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988B1 - 무인독서실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무인독서실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988B1
KR101923988B1 KR1020170056328A KR20170056328A KR101923988B1 KR 101923988 B1 KR101923988 B1 KR 101923988B1 KR 1020170056328 A KR1020170056328 A KR 1020170056328A KR 20170056328 A KR20170056328 A KR 20170056328A KR 101923988 B1 KR101923988 B1 KR 10192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room
reserv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736A (ko
Inventor
최바다
Original Assignee
최바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바다 filed Critical 최바다
Publication of KR2017012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실의 예약시부터 예약시간 종료시까지 무인으로 관리 및 관리할 수 있고, 24시간 무인 관리에 필수적인 안전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무인독서실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객 단말기 번호로 가입하도록 하여서 회원 가입의 편의성, 활용성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예약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서 상황에 따른 적합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쿠폰 결제 방식을 통해서 신속하게 결제를 유도하여 무인독서실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독서실 관리방법{Method of Managing Uninhabited Reading and Studying Room}
본 발명은 독서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실 사용자의 독서실 예약시부터 퇴실시까지 무인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 학습, 과외 학습, 그룹 스터디, 회의 또는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전문화된 공간을 제공해주고자, 독서실의 차별화된 서비스 범위가 다각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독서실은 학습 방해 요소가 최소화된 공간으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필요시에 수시로 단기로 또는 장기로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이용시간과 사용시간이 상이한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독서실의 예약 정보 제공, 예약 문의 응대, 이용가능한 독서실 좌석 정보 제공, 예약 수속, 결제, 독서실 위치 안내 등 수많은 서비스를 독서실 관리자가 제공하기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독서실을 운영 관리하기 위한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앞서 예시한 서비스를 무인으로 24시간 제공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독서실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독서실의 예약시부터 예약시간 종료 후 퇴실시까지 무인으로 24시간 관리 운영할 수 있고, 24시간 무인 관리에 필수적인 안전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무인독서실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독서실 관리서버로부터 예약 앱이 전송되어 설치된 고객 단말기를 통해 회원가입하되, 고객 단말기 번호로 인증코드를 전송받아 인증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 번호로 회원 가입한 후, 상기 예약 앱을 통해서, 일반예약, 쿠폰예약, 바로예약 또는 빠른예약을 한 후, 독서실 예약 지점과, 특정 ID가 부여된 개인실과 과외실과 스터디실과 회의실과, 사물함 사용 여부와, 예약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 사항에 따른 이용요금을 결제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가 상기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도어락이 구비된 출입구가 설치된 독서실의 도어락 해제를 위한 바코드 및 비밀번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정보에 상응하는 바코드 및 비밀번호가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상기 도어락에 입력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가 상기 독서실의 출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독서실의 전원공급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입퇴실 인식 수단이 상기 독서실 내부의 조명의 점등을 감지하면 촬영하여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점등시각이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입실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가 입실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으로 상기 독서실의 공지사항, 예약정보 및 잔여시간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이 상기 독서실 내부의 조명의 소등을 일정 시간 이상 감지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퇴실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가 퇴실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실행하여 출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독서실의 전원공급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무인독서실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쿠폰예약시, 상기 독서실 별로, 특정기간 내 재구매 별로, 특정 잔여시간에 따른 재구매 별로, 독서실 사용 인원 별로, 또는 쿠폰추가할인 이벤트 여부 별로 쿠폰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예약 앱에 로그인한 고객 단말기로 쿠폰추가할인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서실 예약 지점 선택시,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GPS 정보를 통해서, 인접한 독서실의 거리 및 위치에 따른 예약 가능 독서실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이 상기 독서실 내부의 소리를 감지하면 촬영하여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소리 감지 시각이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입실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이 상기 독서실 내부의 동작을 감지하면, 촬영하여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동작 감지 시각이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입실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이 상기 독서실 내부의 특정 온도 이상을 감지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화재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는 상기 화재신호가 전송된 독서실의 ID에 해당하는 독서실정보를 고객 단말기, 관리자 단말기 및 소방서로 전송하고, 비상 연락하는 단계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는 긴급 대피 정보를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으로부터 1차 비상호출신호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는 1차 비상호출신호가 전송된 독서실의 ID에 해당하는 독서실정보 및 입실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으로부터 2차 비상호출신호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는 2차 비상호출신호의 비상상황, 독서실정보 및 입실정보를 사용중인 모든 독서실의 입퇴실 인식 수단과 고객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는 상기 입실정보 및 상기 퇴실정보를 각각 수신하면, 상기 예약정보에 해당하는 학부모 단말기로 상기 입실정보와 퇴실정보 및 상기 예약시간 중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 번호로 가입하도록 하여서 회원 가입의 편의성, 활용성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예약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서 상황에 따른 적합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쿠폰 결제 방식을 통해서 신속하게 결제를 유도하여 무인독서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독서실의 예약 사용에 따른 입퇴실 정보와 예약시간 중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학부모 또는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이메일로 발송하여, 학부모와 보호자 확인용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조도센서 및 카메라를 입퇴실 인식 수단으로 하여서, 독서실의 비정상적인 출입구 개방에 따른 도난 및 분실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거나 사후적으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에 의해서, 독서실의 화재 발생시, 모든 사용자와 관리자와 소방서에 즉시 화재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24시간 무인으로 관리되는 독서실의 안전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독서실 예약시간 종료 후 퇴실시, 도어락의 잠금을 실행하여 출입구를 폐쇄하고 독서실의 전원공급을 비활성화하여, 독서실의 예약시간에만 전원공급을 활성화함으로써, 과부하에 따른 누전으로 인한 전기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비상호출버튼에 의해서, 독서실의 예약 사용중 불미스러운 사건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24시간 무인으로 관리되는 독서실의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독서실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무인독서실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무인독서실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입퇴실 인식 수단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독서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무인독서실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무인독서실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무인독서실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입퇴실 인식 수단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독서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인독서실 관리방법은, 예약 단계(S110)와, 예약정보 전송 단계(S120)와, 바코드 및 비밀번호 전송 단계(S130)와, 출입구 개방 및 전원공급 활성화 단계(S140)와, 입실정보 전송 단계(S150)와, 디스플레이 단계(S160)와, 퇴실정보 전송 단계(S170)와, 출입구 폐쇄 및 전원공급 비활성화 단계(S1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약 단계(S110)에서는, 선행적으로 독서실 관리서버(120)가 제공하는 독서실 예약 앱이 고객 단말기(110), 예컨대 통신형 스마트 기기로 설치되고, 설치된 예약 앱을 통해서, 독서실 예약 지점과, 특정 ID가 부여된 개인실, 과외실, 스터디실 및 회의실과, 사물함 사용 여부와, 예약 날짜 및 시간과, 결제 방법과, 쿠폰 사용 여부와, 비품 사용 여부를 선택한다. 이하, 개인실, 과외실, 스터디실 및 회의실의 구분 설명이 특별히 필요하지 않으면, 독서실로 통칭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전술한 예약 단계(S110)는, 구체적으로, 회원 가입 단계(S111)와, 예약 방식 선택 단계(S112)와, 독서실 및 예약시간 선택 단계(S113)와, 쿠폰 충전 단계(S114)와, 결제 단계(S115)와, 이벤트 정보 전송 단계(S11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가입 단계(S111)에서는, 독서실 관리서버(120)로부터 예약 앱이 전송되어 설치된 고객 단말기(110)를 통해 회원 가입하되, 회원 관리 모듈(122)로부터 고객 단말기 번호로 인증코드를 전송받아 인증하고 고객 단말기 번호로 회원 가입한다. 즉, 고객 단말기 번호로 가입하도록 하여서 회원 가입의 편의성, 활용성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예약 방식 선택 단계(S112)에서는, 예약 관리 모듈(123)에 의해서 일반예약, 쿠폰예약, 바로예약 또는 빠른예약을 선택한다. 즉, 다양한 예약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서 상황에 따른 적합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독서실 및 예약시간 선택 단계(S113)에서는, 예약 관리 모듈(123)에 의해서 독서실 예약 지점과, 특정 ID가 부여되고 각 독서실 별로 조도 인식 범위가 상이하도록 설정된 개인실과 과외실과 스터디실과 회의실과, 사물함 사용 여부와, 예약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한다.
한편, 예약 방식 선택 단계(S112)의 쿠폰예약시, 쿠폰 관리 모듈(125)에 의해서, 독서실 별로, 특정기간 내 쿠폰 재구매 별로(예컨대, 쿠폰 구매 후 한달 내 재구매시 특정 비율로 할인), 특정 잔여시간에 따른 재구매 별로, 독서실 사용 인원 별로(예컨대, 1인, 1인 이상 또는 무관), 또는 쿠폰추가할인 이벤트 여부 별로 쿠폰을 충전한 후(S114), 충전된 쿠폰으로 결제할 수 있다. 즉, 쿠폰 결제 방식을 통해서 신속하게 결제를 유도하여 무인독서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결제 단계(S115)에서는, 결제 모듈(124)에 의해서 전술한 선택 사항에 따른 이용요금을 결제한다.
또한, 독서실 관리서버(120)로부터 예약 앱에 로그인한 고객 단말기(110)로 쿠폰추가할인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16).
또한, 독서실 예약 지점 선택시,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고객 단말기(110)의 GPS 정보를 통해서, 인접한 독서실의 거리 및 위치에 따른 예약 가능 독서실 정보를 고객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예약정보 전송 단계(S120)에서는, 고객 단말기(110)가 전술한 예약 단계(S110)에서 선택된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전송한다.
이후, 바코드 및 비밀번호 전송 단계(S130)에서는, 독서실 관리서버(120)가 고객 단말기(110)로부터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도어락이 구비된 출입구가 설치된 독서실의 도어락 해제를 위한 바코드 및 비밀번호를 고객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한편,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예약정보에 해당하는 학부모 또는 보호자 단말기(미도시)로 예약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추후, 후술하는 입실정보 전송 단계(S150)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학부모와 보호자 단말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여, 학부모와 보호자 확인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후, 출입구개방 및 전원공급 활성화 단계(S140)에서는, 독서실 관리서버(120)가 고객 단말기(110)로 전송한 예약정보에 상응하는 바코드 및 비밀번호가 예약정보의 예약 날짜 및 시간에 도어락에 입력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가 독서실의 출입구를 개방하고 독서실 내부의 조명 및 각종 전기기기의 전원공급을 활성화한다. 예컨대, 독서실 관리서버(120)가 독서실의 학습전용 스탠드조명, 보조조명 및 주조명의 전원공급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개인실은 학습전용 스탠드조명을 구비하며, 과외실은 학습전용 스탠드조명과 보조조명을 구비하고, 스터디실과 회의실은 보조조명 및 주조명을 구비할 수 있다,
이후, 입실정보 전송 단계(S150)에서는,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조도센서와 카메라를 포함하고, 조도센서가 독서실의 조명의 점등을 감지하면 카메라가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121)로 사진 또는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 독서실의 조명의 점등시각이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입실정보, 예컨대, 입실 시각, 예약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정보 및 해당 독서실의 ID를 전송한다. 여기서,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통신형 스마트 기기일 수 있고, 조명은 독서실에 입실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스위치식 조명이거나 사용자의 동작 감지에 의해 점등되는 조명(센서등)일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예약시간에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 본인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보호자 및 학부모 확인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조도센서가 독서실의 예약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시간에 독서실의 조명의 점등이 감지되면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카메라는 독서실 내부를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121)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40)로 사진 또는 영상 정보, 예컨대, 사진 또는 영상, 촬영 시각 및 독서실 ID에 해당하는 독서실 정보를 전송한다(S151). 추후,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출입구를 폐쇄하고 입퇴실 인식 수단(220)을 통해서 경보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조도센서를 통해서 미예약시간의 조명 점등을 감지하여서, 비정상적인 출입구 개방에 따른 도난 및 분실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거나 사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입실정보 전송 단계(S150)에서는, 입퇴실 인식 수단이 소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소리감지센서가 독서실 내부의 소리를 감지하면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소리 감지 시각이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입실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리감지센서가 독서실의 예약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시간에 독서실 내부의 소리를 감지하면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카메라는 독서실 내부를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121)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40)로 사진 또는 영상 정보, 예컨대, 사진 또는 영상, 촬영 시각 및 독서실 ID에 해당하는 독서실 정보를 전송한다(S152). 추후,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출입구를 폐쇄하고 입퇴실 인식 수단(220)을 통해서 경보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소리감지센서를 통해서 미예약시간의 소리를 감지하여서, 비정상적인 출입구 개방에 따른 도난 및 분실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거나 사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입실정보 전송 단계(S150)에서는, 입퇴실 인식 수단(220)이 동작감지센서를 포함하고, 동작감지센서가 독서실 내부의 동작을 감지하면,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121)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동작 감지 시각이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입실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동작감지센서가 독서실의 예약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시간에 독서실 내부의 동작을 감지하면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카메라는 독서실 내부를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121)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40)로 사진 또는 영상 정보, 예컨대, 사진 또는 영상, 촬영 시각 및 독서실 ID에 해당하는 독서실 정보를 전송한다(S153). 추후,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출입구를 폐쇄하고 입퇴실 인식 수단(220)을 통해서 경보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동작감지센서를 통해서 미예약시간의 동작을 감지하여서, 비정상 출입구 개방에 따른 도난 및 분실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거나 사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단계(S160)에서는, 독서실 관리서버(120)가 입퇴실 인식 수단(220)으로부터 입실정보를 수신하면, 입퇴실 인식 수단(220)으로 독서실의 이용규칙, 비상상황시 대피 요령 및 대피로 정보, 기타 공지사항, 예약정보 및 잔여시간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온도센서가 독서실 내부의 특정 온도 이상을 감지하면, 즉 화재를 감지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화재신호를 전송하고(S161),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화재신호가 전송된 독서실의 ID에 해당하는 독서실정보, 예컨대 독서실 위치 및 예약여부, 예약시의 예약정보, 및 화재발생경보를 고객 단말기(110), 입퇴실 인식 수단(220), 관리자 단말기(140), 사전에 등록된 보호자와 학부모 단말기 및 관련 관공서, 즉 소방서 및 경찰서로 전송하며 비상 연락하고(S162),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긴급 대피 정보, 예컨대 대피 요령 및 대피로 정보를 입퇴실 인식 수단(220)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63). 이에 따라, 독서실의 사용 여부와 상관없이, 독서실의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서, 24시간 무인으로 운영되는 독서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온도센서가 독서실 내부의 사전에 설정된 온도 이하 또는 사전에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하거나, 다른 독서실 내부의 평균 온도와 매우 상이한 온도를 감지하거나, 미예약 시간대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40)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서 이상 징후에 사전적으로 대처하도록 하여서 독서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비상호출버튼을 포함하고, 비상호출버튼의 작동에 의해 입퇴실 인식 수단(220)으로부터 1차 비상호출신호가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전송되면(S164),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1차 비상호출신호가 전송된 독서실의 ID에 해당하는 독서실정보 및 입실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40)로 통보하고(S165), 관리자 단말기(140)를 통해서 고객 단말기(110)로 통신하여 비상호출버튼 작동의 비상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S166). 추후, 입퇴실 인식 수단(220)으로부터 비상호출버튼의 추가 작동에 의해 입퇴실 인식 수단(220)으로부터 2차 비상호출신호가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전송되면(S167),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2차 비상호출신호의 비상상황, 독서실정보 및 입실정보를 사용중인 모든 독서실의 개별 입퇴실 인식 수단(220)과 고객 단말기(110) 및 관리자 단말기(140)로 통보할 수 있다(S168). 이에 따라, 독서실의 예약 사용중 불미스러운 사건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24시간 무인으로 운영되는 독서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퇴실정보 전송 단계(S170)에서는,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조도센서가 독서실의 조명의 소등을 일정 시간 이상 감지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퇴실정보, 예컨대 퇴실 시각 및 사용 시간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출입구폐쇄 및 전원공급 비활성화 단계(S180)에서는, 독서실 관리서버(120)가 입퇴실 인식 수단(220)으로부터 퇴실정보를 수신하면, 도어락의 잠금을 실행하고 독서실의 전원공급을 비활성화한다. 이에 따라, 독서실의 전원 공급을 예약시간에만 활성화함으로써, 과부하에 따른 누전으로 인한 전기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가 있다.
한편, 도 1b의 단계 S151 내지 S153, 및 S161 내지 S168은 독서실의 비정상적 상황인, 도난, 화재 및 비상상황을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구성이다. 또한, 전술한 예약시간이란, 예약대기시간을 포함하는 독서실 사용시간을 전체를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인독서실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독서실 관리시스템은, 독서실(210), 입퇴실 인식 수단(220), 독서실 관리서버(120), 고객 단말기(110) 및 관리자 단말기(140)로 이루어진다.
독서실(210)에는 조명이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락(213)이 구비된 출입구(212)가 설치되고, 특정 ID가 각각 부여된 개인실(210a), 과외실(210b), 스터디실 및 회의실(210c)로 구분된다. 또한, 조명은 개인실(210a)에는 학습전용 스탠드조명이, 과외실(210b)에는 학습전용 스탠드조명과 보조조명이, 스터디실 및 회의실(210c)에는 보조조명과 주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락(213)은 바코드 스캐너 또는 키패드를 구비하고, 독서실 관리서버(120)가 고객 단말기(110)로부터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도어락(213)의 도어 해제를 위한 바코드 또는 비밀번호를 해당 고객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예약정보에 해당하는 학부모 또는 보호자 단말기(미도시)로 예약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추후, 카메라(223)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을 학부모와 보호자 단말기 또는 이메일로 전송하여, 학부모와 보호자 확인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예약 사용자의 독서실 입퇴실을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개인실(210a)의 책상에 배치된 보호 케이스(221)에 터치 화면이 노출된 상태로 내장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호 케이스(221)는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터치 화면만을 노출시켜서 사용자의 터치 화면 이외의 조작을 제한하고 입퇴실 인식 수단(220), 예컨대 통신형 스마트 기기의 손상 또는 이탈을 방지한다. 여기서, 과외실(210b)과 스터디실 및 회의실(210c)의 경우에는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조도센서(222)와 카메라(223)를 포함하고, 각 독서실 별로 조도센서(222)의 조도 인식 범위가 상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손전등, 플래시 또는 스팟 조명에 의한 비정상적 또는 불규칙한 조도로 인한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입퇴실 인식 오류를 차단할 수 있는데, 개인실(210a), 과외실(210b), 스터디실 및 회의실(210c)별로 조명의 수와 조도가 다르므로 조도센서(222)의 조도 인식 범위가 상이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메라(223)는 입퇴실 인식 수단(220)과 별도로 구성되어 독서실(210)에 설치된 CCTV일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의 독서실 예약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카메라(223)는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121)(231)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며, 조명이 점등되면 조도센서(222)는 사용자의 독서실 입실을 인식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입실정보, 예컨대 입실 시각, 예약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정보 및 해당 독서실의 ID를 전송하고, 조명이 소등되면 퇴실을 인식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퇴실정보, 예컨대 퇴실 시각, 사용 시간 및 사용 기기의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조명은 독서실(210)에 입실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스위치식 조명이거나 사용자의 동작 감지에 의해 점등되는 조명(센서등)일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예약시간에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 정보를 통해 사용자 본인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보호자 및 학부모 확인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독서실 예약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조명이 점등되면 카메라(223)는 독서실 내부를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121)(231)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40)로 사진 또는 영상 정보, 예컨대, 사진 또는 영상, 촬영 시각 및 독서실 ID에 해당하는 독서실 정보를 전송한다. 추후,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출입구(212)를 폐쇄하고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서 경보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조도센서(222)를 통해서 미예약시간의 조명 점등을 감지하여서, 비정상 출입구 개방에 따른 도난 및 분실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거나 사후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소리감지센서(미도시) 및 동작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독서실 예약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카메라(223)는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전송하며, 소리감지센서 및 동작감지센서가 소리 및 동작을 각각 감지하면 예약사용자의 입실을 인식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입실정보를 전송하고, 독서실 예약시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소리감지센서 및 동작감지센서가 소리 및 동작을 각각 감지하면 카메라(223)는 촬영하여 독서실 관리서버(120)의 데이터베이스(121)(231)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40)로 사진 또는 영상 정보 및 독서실 ID에 해당하는 독서실 정보를 전송한다. 추후,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출입구(212)를 폐쇄하고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스피커를 통해서 경보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소리감지센서 및 동작감지센서를 통해서 미예약시간의 소리 또는 동작을 감지하여서, 비정상 출입구 개방에 따른 도난 및 분실을 사전적으로 예방하거나 사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온도센서가 독서실 내부의 특정 온도 이상을 감지하면, 즉 화재를 감지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화재신호를 전송하고,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화재신호가 전송된 독서실(210)의 ID에 해당하는 독서실정보를 고객 단말기(110), 관리자 단말기(140), 사전에 등록된 보호자와 학부모 단말기 및 관련 관공서, 즉 소방서 및 경찰서로 전송하며 비상 연락하고,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긴급 대피 정보, 예컨대 대피 요령 및 대피로 정보를 입퇴실 인식 수단(220)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독서실의 사용 여부와 상관없이, 독서실의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서, 24시간 무인으로 운영되는 독서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입퇴실 인식 수단(220)의 온도센서가 독서실 내부의 사전에 설정된 온도 이하 또는 사전에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하거나, 다른 독서실 내부의 평균 온도와 매우 상이한 온도를 감지하거나, 미예약 시간대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감지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40)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서 이상 징후에 사전적으로 대처하여 독서실(210)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입퇴실 인식 수단(220)은 비상호출버튼(미도시)을 구비하고, 비상호출버튼에 의한 1차 비상호출신호가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전송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1차 비상호출신호가 전송된 독서실의 ID에 해당하는 독서실정보 및 입실정보를 관리자에게 우선 통보한다. 이후, 관리자 단말기(140)를 통해서 고객 단말기(110)로 통신하여 비상호출버튼 작동의 비상상황을 확인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추후, 비상호출버튼에 의한 2차 비상호출신호가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전송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2차 비상호출신호에 해당하는 비상상황, 독서실정보 및 입실정보를 사용중인 모든 독서실의 입퇴실 인식 수단(220)과 고객 단말기(110), 및 관리자 단말기(140)로 통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독서실(210)의 예약 사용중 불미스러운 사건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서, 24시간 무인으로 운영되는 독서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입퇴실 인식 수단(220)으로부터 입퇴실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독서실 예약시간동안, 도어락(213)이 독서실 예약시 전송한 해당 바코드 또는 비밀번호를 인식하면, 독서실 관리서버(120)는 독서실(210) 내부의 조명 및 각종 전기기기의 전원공급을 활성화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10)에는 독서실 관리서버(120)가 제공하는 독서실의 예약 앱이 설치되고, 예약 앱을 통해서 선택된, 독서실 예약 지점과, 특정 ID가 부여된 개인실(210a), 과외실(210b), 스터디실 및 회의실(210c), 사물함 사용 여부와, 예약 날짜 및 시간과, 결제 방법과, 쿠폰 사용 여부와, 비품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독서실 관리서버(1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독서실 관리서버로 전송된 입실정보 및 퇴실정보는 무인독서실을 운영하는 빅데이터로서 추후 사용자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독서실 운영 방법에 의해서, 예약사용자는 예약 앱을 통해서 원하는 독서실을 편리하게 예약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서비스 제공에 따른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독서실을 무인으로 24시간 운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10 : 독서실 210a : 개인실
210b : 과외실 210c : 스터디실 및 회의실
212 : 출입구 213 : 도어락
220 : 입퇴실 인식 수단 221 : 보호 케이스
222 : 조도센서 223: 카메라

Claims (9)

  1. 독서실 관리서버로부터 예약 앱이 전송되어 설치된 고객 단말기를 통해 회원가입하되, 고객 단말기 번호로 인증코드를 전송받아 인증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 번호로 회원 가입한 후, 상기 예약 앱을 통해서, 일반예약, 쿠폰예약, 바로예약 또는 빠른예약을 한 후, 독서실 예약 지점과, 특정 ID가 부여되고 각 독서실 별로 조도 인식 범위가 상이하도록 설정된 개인실과 과외실과 스터디실과 회의실과, 사물함 사용 여부와, 예약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한 후, 상기 선택 사항에 따른 이용요금을 결제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독서실 관리서버가 상기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도어락이 구비된 출입구가 설치된 독서실의 도어락 해제를 위한 바코드 및 비밀번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예약정보에 상응하는 바코드 및 비밀번호가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상기 도어락에 입력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가 상기 독서실의 출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독서실의 전원공급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입퇴실 인식 수단이 상기 독서실 내부의 조명의 점등을 감지하면 촬영하여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점등시각이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입실정보를 전송하고, 점등시각이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지 않으면 관리자 단말기로 사진 또는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출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을 통해서 경보음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가 입실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으로 상기 독서실의 공지사항, 예약정보 및 잔여시간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이 상기 독서실 내부의 조명의 소등을 일정 시간 이상 감지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퇴실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가 퇴실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실행하여 출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독서실의 전원공급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독서실 예약 지점 선택시,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GPS 정보를 통해서, 인접한 독서실의 거리 및 위치에 따른 예약 가능 독서실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이 상기 독서실 내부의 소리를 감지하면 촬영하여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소리 감지 시각이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입실정보를 전송하고, 소리 감지 시각이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사진 또는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출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을 통해서 경보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이 상기 독서실 내부의 동작을 감지하면, 촬영하여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하고, 동작 감지 시각이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입실정보를 전송하고, 소리 감지 시각이 상기 예약정보의 예약시간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사진 또는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출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을 통해서 경보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의 비상호출버튼의 작동에 의해 1차 비상호출신호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는 1차 비상호출신호가 전송된 독서실의 ID에 해당하는 독서실정보 및 입실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입퇴실 인식 수단의 비상호출버튼의 추가 작동에 의해 2차 비상호출신호가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독서실 관리서버는 2차 비상호출신호의 비상상황, 독서실정보 및 입실정보를 사용중인 모든 독서실의 입퇴실 인식 수단과 고객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독서실 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56328A 2016-05-04 2017-05-02 무인독서실 관리방법 KR101923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663 2016-05-04
KR20160055663 2016-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736A KR20170125736A (ko) 2017-11-15
KR101923988B1 true KR101923988B1 (ko) 2018-11-30

Family

ID=6038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328A KR101923988B1 (ko) 2016-05-04 2017-05-02 무인독서실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88A (ko)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하드투포겟공간 무인으로 운영되는 스터디카페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210127627A (ko) * 2020-04-13 2021-10-22 (주)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81B1 (ko) * 2018-02-14 2020-04-24 주식회사 뉴턴테크놀러지 무인 스터디 카페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9592B1 (ko) * 2018-12-19 2020-03-16 김경진 입장권을 자동으로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무인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KR102031328B1 (ko) * 2019-04-17 2019-10-11 주식회사 케이밴드 키오스크를 이용한 무인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102197768B1 (ko) * 2019-04-29 2021-01-04 주식회사 아이센스티앤씨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KR102509511B1 (ko) * 2019-04-29 2023-03-14 주식회사 아이센스티앤씨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KR102114257B1 (ko) * 2019-12-18 2020-05-22 엄옥순 학습시설 무인통합시스템
KR102421157B1 (ko) * 2020-08-06 2022-07-14 정인상 점포의 출입구 및 기타 전원 장치 제어를 포함하는 비대면 무인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386353B1 (ko) 2020-09-17 2022-04-12 유진기술 주식회사 텔레프레전스 로봇 및 이를 활용한 무인 점포 관리 방법
KR102631032B1 (ko) * 2023-07-10 2024-01-30 (주)우리끼리 무인키즈카페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88A (ko)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하드투포겟공간 무인으로 운영되는 스터디카페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210127627A (ko) * 2020-04-13 2021-10-22 (주)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24455B1 (ko) * 2020-04-13 2021-11-12 (주)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2220544A1 (ko) * 2020-04-13 2022-10-20 주식회사 오래 무인 매장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736A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988B1 (ko) 무인독서실 관리방법
KR101923991B1 (ko) 무인음악연습실 운영방법
US11663870B2 (en) Scalable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cierge service
EP3051510B1 (en) Improved alarm routing in integrated security system based on security guard 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remises for faster alarm response
WO2014051237A1 (ko) 아파트에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018975A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20200372768A1 (en) Universal Threat Awareness Management System for Occupant Safety
KR101597218B1 (ko) 아이디 정보와 환자 정보를 이용한 수용자 호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19219844A (ja) 無線による防災システムおよび防災方法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Kabir et al. IoT based smart home automation and security system using mobile app with assistant robot for developing countries
JP6017163B2 (ja) 警備装置、及び警備方法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JP2011164945A (ja) 画像監視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US20230095529A1 (en) Visit assistance apparatus, visit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472696B1 (ko) 출입 제어 장치, 서버 및 출입 제어 방법
JP6599261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JP7344783B2 (ja) 監視装置、監視プログラム、及び監視システム
JP2014081689A (ja) 異常事態通知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29494A (ko) 스마트 보안등 점멸기를 이용한 안심귀가 시스템
KR101430955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06994A (ja) 制御システム
US20240087437A1 (en) Smoke detector and alarm system
KR101571838B1 (ko) 비콘의 다기능 시스템을 이용한 다기능 방법.
CN109544858A (zh) 物联网家庭防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