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329B1 -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329B1
KR101924329B1 KR1020170026598A KR20170026598A KR101924329B1 KR 101924329 B1 KR101924329 B1 KR 101924329B1 KR 1020170026598 A KR1020170026598 A KR 1020170026598A KR 20170026598 A KR20170026598 A KR 20170026598A KR 101924329 B1 KR101924329 B1 KR 10192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shaft mounting
input shaft
pto shaft
p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309A (ko
Inventor
강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to KR102017002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3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of the type comprising at least two lower arms and one upper arm generally arranged in a triangle (e.g. three-point hi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2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륜트랙터와 농작업관리기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숙련자, 비숙련자 등의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Multipurpose utilization two - wheel tractor and agriculture worker quick hitch device}
본 발명은 이륜트랙터와 농작업관리기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숙련자, 비숙련자 등의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리기는 바퀴를 가지는 프레임상에 엔진을 탑재하고 상기 프레임에 로터리, 구굴기, 복토기, 제초기, 비닐피복기, 예취기, 쟁기, 배토기 등의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는 힛치를 구비하여 전, 답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상기 관리기의 핸들에 동력전달을 위하여 장착되는 레버에 작업기로의 동력전환을 선택하는 레버를 일체로 구비하여 조작의 용이성을 구할 수 있도록 한 관리기용 클러치 레버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619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6195호로 공지된 관리기와 작업기를 연결작업이 특히, 비숙련자에게는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기와 작업기를 연결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숙련자는 물론 비숙련자 등의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61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륜트랙터와 농작업관리기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숙련자, 비숙련자 등의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륜트랙터의 PTO축이 내측에 형성된 수용구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이륜트랙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의 수용구와 연통되는 관통구가 내측에 형성되는 PTO축장착부와;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에 상기 이륜트랙터의 PTO축의 동력을 상기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축부재가 설치되는 설치구가 형성되며, 전측이 상기 PTO축장착부의 관통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PTO축장착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입력축장착부와; 상기 PTO축장착부에 상기 입력축장착부를 분리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날개부는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면 전측과 타측면 전측에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PTO축장착부를 상기 이륜트랙터의 고정부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 1탈부착부재가 통과하는 제 1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 1고정날개부재와;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면 후측과 타측면 후측에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입력축장착부를 상기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 2탈부착부재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제 2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 2고정날개부재와;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제 2탈부착부재가 통과하는 제 3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 3고정날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장착부를 상기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 2탈부착부재의 헤드부의 전측에 상기 헤드부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헤드부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환형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PTO축장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고정되는 상하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전측 상부 일측과 전측 상부 타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부에 수평구비된 상태에서 후측이 상하회전이동하여 상기 상하이동축을 상하이동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PTO축장착부의 가이드홀내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을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삽입홀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삽입홀은 슬릿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전측이 상기 고정부의 수용구의 내면과 상기 PTO축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전후길이가 상기 PTO축장착부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수용구의 내면과 상기 PTO축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홈의 내경크기는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전측의 외경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이륜트랙터의 PTO축이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전측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륜트랙터의 PTO축의 전후길이가 상기 이륜트랙터의 고정부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설치구에 상기 동력전달축부재가 베어링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축부재는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설치구에 베어링결합되어 상기 이륜트랙터의 PTO축과 연결되는 전측동력전달축과; 상기 전측동력전달축과 스플라인결합된 상태로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설치구에 구비되어 상기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후측동력전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측동력전달축의 전측 및 상기 후측동력전달축의 후측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전측동력전달축의 전측에 형성되고, 전단부 상부와 전단부 하부에 상기 전측동력전달축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1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제 1요철부재와; 상기 후측동력전달축의 후측에 형성되고, 후단부 상부와 후단부 하부에 상기 후측동력전달축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2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제 2요철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륜트랙터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PTO축장착부와,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체결부에 의해 상기 PTO축장착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입력축창작부를 통해 숙련자는 물론 비숙련자라도 상기 이륜트랙터와 상기 농작업관리기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숙련자, 비숙련자 등의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7은 이륜트랙터의 PTO축으로부터 PTO축장착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9는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으로부터 입력축장착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이륜트랙터의 PTO축에 PTO축장착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PTO축장착부에 입력축장착부가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PTO축장착부(10), 입력축장착부(20) 및 체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이륜트랙터(도 7의 5)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중심부에는 고정부(도 7의 7)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의 내측에는 상기 이륜트랙터(5)의 PTO축(도 7의 51)이 수용되는 수용구(도 7의 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TO축장착부(10)는 상기 이륜트랙터(5)의 고정부(7)에 작업자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PTO축장착부(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부(7)의 수용구(71)와 연통되는 관통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7)의 수용구(71)의 내경크기는 상기 PTO축장착부(10)의 관통구(110)의 내경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TO축장착부(10)가 상기 이륜트랙터(5)의 고정부(7)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술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륜트랙터(5) 이외의 이륜관리기 또는 외륜 관리기 등 다양한 종류의 관리기에 고정되는 고정부(7)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축장착부(20)는 농작업관리기(도 9의 8)의 입력축(도 9의 81)에 작업자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농작업관리기(8)는 로터리, 구굴기, 복토기, 제초기, 비닐피복기, 예취기, 쟁기, 배토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축장착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관체(210)와 장착몸체(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체(210)는 상기 장착몸체(220)의 전측 중심부에서 상기 장착몸체(22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체(210)의 중심부 내측과 상기 장착몸체(220)의 중심부 내측에 설치구(230)가 서로 연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체(210)의 외경크기는 상기 PTO축장착부(10)의 관통구(110)의 내경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설치구(230)에는 동력전달축부재(240)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부재(240)는 상기 이륜트랙터(5)의 PTO축(51)의 동력을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입력축(81)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장착몸체(220)의 전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체(210)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PTO축장착부(10)의 관통구(1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입력축장착부(20)가 상기 PTO축장착부(1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30)는 상기 PTO축장착부(10)에 상기 입력축장착부(20)를 분리가능하게 체결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PTO축장착부(10)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날개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부(40)는 제 1, 2, 3고정날개부재(410, 420, 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날개부재(410)는 상기 PTO축장착부(10)의 일측면 전측과 타측면 전측에서 상기 PTO축장착부(1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날개부재(420)는 상기 PTO축장착부(10)의 일측면 후측과 타측면 후측에서 상기 PTO축장착부(1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고정날개부재(430)는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장착몸체(220)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장착몸체(220)의 일측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정날개부재(410)의 중간부에는 제 1관통홀(4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TO축장착부(10)를 상기 이륜트랙터(5)의 고정부(7)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후술할 제 1탈부착부재(510)의 볼트(511)가 상기 제 1관통홀(41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날개부재(420)의 중간부에는 제 2관통홀(4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관통홀(421)에는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장착몸체(220)를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입력축(81)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후술할 제 2탈부착부재(520)의 볼트(521)의 전측에 형성되는 헤드부(521a)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관통홀(421)에 상기 제 2탈부착부재(520)의 볼트(521)의 헤드부(521a)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PTO축장착부(10)에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장착몸체(220)가 밀착된 상태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고정날개부재(430)의 중간부에 제 3관통홀(43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상기 제 2탈부착부재(520)의 볼트(521)는 상기 제 3관통홀(43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탈부착부재(520)의 볼트(521)의 헤드부(521a)가 상기 제 2고정날개부재(420)의 제 2관통홀(421)을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면서 상기 제 2관통홀(421)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521a)의 전측에는 상기 헤드부(521a)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헤드부(521a)의 내측을 경사지는 환형의 경사면(521b)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부(3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하이동축(310)과 레버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310)은 상부상하이동축(311)과 하부상하이동축(3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상하이동축(311)의 상부가 상기 PTO축장착부(10)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상하이동축(311)은 상기 PTO축장착부(10)의 상부 중심부에 상기 PTO축장착부(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홀(120)내에 상기 가이드홀(1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상하이동축(312)은 상기 상부상하이동축(311)의 하부에 일체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홀(120)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상하이동축(311)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상하이동축(312)의 외경크기는 상기 상부상하이동축(311)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하부상하이동축(312)의 하부는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관체(2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 중심부에 상기 가이드홀(12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홀(250)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320)는 연결프레임(321)과 레버(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321)은 탄성력을 지닌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321)의 전측 상부 일측과 전측 상부 타측은 각각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상부상하이동축(31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321)은 수평연결프레임(321a), 제 1경사연결프레임(321b) 및 제 2경사연결프레임(321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프레임(321a)의 전측부 내측에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상부상하이동축(311)의 상부가 위치한 상태로 상기 수평연결프레임(321a)이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상부상하이동축(311)의 상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경사연결프레임(321b)은 상기 수평연결프레임(321a)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서 상기 수평연결프레임(321a)의 상부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경사연결프레임(321c)의 전측이 상기 제 1경사연결연결프레임(321b)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경사연결프레임(321c)은 상기 제 2경사연결프레임(321c)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평연결프레임(321a)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각각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2경사연결프레임(321c)의 후측은 각각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상부상하이동축(31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322)의 전측이 상기 수평연결프레임(321a)의 후측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상태로 상기 수평연결프레임(321a)의 후측부에 상기 레버(322)가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레버(322)의 후측을 상기 레버(322)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면서 하강시킬 경우, 상기 상하이동축(310)이 하강하면서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하부상하이동축(312)의 하부가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관체(210)의 삽입홀(250)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레버(322)의 후측을 상기 레버(322)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면서 상승시킬 경우, 상기 상하이동축(310)이 상승하면서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하부상하이동축(312)의 하부가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관체(210)의 삽입홀(25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하부상하이동축(312)의 하부가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관체(210)의 삽입홀(250)에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330)의 내측에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상부상하이동축(311)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PTO축장착부(10)의 가이드홀(120)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홀(120)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홀(120)의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걸림턱(121)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0)의 하부가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하부상하이동축(312)의 상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상하이동축(310)의 하부상하이동축(312)을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삽입홀(250)방향으로 탄성가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뒤집힘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체결부(30)에 의해 상기 입력축장착부(20)가 상기 PTO축장착부(10)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250)은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장착몸체(220)의 전측에 형성되는 관체(210)의 후측 상부 중심부 및 후측 하부 중심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삽입홀(250)은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이륜트랙터(5)의 후측에 구비되는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전측이 경우에 따라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지거나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강될 경우, 상기 체결부(30)의 상하이동축(310)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삽입홀(250)은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슬릿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7은 이륜트랙터의 PTO축으로부터 PTO축장착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PTO축장착부(10)를 상기 이륜트랙터(5)의 고정부(7)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 1탈부착부재(510)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볼트(511)와 너트(512)로 구성될 수 있다.
무두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볼트(511)는 상기 이륜트랙터(5)의 고정부(7)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상기 제 1고정날개부재(410)의 제 1관통홀(411)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제 1관통홀(41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너트(512)가 상기 제 1, 2고정날개부재(410, 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너트(512)는 상기 볼트(511)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고정날개부재(410)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으로부터 입력축장착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전측 중심부에도 고정부(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9)의 내측에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입력축(81)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장착몸체(220)를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입력축(81)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 2탈부착부재(520)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521)와 너트(5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521)는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장착몸체(22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 3고정날개부재(430)의 제 3관통홀(43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너트(522)는 상기 볼트(521)의 후측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9)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이륜트랙터의 PTO축에 PTO축장착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륜트랙터(5)의 고정부(7)의 수용구(71)의 내면과 상기 PTO축(51)의 외면 사이에는 환형의 삽입홈(72)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3 및 도 14는 PTO축장착부에 입력축장착부가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관체(210)의 전측이 환형의 상기 삽입홈(72)에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전후길이(D4)는 상기 PTO축장착부(10)의 전후길이(D3)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72)의 내경크기는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관체(210)의 외경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륜트랙터(5)의 PTO축(51)이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관체(210)의 전측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륜트랙터(5)의 PTO축(51)의 전후길이(D1)는 상기 이륜트랙터(5)의 고정부(7)의 전후길이(D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전측이 상기 PTO축장착부(10)의 관통구(1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PTO축장착부(10)에 상기 입력축장착부(20)가 상기 체결부(3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설치구(230)에는 상기 동력전달축부재(240)가 정역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축부재(24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동력전달축(241)과 후측동력전달축(2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설치구(230)에 설치되는 베어링(260)의 내측에 상기 전측동력전달축(241)이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동력전달축(241)의 전측은 상기 이륜트랙터(5)의 PTO축(5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측동력전달축(242)의 내부에 상기 전측동력전달축(241)이 스플라인결합된 상태로 상기 후측동력전달축(242)은 상기 입력축장착부(20)의 설치구(2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동력전달축(24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입력축(81)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동력전달축(241)의 전측 및 상기 후측동력전달축(242)의 후측에 각각 요철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70)는 제 1, 2요철부재(271, 2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요철부재(271)는 돌출날개(271a)와 홈(27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요철부재(271)의 돌출날개(271a)는 상기 전측동력전달축(241)의 전측에 방사형으로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요철부재(271)의 홈(271b)은 상기 제 1요철부재(271)의 돌출날개(271a)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요철부재(272) 또한 돌출날개(272a)와 홈(27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요철부재(272)의 돌출날개(272a)는 상기 후측동력전달축(242)의 후측에 방사형으로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요철부재(272)의 홈(272b)은 상기 제 2요철부재(272)의 돌출날개(272a)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륜트랙터(5)의 PTO축(51)의 후측에 제 3요철부재(513)가 형성될 수 있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입력축(81)의 전측에 제 4요철부재(8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요철부재(513) 또한 돌출부재(513a)와 홈(51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3요철부재(513)의 돌출부재(513a)는 상기 PTO축(51)의 후측에 방사형으로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요철부재(513)의 홈(513b)은 상기 제 3요철부재(513)의 돌출부재(513a)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3요철부재(513)의 홈(513b)에 상기 제 1요철부재(271)의 돌출날개(271a)가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4요철부재(811) 또한 돌출부재(811a)와 홈(8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4요철부재(811)의 돌출부재(811a)는 상기 입력축(81)의 전측에 방사형으로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요철부재(811)의 홈(811b)은 상기 제 4요철부재(811)의 돌출부재(811a)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4요철부재(811)의 홈(811b)에 상기 제 2요철부재(272)의 돌출날개(272a)가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요철부재(513)의 홈(513b)에 상기 제 1요철부재(271)의 돌출날개(271a)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요철부재(271)의 돌출부재(271a)의 전단부 상부와 전단부 하부에는 상기 전측동력전달축(241)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1요철부재(271)의 돌출부재(271a)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1경사면(271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요철부재(811)의 홈(811b)에 상기 제 2요철부재(272)의 돌출날개(272a)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요철부재(272)의 돌출부재(272a)의 전단부의 반대측인 후단부 상부와 후단부 하부에는 상기 후측동력전달축(242)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2요철부재(272)의 돌출부재(272a)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2경사면(272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요철부재(513)의 돌출부재(513a)의 전단부의 반대측인 후단부의 상부와 후단부 하부에 제 3경사면(513c)이 형성될 수 있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4요철부재(811)의 돌출부재(811a)의 전단부 상부와 전단부 하부에 제 4경사면(81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경사면(513c)은 상기 PTO축(51)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3요철부재(513)의 돌출부재(513a)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4경사면(811c)은 상기 입력축(81)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4요철부재(811)의 돌출부재(811a)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이륜트랙터(5)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PTO축장착부(10)와, 상기 농작업관리기(8)의 입력축(81)에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30)에 의해 상기 PTO축장착부(10)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상기 입력축창작부(20)를 통해 숙련자는 물론 비숙련자라도 상기 이륜트랙터(5)와 상기 농작업관리기(8)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숙련자, 비숙련자 등의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PTO축장착부, 20; 입력축장착부,
30; 체결부.

Claims (11)

  1. 이륜트랙터의 PTO축이 내측에 형성된 수용구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이륜트랙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의 수용구와 연통되는 관통구가 내측에 형성되는 PTO축장착부와;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에 상기 이륜트랙터의 PTO축의 동력을 상기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축부재가 설치되는 설치구가 형성되며, 전측이 상기 PTO축장착부의 관통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PTO축장착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입력축장착부와;
    상기 PTO축장착부에 상기 입력축장착부를 분리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날개부는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면 전측과 타측면 전측에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PTO축장착부를 상기 이륜트랙터의 고정부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 1탈부착부재가 통과하는 제 1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 1고정날개부재와;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면 후측과 타측면 후측에 상기 PTO축장착부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입력축장착부를 상기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 2탈부착부재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제 2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 2고정날개부재와;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제 2탈부착부재가 통과하는 제 3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제 3고정날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장착부를 상기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 2탈부착부재의 헤드부의 전측에 상기 헤드부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헤드부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환형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PTO축장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고정되는 상하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전측 상부 일측과 전측 상부 타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하이동축의 상부에 수평구비된 상태에서 후측이 상하회전이동하여 상기 상하이동축을 상하이동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PTO축장착부의 가이드홀내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을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삽입홀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7.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삽입홀은 슬릿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전측이 상기 고정부의 수용구의 내면과 상기 PTO축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전후길이가 상기 PTO축장착부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수용구의 내면과 상기 PTO축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홈의 내경크기는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전측의 외경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이륜트랙터의 PTO축이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전측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륜트랙터의 PTO축의 전후길이가 상기 이륜트랙터의 고정부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설치구에 상기 동력전달축부재가 베어링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축부재는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설치구에 베어링결합되어 상기 이륜트랙터의 PTO축과 연결되는 전측동력전달축과;
    상기 전측동력전달축과 스플라인결합된 상태로 상기 입력축장착부의 설치구에 구비되어 상기 농작업관리기의 입력축과 연결되는 후측동력전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동력전달축의 전측 및 상기 후측동력전달축의 후측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전측동력전달축의 전측에 형성되고, 전단부 상부와 전단부 하부에 상기 전측동력전달축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1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제 1요철부재와;
    상기 후측동력전달축의 후측에 형성되고, 후단부 상부와 후단부 하부에 상기 후측동력전달축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제 2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제 2요철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KR1020170026598A 2017-02-28 2017-02-28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KR10192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598A KR101924329B1 (ko) 2017-02-28 2017-02-28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598A KR101924329B1 (ko) 2017-02-28 2017-02-28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09A KR20180099309A (ko) 2018-09-05
KR101924329B1 true KR101924329B1 (ko) 2018-12-03

Family

ID=6359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598A KR101924329B1 (ko) 2017-02-28 2017-02-28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3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634A (ja) 2004-10-08 2006-04-20 Yanmar Co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95Y1 (ko) 2000-01-10 2000-06-15 아세아종합기계주식회사 관리기용 클러치 레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634A (ja) 2004-10-08 2006-04-20 Yanmar Co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09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23597A (en) Rotary soil working device
KR100969252B1 (ko) 트랙터 작업기 결속장치
KR100958602B1 (ko) 작업기용 트랙터 결속구
KR101924329B1 (ko) 다목적활용 이륜트랙터 및 농작업관리기 퀵힛치장치
KR101849842B1 (ko) 밭갈이 장치
CN214430203U (zh) 园林工具
US6564879B2 (en) Locking device for a guard of soil-working machine
US5285855A (en) Adjustable pitch garden hoe tool
DE1023620B (de) Vorrichtung zum Kuppeln eines Schleppers mit land- oder forstwirtschaftlichen Geraeten und zum Anheben der Geraete
US20110001326A1 (en) Plow shovel
US2996126A (en) Implement connection for tractors
CN201286224Y (zh) 便携式多功能农田管理机
KR200491528Y1 (ko) 예초기용 동력전달 감속장치
US957722A (en) Harrow attachment for plows.
US5351761A (en) Field stone collection apparatus
DE102006028127B4 (de) Arbeitsgerät
CN103959940A (zh) 一种田园管理机
JP4396798B2 (ja) 畦塗り機
JP3628950B2 (ja) 畦塗り機
CN217898730U (zh) 农业作业机械用后阻力系统
CN112690085A (zh) 园林工具
CN111492736A (zh) 一种电动微耕机
KR100961612B1 (ko) 트랙터용 농기구 연결장치
CN217591488U (zh) 一种旋耕机
CN103959941A (zh) 一种田园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