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899B1 - A traction carrier of an air caster type - Google Patents

A traction carrier of an air caster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899B1
KR101921899B1 KR1020180026675A KR20180026675A KR101921899B1 KR 101921899 B1 KR101921899 B1 KR 101921899B1 KR 1020180026675 A KR1020180026675 A KR 1020180026675A KR 20180026675 A KR20180026675 A KR 20180026675A KR 101921899 B1 KR101921899 B1 KR 101921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neumatic
trolley
solenoid valve
pneumat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맹수영
김정식
Original Assignee
맹수영
주식회사 씨케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수영, 주식회사 씨케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맹수영
Priority to KR102018002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8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fluid lift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0Heavy object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aster-typed tracking and transferring apparatus to instantaneously absorb a shock due to stress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aster-typed tracking and transferring apparatus comprises: a plurality of air casters supporting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art of an object to be transferred, and injecting compressed air to the ground through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holes perforated on the lower part of an air tube to levitate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ront trolley including a trolley body to move forward/backward and change a direction while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ceive driving force from a motor to be rolled by rotation, a battery, and an air compressor, wherein the trolley body includes a pneumatic cylinder supporting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art of an object to be transferred while being elevated by receiving pneumatic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and a pneumatic buffering line unit installed on a pneumatic line connecting between the air compressor and the pneumatic cylinder to allow the pneumatic cylinder to perform buffering action while closely attaching to and supporting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a rear trolley including a pneumatic cylinder to support the bottom part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while receiving pneumatic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and rolled by a plurality of roller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air casters through each air supply line to be rolled while being towed on the rear side of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by the air supply line, and controlling levitation of the air caster by supply or cut-off of compressed air.

Description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A traction carrier of an air caster typ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본 발명은 각종 물류나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 등으로 된 운반물을 에어케스터로 받침지지하여 이송하면서 이송과정에서의 충격이 즉각적으로 완충되어 안전하고 원활한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반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물의 하면부 전후좌우를 받쳐주면서 에어튜브의 하면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을 통해 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운반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상되게 하는 다수개의 에어케스터와, 좌우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가 전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어 구름이동되면서 전후이동 및 방향전환되며 배터리와 에어컴프레서가 설치된 트롤리몸체가 구비되고 트롤리몸체에는 에어컴프레서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에어컴프레서와 공압실린더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 상에는 공압실린더가 운반물을 밀착되게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는 공압완충라인부가 구비된 전방트롤리와, 에어컴프레서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가 설치되고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구름이동되는 후방트롤리와, 다수개의 에어케스터와 각각 에어공급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운반물의 후방에서 에어공급라인에 의해 견인되면서 구름이동되며 압축공기의 공급 또는 차단으로 에어케스터의 부상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a conveyed article made of precision equipment sensitive to various kinds of logistics or impacts by supporting the same with an air caster and transferring the shock immediately during the conveying process, A plurality of air coolers for spraying compressed air to the ground throug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perfor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tube while supporting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cle,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rolley body are provided with a battery and an air compressor. The trolley body is supplied with air pressure from an air compressor, Supporting the front part of the underside of the article A front trolley provided with a pneumatic cylinder and a pneumatic pressure line connecting the pneumatic cylinder and the pneumatic cylinder, a pneumatic cylinder provided with a pneumatic shock absorber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pneumatic cylinder while closely supporting the pneumatic cylinder, A rear trolley provided with a pneumatic cylinder for supporting a rear part of a bottom of the article and rolling by a plurality of rollers and a plurality of air cas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atation operation of the air-cooler by the supply of the compressed air or the blockage of the compressed air.

일반적으로 에어캐스터(air-caster)는 중량물을 고압의 공기를 이용해 부상시키는 장치로서, 통상 지면(바닥)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시켜 장치의 하면과 지면 사이에 에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을 줄여 물체의 운송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에어쿠션(air-cushion), 에어베어링(air-bearing) 또는 에어플로터(airfloater)라 불리기도 한다.Generally, an air-caster is a device for lifting a heavy object by using high-pressure air. Generally,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evice and the ground by blowing air toward the ground (bottom) It is also referred to as air-cushion, air-bearing, or airfloater, which facilitates transportation of objects by reducing the size of the object.

한편,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는 대부분 엄격한 청결조건을 요하는 크린룸(clean room)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크린룸에는 통상의 지게차나 크레인 장비 등이 투입될 수 없어 무게가 대략 수십톤정도로 대형이면서 무거운 하중을 지닌 각종 설비를 크린룸에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운반가능하도록 수톤정도의 소형크기로 각종 설비를 분해 및 해체하고 운반트롤리(trolley)에 이를 적재하여 수동식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였으며,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운반트롤리는 상부에 각종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수동식으로 이송하는 통상의 손수레나 운반차로서, 상부에 각종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구름이동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연결 장착되면서 적재부를 수동식으로 견인하는 핸들부로 구성되어 있어 적재부에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부로 운반트롤리를 수동식으로 견인하여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였으나, 최근에는 상기 운반트롤리를 대신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운반이 가능한 에어케스터를 이용하는 사례가 점차적으로 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precision sensitive equipments such as semiconductor,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solar power, and nuclear power plant are installed in a clean room requiring strict cleaning conditions. In order to carry in or out of the clean room various equipment having a large and heavy load of about tens of tons in weight because the normal clean room can not be loaded with ordinary forklifts or crane equipment, The conventional transportation trolley used for this purpose is a conventional trolley which is manually transported in a state where various articles are loaded on the upper side, A loading s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articles are rolled up in a state that the various articles are loaded on the loading section, The operator manually pulls the carrying trolley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state where the article is loaded on the loading section and transports the carrying trolley manually to a desired position. However, in recent years, in place of the carrying trolley The use of air cans that are easy to use and easily transported with less effort is increasing.

이러한 에어케스터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700689호에서는 운반물의 하면부 전후좌우를 받쳐주면서 에어튜브의 하면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을 통해 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운반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상되게 하는 다수개의 에어케스터와, 운반물의 하면부 전방 가운데부분을 받침실린더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받침판으로 받쳐주면서 전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는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전동식으로 구름이동되어 운반물을 전후이동 및 방향전환되게 하는 전방트롤리와, 운반물의 하면부 후방 가운데부분을 받침실린더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받침판으로 받쳐주면서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구름이동되는 후방트롤리와, 다수개의 에어케스터와 각각 에어공급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전,후방트롤리의 받침실린더와 각각 에어공급호스를 통해 연결된 상태로 운반물의 후방에서 함께 구름이동되면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에어케스터의 부상과 받침실린더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설비용 에어케스터 운반장치가 개시되었다. As a prior art related to such an air caster,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Application No. 10-1700689 discloses a technique of spraying compressed air to the ground throug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perfor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tube while supporting the front, A plurality of air cylinders for rota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s of the conveyor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while supporting a cent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article with a supporting plate elevated and lowered by the supporting cylinder, A rear trolley which is moved in a rolling manner by a plurality of rollers while being supported by a support plate which is lifted and lowered by a support cylinder, , A plurality of air coolers and air supply lin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of the air cylinder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supporting cylinder by supplying or blocking the compressed air while being rolled together from the rear of the article while being connected through the air supply hose to the supporting cylinders of the front and rear trolleys, And an air-caster conveying device for precision equipment is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전방트롤리와 후방트롤리의 받침실린더가 에어공급호스를 통해 컨트롤유닛과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승강작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어 에어공급호스의 상시 연결에 따라 전,후방트롤리의 이동시 에어공급호스에 의해 이동이 크게 제한적일 뿐 아니라 이동과정에서 에어공급호스가 다수개의 에어케스터에 걸리거나 깔려 운반물의 전도 및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경사면이나 단턱 등을 이동시 운반물의 중심이동에 따른 하중이 전방트롤리나 후방트롤리로 집중되는 경우 충격이 제대로 완충되지 못하여 받침실린더가 파손되거나 운반물에 충격이 그대로 전해져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art, the supporting cylinder of the front trolley and the rear trolley is mov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air supply hose, and the elevating operation is controlled by receiving the compressed air.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air supply hose is limited by the air supply hose when moving the air supply hose and the air supply hose is caught or laid on the air supply hose in the movement process, When the load due to the movement is concentrated by the front trolley or the rear trolley, the impact can not be properly buffered so that the support cylinder is damaged or the impact is transferred to the article, thereby damaging the precision equipment sensitive to imp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트롤리와 후방트롤리를 에어공급호스로 컨트롤유닛과 연결하지 않고 전,후방트롤리의 내측에 설치된 배터리와 에어컴프레서를 통해 자체적으로 공압을 발생시켜 트롤리몸체에 설치된 공압실린더가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게 하되, 에어컴프레서와 공압실린더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 상에 공압완충라인부를 설치하여 공압실린더의 받침판이 운반물의 하면부를 밀착되게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여 이동시 에어공급호스에 의한 이동제한 및 걸림 등의 문제점이 없고 불규칙한 바닥면을 이동하거나 경사면 또는 단턱 등을 이동시 운반물의 중심이동에 따른 하중이 전,후방트롤리의 받침판에 집중되는 경우 공압실린더로부터 역류되는 에어가 공압완충라인부에 구비된 릴리프식 레귤레이터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하중집중으로 인한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키고, 또한 공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을 공압완충라인부에 구비된 압력센서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에어컴프레서의 ON/OFF 및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작동에 따라 공압실린더의 받침판이 운반물의 하면부를 항상 밀착지지하여 이탈방지되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olley body having a front trolley and a rear trolley not connected to a control unit by an air supply hose, And the pneumatic pressure buffer line portion is provided on the pneumatic pressure line connecting the air compressor and the pneumatic cylinder so that the pedestal of the pneumatic cylinder is supported by the bottom portion of the pendulum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pneumatic cylinder, And there is no problem such as restriction of movement by the air supply hose when moving, and when the irregular bottom surface is moved or the load due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rticle is concentrated on the support plates of the front and rear trolleys when the inclined surface or step is moved, A relief provided in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And the air pressure supplied to the pneumatic cylinder is sensed in real time by the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and the air compressor is turned on / off And that the support plate of the pneumatic cylinder always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articl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solenoid valve to prevent the article from being separat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운반물의 하면부 전후좌우를 받쳐주면서 에어튜브의 하면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을 통해 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운반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상되게 하는 다수개의 에어케스터와, 좌우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가 전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어 구름이동되면서 전후이동 및 방향전환되며 배터리와 에어컴프레서가 설치된 트롤리몸체가 구비되고 트롤리몸체에는 에어컴프레서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에어컴프레서와 공압실린더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 상에는 공압실린더가 운반물을 밀착되게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는 공압완충라인부가 구비된 전방트롤리와, 에어컴프레서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가 설치되고 복수개의 롤러에 의해 구름이동되는 후방트롤리와, 다수개의 에어케스터와 각각 에어공급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운반물의 후방에서 에어공급라인에 의해 견인되면서 구름이동되며 압축공기의 공급 또는 차단으로 에어케스터의 부상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으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ir tube, compris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ing holes perforated in a lower surface of an air tube,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olley body are provided with a trolley body equipped with a battery and an air compressor, the trolley body being provided with pneumatic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And a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is provided on a pneumatic line connecting between the air compressor and the pneumatic cylinder.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for allowing the pneumatic cylinder to cushion and support the article while tightly supporting the article. A front trolley, an air compressor A rear trolley provided with a pneumatic cylinder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rear part of the bottom part of the article while being supplied with air pressure from each other and rolling up by a plurality of rollers and a plurality of ai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oatation operation of the air-cooler by means of supply or cut-off of the compressed air while being pulled by the air supply line at the rear and being moved in a rolling manne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트롤리와 후방트롤리가 에어공급호스에 의해 컨트롤유닛과 연결되지 않고 전,후방트롤리의 내측에 설치된 배터리와 에어컴프레서를 통해 자체적으로 공압이 발생되어 트롤리몸체에 설치된 공압실린더가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되, 에어컴프레서와 공압실린더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 상에 공압완충라인부가 설치되어 있어 공압실린더의 받침판이 운반물의 하면부를 밀착되게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됨에 따라 이동시 에어공급호스에 의한 이동제한 및 걸림 등의 문제점이 없고 불규칙한 바닥면을 이동하거나 경사면 또는 단턱 등을 이동시 운반물의 중심이동에 따른 하중이 전,후방트롤리의 받침판에 집중되는 경우 공압실린더로부터 역류되는 에어가 공압완충라인부에 구비된 릴리프식 레귤레이터를 통해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하중집중으로 인한 충격을 즉각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고, 또한 공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을 공압완충라인부에 구비된 압력센서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에어컴프레서의 ON/OFF 및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작동에 따라 운반과정에서 공압실린더의 받침판이 운반물의 하면부에 항상 밀착지지되어 안정적인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trolley and the rear trolley are no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the air supply hose, but pneumatic pressure is generated through the battery and the air compressor installed inside the front and rear trolleys, The pneumatic pressure buffer line is provided on the pneumatic line connecting the air compressor and the pneumatic cylinder so that the bottom plate of the pneumatic cylinder closely contacts the bottom of the pneumatic cylinder while buffering while supporting the pneumatic cylinder. There is no problem such as limitation of movement by hose and engagement, and when the irregular bottom surface is moved or the load due to the center movement of the article is concentrated on the support plates of the front and rear trolleys when the inclined surface or the step is moved, The relief type regulator provided in the damping line portion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pneumatic cylinder is sensed in real time by the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and the air compressor is turned on / off and the air compressor is turned on and off. 1,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the pedestal of the pneumatic cylinder is always supported by the bottom portion of the article in the conveying process, so that stable transportation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의 전체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로 운반물을 이송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로 운반물을 이송하는 상태의 정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의 평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에서 전방트롤리의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에서 전방트롤리의 평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에서 후방트롤리의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에서 전,후방트롤리의 공압실린더와 공압완충라인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에서 전,후방트롤리에 구비된 공압완충라인부의 공압라인을 통해 공압실린더로 에어가 공급되어 피스톤이 상승되는 상태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에서 전,후방트롤리에 운반물의 하중집중시 공압실린더가 완충작동되는 상태의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에서 전,후방트롤리의 공압완충라인부에 구비된 바이패스라인의 진공이젝터를 통해 공압실린더 내부의 에어가 제거되면서 피스톤이 하강되는 상태의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i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p in the state of conveying the article to the air-caster pull-
Figure 3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a state where the article is conveyed to the air-caster pull-
Figure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air-caster tow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sometric view of a front trolley in an air-caster tow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front trolley in an air-caster tow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trolley in an air-caster tow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pneumatic cylinder and a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trolleys in the air-caster pull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of a state in which air is supplied to a pneumatic cylinder through a pneumatic line of a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provided in front and rear trolleys in the air-caster pull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neumatic cylinder is buffered when the load of the article is concentrated on the front and rear trolleys in the air-caster pull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of a state in which a piston is lowered while air inside a pneumatic cylinder is removed through a vacuum ejector of a bypass line provided in a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of a front and a rear trolley in an ai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1)는 도 1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물류나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 등으로 된 운반물을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로 받침지지하여 이송하면서 이송과정에서의 충격이 즉각적으로 완충되어 안전하고 원활한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반수단으로, 운반물의 하면부 전후좌우를 받쳐주면서 에어튜브(5)의 하면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8)을 통해 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운반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상되게 하는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와, 좌우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11a)가 전동모터(1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어 구름이동되면서 전후이동 및 방향전환되며 배터리(13a)와 에어컴프레서(14a)가 설치된 트롤리몸체(10a)가 구비되고 트롤리몸체(10a)에는 에어컴프레서(14a)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15a)가 설치되고 에어컴프레서(14a)와 공압실린더(15a)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18a) 상에는 공압실린더(15a)가 운반물을 밀착되게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는 공압완충라인부(19a)가 구비된 전방트롤리(9)와, 에어컴프레서(14b)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15b)가 설치되고 복수개의 롤러(11b)에 의해 구름이동되는 후방트롤리(32)와,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와 각각 에어공급라인(55)을 통해 연결되어 운반물의 후방에서 에어공급라인(55)에 의해 견인되면서 구름이동되며 압축공기의 공급 또는 차단으로 에어케스터(2)의 부상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54)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11, the air-caster pull-on convey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plurality of pneumatic conveyors 2, (8) which are perforat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tube (5) while supporting the front, back, right and left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cle, A plurality of rollers 11a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re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12 to rotate the rollers 11a, The trolley body 10a is provided with a battery 13a and an air compressor 14a. The trolley body 10a is provided with an air compressor 14a, A pneumatic cylinder 15a supporting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rticle is provided while the pneumat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pneumatic cylinder 15a and the pneumatic cylinder 15a is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14a and the pneumatic cylinder 15a, A front trolley 9 provided with a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19a for causing the article to be cushioned and supported while closely supporting the article; and a front trolley 9 for receiving the air from the air compressor 14b, A rear trolley 32 provided with a pneumatic cylinder 15b for supporting and rolling by a plurality of rollers 11b and a plurality of air caster 2 via an air supply line 55, And a control unit 54 which controls the floating operation of the air-cooler 2 by the supply of air or the interruption of the compressed air.

상기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부상시켜 적은 힘으로 운반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운반물의 하면부 전후좌우를 받쳐주면서 에어튜브(5)의 하면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8)을 통해 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운반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상되게 하되, 각 에어케스터(2)는 수평으로 눕혀진 베이스판(3)이 구비되어 있고 베이스판(3)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프레임에 의해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적재판(4)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적재판(4)의 상면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며 베이스판(3)의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원판형으로 된 탄성재질의 에어튜브(5)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고정설치되고 베이스판(3)의 상부에는 에어튜브(5)와 연통되게 에어유입관(6)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유입관(6)은 베이스판(3)과 적재판(4)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컨트롤유닛(54)의 에어공급라인(55)과 연결되면서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고 베이스판(3)의 하면부 모서리부분에는 각각 일정높이로 된 받침부재(7)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에어케스터(2)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에어튜브(5)에 압축공기가 공급되기 전 상태에서는 받침부재(7)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운반물을 받쳐주면서 압축공기의 공급에 따라 팽창되는 에어튜브(5)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plurality of air-cutters 2 are parts that allow the article to be transport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ground by a small force and can be transported with a small force. 5, the compressed air is jetted to the ground throug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8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5 so that the articles are flo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3), and a redistribution plate (4) is fixed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3) with a plurality of frames spaced vertically and vertically, An air tube 5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is fixedly installed in a horizontal position i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 and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3 to communicate with the air tube 5 Inlet pipe ( And the air inlet pipe 6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line 55 of the control unit 54 while being projected outwardly between the base plate 3 and the redirecting plate 4, And a supporting member 7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base plate 3 so that the air tube 5 is prevented from tilting to one side, The support member 7 is hel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by the air tube 5 which expands in accordance with the supply of the compressed air while supporting the artic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또한, 상기 에어튜브(5)는 하면부에 다수개의 에어토출공(8)이 천공되어 있고 일측에는 컨트롤유닛(54)으로부터의 에어공급라인(55)이 연결되어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라인(55)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튜브(5)가 팽창되면서 하면부에 천공된 에어토출공(8)을 통해 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튜브(5)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운반물을 부상(浮上)시킨 상태로 운반물과 지면과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적은 힘으로도 운반물의 용이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The air tube 5 has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8 formed in its lower surface and an air supply line 55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4 at one side thereof. The air tube 5 is inflated by the high-pressur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line 55 and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8 punctured in the lower part, The friction between the article and the ground is minimized in a state where the article is flo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so that the article can be easily transported even with a small force.

또한, 상기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의 하면부 전후좌우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위치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어 운반물의 크기나 부피, 무게중심 등에 따라 운반물의 하부에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알맞게 위치조절되면서 운반도중 운반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무게중심을 잃고 전도(顚倒)되지 않게 운반물을 안정적으로 균형있게 부상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가 운반물의 하면부 좌우양측에 전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전후 다수열로 설치되어 운반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받침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lurality of air-cutters 2 can be independently positioned o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of the article, so that the size of the article, volume, So that the article can be stably and balancedly lifted so as not to be tilted to one side or to lose its center of gravity and to be tumbled during transportation. As shown in FIG. 4, The air canisters (2) are arrang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cle in a spaced relation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he article can be supported and supported more stably.

상기 전방트롤리(9)는 도 1 내지 6 및 8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의 전방 가운데부분 하면부를 공압식으로 받침지지하여 전후이동 및 방향전환되게 견인이송하면서 이송과정에서의 충격을 완충시켜 원활한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으로, 좌우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11a)가 전동모터(1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어 구름이동되면서 전후이동 및 방향전환되며 배터리(13a)와 에어컴프레서(14a)가 설치된 트롤리몸체(10a)가 구비되고 트롤리몸체(10a)에는 에어컴프레서(14a)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15a)가 설치되고 에어컴프레서(14a)와 공압실린더(15a)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18a) 상에는 공압실린더(15a)가 운반물을 밀착되게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는 공압완충라인부(19a)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6 and 8 to 11, the front trolley 9 pneumatically supports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article in a traction manner, A plurality of rollers 11a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are moved and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12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a pneumatic cylinder 15a for supporting the front of the lower part of the article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 while being supplied with air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14a is provided in the trolley body 10a and the air compressor 14a A pneumatic cylinder 15a is provided on the pneumatic line 18a for connecting between the pneumatic cylinder 15a and the pneumatic cylinder 15a, And a damping line portion 19a is provided.

상기 전방트롤리(9)는 금속재질로 수평으로 눕혀진 사각틀형상의 트롤리몸체(10a)가 구비되고 트롤리몸체(10a)의 내측 가운데부분에는 중앙바닥판(20a)이 고정설치되며 중앙바닥판(20a)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감속기어장치로 이루어진 기어박스(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 기어박스(21)의 전방에는 전동모터(12)가 각각 연결설치되어 있고 트롤리몸체(10a)의 내부 좌우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롤러(11a)가 기어박스(21)와 기어물림된 상태로 연결설치되어 있어 좌우측 전동모터(12)의 회전에 따라 기어박스(21)로부터의 증대된 구동력이 롤러(11a)에 전달되어 전동식으로 회동되면서 지면위에서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The front trolley 9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shaped trolley body 10a which is horizontally laid down with a metal material. A central bottom plate 20a is fixedly installed at an inner center portion of the trolley body 10a, And the electric motor 12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left and right gearboxes 21 and the left and right gearboxes 21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olley body 10a. A plurality of rollers 11a are connected to the gear box 21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an increased driving force from the gear box 21 is transmitted to the roller 11a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ft and right electric motors 12 So that it rolls on the ground as it rotates electrically.

또한, 상기 트롤리몸체(10a)는 전방에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3a)가 내장된 전방하우징(22)이 설치되고 트롤리몸체(10a)의 후방에는 압축공기의 발생을 위한 에어컴프레서(14a)가 내장된 후방하우징(23)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전동모터(12)는 각각 전방하우징(22)의 내측에 설치된 배터리(13a)와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전원공급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21)는 입력측 축이 전동모터(12)의 축에 연결된 상태로 내부에는 복수개의 기어가 기어물림된 상태로 내장설치되어 있어 전동모터(12)로부터의 회전속도를 일정비율로 감속시키는 대신 구동력을 증대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는 무선컨트롤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좌우측 전동모터(12)를 함께 회전작동시키면 기어박스(21)를 통해 좌우측 복수개의 롤러(11a)가 전동식으로 회전되어 전방트롤리(9)가 전,후방으로 구름이동되며 상기 좌우측 전동모터(12) 중 어느 한쪽의 전동모터(12)만 작동시키면 전방트롤리(9)가 회전되면서 방향전환되도록 되어 있다.The trolley body 10a is provided with a front housing 22 in which a battery 13a for power supply is installed in front and an air compressor 14a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olley body 10a The left and right electric motors 1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13a disposed inside the front housing 22 so as to be supplied with power, 21 are provided internally with a plurality of gears interlocked in a state where the input side shaft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electric motor 12 so that the rotation speed from the electric motor 12 is decelerated at a certain ratio, When the worker rotates the left and right electric motors 12 together via a radio control device (not shown) provided separately, the left and right electric motors 12 are rotated together, When the front trolley 9 is rotated in an electric manner so that the front trolley 9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only one of the electric motors 12 of the left and right electric motors 12 is operated, .

상기 전방하우징(22)은 상면부가 트롤리몸체(10a)의 상면부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하면부는 트롤리몸체(10a)의 하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내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3a)가 내장설치된 상태로 좌우측 전동모터(12)와 에어컴프레서(14a) 등과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면서 자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하우징(22)의 전방 좌우양측에는 전방 지면을 향해 레이져빔을 조사하여 전방트롤리(9)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레이져포인터(24)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레이져포인터(24)는 전방하우징(22)의 내측 전방 좌우양측에 각각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전방하우징(22)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천공된 투광홀(25)을 통해 전방트롤리(9)의 일정거리 이격된 전방 지면을 향해 레이져빔을 일직선상으로 조사하여 전방트롤리(9)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방트롤리(9)의 받침판(17) 위에 큰 부피를 지닌 운반물이 적재되어 전방트롤리(9)의 위치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좌우측 레이져포인터(24)로부터 전방으로 조사되는 레이져빔을 통해 작업자가 전방트롤리(9)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안전하고 정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22 is install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0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6,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left and right electric motors 12 and the air compressors 14a through electric wires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housing 22 The left and right laser pointers 24 are provid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housing 22 so as to project the laser beam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ront housing 22, The front trolley 9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trolley 9 through a light transmitting hole 25 formed i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housing 22, The carriage is loaded on the support plate 17 of the front trolley 9 with a large volume so that the front trolley 9 and the front trolley 9 are moved in a straight line to irradiate the laser beam toward the ground, The operator easily grasp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ront trolley 9 through the laser beam irradiated forward from the left and right laser pointers 24 so that safe and precise movement is possible.

상기 후방하우징(23)은 상면부가 트롤리몸체(10a)의 상면부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하면부는 트롤리몸체(10a)의 하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내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컴프레서(14a)와 무선수신장치(26)와 제어유닛(27)이 내장설치되어 있어 에어컴프레서(14a)를 통해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고 통상의 CPU장치, 메모리 등이 구비된 제어유닛(27)은 에어컴프레서(14a)와 무선수신장치(26)와 좌우측 전동모터(12)와 레이져포인터(24)와 공압완충라인부(19a) 및 배터리(13a)와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게 설치되면서 무선송신회로가 포함된 별도의 무선컨트롤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주파수 통신방식 등으로 무선신호를 주고받아 무선컨트롤장치를 통한 무선제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무선컨트롤장치를 통해 전방트롤리(9)의 전후진과 방향전환 및 에어컴프레서(14a)와 레이져포인터(24)의 온/오프 등이 무선제어되도록 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housing 23 is install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0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housing 23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6, the air compressor 14a, the radio receiver 26, and the control unit 27 are installed so as to generate compressed air through the air compressor 14a, The control unit 2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14a, the radio receiver 26, the left and right electric motor 12, the laser pointer 24, the pneumatic damping line unit 19a and the battery 13a, (Not shown) including a wireless transmission circuit, and wirelessl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control device by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through a 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ly, the wireless control device And the air compressor 14a and the laser pointer 24 are controlled to be wirelessly controlled via the front trolley 9 and the front trolley 9, respectively.

또한, 상기 트롤리몸체(10a)는 전,후면부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전방보조롤러(28)와 후방보조롤러(29)가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되, 좌우측 전방보조롤러(28)는 트롤리몸체(10a)의 전면부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전방브라켓(30)에 축설되어 자유회전되게 설치되며, 좌우측 후방보조롤러(29)는 트롤리몸체(10a)의 후면부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후방브라켓(31)에 축설되어 자유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어 복수개의 롤러(11a)가 지면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전,후방보조롤러(28)(29)가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경사면 등을 이동시 운반물의 하중이 전,후방으로 집중되어 트롤리몸체(10a)가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전,후방보조롤러(28)(29)가 지면에 맞닿아 구름이동되면서 전방하우징(22)이나 후방하우징(23)이 지면에 맞닿아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방트롤리(9)에 적재된 운반물이 전도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The trolley body 10a is provided with front and rear auxiliary rollers 28 and 29 projecting forward and backwar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rolley body 10a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ground, The left and right rear auxiliary rollers 29 are installed on the front bracket 30 which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orward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erect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rolley body 10a, And a plurality of rollers 11a ar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0a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freely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ar bracket 31 protruding rearward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erect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0a,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rollers 28 and 29 are maintain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en the tilted surface or the like is moved, the load of the article is concentr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ont housing 22 or the rear housing 23 from abutting against the ground while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rollers 28 and 29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be rolled and stacked on the front trolley 9 The conveyed article is conveyed safely without being conducted.

또한, 상기 전방트롤리(9)는 트롤리몸체(10a)의 가운데부분에 위치된 중앙바닥판(20a)에 설치되면서 에어컴프레서(14a)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는 공압실린더(15a)가 구비되고 공압실린더(15a)의 피스톤(16) 상부에는 운반물을 받침지지하는 받침판(17)이 설치되어 있되, 에어컴프레서(14a)와 공압실린더(15a)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18a) 상에는 공압실린더(15a)의 받침판(17)이 운반물을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는 공압완충라인부(19a)가 설치되어 있다.The front trolley 9 is provided with a pneumatic cylinder 15a mounted on a central bottom plate 20a position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trolley body 10a and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by receiving air pressure from an air compressor 14a A pedestal 17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16 of the pneumatic cylinder 15a to support the article and a pneumatic cylinder 18a is provided on the pneumatic line 18a connecting the pneumatic compressor 14a and the pneumatic cylinder 15a. 15a is provided with a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19a for buffering and supporting the article while supporting the article.

한편, 상기 전방트롤리(9)의 공압완충라인부(19a)에 관한 세부적인 작동과정은 후방트롤리(32)의 공압완충라인부(19b)와 동일한 작동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아래 상술되는 후방트롤리(32) 부분에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19a of the front trolley 9 is the same as that of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19b of the rear trolley 32. The operation of the rear trolley 32 ).

상기 후방트롤리(32)는 도 1 내지 4 및 7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의 후방 가운데부분 하면부를 공압식으로 받침지지하면서 이송과정에서의 충격을 완충시켜 원활한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으로, 에어컴프레서(14b)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15b)가 설치되고 복수개의 롤러(11b)에 의해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후방트롤리(32)는 금속재질로 수평으로 눕혀진 사각틀형상의 트롤리몸체(10b)가 구비되고 트롤리몸체(10b)의 일측 내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3b)가 설치되어 있고 트롤리몸체(10b)의 후방에는 압축공기의 발생을 위한 에어컴프레서(14b)가 내장 설치된 후방연결몸체(33)가 구비되며 트롤리몸체(10b)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고정설치된 중앙바닥판(20b)의 상부에는 에어컴프레서(14b)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는 공압실린더(15b)가 설치되며 공압실린더(15b)의 피스톤(16) 상부에는 운반물의 하면부 후방을 받침지지하는 받침판(17)이 설치되고 에어컴프레서(14b)와 공압실린더(15b)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18b) 상에는 공압실린더(15b)의 받침판(17)이 운반물을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는 공압완충라인부(19b)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and 7 to 11, the rear trolley 32 pneumatically supports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article in a conveying direction, A pneumatic cylinder 15b for supporting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rticle while being moved up and down by receiving air pressure from the compressor 14b is installed and is rolled by a plurality of rollers 11b, Shaped trolley body 10b that is horizontally laid down with a metal material and a battery 13b for power supply is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0b and a battery 13b for supplying pow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olley body 10b. And a rear connecting body 33 in which an air compressor 14b for generating air is installed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bottom plate 20b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trolley body 10b. A pneumatic cylinder 15b which is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by receiving air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14b is provided and a pedestal 17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16 of the pneumatic cylinder 15b to support the rear part of the bottom of the article A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19b is provided on the pneumatic line 18b connecting between the air compressor 14b and the pneumatic cylinder 15b so that the platen 17 of the pneumatic cylinder 15b is buffered while supporting the article .

또한, 상기 후방트롤리(32)는 전동식으로 이동되지 않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되, 후방연결몸체(33)의 좌우양측에 각각 보조휠(34)이 지면에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연결몸체(33)의 후방끝부분에는 좌우수평으로 힌지축(35)이 관통개재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35)에는 상하로 긴 막대형상으로 된 방향조절대(36)의 하부끝부분이 힌지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방향조절대(36)의 상부 좌우양측에는 손잡이봉(37)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어 운반물이 전방트롤리(9)에 의해 전동식으로 견인이동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방향조절대(36)의 손잡이봉(37)을 파지하여 전방트롤리(9)에 의해 견인되는 방향에 맞게 후방트롤리(32)의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운반물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ar trolley 32 is manually moved by the operator without being moved electromagnetically. The auxiliary trolley 32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connecting body 33, And a hinge shaft 35 is horizontally inserted horizontally in a rear end portion of the rear connecting body 33. A lower end portion of a direction adjusting rod 36, And a handlebar 37 is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direction adjuster 36 so as to protrude outward so that the article is pulled electrically by the front trolley 9 The worker grips the handle bar 37 of the direction adjuster 36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rear trolley 32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being pulled by the front trolley 9 so that the article can be stably moved It can control.

또한, 상기 방향조절대(3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CPU장치, 메모리 등이 구비된 제어판(38)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제어판(38)은 전원스위치와 공압실린더(15b)의 승강작동 등을 위한 각종 스위치가 에어컴프레서(14b)와 배터리(13b)와 공압완충라인부(19b)와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게 설치되면서 제어판(38)을 통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7, the direction adjusting table 36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38 having a CPU, a memory and the like. The control plate 38 includes a power switch and a pneumatic cylinder 15b. Various switches for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s are provided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14b, the battery 13b, and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19b through the control panel 38.

한편, 상기 전방트롤리(9)와 후방트롤리(32)의 공통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A detailed description of common components of the front trolley 9 and the rear trolley 32 is as follows.

상기 전,후방트롤리(9)(32)는 각각 중앙바닥판(20a)(20b)의 상면부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39)이 구비되고 상기 스러스트베어링(39)은 통상적으로 하중이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링형상의 베어링으로 상면부에 회전판(40)이 적층된 상태로 연결설치되면서 스러스트베어링(39)의 상부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며 회전판(40)의 가운데부분 하부에는 공압실린더(15a)(15b)의 몸체가 연결설치되어 있어 회전판(40)과 함께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은 회전판(40)을 수직상방으로 관통하여 상부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압실린더(15a)(15b)의 하부는 스러스트베어링(39)의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구멍과 중앙바닥판(20a)(20b)을 관통하여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공압실린더(15a)(15b)의 하면부에는 공압라인(18a)(18b)과 연결되는 연결콕(41)이 설치되어 있어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에어가 공압실린더(15a)(15b)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피스톤(16)이 상승작동되거나 내측에 채워진 에어가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면서 피스톤(16)이 하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and 32 are each provided with a thrust bearing 39 fixedly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horizontally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ottom plates 20a and 20b, Shaped bearing with a load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rust bearing 39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40 in a stacked state, The piston 16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so as to be integrally rotatable together with the rotary plate 40 so that the rotary plate 40 is vertically upwardly The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provided with a hole drill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thrust bearing 39 and a hole penetrated through the central bottom plates 20a and 20b (15b)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15b) A connecting cock 41 connected to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is provid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as shown in Figs. So that the piston 16 is moved upward or the air filled in the inside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so that the piston 16 is operated to descend.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은 상부에 피스톤(16)보다 큰 직경을 지닌 적재가이드블럭(42)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회전판(40)의 외곽 상면부에는 가이드관(43)이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어 있고 적재가이드블럭(42)의 외주면 하부는 가이드관(43)의 내주면에 부합되게 맞닿은 상태로 공압실린더(15a)(15b)에 의한 피스톤(16)의 승강작동시 적재가이드블럭(42)이 가이드관(43)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안정되게 상하 가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가이드블럭(42)의 상면부에는 받침판(17)이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받침판(17)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면서 피스톤(16)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하중이 큰 운반물을 적재하여 경사면이나 단턱 등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운반물의 중심이동에 따른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우에도 적재가이드블럭(42)과 가이드관(43)의 가이드결합에 의해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이 기울어지지 않거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받침지지되도록 되어 있다.The piston 16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has a loading guide block 4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iston 16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40,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ading guide block 42 abuts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pe 43 while the piston 16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The loading guide block 42 is vertically and vertically guided in the guide tube 43. The loading plate 17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guide block 42, The load is moved up and down by the piston 16 while the article is loa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7, and accordingly, the load due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the article in the course of moving the inclined surface, Bias The pistons 16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are prevented from tilting or floating and stably supported by the guide coupling of the loading guide block 42 and the guide pipe 43. [

또한, 상기 전,후방트롤리(9)(32)의 공압완충라인부(19a)(19b)는 도 8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컴프레서(14a)(14b)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를 공압실린더(15a)(15b)에 공급하거나 공압실린더(15a)(15b)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여 피스톤(16)이 승강작동되게 하면서 공압실린더(15a)(15b)로부터 역류되는 에어를 레귤레이터(45)를 통해 외부로 배기시켜 완충작동되게 하는 부분으로, 상기 에어컴프레서(14a)(14b)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18a)(18b) 상에 각각 설치되어 공압실린더(15a)(15b)의 받침판(17)이 운반물을 밀착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되, 상기 에어컴프레서(14a)(14b)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1차 제어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4)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4)로부터의 에어를 일정하게 감압하여 공압실린더(15a)(15b)로 공급하면서 공압실린더(15a)(15b)로부터의 에어역류시 배기작동되는 릴리프식 레귤레이터(45)와, 상기 레귤레이터(45)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에어압력을 감지하여 설정압력보다 높아지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정지시키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차단하고 설정압력보다 낮아지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가동시키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개방하는 압력센서(46)로 이루어져 있다. The pneumatic cushioning line portions 19a and 19b of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and 32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ir generated from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as shown in Figs. 15b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or the air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to the outside so that the piston 16 is lifted and lowered and the air flowing back from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supplied to the regulator 45 (18a) and (18b) connecting between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A first solenoid valve 44 for primarily controll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while allowing the support plate 17 of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 valves 15a and 15a 1 solenoid valve 44 is supplied to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while constantl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air from the solenoid valve 44 A relief type regulator 45 which is operated to exhaust the air when the air from the air compressor 15a (15b) is refluxed and an air compressor (15b) which detects air pressure between the regulator 45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shut off while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losed while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losed while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are stopped, consist of.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4)는 에어컴프레서(14a)(14b)와 레귤레이터(45) 사이의 공압라인(18a)(18b) 상에 연결설치되고 전방트롤리(9)의 제어유닛(27) 및 후방트롤리(32)의 제어판(38)과 각각 전자식으로 회로연결되면서 개폐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between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and the regulator 45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7 of the front trolley 9 and the rea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38 of the trolley 32 in an electronic circuit so as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한편,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4)는 유입된 에어가 배출되는 출구측의 포트가 2개로 나뉘어져 각각의 포트가 개폐작동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1포트(47)는 레귤레이터(45)와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연결설치되고 제2포트(48)는 바이패스라인(49)을 통해 진공이젝터(50)와 연결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제1포트(47)의 개방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트(48)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면서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어 피스톤(16)의 상승 및 완충작동이 이루어지고 제2포트(48)의 개방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트(47)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면서 바이패스라인(49)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어 진공이젝터(50)가 작동작동됨에 따라 공압실린더(15) 내부의 에어가 진공이젝터(5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어 피스톤(16)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so that the port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opened and closed. 47 are connected to the regulator 45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and the second port 48 is connected to the vacuum ejector 50 via the bypass line 49, 9, when the second port 48 is kept closed, air is supplied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to perform the rising and cushioning operations of the piston 16 When the second port 48 is opened and the first port 47 is kept closed as shown in FIG. 11, air is supplied through the bypass line 49 and the vacuum ejector 50 is actuated The air inside the pneumatic cylinder 15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acuum ejector 50, So that the lowering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 릴리프식 레귤레이터(45)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4)와 압력센서(46) 사이의 공압라인(18a)(18b) 상에 연결설치되며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의 압력을 감압하여 일정압력으로 유지한 상태로 공압실린더(15)로 공급되게 하되, 레귤레이터(regulator)기능과 함께 릴리프 밸브(relief valve)기능이 부가되어 있어 불규칙한 바닥면을 이동하거나 경사면 또는 단턱 등을 이동시 운반물의 중심이동에 따른 하중이 공압실린더(15a)(15b)의 받침판(17)에 일시적으로 집중되는 경우 공압실린더(15a)(15b)로부터 역류되는 에어가 레귤레이터(45)에 설정된 압력치를 초과하면 역류되는 에어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기시킴으로써 하중 집중으로 인한 공압실린더(15a)(15b)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relief type regulator 45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between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nd the pressure sensor 46 and detects the pressur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 relief valve function is provided in addition to a function of a regulator to move the irregular bottom surface or move the inclined surface or the step, When the load due to the center movement of the article is temporarily concentrated on the support plate 17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and the air that flows backward from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exceeds the pressure value set to the regulator 45 The air flowing backward is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as to buffer the impact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due to the load concentration.

상기 압력센서(46)는 레귤레이터(45)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공압라인(18a)(18b) 상에 연결설치되며 레귤레이터(45)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여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정지시키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차단하여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제1솔레노이드밸브(44)에서 공압실린더(15a)(15b)쪽으로 에어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지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가동시키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개방하여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제1솔레노이드밸브(44)에서 공압실린더(15a)(15b)쪽으로 에어가 공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pressure sensor 46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between the regulator 45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and the pressure sensor 46 is connected between the regulator 45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shut off while the air compressor 14a and 14b are stopped and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losed from the first solenoid valve 44 via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opened while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are operated so that air is not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olenoid valves 15a and 15b, 1 solenoid valve 44 does not supply air to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이에 따라 운반물을 적재하여 불규칙한 바닥면을 이동하거나 경사면 또는 단턱 등을 이동시 운반물의 무게중심 변화로 하중이 공압실린더(15a)(15b)의 받침판(17)에 집중되어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이 일시적으로 강제하강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15a)(15b)로부터 역류되는 에어가 릴리프식 레귤레이터(45)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어 하중집중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며 레귤레이터(45)의 배기작동으로 인해 레귤레이터(45)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압력이 압력센서(46)에 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지면 이를 압력센서(46)에서 감지하여 제어유닛(27) 또는 제어판(38)을 통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가동시키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개방하여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공압실린더(15a)(15b)로 에어가 공급되어 피스톤(16)이 다시 상승작동되도록 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라인(18a)(18b)을 통한 공압실린더(15a)(15b)로의 에어공급으로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이 상승하면서 레귤레이터(45)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압력이 압력센서(46)에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 이를 압력센서(46)에서 감지하여 제어유닛(27) 또는 제어판(38)을 통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정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폐쇄하여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이 운반물을 하면부를 밀착되게 받침지지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15b) of the pneumatic cylinder (15a, 15b) due to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rticle when the article is moved on an irregular bottom surface, The air that flows backward from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lief type regulator 45 as shown in Fig. 10, so that the shock due to load concentration is buffered When the pressure between the regulator 45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becomes lower than the pressure set by the pressure sensor 46 due to the exhaust operation of the regulator 45,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opened while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are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valve 27 or the control panel 38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Air is supplied so that the piston 16 returns to the upper And the piston 16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raised by the air supply to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as shown in Fig. When the pressure between the regulator 45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becomes higher than the pressure set in the pressure sensor 46, the pressure sensor 46 senses this pressure and sends it to the control unit 27 or the control panel 38 via the air The compressors 14a and 14b are stopped and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losed so that the pistons 16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are kept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tightly supported.

상기와 같이 레귤레이터(45)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에어압력을 압력센서(46)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에어컴프레서(14a)(14b)의 ON/OFF 및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개폐작동시킴에 따라 전,후방트롤리(9)(32)를 이용하여 운반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운반물의 중심이동에 따른 상하 출렁거림시 공압실린더(15a)(15b)의 받침판(17)이 운반물의 하면부에 항상 밀착지지되면서 운반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신속하게 완충작동되고 전,후방트롤리(9)(32)가 운반물의 하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인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The air pressure between the regulator 45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sensed in real time by the pressure sensor 46 and the air pressure of the first solenoid valve 14a 15b of the pneumatic cylinder 15a (15b) when the article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the article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article using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32) Is always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article, the impact applied from the article is quickly buffered and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and (32) are not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article.

한편, 상기 압력센서(46)는 통상의 디지털압력계(64)와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있어 압력센서(46)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이 디지털압력계(64)에 수치식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pressure sensor 4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ventional digital pressure gauge 64 so that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46 is numerically displayed on the digital pressure gauge 64, .

또한, 상기 공압완충라인부(19a)(19b)는 2개의 출구측 포트를 지닌 제1솔레노이드밸브(44)가 적용되는 경우 압력센서(46)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공압라인(18a)(18b) 상에 설치되는 분기관(51)과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2포트(48) 사이에 바이패스라인(49)이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라인(49)에는 진공이젝터(50)와 제2솔레노이드밸브(52)가 차례로 연결설치되고 압력센서(46)와 분기관(51) 사이의 공압라인(18a)(18b) 상에는 제3솔레노이드밸브(53)가 설치되어 있어 운반물의 운반시에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1포트(47)와 제3솔레노이드밸브(53)를 개방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2포트(48)와 제2솔레노이드밸브(52)를 폐쇄하여 공압라인(18a)(18b)을 통해서만 에어가 공급되게 함에 따라 공압실린더(15a)(15b)의 상승작동 및 완충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운반종료시에는 공압실린더(15a)(15b) 내부의 에어가 자연배기되지 않고 장시간 잔류하여 피스톤(16)이 하강작동되지 않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1포트(47)와 제3솔레노이드밸브(53)는 폐쇄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2포트(48)와 제2솔레노이드밸브(52)를 개방하여 에어컴프레서(14a)(14b)로부터의 에어가 바이패스라인(49)을 통해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진공이젝터(50)에 흡입력이 발생되면서 공압실린더(15a)(15b) 내부의 에어가 바이패스라인(49)을 통해 흡입되어 피스톤(16)이 하강작동된다.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s 19a and 19b are connected to the pneumatic line between the pressure sensor 46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when a first solenoid valve 44 having two port- A bypass line 49 is provided between the branch pipe 51 provided on the bypass line 18a and the second port 48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 third solenoid valve 53 is provided on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between the pressure sensor 46 and the branch pipe 51 in order that the vacuum ejector 50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2 are connected in order The first port 47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nd the third solenoid valve 53 are opened and the second port 48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3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re opened, (15a) and (15b) as the air is supplied only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by closing the pneumatic cylinder (52) The air in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not naturally exhausted but remains for a long time and the piston 16 is not lowered to operate the first port 47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nd the third solenoid valve 53 are closed and the second port 48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2 are opened so that the air from the air compressors 14a, The air in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sucked through the bypass line 49 while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vacuum ejector 50 as th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pass line 49, do.

상기 컨트롤유닛(54)은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의 부상(浮上)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와 각각 에어공급라인(55)을 통해 연결되어 운반물의 후방에서 에어공급라인(55)에 의해 견인되면서 구름이동되며 압축공기의 공급 또는 차단으로 에어케스터(2)의 부상작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컨트롤유닛(54)은 하면부에 다수개의 이동휠(56)이 장착된 유닛하우징(57)이 구비되어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닛하우징(57)은 상부에 에어덕트(58)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덕트(58)의 후방에는 에어공급관(59)이 구비되어 있어 외부의 에어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외부공압라인(60)이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고 에어덕트(58)의 전방에는 다수개의 에어이송관(61)이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각 에어이송관(61)은 에어케스터(2)의 에어유입관(6)과 에어공급라인(55)을 통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에어덕트(58)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각 에어이송관(61)으로 분배되면서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54 is a part for controlling the floating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air cans 2 as shown in Figs. 1, 2 and 4,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ans 2 and air supplying lines 55 of the air caster 2 and is driven by the air supply line 55 at the rear of the article to be rolled and controlled to control the float operation of the air caster 2 by supplying or blocking the compressed air, The unit housing 57 is provided with an air duct 58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air duct 58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nit housing 57. The unit housing 57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56 mount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 air supply pipe 59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air duct 58 so that an external pneumatic line 60 from an external air supply device (not shown) is connected to receive compressed air, An air feed pipe (61)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each of the air delivery pipes 61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pipe 6 of the air cooler 2 through an air supply line 55 so that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air duct 58 is supplied to each of the air transfer pipes 61, And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air cans 2.

또한, 상기 각 에어이송관(61)은 통상의 압력계(62) 및 레귤레이터가 포함된 에어조절수단(63)가 연결설치되어 있어 에어덕트(58)로부터 보내지는 압축공기가 일정하게 조절된 압력으로 에어케스터(2)에 공급되면서 에어조절수단(63)의 개폐작동에 따라 에어이송관(61)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 및 차단과 공급량이 조절되어 에어케스터(2)의 부상작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Each of the air feed pipes 61 is connected to an ordinary pressure gauge 62 and an air adjusting means 63 including a regulator so that the compressed air sent from the air duct 58 is supplied to the air The supply and cutoff of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air feed pipe 61 and the supply amount thereof ar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air adjusting means 63 while being supplied to the caster 2 so that the floating operation of the air caster 2 is controlled .

한편, 상기 컨트롤유닛(54)은 40 ~ 60mm정도의 두꺼운 호스재질로 된 다수개의 에어공급라인(55)을 통해 각 에어케스터(2)와 연결되어 있어 전방트롤리(9)에 의한 운반물의 견인이동시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에 의해 운반물과 일정간격 이격된 후방에서 함께 견인되어 각 에어케스터(2)로 압축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54 is connected to each air cooler 2 through a plurality of air supply lines 55 made of a thick hos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40 to 60 mm so that the front trolley 9 Is pulled together at a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article by a plurality of air cans (2) and is moved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compressed air to each air caster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1)를 이용하여 각종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로 된 운반물을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를 통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하고자 하는 운반물의 크기, 부피, 무게중심 등에 따라 운반물의 하부 전후좌우에 각각 에어케스터(2)를 위치시키고 에어케스터(2)의 적재판(4) 상부에 운반물을 적재한 다음 컨트롤유닛(54)의 에어공급관(59)에 외부의 에어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외부공압라인(60)을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하여 각 에어이송관(61)을 통해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에어공급라인(55)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케스터(2)의 에어튜브(5)가 팽창되면서 하면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8)을 통해 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튜브(5)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운반물을 부상(浮上)시키게 된다.By using the air-caster pulling and convey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ck-sensitive and precise equipment such as various semiconductors,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solar battery, 1 and 2, when a user wishes to easily and safely transport the air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cans 2, air, air, The caster 2 is placed and the article is loaded on the redistribution plate 4 of the air caster 2 and then the air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pipe 59 of the control unit 54 from an external air supply device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air compressors 2 through the respective air feed pipes 61 so as to supply the compressed air to the respective air supply lines 55 ) Through The compressed air is blown to the ground throug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8 formed in the lower portion while the air tube 5 of the air compressor 2 is expanded by the high pressure compressed air, So that the article is floated.

다음으로,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에 의해 부상된 운반물의 하부 전,후방 가운데부분에 각각 전,후방트롤리(9)(3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무선컨트롤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제어판(38)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후방트롤리(9)(32)의 공압완충라인부(19a)(19b)를 통해 공압실린더(15a)(15b)를 승강작동시키되, 전,후방트롤리(9)(32)의 에어컴프레서(14a)(14b)를 작동시켜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제1솔레노이드밸브(44)와 레귤레이터(45)와 압력센서(46)를 거쳐 공압실린더(15a)(15b)로 에어가 공급되면서 피스톤(16)이 상승작동되어 운반물의 하면부에 받침판(17)이 밀착되게 맞닿아 하부에서 받침지지하게 된다.Next, a separate radio control device (not shown)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and 32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article floated by the air caster 2,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are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s 19a and 19b of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and 32 b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panel 38,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of the first solenoid valve 9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32 are operated and the air is supplied to the pneumatic cylinder 18a via the first solenoid valve 44, the regulator 45 and the pressure sensor 46 via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15a and 15b, the piston 16 is raised and the bottom plate of the article is abutted against the bottom plate 17 so that the bottom plate supports the bottom plate.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와 전,후방트롤리(9)(32)에 운반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별도의 무선컨트롤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작업자가 전방트롤리(9)의 좌우측 전동모터(12)를 함께 정역회전시키면 복수개의 롤러(11a)가 전동식으로 회전작동되면서 전방트롤리(9)가 전후로 구름이동됨에 따라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에 의해 부상된 운반물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전후로 이동되고 좌우측 전동모터(12) 중 어느 한쪽의 전동모터(12)만 작동시키면 받침판(17)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판(40)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트롤리(9)(32)가 원활하게 방향전환되면서 운반물의 이동방향을 조절하여 간편하고 안전한 운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때,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와 에어공급라인(55)으로 연결된 컨트롤유닛(54)이 함께 견인이동되면서 작업자가 각각의 에어케스터(2)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컨트롤유닛(54)의 각 에어이송관(61)에 설치된 에어조절수단(63)를 통해 각각 조절하여 운반도중 운반물의 중심이동에 따라 각 에어케스터(2)의 부상(浮上)되는 정도를 알맞게 조절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a plurality of air coolers 2 and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and 32 are loaded with the article, the operator can move left and right of the front trolley 9 through a separate radio control device (not shown) When the motor 1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motor 12, the plurality of rollers 11a are electrically driven to rotate, and the forward trolley 9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he articles floated by the plurality of air-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and 32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40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7 when only one of the electric motors 12 of the left and right electric motors 12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54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ir caster 2 and the air supply line 55 is moved together with the air caster 2 and the air supply line 55. In this case, As a result, The supply amount of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air caster 2 is adjusted through the air adjusting means 63 provided in each of the air feed pipes 61 of the control unit 54 so that each air caster 2) is adjusted appropriately.

또한, 운반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불규칙한 바닥면을 이동하거나 경사면 또는 단턱 등을 이동시 운반물의 무게중심 변화로 하중이 전방트롤리(9)나 후방트롤리(32)의 받침판(17)에 집중되어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이 일시적으로 강제하강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15a)(15b)로부터 역류되는 에어가 릴리프식 레귤레이터(45)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어 하중집중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키고 레귤레이터(45)의 배기작동으로 인해 레귤레이터(45)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압력이 압력센서(46)에 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지면 이를 압력센서(46)에서 감지하여 제어유닛(27)이나 제어판(38)을 통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가동시키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개방하여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공압실린더(15a)(15b)로 에어가 공급되어 피스톤(16)이 다시 상승작동되도록 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라인(18a)(18b)을 통한 공압실린더(15a)(15b)로의 에어공급으로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이 상승하면서 레귤레이터(45)와 공압실린더(15) 사이의 압력이 압력센서(46)에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 이를 압력센서(46)에서 감지하여 제어유닛(27)이나 제어판(38)을 통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정지시키고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폐쇄하여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이 운반물을 하면부를 밀착되게 받침지지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경사면이나 단턱 등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운반물의 중심이동에 따른 충격이 공압완충라인부(19a)(19b)에 의해 즉각적으로 신속하게 완충되면서 정밀설비 등으로 된 운반물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전도 등이 방지되어 안전한 운반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a load is moved on an irregular bottom surface or when a slope or a step is shifted,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support plate 17 of the front trolley 9 or the rear trolley 32 due to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rticle, 15a and 15b is temporarily forcedly lowered, the air flowing backward from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lief type regulator 45 as shown in FIG. 10, And when the pressure between the regulator 45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becomes lower than the pressure set by the pressure sensor 46 due to the exhaust operation of the regulator 45, Senses and opens the first solenoid valve 44 while operating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via the control unit 27 or the control panel 38 to open the pneumatic cylinder 15a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Air is supplied to the piston 15b And the piston 16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pushed by the air supply to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as shown in Fig. When the pressure between the regulator 45 and the pneumatic cylinder 15 becomes higher than the pressure set on the pressure sensor 46, the pressure sensor 46 senses this pressure and sends the air through the control unit 27 or the control panel 38 The compressors 14a and 14b are stopped and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losed so that the piston 16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keeps the article to be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The impact due to the center movement of the article is instantaneously and instantaneously buffered by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s 19a and 19b in the process of passing over the step, Safe transport is achieved.

한편, 운반종료시에는 전,후방트롤리(9)(32)의 공압실린더(15a)(15b) 내부의 에어가 자연배기되지 않고 장시간 잔류하여 피스톤(16)이 하강작동되지 않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트롤리(9)와 무선연결된 무선컨트롤장치와 후방트롤리(32)의 제어판(38)을 통해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1포트(47)와 제3솔레노이드밸브(53)는 폐쇄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2포트(48)와 제2솔레노이드밸브(52)를 개방하여 에어컴프레서(14a)(14b)로부터의 에어가 바이패스라인(49)을 통해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진공이젝터(50)에 흡입력이 발생되면서 공압실린더(15a)(15b) 내부의 에어가 바이패스라인(49)을 통해 흡입되어 피스톤(16)이 하강작동되어 전,후방트롤리(9)(32)가 운반물의 하부로부터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에어케스터(2)로의 에어공급을 중단하여 운반물을 지면위에 안전하게 내려놓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transportation, the air inside the pneumatic cylinders 15a, 15b of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32 remains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naturally exhausted and the piston 16 is not lowered, The first port 47 and the third solenoid valve 53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re closed through the control panel 38 of the radio controller and the rear trolley 32 wirelessly connected to the front trolley 9 As the second port 48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2 are opened to allow air from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to be supplied through the bypass line 49, The air in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sucked through the bypass line 49 and the piston 16 is lowered to move the front and rear trolleys 9 and 32 It is releas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article, and in this state, the supply of air to the air-caster 2 is stopped, Safely it is put down.

1.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2. 에어케스터
3. 베이스판 4. 적재판
5. 에어튜브 6. 에어유입관
7. 받침부재 8. 에어토출공
9. 전방트롤리 10a, 10b. 트롤리몸체
11a, 11b. 롤러 12. 전동모터
13a, 13b. 배터리 14a, 14b. 에어컴프레서
15a, 15b. 공압실린더 16. 피스톤
17. 받침판 18a, 18b. 공압라인
19a, 19b. 공압완충라인부 20a, 20b. 중앙바닥판
21. 기어박스 22. 전방하우징
23. 후방하우징 24. 레이져포인터
25. 투광홀 26. 무선수신장치
27. 제어유닛 28. 전방보조롤러
29. 후방보조롤러 30. 전방브라켓
31. 후방브라켓 32. 후방트롤리
33. 후방연결몸체 34. 보조휠
35. 힌지축 36. 방향조절대
37. 손잡이봉 38. 제어판
39. 스러스트베어링 40. 회전판
41. 연결콕 42. 적재가이드블럭
43. 가이드관 44. 제1솔레노이드밸브
45. 레귤레이터 46. 압력센서
47. 제1포트 48. 제2포트
49. 바이패스라인 50. 진공이젝터
51. 분기관 52. 제2솔레노이드밸브
53. 제3솔레노이드밸브 54. 컨트롤유닛
55. 에어공급라인 56. 이동휠
57. 유닛하우징 58. 에어덕트
59. 에어공급관 60. 외부공압라인
61. 에어이송관 62. 압력계
63. 에어조절수단 64. 디지털압력계
1. Air-caster towing device 2. Air-caster
3. Base plate 4. Red Trial
5. Air tube 6. Air inlet tube
7. Support member 8. Air discharge hole
9. Front trolley 10a, 10b. Trolley body
11a, 11b. Roller 12. Electric motor
13a, 13b. Batteries 14a, 14b. Air compressor
15a, 15b. Pneumatic Cylinder 16. Piston
17. Base plate 18a, 18b. Pneumatic line
19a, 19b.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s 20a, 20b. Center floor plate
21. Gear box 22. Front housing
23. Rear housing 24. Laser pointer
25. Fill hole 26. Wireless receiver
27. Control unit 28. Front auxiliary roller
29. Rear Auxiliary Roller 30. Front Bracket
31. Rear bracket 32. Rear trolley
33. Rear connection body 34. Auxiliary wheel
35. Hinge axis 36. Direction adjuster
37. Handle Rod 38. Control Panel
39. Thrust bearing 40. Spindle
41. Connecting cock 42. Loading guide block
43. Guide tube 44. First solenoid valve
45. Regulator 46. Pressure sensor
47. First port 48. Second port
49. Bypass line 50. Vacuum ejector
51. Branch 52. Second solenoid valve
53. Third solenoid valve 54. Control unit
55. Air supply line 56. Moving wheel
57. Unit housing 58. Air duct
59. Air supply line 60. Outside pneumatic line
61. Air conduit 62. Pressure gauge
63. Air regulating means 64. Digital pressure gauge

Claims (11)

운반물의 하면부 전후좌우를 받쳐주면서 에어튜브(5)의 하면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에어토출공(8)을 통해 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운반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상되게 하는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와, 좌우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11a)가 전동모터(1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어 구름이동되면서 전후이동 및 방향전환되며 배터리(13a)와 에어컴프레서(14a)가 설치된 트롤리몸체(10a)가 구비되고 트롤리몸체(10a)에는 에어컴프레서(14a)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15a)가 설치되고 에어컴프레서(14a)와 공압실린더(15a)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18a) 상에는 공압실린더(15a)가 운반물을 밀착되게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는 공압완충라인부(19a)가 구비된 전방트롤리(9)와, 에어컴프레서(14b)로부터 공압을 공급받아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의 하면부 후방을 받침지지하는 공압실린더(15b)가 설치되고 복수개의 롤러(11b)에 의해 구름이동되는 후방트롤리(32)와, 다수개의 에어케스터(2)와 각각 에어공급라인(55)을 통해 연결되어 운반물의 후방에서 에어공급라인(55)에 의해 견인되면서 구름이동되며 압축공기의 공급 또는 차단으로 에어케스터(2)의 부상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유닛(5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8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tube 5 so as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cle, The air compressor 2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11a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driven and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12 so as to be moved back and forth and to be changed in direction and the battery 13a and the air compressor 14a A pneumatic cylinder 15a is installed in the trolley body 10a to receive the air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14a to support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rticle while the air compressor is in operation, A pneumatic cylinder 15a is provided on the pneumatic line 18a connecting between the pneumatic cylinder 15a and the pneumatic cylinder 15a. The pneumatic cylinder 15a is provided with a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19a for cushion- A trolley 9 and a rear trolley 9b which is provided with a pneumatic cylinder 15b which receives the air pressure from the air compressor 14b and supports the rear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article while lifting and lowering, A plurality of air cans 2 are connected to the air caster 2 via an air supply line 55 and are rolled while being pulled by an air supply line 55 at the rear of the article to supply air to the air caster And a control unit (54) for controlling the floating operation of the air-cement pulling carrier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트롤리(9)는 수평으로 눕혀진 사각틀형상으로 된 트롤리몸체(10a)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중앙바닥판(20a)이 고정설치되고 중앙바닥판(20a)의 상부에는 공압실린더(15a)가 설치되며 트롤리몸체(10a)의 전방에는 배터리(13a)가 내장된 전방하우징(22)이 설치되고 트롤리몸체(10a)의 후방에는 에어컴프레서(14a)가 내장된 후방하우징(23)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트롤리몸체(10a)는 전,후면부 좌우양측 끝부분에 각각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전방보조롤러(28)와 후방보조롤러(29)가 전후방으로 돌출되어 자유회전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2. The trolle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trolley (9) has a central bottom plate (20a) fixedly installed at an inner center portion of a trolley body (10a) A pneumatic cylinder 15a is installed and a front housing 22 in which a battery 13a is installed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trolley body 10a and a rear housing 12a in which an air compressor 14a is buil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rolley body 10a The front and rear auxiliary rollers 28 and 29 protrude forward and rearwar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rolley body 10a so as to be freely rotated Wherein the air-cascade pull-up conveying devic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하우징(22)은 상면부가 트롤리몸체(10a)의 상면부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하면부는 트롤리몸체(10a)의 하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상기 전방하우징(22)의 전방 좌우양측에는 전방 지면을 향해 레이져빔을 조사하여 전방트롤리(9)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레이져포인터(24)가 설치되어 있되, 좌우측 레이져포인터(24)는 전방하우징(22)의 내측 전방 좌우양측에 각각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전방하우징(22)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천공된 투광홀(25)을 통해 전방트롤리(9)의 일정거리 이격된 전방 지면을 향해 레이져빔을 일직선상으로 조사하여 전방트롤리(9)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3. The trolley body (10a)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ront housing (22) is dispos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trolley body (10a)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trolley body And a laser pointer 24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ront housing 22 to indicat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ront trolley 9 is install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housing 22. The left and right laser pointers 2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trolley 9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holes 25 formed i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ront housing 22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front housing 22, And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front trolley (9) is indicated by irradiating the laser beam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trolley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하우징(23)은 상면부가 트롤리몸체(10a)의 상면부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하면부는 트롤리몸체(10a)의 하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내측에는 에어컴프레서(14a)와 무선수신장치(26)와 제어유닛(27)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27)은 에어컴프레서(14a)와 무선수신장치(26)와 좌우측 전동모터(12)와 레이져포인터(24)와 공압완충라인부(19a) 및 배터리(13a)와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게 설치되면서 무선송신회로가 포함된 무선컨트롤장치로 무선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3. The trolley body (10a)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ar housing (23) is install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trolley body (10a),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rolley body An air compressor 14a, a radio receiver 26 and a control unit 27 are installed on the inside and the control unit 27 is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14a, the radio receiver 26 and the left and right electric motors 12, the laser pointer 24, the pneumatic shock absorber line 19a and the battery 13a, and is wirelessly controlled by a radio control device including a radio transmission circui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트롤리(32)는 수평으로 눕혀진 사각틀형상의 트롤리몸체(10b)가 구비되고 트롤리몸체(10b)의 일측 내부에는 배터리(13b)가 설치되고 트롤리몸체(10b)의 후방에는 에어컴프레서(14b)가 내장설치된 후방연결몸체(33)가 구비되며 트롤리몸체(10b)의 내측 가운데부분에 고정설치된 중앙바닥판(20b)의 상부에는 공압실린더(15b)가 설치되며 에어컴프레서(14b)와 공압실린더(15b)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18b) 상에는 공압실린더(15b)가 운반물을 밀착되게 받침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게 하는 공압완충라인부(19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The rear trolley (3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trolley (32) comprises a horizontally laid down rectangular trolley body (10b), a battery (13b) is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trolley body (10b) A rear connecting body 33 having an air compressor 14b built therei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olley body 10b and a pneumatic cylinder 15b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a central bottom plate 20b fixed to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trolley body 10b, (19b) is provided on the pneumatic line (18b) for connecting the pneumatic cylinder (15b) and the pneumatic cylinder (15b) so that the pneumatic cylinder (15b) Caster tow carri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트롤리(32)는 후방연결몸체(33)의 좌우양측에 각각 보조휠(34)이 지면에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되며 후방연결몸체(33)의 후방끝부분에는 좌우수평으로 힌지축(35)이 관통개재되고 힌지축(35)에는 방향조절대(36)의 하부끝부분이 힌지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방향조절대(36)의 상부 좌우양측에는 손잡이봉(37)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조절대(36)에는 제어판(38)이 설치되어 있되 제어판(38)은 에어컴프레서(14b)와 배터리(13b)와 공압완충라인부(19b)와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게 설치되면서 제어판(38)을 통한 조작이 가능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The rear trolley (32)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ear trolley (32) is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connection body (33) so that the auxiliary wheel (34) A hinge shaft 35 penetrates through the hinge shaft 35 horizontally and the hinge shaft 3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irection adjuster 36 by hinging. And a control board 38 is installed on the direction adjuster 36. The control panel 38 is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14b, the battery 13b,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 19b, And an operation of the air-caster pulling-and-moving device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control panel (38)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트롤리(9)와 후방트롤리(32)는 각각 중앙바닥판(20a)(20b)의 상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39)이 구비되고 스러스트베어링(39)은 상면부에 회전판(40)이 적층되게 설치되며 회전판(40)의 가운데부분 하부에는 공압실린더(15a)(15b)의 몸체가 연결설치되고 공압실린더(15a)(15b)의 피스톤(16)은 회전판(40)을 수직상방으로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공압실린더(15a)(15b)의 하부는 스러스트베어링(39)의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구멍과 중앙바닥판(20a)(20b)을 관통하여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공압실린더(15a)(15b)의 하면부에는 공압라인(18a)(18b)과 연결되는 연결콕(4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Wherein the front trolley (9) and the rear trolley (32) are each provided with a thrust bearing (39)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ottom plates (20a) and (20b) A body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rotary plate 40 and a piston 16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plate 40 The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is provided with a hole drill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thrust bearing 39 and a hole formed in the central bottom plates 20a and 20b, And a connecting cock 41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and connected to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15a)(15b)는 피스톤(16)의 상부에 피스톤(16)보다 큰 직경을 지닌 적재가이드블럭(42)이 고정설치되며 회전판(40)의 외곽 상면부에는 가이드관(43)이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고 적재가이드블럭(42)의 외주면 하부는 가이드관(43)의 내주면에 부합되게 맞닿은 상태로 공압실린더(15a)(15b)에 의한 피스톤(16)의 승강작동시 적재가이드블럭(42)이 가이드관(43)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상하 가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적재가이드블럭(42)의 상면부에는 받침판(17)이 고정설치되어 받침판(17) 위에 운반물이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The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neumatic cylinder (15a) (15b) is provided with a loading guide block (42)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piston (16) The guide tube 43 is fixed vertically upwar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ading guide block 42 abuts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43. The piston 16 is pivoted by the pneumatic cylinders 15a, The loading guide block 42 is vertically mov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tube 43. The loading plate 17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guide block 42, Wherein the article is loaded on the top of the pneumatic convey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트롤리(9)와 후방트롤리(32)는 에어컴프레서(14a)(14b)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를 연결하는 공압라인(18a)(18b)상에 설치된 공압완충라인부(19a)(19b)에 의해 공압실린더(15a)(15b)의 받침판(17)이 운반물을 밀착지지하면서 완충작동되되, 상기 공압완충라인부(19a)(19b)는 에어컴프레서(14a)(14b)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1차제어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44)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4)로부터의 에어를 일정하게 감압하여 공압실린더(15a)(15b)로 공급하면서 공압실린더(15a)(15b)로부터의 에어역류시 배기작동되는 릴리프식 레귤레이터(45)와, 레귤레이터(45)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에어압력을 감지하여 설정압력보다 높아지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정지시키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차단하고 설정압력보다 낮아지면 에어컴프레서(14a)(14b)를 가동시키면서 제1솔레노이드밸브(44)를 개방하는 압력센서(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trolley (9) and the rear trolley (32) are arranged on pneumatic lines (18a, 18b) connecting between air compressors (14a, 14b) and pneumatic cylinders (15a, 15b)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s 19a and 19b are cushioned by the pneumatic damping line portions 19a and 19b while the pallet 17 of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closely supports the article, A first solenoid valve 44 for primarily controll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solenoid valves 14a and 14b and a second solenoid valve 44 for supplying air from the first solenoid valve 44 to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A relief type regulator 45 that is operated to exhaust the air when the air flows back from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and an air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the air pressure between the regulator 45 and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When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losed while the air compressors 14a and 14b are stopped and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the air compressor And a pressure sensor (46) for opening the first solenoid valve (44) while operating the first solenoid valve (14a) (14b).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4)는 출구측의 포트가 2개로 나뉘어져 각각의 포트가 개폐작동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1포트(47)는 레귤레이터(45)와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연결설치되고 제2포트(48)는 바이패스라인(49)을 통해 진공이젝터(50)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10. The solenoid valv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rts on the outlet side are divided into two and the respective ports are opened and closed. The first solenoid valve (44) Is connected to the regulator (45) via pneumatic lines (18a) and (18b) and the second port (48) is connected to the vacuum ejector (50) via a bypass line (49)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라인(49)은 압력센서(46)와 공압실린더(15a)(15b) 사이의 공압라인(18a)(18b) 상에 설치되는 분기관(44)과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2포트(48) 사이에 연결설치되며, 바이패스라인(49)에는 진공이젝터(50)와 제2솔레노이드밸브(52)가 설치되고 압력센서(46)와 분기관(51) 사이의 공압라인(18a)(18b) 상에는 제3솔레노이드밸브(53)가 설치되어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1포트(47)와 제3솔레노이드밸브(53)가 개방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2포트(48)와 제2솔레노이드밸브(52)가 폐쇄되면 공압라인(18a)(18b)을 통해 공압실린더(15a)(15b)로 에어가 공급되며,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1포트(47)와 제3솔레노이드밸브(53)가 폐쇄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44)의 제2포트(48)와 제2솔레노이드밸브(52)가 개방되면 바이패스라인(49)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면서 진공이젝터(50)에 흡입력이 발생되어 공압실린더(15a)(15b) 내부의 에어가 흡입되어 피스톤(16)이 하강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케스터 견인운반장치.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bypass line (49) comprises a branch pipe (44) installed on the pneumatic lines (18a) (18b) between the pressure sensor (46) and the pneumatic cylinders And the bypass line 49 is provided with a vacuum ejector 50 and a second solenoid valve 52 and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46 and the branch pipe A third solenoid valve 53 is provided on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between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nd the first solenoid valve 44 to open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nd the third solenoid valve 53, When the second port 48 of the solenoid valve 44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2 are closed, air is supplied to the pneumatic cylinders 15a and 15b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8a and 18b, When the first port 47 and the third solenoid valve 53 of the valve 44 are closed and the second port 48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2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4 are opened, (49) to supply air Standing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vacuum ejector 50. Air Kester traction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nside the pneumatic cylinder (15a), (15b), air is sucked piston 16 is lowered work.
KR1020180026675A 2018-03-07 2018-03-07 A traction carrier of an air caster type KR101921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675A KR101921899B1 (en) 2018-03-07 2018-03-07 A traction carrier of an air caster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675A KR101921899B1 (en) 2018-03-07 2018-03-07 A traction carrier of an air caster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899B1 true KR101921899B1 (en) 2018-11-26

Family

ID=6460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675A KR101921899B1 (en) 2018-03-07 2018-03-07 A traction carrier of an air caster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8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282B1 (en) 2020-09-28 2021-10-27 주식회사 케이엠 티엘에스 Transport Air-Caster Control System
CN117550315A (en) * 2024-01-05 2024-02-13 衡水鑫日升智能输送系统有限公司 Tilting conveying equipment with long-distance combined type deviation rectifyin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48B1 (en) 2013-04-04 2013-10-0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Electric-powered safe transport trolley for sub-precise equipment
JP2017007847A (en)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Conveyance carriage
KR101700689B1 (en) 2016-04-25 2017-01-31 주식회사 삼덕로지스 A transport device of air-caster type for sub-precise equipment and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48B1 (en) 2013-04-04 2013-10-0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Electric-powered safe transport trolley for sub-precise equipment
JP2017007847A (en) 2015-06-25 2017-01-12 株式会社岡村製作所 Conveyance carriage
KR101700689B1 (en) 2016-04-25 2017-01-31 주식회사 삼덕로지스 A transport device of air-caster type for sub-precise equipment and distribu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282B1 (en) 2020-09-28 2021-10-27 주식회사 케이엠 티엘에스 Transport Air-Caster Control System
CN117550315A (en) * 2024-01-05 2024-02-13 衡水鑫日升智能输送系统有限公司 Tilting conveying equipment with long-distance combined type deviation rectifying structure
CN117550315B (en) * 2024-01-05 2024-03-19 衡水鑫日升智能输送系统有限公司 Tilting conveying equipment with long-distance combined type deviation rectify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0893B (en) Throwing device, loading machine head and bagged object loading method
KR101921899B1 (en) A traction carrier of an air caster type
JP2009298223A (en) Unmanned conveying vehicle
KR101392992B1 (en) Automated guided vehicle
CN112298894B (en) Carriage for conveyance and automatic conveyance system
KR101926345B1 (en) A pneumatic shock-absorbing electric-powered trolley
JPH04350023A (en) Conveyor and pallet for conveying
KR101700689B1 (en) A transport device of air-caster type for sub-precise equipment and distribution
KR101870678B1 (en) A air-caster transporting device of elastic supporting type for precision equipments
JPH04210346A (en) Assembling system
CN112850202A (en) Unloading device in container
CN208781693U (en) A kind of transformer airing device and production line
KR101441482B1 (en) Electrically Driven Carrier Transfer Apparatus
KR101385588B1 (en) Mask unmanned transfer system
JPWO2005049461A1 (en) Conveying device for transported material, method for carrying out transported material from transport container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loading transported material into transport container
CN114506778A (en) Medium-heavy equipment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equipment with gravity center self-adaption function
CN110435918B (en) Luggage transfer cart for airplane
JPH0967003A (en) Carrying vehicle having elevating/lowering cargo carrying device
JP7032599B1 (en) Transport trolley and automatic transport system
JPH0733223A (en) Carrier for material within construction site
CN212502405U (en) Material conveying device
KR102660372B1 (en) Automatic cargo transportation apparatus
CN116331759B (en)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thod for rattan iron furniture
KR102660373B1 (en) Automatic cargo transportation apparatus
CN216944931U (en) Movable carr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