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196B1 -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196B1
KR101924196B1 KR1020170086344A KR20170086344A KR101924196B1 KR 101924196 B1 KR101924196 B1 KR 101924196B1 KR 1020170086344 A KR1020170086344 A KR 1020170086344A KR 20170086344 A KR20170086344 A KR 20170086344A KR 101924196 B1 KR101924196 B1 KR 101924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bodies
scupper
exposed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희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6Gaskets; 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갑판의 스커퍼(exposed scupper)에 설치되는 비용접 거름 장치는, X자형으로 교차 결합된 2개의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2개의 서브 바디 중 어느 하나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바디는 다수 회 절곡 형성된 라운드 바이며, 상기 서브 바디의 가운데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측면부를 갖는 요철홈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Non-welding type filter device for exposed scupper of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거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exposed scupper)용 비용접 거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커퍼는 외부에 노출된 갑판에 고인 물(빗물을 포함하는 액체물질)을 모아 선박과 같은 해양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커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커퍼(10)는 갑판(5)의 측면 아래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지지부(20)에 의해 벽(wall)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을 유지하도록 지지된다.
갑판(5)에서 형성된 빗물을 포함하는 액체물질은 코밍부를 지나 스커퍼 파이프(12)의 상부 개구부(16)로 유입된다. 유입된 액체물질은 스커퍼 파이프(12)를 통해 하부로 진행하다가 하부의 스트라이킹 패드(14)에서 진행방향이 변경되어 측면의 배출구(18)에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선박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부 개구부(16)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커퍼(10)는 갑판 내 미끄러움을 방지하고 거름망(30)을 통해 걸러진 이물질을 수거함으로써 갑판 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스커퍼 파이프(12)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름망(30)의 밑단부와 스커퍼 파이프(12) 사이에는 용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용접 없이 도장 작업이 진행되어 선박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단기간 내 해당 위치를 기점으로 부식이 발생되지만 교체가 불가능하여 스커퍼의 기능 저하로 인한 고객 불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 개발되어 있는 가정용 배수구 필터의 경우에는 배수관의 직경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촘촘한 형태의 거름망이 설치될 수 있지만, 선박의 경우에는 배수구 직경이 작고 모두 스틸(steel)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용 거름망을 사용할 경우 부식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4-0001887호 (2014.04.02 공개) - 높낮이 조절 가능한 커버를 지닌 스커퍼
본 발명은 소형 배수구가 적용되는 선박 갑판의 스커퍼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청소 및 교체가 원활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부식 위험을 차단한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 배수구가 적용되는 선박 갑판에 고인 빗물을 포함하는 액체물질을 선박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주고 액체물질만을 선박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갑판 미끄러움 방지 및 이물질 수거가 가능한 차단한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갑판의 스커퍼(exposed scupper)에 설치되는 비용접 거름 장치로서, X자형으로 교차 결합된 2개의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2개의 서브 바디 중 어느 하나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바디는 다수 회 절곡 형성된 라운드 바이며, 상기 서브 바디의 가운데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측면부를 갖는 요철홈이 형성된 비용접 거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2개의 서브 바디의 요철홈이 서로 접촉하여 결합하되, 상기 요철홈의 결합지점에는 타 서브 바디의 형상에 상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갑판의 스커퍼(exposed scupper)에 설치되는 비용접 거름 장치로서, X자형으로 교차 결합된 4개의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4개의 서브 바디 중 마주 보는 2개의 서브 바디의 끝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바디는 다수 회 절곡 형성된 라운드 바이며, 상기 서브 바디는 수평 상태의 상부 끝단부와 하부 결합부, 상기 상부 끝단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 사이에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연결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서브 바디의 하부 결합부들이 일 지점에서 서로 만나 결합되는 비용접 거름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갑판의 스커퍼(exposed scupper)에 설치되는 비용접 거름 장치로서, X자형으로 교차 결합된 4개의 서브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서브 바디의 상호 간격이 크기 조정부에 의해 가변되는 가변형 몸체부; 및 상기 4개의 서브 바디 중 마주 보는 2개의 서브 바디의 끝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바디는 다수 회 절곡 형성된 라운드 바이며, 상기 서브 바디는 수평 상태의 상부 끝단부와 하부 결합부, 상기 상부 끝단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 사이에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연결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기 조정부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 로드가 상기 하부 결합부에 나사 결합된 비용접 거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크기 조정부는 4개의 상기 연결 로드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며 상호 치합되는 4개의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상기 4개의 베벨기어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바디의 끝단부의 하부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부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의 표면에는 논슬립 페인트(non-slip paint)가 도포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 배수구가 적용되는 선박 갑판의 스커퍼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청소 및 교체가 원활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부식 위험을 차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 배수구가 적용되는 선박 갑판에 고인 빗물을 포함하는 액체물질을 선박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주고 액체물질만을 선박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갑판 미끄러움 방지 및 이물질 수거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커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용접 거름 장치가 선박 스커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접 거름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용접 거름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비용접 거름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에 대한 수평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용접 거름 장치가 선박 스커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접 거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는 갑판(5), 스커퍼(10). 스커퍼 파이프(12), 상부 개구부(16), 배출구(18), 지지부(20), 비용접 거름 장치(100/200/300), 몸체부(110), 서브 바디(120,130), 요철홈(124,134), 끝단부(122,132), 손잡이(140), 패드부(126,136), 결합홈(138)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용접 거름 장치(100/200/300)는 선박의 갑판(5)에 설치된 소형 배수구가 적용되는 스커퍼(10)의 상부 개구부(16)에 탈부착형으로 설치되어, 갑판(5)에 고인 빗물을 포함하는 액체물질만을 스커퍼 파이프(12)로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우선 도 3에 도시된 비용접 거름 장치(1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용접 거름 장치(100)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몸체부(110)와,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위에서 내려다 볼 때 X자형으로 교차 결합된 2개의 서브 바디(120,130)를 포함한다. 선박의 갑판(5)에 설치되는 배수구는 그 직경이 작아 미세한 거름망을 적용할 필요가 없으며, 큰 찌꺼기를 걸러주는 기능으로 충분하기에 본 실시예와 같은 형상의 몸체부(110)를 적용할 수 있다.
서브 바디(120,130) 각각은 다수 회 절곡 형성된 라운드 바(round bar)일 수 있다. 서브 바디(120,130)의 가운데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측면부를 갖는 요철홈(124,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서브 바디(120,130)의 양 끝단부(122,132)는 수평 상태로 놓여진다.
한 쌍의 서브 바디(120,130)는 소정의 각도(예컨대, 90도(˚))를 가지면서 교차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각 서브 바디(120,130)의 요철홈(124,134)이 서로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방식으로는 예컨대 용접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상부 개구부(16)의 형상에 맞춰 스커퍼 파이프(12)의 내부에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별도의 고정용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용접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유지 보수가 쉽게 되는 장점이 있다.
서브 바디 중 어느 하나(도면에서는 120)에 대해서는 그 양 끝단부(122) 상에 손잡이(140)가 설치된다. 손잡이(140)는 비용접 거름 장치(100)의 핸들링을 용이하기 하기 위한 부분으로, 작업자가 비용접 거름 장치(100)를 스커퍼(10)에 장착하거나 혹은 스커퍼(10)에서 탈착하는 경우 파지 수단이 된다.
서브 바디(120,130)의 양 끝단부(122,132) 하부에는 패드부(126,136)가 부착될 수 있다. 패드부(126,136)는 예컨대 고무(rubbe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비용접 거름 장치(100)의 장착 이후 상부 개구부(16)에서의 슬립(slip)을 방지하여 비용접 거름 장치(100)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26,136)의 표면에는 논슬립 페인트(non-slip paint)를 도포함으로써, 슬립 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패드부(126,136)에 의해 비용접 거름 장치(100)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부식 위험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드부(126,136)에 의해 몸체부(110)는 스커퍼(10)의 몸체(즉, 스커퍼 파이프(12))와 이격되어 있게 되고, 패드부(126,136)가 부도체로 이루어져 있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서브 바디(120)의 상부에 제2 서브 바디(130)가 교차 결합되어 있다.
제2 서브 바디(130)의 요철홈(134) 하부에는 제1 서브 바디(120)의 요철홈(124) 상부에 상응하는 결합홈(138)이 형성되어, 제2 서브 바디(130)가 제1 서브 바디(1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제1 서브 바디(120)의 요철홈(124) 상부에 제2 서브 바디(130)의 요철홈(134) 하부에 상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용접 거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에는 비용접 거름 장치(200), 몸체부(210), 서브 바디(220, 230, 240, 250), 손잡이(260), 상부 끝단부(222, 232, 242, 252), 경사부(223, 233, 243, 253), 하부 결합부(224, 234, 244, 254), 패드부(226, 236, 246, 25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용접 거름 장치(200)의 몸체부(210)는 4개의 서브 바디(220, 230, 240, 250)를 포함하며, 4개의 서브 바디(220, 230, 240, 250)는 일 지점에서 결합된다.
각 서브 바디(220, 230, 240, 250)는 상부 끝단부(222, 232, 242, 252), 경사부(223, 233, 243, 253), 하부 결합부(224, 234, 244, 254)를 포함한다. 상부 끝단부(222, 232, 242, 252)와 하부 결합부(224, 234, 244, 254)는 수평 상태로 놓여지며, 상부 끝단부(222, 232, 242, 252)와 하부 결합부(224, 234, 244, 254)는 소정 경사를 갖는 경사부(223, 233, 243, 253)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끝단부(222, 232, 242, 252)의 하부에는 패드부(226, 236, 246, 256)가 부착되어, 슬립을 방지하고 부식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4개의 서브 바디(220, 230, 240, 250) 각각의 하부 결합부(224, 234, 244, 254)는 일 지점에서 만나며, 예컨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4개의 서브 바디(220, 230, 240, 250)가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4개의 서브 바디(220, 230, 240, 250)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라운드 바(예컨대, 제1 서브 바디(220) 및 제3 서브 바디(240))에는 손잡이(260)가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도 3 혹은 도 4에 도시된 비용접 거름 장치(100/200)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고정된 타입으로, 적용 가능한 배수구의 직경이 한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배수구의 직경에 따라 그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형 비용접 거름 장치에 대해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비용접 거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에 대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변형 비용접 거름 장치(300), 가변형 몸체부(310), 패드부(326, 336, 346, 356), 손잡이(360), 제1 내지 제4 서브 바디(320, 330, 340, 350), 가이드 홈(328, 348), 크기 조정부(380), 연결 로드(372, 373, 374, 375), 제1 내지 제4 베벨기어(382, 383, 384, 385)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비용접 거름 장치(300)는 연결 로드에 연결된 4개의 서브 바디가 크기 조정부의 동작에 의해 상호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가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형 비용접 거름 장치(300)는 가변형 몸체부(310)와 손잡이(360)를 포함한다.
가변형 몸체부(310)는 4개의 서브 바디(320, 330, 340, 350), 4개의 연결 로드(372, 373, 374, 375), 크기 조정부(380)를 포함한다.
4개의 서브 바디(320, 330, 340, 350) 각각은 4개의 연결 로드(372, 373, 374, 375)에 의해 크기 조정부(380)에 연결된다.
서브 바디(320, 330, 340, 350)는 상부 끝단부(322, 332, 342, 352), 경사부(323, 333, 343, 353), 하부 결합부(324, 334, 344, 354)를 포함한다. 상부 끝단부(322, 332, 342, 352)와 하부 결합부(324, 334, 344, 354)는 수평 상태로 놓여지며, 상부 끝단부(322, 332, 342, 352)와 하부 결합부(324, 334, 344, 354)는 소정 경사를 갖는 경사부(323, 333, 343, 353)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끝단부(322, 332, 342, 352)의 하부에는 패드부(326, 336, 346, 356)가 부착되어, 슬립을 방지하고 부식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일부 상부 끝단부(322, 342)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328, 348)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328, 348) 내에는 손잡이(360)의 끝단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크기 조정부(380)에 의해 가변형 몸체부(310)의 크기가 가변되는 경우, 크기가 변하지 않는 손잡이(360)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서브 바디가 중심 측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지라도 손잡이(360)의 끝단은 가이드 홈(328, 348) 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서브 바디(320)와 제3 서브 바디(340)에 가이드 홈(328, 348)이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외에도 제2 서브 바디(330)와 제4 서브 바디(350)에도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추가적인 손잡이가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 결합부(324, 334, 344, 354)에는 연결 로드(372, 373, 374, 375)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하부 결합부(324, 334, 344, 354)의 끝단에는 연결 로드(372, 373, 374, 375)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로드(372, 373, 374, 375)의 표면에는 삽입홈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결합부(324, 334, 344, 354)가 너트로 기능하고 연결 로드(372, 373, 374, 375)가 볼트로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 연결 로드(372, 373, 374, 375)가 일 방향 혹은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나사 결합된 하부 결합부(324, 334, 344, 354)는 연결 로드(372, 373, 374, 375)의 길이 방향으로 전진 혹은 후진하게 된다.
4개의 연결 로드(372, 373, 374, 375)는 크기 조정부(380)에 의해 회전량이 조정될 수 있다. 크기 조정부(380)에서는 4개의 연결 로드(372, 373, 374, 375)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여, 4개의 서브 바디(320, 330, 340, 350)가 동시에 동일한 정도로 중심측을 향해 혹은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크기 조정부(380)는 4개의 베벨기어(382, 383, 384, 385)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연결 로드(372, 373, 374, 375)에 각각 연결된 4개의 베벨기어(382, 383, 384, 385)는 이웃하는 베벨기어와 90도만큼 엇갈려 배치되면서 서로 치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베벨기어(382)가 ①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웃하는 제2 베벨기어(383)와 제4 베벨기어(385)는 각각 서로 반대되는 ② 방향과 ④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베벨기어(383) 및 제4 베벨기어(385)에 이웃하는 제3 베벨기어(384)가 ① 방향에 반대되는 ③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4개의 베벨기어의 기어치 개수가 동일하다면 그 회전량은 동일하게 된다.
이 경우 서로 마주보는 연결 로드(372, 374) 및 서브 바디(320, 340)는 서로 동일한 특성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고, 서로 이웃하는 연결 로드(373, 375) 및 서브 바디(330, 350)는 반대 특성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베벨기어(382)에 연결된 제1 연결 로드(372)가 ① 방향으로 회전(중심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 방향)하는 경우 제1 서브 바디(320)가 중심측을 향하도록 나사 결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3 베벨기어(384)에 연결된 제3 연결 로드(374)는 ① 방향에 반대되는 ③ 방향(하지만, 중심에서 바라볼 때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중심에서 바라볼 때에는 동일하게 반시계 방향인 바, 제3 서브 바디(340)와 제3 연결 로드(374)는 제1 서브 바디(320)와 제1 연결 로드(372)와 동일한 나사 결합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3 서브 바디(340) 역시 중심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베벨기어(383)에 연결된 제2 연결 로드(373)는 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중심에서 바라볼 때 시계 방향이기에 제1 연결 로드(372) 혹은 제3 연결 로드(375)와는 회전 방향이 반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2 서브 바디(330)와 제2 연결 로드(373)가 제1 서브 바디(320)와 제1 연결 로드(372)와는 반대되는 나사 결합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2 서브 바디(330) 역시 중심측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4 베벨기어(385)에 연결된 제4 연결 로드(375)와 제4 서브 바디(35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4개의 베벨기어(382, 383, 384, 385)는 크기 조정 몸체(381) 내에 타이트하지만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방향과는 무관하게 항상 치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크기 조정부(380)에는 회전력 제공부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력 제공부는 연결 로드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 손잡이(390)일 수 있다. 회전 손잡이(390)를 일 방향 혹은 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 로드(374)가 회전하게 되고, 크기 조정부(380)를 통해 타 연결로드(372, 373, 375) 역시 회전하게 된다.
또는 회전력 제공부는 4개의 베벨기어(382, 383, 384, 385)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크기 조정 몸체(381)의 상부 혹은 하부에 돌설되며, 끝단이 4개의 베벨기어(382, 383, 384, 385) 중 하나에 치합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져, 회전력 제공부의 회전에 의해 4개의 베벨기어(382, 383, 384, 385)가 회전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비용접 거름 장치(300)는 가변형 몸체부(310)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삽입 가능한 배수구 직경의 범위가 광범위하게 되어, 하나의 제품으로도 다양한 장소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각각 소량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규격화된 하나의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제품 단가를 낮출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비용접 거름 장치 110: 몸체부
120, 130: 서브바디 140: 손잡이
126, 136: 패드부 200: 비용접 거름 장치
210: 몸체부 220, 230, 240, 250: 서브바디
260: 손잡이 300: 가변형 비용접 거름 장치
310: 가변형 몸체부 320, 330, 340, 350: 서브바디
372, 373, 374, 375: 연결 로드 380: 크기 조정부
390: 회전력 제공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선박 갑판의 스커퍼(exposed scupper)에 설치되는 비용접 거름 장치로서,
    X자형으로 교차 결합된 4개의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4개의 서브 바디 중 마주 보는 2개의 서브 바디의 끝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바디는 다수 회 절곡 형성된 라운드 바이며,
    상기 서브 바디는 수평 상태의 상부 끝단부와 하부 결합부, 상기 상부 끝단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 사이에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연결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서브 바디의 하부 결합부들이 일 지점에서 서로 만나 결합되는 비용접 거름 장치.
  4. 선박 갑판의 스커퍼(exposed scupper)에 설치되는 비용접 거름 장치로서,
    X자형으로 교차 결합된 4개의 서브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서브 바디의 상호 간격이 크기 조정부에 의해 가변되는 가변형 몸체부; 및
    상기 4개의 서브 바디 중 마주 보는 2개의 서브 바디의 끝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바디는 다수 회 절곡 형성된 라운드 바이며,
    상기 서브 바디는 수평 상태의 상부 끝단부와 하부 결합부, 상기 상부 끝단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 사이에 소정 경사를 가지도록 연결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기 조정부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 로드가 상기 하부 결합부에 나사 결합된 비용접 거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정부는 4개의 상기 연결 로드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며 상호 치합되는 4개의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비용접 거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4개의 베벨기어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비용접 거름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의 끝단부의 하부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부가 부착된 비용접 거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표면에는 논슬립 페인트(non-slip paint)가 도포된 비용접 거름 장치.
KR1020170086344A 2017-07-07 2017-07-07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 KR101924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44A KR101924196B1 (ko) 2017-07-07 2017-07-07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44A KR101924196B1 (ko) 2017-07-07 2017-07-07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196B1 true KR101924196B1 (ko) 2018-12-03

Family

ID=6474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344A KR101924196B1 (ko) 2017-07-07 2017-07-07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7778A (zh) * 2018-12-26 2019-05-14 大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甲板泄放水管路布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7778A (zh) * 2018-12-26 2019-05-14 大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甲板泄放水管路布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1619B2 (en) Apparatus for trapp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matter
US6780310B1 (en) Variable vortex baffle fluid filter
DE1298506B (de) Abscheider fuer Feststoffe aus Fluessigkeiten
DE4119154A1 (de)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abwasser
KR101924196B1 (ko) 해양 구조물의 스커퍼용 비용접 거름 장치
DE2910523C2 (ko)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EP3787767A1 (de) Sedimentationseinrichtung
DE19912449C1 (de) Regenwasserfilter
EP0068449A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Siebes oder eines Rechens
EP0577948B1 (de) Abscheideranlage für mit Sink- und/oder Schwimmstoffen beladene Abwässer
DE3514157A1 (de) Vorrichtung zum separieren von fluessigkeiten
DE19852119C1 (de)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Schmutzwasser
DE19517101C1 (de)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Abscheidegut aus einer überlaufenden Flüssigkeit
AT398960B (de) Steckfiltereinheit und anlage zum abscheiden von leichtflüssigkeiten
DE10310420B3 (de) Wassersammelvorrichtung
DE2902983B1 (de) Wasserspeicherbecken
DE3002511A1 (de) Oelabscheider
DE102005019001A1 (de) Sieb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Flüssigkeiten, Sammelbecken mit einer solchen Sieb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Flüssigkeiten
EP1129756A2 (de)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rohrförmigen Siebes und eine Regenwasser-Reinigungsvorrichtung mit einem rohrförmigen Sieb
DE202005014237U1 (de) Sedimentationsanlage
DE2559620A1 (de) Spuele fuer haushalte o.dgl.
EP2735348A1 (de) Abscheider mit Trägerkonstruktion
DE102005008743A1 (de) Abscheider
DE4338905C1 (de)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Rechen- und/oder Siebgut aus in einem Gerinne strömender Flüssigke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