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262B1 -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 Google Patents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262B1
KR101828262B1 KR1020170044150A KR20170044150A KR101828262B1 KR 101828262 B1 KR101828262 B1 KR 101828262B1 KR 1020170044150 A KR1020170044150 A KR 1020170044150A KR 20170044150 A KR20170044150 A KR 20170044150A KR 101828262 B1 KR101828262 B1 KR 101828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armature
rod
co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주헌
민병일
박정권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머스
Priority to KR102017004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마그넷; 일부는 지지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코일의 중앙 내측 및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사이를 관통하는 아마추어; 상기 코일과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사이의 상기 아마추어의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1 로드; 상기 아마추어의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로드;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되는 제1 진동판; 및 상기 제2 로드에 연결되는 제2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Balanced armature type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런스드 아마추어(balanced armature) 타입의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리가 제공되는 다양한 기기, 특히 최근 다양한 외부 기기와 접속되어 음악 감상, 영화 감상, 사진 촬영, 동영상 시청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는 스피커나, 이어폰, 헤드폰 등과 같은 외부 음향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어 소리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이어폰과 같은 음향장치는 기기, 특히 휴대 단말기의 외부 접속단자 등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로 바로 소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향장치 내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품인 스피커의 일 예가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balanced armature) 타입의 스피커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피커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10)는 하우징(11), 진동판(12), 코일(13), 한 쌍의 마그넷(14), 아마추어(15), 및 커넥팅로드(16)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의 일측에는 진동판(12)에 발생되는 소리가 방출되는 개구(11a)가 형성된다. 하우징(11)의 내측에는 진동판(12)을 진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1b)가 제공되고, 지지부(11b) 상에 위치된 진동판(12)으로 진동을 구현하도록 코일(13), 한 쌍의 마그넷(14), 아마추어(15), 커넥팅로드(16) 및 요크(17)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아마추어(15)는 코일(13)과 한 쌍의 마그넷(14)에 의해 진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형상의 아마추어(15)의 하부판은 하우징(11)에 지지되고, 상부판은 코일(13) 및 한 쌍의 마그넷(1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아마추어(15)의 하부판이 하우징(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아마추어(15)의 상부판은 코일(13)과 한 쌍의 마그넷(14)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커넥팅로드(16)는 아마추어(15)의 상부판과 진동판(12)을 연결하여, 아마추어(15)의 상부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판(12)으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에, 코일(13)과 한 쌍의 마그넷(14) 사이를 관통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아마추어(15)의 상부판의 진동은 커넥팅로드(16)를 통해 진동판(12)으로 전달되고, 진동판(12)은 지지부(11b) 상에서 진동된다.
이와 같은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는 재생 음향의 해상도가 매우 높아 명료하고 섬세한 소리를 재현할 수 있으며, 아마추어의 과도응답성이 매우 양호하여 재생 음향이 매우 섬세하고, 특히 중/고음 영역에서 원신호에 근접된 고품질의 음향 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반면에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는 저음 표현이 다소 부실한 약점이 있어서,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파수 대역이 다른 둘 이상의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유닛을 사용하여 저음을 보강한 다중 드라이버 구조가 등장한 바 있다. 그러나 다중 드라이버 구조는 여러 개의 스피커 유닛을 사용함으로 인해 부피가 커지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은 부피를 유지하고 제작비용의 상승을 최소화하면서 중/고음 대역 뿐만 아니라 저음 대역까지 재생이 가능하여 보다 넓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는,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마그넷; 일부는 지지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코일의 중앙 내측 및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사이를 관통하는 아마추어; 상기 코일과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사이의 상기 아마추어의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1 로드; 상기 아마추어의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로드;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되는 제1 진동판; 및 상기 제2 로드에 연결되는 제2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마추어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일측의 상기 아마추어의 단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판과 상기 제2 진동판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제1 진동판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는 상기 제2 진동판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는, 소리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마추어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는,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코일, 상기 마그넷, 상기 아마추어 및 상기 제1 로드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아마추어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고, 하부에 상기 제1 진동판의 둘레가 부착되며, 하부 내측에 상기 제1 진동판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에는 상기 제1 진동판으로부터의 소리가 통과하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는, 상기 프레임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진동판이 진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제2 진동판의 둘레가 부착되는 지지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판 및 상기 지지링은,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바깥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진동판에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 커버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는, 작은 부피를 유지하고 제작비용의 상승을 최소화하면서 중/고음 대역 뿐만 아니라 저음 대역까지 재생이 가능하여 보다 넓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balanced armature) 타입의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피커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A 스피커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A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A 스피커에서 코일(210), 마그넷(220), 아마추어(230), 요크(240), 제1 로드(310), 제2 로드(320)가 결합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코일(210), 마그넷(220), 아마추어(230), 요크(240), 제1 로드(310)가 결합된 구성이 프레임(120)에 수용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프레임(120)에, 제1 진동판(410)이 부착된 프레임 커버(130)가 덮혀진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프레임 커버(130)에, 제2 진동판(420)이 부착된 지지링(140)이 결합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이하 'BA 스피커')의 가장 큰 특징은, 하나의 아마추어의 두 부분에 각각 로드를 연결하고 각 로드에 진동판을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아마추어로 두 개의 진동판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의 아마추어로 두 개의 진동판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부피를 유지하고 제작비용의 상승을 최소화하면서 하나의 드라이버로 중/고음 대역 뿐만 아니라 저음 대역까지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아마추어로 두 개의 진동판을 구동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A 스피커의 구성 및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A 스피커의 도면들로서,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BA 스피커의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BA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BA 스피커에서 코일(210), 마그넷(220), 아마추어(230), 요크(240), 제1 로드(310), 제2 로드(320)가 결합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BA 스피커는 하우징(110), 코일(210), 한 쌍의 마그넷(220), 아마추어(230), 요크(240), 제1 로드(310), 제2 로드(320), 제1 진동판(410), 제2 진동판(420), 회로기판(150)을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프레임(120), 프레임 커버(130), 지지링(14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제1 진동판(410)과 제2 진동판(420)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이러한 방출구(111)를 형성하는 덕트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출구(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하우징(110)은 소리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를 갖는 구성이라면 그 형태나 구조 등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코일(210)로 전달하기 위한 회로기판(150)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개구된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우징(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회로기판(150)은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입력받아 코일(210)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구조나 배치 등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코일(210), 한 쌍의 마그넷(220), 아마추어(230), 요크(240), 제1 로드(310), 제2 로드(320), 제1 진동판(410), 제2 진동판(420), 프레임(120), 프레임 커버(130), 지지링(140) 등은 하우징(110) 내에 실장된다.
코일(210)의 일측에는 상부 마그넷(200a)와 하부 마그넷(220b)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마그넷(220)이 이격 배치된다.
아마추어(230)의 일부, 구체적으로 수평 방향의 지지부(231)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아마추어(230)의 다른 일부, 구체적으로 수평 방향의 진동부(232)는 코일(210)의 중앙 내측 및 한 쌍의 마그넷(220) 사이를 관통하고 단부(232b)가 한 쌍의 마그넷(220)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아마추어(230)는 지지부(231)와 진동부(232)가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의 연결부(233)를 포함한다. 즉, 아마추어(230)는 지지부(231)의 단부로부터 지지부(231), 연결부(233), 진동부(232) 및 진동부(232)의 단부(232b)에 걸쳐 대략적으로 '⊂'형상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아마추어(230)는 일부가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다른 일부가 코일(210)의 중앙 내측 및 한 쌍의 마그넷(220) 사이를 관통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태나 배치 등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요크(240)는 한 쌍의 마그넷(220)을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요크(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마그넷(220) 전체를 둘러쌀 수도 있고, 한 쌍의 마그넷(220) 일부를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요크(240)가 한 쌍의 마그넷(220) 전체를 둘러싸도록 제공되는 경우, 상부 마그넷(200a)은 요크(240)의 내측 상면에, 하부 마그넷(220b)은 요크(240)의 내측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요크(240)는 코일(210), 한 쌍의 마그넷(220)과 함께 폐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코일(210), 한 쌍의 마그넷(220)과 함께 폐 자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형태나 구조 등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아마추어(230)의 지지부(231) 상에 요크(240)가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아마추어(230)는 지지부(231)의 일측 양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판(2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드(310)는 하단이 코일(210)과 한 쌍의 마그넷(220) 사이의 아마추어(230)의 제1 부분(232a), 즉 코일(210)과 한 쌍의 마그넷(220) 사이의 아마추어(230)의 진동부(232)에 연결되고, 상단이 제1 진동판(410)에 연결된다. 제2 로드(410)는 하단이 아마추어(230)의 제2 부분(232b), 즉 아마추어(230)의 진동부(232)의 단부(232b)에 연결되고, 상단이 제2 진동판(420)에 연결된다. 제2 진동판(420)은 제1 진동판(410)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드(310)는 제1 진동판(410)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로드(410)는 제2 진동판(420)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1 진동판(410) 및 제2 진동판(420) 각각의 제1 로드(310) 및 제2 로드(410)의 연결 부위는 제1 진동판(410) 및 제2 진동판(420)의 크기 및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코일(210)에 신호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10)을 관통하는 진동부(232)에 코일(210)의 신호 전류에 따른 자속이 발생한다. 한 쌍의 마그넷(220) 사이의 진동부(232)에 일정한 직류 자계가 계속 유지된 상태에서, 코일(210)의 신호 전류에 따라 형성된 교류 자계가 중첩되어, 진동부(232)에 상하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이에 아마추어(230)의 진동부(232)에는 휨 변형이 발생하여 진동부(232)가 연결부(233)를 중심으로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부(232)의 제1 부분(232a)의 진동이 제1 로드(310)에 의해 제1 진동판(410)으로 전달되고, 동시에 진동부(232)의 제2 부분(232b)의 진동이 제2 로드(410)에 의해 제2 진동판(420)으로 전달된다. 즉, 하나의 아마추어(230)의 진동부(232)를 가지고 두 개의 진동판(410, 420)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진동판(410)과 제2 진동판(420)의 크기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제1 진동판(410)과 제2 진동판(420)의 대역 특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진동판(420)을 제1 진동판(410)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1 진동판(410)에서는 중/고음 대역이 주로 재생되고, 제2 진동판(420)에서는 저음 대역이 주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진동판(410)을 제2 진동판(420)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1 진동판(410)에서 저음 대역이 주로 재생되고, 제2 진동판(420)에서 중/고음 대역이 주로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아마추어(230)의 두 부분(232a, 232b)에 각각 로드(310, 320)를 연결하고, 각 로드(310, 320)에 진동판(410, 420)을 연결하여 하나의 아마추어(230)로 두 개의 진동판(410, 420)을 구동할 수 있는 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20), 프레임 커버(130), 지지링(140) 등이 제공된다.
도 6은 도 5의 코일(210), 마그넷(220), 아마추어(230), 요크(240), 제1 로드(310)가 결합된 구성이 프레임(120)에 수용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프레임(120)에, 제1 진동판(410)이 부착된 프레임 커버(130)가 덮혀진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프레임 커버(130)에, 제2 진동판(420)이 부착된 지지링(140)이 결합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프레임(120)은 하우징(110) 내의 바닥면 상에 실장되고, 상부가 개구되며(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코일(120), 한 쌍의 마그넷(220), 아마추어(230), 요크(240) 및 제1 로드(310)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20)은 하부가 개구되므로 아마추어(230)의 지지부(231)가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직접 지지되지만, 프레임(120)의 하부가 개구되지 않고 바닥면이 존재한다면 아마추어(230)의 지지부(231)는 프레임(120)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20)은 하우징(110)과 별도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프레임(120)이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레임(120)의 일측에는 아마추어(230)의 단부(232b), 즉 제2 로드(320)가 연결된 부분이 프레임(120)의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개구(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로드(320)는 프레임(120)의 일측 바깥에서 아마추어(230)의 단부(232b)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제2 진동판(420)에 연결된다.
프레임 커버(130)는 프레임(120)의 상부를 덮고, 프레임 커버(130)의 하부에는 제1 진동판(410)의 둘레가 부착된다. 프레임 커버(130)는 하부 내측에 제1 진동판(410)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부 내측이 함몰된 구조로 형성된다. 프레임 커버(130)에는 제1 진동판(410)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통과하여 프레임(120)의 외부로 원활하게 나올 수 있도록 구멍(13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진동판(410)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121)를 통하여도 프레임(120)의 외부로 나올 수 있고, 프레임(120)의 측면에 제1 진동판(410)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프레임 커버(130)에 구멍(13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진동판(410)과 제2 진동판(420)의 대역 특성을 다르게 할 수 있는 바, 프레임 커버(130)는 제1 진동판(410)의 소리와 제2 진동판(420)의 소리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프레임 커버(130)의 상부에는 지지링(140)이 부착되고, 지지링(140)의 상부에는 제2 진동판(420)의 둘레가 부착되어 제2 진동판(420)이 진동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로드(320)는 프레임(120)의 일측 바깥에서 아마추어(230)의 단부(232b)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므로, 제2 로드(320)가 제2 진동판(4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진동판(420)과 지지링(140)은 프레임 커버(13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위와 같은 제1, 2 진동판(410, 420), 프레임(120), 프레임 커버(130) 및 지지링(140)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110)의 크기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120) 또는 프레임 커버(130)의 단순한 변형(예컨대, 높이 등)만으로 제1 진동판(410)과 제2 진동판(420)의 진동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하여 제1, 2 진동판(410, 420) 각각의 대역 특성, 나아가 스피커의 전체적인 대역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코일;
    상기 코일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마그넷;
    일부는 지지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코일의 중앙 내측 및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사이를 관통하는 아마추어;
    상기 코일과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사이의 상기 아마추어의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1 로드;
    상기 아마추어의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로드;
    상기 제1 로드에 연결되는 제1 진동판; 및
    상기 제2 로드에 연결되는 제2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일측의 상기 아마추어의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판과 상기 제2 진동판의 크기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제1 진동판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는 상기 제2 진동판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소리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마추어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코일, 상기 마그넷, 상기 아마추어 및 상기 제1 로드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아마추어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프레임의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덮고, 하부에 상기 제1 진동판의 둘레가 부착되며, 하부 내측에 상기 제1 진동판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에는 상기 제1 진동판으로부터의 소리가 통과하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진동판이 진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제2 진동판의 둘레가 부착되는 지지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판 및 상기 지지링은,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 바깥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진동판에 연결되도록, 상기 프레임 커버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KR1020170044150A 2017-04-05 2017-04-05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KR101828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50A KR101828262B1 (ko) 2017-04-05 2017-04-05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50A KR101828262B1 (ko) 2017-04-05 2017-04-05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262B1 true KR101828262B1 (ko) 2018-03-23

Family

ID=6191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150A KR101828262B1 (ko) 2017-04-05 2017-04-05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552B1 (ko) 2020-07-16 2021-09-30 (주)파트론 음향기기 및 음향기기용 진동판 구조물
KR102337903B1 (ko) 2020-07-16 2021-12-10 (주)파트론 음향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3019A2 (en) 2003-05-09 2004-11-25 Knowles Electronic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coustic energy in a receiver assembly
JP3879755B2 (ja) 2004-09-21 2007-02-1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3019A2 (en) 2003-05-09 2004-11-25 Knowles Electronic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coustic energy in a receiver assembly
JP3879755B2 (ja) 2004-09-21 2007-02-1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552B1 (ko) 2020-07-16 2021-09-30 (주)파트론 음향기기 및 음향기기용 진동판 구조물
KR102337903B1 (ko) 2020-07-16 2021-12-10 (주)파트론 음향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9563B2 (ja) スピーカ、補聴器、イヤホン及び携帯型端末装置
US8774447B2 (en) Crossover double speaker
US20160021441A1 (en) Micro-Speaker
EP2983378A1 (en) Dual-frequency coaxial earphone
JP2006033832A (ja) ディスプレイウィンドウを利用したスピーカー装置
US10820113B2 (en) Speaker
KR101501898B1 (ko) 일체형 2웨이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기기
US20140119591A1 (en) Micro-speaker
US10621965B2 (en) Acoustic apparatus
KR102317353B1 (ko) 이중 스피커
KR101828262B1 (ko)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KR100729272B1 (ko) 1채널 2웨이 방식의 스피커
KR101922217B1 (ko) 스피커 유닛
US10674274B2 (en) Speaker
WO2024000693A1 (zh) 同轴扬声器
KR20060133749A (ko) 동축형 스피커
US10979800B2 (en) Sounding device
KR102272386B1 (ko) 박형 음향 트랜스듀서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20120005288A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20040069394A (ko) 일체형 투웨이 스피커
US10149027B2 (en) Speaker box
KR102545584B1 (ko) 음향 생성 장치
KR102543007B1 (ko) 평판형 트위터 진동판을 적용한 투웨이 리시버
CN218124922U (zh) 一种内磁长方形扬声器
KR102373675B1 (ko) 슬림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