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744B1 -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 Google Patents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744B1
KR101921744B1 KR1020170108978A KR20170108978A KR101921744B1 KR 101921744 B1 KR101921744 B1 KR 101921744B1 KR 1020170108978 A KR1020170108978 A KR 1020170108978A KR 20170108978 A KR20170108978 A KR 20170108978A KR 101921744 B1 KR101921744 B1 KR 101921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string
preamplifi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업
Original Assignee
유재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업 filed Critical 유재업
Priority to KR102017010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은 사용자에 의해서 연주되는 현(stirng)에 의해서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해금 본체부, 해금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이 인가될 경우에 현에 의해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사운드 픽업부 및 해금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사운드 픽업부에서 변환된 사운드를 증폭하여 출력하거나 원격의 장치로 전송하는 프리앰프부를 포함하고, 해금 본체부는, 사운드 픽업부 및 프리앰프부가 턴오프(turn off)된 경우에, 어쿠스틱 모드(acustic mode)로 동작한다.

Description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DUAL MODE ELECTRONICS HAEGEUM USING CARBON MATERIAL}
본 발명은 전자 해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악기(絃樂器)라 함은 현을 발음체로 하여 음을 내는 악기로, 그 연주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손가락이나 손톱, 피크 등으로 현을 퉁겨서 사운드를 내는 발현악기(發絃樂器)와, 활로 현을 마찰시켜서 사운드를 내는 찰현악기(擦絃樂器)와, 채로 현을 쳐서 사운드를 내는 타현악기(打絃樂器)와 같이 크게 3가지로 분류한다.
한국 전통 현악기로는 양금, 가야금, 아쟁, 해금, 거문고 등이 알려져 있고, 외국 현악기로는 샤미센(일본), 얼후(중국), 단 짜인(檀箏)(베트남), 키만체(중동)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통 현악기들은 현대에 들어 음량, 음색, 음역 등을 한층 더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구조 및 형태가 개량된 악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악기들은 넓은 장소나 야외에서 연주 시, 특히 해금은 줄이 명주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틸(steel)을 줄로 사용하는 전자 현악기에 사용되는 음향증폭수단은 그 응용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해금 연주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관객은 해금 본래의 맑고 높은 원음을 미약하게 청취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처럼 해금을 넓은 장소에서 연주를 할 경우에는 그 연주음이 멀리까지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현악기의 연주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인 앰프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전기장치 현악기 개발이 필요했다.
이러한 전기장치 현악기는 발생되는 연주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앰프를 통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공간의 연주 시 청중들이 연주음을 잘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에는 전자 기술의 발달로 현악기에서 최초로 발생된 원음을 음향픽업장치를 통해 픽업한 후 연주음을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로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기술, 앰프 기술, 음향픽업센서의 성능 향상은 확보되었다. 선행문헌 1은 음픽업장비를 갖는 전자 현악기에 관한 기술이다. 선행문헌 1은 현악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고유 연주음을 완벽하게 재현하여 음향출력수단인 앰프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음픽업장치를 구비한 전자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2는 전기식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 2에는 픽업한 사운드를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악기의 연주를 통해 직접 생성된 연주음을 무대 공연의 특성과 청취자의 요구에 맞게 간편하게 모바일 기기를 통해 다양하게 가공, 예를 들면, 음향 조정, 연주음 녹음, 녹음된 연주음 재생, 다른 반주음 또는 다른 연주음과의 합성 등으로 가공하여 무대 음향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무대 공연을 지원하거나, 연주 연습 및 공연 리허설을 지원하거나, 혹은 공연 진행 중에 관객과의 대화/멘트를 지원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전통 해금은 다양하게 전자화를 시도했지만 기술적 한계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악기 자체는 천연 목재를 사용해서 제작하기에 재료의 고갈로 양질의 악기를 제작하기 어려운 여건이고, 생산 단계에서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선행문헌 1 : 등록특허 제10-1003336호(공고일 : 2010년 12월 22일) 선행문헌 2 : 등록특허 제10-1748859호(공고일 : 2017년 6월 20일)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탄소 소재로 울림통을 제조함으로써 연주음에 대한 음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어쿠스틱 모드와 일렉트릭 모드를 택일적으로 전환하여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렉트릭 모드에 대해서 다양한 효과를 반영하여 원격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은, 사용자에 의해서 연주되는 현(string)에 의해서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해금 본체부, 상기 해금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이 인가될 경우에 상기 현에 의해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사운드 픽업부 및 상기 해금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사운드 픽업부에서 변환된 사운드를 증폭하여 출력하거나 원격 장치로 전송하는 프리 앰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금 본체부는, 상기 사운드 픽업부 및 상기 프리앰프부가 턴 오프(turn off)된 경우에 어쿠스틱 모드(acustic mode)로 동작한다.
이 경우에, 상기 해금 본체부는, 양측 종단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 종단면을 커버하는 울림판부, 상기 울림판부의 일 표면에 구비된 브릿지부, 상기 몸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줏대부, 상기 줏대부의 일 영역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줄감개부, 상기 복수의 줄감개부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이 상기 브릿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울림판의 일 영역에 고정되는 복수의 현,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서 상기 줏대부의 일부와 결합하는 주철부 및 상기 주철부의 일단부와 체결되고 상기 복수의 현을 고정시키는 감잡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사운드 픽업부는, 상기 울림판부 중 상기 브릿지부가 설치된 영역의 반대면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사운드 픽업부는, 상기 울림판부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피에조 센서이다.
이 경우에, 상기 프리앰프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증폭모듈, 입출력단자, 제어버튼 및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몸체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체결 수단에 의해서 상기 주철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기판은,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울림판부의 반대쪽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의 직경은 상기 울림판부의 직경보다 작다.
한편, 상기 프리앰프부는, 상기 사운드 픽업부에 의해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버튼은, 상기 프리앰프의 음량 및 음색을 조절하는 버튼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는 탄소 소재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줄감개부는, 일 영역에 구비된 홀 및 상기 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와 기어 방식으로 연결되서 상기 체결부재에 감겨진 현(string)을 죄거나 풀어서 장력을 조절하는 기어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은, 탄소 소재로 울림통을 제조함으로써 연주음에 대한 음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어쿠스틱 모드와 일렉트릭 모드를 택일적으로 전환하여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렉트릭 사운드에 대해서 다양한 효과를 반영하여 원격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해금의 예시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해금의 예시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해금의 몸체부와 줏대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해금을 구성하는 줄감개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줄감개부에 기어방식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와 줏대부의 일부의 단면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의 내부에 사운드 픽업부가 설치된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프부의 정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프부의 배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프부의 측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에 설치된 프리앰프부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소재를 이용한 몸체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면의 축적이나 비율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실시 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모양, 형태, 치수 또는 크기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해금의 본체부는, 몸체부(110), 울림판부(120), 브릿지부(130), 줏대부(140), 줄감개부(150), 복수의 현(160), 주철부(170) 및 감잡이부(180)를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주철부(170) 및 감잡이부(18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이 구성되거나 체결부재(153)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줄감개부(150)에 2개의 현(160)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줄감개부(150)의 헤드부(151)에 기어 방식으로 감기거나 풀리는 체결부재(15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체결부재(153)를 감거나 풀어서 현의 장력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은 한국 전통 악기인 해금을 일렉트릭 방식으로도 사운드를 발생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해금은 어쿠스틱 모드 또는 일렉트릭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해금은 듀얼 모드로 동작가능하다. 이때, 듀얼 모드는 사운드 픽업 기능이 동작하여 전자 방식으로 증폭되는 일렉트릭 사운드와 앰프가 사운드 픽업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어쿠스틱 사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소에는 어쿠스틱 사운드를 생성하는 일반 해금으로 연주하다가 특정 공간이나 장소에서 사운드 픽업 기능을 구동시켜 일렉트릭 사운드를 생성하는 전자 해금으로 연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는 중심부의 직경이 가장 크고, 양측단으로 좁아지는 원통형태이다. 울림판부(120)는 몸체부(110)의 일측 종단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브릿지부(130)는 울림판부(120)의 일 표면 영역에 형성된다. 줏대부(140)는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연장되되, 종단에 이르면 구부러진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줄감개부(150-1, 150-2)는 줏대부(140)의 구부러진 형상 이전에 2개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현(160)을 각각 감아서 고정시킨다. 복수의 현(160)은 일단이 줄감개부(150-1, 150-2)에 각각 감겨서 고정되고, 타단이 브릿부(130)를 경유하여 몸체부(110)의 일면에 위치하는 감잡이부(180)에 고정된다. 도 2에는 감잡이부(180)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몸체부(110)에 설치되는 감잡이부(180)의 구조는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몸체부(110)의 평면 형태는 원통형임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울림판부(120)는 몸체부(110)의 상부면을 완전히 커버한다. 다시 말해서 울림판부(120)는 몸체부(110)의 일측 종단면을 완전히 차단하고, 일 영역에 구비된 브릿지부(130)에 연결되는 현의 진동에 의해서 울림판부(120)도 진동을 진동을 하게 된다. 브릿지부(130)는 울림판부(120)의 중심에서 줏대부(140)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된다. 브릿지부(130)는 복수의 현(160)을 통과시키되, 복수의 현(160)의 진동을 울림판부(120)에 전달하는 기능도 한다. 줏대부(140)는 일부가 몸체부(110)에 삽입되고, 주철부(170)에 의해서 고정된다. 줏대부(140)의 타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줏대부(1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고, 줏대부(140)의 종단부에는 구부러지 형상으로 설계된다. 줄감개부(150-1, 150-2)는 줏대부(140)의 종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2개소에 설치된다. 줄감개부(150-1, 150-2)는 줏대부(140)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의 몸체부와 줏대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몸체부(110)는 중심부가 볼록한 원통형이고, 일측 종단면에는 울림판부(120)와 브릿지부(130)를 구비한다. 몸체부(110)의 타측 종단면에는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부위에 프리앰프부(300)가 삽입 설치된다. 프리앰프부(300)가 몸체부(110)에 삽입 설치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몸체부(110)를 수직 관통하는 줏대부(140)는 수직으로 연장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을 구성하는 줄감개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줄감개부(150)는 체결부위(151)와 손잡이 부위(152)로 구성된다. 체결부위(151)에는 체결부재(153)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홀(hole) 또는 홈부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부위(152)에는 줏대부(140)와 현(16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간격 조정용 홈부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간격 조정용 홈부는 4개이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4개 미만이거나 4개를 초과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줄감개부에 기어방식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줄감개부(150)의 체결부위(151)에 체결부재(153)가 삽입 체결되고, 체결부재(153)의 원통형인 외주면에 현이 감겨지게 된다. 체결부재(153)의 외주면에 감겨진 현은 체결부위(151)에 구비된 홀 중 하나를 통과해서 브릿지부(130)까지 연장된다. 기어 조절 부재(154)는 체결부재(153)에 감겨진 현의 장력 또는 길이를 조절한다. 도 6에서 기어 조절 부재(154)를 기 결정된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부재(153)에 현이 감기면서 팽팽해지고, 장력이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기어 조절 부재(15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부재(153)에 현이 풀리면서 느슨해지고, 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어 조절 부재(154)는 체결부재(153)에 감겨진 현의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줄감개부(150)에 감겨진 현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율할 수 있고, 갑작스럽게 현이 풀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와 줏대부의 일부의 단면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몸체부(110)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양측 종단면은 개방되어 있다. 몸체부(110)의 하부면에는 감잡이부(180)가 덧붙여져 있으므로, 주철부(170)와 결합하여 고정되고, 감잡이부(180)의 일단에는 현(160)이 고정된다.
몸체부(110)의 일측 종단면은 울림판부(120)에 의해서 완전히 커버되고, 몸체부(110)의 타측 종단면은 프리앰프부(300)에 의해서 대부분 커버되지만, 프리앰프부(300)의 기판(310)의 가장자리 영역은 몸체부(110)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를 선택하는 이유는 프리앰프부(300)에 의해서 몸체부(110)의 타단 종단면을 완전히 차단할 경우에 비하여 몸체부(110)의 내부 공기의 진동에 의한 간섭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해금은 프리앰프부(300)를 몸체부(110)에 닿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어쿠스틱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전자 해금의 프리앰프부(300)를 몸체부(110)에 접촉하도록 설계할 경우에는 일렉트릭 사운드만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앰프부(300)를 몸체부(110)로부터 플로팅(floting)함으로써 전자 해금임에도 어쿠스틱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전자 해금과 전통 해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사운드 픽업부(200)는 울림판부(120)에서 브릿지부(130)가 설치된 영역의 반대면에 설치된다. 즉, 울림판부(120)의 일면에는 브릿지부(130)가 설치되고, 타면에는 사운드 픽업부(200)가 설치된다. 사운드 픽업부(200)는 피에조 센서(Piezo Vibration Sensor)로 구현되고, 울림판부(120)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즉, 사운드 픽업부(200)는 피에조 픽업에 의한 진동 센서 구동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외부 소음에 강하며 또한 피드백에 의한 하울링 현상(howling)이 방지됨으로써 양질의 공연을 할 수 있고, 서양악기와 협주를 하더라도 음량, 음색 면에서 뒤쳐지지 않게 된다.
프리앰프부(300)는 기판(310), 기판(310)의 일면에 설치되는 증폭모듈(320) 및 배터리(350), 타면에 설치되는 입출력 단자(330) 및 제어버튼(340)을 포함한다. 프리앰프부(320)는 기판(310)을 기판 고정부재(360)에 의해서 주철부(170)의 심대에 나사 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몸체부(110)와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몸체부(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의 내부에 사운드 픽업부가 설치된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몸체부(110)의 원통형 단면에서 일측 종단면에는 울림판부(120)로 인하여 완전히 차단된다. 사운드 픽업부(200)는 울림판부(120)의 중심에서 위쪽 영역에 위치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프부의 정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프리앰프부(300)는 기판(310), 증폭 모듈(320), 입출력 단자(330), 제어버튼(340-1, 340-2), 배터리(350) 및 기판 고정부재(360-1, 360-2)를 포함한다. 증폭 모듈(320)은 사운드 픽업부(200)에 의해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 모듈(320)은 증폭된 신호를 입출력 단자(330)를 통해서 외부로 전달한다. 증폭 모듈(320)은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서 유무선 방식으로 증폭된 전기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증폭 모듈(320)의 전기 신호 증폭 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으므로 생략한다.
입출력 단자(330)는 XLR 단자, 미니 XLR 단자, DIN 단자, 그 밖의 오디오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단자(330)는 오디오 입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버튼(340)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배터리(350)는 충전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되고, 리튬이온 배터리, 리카드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충전 단자는 스마트폰용 미니 5핀 USB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DC 또는 AC 전력을 충전하는 다양한 종류의 충전기에 의해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한다. 예컨대, 9V 전압을 인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그 밖에 다른 크기의 전압을 인가하여 배터리(350)를 충전할 수 있다.
기판 고정부재(360-1, 360-2)는 기판(310)의 2개소에 설치되고, 기판 고정부재(360-1, 360-2)는 주철부(170)의 심대에 나사 방식으로 고정됨으로써, 기판(310)을 몸체부(110)로부터 플로팅(floating)시키면서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프부의 배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프리앰프부(300)의 배면에는 증폭 모듈(320)이 설치된 부위에 홈부를 구비한다. 입출력 단자(330)는 XLR 단자, 미니 XLR 단자, DIN 단자, 그 밖의 오디오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단자(330)는 오디오 입출력 단자이다. 증폭 모듈(320)의 홈부의 양측에는 제어버튼(340-1, 340-2)을 구비한다. 제어버튼(340-1, 340-2)은 증폭 모듈(320)을 제어하여 음량, 음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버튼(340-1)은 볼륨(volume)을 조절하는 제어버튼이다. 만약 일렉트릭 모드를 시작할 경우에 제1 제어버튼(340-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프리앰프부(300)를 턴온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제어버튼(340-1) 이외에 별도의 전원 버튼에 의해서 프리앰프부(300)를 턴온시킬 수도 있다. 제2 제어버튼(340-2)은 톤(tone)을 조절하는 제어버튼이다. 배터리(35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시켜서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를 개방할 수 있는 개방구를 포함한다. 기판(310)의 중심부분에는 기판(310)을 주철부(170)와 연결시키는 2개소의 기판 고정 부재(360-1, 360-2)를 구비한다. 기판 고정 부재(360-1, 360-2)는 기판(310) 주철부(17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하면서 기판(310)을 몸체부(110)와 접촉하지 않게 플로팅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프부의 측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증폭 모듈(320)은 기판(310)의 일 평면에 수직하게 위치하고, 배터리(350)도 증폭 모듈(32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증폭 모듈(320) 및 배터리(35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보관되고, 입출력단자(330) 및 제어버튼(340)은 일부가 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110)에 보관되는 증폭 모듈(320) 및 배터리(350)는 몸체부(110)의 내부면과 전혀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뿐만 아니라 증폭 모듈(3200 및 배터리(35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판(310)도 몸체부(110)와 전혀 접촉하지 않도록 구현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에 설치된 프리앰프부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몸체부(110)의 단면 형태는 원통형이고, 프리앰프부(300)의 기판(310)의 단면 형태도 원통형이다. 프리앰프부(300)의 기판(310)의 단면의 직경은 몸체부(11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기판(310)과 몸체부(310)의 내면 사이에는 기 설정된 간격(Gap)이 유지된다. 이때 간격의 크기는 3mm 이상 9mm 이하이고, 6mm 전후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간격(Gap)을 3mm보다 작게 설계할 경우에는 노멀 사운드를 생성할 경우에는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또는 간격(Gap)을 9mm보다 크게 할 경우에는 노멀 사운드를 생성할 경우에 간섭을 줄일 수 있지만, 기판(310)의 면적이 작아져서 기구 설계에 적합하지 않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소 소재를 이용한 몸체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탄소 소재를 이용한 몸체부(110)는 탄소 섬유(carbon fiber)로 제조될 수 있다. 탄소 소재는 많은 유기(有機) 고분자 섬유를 약 1000~3000℃로 소성하면 생성되는데, 아크릴(폴리아크리로니트릴, PAN) 섬유, 피치섬유, 액정 피치섬유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일 영역에는 주철부(170)와 감잡이부(18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는 홈(112)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110)는 탄소 섬유로 제조함으로써 울림통에 의한 울림 효과가 목재 재질로 만든 울림통의 울림 효과와 가장 유사하므로, 연주음에 대한 음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해금은 사운드 픽업 기능을 통해서 일렉트릭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운드 픽업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악기 고유의 방식으로 어쿠스틱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듀얼 모드 방식은 사운드 픽업 기능을 갖는 전자 현악기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일렉트릭 방식이 필요없을 경우에 부득이하게 전력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소모를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청구항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수정가능하다.
100 : 해금 본체부 110 : 몸체부
120 : 울림판부 130 : 브릿지부
140 : 줏대부 150 : 줄감개부
160 : 복수의 현 170 : 주철부
180 : 감잡이부 200 : 사운드 픽업부
300 : 프리앰프부 310 : 기판
320 : 증폭모듈 330 : 입출력단자
340 : 제어버튼 350 : 배터리
360 : 기판 고정부재

Claims (10)

  1. 사운드 픽업 기능을 갖는 전자 현악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연주되는 현(stirng)에 의해서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해금 본체부;
    상기 해금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이 인가될 경우에 상기 현에 의해서 발생되는 사운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사운드 픽업부; 및
    상기 해금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사운드 픽업부에서 변환된 사운드를 증폭하여 출력하거나 원격 장치로 전송하는 프리앰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금 본체부는, 양측 종단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 종단면을 커버하는 울림판부, 상기 울림판부의 일 표면에 구비된 브릿지부, 상기 몸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줏대부, 상기 줏대부의 일 영역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줄감개부, 상기 복수의 줄감개부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이 상기 브릿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울림판의 일 영역에 고정되는 복수의 현,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서 상기 줏대부의 일부와 결합하는 주철부 및 상기 주철부의 일단부와 체결되고 상기 복수의 현을 고정시키는 감잡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사운드 픽업부 및 상기 프리앰프부가 턴오프(turn off)된 경우에, 어쿠스틱 모드(acustic mode)로 동작하고,
    상기 사운드 픽업부는, 상기 울림판부 중 상기 브릿지부가 설치된 영역의 반대면에 설치되며, 상기 울림판부의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피에조 센서이며,
    상기 프리앰프부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증폭모듈, 입출력단자, 제어버튼 및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몸체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체결 수단에 의해서 상기 주철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울림판부의 반대쪽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의 직경은 상기 울림판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프부는, 상기 사운드 픽업부에 의해서 변환된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버튼은, 상기 프리앰프의 음량 및 음색을 조절하는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탄소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줄감개부는, 일 영역에 구비된 홀 및 상기 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와 기어 방식으로 연결되서 상기 체결부재에 감겨진 현(string)을 죄거나 풀어서 장력을 조절하는 기어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KR1020170108978A 2017-08-28 2017-08-28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KR101921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78A KR101921744B1 (ko) 2017-08-28 2017-08-28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78A KR101921744B1 (ko) 2017-08-28 2017-08-28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744B1 true KR101921744B1 (ko) 2018-11-23

Family

ID=6456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978A KR101921744B1 (ko) 2017-08-28 2017-08-28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355A (ko) 2021-01-25 2022-08-02 카본플레이(주) 앰프 겸용 전자해금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43Y1 (ko) * 2000-04-19 2000-09-15 김태곤 전기 해금
JP2009139730A (ja) * 2007-12-07 2009-06-25 Yamaha Corp 楽音信号出力装置および弦楽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43Y1 (ko) * 2000-04-19 2000-09-15 김태곤 전기 해금
JP2009139730A (ja) * 2007-12-07 2009-06-25 Yamaha Corp 楽音信号出力装置および弦楽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355A (ko) 2021-01-25 2022-08-02 카본플레이(주) 앰프 겸용 전자해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6342B2 (en) Sound pickup device for percussion instrument
JP3899905B2 (ja) 電気ギター
US20060000347A1 (en) Acoustical device and method
US3612741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mploying mechanical resonators with regenerative effects
US8389835B2 (en) Sound system in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80205669A1 (en) Sound Pickup Device for Acoustic String Instrument
US93055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generating sound from a musical instrument
JP6251458B1 (ja) 音響装置
US10475429B2 (en) Sound acquisition device, particularly for acoustic guitars
US10171901B2 (en) Sound pickup device and sound processing device
KR101921744B1 (ko) 탄소 소재를 이용한 듀얼 모드 전자 해금
WO2012014888A1 (ja) 変換装置
US10187714B2 (en) Sound pickup device and sound processing device
US1053533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JPH11237877A (ja) 電気スネアドラム及び電気スネアドラム用拡声装置
US11322125B2 (en) Vibraphone pickup
US11217215B2 (en) Sound enhancing accessory for a musical instrument
JP3788382B2 (ja) 弦楽器
KR101397418B1 (ko) 포터블 기타 스피커
WO2016187084A1 (en)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JP5834301B2 (ja) 弦楽器
CN219143779U (zh) 一种内置音响的鼓
CN220252823U (zh) 一种带Loop、分离式无线内录功能的吉他加振拾音器
JP2000148148A (ja) 弦楽器
KR200196543Y1 (ko) 전기 해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