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720B1 -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720B1
KR101923720B1 KR1020160161698A KR20160161698A KR101923720B1 KR 101923720 B1 KR101923720 B1 KR 101923720B1 KR 1020160161698 A KR1020160161698 A KR 1020160161698A KR 20160161698 A KR20160161698 A KR 20160161698A KR 101923720 B1 KR101923720 B1 KR 10192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edestrian
information
smart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1951A (en
Inventor
설동열
최현석
김윤순
Original Assignee
김윤순
주식회사 에스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순, 주식회사 에스티엠 filed Critical 김윤순
Priority to KR102016016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720B1/en
Priority to CA3045435A priority patent/CA3045435A1/en
Priority to PCT/KR2017/013184 priority patent/WO2018101664A1/en
Publication of KR2018006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9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7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는 스마트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무선 통신부; 보행 신호등의 동작을 학습하는 보행신호 학습부; 및 상기 보행신호 학습부를 통해 학습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기 잔여시간 정보와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대기 잔여시간 정보와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ignal lamp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crosswalk,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learning an operation of a walking signal or the like; And a memory for storing data learned through the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wait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walk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generating and periodically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including the calculated wait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walking residual time information, .

Description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신호등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교통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in a pedestrian crossing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capable of safely protecting a pedestrian entering a pedestrian crossing using a smart signal lamp and a mobile terminal of a pedestria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photographing or moving picture shooting,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game or broadcasting, .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된 이동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고, 단말 사용자들에 의해 평균적으로 이용되는 시간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몰입한 보행자들로 인해 다양한 사건/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는 아주 위험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에 몰입해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Mobile terminals implemented in the form of multimedia devices have become a necessity of modern people, and the time used on average by terminal users is also increasing. According to this trend, various incidents / accidents are occurring due to the pedestrians immersed in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pedestrians entering pedestrian crossings can face very dangerous situation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afely protecting the pedestrian who is immers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rosses the pedestrian crossin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신호등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safely protecting a pedestrian entering a pedestrian crossing using a smart signal lamp and a mobile terminal of a pedestrian.

또 다른 목적은 보행 신호등의 동작을 학습하여 보행자의 안전과 관련된 보행신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행신호정보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신호등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signal lamp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learn the operation of a gait signal to generate gait sig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fety of a pedestrian and provide the generated gait signal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of a pedestrian.

또 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스마트 신호등으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기반으로 보행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보행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pedestrian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one or more smart signals and providing an announce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 보행 신호등의 동작을 학습하는 보행신호 학습부; 상기 보행신호 학습부를 통해 학습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기 잔여시간 정보와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대기 잔여시간 정보와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신호등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learning an operation of a walking signal or the like; A memory for storing data learned through the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wait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walk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generating and periodically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including the calculated wait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walking residual time information, And provides a smart signal light including.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신호등에서, 비컨 신호는 스마트 신호등의 식별정보, 스마트 신호등의 위치 데이터, 스마트 신호등과 인접 스마트 신호등 간의 거리 데이터, 및 인접 공공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in the smart signal or the like, the beacon signal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smart signal, position data of a smart signal, distance data between the smart signal and the adjacent smart signal, do.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신호등의 보행신호 학습부는, 보행 신호등으로부터 적색등의 작동 시간에 관한 정보와 녹색등의 작동 시간에 관한 정보를 각각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gait signal learning unit such as the smart signal periodically collect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ime of red or the like from the gait signal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ime such as green, and learns the collected information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횡단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으로부터 복수의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와 상기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 간의 거리 정보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보행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mart signal lamps located around a crosswalk;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edestrian and the plurality of smart signals using the beacon signals, detects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and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A control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비컨 신호들의 각각은, 스마트 신호등의 식별정보, 스마트 신호등의 위치 데이터, 스마트 신호등과 인접 스마트 신호등 간의 거리 데이터, 대기 잔여시간 정보 및 보행 잔여시간 정보, 인접 공공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in the mobile terminal, each of the beacon signals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mart signal, position data of a smart signal, distance data between a smart signal and a neighboring smart signal, wait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walk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institution information.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신호등의 제어부는, 복수의 비컨 신호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갖는 비컨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pars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controller of the smart signal or the like selects a beacon signal having a lar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among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nd analyz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beacon signal parsing).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신호등의 제어부는, 보행자가 횡단보도의 인접 인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보행자의 대기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such as the smart signal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waiting time of the pedestrian when the pedestrian is located in the adjacent delivery area of the crosswalk.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신호등의 제어부는, 보행자가 상기 횡단보도의 안전선을 침범한 경우, 상기 횡단보도의 안전선을 침범하였음을 경고하는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such as the smart signal outputs a warning signal warning that the safety line of the crosswalk has been invaded when the pedestrian has invaded the safety line of the crosswalk.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신호등의 제어부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행자의 이동 속도와 상기 횡단보도의 남은 거리를 기초로 잔여 소요시간을 계산하고, 특정 비컨 신호에 포함된 보행 잔여시간이 상기 계산된 잔여 소요시간보다 작은 경우, 보행 신호등의 신호 변경이 임박하였음을 경고하는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control section of the smart signal or the like calculates the remaining time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pedestrian and the remaining distance of the pedestrian when the pedestrian moves on the pedestrian crossing, And when the remaining time is shorter than the calculated remaining time, a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to warn that the signal change of the gait signal is immin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횡단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으로부터 복수의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차량과 상기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 간의 거리 정보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mart signal lamps located around a crosswalk;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lurality of smart signals using the beacon signals, detects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and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 control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ffects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th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신호등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컨 신호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 몰입하여 횡단보도를 진입하는 보행자들을 교통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a pedestrian using a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a smart signal or the like, pedestrians who enter the mobile terminal and enter the pedestrian crossing,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afely protected.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the method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obtain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컨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순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보행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signal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eaco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referred to explain operations of a smart signal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referr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nouncemen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a pedestrian;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referr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That is, the term 'pa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minus'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part "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configured to play back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and by no means, the terms " component " or " component " means any combination of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 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본 발명은 스마트 신호등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safely protect a pedestrian entering a pedestrian crossing using a smart signal lamp and a mobile terminal of a pedestria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 시스템(100)은, 횡단보도(13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 신호등(110)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120), 횡단보도(130)를 포함할 수 있다. 1,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smart signal lamps 110 installed on a pedestrian crossing 130, a pedestrian's mobile terminal 120, a pedestrian crossing 130 .

스마트 신호등(110)은 보행 신호등(111), 투광등(112) 및 보행신호단말(또는 비콘 단말, 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signal lamp 110 may include a walk signal lamp 111, a flood lamp 112, a walking signal terminal (or a beacon terminal, 113), and the like.

보행 신호등(111)은 도로의 횡단보도(130)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 인도 쪽에 각각 설치되며, 적색등과 녹색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가로등 구조는 물론 다양한 종류의 신호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ait signal lamps 11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osswalk 130 with respect to the road, and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signal lamps as well as general streetlight structures including red light, green light, and the like.

보행 신호등(111)은, 횡단보도(130)의 인접 영역에 설치된 교통신호 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적색등과 녹색등을 일정 시간 주기로 번갈아 가며 동작시킨다. 이때, 적색등이 켜져 있는 시간과 녹색등이 켜져 있는 시간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The gait signal lamp 111 alternately operates red light, green light, and the lik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nder the control of a traffic signal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crosswalk 130. At this time, the time when the red light is on and the time when the green light is on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투광등(112)은 야간에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횡단보도(130)를 환하게 비춰줄 수 있는 조명 기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보행 신호등(111)과 마찬가지로 횡단보도(100)의 양측 인도 쪽에 각각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온(On)/오프(Off)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투광등(112)은 가로등 또는 보행 신호등과 연동되어 작동하거나, 혹은 별도의 조광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The floodlight 112 is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illuminating the crosswalk 130 in order to secure the view of the pedestrian at night. Preferably, the floodlight 112 is provided at both side of the crosswalk 100, And can be configured to be independently turned on / off. The floodlight 112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streetlight or a walk signal, or may operate through the operation of a separate dimmer switch.

보행신호단말(113)은 보행 신호등(111)의 동작을 학습하여 보행자의 안전과 관련된 보행신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행신호정보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1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행신호정보는 대기 잔여시간 정보 및 보행 잔여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행신호정보는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될 수 있다. The gait signal terminal 113 learns the operation of the gait signal light 111 to generate gait sig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pedestrian and provides the generated gait sign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20 of the pedestrian . At this time, the walking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atmospheric remaining time information, walk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gait signal information may be periodically broadcasted.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120)는 앱 스토어 또는 플레이 스토어 등으로부터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보행자 보호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이동 단말기(120)는 외부 서버, 타 단말기 또는 저장 매체 등으로부터 보행자 보호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받아 설치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20 of the pedestrian can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destrian protection application) for protecting a pedestrian entering the pedestrian crossing from an app store, a play store, or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20 may be provided with a pedestrian protection applic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another terminal, a storage medium, or the like.

이동 단말기(120)는 기 설치된 보행자 보호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2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스마트 신호등(110)으로부터 전송 받은 비컨 신호들을 기반으로 보행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보행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 보행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 신호는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및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20 may execute the pre-installed pedestrian protection application in the backgroun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mobile terminal 12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based on the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smart signal lamps 110, automatically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tory signal, and a tactile signal.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2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20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slate PCs, tablet PCs, ultrabooks,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watches, smart glasses, and head mounted displays (HMDs) .

횡단보도(130)는 차량과 보행자가 공유 하는 길이다. 차량과 보행자 간 원활한 사용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횡단보도(130)는 일정한 신호 체계에 따라 동작한다. 횡단보도(130)는 도로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가령, 삼거리 또는 사거리의 경우, 복수의 횡단보도들이 도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횡단보도들은, 직선 모양을 갖는 직선 횡단보도와, 대각선 모양을 갖는 대각선 횡단보도로 구분될 수 있다. The crosswalk 130 is the road shared by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The crosswalk 130 operates according to a constant signaling system to provide a smooth use opportunity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At least one crosswalk 130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type of roa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hree-way or a crossroad, a plurality of crosswalks may be installed on the road. Further, the plurality of crosswalks can be divided into a straight crosswalk having a straight line and a diagonal crosswalk having a diagonal lin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출력부(220), 입력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2,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 output unit 220, an input unit 230, a memory 240, a controller 25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and the like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or externally.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출력부(22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20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 acoustic output unit, a haptrip module, and a light output unit.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200, or UI (User Interface) and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Further, the display unit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hereby realizing a touch screen.

음향 출력부는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The audio output unit may receive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the memory 24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or the like. The sound output unit also outputs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and the like)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haptic module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a haptic effect generated by a haptic module may be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in the haptic module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s selection or the setting of the control unit.

광출력부는 이동 단말기(200)의 광원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using the light source of the mobile terminal 2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and the like.

입력부(23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camera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e.g., a touch key) , A mechanical key, etc.).

메모리(240)는 이동 단말기(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메모리(240)는 보행자 보호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24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memory 24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2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commands. In this embodiment, the memory 240 may store a pedestrian protection application.

제어부(25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보행자 보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25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240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gener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signal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신호등(300)은 보행신호단말(또는 비콘 단말, 310), 보행 신호등(320) 및 투광등(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스마트 신호등(3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신호등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3, the smart signal lamp 300 may include a walking signal terminal (or a beacon terminal) 310, a walking signal lamp 320, and a flood light 33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smart signal lamp 300, so that the smart signal light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보행신호단말(310)은 비컨 신호(beacon signal)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단말로서, 무선 통신부(311), 보행신호 학습부(312), 메모리(313) 및 제어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행신호단말(310)은 스마트 신호등(300)의 외부에 설치되거나, 혹은 상기 보행 신호등(320) 또는 투광등(330)과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gait terminal 3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1, a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312, a memory 313, and a control unit 314 as beacon terminals that periodically transmit beacon signals (beacon signals) . The gait signal terminal 31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mart signal lamp 30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ait signal lamp 320 or the floodlight 330 to be formed in a single module form.

무선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egistered trademark),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may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모듈에 사용되는 블루투스 통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하나로서, 반경 0 ~ 10m 내지, 0 ~ 100m 안에 존재하는 단말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보행신호단말(310)에 탑재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저 전력(Low Energy) 기술 및 위치 측정 기술이 탑재된 블루투스 4.0 이상의 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supporting Bluetooth communicatio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sed in the module is one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can support data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within a radius of 0 to 10 m to 0 to 100 m.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gait terminal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Bluetooth 4.0 or higher version equipped with a low-energy technology and a positioning technology.

보행신호 학습부(312)는, 학습 모드 시, 보행 신호등(320)의 동작을 학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gait signal learning unit 312 can perform a function of learning the operation of the gait signal light 320 in the learning mode.

즉, 보행신호 학습부(312)는, 학습 모드 시, 보행 신호등(320)으로부터 적색등의 작동 시간에 관한 정보와 녹색등의 작동 시간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learning mode, the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312 can periodically collect, from the walking signal lamp 320,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time such as red,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time such as green.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적색등의 작동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집되면, 보행신호 학습부(312)는 상기 동일한 값을 갖는 작동 시간 정보를 적색등의 정상 작동 시간 정보로 설정(학습)하고, 상기 설정(학습)된 작동 시간 정보를 메모리(313)에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red or the like having the same value is collec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312 sets (learning)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value as the normal operation time information such as red, And stores the set (learned) operation time information in the memory 313. [

또한,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녹색등의 작동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집되면, 보행신호 학습부(312)는 상기 동일한 값을 갖는 작동 시간 정보를 녹색등의 정상 작동 시간 정보로 설정(학습)하고, 상기 설정(학습)된 작동 시간 정보를 메모리(313)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green or the like having the same value is collec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312 sets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value as normal operation time information such as green (learning) And stores the set (learned) operating time information in the memory 313. [

한편,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작에 따라 보행 신호등(320)의 동작 주기가 변경된 경우, 보행신호 학습부(312)는, 메모리(313)에 기 저장된 보행 신호등(320)의 작동 시간 정보를 삭제하고, 보행 신호등(320)의 변경된 동작 상태를 다시 학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cycle of the walk signal lamp 320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the walk signal learning unit 312 deletes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walk signal lamp 320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313, The changed operation state of the walking signal lamp 320 can be learned again.

메모리(313)는 스마트 신호등(3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313)는 스마트 신호등(3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마트 신호등(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313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smart signal lamp 300. [ The memory 313 may store an application program (an application program or an application) driven by the smart signal lamp 300, data for operation of the smart signal lamp 300, and commands.

제어부(314)는 메모리(313)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스마트 신호등(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314)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3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4 controls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313 and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smart signal lamp 300 in general. Further, the control unit 314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combination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smart signal lamp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314)는, 학습 모드 완료 시, 메모리(313)에 저장된 보행 신호등(320)의 작동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대기 잔여시간 정보와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잔여시간 정보는, 보행 신호등(320)이 적색등에서 녹색등으로 전환되기까지의 잔여 시간 정보이고, 보행 잔여시간 정보는 녹색등에서 적색등으로 전환되기까지의 잔여 시간 정보이다. The control unit 314 can calculate the waiting time information and the walking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ng time information of the walking signal lamp 320 stored in the memory 313 when the learning mode is completed. Here, the standby remaining time information is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until the gait signal lamp 320 is switched from red to green or the like, and the gait remaining time information is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until it is switched to red or the like in green.

제어부(3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컨 신호(400)를 생성하여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들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비컨 신호(400)는 Preamble 필드(410), Access Address 필드(420), 페이로드 필드(430), CRC 필드(4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14 may generate the beacon signal 400 as shown in FIG. 4 and transmit it periodically to the mobile terminals of the pedestrian. The beacon signal 400 may include a preamble field 410, an access address field 420, a payload field 430, and a CRC field 440.

Preamble 필드(410)는, 1 바이트(즉, 8비트)의 크기를 가지며, 해당 신호의 수신 장치에서 비트 동기 또는 프레임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Access Address 필드(420)는, 4 바이트(즉, 32비트)의 크기를 가지며, 링크 계층에서의 연결용 주소를 위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CRC 필드(440)는 3 바이트(즉, 24비트)의 크기를 가지며, 프레임의 전송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The preamble field 410 has a size of 1 byte (i.e., 8 bits), and is a field used for aligning bit synchronization or frame synchronization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the signal. The Access Address field 420 has a size of 4 bytes (i.e., 32 bits) and is used for a connection address in the link layer. The CRC field 440 has a size of 3 bytes (i.e., 24 bits) and is a field used for detecting a transmission error of a frame.

페이로드 필드(430)는 2 내지 60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디바이스 ID 정보(431), 위치 데이터(432), 제1 거리 데이터(433), 제2 거리 데이터(444), 제3 거리 데이터(445), 대기 잔여시간 정보(446), 및 보행 잔여시간 정보(4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yload field 430 has a size of 2 to 60 bytes and includes the device ID information 431, the position data 432, the first distance data 433, the second distance data 444, 445, standby remaining time information 446, walk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447, and the like.

디바이스 ID 정보(431)는 제1 스마트 신호등의 식별 정보이고, 위치 데이터(또는 P 데이터, 432)는 제1 스마트 신호등의 위치 정보이다. 제1 거리 데이터(또는 D1 데이터, 433)는 제1 스마트 신호등에서 직선 횡단보도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 스마트 신호등의 안전선까지의 거리 정보이고, 제3 거리 데이터(또는 D2 데이터, 434)는 제1 스마트 신호등에서 대각선 횡단보도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3 스마트 신호등의 안전선까지의 거리 정보이며, 제4 거리 데이터(또는 D3 데이터, 435)는 제1 스마트 신호등에서 바로 인접한 제4 스마트 신호등까지의 중간 거리 정보이다. 스마트 신호등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위치 데이터(432), 제1 거리 데이터(433), 제2 거리 데이터(444), 및 제3 거리 데이터(445)는 고정된 값을 갖는다. The device ID information 431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first smart signal or the like, and the position data (or P data, 432) is position information of a first smart signal. The first distance data (or D1 data, 433) is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smart signal to the safety line of a second smart signal located opposite the straight pedestrian crossing, and the third distance data (or D2 data, 434) (Or D3 data, 435) is the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smart signal to the safety line of the third smart signal located opposite the diagonal crosswalk, and the fourth distance data As shown in FIG. The position data 432, the first distance data 433, the second distance data 444, and the third distance data 445 have fixed values because the positions of the smart signals and the like are fixed.

대기 잔여시간 정보(436)는 보행 신호등이 적색등에서 녹색등으로 전환되기까지의 잔여 시간 정보이고, 보행 잔여시간 정보(437)는 보행 신호등이 녹색등에서 적색등으로 전환되기까지의 잔여 시간 정보이다. The standby remaining time information 436 is residual time information until the gait signal is switched from red to green or the like and the gait remaining time information 437 is remaining time information until the gait signal is switched from green to red or the like.

보행 신호등(320)은 적색등, 녹색등, 및 상기 적색등 또는 녹색등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행 신호등(320)은,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적색등과 녹색등을 일정 시간 주기로 번갈아 가며 동작시킨다. 또한, 보행 신호등(320)은 조광 제어를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gait signal lamp 320 may include a switching unit for turning on / off a power source such as a red light, a green light, and the like, or the red light or green light. The gait signal lamp 320 controls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to alternately operate the red light, the green light, and the like 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n addition, the gait signal lamp 32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witch for dimming control.

투광등(330)은 야간에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횡단보도(130)를 향하여 광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loodlight 330 may function to output light toward the pedestrian 130 in order to secure the view of the pedestrian at night.

또한, 투광등(330)은, 제어부(314)의 제어 명령에 따라, 횡단보도(130)를 향해 방사되는 광의 조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투광등(330)은 보행 신호등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보행 신호등이 적색등일 경우, 투광등(330)의 조도를 감소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고, 보행 신호등이 녹색등일 경우, 투광등(330)의 조도를 증가시켜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Further, the light projector 330 can change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emitted toward the crosswalk 13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314. [ That is, the light emitting lamp 330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gait signal. When the gait signal is red, etc., the illuminance of the floodlight 330 is reduced to save energy, and when the gait signal is green, the illuminance of the floodlight 330 can be increased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pedestria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신호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referr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smart signal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14)는, 학습 모드 이벤트 발생 시(S510), 스마트 신호등(300)의 동작 모드를 보행자 신호 학습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520). 이때, 상기 학습 모드 이벤트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작에 따라 보행 신호등(320)의 동작 주기가 변경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5, the control unit 314 may en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smart signal lamp 300 into the pedestrian signal learning mode when a learning mode event occurs (S510). In this case, the learning mode event may be an event in which the operation cycle of the walking signal lamp 3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제어부(314)는, 학습 모드 이벤트 발생 시, 메모리(313)에 기 저장된 보행 신호등(320)의 작동 시간 정보를 삭제하고, 보행 신호등(320)의 변경된 동작 상태를 다시 학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4 can delete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walk signal lamp 320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313 and learn the changed operation state of the walk signal lamp 320 again when the learning mode event occurs.

제어부(314)는, 학습 모드 시, 보행 신호등(320)으로부터 적색등의 작동 시간에 관한 정보와, 녹색등의 작동 시간에 관한 정보를 각각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학습할 수 있다(S530). In the learning mode, the control unit 314 periodically collect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ime of red or the like from the gait signal light 320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ime such as green (step S530).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적색등의 작동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집되면, 제어부(314)는, 보행신호 학습부(312)를 통해 상기 동일한 값을 갖는 작동 시간 정보를 적색등의 정상 작동 시간 정보로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작동 시간 정보를 메모리(313)에 저장할 수 있다(S540). Whe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red or the like having the same value is collec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ontrol unit 314 transmits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value through the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312 to the normal operation time information And the learned operation tim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13 (S540).

또한,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녹색등의 작동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집되면, 제어부(314)는, 보행신호 학습부(312)를 통해 상기 동일한 값을 갖는 작동 시간 정보를 녹색등의 정상 작동 시간 정보로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작동 시간 정보를 메모리(313)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green or the like having the same value is collec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ontrol unit 314 transmits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value through the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312 to the normal operation such as green Time information, and stores the learned operation time information in the memory 313.

제어부(314)는, 학습 모드 완료 시, 메모리(313)에 저장된 보행 신호등(320)의 작동 시간 정보(즉,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기 잔여시간 정보와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550). The control unit 314 can calculate the waiting time information and the walking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ng time information (i.e., learning data) of the walking signal lamp 320 stored in the memory 313 when the learning mode is completed S550).

제어부(314)는, 대기 잔여시간 정보(446) 및 보행 잔여시간 정보(447)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400)를 생성할 수 있다(S560). 상기 정보들(446, 447) 이외에도, 상기 비컨 신호는 디바이스 ID 정보(431), 위치 데이터(432), 제1 거리 데이터(433), 제2 거리 데이터(444), 및 제3 거리 데이터(445)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컨 신호는 횡단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공공기관 또는 관공서 등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14 can generate the beacon signal 400 including the standby remaining time information 446 and the walk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447 in operation S560.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446 and 447, the beacon signal includes device ID information 431, position data 432, first distance data 433, second distance data 444, and third distance data 445 ). ≪ / RTI > In addition, the beacon signal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a public institution, a government office, or the like located in the vicinity of a pedestrian crossing.

제어부(314)는, 비컨 신호(400)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570). 이때, 상기 비컨 신호는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14 can transmit the beacon signal 400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destrian (S570). At this time, the beacon signal may be broadcast periodicall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referr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즉, 보행자 보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610). 6, the control unit 250 may execute an application (i.e., a pedestrian protection application) to protect a pedestrian entering a pedestrian crossing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the like (S610).

제어부(25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별도로 표시할 필요 없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can execute the application in the background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display the opera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제어부(250)는, 횡단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즉, 비콘 단말(310))으로부터 복수의 비컨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S620). 이때, 상기 비컨 신호들의 각각은, 디바이스 ID 정보(431), 위치 데이터(432), 제1 거리 데이터(433), 제2 거리 데이터(444), 제3 거리 데이터(445), 대기 잔여시간 정보(446), 및 보행 잔여시간 정보(44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50 may periodically receive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mart signal lamps (i.e., the beacon terminal 310) located near the pedestrian crossing (S620). At this time, each of the beacon signals includes device ID information 431, position data 432, first distance data 433, second distance data 444, third distance data 445, (446), and gait remaining time information (447).

제어부(250)는, 복수의 비컨 신호들 중 필요한 비컨 신호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비컨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들 중 필요한 데이터만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50 may use only a necessary beacon signal among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In addition, the controller 250 may use only necessary data among a plurality of data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제어부(250)는, 복수의 비컨 신호들 중에서 가장 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갖는 비컨 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parsing)할 수 있다(S630). 이는 보행자가 건너고자 하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스마트 신호등(300)으로부터 전송된 비컨 신호를 선택하여 분석하기 위함이다. 여러 개의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경우, 보행자가 건너고자 하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스마트 신호등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 간의 거리가 가장 짧기 때문에, 해당 스마트 신호등(300)으로부터 전송된 비컨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크다. The control unit 250 may select a beacon signal having a lar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among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nd may analyz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at step S630. This is for selecting and analyzing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signal lamp 300 installed on the pedestrian crossing that a pedestrian wishes to cross.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signal lamp 300 has the greatest intensity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smart signal light installed on the pedestrian crossing that the pedestrian wishing to cross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destrian is the shortest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pedestrian crosswalks.

또한, 제어부(250)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복수의 비컨 신호들을 기반으로,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200)와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300) 간의 거리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S640). 이때, 이동 단말기(200)와 스마트 신호등(300) 간의 거리 정보는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될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may measure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of the pedestrian and the plurality of smart signal lamps 300 based on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periodically received (S640). At this time,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smart signal lamp 300 can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elow, but is not limited thereto.

Figure 112016117588708-pat00001
Figure 112016117588708-pat00001

여기서, TxPower는 비컨 신호의 송신 전력이고, RSSI는 비컨 신호의 수신신호세기임.Here, TxPower i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eacon signal, and RSSI i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제어부(250)는, 상술한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 거리 정보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650). 이때, 제어부(250)는, 이미 공지된 위치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50 may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S65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50 can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using the already known position detection algorithm.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630 단계가 상술한 640 단계 이전에 실시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650 단계 이후에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above-described step 630 is performed before the above-described step 64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after step 650.

제어부(250)는, 보행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660, S670). 이때, 상기 알림 신호는 청각적 신호, 시각적 신호, 및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보행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들에 대해서는 아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250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and outputs the generated notification signal (S660, S670).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n audible signal, a visual signal, and a tactile signal. The notific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도 7a 내지 도 7c은 제1 내지 제4 횡단보도가 설치된 도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제1 횡단보도(710)의 양측 인도에는 제1 스마트 신호등(A1, 711)과 제2 스마트 신호등(D1, 712)이 배치되고, 제2 횡단보도(720)의 양측 인도에는 제3 스마트 신호등(A2, 721)과 제4 스마트 신호등(B2, 722)이 배치되며, 제3 횡단보도(730)의 양측 인도에는 제5 스마트 신호등(B1, 731)과 제6 스마트 신호등(C1, 732)이 배치되고, 제4 횡단보도(740)의 양측 인도에는 제7 스마트 신호등(C2, 741)과 제8 스마트 신호등(D2, 742)이 배치된다. 7A to 7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road on which the first to fourth crosswalks are installed. 7A and 7C, the first smart signal lamps A1 and 711 and the second smart signal lamps D1 and 71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rosswalk 710 and the second crosswalk 72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rosswalk 710, The third smart signal lamps A2 and 721 and the fourth smart signal lamps B2 and 72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crosswalk 730 and the fifth smart signal lamps B1 and 731 and the sixth smart signal lamps B2 and 72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crosswalk 730, The smart signal lamps C1 and 732 are arranged and the seventh smart signal lamps C2 and 741 and the eighth smart signal lamps D2 and 74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ourth crosswalk 740. [

이동 단말기(200)는, 제1 내지 제8 스마트 신호등(711, 712, 721, 722, 731, 732, 741, 742)에서 전송된 비컨 신호들의 세기를 기반으로, 보행자가 A존(750), B존(760), C존(770) 및 D존(780) 중 어느 존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pedestrian is in the A zone 750 or the A zone 750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o eighth smart signal lamps 711, 712, 721, 722, 731, 732, 741, The B zone 760, the C zone 770, and the D zone 780, as shown in FIG.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790)가 A 존(750)에 위치하고 보행 신호등이 적색등인 경우, 제어부(250)는, 제1 스마트 신호등(A1, 711)의 비컨 신호를 기반으로 제1 횡단보도(710)의 보행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7A, when the pedestrian 790 is located in the A zone 750 and the walk signal lamp is red, etc., the control unit 2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eacon signal of the first smart signal lamps A1, 1 < / RTI > information about the walking waiting time of the first crosswalk 710. [

또한, 제어부(250)는, 제3 스마트 신호등(A2, 721)의 비컨 신호를 기반으로 제2 횡단보도(720)의 보행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50 may output a second announcement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walking wait time of the second pedestrian crossing 720 based on the beacon signal of the third smart signal lamps A2 and 721.

한편, 보행자(790)가 A 존(750)에 위치하고 보행 신호등이 녹색등인 경우, 제어부(250)는, 제1 스마트 신호등(A1, 711)의 비컨 신호를 기반으로 제1 횡단보도(710)의 보행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edestrian 790 is located in the A zone 750 and the gait signal is green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first crosswalk 710 based on the beacon signal of the first smart signal lamps A1 and 711, And a third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walking time of the vehicle.

또한, 제어부(250)는, 제3 스마트 신호등(A2, 721)의 비컨 신호를 기반으로 제2 횡단보도(720)의 보행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50 may output a fourth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walking remaining time of the second pedestrian crossing 720 based on the beacon signal of the third smart signal lamps A2 and 721.

이에 따라, 보행자(79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제1 내지 제4 알림 신호들을 기반으로 제1 보행 신호등과 제3 보행 신호등의 동작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edestrian 790 can predict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third walking signals and the like on the basis of the first to fourth notification signals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790)가 제1 횡단보도(710)의 앞에 대기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제1 스마트 신호등(A1, 711)의 비컨 신호와 제2 스마트 신호등(D1, 712)의 비컨 신호를 이용하여 보행자(790)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7B, when the pedestrian 790 waits in front of the first pedestrian crossing 710,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beacon signal of the first smart signal lamps A1 and 711 and the second smart signal light D1, 712),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790 can be periodically detected.

제어부(250)는, 제1 스마트 신호등(A1, 711)의 비컨 신호에 포함된 제1 거리 데이터(즉, 제1 스마트 신호등에서 제2 스마트 신호등의 안전선까지의 거리)와 보행자(79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선 침범에 관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보행자(790)와 제2 스마트 신호등(D1, 712) 간의 거리가 제1 거리 데이터의 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250)는, 보행자(790)가 제1 횡단보도(710)의 안전선을 침범하였음을 경고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50 compares the first distance data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of the first smart traffic lights A1 and 711 (i.e.,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mart traffic light to the safety line of the second smart traffic light) to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790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a warning signal regarding the safety line invasion. That i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edestrian 790 and the second smart signal lamps D1 and 712 is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first distance data, the control unit 250 determines that the pedestrian 790 It can output a warning signal to warn that it has been invaded.

또한, 제어부(250)는 제1 스마트 신호등(A1, 711)의 비컨 신호를 기반으로 제1 횡단보도(710)의 보행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5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walking waiting time of the first pedestrian crossing 710 based on the beacon signal of the first smart signal lamps A1 and 711.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790)가 제1 횡단보도(710)를 통해 A 존(750)에서 D 존(78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제1 스마트 신호등(A1, 711)의 비컨 신호와 제2 스마트 신호등(D1, 712)의 비컨 신호를 이용하여 보행자(790)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속도를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7C, when the pedestrian 790 moves from the A zone 750 to the D zone 780 through the first crosswalk 710,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first smart traffic light A1 and 711 and the beacon signals of the second smart signals D1 and 712 can be used to periodically detect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pedestrian 790. [

제어부(250)는, 보행자의 이동 속도와 제1 횡단보도(710)의 남은 거리를 기초로 잔여 소요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잔여 소요시간과 제1 또는 제2 스마트 신호등(711, 712)의 비컨 신호에 포함된 보행 잔여시간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계산된 잔여 소요시간이 상기 보행 잔여시간보다 큰 경우, 제어부(250)는, 보행 잔여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경고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50 calculates the remaining time required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pedestrian and the remaining distance of the first pedestrian crossing 710 and outputs the calculated remaining time and the first or second smart signal light 711, Of the beacon signal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If the calculated remaining time is longer than the walking remaining time, the controller 250 may output a warning signal to warn that the remaining walking time is short.

마찬가지로, 보행자(790)가 B 존(750) 내지 D 존(780) 중 어느 하나의 존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상술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pedestrian 790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B zone 750 to the D zone 780, the control unit 250 outputs the notific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s can do.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된 안전시설 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680). 즉, 제어부(250)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소정의 알림 신호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전시설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시설 장치로는 시선 유도등, 예비 신호등, 바닥 신호등, 투광등, 횡단보도의 차선위반을 감시하는 카메라, 및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등이 있다. Referring to FIG. 6 again, the controller 25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interlocking with the safety facilit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pedestrian crossing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device (S680). That is, the control unit 250 not only outputs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signal for the safety of the pedestrian, but also can control the safety facility. At this time, the safety facility includes a gaze guidance lamp, a preliminary signal lamp, a floor signal lamp, a floodlight, a camera for monitoring a violation of a lane on a pedestrian crossing,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photographed image.

가령, 제어부(250)는, 보행자가 횡단보도 신호를 무시하고 불법 보행하는 경우, 투광등을 일정 주기로 점멸시켜 무단 횡단 사실을 보행자에게 경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운전자에게 무단 횡단의 인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edestrian ignores the pedestrian crossing signal and the pedestrian illegally strolls, the control unit 250 not only notifies the pedestrian of the fact that the pedestrian crosses the pedestrian crossing at a predetermined cycle, but also improves the awareness of crossing the vehicle .

제어부(250)는, 보행자 보호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610 단계 내지 680 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690). The control unit 250 may repeatedly perform the operations of steps 610 to 680 until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lication is terminated (S690).

한편, 이러한 보행자 보호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적 사상들을 차량으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chnical ideas applied to such a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can be extended to vehicle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차량(800)은 통신부(810), 입력부(820), 센싱부(830), 출력부(840), 차량 구동부(850), 메모리(860), 인터페이스부(870), 제어부(880), 및 전원부(890)를 포함할 수 있다.8, the vehicle 8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810, an input unit 820, a sensing unit 830, an output unit 840, a vehicle driving unit 850, a memory 860, an interface unit 870, A control unit 880, and a power supply unit 890.

통신부(810)는, 차량(800)과 이동 단말기 사이, 차량(8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이, 차량(800)과 외부 서버 사이, 또는 차량(800)과 타 차량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810 is a unit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800 and the mobile terminal, between the vehicle 800 and the wearable device, between the vehicle 800 and the external server, or between the vehicle 800 and another vehicle The above modules may be included.

통신부(810)는, 방송 수신 모듈(811), 무선 인터넷 모듈(812), 근거리 통신 모듈(813), 및 위치 정보 모듈(8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8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811, a wireless Internet module 812,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813,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814,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8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8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무선 인터넷 모듈(8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8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812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the vehicle 100 or externally.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812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8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813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may be Bluetooth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It is possible to support near-field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reless-Fidelity (Wi-Fi),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Universal Serial Bus)

위치 정보 모듈(814)은, 차량(8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 모듈이 있다. GPS모듈은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8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814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800,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PS module. The GPS module can acquir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800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입력부(820)는, 운전 조작 수단(821), 카메라(822), 마이크로폰(823) 및 사용자 입력부(8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821)은, 차량(8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카메라(8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820 may include a driving operation unit 821, a camera 822, a microphone 823, and a user input unit 824. The driving operation means 821 receives a user input for driving the vehicle 800. [ The camera 822 can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마이크로폰(8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8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8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8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8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icrophone 823 can process an external acoustic signal into electrical data. The processed data can be utilized variously according to functions performed in the vehicle 800. The user input unit 824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824, the control unit 88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8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센싱부(830)는, 차량(800)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83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830 senses a signal relating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800 or the like.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830 may include a sensor, a wheel sensor, a velocity sensor, a tilt sensor, a weight sensor, a heading sensor, a yaw sensor, a gyro sensor, , A position module, a vehicle forward / reverse sensor, a battery sensor, a fuel sensor, a tire sensor, a steering sensor by steering wheel rotation, a vehicl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n internal humidity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radar, .

출력부(840)는, 제어부(88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841), 음향 출력부(842) 및 햅틱 출력부(8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840 is for outputt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880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841, an acoustic output unit 842, and a haptic output unit 843. [

디스플레이부(841)는 제어부(88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8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8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841 can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880. [ For example, the display portion 841 can display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Here,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for direct control of the vehicle, 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for a driving guide to the vehicle driver.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84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음향 출력부(842)는 제어부(88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8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8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햅틱 출력부(8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842 converts an electric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88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or this purpose, the sound output unit 842 may include a speaker or the like. The haptic output unit 843 generates a tactile output. For example, the haptic output section 843 may operate to vibrate the steering wheel, the seat belt, and the sea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utput.

차량 구동부(8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850)는 동력원 구동부(851), 조향 구동부(852), 브레이크 구동부(853), 램프 구동부(854), 및 공조 구동부(8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e unit 8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of the vehicle. The vehicle driving unit 850 may include a power source driving unit 851, a steering driving unit 852, a brake driving unit 853, a lamp driving unit 854, an air conditioning driving unit 855, and the like.

동력원 구동부(851)는, 차량(8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852)는, 차량(8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driving section 851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n the power source in the vehicle 800. [ The steering driver 852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ver the steering apparatus in the vehicle 800. [ Thu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changed.

브레이크 구동부(853)는, 차량(8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8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The brake driver 853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brake apparatus in the vehicle 80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80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s disposed on the wheels.

램프 구동부(8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855)는, 차량(800) 내의 공조 장치(air co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lamp driving unit 854 can control the turn-on / turn-off of the lamps dispos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Also, the intensity, direction, etc. of the light of the lamp can be controlled. The air conditioning driving section 855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n the air conditioner in the vehicle 800. [

메모리(860)는, 제어부(8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86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6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일 수 있다.The memory 8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80. The memory 860 can store basic data for the uni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and input / output data. The memory 860 may be, in hardware, various storage media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870)는, 차량(8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87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870 may serve as a pathway to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ehicle 800.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870 may include a por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wearable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wearable device through the port.

제어부(880)는, 차량(800) 내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8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8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vehicle 800. [ Here, the controller 880 may be referred to as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제어부(88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88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전원부(890)는, 제어부(88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8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890 can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80. [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890 can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or the like in the vehicl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referr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880)는,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즉, 보행자 보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910).9, the control unit 880 may execute an application (i.e., a pedestrian protection application) to protect a pedestrian entering a pedestrian crossing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the like (S910).

제어부(88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화면을 디스플레이부(841)에 별도로 표시할 필요 없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80 can execute the application in the background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display the opera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841. [

제어부(880)는, 횡단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즉, 비콘 단말(310))으로부터 복수의 비컨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S920). 이때, 상기 비컨 신호들의 각각은, 디바이스 ID 정보(431), 위치 데이터(432), 제1 거리 데이터(433), 제2 거리 데이터(444), 제3 거리 데이터(445), 대기 잔여시간 정보(446), 및 보행 잔여시간 정보(4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신호등은 보행 신호등뿐만 아니라 차량 신호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80 may periodically receive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mart signal lamps (i.e., the beacon terminal 31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edestrian crossing (S920). At this time, each of the beacon signals includes device ID information 431, position data 432, first distance data 433, second distance data 444, third distance data 445, (446), and gait remaining time information (447). In addition, the smart traffic light may include a traffic signal as well as a walking traffic light.

제어부(880)는, 복수의 비컨 신호들 중 필요한 비컨 신호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80)는, 비컨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데이터들 중 필요한 데이터만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80 can use only a necessary beacon signal among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lso, the control unit 880 can use only necessary data among a plurality of data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제어부(880)는, 복수의 비컨 신호들 중에서 가장 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갖는 비컨 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parsing)할 수 있다(S930). 이는 차량(800)의 진행 방향에 위치하는 가장 가까운 스마트 신호등(300)으로부터 전송된 비컨 신호를 선택하여 분석하기 위함이다. The controller 880 may select the beacon signal having the lar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among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nd may analyz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S930). This is for selecting and analyzing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nearest smart signal lamp 300 loca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800.

또한, 제어부(880)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복수의 비컨 신호들을 기반으로, 차량(800)과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300) 간의 거리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S940). 이때, 차량(800)과 스마트 신호등(300) 간의 거리 정보는 상술한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될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880 may measur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800 and the plurality of smart signal lamps 300 based on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periodically received (S940). At this time,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800 and the smart signal lamp 300 can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880)는, 차량(800)과 스마트 신호등들(300) 간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800)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950). 이때, 제어부(880)는, 이미 공지된 위치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800)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80 can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800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800 and the smart signal lights 300 in operation S95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880 can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800 using a known position detection algorithm.

제어부(880)는, 차량(8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960, S970). 이때, 상기 알림 신호는 청각적 신호, 시각적 신호, 및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80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800 and outputs the generated notification signal (S960, S970).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t least one of an audible signal, a visual signal, and a tactile signal.

가령, 보행 신호등이 녹색등임에도 불구하고, 차량(800)이 횡단보도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880)는 차량 운전자를 경고하기 위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신호등이 적색등임에도 불구하고, 차량(800)이 횡단보도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880)는 차량 운전자를 경고하기 위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80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edestrian crossing, the control unit 880 may output a warning signal to warn the driver of the vehicle, even though the walking light is green.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800 enters the vehicl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edestrian crossing, the control unit 880 may output a warning signal to warn the driver of the vehicle, even though the vehicle signal lamp is red.

또한, 보행 신호등이 녹색등임에도 불구하고, 차량(800)이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880)는 경고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차량(800)을 급제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 신호등이 적색등임에도 불구하고, 차량(800)이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880)는 경고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차량(800)을 급제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800 enters the crosswalk although the walk signal is green, the control unit 880 outputs a warning signal and can rapidly bump the vehicle 800. Likewise, when the vehicle 800 enters the crosswalk, the control unit 880 can quickly bump the vehicle 800 while outputting a warning signal, even though the vehicle signal lamp is red.

제어부(880)는, 보행자 보호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910 단계 내지 970 단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980).The control unit 880 can repeatedly perform the operations of steps 910 to 970 until the pedestrian protection application is terminated (S980).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880)는, 스마트 신호등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880 can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 cooperation with a mobile terminal of a pedestrian as well as a smart signal.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보행자 보호 시스템 110: 스마트 신호등
120: 보행자의 이동 단말기 130: 횡단보도
100: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110: smart signal light
120: a pedestrian's mobile terminal 130: a pedestrian crossing

Claims (8)

무선 통신부;
보행 신호등의 동작을 학습하는 보행신호 학습부; 및
상기 보행신호 학습부를 통해 학습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기 잔여시간 정보와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대기 잔여시간 정보와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신호 학습부는, 상기 보행 신호등으로부터 적색등의 작동 시간에 관한 정보와 녹색등의 작동 시간에 관한 정보를 각각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학습하며,
교통신호 제어기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보행 신호등의 동작 주기가 변경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보행 신호등의 변경된 동작 상태를 재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호등.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learning an operation of a walking signal or the like; And
A memory for storing data learned through the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And
Calculates a waiting time information and walk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based 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generates and periodically broadcasts a beacon signal including the calculated waiting time information and the walking time information and,
The gait signal learning unit periodically collects and learns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time of red or the like from the gait signal and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time such as green respectively,
And deletes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operation cycle of the walk sig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and re-learns the changed operation state of the walk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신호는, 스마트 신호등의 식별정보, 스마트 신호등의 위치 데이터, 스마트 신호등과 인접 스마트 신호등 간의 거리 데이터, 및 인접 공공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신호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acon signal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smart signal, position data of a smart signal, distance data between a smart signal and a neighboring smart signal, and adjacent public institu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신호 학습부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적색등의 작동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집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값을 갖는 작동 시간 정보를 상기 적색등의 정상 작동 시간 정보로 학습하고,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녹색등의 작동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집되는 경우, 상기 동일한 값을 갖는 작동 시간 정보를 상기 녹색등의 정상 작동 시간 정보로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호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lking signal learning unit learns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value as the normal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red whe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red or the like having the same value is collect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rein the operation tim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value is learned as normal operation time information such as green when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green having the same value is collec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횡단보도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으로부터 복수의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비컨 신호들을 이용하여 보행자와 상기 복수의 스마트 신호등 간의 거리 정보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거리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보행자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컨 신호들 각각은, 스마트 신호등의 위치 데이터, 스마트 신호등과 인접 스마트 신호등 간의 거리 데이터, 대기 잔여시간 정보 및 보행 잔여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beac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mart signal lamps located around the crosswalk;
Calculating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edestrian and the plurality of smart signals using the beacon signals, detecting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generating different notifica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edestrian, ; 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Wherein each of the beacon signals includes position data of a smart signal or the like, distance data between a smart signal and a neighboring smart signal, standby remaining time information, and walking residual tim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비컨 신호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신호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갖는 비컨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parsing)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ler selects a beacon signal having a lar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among the plurality of beacon signals, and pars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beacon sig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가 상기 횡단보도의 인접 인도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보행자의 대기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보행자가 상기 횡단보도의 안전선을 침범한 경우, 상기 횡단보도의 안전선을 침범하였음을 경고하는 제2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causes a first announcement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tandby time of the pedestrian to be outputted when the pedestrian is located in the adjacent delivery area of the pedestrian crossing,
When the pedestrian has invaded the safety line of the crosswalk, outputs a second announcement signal warning that the safety line of the crosswalk has been invad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행자의 이동 속도와 상기 횡단보도의 남은 거리를 기초로 잔여 소요시간을 계산하고, 특정 비컨 신호에 포함된 보행 잔여시간이 상기 계산된 잔여 소요시간보다 작은 경우, 보행 신호등의 신호 변경이 임박하였음을 경고하는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remaining time required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pedestrian and the remaining distance of the pedestrian when the pedestrian moves on the pedestrian crossing, And when it is smaller than the remaining required time, a warning signal is output to warn that the signal change of the walking signal or the like is immin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된 안전시설 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전시설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interlocking with a safety facilit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crosswalk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safety facility.
KR1020160161698A 2016-11-30 2016-11-30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9237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98A KR101923720B1 (en) 2016-11-30 2016-11-30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A3045435A CA3045435A1 (en) 2016-11-30 2017-11-20 Pedestrian pro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CT/KR2017/013184 WO2018101664A1 (en) 2016-11-30 2017-11-20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98A KR101923720B1 (en) 2016-11-30 2016-11-30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951A KR20180061951A (en) 2018-06-08
KR101923720B1 true KR101923720B1 (en) 2019-03-19

Family

ID=6224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698A KR101923720B1 (en) 2016-11-30 2016-11-30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23720B1 (en)
CA (1) CA3045435A1 (en)
WO (1) WO201810166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534B1 (en) * 2018-08-29 2019-10-18 주식회사 핀텔 Image analysis apparatus for sensing vehicle and pedestrian based on deep learning and method thereof
KR102201272B1 (en) * 2019-06-13 2021-01-12 김윤순 Smart bottom traffic signal ligh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982212A (en) * 2021-04-15 2021-06-18 江苏东交智控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Zebra crossing
EP4327795A1 (en) * 2022-08-22 2024-02-28 Scen S.r.l. Electronic mobility aid platform and related use method
CN115830884B (en) * 2022-11-23 2023-08-29 东南大学 Secondary street crossing transfer auxiliary method for same-name sites for blind people
KR102605104B1 (en) * 2022-11-29 2023-11-23 성풍솔레드 주식회사 Crosswalk traffic light notification service system for right turn vehicl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40B1 (en) * 2005-03-21 2007-05-07 라이트사이언스 주식회사 signal lamps
KR100736853B1 (en) * 2005-06-17 2007-07-06 이준호 Method for indicating remaining time for traffic signals and apparatus thereof
KR100851023B1 (en) * 2006-12-26 2008-08-12 (주)팔도관광여행사 Traffic light having the display for displaying remaining time
KR100982724B1 (en) * 2008-04-17 2010-09-16 최상우 Artificial Intelligent Pedestrian Signal Controller
KR101352971B1 (en) * 2010-09-16 2014-01-22 전종훈 System for providing signal-lamp inform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JP2013097387A (en) * 2011-10-27 2013-05-20 Kyocera Corp 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notification control method
US9014037B2 (en) * 2011-10-28 2015-04-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527506B1 (en) * 2013-10-18 2015-06-09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guiding and displaying method of smart device based location for traffic facilities and safety equipment
KR101671703B1 (en) * 2014-12-26 2016-11-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 multi-function signal lamp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664A1 (en) 2018-06-07
CA3045435A1 (en) 2018-06-07
KR20180061951A (en)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720B1 (en)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814153B2 (en) Vehicle lighting, vehicle systems and vehicles
US91977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riving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of
US9685077B2 (en) Traffic control system
AU2013254834B2 (en) Road and path lighting system
US9607514B2 (en) Drive assist device
US11756416B2 (en) Vehicle to vehicle and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and pedestrian detection system
KR20170099188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22500739A (en) Indicator information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3161145A (en) Pedestrian guiding device
KR101933493B1 (en) Operation appratus for campingc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6555B1 (en) Vehicle safety guiding system
CN112793586B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utomobil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2011164064A (en) Electromagnetic-wave detection device, portable device, and determination method of electric car and the hybrid car, and program therefor
JP2009217350A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vehic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20210403018A1 (en) Method for providing rest information based on driver rest pattern and apparatus therefor
KR20180059663A (en) Traffic signal system for notifying approaching of emergency vehicle
KR10217023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of highway
KR2019010010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
KR20190070639A (en) Smart traffic ligh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8097251A (en) Congestion prediction apparatus, and driving support apparatus and support system
US1042985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self-balancing vehicle to park
US20150334536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N112602126B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uter program, and data structure
KR20190109801A (en) A smart raised pavement marker and per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