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283B1 -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 - Google Patents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283B1
KR101924283B1 KR1020170056132A KR20170056132A KR101924283B1 KR 101924283 B1 KR101924283 B1 KR 101924283B1 KR 1020170056132 A KR1020170056132 A KR 1020170056132A KR 20170056132 A KR20170056132 A KR 20170056132A KR 101924283 B1 KR101924283 B1 KR 10192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cover
control
elasticit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107A (ko
Inventor
김명섭
박민규
김용덕
박은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05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283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1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60Steering arrangements
    • F42B10/62Steering by movement of flight surfaces
    • F42B10/64Steering by movement of flight surfaces of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되어 덮개 개방 전 열 및 압력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부품을 보호하고, 덮개 개방 후 조종날개를 전개하며, 덮개가 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덮개가 탄과 충돌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도무기는 일측이 고정되고, 비틀어짐에 의해 복원방향으로 비틀림 탄성을 갖는 탄성체; 탄성체의 타측에 결합된 플랜지부에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일측이 고정되고, 탄성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탄성체의 동작을 구속하지 않는 중심축;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 하부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에 일측이 결합되고, 하부플레이트에 타측이 결합된 덮개; 탄성체가 비틀림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구속하는 구속부; 및 중심축에 결합되고, 전개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전개스프링이 구비된 조종날개;를 포함하고, 탄성체가 복원됨에 따라 조종날개가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GUIDED WEAPON WITH COVER CAN BE OPENED BY ELASTICITY OF TORSION AND CANARD DEPLOYING METHOD}
본 발명은 유도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되어 덮개 개방 전 열 및 압력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부품을 보호하고, 덮개 개방 후 조종날개를 전개하며, 덮개가 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덮개가 탄과 충돌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무기는 조종날개를 이용하여 비행방향과 비행자세를 제어한다. 그 중 원통형 발사대를 이용하는 유도 로켓 및 포신을 이용하는 유도포탄은 발사 전 탄의 내부에 조종날개가 수납되어야 하며, 발사 후 조종시점에서 조종날개를 전개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유도무기의 하우징에는 조종날개가 전개되는 위치에 슬롯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었고, 이 홈을 통해 탄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조종날개가 전개시점 탄의 외부로 전개될 수 있었다.
하지만, 홈으로 인해 탄의 내부에 장착된 부품들이 포강 및 발사대 내에서 발생하는 화염 및 압력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노출되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또한, 홈을 통해 비행 중 발생하는 공력이 탄의 내부로 유입되어 비행안정성 및 비행자세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5669호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되어 덮개 개방 전 열 및 압력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부품을 보호하고, 덮개 개방 후 조종날개를 전개하며, 덮개가 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덮개가 탄과 충돌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는 일측이 고정되고, 비틀어짐에 의해 복원방향으로 비틀림 탄성을 갖는 탄성체; 탄성체의 타측에 결합된 플랜지부에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일측이 고정되고, 탄성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탄성체의 동작을 구속하지 않는 중심축;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 하부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에 일측이 결합되고, 하부플레이트에 타측이 결합된 덮개; 탄성체가 비틀림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구속하는 구속부; 및 중심축에 결합되고, 전개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전개스프링이 구비된 조종날개;를 포함하고, 탄성체가 복원됨에 따라 조종날개가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속부는 일측이 고정된 고정핀;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고정핀의 타측이 삽입홈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종날개는 덮개에 의해 전개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덮개의 내측면에는 조종날개와 면접촉을 이루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개명령을 수령하고 동작됨으로써, 고정핀을 삽입홈으로부터 탈거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핀이 삽입홈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탄성체가 복원되고, 덮개가 탄성체의 복원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가 회전하는 경우, 조종날개가 전개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덮개는 복수 개이며 동시에 회전하고, 조종날개는 복수 개이며 동시에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체는 토션바(torsion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의 조종날개 전개방법은 조종날개 전개명령을 수령하는 단계(S110); 비틀림에 의해 복원방향으로 비틀림 탄성을 갖는 탄성체의 구속이 해제되는 단계(S120); 탄성체가 복원되고, 덮개가 탄성체의 복원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S130); 덮개가 개방되는 단계(S140); 및 조종날개가 전개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도무기는 덮개가 구비되어 덮개 개방 전(조종날개 수납 시) 열 및 압력의 외부환경으로부터 탄의 내부에 장착된 내부부품들을 보호하고, 비행 중 발생하는 공력이 탄의 내부로 유입되어 비행안정성 및 비행자세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전개명령 후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는 덮개 개방 후(조종날개 전개 시) 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분리된 덮개가 탄과 충돌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한 개의 구동부를 통해 복수 개의 덮개를 동시에 회전시켜 개방하고, 복수 개의 조종날개를 동시에 전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도무기의 덮개 개방 전(조종날개 수납 시)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도무기의 덮개 개방을 위해 탄성체의 구속을 해제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도무기의 덮개 개방 후(조종날개 전개 시)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발사 전 탄의 내부에 조종날개를 수납하였다가 발사 후 조종시점에서 조종날개를 전개하여 비행방향과 비행자세를 제어하는 유도무기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도무기의 덮개 개방 전(조종날개 수납 시)을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도무기는 일측(30b)이 고정되고, 비틀림 모멘트(탄성체를 비틀려는 모멘트, T.M)에 의해 비틀어져 복원방향으로 비틀림 탄성(탄성체가 본래 모양으로 복원되려는 변형, T.E)을 갖는 탄성체(30), 탄성체(30)의 타측(30a)에 결합된 플랜지부(31)에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원판형상의 상부플레이트(10), 탄성체(3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탄성체(30)의 동작을 구속하지 않는 중심축(50), 중심축(50)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 원판형상의 하부플레이트(20), 상부플레이트(10)에 일측이 결합되고, 하부플레이트(20)에 타측이 결합된 덮개(40), 탄성체(30)가 비틀림 탄성(T.E)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구속하는 구속부(70) 및 중심축(50)에 결합되고, 전개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전개스프링이 구비된 조종날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체(30)는 일측(30b)은 임의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회전이 고정되고, 타측(31a)은 회전 가능한 상부플레이트(10)와 결합된다.
그리고 임의의 동력원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한 비틀림 모멘트(T.M)에 의해 비틀어져 있으며, 따라서 복원방향으로 비틀림 탄성(T.E)을 갖는다.
여기서 탄성체(30)의 복원방향은 비틀림 모멘트(T.M)의 방향과 반대 방향이며, 비틀림 탄성(T.E)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탄성체(30)를 중심으로 비틀림 모멘트(T.M)의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비틀림 탄성(T.E)의 방향과 탄성체(30)의 복원방향은 시계방향이 된다.
상기 중심축(50)은 탄성체(30)와 달리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하거나 비틀어지지 않아야 한다. 또한, 탄성체(30)가 비틀어지거나 혹은 복원될 때 탄성체(30)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구속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심축(50)은 임의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회전이 고정되고, 비틀어지지 않는 소재로 제작되며, 도 2와 같이 탄성체(3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중심축(50)의 내측면이 탄성체(30)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중심축(50)이 회전하거나 비틀어지지 않아야 하는 이유는 도 1,2와 같이 중심축(50)의 외측면에 조종날개(6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며, 상기 조종날개(60)가 덮개(40)의 회전에 의해 전개되거나 전개가 구속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임의의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가 회전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10)에 일측이 하부플레이트(20)에 타측이 결합된 덮개(40)도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중심축(50)이 회전함으로써 조종날개(60)가 덮개(40)와 함께 회전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덮개(40)와 조종날개(60)가 동시에 동일하게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의 경우 덮개(40)와 조종날개(60)가 서로 이루고 있는 위치가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덮개(40)의 회전에 의해 조종날개(60)가 전개되거나 전개가 구속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조종날개(60)가 결합된 중심축(50)은 회전이 고정되고, 반면에 상부플레이트(10), 하부플레이트(20) 및 덮개(40)는 임의의 동력원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회전에 의해 탄성체(30)가 비틀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구속부(70)는 도 1과 같이 중심축(50)이 고정되어 있는 임의의 고정부(도면부호 미도시)에 고정되어 회전이 고정된 고정핀(71)과 하부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72)을 포함하여 고정핀(71)을 삽입홈(72)에 끼웠다 뺐다 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72)은 상부플레이트(10)에 형성된 삽입홈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속부(7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고정핀(71)이 삽입홈(72)에 삽입됨으로써,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의 회전이 고정되어 상부플레이트(10)와 플랜지부(31)를 통해 결합된 탄성체(30)도 고정되므로 비틀어진 탄성체(30)가 비틀림 탄성(T.E)에 의해 복원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유도무기는 도 1,2와 같이 비틀림 모멘트(T.M)에 의해 비틀어져 복원방향으로 비틀림 탄성(T.E)을 갖는 탄성체(30)를 조종시점 이전에 복원되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도 1,2와 같이 덮개(40)에 의해 조종날개(60)는 전개경로가 차단되어 탄의 외부로 전개되지 못하고 탄의 내부에 수납된다.
한편, 조종날개(60)에는 조종시점 덮개(40)가 개방되었을 때, 즉시 탄의 외부로 전개될 수 있도록 전개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전개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조종날개(60)는 전개스프링에 의해 유도무기의 중심축(50)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조종날개(60)의 하측이 도 4와 같이 위로 올라가도록 회전하며 전개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개스프링은 도 1,2와 같이 덮개(40)에 의해 전개경로가 차단되어 조종날개(60)의 전개가 구속된 경우에도 전개방향으로 탄성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덮개 개방 전 조종날개(60)는 덮개(40)의 내측면과 도 1,2와 같이 접촉하게 되고, 전개스프링의 탄성이 덮개(40)에 가해지게 된다.
그런데 이때, 도 1,2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조종날개(60)로 인해 덮개(40)의 내측면이 평면인 경우 조종날개(60)의 상측 모서리부(61)가 선접촉하게 되는데, 그러면 전개스프링의 탄성이 덮개(40)에 가해질 때, 상측 모서리부(61)와 선접촉한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면서 상기 부분에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도무기는 도 1,2와 같이 덮개(40)의 내측면에 조종날개(60)의 상측 모서리부(61)와 면접촉을 이룰 수 있는 걸림턱(41)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조종날개(60)와 접촉하는 면적을 늘려줌으로써 전개스프링의 탄성이 덮개(40)의 특정부분에 집중적으로 가해지지 않고, 넓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도무기는 발사 후 조종시점에서 전개명령을 수령하고, 임의의 동력원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동작됨으로써, 구속부(70)가 탄성체(30)의 복원을 구속하는 것을 해제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도면에 미 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유도무기의 덮개 개방을 위해 탄성체의 구속을 해제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는 구속부(70)의 고정핀(71)과 연결되어 전개명령을 수령한 이후 고정핀(71)을 삽입홈(72)으로부터 탈거시켜 탄성체(30)가 비틀림 탄성(T.E)에 의해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인 유도무기의 덮개 개방 후(조종날개 전개 시)를 보여주는 모식도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탄성(T.E)에 의해 탄성체(30)가 본래 모습으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탄성체(30)와 결합된 상부플레이트(10), 하부플레이트(20) 및 덮개(40)가 상기 탄성체(30)의 복원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덮개(40)는 조종날개(60)의 전개경로를 전혀 차단하지 않도록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덮개(40)가 개방되어 진다. 나아가 덮개(40)가 개방됨으로써 전개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전개스프링에 의해 조종날개(60)가 탄의 외부로 전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도무기는 비행방향과 비행자세를 다양하게 구현하며 유도조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조종날개(60)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조종날개(60)들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하나의 중심축(50)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각 조종날개(60)마다 하나의 덮개(4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덮개(40)들은 하나의 상부플레이트(10)와 하나의 하부플레이트(20)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하나의 탄성체(3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유도무기는 하나의 구동부로 하나의 탄성체(30)를 복원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덮개(40)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덮개(40)를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복수 개의 조종날개(60)를 동시에 전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도무기의 덮개(40)는 상부플레이트(10) 및 하부플레이트(20)에 결합되어 있어 전개명령 후 개방된 이후에도 유도무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분리된 덮개가 유도무기와 충돌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탄성체(30), 중심축(50) 및 구속부(70)의 고정핀(71)이 고정되는 임의의 고정부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유도무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유도무기의 전체를 지지하는 하우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도무기에 포함되되 회전이 고정된 구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30), 상기 중심축(50), 상기 고정핀(71)이 각자 다른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유도무기에 사용되는 탄성체(30)는 스프링 강으로 제작되며, 가늘고 긴 막대 모양으로, 비틀어짐에 의해 비틀림 탄성을 갖는 토션 바(torsionbar spring or torsion bar)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의 조종날개 전개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종날개 전개방법은 순서대로 발사된 이후 조종시점에서 조종날개 전개명령을 수령하는 단계(S110), 전개명령을 수령한 구동부가 동작됨으로써 도 3과 같이 고정핀(71)이 삽입홈(72)으로부터 탈거되고, 이에 의해 복원방향으로 비틀림 탄성(T.E)을 갖는 탄성체(30)의 구속이 해제되는 단계(S120), 구속이 해제된 탄성체(30)가 비틀림 탄성(T.E)에 의해 본래 모양으로 복원되고, 이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0), 하부플레이트(20) 및 덮개(40)가 상기 탄성체(30)의 복원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S130), 상기 덮개(40)가 조종날개(60)의 전개경로를 전혀 차단하지 않도록 회전하여 덮개(40)가 개방되는 단계(S140) 및 전개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전개스프링에 의해 조종날개(60)가 전개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는 유도 로켓 및 포신을 이용하는 유도포탄을 포함하여 조종날개를 수납하였다가 전개함으로써 비행방향과 비행자세를 제어하는 다양한 종류의 유도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 상부플레이트
20 : 하부플레이트
30 : 탄성체
31 : 플랜지부
40 : 덮개
41 : 걸림턱
50 : 중심축
60 : 조종날개
61 : 모서리부
70 : 구속부
71 : 고정핀
72 : 삽입홈

Claims (10)

  1. 일측이 고정되고, 비틀어짐에 의해 복원방향으로 비틀림 탄성을 갖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타측에 결합된 플랜지부에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탄성체의 동작을 구속하지 않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타측이 결합된 덮개;
    상기 탄성체가 상기 비틀림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것을 구속하는 구속부; 및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전개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전개스프링이 구비된 조종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가 복원됨에 따라 상기 조종날개가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일측이 고정된 고정핀;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의 타측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날개는 상기 덮개에 의해 전개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는 상기 조종날개와 면접촉을 이루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5. 제2항에 있어서,
    전개명령을 수령하고 동작됨으로써, 상기 고정핀을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탈거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가 복원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탄성체의 복원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조종날개가 상기 전개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복수 개이며 동시에 회전하고, 상기 조종날개는 복수 개이며 동시에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토션바(torsion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유도무기의 조종날개 전개방법에 있어서,
    조종날개 전개명령을 수령하는 단계;
    비틀림에 의해 복원방향으로 비틀림 탄성을 갖는 탄성체의 구속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탄성체가 복원되고, 덮개가 상기 탄성체의 복원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단계; 및
    상기 조종날개가 전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무기의 조종날개 전개방법.
KR1020170056132A 2017-05-02 2017-05-02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 KR10192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32A KR101924283B1 (ko) 2017-05-02 2017-05-02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32A KR101924283B1 (ko) 2017-05-02 2017-05-02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107A KR20180122107A (ko) 2018-11-12
KR101924283B1 true KR101924283B1 (ko) 2018-11-30

Family

ID=6439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132A KR101924283B1 (ko) 2017-05-02 2017-05-02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2009B (zh) * 2018-12-11 2022-06-07 湖北航天飞行器研究所 一种飞行器折叠翼锁定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107A (ko) 201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273B1 (ko) 포발사 유도포탄의 조종날개 전개장치 및 전개방법
RU2320952C2 (ru) Ракета, имеющая механизм развертывания убирающихся стабилизаторов
KR101522212B1 (ko) 포탄
US8552351B2 (en) Projectile with deployable control surfaces
JP4550835B2 (ja) 2次元発射体軌道補正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640589B2 (en) Projectile modification method
US6446906B1 (en) Fin and cover release system
US7829830B1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access through a slot on a projectile
KR102002306B1 (ko) 큐브위성 우주 분리장치
US8558153B2 (en) Projectile with inertial sensors oriented for enhanced failure detection
US7700902B2 (en) Locking assembly for rotary shafts
JP2008528917A (ja) 単一軸フィン展開システム
KR101924283B1 (ko) 비틀림 탄성에 의해 개방되는 덮개가 구비된 유도무기 및 조종날개 전개방법
KR101864088B1 (ko) 발사체의 조종날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76720B1 (ko) 조종날개의 전개 장치
US8686329B2 (en) Torsion spring wing deployment initiator
KR102104259B1 (ko) 유도무기용 조종날개 전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도무기용 조종날개 전개방법
US20140374540A1 (en) Unspinning a payload ejected from a spinning projectile
KR101924284B1 (ko) 유도무기의 조종날개 전개장치 및 전개방법
KR101074028B1 (ko) 전개된 날개 고정기구를 갖는 비행체
KR101778635B1 (ko) 발사환경구속 및 결함안전기능이 구비된 교정 메커니즘
KR102081885B1 (ko) 접이식 날개전개장치
KR102275964B1 (ko) 하나의 스크류를 이용한 탄의 조종날개 구속해제 장치 및 구동방법
KR101924970B1 (ko) 유도무기 및 유도무기의 보호덮개 방출방법
KR20100107714A (ko) 우주비행체의 부속물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