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903B1 -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903B1
KR102337903B1 KR1020200088504A KR20200088504A KR102337903B1 KR 102337903 B1 KR102337903 B1 KR 102337903B1 KR 1020200088504 A KR1020200088504 A KR 1020200088504A KR 20200088504 A KR20200088504 A KR 20200088504A KR 102337903 B1 KR102337903 B1 KR 10233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magnet
armature
protrusion
driv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렬
윤지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0008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음향기기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의 제1 면 위에 위치하는 진동판, 상기 아마추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요크, 상기 아마추어의 제2 면 밑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요크와 대면하고 있는 제2 요크, 서로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위치하는 마그네트부, 상기 마그네트부와 인접하게 위치한 보이스 코일 및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기기{ACOUSTIC DEVICE}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런스드 아마추어(balanced armature)를 구비하는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speaker) 등과 같은 음향기기는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진동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진동 유닛은 일반적으로 다이나믹 타입(dynamic type)이나 아마추어 타입(armature type)으로 동작한다.
이때, 다이나믹 타입의 진동 유닛은 코일을 자기장 내에 위치시키고 음향 전류를 코일에 인가하여, 전류의 변화에 따라 진동하는 코일을 이용하여 진동판을 움직여 소리를 재생시키는 구조이다.
밸런스드 아마추어를 구비하는 아마추어 타입의 진동 유닛은 전류가 코일에 가해지면, 영구자석 사이에 위치한 아마추어(armature)가 전기 자석의 원리에 따라 N극과 S극으로 변경됨으로써 상하 진동을 하며, 이러한 아마추어의 진동으로 인해, 아마추어와 연결된 진동판이 진동하면서 소리가 재생되는 구조이다.
이때, 아마추어와 진동판은 드라이브 로드(drive load)라는 얇은 금속편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아마추어 타입의 진동 유닛은 다이나믹 타입의 진동 유닛보다 높은 고감도와 차음성이 발휘되며, 크기는 좀 더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4847호(공고일자: 2015년 02월 23일, 발명의 명칭: 밸런스드 아마추어 유닛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8262호(공고일자: 2018년 03월 23일, 발명의 명칭: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음향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향기기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판, 상기 아마추어의 제1 면 위에 위치하는 제1 요크, 상기 아마추어의 제2 면 밑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요크와 대면하고 있는 제2 요크, 서로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위치하는 마그네트부, 상기 마그네트부와 인접하게 위치한 보이스 코일, 및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로드 를 포함하는 음향기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마그네트부는 서로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는 제1 마그네트와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요크에 접해있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2 요크에 접해 있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는 각각,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단부 중에서 상기 드라이브 로드와 인접한 단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아마추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요크의 본체의 내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2 요크의 본체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보이스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네트가 위치하지 않는 제1 요크의 영역과 상기 제2 마그네트가 위치하지 않는 제2 요크의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아마추어의 일부는 상기 제1 요크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요크 사이의 돌출부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드라이브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제1 요크와 제2 요크 모두에 접해 있는 음향기기.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는 각각,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가운데 부분에서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아마추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요크의 돌출부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과 상기 제2 요크의 돌출부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요크의 돌출부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과 상기 제2 요크의 돌출부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보이스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아마추어의 일부는 상기 제1 요크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요크 사이의 돌출부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드라이브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아마추어는,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평면 방향과 다른 제2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각각 상기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막음판과 제2 막음판을 포함하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1 막음판과 상기 제2 막음판의 각 폭보다 작은 음향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연결부의 가운데 부분에서 상기 제1 평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음향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요크를 이용해 보이스 코일 쪽으로 자기 회로의 집중도를 증가시켜 음향기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두 개의 요크로 에워싸여진 공간 내에 마그네트부와 보이스 코일 또는 마그네트부가 위치하므로, 자기 회로의 형성 범위가 한정되어 전자기력선의 범위가 한정된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과 마그네트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선의 밀도가 증가하여 전자기력의 생성 효율이 향상되므로, 음향기기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만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향기기를 A-A'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음향기기를 B-B'선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의 아마추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를 도 1에 도시한 A-A'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잘라 얻어지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를 도 1에 도시한 B-B'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잘라 얻어지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의 요크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음향기기(1)는 하부 케이스(11), 하부 케이스(11)와 연결되어 상부 케이스(12) 및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 내부에 위치하는 진동 유닛(20)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는 본 예의 음향기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에워싸고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하우징(housing)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12)는 음향 기기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생성된 소리가 방사되는 음향홀(H1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기기(1)의 진동에 대응하여 생성된 소리는 이 음향홀(H12)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어 방사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2)의 내부 측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P12)가 위치하여, 진동판(12)의 위치가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진동판(12)은 드라이브 로드(222)로부터 전달되는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진동 동작에 의해 고정 위치애서 벗어나 상부 케이스(12)의 상부 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본 예의 경우, 하부 케이스(12)의 내부 측면에 위치한 복수 개의 돌기(P12)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진동판(12)의 이동을 방지하므로, 진동판(12)이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하부 케이스(1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 케이스(12)는 개방된 하부 케이스(11)의 상면을 덮는 덮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 케이스(11)의 개방된 상면에 상부 케이스(12)가 위치하여 개방된 하부 케이스(11)의 상면이 덮이면,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에 에워싸여진 빈 공간 속에 진동 유닛(20)이 위치하여 안정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유닛(20)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진동판(21), 진동판(21)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아마추어(221)와 연결핀인 드라이브 로드(222)를 구비하는 아마추어부(22), 아마추어(221)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23)과 마그네트부(24) 및 아마추어(221)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요크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진동판(21)와 아마추어부(22)는 밸러스드 아마추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판(21)은 아마추어(221)의 상면 위에 위치하고, 일측 가장자리부(예, 단축 가장자리부)에 삽입구(H21)를 구비하여 드라이브 로드(222)에 의해 아마추어(221)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로드(222)에 의해 아마추어(221)와 연결된 진동판(21)은 보이스 코일부(23)와 마그네트부(24)에 의한 아마추어(221)의 움직임에 의해 두께 방향(또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여 소리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진동 발생을 위한 얇은 막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진동판(21)은 금속이나 비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진동판(21)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케이스(12) 하부에 위치하고, 대략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예,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평탄한 판(pla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마추어부(2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아마추어(221)와 드라이브 로드(222)를 구비할 수 있다.
아마추어(221)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평면 방향(예, x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삽입부(2211) 및 삽입부(2211)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어 있는 막음판부(2212)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삽입부(2211)는 보이스 코일(23)이 삽입되는, 즉, 감겨지는 부분으로서,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된 긴 판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삽입부(2211)의 폭(W21)은 두께(T21)보다 훨씬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막음판부(2212)와 연결되지 않는 삽입부(2211)의 타측 단부에는 타측 끝단에서부터 제1 평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P2211)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돌기(P2211)에 의해 아마추어(221)는 드라이브 로드(222)와 결합되고, 이로 인해, 아마추어(221)와 진동판(21)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2211)는 막음판부(22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막음판부(2212)는 삽입부(221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제1 평면 방향과 교차하는 제2 평면 방향(예, y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결부(2212a) 및 이 연결부(2212a)의 양 끝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막음판(2212b)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막음판부(2212)의 평면 형상은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어, 두 개의 막음판(221b)은 연결부(2212a)의 양 끝단에서 제2 평면 방향으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2211)는 연결부(2212a)의 가운데 부분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삽입부(2211)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삽입부(2211)와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삽입부(2211)의 양 측면 및 이 양 측면에 각각 인접한 막음판(2212b)의 내부면 사이에는 빈 공간(S21)이 위치할 수 있고, 이 공간(S21) 속으로 보이스 코일(23)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평면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양 막음판(2212b)의 내부면 사이의 길이(L21)는 보이스 코일(23)의 폭(W23), 즉, 제2 평면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클 수 있어, 보이스 코일(23)은 안정적으로 삽입부(22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212a)와 각 막음판(2212b) 역시 삽입부(2211)와 같이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연결부(2212a)와 각 막음판(2212b)의 면 방향이 삽입부(2211)의 면 방향과 교차하게(예, 수직하게) 위치하고 있다.
삭제
본 예에서, 연결부(2212a)의 폭(즉,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W22)은 각 막음판(2212b)의 폭(W23)보다 작을 수 있다. 한 예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연결부(2212a)의 폭(W22)은 막음판(2212b)의 폭(W23)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하지만, 연결부(2212a)의 두께(T22)와 각 막음판(221b)의 두께(T23)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삽입부(2211)은 연결부(2212a)의 하단으로부터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삽입부(2211)의 하면 높이는 연결부(2212a)의 하면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삽입부(2211)은 연결부(2212a)의 상단으로부터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삽입부(2211)의 상면 높이는 연결부(2212a)의 상면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연결부(2212a)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막음판(2212b)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2212a)와 연결된 부분에서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막음판(2212b)의 연장 길이는 연결부(2212a)와 연결된 부분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2211)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각 막음판(2212b)의 상단 높이는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2212a)의 상단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부(2212a)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삽입부(2211)의 일부 영역(예, 제1 영역)(AR11)은 연결부(2212a)의 상단에서부터 연결되어 두께 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막음판(2121b)에 의해 막혀진 공간 내에 위치하고, 제1 영역(AR11)과 연장되어 있는 나머지 영역(예, 제2 영역)(AR12)은 한 쌍의 막음판(2121b)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2b)으로 막힌 공간(AR11) 속에 보이스 코일(23)과 마그네트(24)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마그네트부(24)는 주로 제1 영역(AR1)에 위치하고, 보이스 코일(23)은 주로 제2 영역(AR12)에 위치할 수 있다.
드라이브 로드(222)는 얇고 긴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드라이브 로드(22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진동판(21)과 아마추어(221) 사이에서 두께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판(21)과 인접한 드라이브 로드(222)의 일측 끝단은 진동판(21)의 삽입구(H21) 속에 삽입되어 있어 있고 제1 또는 제2 평면 방향으로 굽어 꺾임 형태를 갖는 꺾임부(2221)일 수 있다.
또한, 아마추어(221)와 인접한 드라이브 로드(222)의 타측 끝단에는 삽입구(H222)가 위치하고, 이 삽입구(H222) 내에 인접한 아마추어(221)의 돌기(P2211)가 삽입되어 아마추어(221)와 드라이브 로드(222)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아마추어(221)와 드라이브 로드(222)의 연결에 의해, 아마추어(221)의 동작에 의해 드라이브 로드(222)는 제1 또는 제2 평면 방향을 따라 좌우 또는 앞뒤에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드라이브 로드(222)의 일측 끝단인 꺾임부(2221)는 삽입구(H21)에 접해 있는 진동판(21) 부분에 두드려 진동판(21)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판(21)은 이러한 꺾임부(2221)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아마추어(221)와 드라이브 로드(222)는 돌기(P2211)와 삽입(H222)의 구조를 이용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예에서는 이와 다른 방법을 통해 아마추어(221)와 드라이브 로드(222)는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아마추어(221)와 드라이브 로드(222)에 각각 위치한 돌기(P2211)와 삽입구(H222)의 구조를 반대로 구성될 수 있어, 대안적인 예에서, 드라이브 로드(222)에 인접한 아마추어(221)의 삽입부(2211)의 해당 끝단에 삽입구가 위치할 있고, 드라이브 로드(222)의 해당 끝단은 아마추어(221)의 인접한 끝단에 위치한 삽입구에 삽입된 후 삽입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이스 코일(23)은 도시하지 않은 회로부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회로부를 통해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이스 코일(23)에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크기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러한 전류 흐름에 의해 보이스 코일(23)에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가되는 음성 신호에 의해 보이스 코일(23)에 자기장이 발생하면, 보이스 코일(23)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아마추어(221)에는 보이스 코일(23)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자기적인 극성(N극 또는 S극)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아마추어(221)에 형성되는 극성의 방향은 보이스 코일(23)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본 예에서, 보이스 코일(23)은 가운데 빈 구멍을 구비하고 있고, 구리선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선(예, 금속선)이 정해진 방향으로 감겨져 있을 수 있다.
본 예에서, 보이스 코일(23)은 가운데, 타원형의 빈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타원 형상으로 감겨져 있을 수 있다. 이때, 보이스 코일(23)의 가운데 위치하는 빈 구멍은 아마추어(221)의 삽입부(2211)가 삽입되는 삽입구(H23)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23)은 금속선이 복수 번 권선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23)의 측면이 설치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형태로 삽입부(2211)에 삽입될 수 있다.
마그네트부(24)는 보이스 코일(23)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고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는 각각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는 각각 정해진 해당 부분에 정해진 극성, 즉 N극과 S극을 갖고 있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아마추어(221)은 보이스 코일(23)의 영향으로 극성을 띄게 되므로, 아마추어(221)의 제1 영역(AR1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와 아마추어(221) 사이에서 인력이나 척력이 발생하여, 아마추어(221)는 해당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러한 아마추어(221)의 진동은 돌기(P2211)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된 드라이브 로드(222)로 전달되어 드라이브 로드(222) 역시 해당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러한 드라이브 로드(222)의 진동 동작은 꺾임부(2221)를 통해 진동판(21)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다.
결국, 아마추어(221)에서 발생된 진동에 따라 진동판(21)도 해당 방향으로 진동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소리가 생성되어 상부 케이스(12)의 음향홀(H12)을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본 예의 요크부(25) 역시 아마추어부(22)의 삽입부(2211)를 기준으로 하여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하는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요크(251) 및 제2 요크(252)는 각각 인접한 제1 마그네트(241) 및 제2 마그네트(242)와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해 인접한 보이스 코일(23) 쪽으로 자기 회로가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예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요크(251) 및 제2 요크(252)로 에워싸여진 공간 내에 보이스 코일(23)과 제1 및 제2 마그네트(241, 24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에 의해 자기 회로의 형성 범위가 한정되어 전자기력선의 범위가 한정되므로, 보이스 코일(23)과 제1 및 제2 마그네트(241, 242)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선의 밀도는 증가할 수 있고, 증가되는 전자기력선의 밀도에 비례하여 전자기력의 생성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 역시 서로 동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각 요크(251, 252)는 제2 평면 방향보다 제1 평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본체(2501) 및 드라이브 로드(222)와 인접하게 위치한 본체(2501)의 단부에서 두께 방향(예,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5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돌출부(2502)는 해당 단부 전체에 위치하여, 해당 단부에서 돌출부(2502)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제1 평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본체(2501)의 양 측부에서, 아마추어부(221)와 인접한 측부는 개방되어 있고, 드라이브 로드(222)에 인접한 측부는 돌출부(2502)로 막혀 있을 수 있다.
도시한 것처럼, 아마추어(221)의 삽입부(2211)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는 반대편에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요크(251)의 돌출부(2502)은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할 수 있고, 제2 요크(252)의 돌출부(2502)는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각 요크(251, 252)의 길이, 즉 제1 평면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L25)는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하나의 마그네트(251, 252)와 보이스 코일(23)의 총 길이(TL10)보다 클 수 있다.
또한, 각 요크(251, 252)의 폭(W25)은 각 마그네트(241, 242)의 폭(W24)과 동일할 수 있고, 보이스 코일(23)의 폭(W23)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가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반대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함에 따라, 아마추어(221)의 삽입부(2211)를 가운데 두고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로 덮여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요크(251)는 삽입부(2211)의 상면(예, 제1 면), 즉, 아마추어(221)의 상면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요크(252)는 삽입부(2211)의 하면(예, 제2 면), 즉 아마추어(221)의 제2 면 밑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이때,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는 삽입부(2211)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로 덮여진 공간 속에 마그네트부(24)와 보이스 코일(23)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는 각각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의 내부면에 각각 장착되어 해당 내부면과 접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는 연결부(2212)와 인접하게 위치할 해당 요크(251, 252)의 일측 끝단과 자신들의 끝단이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의 끝단과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의 끝단은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마그네트(241)가 장착된 제1 요크(251)와 제2 마그네트(242)가 장착된 제2 요크(252)는 삽입부(2211)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 형태로 위치하므로, 제1 요크(251)의 돌출부(2502))와 제2 요크(252)의 돌출부(2502)는 반대편에서 서로 마주보게 이격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23)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마그네트(241, 242)가 위치하지 않은 제1 요크(251)의 해당 영역과 제2 요크(252)의 해당 부분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보이스 코일(23)의 일부는 삽입부(2211)의 양 측면과 막음판(2212b)의 내부면 사이에는 빈 공간(S21)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보이스 코일(23)은 일부는 인접한 마그네트(241, 242)와 접하게 위치하거나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삽입부(2211)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평면 방향으로의 삽입부(2211)의 연장 길이(L221)가 각 요크(251, 252)의 연장 길이(L25)보다 길어, 삽입부(2211)의 돌기(P2211)는 인접한 두 요크(251, 252)의 두 돌출부(2502)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외부로 돌출된 삽입부(2211)의 돌기(P2211)는 드라이브 로드(222)의 일단에 위치한 삽입구(H222)에 삽입되고, 이러한 드라이브 로드(222)의 타단은 진동판(21)의 삽입구(H21)에 삽입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드라이브 로드(222)는 아마추어(221)와 진동판(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아마추어(221)의 극성 변화에 따른 움직임에 대응하여 진동판(21)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해 진동판(21)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 따른 음향기기(1)는 제1 요크(251)와 제2 요크(252)로 에워싸여진 공간 내에 마그네트부(24)와 보이스 코일(23)이 위치하여, 마그네트부(24)와 보이스 코일(23)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선 밀도는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
다음, 도 7 내지 도 10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기기(1a)를 설명한다.
본 예의 음향기기(1a)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음향기기(1)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음향기기(1)와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음향기기(1a) 역시 하부 케이스(11), 하부 케이스(11)와 연결되어 상부 케이스(12) 및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 내부에 위치하는 진동 유닛(20a)을 구비할 수 있다.
진동 유닛(20a)의 구조 역시 진동판(21), 아마추어(221)와 드라이브 로드(222)를 구비하는 아마추어부(22), 보이스 코일(23),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를 구비하는 마그네트부(24), 제1 요크(251a)와 제2 요크(252a)를 구비하는 요크부(25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예의 음향기기(1a) 역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동일한 사시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진동판(21), 아마추어부(22), 보이스 코일(23) 및 마그네트부(24)의 구조는 음향기기(1)의 그것들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마그네트부(24)의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의 크기는 음향기기(1)의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와 상이할 수 있고, 보이스 코일(23)와 마그네트부(24)의 장착 위치 역시 음향기기(1)와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요크부(25a)에 구비된 제1 요크(251a) 및 제2 요크(252a)의 구조는 음향기기(1)의 제1 요크(251) 및 제2 요크(252)의 구조와 상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제1 요크(251a)와 제2 요크(252a)의 구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요크(예, 251a)는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본체(2501a)와 이 본체(2501a)의 일 면(예, 하면)의 가운데 부분에서 두께 방향(예,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50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평면 방향(y)으로 본체(2501a)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는 돌출부(2502a)의 높이와 상이하여, 본체(2501a)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과 돌출부(2502a)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2502a) 역시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본체(2501a)보다 평면 크기가 작다.
따라서, 본체(2501a)의 폭(W251), 즉, 제2 평면 방향의 연장 길이는 돌출부(2502a)의 폭(W252)보다 길 수 있지만, 본체(2501a)의 길이(L251), 즉 제1 평면 방향의 연장 길이와 돌출부(2502a)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 평면 방향으로의 본체(2501a)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은 돌출부(2502a)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AR25)으로서, 본 예에서, 본체(2501a)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빈 영역(AR25)은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가 각각 위치하는 장착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각 마그네트(241, 242)의 폭(W24a), 즉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는 돌출부(2502a)의 돌출 두께(T25a)와 삽입부(2211)의 두께(T22a)를 합한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음향기기(1a)는 음향기기(1)와 달리 보이스 코일(23), 마그네트부(24) 및 요크부(25)의 장착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즉, 하부 케이스(11)에 아마추어(221)를 위치시킨 후, 아마추어(221)의 삽입부(2211)에 보이스 코일(23)의 삽입구(H23)를 삽입하여 보이스 코일(23)을 장착할 수 있다.
제1 요크(251a)와 제2 요크(252a)는 삽입부(2211)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상하 대칭 형태로 보이스 코일(23)과 이격되게 삽입부(22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양측 가장자리의 각 장착 영역(AR25)에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를 각각 세워 놓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마그네트(241)는 제1 요크(251a)의 돌출부(2502a)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AR25)과 제2 요크(252a)의 돌출부(2502a)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AR25)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마그네트(242)는 제1 요크(251a)의 돌출부(2502a)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AR25)과 제2 요크(252a)의 돌출부(2502a)의 타측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AR2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경우, 제1 마그네트(241)와 제2 마그네트(242)는 각각 음향기기(1)와 달리 제1 요크(251a)와 제2 요크(252a) 모두에 접해 있을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각 마그네트(241, 242)의 폭(W24a)이 돌출부(2502a)의 돌출 두께(T25a)와 삽입부(2211)의 두께(T22a)를 합한 크기보다 클 경우,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두 돌출부(2502a)는 서로 접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두 돌출부(2502a)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아마추어(221)의 삽입부(2211)의 돌기(P2211)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드라이브 로드(222)와의 결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위치에 장착된 아마추어(221), 보이스 코일(23), 마그네트부(24) 및 요크부(25a) 위쪽으로 진동판(21)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아마추어(221)의 삽입부(2211)와 결합되어 있는 드라이브 로드(222)의 일단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로드(222)의 타단은 진동판(21)의 삽입구(H21)에 삽입되어, 아마추어(221)의 동작에 따라 진동판(21)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12)를 하부 케이스(11)와 결합되게 장착하여,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로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간 속에 진동 모듈(20a)이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예에 따른 음향기기(1a)는 제1 요크(251a)와 제2 요크(252a)로 에워싸여진 공간 내에 마그네트부(24)가 위치하여, 마그네트부(24)와 보이스 코일(23)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선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음향기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 20a: 진동 유닛 12, 21: 진동판
221: 아마추어 251: 제1 요크
252: 제2 요크 241: 제1 마그네트
242: 제2 마그네트 24: 마그네트부
23: 보이스 코일 222: 드라이브 로드
2501: 본체 2502: 돌출부
H21: 삽입구 2211: 삽입부
2212b: 제1 및 제2 막음판

Claims (15)

  1.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판;
    상기 아마추어의 제1 면 위에 위치하는 제1 요크;
    상기 아마추어의 제2 면 밑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요크와 대면하고 있는 제2 요크;
    서로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위치하고, 서로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는 제1 마그네트와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부;
    상기 마그네트부와 인접하게 위치한 보이스 코일; 및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네트가 위치하지 않는 제1 요크의 영역과 상기 제2 마그네트가 위치하지 않는 제2 요크의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음향기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요크에 접해있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2 요크에 접해 있는 음향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는 각각,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단부 중에서 상기 드라이브 로드와 인접한 단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음향기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아마추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요크의 본체의 내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2 요크의 본체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음향기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의 일부는 상기 제1 요크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요크 사이의 돌출부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드라이브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음향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로드는 삽입구를 포함하고,
    돌출된 상기 아마추어의 일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음향기기.
  8.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진동판;
    상기 아마추어의 제1 면 위에 위치하고,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요크;
    상기 아마추어의 제2 면 밑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요크와 대면하고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요크;
    서로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위치하고, 서로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는 제1 마그네트와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부;
    상기 마그네트부와 인접하게 위치한 보이스 코일; 및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는 드라이브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는 각각 상기 제1 요크와 제2 요크 모두에 접해 있고,
    상기 아마추어의 일부는 상기 제1 요크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요크 사이의 돌출부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드라이브 로드와 연결되어 있는 음향기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는 각각,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가운데 부분에서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있는 본체를 더 포함하는 음향기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크와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아마추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요크의 돌출부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과 상기 제2 요크의 돌출부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1 요크의 돌출부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과 상기 제2 요크의 돌출부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음향기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음향기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로드는 삽입구를 포함하고,
    돌출된 상기 아마추어의 일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음향기기.
  13. 제1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추어는,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평면 방향과 다른 제2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각각 상기 제1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막음판과 제2 막음판
    을 포함하는 음향기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1 막음판과 상기 제2 막음판의 각 폭보다 작은 음향기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연결부의 가운데 부분에서 상기 제1 평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음향기기.
KR1020200088504A 2020-07-16 2020-07-16 음향기기 KR10233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04A KR102337903B1 (ko) 2020-07-16 2020-07-16 음향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04A KR102337903B1 (ko) 2020-07-16 2020-07-16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903B1 true KR102337903B1 (ko) 2021-12-10

Family

ID=7886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504A KR102337903B1 (ko) 2020-07-16 2020-07-16 음향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9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3792A (ko) * 2008-08-29 2011-06-14 더 펜 스테이트 리서어치 파운데이션 밸런스드 아마추어 장치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4249A (ko) * 2013-07-29 2015-02-06 권영건 스피커 유닛
KR101494847B1 (ko) 2013-11-01 2015-02-23 주식회사 다이나믹모션 밸런스드 아마추어 유닛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5521A1 (ja) * 2015-12-28 2017-07-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音装置の製造方法
KR101828262B1 (ko) 2017-04-05 2018-03-23 주식회사 알머스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3792A (ko) * 2008-08-29 2011-06-14 더 펜 스테이트 리서어치 파운데이션 밸런스드 아마추어 장치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4249A (ko) * 2013-07-29 2015-02-06 권영건 스피커 유닛
KR101494847B1 (ko) 2013-11-01 2015-02-23 주식회사 다이나믹모션 밸런스드 아마추어 유닛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5521A1 (ja) * 2015-12-28 2017-07-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発音装置の製造方法
KR101828262B1 (ko) 2017-04-05 2018-03-23 주식회사 알머스 밸런스드 아마추어 타입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5494B2 (en) Inner magnet type microspeaker
US1021252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ound transducer
KR101471061B1 (ko) 스피커
KR102269152B1 (ko) 스피커
US8160292B2 (en) Loudspeak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1071681A (ja) スピーカ用ダンパおよびスピーカ
CN112929801B (zh) 扬声器和电子设备
CN111819866B (zh) 扬声器
JP2018137919A (ja) 振動モータ
US8345897B2 (en) Electromagnetic conversion unit
KR102337903B1 (ko) 음향기기
JPH09149494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2186836B1 (ko) 평판형 진동 드라이버
KR20200031033A (ko) 보이스 코일판의 센터 가이드를 구현한 평판형 스피커
KR101900860B1 (ko) 스피커
CN212588508U (zh) 扬声器
KR102307552B1 (ko) 음향기기 및 음향기기용 진동판 구조물
KR200432596Y1 (ko) 스피커
JPH10133666A (ja) 電磁音響変換器
KR20080034365A (ko) 마그넷 무빙형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
CN115884047A (zh) 微型扬声器和用于微型扬声器的弹波
KR102061173B1 (ko) 슬림 자기 코어를 구비한 장방형의 평판형 슬림 스피커
KR102079624B1 (ko) 평판형 스피커
WO2021117391A1 (ja) 振動発生装置
JP2002084595A (ja) 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