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217B1 - 스피커 유닛 - Google Patents

스피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217B1
KR101922217B1 KR1020170008434A KR20170008434A KR101922217B1 KR 101922217 B1 KR101922217 B1 KR 101922217B1 KR 1020170008434 A KR1020170008434 A KR 1020170008434A KR 20170008434 A KR20170008434 A KR 20170008434A KR 101922217 B1 KR101922217 B1 KR 10192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yoke
disposed
coil
vib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393A (ko
Inventor
고주헌
민병일
박정권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to KR102017000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2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유닛은, 중공이 형성된 제1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1 요크;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2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2 요크; 상기 제1 마그넷 또는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 상기 제1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정 자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교번 자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제1 마그넷의 중공을 통해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진동을 상기 진동판으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피커 유닛{Speaker unit of layered structure}
본 발명은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헤드폰 등과 같은 음향장치에 사용되는 스피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리가 제공되는 다양한 기기, 특히 최근 다양한 외부 기기와 접속되어 음악 감상, 영화 감상, 사진 촬영, 동영상 시청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는 스피커나, 이어폰, 헤드폰 등과 같은 외부 음향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어 소리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이어폰과 같은 음향장치는 기기, 특히 휴대 단말기의 외부 접속단자 등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로 바로 소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향장치 내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품인 스피커 유닛의 일 예가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balanced armature) 타입의 스피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측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유닛(10)은 하우징(11), 진동판(12), 코일부(13), 한 쌍의 마그넷(14), 전기자(15), 및 커넥팅로드(16)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의 일측에는 진동판(12)에 발생되는 소리가 방출되는 개구(11a)가 형성된다. 하우징(11)의 내측에는 진동판(12)을 진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11b)이 제공되고, 프레임(11b) 상에 위치된 진동판(12)으로 진동을 구현하도록 코일부(13), 한 쌍의 마그넷(14), 전기자(15) 및 커넥팅로드(1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전기자(15)는 코일부(13)와 한 쌍의 마그넷(14)에 의해 진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형상의 전기자(15)의 하부판(15a)은 하우징(11)에 지지되고, 상부판(15b)은 코일부(13) 및 한 쌍의 마그넷(1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전기자(15)의 하부판(15a)이 하우징(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기자(15)의 상부판(15b)은 코일부(13)와 한 쌍의 마그넷(14)을 관통한 상태에서 코일부(13)와 한 쌍의 마그넷(14) 사이에서 진동하게 된다. 커넥팅로드(16)는 전기자(15)의 상부판(15b)과 진동판(12)을 연결하여, 전기자(15)의 상부판(15b)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판(12)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에, 코일부(13)와 한 쌍의 마그넷(14) 사이를 관통하여 한 쌍의 마그넷(14) 사이에서 진동하는 전기자(15)의 상부판(15b)의 진동은 커넥팅로드(16)를 통해 진동판(12)으로 전달되고, 진동판(12)은 프레임(11a) 상에서 진동된다.
이와 같은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유닛은 재생 음향의 해상도가 매우 높아 명료하고 섬세한 소리를 재현할 수 있으며, 아마추어의 과도응답성이 매우 양호하여 재생 음향이 매우 섬세하고, 특히 중/고음 영역에서의 원신호에 근접된 고품질의 음향 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유닛은 공정의 난이도가 매우 높아 양산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고, 진동판(12)과 소리가 방출되는 개구(11a)의 위치상 전방 지향성 구조가 아니어서 일부 음역대가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여 제품 구현 시에 스피커 유닛을 실리콘 러버나 쿠션 재질로 보호하여야 하며, 고온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6894호, 공고일자 2016년 2월 23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산성이 높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전방 지향성 구조를 가지고, 내구성이 뛰어난 스피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유닛은, 중공이 형성된 제1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1 요크;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2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2 요크; 상기 제1 마그넷 또는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 상기 제1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정 자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교번 자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제1 마그넷의 중공을 통해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진동을 상기 진동판으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상기 진동판의 중앙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진동플레이트에는 탄성이 향상되도록 복수 개의 톱니 모양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요크의 상부에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홈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홈과 상기 제1 요크의 하부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외경은 상기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제1 마그넷의 외경보다 작은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플레이트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제1 마그넷의 외경보다 작은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제2 마그넷보다 작은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은,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넷, 상기 제1 및 제2 요크, 상기 코일, 상기 진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전달부재를 실장하는 중공기둥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형 구조로 인하여 양산성이 높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전방 지향성 구조를 가지고,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의 스피커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측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측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이 이어폰 하우징 내에 실장된 모습의 예를 보여준다.
도 8은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코일만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나타낸다.
도 9는 제1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과 제2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나타낸다.
도 10은 제2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코일만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나타낸다.
도 11은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과 제2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나타낸다.
도 12는 제1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과 제2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측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00)은 프레임(110), 캡(120), 제1 마그넷(131), 제1 요크(141), 제1 코일(151), 제2 마그넷(132), 제2 요크(142), 제2 코일(152), 진동플레이트(160), 전달부재(170), 진동판(180), 및 인쇄회로기판(19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중공기둥 형상으로, 그 내부에 제1 마그넷(131), 제1 요크(141), 제1 코일(151), 제2 마그넷(132), 제2 요크(142), 제2 코일(152), 진동플레이트(160), 전달부재(170), 진동판(180), 및 인쇄회로기판(190)이 실장된다.
캡(120)은 프레임(110)의 상측 개구부에 배치되어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진동판(180)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홀(120h)이 형성된다.
제1 마그넷(131)은 가운데에 중공(131h)이 형성되고, 제2 마그넷(132) 역시 가운데에 중공(132h)이 형성되며, 제1 마그넷(131)의 중공(131h)과 제2 마그넷(132)의 중공(132h)이 연통하도록 제2 마그넷(132)은 제1 마그넷(131)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요크(141)는 제1 마그넷(131)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요크(141)의 내측에 제1 마그넷(131)이 배치되며, 제2 요크(142) 역시 제2 마그넷(132)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요크(142)의 내측에 제2 마그넷(132)이 배치된다.
제1 코일(151)은 가운데에 중공(151h)이 형성되고, 중공(151h)이 제1 마그넷(131)의 중공(131h)과 연통하도록 제1 마그넷(131)의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 코일(152)은 가운데에 중공(152h)이 형성되고, 중공(152h)이 제2 마그넷(132)의 중공(132h)과 연통하도록 제2 마그넷(132)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151)과 제2 코일(152)의 두 개의 코일이 구비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코일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코일(151)이 제1 마그넷(13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코일(152)이 제2 마그넷(132)의 하부에 배치되나, 실시예에 따라서 코일은 제1 마그넷(131)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제2 마그넷(132)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일은 제1 마그넷(131)과 제2 마그넷(132)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셈이다.
진동플레이트(160)는 제1 마그넷(131)과 제2 마그넷(132)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다. 진동플레이트(160)는 예컨대 퍼멀로이(permalloy)와 같은 자성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90)은 제2 요크(142) 및 제2 코일(152)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 신호를 연결단자 또는 인출선(미도시)을 통하여 제1 코일(151)과 제2 코일(152)로 전달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제1 마그넷(131), 제2 마그넷(132), 제1 요크(141) 및 제2 요크(142)에 의하여 고정 자계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코일(151)과 제2 코일(152)에 구동신호인 교류 전류가 인가되면 제1 코일(151)과 제2 코일(152)은 교류 전류에 의하여 교번 자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 자계와 교번 자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진동플레이트(160)가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진동판(180)은 상기 제1 마그넷(131)의 상부에 배치되며, 진동을 소리로 변환시킨다. 전달부재(170)는 제1 마그넷(131)의 중공(131h)과 제1 코일(151)의 중공(151h)을 통해 진동플레이트(160)의 중앙부와 진동판(180)의 중앙부를 연결하여, 진동플레이트(160)의 진동을 진동판(180)을 전달한다. 따라서 진동판(180)을 통하여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진동플레이트(160)는 진동을 위해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크(142)의 상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홈이 형성되어, 진동플레이트(16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홈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진동플레이트(160)의 가장자리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플레이트(16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요크(142)의 지지홈과 제1 요크(141)의 하부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진동플레이트(160)의 보다 원활한 진동을 위하여, 진동플레이트(160)에는 탄성이 향상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톱니 모양의 홀(160h)들이 중앙부 주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톱니 모양의 홀(160h)들을 중앙부 주변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진동플레이트(160)의 중앙부의 진동의 진폭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마그넷(131), 제2 마그넷(132), 제1 요크(141) 및 제2 요크(142)에 의한 폐루프 고정 자계의 형성을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151) 및 제2 코일(152)의 외경은 제1 마그넷(131) 및 제2 마그넷(132)의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되고, 제1 요크(141)는 제1 마그넷(131)의 상부면 가장자리(즉, 제1 코일(151) 외측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제2 요크(142)는 제2 마그넷(132)의 하부면 가장자리(즉, 제2 코일(152) 외측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00)이 이어폰 하우징(1000) 내에 실장된 모습의 예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00)은 전방 지향성 구조를 가지므로 음역대가 소실될 염려가 없고, 견고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므로 스피커 유닛(100)을 보호할 다른 요소가 특별히 필요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측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100)과의 차이점만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제1 마그넷(131)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코일(151)만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200)을 나타낸다. 제2 마그넷(132)의 하부에는 코일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크(142‘)는 제2 마그넷(132)의 하부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제1 마그넷(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151‘)과 제2 마그넷(13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152‘)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300)을 나타낸다. 따라서 진동플레이트(160)는 제1 코일(151‘)과 제2 코일(15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요크(141‘)는 제1 마그넷(131’)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제2 요크(142‘)는 제2 마그넷(132’)의 하부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제2 마그넷(132‘)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나의 코일(152’)만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400)을 나타낸다. 따라서 진동플레이트(160)는 제1 마그넷(131)과 코일(15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요크(141‘)는 제1 마그넷(131)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제2 요크(142‘) 역시 제2 마그넷(132’)의 하부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제1 마그넷(1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151)과 제2 마그넷(13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152’)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500)을 나타낸다. 따라서 진동플레이트(160)는 제1 마그넷(131)과 제2 코일(15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요크(141)는 제1 마그넷(131)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제2 요크(142‘)는 제2 마그넷(132’)의 하부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제1 마그넷(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151‘)과 제2 마그넷(13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152)을 포함하는 스피커 유닛(600)을 나타낸다. 따라서 진동플레이트(160)는 제1 코일(151‘)과 제2 마그넷(13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요크(141‘)는 제1 마그넷(131’)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제2 요크(142)는 제2 마그넷(132)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마그넷(131, 131‘), 제1 요크(141, 141’), 제1 코일(151, 151‘), 제2 마그넷(132, 132’), 제2 요크(142, 142‘), 제2 코일(152, 152’), 진동플레이트(160), 진동판(180), 및 인쇄회로기판(190) 등이 적층형 구조로 배치되므로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작업성이 뛰어나, 양산성과 수율이 높고 제조 자동화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마그넷(131, 131‘), 제1 요크(141, 141’), 제1 코일(151, 151‘), 제2 마그넷(132, 132’), 제2 요크(142, 142‘), 제2 코일(152, 152’), 또는 진동플레이트(160) 등의 절대적·상대적 규격(크기, 배치 등)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제품에서 요구되는 음질, 음향 밸런스, 주파수 특성 등의 튜닝이 가능하여 고품질의 스피커를 제작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중공이 형성된 제1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1 요크;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2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2 요크;
    상기 제1 마그넷 또는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 상기 제1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정 자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교번 자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제1 마그넷의 중공을 통해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진동을 상기 진동판으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상기 진동판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에는 탄성이 향상되도록 복수 개의 톱니 모양의 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크의 상부에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홈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홈과 상기 제1 요크의 하부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외경은 상기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8. 삭제
  9. 중공이 형성된 제1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1 요크;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2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2 요크;
    상기 제1 마그넷 또는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 상기 제1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정 자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교번 자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제1 마그넷의 중공을 통해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진동을 상기 진동판으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플레이트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10. 삭제
  11. 중공이 형성된 제1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1 요크;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2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2 요크;
    상기 제1 마그넷 또는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 상기 제1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정 자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교번 자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제1 마그넷의 중공을 통해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진동을 상기 진동판으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제1 마그넷의 외경보다 작은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12. 중공이 형성된 제1 마그넷;
    상기 제1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1 요크;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2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을 둘러싸는 제2 요크;
    상기 제1 마그넷 또는 상기 제2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마그넷, 상기 제2 마그넷, 상기 제1 요크 및 상기 제2 요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정 자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교번 자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에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제1 마그넷의 중공을 통해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진동을 상기 진동판으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제2 마그넷보다 작은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1 마그넷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단면이 ‘ㄱ’ 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ㄴ’ 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넷, 상기 제1 및 제2 요크, 상기 제1 및 제2 코일, 상기 진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전달부재를 실장하는 중공기둥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
KR1020170008434A 2017-01-18 2017-01-18 스피커 유닛 KR10192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34A KR101922217B1 (ko) 2017-01-18 2017-01-18 스피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34A KR101922217B1 (ko) 2017-01-18 2017-01-18 스피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93A KR20180085393A (ko) 2018-07-27
KR101922217B1 true KR101922217B1 (ko) 2018-12-31

Family

ID=6307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434A KR101922217B1 (ko) 2017-01-18 2017-01-18 스피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949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3750A1 (fr) 2020-04-08 2023-02-15 Oltramare, Michel Haut-parleur inductif a double flux magnetique axial
CN111586543A (zh) 2020-05-21 2020-08-25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平衡电枢式扬声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94B1 (ko) 2014-12-30 2016-02-23 유옥정 밸런스드 플레이트 방식의 전자석 스피커
KR101596891B1 (ko) 2014-10-02 2016-02-23 유옥정 전자기적 구동형 슬림 스피커
KR101775427B1 (ko) 2016-06-30 2017-09-07 이성수 스피커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91B1 (ko) 2014-10-02 2016-02-23 유옥정 전자기적 구동형 슬림 스피커
KR101596894B1 (ko) 2014-12-30 2016-02-23 유옥정 밸런스드 플레이트 방식의 전자석 스피커
KR101775427B1 (ko) 2016-06-30 2017-09-07 이성수 스피커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949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93A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3805B2 (en) Piezoelectric ceramic dual-frequency earphone structure
US9532133B2 (en) Dual-frequency coaxial earphone
EP2268060B1 (en) Multifunctional speaker
KR101410393B1 (ko)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US20110293121A1 (en) Vibrating member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same
WO2014061092A1 (ja) イヤホン装置
US9210511B2 (en) Micro-electroacoustic device
US9386375B2 (en) Miniature speaker
US10820113B2 (en) Speaker
US9774956B2 (en) Speaker
KR101922217B1 (ko) 스피커 유닛
US9591407B2 (en) Speaker
US9277326B2 (en) Miniature speaker
EP2725820B1 (en) Vibration module for sound transducer
KR102317353B1 (ko) 이중 스피커
JP6108649B2 (ja) スピーカ装置
JP2014090239A (ja) スピーカ装置
US9258631B1 (en) Micro-speaker
KR101828262B1 (ko)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US9621993B2 (en) Electromagnetic speaker
KR20160081641A (ko) 이어폰 및 이어폰 제작 방법
KR101115669B1 (ko) 진동 스피커
US10979800B2 (en) Sounding device
KR102545584B1 (ko) 음향 생성 장치
KR101627527B1 (ko) 박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