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324B1 - 화물운송선박 - Google Patents

화물운송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324B1
KR101924324B1 KR1020160124652A KR20160124652A KR101924324B1 KR 101924324 B1 KR101924324 B1 KR 101924324B1 KR 1020160124652 A KR1020160124652 A KR 1020160124652A KR 20160124652 A KR20160124652 A KR 20160124652A KR 101924324 B1 KR101924324 B1 KR 10192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argo
module
presen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889A (ko
Inventor
박어진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3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문운송선박에 관한 것으로 화물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틸팅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모듈 및 상기 화물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틸팅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고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운송선박{CARGO TRANSPORTING VESSEL}
본 발명은 화물운송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화물에 대하여, 선적, 운송 및 하역이 용이한 화물운송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풍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해양풍력발전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공해물질 저감효과가 매우 큰 효과가 있으며, 해상에 설치되므로 설치면적에 제한을 받지 않아, 세계 곳곳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해양풍력발전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에서 최근에는 풍력발전기의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의 길이도 지속적으로 길어지고 있다.
따라서, 해양풍력발전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 장비를 운송하는 선박도 규모가 커진 해양풍력발전장치의 부품을 운송하여야 하는데, 특히 블레이드는 그 길이가 선박의 적재공간보다 길어지는 경우 그 운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레이드와 같이 길이가 긴 화물은 선박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수용하기도 어려우며, 선박의 수용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운송할 수 있는 화물의 양이 한정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를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의 형태로 인하여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등 안정성이 매우 낮아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화물에 대하여, 선적, 운송 및 하역이 용이한 화물운송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은 화물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틸팅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모듈 및 상기 화물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틸팅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모듈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틸팅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드부 상부에 슬라이딩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모듈은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화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화물을 고정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은 상기 제1 고정모듈 및 상기 제2 고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은 상기 제1 고정모듈이 상기 제2 고정모듈이 구비된 위치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둘째,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화물의 선적 및 하역 과정에서 화물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셋째,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화물의 선적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1 실시예에서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2 실시예의 제2 고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2 실시예에서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2 실시예에서 승강모듈이 포함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3 실시예의 제2 고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3 실시예에서 화물의 선적 형태를 변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3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화물을 함께 선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의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1 실시예에서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은 특히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선박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해양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B)를 운송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화물의 종류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형태의 화물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의 제1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모듈(100) 및 제2 고정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모듈(100)은 화물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B)의 루트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모듈(100)은 제1 고정부(110) 및 제1 베이스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0)는 화물의 일단부, 즉 풍력발전기 블레이드(B)의 루트부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블레이드(B)의 루트부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또는 블레이드(B)를 감싸는 프레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화물의 일단부를 고정하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의 데크 상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 고정부(110)와 틸팅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부(120)는 화물운송선박(S)의 데크 상부에서 화물의 일단부를 지지하면서, 화물이 기울어진 상태로 선적이 가능하도록 제1 고정부(110)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1 고정모듈(100)은 화물, 즉 풍력발전기 블레이드(B)의 루트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블레이드(B)가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에 경사지게 선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모듈(200)은 화물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B)팁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모듈(200)은 제2 고정부(210) 및 제1 베이스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10)는 화물의 타단부, 즉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B)팁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블레이드(B)팁을 지지하도록 블레이드(B)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프레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화물의 타단부를 고정하도록 마련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의 데크 상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2 고정부(210)와 틸팅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베이스부(220)는 전술한 제1 고정모듈(100)의 제1 베이스부(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모듈(100) 및 제2 고정모듈(200)의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블레이드(B)의 루트부 및 블레이드(B)팁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고정되며 전체적으로 블레이드(B)가 경사진 형태로 고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에 선적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B)의 경사도의 변화에 따라, 제2 고정부(210)가 제2 베이스부(220)에 대한 각도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2 고정모듈(200)은 화물, 즉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B)팁을 고정함과 동시에, 블레이드(B)가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에 경사지게 선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블레이드(B)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등 길게 형성되는 화물의 길이에 관계없이,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적재 및 고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고정모듈(200)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의 선수쪽에 구비되는 선교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 고정모듈(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별도의 받침을 이용하여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고정부(110) 및 제2 고정부(210)는 각각 제1 베이스부(120) 및 제2 베이스부(220)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에 블레이드(B)를 선적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크레인(C)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때 크레인(C)이 블레이드(B)에 고정된 제1 고정부(110) 및 제2 고정부(210)를 들어올리며 블레이드(B)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110) 및 제2 고정부(210)가 각각 제1 베이스부(120) 및 제2 베이스부(220)와 선택적으로 탈착되며 블레이드(B)를 고정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모듈(200)이 제1 고정모듈(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되므로, 제1 고정부(110)가 먼저 분리된 상태에서 크레인(C)이 블레이드(B)의 루트부를 먼저 들어올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레이드(B)의 루트부가 제2 고정모듈(200)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동안, 제2 고정부(210)는 제2 베이스부(220)와 상대적으로 각도를 변화시키며 블레이드(B)팁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블레이드(B)의 상승과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B)를 선박에 적재하는 과정에서도 위의 과정과 반대과정을 거쳐 안정적으로 블레이드(B)를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에 적재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2 실시예의 제2 고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2 실시예에서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2 실시예에서 승강모듈이 포함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2 실시예는 제1 고정모듈(300), 제2 고정모듈(400) 및 승강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모듈(3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고정모듈(10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2 고정모듈(400)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2 고정모듈(200)과 기본적으로는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모듈(400)은 제2 고정부(410), 제2 베이스부(420) 외에 슬라이드부(4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모듈(400)은 슬라이드부(430)가 제2 베이스부(420)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 고정부(410)는 슬라이드부(43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410)가 제2 베이스부(4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틸팅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드부(4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2 고정부(410) 및 제2 베이스부(420)가 상대적인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모듈(300)의 제1 고정부(310)를 분리하여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B)가 경사진 상태로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블레이드(B)에 고정된 제1 고정모듈(300) 및 제2 고정모듈(400) 간의 거리는, 블레이드(B)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그 간격이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모듈(300)의 제1 고정부(310)를 수직으로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제2 고정부(410)가 선수방향을 향해 이동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410)는 슬라이드부(43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하며 선수방향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블레이드(B)의 루트부가 제2 고정모듈(400)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동안, 제2 고정부(410)는 제2 베이스부(420)와 상대적으로 각도를 변화시키며 블레이드(B)팁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블레이드(B)의 상승과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B)를 선박에 적재하는 과정에서도 위의 과정과 반대과정을 거쳐 안정적으로 블레이드(B)를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에 적재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31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블레이드(B)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부(310)가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이 승강모듈(50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모듈(500)은 제1 고정모듈(300) 및 제2 고정모듈(400)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모듈(300)의 제1 고정부(31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승강모듈(500)은 제1 고정부(310)의 높이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10)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승강모듈(500)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1 고정부(310)의 상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되고, 이는 블레이드(B)의 이송과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을 통하여, 길게 형성되는 화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선적 및 하역 과정에서 화물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물의 선적 및 하역 과정에서 화물의 선적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3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3 실시예의 제2 고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3 실시예에서 화물의 선적 형태를 변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3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화물을 함께 선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 제3 실시예는 제1 고정모듈(600), 제2 고정모듈(700) 및 이송모듈(8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모듈(600) 및 제2 고정모듈(7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고정모듈(100) 및 제2 고정모듈(200)과 기본적으로는 유사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모듈(600)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 갑판에 구비되는 이송모듈(8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송모듈(80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모듈(800)은 화물운송선박(S)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화물운송선박(S)의 후미 갑판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고정모듈(600)을 선수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고정모듈(600)이 제2 고정모듈(700)이 구비된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모듈(600)은 이송모듈(800)에 의하여 제2 고정모듈(700)과의 거리를 조절하며 화물운송선박(S)의 갑판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모듈(700)의 제2 고정부(710)는 화물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화물을 따라 이동하며 화물을 고정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710)는 블레이드(B)팁 부위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B)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하는 위치를 변경하면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부(710)의 구성은 길이방향에 따라 단면의 형태가 달라지는 블레이드(B)의 형태를 따라 고정형태가 달라지도록 구성된다면,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이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운송선박의 제3 실시예는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에 선적되는 블레이드(B)의 선적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에 블레이드(B)가 경사지게 선적된 상태에서, 제1 고정모듈(600)이 선수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블레이드(B)의 루트부가 화물운송선박(S)의 갑판 상부에서 선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고정부(610)는 제1 베이스부(620)와 상대적으로 틸팅하며 블레이드(B)팁 부위가 상부를 향해 세워질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정에서 제1 고정모듈(600) 및 제2 고정모듈(700) 간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므로, 제2 고정부(710)는 블레이드(B)팁 부위에서 블레이드(B)의 루트부를 향해 블레이드(B)의 고정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610) 및 제2 고정부(710)가 블레이드(B)를 모두 고정하는 상태에서 블레이드(B)는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 갑판 상에서 세워지며 선적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이후,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 갑판에 남은 공간에 블레이드(B)와 함께 설치되는 타워 및 발전기 등의 기타 부품(P)을 함께 선적하여 운송할 수 있다.
즉, 화물운송선박(S)의 상부 갑판에 보다 많은 양의 화물을 선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300,600 : 제1 고정모듈
110,310,610 : 제1 고정부
120,320,620 : 제1 베이스부
200,400,700 : 제2 고정모듈
210,410,710 : 제2 고정부
220,420,720 : 제2 베이스부
430 : 슬라이드부
500 : 승강모듈
800 : 이송모듈

Claims (6)

  1. 화물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틸팅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모듈;
    상기 화물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틸팅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고정모듈; 및
    상기 제1 고정모듈이 상기 제2 고정모듈이 구비된 위치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송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와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모듈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모듈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대적으로 틸팅하며 상기 화물이 기립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화물을 고정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화물의 선적 형태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화물운송선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24652A 2016-09-28 2016-09-28 화물운송선박 KR10192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52A KR101924324B1 (ko) 2016-09-28 2016-09-28 화물운송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52A KR101924324B1 (ko) 2016-09-28 2016-09-28 화물운송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89A KR20180034889A (ko) 2018-04-05
KR101924324B1 true KR101924324B1 (ko) 2018-12-03

Family

ID=6197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52A KR101924324B1 (ko) 2016-09-28 2016-09-28 화물운송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3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376B1 (ko) * 2013-08-30 2014-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설치장치
WO2016101957A1 (en) * 2014-12-23 2016-06-30 Mhi Vestas Offshore Wind A/S Wind turbine blade handling aboard a vess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376B1 (ko) * 2013-08-30 2014-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설치장치
WO2016101957A1 (en) * 2014-12-23 2016-06-30 Mhi Vestas Offshore Wind A/S Wind turbine blade handling aboard a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89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041B1 (ko) 연안 구조물을 위한 부양 지지부
US10941023B2 (en) Wave-induced motion compensating crane for use on an offshore vessel, vessel and load transferring method
JP6563499B2 (ja) 船に積載された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荷扱い
US11560277B2 (en) Method of securing and transferring a load between a vessel and an offshore installation and an apparatus therefor
JP6222644B2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輸送据付方法および洋上風力発電施設の輸送据付バージ
KR101348358B1 (ko) 선박의 화물창
KR20120099597A (ko) “근해”구역으로 풍력 터빈을 수송하는 선박 및 이를 배치하는 방법
US20110129329A1 (en)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and a gravity center adjustment device thereof
JP2017502896A (ja) コンテナ用の中間保管領域を備えるスタッキングクレーン
US11161571B2 (en) Method of securing and transferring a load between a vessel and an offshore installation and an apparatus therefor
WO2012066790A1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CN102256892A (zh) 用于操纵风力涡轮机的机舱的系统和方法
CN103807115A (zh) 海上风力发电机组水平组装整体翻转竖立装置及施工方法
KR101924324B1 (ko) 화물운송선박
KR20170032685A (ko)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KR20150082826A (ko) 해상 풍력발전기 거치이동장치 및 그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JP2017014940A (ja) 風力発電装置の組み付け方法、風力発電装置の分解方法、風力発電装置の設置方法、及び風力発電装置の作業用船舶
KR101186257B1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KR20140068457A (ko) 애드벌룬형 레이더 마스트의 라이팅 포스트
CA3241736A1 (en)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CN210710225U (zh) 一种船货舱围护系统安装平台的电梯底座
KR20170041468A (ko) 해상도크
CN105730621A (zh) 一种船用木材防护立柱
JP2014148261A (ja) 作業台船の固定方法、保守方法、設置方法、浮体及び浮体式風力設備
KR20170030200A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