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724B1 - 야외 테이블 - Google Patents

야외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724B1
KR101921724B1 KR1020180069875A KR20180069875A KR101921724B1 KR 101921724 B1 KR101921724 B1 KR 101921724B1 KR 1020180069875 A KR1020180069875 A KR 1020180069875A KR 20180069875 A KR20180069875 A KR 20180069875A KR 101921724 B1 KR101921724 B1 KR 101921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utdoor
extract
mosquito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퍼니
Priority to KR102018006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in coated particulate form
    • A01N25/28Microcapsules or nan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carbonat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8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캠핑장, 공원 등 야외에 설치되어 가족단위의 구성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여가활동을 즐기는 야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시 야외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비나 눈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결빙과 해빙을 반복하면서 열화되기 쉽고, 혹서기 고열에 의한 급격한 건조로 인한 비틀림, 갈라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기 등의 해충을 기피시켜 전염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원목으로 만들어 외관 품질을 고급스럽게 디자인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야외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야외 테이블{OUTDOOR TABLE}
본 발명은 주로 캠핑장, 공원 등 야외에 설치되어 가족단위의 구성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여가활동을 즐기는 야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시 야외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비나 눈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결빙과 해빙을 반복하면서 열화되기 쉽고, 혹서기 고열에 의한 급격한 건조로 인한 비틀림, 갈라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기 등의 해충을 기피시켜 전염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원목으로 만들어 외관 품질을 고급스럽게 디자인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야외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가족단위의 여행, 주택 부근 및 정원 등에서의 야외식사를 자주 하게 된다.
이러한 야외에서 식사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에 야외 테이블 또는 벤치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야외 테이블 및 벤치는 식사와 담화 또는 독서 등 답답한 실내가 아닌 야외 여가활동을 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때문에, 야외 테이블과 벤치는 여러사람이 동시에 앉을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있음은 물론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와 양단의 팔걸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야외 테이블은 상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혹한기와 혹서기를 거치는 동안 눈과 비를 반복적으로 맞게 되며, 그 과정에서 결빙과 해빙, 가열과 냉각이 반복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야외 테이블을 구성하는 주된 소재인 목재의 열화를 가져오고, 또한 비틀림, 크랙 등이 유발되어 수명을 단축시키고, 이로 인해 외관상 보기 흉한 상태로 전환되기 쉽다.
그렇다고, 상당한 볼륨을 갖는 야외 테이블을 매년마다 교체할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비용상, 관리상 많은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가족단위 나들이가 급증하고 있는 요즘 추세에 비추어 야외 테이블을 중심으로 야간레저를 즐길 경우 모기 등의 해충으로 인해 많은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모기 기피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해충 접근을 방지하는 약제들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를 꼼꼼하게 체크하여 구비하는 경우가 드물어 야외 테이블과 연계된 모기 등 해충 기피 기능을 갖출 수 있으면 더욱 더 편한 야외 활동이 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아직까지 야외 테이블과 연계된 이런 기능은 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20-2017-0000985호(2017.03.16.) '야외테이블'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주로 캠핑장, 공원 등 야외에 설치되어 가족단위의 구성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여가활동을 즐기는 야외 테이블이 상시 야외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비나 눈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결빙과 해빙을 반복하면서 열화되기 쉽고, 혹서기 고열에 의한 급격한 건조로 인한 비틀림, 갈라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기 등의 해충을 기피시켜 전염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원목으로 만들어 외관 품질을 고급스럽게 디자인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야외 테이블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U' 형상을 갖되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구성된 철 구조물인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높은 쪽 타단에 고정되고 원목으로 된 판상의 테이블(2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낮은 쪽 일단에 고정되고 원목으로 된 의자(30)를 포함하는 야외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외주면에는 방청성과 발수성 및 방습성을 갖도록 하이드로콜로이드 5.5중량%와, VCI(Volatile Corrosion Inhibitor) 파우더 8.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으로 코팅된 지르코니아 분말 4.0중량%와, PEEK 3.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와 실리콘수지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수지로 코팅되고;
상기 테이블(20)과 의자(30)의 표면에는 해충기피층을 도포 형성하되, 상기 해충기피층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70중량%와, VCI(Volatile Corrosion Inhibitor) 파우더 10중량% 및 나머지 마이크로 캡슐화된 모기 기피성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기 기피성분은 페니로열 2.5중량%, 페퍼민트 추출액 6.5중량%, 쑥 추출액 8.5중량%, 국화 추출액 8중량%, 곽향 추출액 4.5중량%, 수근채 추출액 9.5중량%, 유칼립투스 추출액 12.5중량% 및 나머지 젤라틴을 포함하며;
상기 모기기피성분은 코어를 이루고, 피막물질로 이루어진 쉘에 의해 마이크로 캡슐화되게 구성하되,
상기 피막물질은 발포가 억제되면서 내충격성을 높이고 성형 수축성은 억제하며 발수성과 방습성 및 항균성을 확보하도록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1.5중량%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4.0중량%와, 에폭시수지 3.5중량%와, 송진 2.5중량%와, TXIB 4.0중량%와, 트리메틸벤질암모늄브로마이드 1.5중량%와, 아젤라인산과 피로메트리산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5.5중량%와, 트리클로산 3.5중량% 및 나머지 용융흐름지수가 15-20g/10min(100℃ 기준)인 에틸렌-옥텐 러버(EOR)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테이블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시 야외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비나 눈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결빙과 해빙을 반복하면서 열화되기 쉽고, 혹서기 고열에 의한 급격한 건조로 인한 비틀림, 갈라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기 등의 해충을 기피시켜 전염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원목으로 만들어 외관 품질을 고급스럽게 디자인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까지 만족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 테이블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외 테이블은 'U' 형상의 지지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지면에 접지된 상태로 구비되어 야외 테이블을 고정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변형억제력과 내구성을 갖도록 금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프레임(10)이 금속, 바람직하게는 저렴한 철 구조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방청성과 강고한 부착력을 갖도록 방식재로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프레임(10)의 외주면에 코팅되는 방식재는 하이드로콜로이드 5.5중량%와, VCI(Volatile Corrosion Inhibitor) 파우더 8.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으로 코팅된 지르코니아 분말 4.0중량%와, PEEK 3.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와 실리콘수지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겔을 형성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성을 장시간 동안 확정하여 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특히 유연할 뿐만 아니라 방수기능을 강화시켜 젖음성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VCI(Volatile Corrosion Inhibitor) 파우더는 무규소 기화성 내부식성 파우더로서, 중금속이나 아질산염 등의 유해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내침식기능을 갖는 분말이다.
이러한 VCI 파우더는 기화된 VCI 베이퍼(Vapor)들이 성형품 표면에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단분자층을 형성하여 금속표면에서 물과 산소와의 반응을 차단함으로써 침식이나 크랙이 생기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으로 코팅된 지르코니아 분말은 수지조성물의 분산 안정성과 방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이 방수성 유기물이기 때문에 지르코니아 분말의 비표면적을 작게 해서 수분이 흡수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내크랙성, 내구성을 강화시면서 지르코니아의 고경도 특성에 의한 내마모도를 향상시킨다.
아울러, 상기 PEEK(Polyetheretherketone)는 열가소성의 고기능성 플라스틱수지로서 내화학성, 내수성은 물론 고열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이를 유지하면서 윤활성이 뛰어나 바인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우레탄수지는 강한 접착력과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실리콘수지는 발수성과 방수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청제와는 달리 발수성과 방습성을 모두 갖추면서 내구성과 부착력 강화성을 함께 고루 갖춘 본 발명만의 특징적인 구성이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0)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쪽 단부 상단에는 판상의 테이블(20)이 고정되고, 그 반대쪽 단부 상단에는 의자(30)가 고정된다.
이때, 테이블(20)이 고정되는 단부가 의자(30)가 고정되는 단부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테이블(20)과 의자(30)는 원목으로 구성되어 미감과 고급스러움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테이블(20)과 의자(30)는 원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장수명화와 함께 원목 표면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종래 문제로 제시하였던 모기 등의 해충 퇴치 혹은 기피 기능을 함께 갖추도록 함으로써 가족단위 야외 나들이객의 건강에 유익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테이블(20)과 의자(30)의 표면에 해충기피층이 코팅형성된다.
상기 해충기피층은 내구성을 갖추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수지 70중량%와, VCI(Volatile Corrosion Inhibitor) 파우더 10중량% 및 나머지 마이크로 캡슐화된 모기 기피성분으로 이루어지며, 표현상 캡슐이라고 설명하였지만 마이크로 크기의 구형상 물질(코어+쉘)이라고 보면 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 캡슐화된 모기 기피성분을 만들기 위해 코어를 피막이 감싸 구형상의 캡슐로 만드는 방법은 이중다이스를 이용하여 내경다이스에는 코어물질을 투입하고, 외경다이스에는 피막물질을 투입한 후 액적형태로 미세하게 압출함과 동시에 냉각수에 떨어뜨려 강제 냉각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구형화는 액적이 떨어지는 거리(낙하거리)가 길수록 구형에 가깝게 캡슐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캡슐화된 모기 기피성분을 구성하는 코어물질은 페니로열 2.5중량%, 페퍼민트 추출액 6.5중량%, 쑥 추출액 8.5중량%, 국화 추출액 8중량%, 곽향 추출액 4.5중량%, 수근채 추출액 9.5중량%, 유칼립투스 추출액 12.5중량% 및 나머지 젤라틴으로 이루어져 겔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성된다.
물론, 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코어물질은 각 추출액이 온수(약 40-60℃) 상태에서 젤라틴과 혼합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상기 페니로열(pennyroyal)은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박하류에 속하는 허브이며, 주로 모기·벼룩 등 집안의 해충을 막는 데에 사용하고, 독성이 있기 때문에 추출물 형태로 소량 첨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페퍼민트(Peppermint)는 꿀풀과에 속하고, Mentha piperita를 학명으로 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주요 성분인 멘톨은 청량감을 강화시키고 방향성을 가지고 있어 미량씩 용출시 모기나 해충을 쫓는데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페퍼민트 잎을 채취한 후 증숙 후 짜서 얻은 추출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쑥과 국화는 같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전통적으로 국내에서 모기불로 사용되었을 만큼 모기기 싫어하는 향을 발산한다.
이러한 쑥과 국화는 많이 첨가될수록 좋을 수 있으나, 원단이라는 특성상 향이 너무 강하게 되면 거부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모기 퇴치에 적당한 향만을 발현시키도록 상기 범위로 한정하며, 이또한 잎을 채취한 후 증숙 후 짜서 얻은 추출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곽향(Agastache rugosa)은 줄기가 푸르고 잎이 많이 붙어 있으며 향기가 짙고, 잎이 달린 네모단 줄기로로서 때로는 꽃봉오리가 붙어 있으며, 줄기는 어두운 갈색이며 세로로 된 무늬와 마디가 있으며, 벌레 특히 모기를 쫓는데 아주 좋은 세스쿠이테르펜 향을 발산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잎과 줄기를 증숙한 후 짜낸 추출물을 사용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근채(Oenanthe decumbens kpol)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가지고 있어 항균·항암·항바이러스·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을 지니며, 본 발명에서는 모기 퇴치에 필요한 향을 오랫동안 머금일 수 있도록 상술한 추출물들에 포함된 여러 당류와 에테르 결합을 통해 글루코시드의 형태로 존재하려는 성질을 이용하여 모기 퇴치 향이 오래 머금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근채 잎과 뿌리를 채취한 후 증숙한 다음 짜서 얻은 추출액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유칼립투스(Gum Tree)는 도금양목 도금양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또는 관목으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으며, 대표적인 모기 퇴치 식물이다.
이러한 유칼립투스도 잎과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사용한다.
아울러, 상기 젤라틴은 대표적인 겔화 물질로서, 온수 상태에서 배합 후 상온에 방치하면 겔화되는 특성이 있다. 때문에, 액적 상태로 압출할 때 배합성과 압출성 및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한편, 상기 쉘, 즉 피막을 형성하는 피막물질은 발포가 억제되면서 내충격성을 높이고 성형 수축성은 억제하여 안정적인 캡슐화를 유지함은 물론 발수성과 방습성 및 항균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1.5중량%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4.0중량%와, 에폭시수지 3.5중량%와, 송진 2.5중량%와, TXIB 4.0중량%와, 트리메틸벤질암모늄브로마이드 1.5중량%와, 아젤라인산과 피로메트리산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5.5중량%와, 트리클로산 3.5중량% 및 나머지 에틸렌-옥텐 러버(EOR)로 이루어진다.
이때, 에틸렌-옥텐 러버는 원활한 성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용융흐름지수가 15-20g/10min(100℃ 기준)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는 성분들간 바인딩력을 강화시켜 크랙, 파단을 막아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페닐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화 특성에 따른 내습성은 물론 발수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폭시수지는 기계적 성질을 강화시키면서 성형성을 좋게 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송진은 결합성 및 내슬립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TXIB(2,2,4-trimethyl-1,3 -pentanediol diisobutyrate)는 무독성의 수지 연질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첨가되며, 코팅시 도막 부착력을 높여 코팅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트리메틸벤질암모늄브로마이드는 반응을 촉진하여 경화 안정성을 도모하고 도막의 강고한 결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아젤라인산과 피로메트리산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은 열수축성을 억제하고 슬립성을 강화시켜 내스티키성 유지는 물론 코팅층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상기 트리클로산(trichlosane)는 방균제로서, 곰팡이를 비롯한 세균 활성을 억제하여 항균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렇게 구성하여 코어-쉘 구조의 마이크로 캡슐화된 모기 기피성분을 포함하는 해충기피층을 형성하게 되면 캡슐화로 인해 모기 기피성분들이 미량씩 용출되면서 야외 테이블 주변에 퍼지게 되어 모기를 비롯한 해충들의 접근이 기피되어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야외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해충기피층은 방수성, 발수성, 항균성까지 구현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하고 방청기능까지 갖추고 있으므로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어 원목의 사용연한도 늘려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야외 테이블의 모기 기피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10cm × 2.5cm 크기를 갖는 야외 테이블용 원목 판재를 준비한 다음, 그 표면에 상술한 모피기피층을 도포 형성하여 발명재를 만들고, 비교를 위해 해충기피층을 형성하지 않은 단순 동일 크기의 원목 판재 비교재로 준비하였다.
그리고, 발명재와 비교재를 각각 1m × 1m × 1m 크기의 실험용 투명박스 내부에 바닥면으로부터 10cm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하였다.
그런 다음, 실험용 투명박스 내부에 채집된 국내 일반모기 450마리를 방사하였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모기 안착수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이때, 촬상은 30분 단위로 진행하였으며, 총 4시간에 걸쳐 진행하였다.
총 8회를 거쳐 획득된 영상을 분석한 결과, 발명재에 안착된 모기의 평균 개체수는 0.65마리였으나, 비교재에 안착된 모기의 평균 개체수는 18.5마리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해충기피층이 모기 기피 효과를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발명재와 비교재의 방수성 및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양자를 염수에 3일간 침지시킨 후 -10℃까지 냉각했다가 해동한 후 30℃까지 가열하기를 15회 반복한 후 표면 크랙여부와 변색여부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발명재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지만, 비교재는 국부적으로 검어지거나 황변이 발생하거나 하는 등 변색된 부분이 부분적으로 미세하게 발견되었다.
물론, 크랙은 양자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명재가 내구성과 안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0: 지지프레임
20: 테이블
30: 의자

Claims (2)

  1. 'U' 형상을 갖되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구성된 철 구조물인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높은 쪽 타단에 고정되고 원목으로 된 판상의 테이블(2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낮은 쪽 일단에 고정되고 원목으로 된 의자(30)를 포함하는 야외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외주면에는 방청성과 발수성 및 방습성을 갖도록 하이드로콜로이드 5.5중량%와, VCI(Volatile Corrosion Inhibitor) 파우더 8.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으로 코팅된 지르코니아 분말 4.0중량%와, PEEK 3.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와 실리콘수지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수지로 코팅되고;
    상기 테이블(20)과 의자(30)의 표면에는 해충기피층을 도포 형성하되, 상기 해충기피층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70중량%와, VCI(Volatile Corrosion Inhibitor) 파우더 10중량% 및 나머지 마이크로 캡슐화된 모기 기피성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기 기피성분은 페니로열 2.5중량%, 페퍼민트 추출액 6.5중량%, 쑥 추출액 8.5중량%, 국화 추출액 8중량%, 곽향 추출액 4.5중량%, 수근채 추출액 9.5중량%, 유칼립투스 추출액 12.5중량% 및 나머지 젤라틴을 포함하며;
    상기 모기기피성분은 코어를 이루고, 피막물질로 이루어진 쉘에 의해 마이크로 캡슐화되게 구성하되,
    상기 피막물질은 발포가 억제되면서 내충격성을 높이고 성형 수축성은 억제하며 발수성과 방습성 및 항균성을 확보하도록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1.5중량%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4.0중량%와, 에폭시수지 3.5중량%와, 송진 2.5중량%와, TXIB 4.0중량%와, 트리메틸벤질암모늄브로마이드 1.5중량%와, 아젤라인산과 피로메트리산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5.5중량%와, 트리클로산 3.5중량% 및 나머지 용융흐름지수가 15-20g/10min(100℃ 기준)인 에틸렌-옥텐 러버(EOR)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테이블.
  2. 삭제
KR1020180069875A 2018-06-18 2018-06-18 야외 테이블 KR101921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75A KR101921724B1 (ko) 2018-06-18 2018-06-18 야외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75A KR101921724B1 (ko) 2018-06-18 2018-06-18 야외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724B1 true KR101921724B1 (ko) 2018-11-23

Family

ID=6456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875A KR101921724B1 (ko) 2018-06-18 2018-06-18 야외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7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032A (ko) * 2018-11-20 2020-05-28 이명희 거실장
KR102507509B1 (ko) 2022-03-21 2023-03-07 위경일 야외용 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905A (ja) * 2001-08-29 2003-03-05 Toppan Forms Co Ltd 防虫剤を担持した高吸水性ポリマー微粒子を含む防虫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905A (ja) * 2001-08-29 2003-03-05 Toppan Forms Co Ltd 防虫剤を担持した高吸水性ポリマー微粒子を含む防虫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032A (ko) * 2018-11-20 2020-05-28 이명희 거실장
KR102220930B1 (ko) 2018-11-20 2021-03-02 이명희 거실장
KR102507509B1 (ko) 2022-03-21 2023-03-07 위경일 야외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uart-Fox et al. Thermal consequences of colour and near-infrared reflectance
Callicott THE WILDERNESS IDEA REVISITE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lternative
KR101921725B1 (ko) 야외 테이블
KR101921724B1 (ko) 야외 테이블
CN104234368A (zh) 一种负离子抗菌防霉地板
CN104308917B (zh) 一种长效抗菌保健型密度板
Essien et al. Value-added potential of New Zealand mānuka and kānuka products: A review
US20090030069A1 (en) Insect repellent with sun protection factor
KR101936404B1 (ko) 차양부재를 갖는 야외테이블
CN104290157B (zh) 一种黄花梨木材的添香处理工艺
KR101946385B1 (ko) 차양부재를 갖는 평상
KR102057493B1 (ko) 군용 배낭 및 그 제조방법
CN107094817A (zh) 一种草席成型用驱蚊虫浸泡液
CN108078863A (zh) 一种基于植物提取物的杀菌组合物以及婴儿护理组合物
CN101878787B (zh) 一种天然驱蚊香粉及其使用方法
KR20170057693A (ko) 바디워시용 모기퇴치제
KR20190002240A (ko) 녹차꽃과 편백잎 및 편백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한 실내공기 개선용 천연 방향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3182B1 (ko) 향수
KR101029486B1 (ko) 야래향모기 퇴치밴드
KR101031092B1 (ko) 모기 기피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KR101029485B1 (ko) 야래향 모기 퇴치패드
KR20100023236A (ko) 야래 향 향수
KR20180122849A (ko) 방충원단
CN215660782U (zh) 植物纤维颗粒驱虫密度板
KR20100031812A (ko) 야래 향 첨가 토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