의 액세스포인트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의 수신강도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기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는 송신되는 지점으로부터 수신되는 지점으로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신호의 세기는 줄어드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연구들은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바탕으로 송신지점과 수신지점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나아가 복수개의 고정된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강도를 이용하여 추정된 거리와 삼변측량(trilateration, 三邊測量)과 같은 측위(測位)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도 연구가 되어왔다. 그러므로 위치가 고정된 기기(예컨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포인트)들이 이동단말기의 상향링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면, 수신신호의 수신강도를 바탕으로 고정된 기기들로부터 이동단말기까지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된 기기들이 3개 이상 제공되는 경우에는, 고정된 기기들의 추정된 거리정보를 연산하여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렇게 추정된 위치를 기초로, 이동단말기에 인접하여 있으며 접속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제2 네트워크가 이동단말기에게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알려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on-state)에 있고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off-state)에 있는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가 포함된 상향링크신호를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와 상기 식별자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트리거 신호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에 있고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에게,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을 위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는 상향링크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방법은,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였다는 정보를 획득했을 때에,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에 있고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며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향링크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및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on-state)에 있고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off-state)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가 포함된 상향링크신호를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도록 되어있으며, 그리고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와 상기 식별자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트리거 신호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에 있고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송신한 무선의 상향링크신호를 검출하도록 되어있는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이동단말기가 제2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접속(access)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2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및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용 액세스포인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향링크신호 및 상기 상향링크신호에 포함된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모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에서 제1 네트워크를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만을 활성화환 경우에도, 이동단말기가 자신에게 인접한 제2 네트워크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모드를 갖는 이동단말기가 하나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만을 활성화하기 때문에, 이동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전파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액세스포인트가 제1 네트워크를 위한 상향링크신호를 읽을 필요가 없으며, 이 중 일부의 액세스포인트만이 상기 상향링크신호를 읽도록 구성하더라도 이동단말기가 접속해야할 액세스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신호를 통한 단말의 위치추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모드단말(1)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의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와 액세스포인트 장치, 즉,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신호를 통한 단말의 위치추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의 멀티모드단말(1)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두 개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첫 번째 인터페이스는 매크로셀의 기지국(10)을 통해 접속되는 제1 네트워크를 위한 것이고, 두 번째 인터페이스는 액세스포인트(20, 40, 50, 60)를 통해 접속되는 제1 네트워크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제1 네트워크는 매크로셀로 대상 네트워크는 2G, 3G, 4G, WiMAX(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ibro 등의 표준을 따르는 네트워크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는 매크로셀보다 좁은 커버리지를 가지는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네트워크일 수 있다.
멀티모드단말(1)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첫 번째 인터페이스가 켜진 상태로 있을 수 있지만, 무선송신전력을 아끼기 위하여 제2 네트워크를 위한 두 번째 인터페이스는 꺼진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초기조건으로 가정하고, 상기 두 번째 인터페이스를 켜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절차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사용자의 멀티모드단말(1)은 매크로셀의 기지국(10)을 통하여 매크로셀의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멀티모드단말(1)에 인접한 펨토셀(또는 WLAN, Bluetooth 등)의 액세스포인트(20)를 찾기 위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GPS를 사용할 수 있는데, GPS는 실내에서 동작이 어렵다. 또한 GPS가 아닌 다른 위치추정기법들은 전력소모가 크다는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펨토셀이나 WLAN, Bluetooth 등의 액세스포인트가 매크로셀을 위한 상향링크신호(130)를 인지할 수 있다면, 상향링크신호(130)의 세기를 이용하여 멀티모드단말(1)과 액세스포인트 사이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멀티모드단말(1) 근처에 배치된(deployed) 액세스포인트들 중 일부의 액세스포인트(40, 50, 60)는 상향링크신호(130)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액세스포인트(20)는 상향링크신호(130)를 검출할 수 없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향링크신호(130)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수학식 1은 상향링크신호(130)의 세기를 바탕으로 멀티모드단말(1)과 액세스포인트(40, 50, 60) 사이의 거리를 예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Figure 112012074105206-pat00001
(r: 액세스포인트와 단말 사이의 예측 거리(m),
r0: 액세스포인트와 기준점 사이의 거리(m),
P(r): r(m)만큼 떨어진 단말로부터 액세스포인트에서 수신한 신호의 세기(dBm),
P(r): r0 (m)만큼 떨어진 기준점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액세스포인트에서 수신한 신호의 세기(dBm))
매크로셀에서 멀티모드단말(1)이 송신하는 상향링크신호(130)를 인지할 수 있는 액세스포인트를 본 명세서에서는 '특수 액세스포인트'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액세스포인트 1(40), 액세스포인트 2(50), 및 액세스포인트 3(60)이 '특수 액세스포인트'에 해당한다. 컨트롤 게이트웨이(70)는 멀티모드단말(1)로부터 특수 액세스포인트(140, 150, 160)까지의 거리추정값을 수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게이트웨이(70)는 수집된 거리추정값을 바탕으로 멀티모드단말(1)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멀티모드단말(1)의 위치(x, y)는, 고정된 특수 액세스포인트들(40, 50, 60)의 위치인 (x1, y1), (x2, y2), (x3, y3) 및 삼변측량(trilateration, 三邊測量) 기법과 같은 측위기술을 통해 추정될 수 있다. 특수 액세스포인트들(40, 50, 60)의 위치 (x1, y1), (x2, y2), (x3, y3)는 미리 수집되어 있을 수 있다.
수학식 2는 특수 액세스포인트(40, 50, 60)의 위치, 멀티모드단말(1)의 위치(x, y), 및 특수 액세스포인트(40, 50, 60)로부터 멀티모드단말(1)까지의 거리(r1, r2, r3) 사이의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2074105206-pat00002
((x1, y1): 특수 액세스포인트 1(40)의 위치 좌표 정보,
(x2, y2): 특수 액세스포인트 2(50)의 위치 좌표 정보,
(x3, y3): 특수 액세스포인트 3(60)의 위치 좌표 정보,
r1: 특수 액세스포인트 1(40)과 멀티모드단말(1) 사이의 거리,
r2: 특수 액세스포인트 2(50)와 멀티모드단말(1) 사이의 거리,
r3: 특수 액세스포인트 3(60)과 멀티모드단말(1) 사이의 거리)
컨트롤 게이트웨이(70)는 특수 액세스포인트(40, 50, 60)의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액세스포인트(20)의 위치정보를 알고 있을 수 있다. 도 1의 예에 따르면, 컨트롤 게이트웨이(70)는 멀티모드단말(1)의 위치를 수학식 2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이때 액세스포인트(20, 40, 50, 60) 중 액세스포인트(20)가 멀티모드단말(1)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게이트웨이(70)는, 멀티모드단말(1)이 액세스포인트(20)에 접속하는데에 필요한 정보를 매크로셀의 기지국(10)을 통해서 멀티모드단말(1)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모드단말(1)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S210)에서, 식별자가 ID=1로 주어진 멀티모드단말(1)이 매크로셀 기지국(10)에게 제1 네트워크(N1)를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향링크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N2)에 속한 특수 액세스포인트(40, 50, 60)들은 상향링크신호를 엿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향링크신호에 포함된 멀티모드단말(1)의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계(S220)에서, 특수 액세스포인트(40, 50, 60)들은 각각, 수신한 상향링크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자신과 멀티모드단말(1)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S230)에서, 특수 액세스포인트(40, 50, 60)들은 각각, 자신의 위치((x1, y1), (x2, y2), (x3, y3)) 및 자신과 멀티모드단말(1) 사이의 거리I(r1, r2, r3)를 컨트롤 게이트웨이(7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특수 액세스포인트(40, 50, 60)들의 위치((x1, y1), (x2, y2), (x3, y3))가 컨트롤 게이트웨이(70)에 의해 미리 수집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계(S240)에서, 컨트롤 게이트웨이(70)는 특수 액세스포인트(40, 50, 60)들이 보내온 정보를 기초로 멀티모드단말(1)에 대하여 추정된 위치값(x, 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멀티모드단말(1)에 대하여 추정된 위치값(x, y)과 제2 네트워크(N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액세스포인트들(20, 40, 50, 60)의 위치값을 기초로, 멀티모드단말(1)이 접속하기에 적합한 타겟 액세스포인트(20)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멀티모드단말(1)이 접속하기에 적합한 타겟 액세스포인트로서, 상기 상향링크신호를 인식하지는 못하도록 되어 있는 액세스포인트(20)가 선정되었다. 그러나 멀티모드단말(1)의 위치에 따라서는 예컨대 특수 액세스포인트(50)가 타겟 액세스포인트로서 선정될 수도 있다. 위의 '적합'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한 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단순히 멀티모드단말(1)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액세스포인트가 타겟 액세스포인트로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단계(S250)에서, 컨트롤 게이트웨이(70)는, 멀티모드단말(1)이 타겟 액세스포인트(20)에 접속하기 위한 중간절차로서, 멀티모드단말(1)이 타겟 액세스포인트(20)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N1)에서 제2 네트워크(N2)로 핸드오버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링이란, 예컨대 멀티모드단말(1) 주위에 제2 네트워크(N2)에 속한 접속 가능한 타겟 액세스포인트(20)가 존재한다는 사실 및/또는 타겟 액세스포인트(2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트리거링이 발생하는 시점에서는 아직 멀티모드단말(1)의 제2 네트워크(N2)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켜져 있지 않기 때문에, 트리거링 정보를 네트워크 1(N1) 및 기지국(10)을 통해 멀티모드단말(1)에게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단계(S260)에서 멀티모드단말(1)은 제2 네트워크(N2)를 위한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켜게 되고, 그 다음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겟 액세스포인트(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70)에서는 버티컬 핸드오버(vertical handover)를 위해 마련된 소정의 절차에 따라 멀티모드단말(1)이 타겟 액세스포인트(20)에 접속하게 된다.
단계(S280)에서는 타겟 액세스포인트(20)가 컨트롤 게이트웨이(70)에게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290)에서 컨트롤 게이트웨이(70)는 타겟 액세스포인트(20)에게 멀티모드단말(1)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또는 컨트롤 게이트웨이(70)에 대한 정보를 포워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식별자 ID=1을 갖는 이동단말기(1)는 제1 네트워크(N1)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및 제1 네트워크(N1)와는 다른 통신규약을 따르는 제2 네트워크(N2)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온-상태에 있으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단말기(1)는 제1 네트워크(N1)에 포함된 제3 네트워크 엔티티(entity)와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단말기(1)의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오프-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동단말기(1)는 제2 네트워크에 포함된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 및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 40, 50, 60)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 이하, 이동단말기(1)가 초기에 이러한 상태를 갖고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이동단말기(1)가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단계(S310)에서, 식별자가 ID=1로 주어진 이동단말기(1)가, 제1 네트워크(N1)를 위한 상향링크신호를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에 포함된 제3 네트워크 엔티티(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N2)에 속한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 40, 50, 60)들 중 적어도 일부의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들은 이 상향링크신호를 엿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향링크신호에 포함된 이동단말기(1)의 식별자(ID=1)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는 상기 상향링크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단지 제2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기능만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들과 다르다.
단계(S320)에서,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들은 각각, 수신한 상향링크신호의 수신강도 #1, #2, #3을 계산하거나, 또는 더 나아가 이러한 수신강도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1)와 자신 사이의 거리 #1, #2, #3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들은 각각, 자신이 수신한 상향링크신호의 수신강도 또는 자신과 이동단말기(1) 사이의 거리를, 제2 네트워크(N2)에 속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 40, 50, 60)들의 위치가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에 의해 미리 수집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계(S340)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들이 보내온 정보를 기초로 이동단말기(1)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1)의 위치 추정값과 제2 네트워크(N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 40, 50, 60)의 위치값을 기초로, 이동단말기(1)가 접속하기에 적합한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기(1)가 접속하기에 적합한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상기 상향링크신호를 인식하지는 못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가 선정되었다. 그러나 이동단말기(1)의 위치에 따라서는 예컨대 상기 상향링크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50)가 선정될 수도 있다. 위의 '적합'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한 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단순히 이동단말기(1)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액세스포인트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단계(S350)에서,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는, 이동단말기(1)가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는 트리거 신호 및/또는 이동단말기(1)가 접속해야할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에 관한 정보를 이동단말기(1)에게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단말기(1)는 제3 네트워크 엔티티(10)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에 접속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트리거 신호 및/또는 이동단말기(1)가 접속해야할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에 관한 정보는 제3 네트워크 엔티티(1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에 포함된 이동단말기(1)의 식별자(ID=1)를 이용할 수 있다.
단계(S360)에서, 상기 트리거 신호 및/또는 이동단말기(1)가 접속해야할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이동단말기(1)는,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S360) 이후에는, 이동단말기(1)의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로 되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제2 네트워크(N2)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으며(S370), 예컨대, 제1 네트워크(N1)으로부터 제2 네트워크(N2)로 버티컬 핸드오버를 요청할 수도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의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도 4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이동단말기(1)의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온-상태에 있고,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단계(S410)에서, 식별자가 ID=1로 주어진 이동단말기(1)가, 제1 네트워크(N1)를 위한 상향링크신호를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에 포함된 제3 네트워크 엔티티(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N2)에 속한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 40, 50, 60)들 중 적어도 일부의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들은 이 상향링크신호를 엿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향링크신호에 포함된 이동단말기(1)의 식별자(ID=1)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계(S420)에서, 이동단말기(1)의 식별자(ID=1)를 인식한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들 중 전부 또는 일부는, 이동단말기(1)의 식별자(ID=1)를 제2 네트워크(N2)에 포함된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이동단말기(1)의 식별자(ID=1)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는, 이동단말기(1)의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트리거 신호를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이동단말기(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가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단말기(1)는 제2 네트워크(N2)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자신의 주변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따라서 단계(S440)에서, 이동단말기(1)는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S450)에서, 이동단말기(1)의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 40, 50, 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단계(S460)에서, 이동단말기(1)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 40, 50, 60) 중 어느 것과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 40, 50, 60) 중 송수신 신호의 강도가 가장 센 것과 통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이동단말기(1),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 및 제3 네트워크 엔티티(10)는 각각, 도 2에 도시한 단말(1), 컨트롤 게이트웨이(70), 특수 액세스포인트(40, 50, 60), 액세스포인트(20), 및 매크로셀 기지국(10)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모드 이동단말기가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N1)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on-state)에 있고 제2 네트워크(N2)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off-state)에 있는 이동단말기(1)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이동단말기(1)의 식별자(ID=1)가 포함된 상향링크신호를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S310, S4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S350, S43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단계(S360, S44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네트워크(N2)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와 식별자(ID=1)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트리거 신호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가 식별자(ID=1)를 검출한 경우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멀티-모드 이동단말기가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N1)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에 있고 제2 네트워크(N2)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1)에게, 제2 네트워크(N2)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을 위하여, 제2 네트워크(N2)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는, 이동단말기(1)의 식별자(ID=1)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는 상향링크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가 식별자(ID=1)를 검출하였다는 정보를 획득했을 때에,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이동단말기(1)에게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50, S430)를 포함한다. 이때, 이동단말기(1)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단계(S360, S440)를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제2 네트워크(N2)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와 같은 종류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를 3개 이상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의 수신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방법은, 제2 네트워크(N2)의 3개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에서 각각 검출한 상기 상향링크신호의 수신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30), 및 상기 수신강도와 상기 3개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의 지리적 위치를 이용하여 삼변측량과 같은 측위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이동단말기(1)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50)는 이동단말기(1)의 위치가 결정되었을 때에 수행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는 3개 이상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 중 이동단말기(1)와 통신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타겟 엔티티(20)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판단은 상기 결정된 이동단말기(1)의 위치를 기초로 수행되고, 이동단말기(1)는 타겟 엔티티(2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멀티-모드 이동단말기가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N1)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에 있고 제2 네트워크(N2)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1)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N2)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가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며 이동단말기(1)의 식별자(ID=1)를 포함하는 상향링크신호를 수신하여 식별자(ID=1)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식별자(ID=1)를 제2 네트워크(N2)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에게 송신하는 단계(S330, S4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네트워크 엔티티(70)는 식별자(ID=1)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제1 네트워크(N1)를 통해 이동단말기(1)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으며(S350, S430), 이동단말기(1)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단계(S360, S44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와 액세스포인트 장치, 즉,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단말기(1)는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11), 처리부(12), 및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2)는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11)가 제3 네트워크 엔티티(10)과 통신(R1)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는 제3 네트워크 엔티티(10)를 통해 제1 네트워크(N1)에 접속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는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61), 처리부(62), 및 제2 무선통신 인터페이스(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의 처리부(62)와 이동단말기(1)의 처리부(12)는 각각, 제2 무선통신 인터페이스(63)와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13)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61)는, 이동단말기(1)가 제3 네트워크 엔티티(10)에게 송신한 상향링크신호를 엿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동단말기(1)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를 통해 제2 네트워크(N2)에 접속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는, 도 5에 도시한 제2 네트워크 엔티티(40, 50, 60)의 내부구조 중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61)가 생략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는, 이동단말기(1)가 제3 네트워크 엔티티(10)에게 송신한 상향링크신호를 엿들을 수 없다. 그러나 이동단말기(1)는 제2 네트워크 엔티티(20)를 통해서도 제2 네트워크(N2)에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제2 네트워크가 WLAN인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단말(1)에서 지원하는 WLAN의 상태는 아이들(Idle) 상태, PSD(Power Save Mode) 상태, 액티브(Active)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이들 상태는 WLAN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액세스포이트에 연결되어 있으나 트래픽(traffice)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PSD 상태는 WLAN 무선접속 인터페이스의 전력절약모드(power save mode)를 나타낸다. 그리고 액티브 상태는 예컨대, 531kbps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상태에 있어서 소비되는 전력은 각각 1013.24mW, 547.39mW, 및 1019.82mW일 수 있다. 즉, WLAN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오프-상태로 두지 않는 이상, 액티브 상태 뿐만 아니라 아이들 상태/PSD 상태에 대하여도 모두 상당한 크기의 전력이 소모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과 같이, 단말(1)이 지원하는 두 개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중 WLAN(즉, 제2 네트워크)을 위한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오프-상태로 두었다가, 제1 네트워크를 위한 상향링크신호를 듣는(snoop) 방법을 이용하여 WLAN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1)이 WLAN을 항상 켜놓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단말(1)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on-state)에 있고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off-state)에 있는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제1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신호를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제1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수신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매크로셀의 네트워크로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이나 WMAN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매크로셀의 네트워크보다 작은 마이크로셀(micro-cell), 피코셀(pico-cell), 펨토셀(femto-cell) 네트워크,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인,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3.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에 있고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에게,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제1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식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통해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였다는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를 3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의 수신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의 3개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각각 검출한 상기 상향링크신호의 수신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강도와 적어도 상기 3개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의 지리적 위치를 이용하는 측위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위치가 결정되었을 때에 수행되고, 상기 트리거 신호에는 상기 3개 이상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 중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타겟 엔티티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판단은 상기 결정된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기초로 수행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타겟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5.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에 있고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제1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의 수신강도를 더 검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강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더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식별자와 상기 수신강도를 기초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7.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및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로서,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on-state)에 있고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off-state)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부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가 포함된 상기 제1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신호를 상기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제1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와 상기 식별자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트리거 신호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기.
  8. 제2 네트워크의 무선통신용 액세스포인트 장치로서,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1 무선접속 인터페이스가 온-상태에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는 오프-상태에 있는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송신한 상향링크신호를 인지하는 제1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접속(access)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2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및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가, 상기 상향링크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상기 식별자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송신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액세스포인트 장치.
KR1020120101558A 2012-09-13 2012-09-13 멀티모드단말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KR10192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558A KR101924617B1 (ko) 2012-09-13 2012-09-13 멀티모드단말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558A KR101924617B1 (ko) 2012-09-13 2012-09-13 멀티모드단말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116A KR20140035116A (ko) 2014-03-21
KR101924617B1 true KR101924617B1 (ko) 2019-02-22

Family

ID=5064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558A KR101924617B1 (ko) 2012-09-13 2012-09-13 멀티모드단말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6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9909B2 (en) * 2004-07-30 2008-03-0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on two networks
KR101149060B1 (ko) * 2009-10-01 2012-05-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핸드오버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US8620270B2 (en) * 2009-10-06 2013-12-31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operability between cellular and other wireless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116A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6991B1 (en) Cellular telephone network to 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network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73583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속도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18498B1 (ko) 셀룰러 시스템과 무선랜 사이의 핸드오버 기능을 구비한무선 송수신 장치
US201502452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cell discovery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3703858B (zh) 蜂窝无线电通信中移动性信息的交换
CN106576296B (zh) 取决于终端与接入点之间的相对速度的小区选择
KR101608161B1 (ko) HetNet에서의 스몰셀 발견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JP2012520641A (ja) UMA(unlicensedmobileaccess)ネットワークとセルラ通信ネットワークとの間の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09076892A1 (zh) 无线通信系统中邻区信息传递的方法和设备
US8855635B2 (en) Location-based microcell search
US9854620B2 (en) Connection setup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moving base station based on joint movement detection
JP7171657B2 (ja) 無線端末
WO2010099688A1 (zh) 位置相关信息的发送方法及系统、处理方法及系统
US1131070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edictive handoff
KR101924617B1 (ko) 멀티모드단말의 무선접속 인터페이스 활성화 방법
CN104782172A (zh) 小站通信方法、设备和系统
JP5355864B2 (ja) サーチ間隔制御サーバ及び無線端末
JP6040588B2 (ja) 無線基地局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101233718B1 (ko) 사용자 단말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스캐닝장치 및 방법
JP2013201586A (ja) 無線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通信制御装置、管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20100038559A (ko)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단말의 통신 경로를 재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2372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100052288A (ko) 휴대 단말기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TWI596964B (zh) 以站台位置爲基礎之鄰近決定及交換率估算方法及裝置
KR20080002156A (ko) 다중모드 단말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