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565B1 - Packing case for instant food - Google Patents

Packing case for instant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565B1
KR101921565B1 KR1020170062793A KR20170062793A KR101921565B1 KR 101921565 B1 KR101921565 B1 KR 101921565B1 KR 1020170062793 A KR1020170062793 A KR 1020170062793A KR 20170062793 A KR20170062793 A KR 20170062793A KR 101921565 B1 KR101921565 B1 KR 10192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m
food
inlet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관수
김지일
이성희
최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17006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5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68Means for reclosing the cover after its firs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45Utensils for removing the contents from the package, e.g. spoons, forks,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ase for instant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case for instant food, capabl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The packaging case for instant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sion end in a film of the packaging case and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end of the film is fitted and inserted in the step of the case. Accordingly, an inlet of the case is closed again by using the film which is already separated from the case without an additional pushing member, thereby improving cooking convenience. Also, if food remains in the case, the remaining food can be sealed and stored by the packaging case by itself.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Packing case for instant food}{Packing case for instant food}

본 발명은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for easy-to-cook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container for easy-to-cook food having improved ease of use.

근래 들어 가족의 핵가족화나 혼자 사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편리하면서도 간편하게 조리한 후 먹을 수 있는 레토르트 식품과 같은 간편조리 식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 number of easy-to-cook foods such as retort foods that can be conveniently and easily cooked after the nuclear family of the family or the number of people living alone are increased are being developed.

간편조리 식품은 반조리 또는 완전조리 상태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간단하게 조리하거나 단순히 데우는 과정만으로 요리를 완성할 수 있다.Easy-to-cook food is produced in semi-cooked or fully cooked state, and the user can complete the dish simply by cooking or simply heating.

최근에는 라면, 카레나 짜장 이외에도 스테이크, 국, 찌개, 밥뿐만 아니라 삼계탕 등과 같은 요리가 어려운 음식 또한 간편조리 식품으로 상용화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o steak, soup, stew, and rice as well as hard-to-cook food such as SamgyeTang, commercial foods are also being commercialized.

이러한 간편조리 식품은 폴리프로필렌(PP)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 용기(50)와 용기의 상면에 열접합되는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용기에 음식물이 담겨져 밀봉된다.Such a simple cooked food is sealed with the food in a packaging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50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and a film thermally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이를 통해 간편조리 식품은 포장용기 내에 담겨진 음식물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쉽게 부패하지 않게 되며, 또한 용기 자체에 뜨거운 물을 부어 간단하게 조리하거나,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 채로 전자레인지에 의해 데울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food stored in the container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r easily decayed, and the container can be cooked simply by pouring hot water into the container itself or warmed by the microwave oven with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한편, 이러한 간편조리 식품은 음식이 담겨지는 포장용기가 일회용으로서, 열접합되는 필름을 용기에서 떼어내면 다시 용기에 부착되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uch easy-to-cook food is a disposable container in which the food is contained, and when the film to be thermally bonded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it is not attached again to the container.

이는, 용기에 담겨진 해당 음식을 모두 소비하지 않으면 남은 음식은 별도의 용기에 보관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고, 한번 사용한 용기는 덮개가 없기 때문에 다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is means that it is inconvenient to store the remaining food in a separate container unless all of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consumed, and the container once use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gain because there is no cover.

특히, 간편조리 식품이 용기 내에 뜨거운 물을 부어 익혀 먹는 라면일 경우, 필름의 일부를 용기 입구로부터 떼어낸 후 분말양념 등을 용기 안에 첨가하고 뜨거운 물을 부어 용기 내에 담겨진 면을 익히게 되는데, 이때 면을 익히는 과정에서 임시로 필름을 다시 용기 입구에 덮어 용기 내부의 열손실과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instant noodles in which hot food is poured into the container, a part of the film is removed from the container inlet, powdered sauce is added into the container, hot water is poured in to obtain the surface contained in the container. In the process of kneading the surface, the film is temporarily covered with the container inlet again to prevent heat loss and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container.

그러나, 이미 용기로부터 떼어진 필름은 다시 용기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을 용기에 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누름부재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는 취급에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film already detached from the container is not attached to the container again, a separate pressing member for bringing the film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is required, which causes troublesomeness and inconvenience in handling.

또한, 간편조리 식품은 손쉬운 조리 등에 의해 야외에서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포장용기 내에 담겨진 음식을 먹기 위해서는 숟가락 및 젓가락, 포크 등의 수저류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는 사용자가 별도로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ience food is often used outdoors by easy cooking and the like. In order to eat the food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a spoon, a chopstick, a fork, and the like are required, which is troublesome for the user to take separately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편조리 식품의 포장용기의 덮개(필름)가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a cover (film) of a packaging container of a convenience food to be detached.

이를 통해, 별도의 누름부재 없이도 덮개(필름)으로 용기의 입구를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과정에 편의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lose the inlet of the container with a lid (film) without a separate pressing memb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the cooking process.

또한, 덮개(필름)의 착탈로 인하여, 포장용기 내에 남은 음식을 밀폐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또한 가져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it is intended to bring the convenience of use by sealing and storing the food remaining in the packaging container due to the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cover (film).

또한, 포장용기 내에 수저류 및/또는 포장파우치가 함께 수납되도록 하여,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to improve the portability and ease of use by allowing water storage and / or packaging pouches to be hous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입구와, 상기 제 1 입구와 마주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의 외측으로 서로 마주보며 수직 절곡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단턱과, 상기 제 1 및 제 2 단턱의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제 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턱에는 제 1 끼움홈이 구비되는 용기와; 상기 제 1 입구를 덮으며, 일 모서리에 상기 제 1 끼움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 1 돌출단이 구비된 제 1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 1 측면은 음식물이 담겨지는 제 1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단턱과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제 1 내부수납공간의 상부로 수저류 및 포장파우치가 수납되는 제 2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inlet, a bottom surface facing the first inlet, a first side bent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A pair of vertically bent first and second stages, and a second side bent vertically outwardly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wherein the first end is provided with a first fitting groove; And a first film covering the first inlet and having a first protruding end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at one corner, where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side have a first inside Wherein the step and the second side define a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storage and packaging pouches are accommod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이때, 상기 제 2 측면에는 수직 절곡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름은 가장자리가 상기 플랜지에 열접합되며, 상기 제 1 필름의 상기 제 1 돌출단이 구비된 일 모서리에는 제 1 접힘선이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second side includes a vertically bent flange, the edge of the first film is thermally bonded to the flange, and a first fold line is formed on one edge of the first film,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 2 단턱에는 제 2 끼움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필름의 제 2 모서리에는 상기 제 2 끼움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 2 돌출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필름의 상기 돌출단이 구비된 제 1 모서리와 마주보는 제 2 모서리에 제 2 및 제 3 접힘선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접힘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필름의 상기 제 2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가장자리를 따라 제 4 접힘선이 구비된다. The second end of the first film is provided with a second protruding end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film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film. A double folding line comprising a second and a third folding line is provided at a second edge facing the first edge provided and a fourth folding line is provided along two edges constituting the second edge of the first film .

또한, 상기 포장파우치는 상기 단턱에 지지 및 안착되며, 상기 수저류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턱에 각각 양 끝단이 지지 및 고정되며, 상기 수저류의 양 끝단에는 각각 끼움턱과 돌출턱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packaging pouch is supported and mounted on the step, and the water reservoir is supported and fix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eps,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water reservoir are provided with a fitting jaw and a protruding jaw do.

또한, 상기 수저류 상부로 상기 포장파우치가 지지되며, 상기 끼움턱으로 상기 제 1 단턱의 모서리가 끼움 삽입되며, 상기 돌출턱과 상기 제 2 단턱의 모서리는 조립 체결된다. Further, the packaging pouch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reservoir, and the edge of the first step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tep, and the edge of the protrusion and the second step are assembled together.

그리고, 상기 용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턱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3 및 제 4 단턱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턱에는 제 1 수저류의 양 끝단이 지지 및 고정되며, 상기 제 3 및 제 4 단턱에는 제 2 수저류의 양 끝단이 지지 및 고정되며, 상기 제 1 수저류에는 상기 제 2 수저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입구는 상기 제 2 내부수납공간의 상기 제 2 측면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 1 내부수납공간의 상기 제 1 측면에 의해 제 2 입구가 정의되며, 상기 제 2 입구는 상기 단턱에 접합되는 제 2 필름에 의해 밀봉된다. The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third and fourth stag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tages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both ends of the first water storage are supported And both ends of the second water reservoir are supported and fixed to the third and fourth stages, and the first water reservoir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econd water reservoir, A second inlet defined by the first side of the first internal containment space and the second inlet defined by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internal containment space, Respectively.

이때, 상기 바닥면의 내측으로는 볼록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의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보강부가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된다. At this time, a convex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ortions are sp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reinforcing portion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필름에 돌출단을 구비하고, 용기의 단턱에 필름의 돌출단이 끼움 삽입되는 끼움홈을 구비함으로써, 포장용기의 필름을 용기로부터 떼어내더라도 필름의 돌출단을 용기의 단턱에 구비된 끼움홈에 끼움 삽입함으로서, 필름을 통해 용기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lm is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end in the packaging container for the convenience food, and the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projecting end of the film is inserted is inserted into the step of the container, By inserting the protruding end of the container into the fitting groove provided in the step of the container,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can be sealed through the film.

이를 통해, 별도의 누름부재 없이도 용기로부터 이미 떼어진 필름으로 다시 용기의 입구를 닫을 수 있어, 조리과정에 편의성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close the inlet of the container again with the film already detached from the container without a separate pressing memb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the cooking process.

또한 용기 내에 음식물이 남을 경우, 포장용기 자체로 남은 음식물을 다시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어, 이를 통해서도 사용의 편의성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ood remains in the container, the food left in the packaging container itself can be sealed and stored agai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use.

또한, 용기 내의 단턱에 의해 제 1 내부수납공간과 제 2 내부수납공간을 나뉘어 정의되도록 함으로써, 제 2 내부수납공간에 수저류 및/또는 포장파우치를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수저류 및/또는 포장파우치를 별도로 챙기지 않아도 됨으로써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by defining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to be defined by the step in the container, the water storage and / or the packaging pouch can be position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and the water storage and /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take the pouches, thereby improving the portability and ease of use.

또한, 수저류 및/또는 포장파우치가 음식물과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음식물이 수저류 및/또는 포장파우치에 의해 오염되거나, 수저류가 음식물에 의해 오염되거나 음식물에 의해 포장파우치의 찢김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reservoir and / or the packaging pouch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food, and the food is contaminated by the water storage and / or the packaging pouch, the water storage is contaminated by the foo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내에 수저류와 포장파우치가 수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a ~ 3b는 수저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c ~ 3g는 포장용기 내에 수저류의 위치가 고정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a ~ 4b는 이중 포장된 모습의 간편조리 식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을 제 1 필름을 통해 밀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mple cook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torage and a packaging pouch are accommodated in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reservoir; Fig.
FIGS. 3c to 3g are a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water reservoir is fix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Figures 4a-4b are perspective and 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ouble-packaged simple cooked food.
FIGS. 5A to 5F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sealing of a simple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first film.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mple cook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100)은 포장용기(110, 120a) 내에 음식물(130)과 숟가락 및 젓가락 등과 같은 수저류(140)가 모두 함께 수납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easy-to-cook foo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oth the food 130 and water reservoirs 140 such as spoons and chopsticks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여기서, 포장용기(110, 120a)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포장용기(110, 120a)는 폴리프로필렌(PP)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어 실질적으로 음식물(130)이 담겨지는 용기(110)와, 용기(110)의 상면에 열접합 및 체결되어 용기(110)의 음식물(130)을 담거나 빼기 위한 제 1 입구(111a)를 밀폐하는 제 1 필름(120a)을 포함한다. Here,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include a container 110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or the like and substantially containing the food 130, And a first film 120a which is thermally joined and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10 to seal the first inlet 111a for storing or removing the food 130 of the container 110. [

이때, 용기(110)는 음식물(130)을 담거나 빼기 위한 제 1 입구(111a)를 포함하며, 제 1 입구(111a)와 마주보도록 바닥면(113)이 구비된다. 그리고 바닥면(113)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 1 측면(115)을 포함하는데, 바닥면(113)과 제 1 측면(115)을 통해 제 1 내부수납공간(A)이 정의되며, 제 1 내부수납공간(A) 내에 음식물(130)이 담겨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ntainer 110 includes a first inlet 111a for containing or removing the food 130, and a bottom surface 113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first inlet 111a. And a first side surface 115 that is vertically bent from an edge of the bottom surface 113. A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is defin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113 and the first side surface 115, The food 130 is contained in the inner storage space A.

여기서, 음식물(130)은 밥 또는 면이 냉동건조된 상태의 주블럭(131)과 반찬 등이 냉동건조된 보조블럭(133)으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다. Here, the food 130 may be divided into a main block 131 in which the rice or the surface is freeze-dried and an auxiliary block 133 in which the side dishes are frozen and dried.

용기(110)의 바닥면(113)과 제 1 측면(115)이 이루는 형상은 원통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측면(115)이 바닥면(113)으로부터 제 1 입구(111a)를 향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113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first side surface 115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or a square shape and the first side surface 115 may extend from the bottom surface 113 to the first inlet 111a , Or they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을 일예로 도시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shape is shown as an example.

그리고, 용기(110)의 바닥면(113) 상에는 용기(110)의 바닥면(113)의 형상을 따라 적어도 1개의 볼록부(113a)가 구비되며, 제 1 측면(115)의 내측에는 바닥면(113)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강부(115a)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돌출 구비된다.At least one convex portion 113a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13 of the container 110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3 of the container 110. Inside the first side surface 115, A plurality of reinforcing portions 115a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113. [

보강부(115a)는 바닥면(113)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ortion 115a may extend to the bottom surface 113. [

볼록부(113a)와 보강부(115a)는 용기(110)의 제 1 내부수납공간(A)에 위치하는 음식물(130)이 용기(110)의 제 1 내부수납공간(A)으로부터 손쉽게 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용기(11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용기(110)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convex portion 113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15a allow the food 130 locate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of the container 110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of the container 110 And serves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ontainer 110 itself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110.

이에 따라, 간편조리 식품(100)의 운반 중에 내용물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포장용기(110, 120a)의 파손을 방지하고, 음식물(130)과 같은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contents is deformed,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ar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and the contents such as the food 130 ar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convenience food 100.

그리고, 용기(110)의 제 1 측면(11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한 단턱(117)이 구비되는데, 단턱(117)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에만 한쌍이 구비되거나, 네 모서리에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보도록 두쌍이 구비된다. The step 117 is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outwar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side surface 115 of the container 110. The stepped portion 117 is formed by a pair of two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Only two corners are provided with a pair, or two corners are provided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diagonally.

이때, 어느 하나의 단턱(117) 상에는 제 1 필름(120a)의 돌출단(121)이 끼움 삽입되는 끼움홈(114)이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fitting groove 114 into which the protruding end 121 of the first film 120a is inserted is provided on one of the stepped portions 117.

단턱(117)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 2 측면(119)이 일정 높이 돌출되는데, 이를 통해 제 1 내부수납공간(A)의 상부로는 단턱(117)과 제 2 측면(119)에 의해 제 2 내부수납공간(B)이 정의된다. The second side surface 119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step 117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internal accommodating space A is protruded by the step 117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19, An internal storage space (B) is defined.

제 2 내부수납공간(B)에는 숟가락 및 젓가락 등과 같은 수저류(140)와 소스 또는 반찬 등이 포장된 포장파우치(150)가 위치하게 된다.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a water storage 140 such as a spoon and chopsticks, and a packaging pouch 150 packed with sauces or side dishes are placed.

그리고 제 2 측면(119)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플랜지(112)가 구비된다. And a flange 112 that is vertically bent outwar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19 is provided.

제 1 필름(120a)은 플랜지(112)에 제 1 및 제 2 내부수납공간(A, B)을 밀폐하도록 열접합되는데, 제 1 필름(120a)에는 끼움홈(114)이 구비된 단턱(1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단(121)이 구비된다. The first film 120a is thermally bonded to the flange 112 so as to seal the first and second inner accommodating spaces A and B. The first film 120a has a step 117 with a fitting groove 114 The protruding end 121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nd.

돌출단(121)은 사용자가 손쉽게 잡고서 제 1 필름(120a)을 용기(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며, 분리된 제 1 필름(120a)으로 추후 다시 용기(110)의 제 1 및 제 2 내부수납공간(A, B)을 밀폐하고자 할 경우, 돌출단(121)을 단턱(117)의 끼움홈(114)에 끼움 삽입하여 제 1 필름(120a)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The protruding end 121 is intended to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to easily separate the first film 120a from the container 110 and to separate the first film 120a and the first and second In order to seal the inner storage spaces A and B, the protruding end 121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4 of the step 117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film 120a.

이때, 용기(110)의 제 2 측면(119)이 두꺼운 두께를 가져 제 2 측면(119)의 상면 자체가 플랜지(112)를 이룰 수 있으나, 이의 경우 포장용기(110, 120)의 무게가 증가하거나, 재료비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야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side 119 of the container 110 has a thick thicknes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119 itself can form the flange 112, in which case the weight of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 increases Or the material cost is increased.

이러한 포장용기(110, 120) 내에 순차적으로 음식물(130)이 제 1 내부수납공간(A)에 담겨지고, 음식물(130) 상부의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수저류(140) 및/또는 포장파우치(150)가 위치한 뒤, 포장용기(110, 120)는 제 1 필름(120a)의 가장자리를 플랜지(112) 상에 안착시킨 후 열접합시킴으로써, 간편조리 식품(100)은 완전히 밀봉되게 된다. The food 130 is store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 and the water storage 140 and / Or the packaging pouch 150 is placed on the flange 112 after placing the edge of the first film 120a on the flange 112 and then thermally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imple food 100 is completely sealed do.

이와 같이 밀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100)은 포장용기(110, 120) 내에 수저류(140) 및/또는 포장파우치(150)가 함께 수납됨에 따라, 별도로 수저류(140) 등을 챙기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As the water storage 140 and / or the packaging pouch 150 are housed together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 the convenience foo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sealed is separately stored in the water storage 140 ) And the like, so that portability and ease of use are improved.

또한, 포장파우치(150)가 음식물(130)과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음식물(130)이 포장파우치(150)에 의해 오염되거나 음식물(130)에 의해 포장파우치(150)의 찢김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130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packaging pouch 150 or by tearing the packaging pouch 150 by the food 130 by preventing the packaging pouch 15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ood 130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100)은 플랜지(112)에 열접합된 제 1 필름(120a)을 용기(110)로부터 일부 또는 완전히 분리하더라도, 제 1 필름(120a)에 구비된 돌출단(121)을 용기(110)의 단턱(117)에 구비된 끼움홈(114)에 끼움 삽입하여, 제 1 필름(120a)으로 용기(110)의 제 1 입구(111a)를 다시 밀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asy-to-cook foo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irst film 120a thermally bonded to the flange 112 from being partially or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110, The protruding end 121 of the container 11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4 provided in the step 117 of the container 110 so that the first inlet 111a of the container 110 is closed with the first film 120a, can do.

도 2a ~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 내에 수저류와 포장파우치가 수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torage and a packaging pouch are accommodated in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10)의 바닥면(113)과 제 1 측면(115)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내부수납공간(A)에는 음식물(130)이 담겨지고, 제 1 내부수납공간(A)의 상부로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한쌍의 단턱(117)과 제 2 측면(119)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포장파우치(150)와 수저류(140)가 위치하게 된다. The food 130 is containe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defined by the bottom surface 113 and the first side surface 115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And a second inner storage space B defined by at least a pair of stepped portions 117 and a second side surface 119 positioned i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torage 140 ).

이때,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파우치(150)의 네 모서리는 단턱(117) 상에 안착 및 지지되어 제 2 내부수납공간(B)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포장파우치(150)는 제 1 내부수납공간(A)에 위치하는 음식물(130)과는 접촉하지 않게 된다. 2A, the four corners of the packaging pouch 150 ar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step 117, and are position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so that the packaging pouch 150 is placed in the first And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od 130 located in the inner storage space A.

이를 통해, 제 1 내부수납공간(A) 내에 위치하는 주블럭(도 1의 131)과 보조블럭(도 1의 133)의 음식물(130)이 포장파우치(150)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밥 또는 면이 냉동건조된 상태의 주블럭(도 1의 131)과 반찬 등이 냉동건조된 보조블럭(도 1의 133)이 날카롭게 구비될 경우, 이러한 음식물(130)에 의해 포장파우치(150)의 찢김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130 in the main block (131 in FIG. 1) and the auxiliary block (133 in FIG. 1) located in the first interior storage space A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packaging pouch 150 (131 in FIG. 1) and a freeze-dried auxiliary block (133 in FIG. 1) in which the rice or the surface is freeze-dried are sharply provided, the food pouch (130)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earing of the substrate 150.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한쌍의 단턱(117)과 제 2 측면(119)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수저류(140)가 위치할 수 있다. 2B, the water storage 140 is form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defined by the at least one pair of step 117 and second side 119 positioned in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Can be located.

이때, 수저류(140)는 제 2 내부수납공간(B)의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단턱(117) 상에 양 끝단이 지지 및 고정됨에 따라, 제 1 내부수납공간(A)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130)과 수저류(140)는 서로 접촉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water reservoir 140 is supported and fixed at both ends on a pair of opposed stepped portions 117 of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130 and the water reservoir 140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수저류(140)는 간편조리 식품(100) 내에 음식물(130)과 함께 수납됨에도, 음식물(130)과는 접촉하지 않아 사용자는 깨끗한 수저류(14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water storage 140 is stored in the convenience food 100 together with the food 130, but is not in contact with the food 13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lean water storage 140.

또한, 단턱(117) 상에 지지 및 고정된 수저류(140)는 제 2 내부수납공간(B) 내에서 지지대로 간이층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 도 3a ~ 3g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140 supported and fixed on the step 117 serves as a support layer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G would.

도 3a ~ 3b는 수저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c ~ 3g는 포장용기 내에 수저류의 위치가 고정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FIGS. 3A to 3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reservoir, and FIGS. 3C to 3G are a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reservoir is fixed in a packaging container.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저류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숟가락(140)은 국물이나 밥 등의 내용물과 직접 접촉되는 수용부(141)와 손으로 잡는 파지부(143)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3A, the spoon 140, which is most widely used among the water reservoirs, comprises a receiving portion 141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contents such as soup or rice, and a grip portion 143 that is held by hand.

수용부(141)는 음식물(130)을 푸거나 덜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운데 부분이 움푹 들어간 반구형이고, 파지부(143)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길게 구성된다. The receiving portion 141 is hemispherical with a depressed central portion in order to allow the food 130 to be loosened or removed. The holding portion 143 is configured to be long enough to be held by hand.

이러한 숟가락(140)은 수용부(141)와 파지부(143)의 뒷면에 각각 제 1 끼움턱(145a)과 제 1 돌출턱(145b)이 구비된다. The spoon 140 is provided with a first fitting protrusion 145a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sion 145b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41 and the grip portion 143, respectively.

제 1 끼움턱(145a)은 숟가락(140)의 수용부(141)의 배면 일부가 떼어져 나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돌출턱(145b)은 파지부(143)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The first fitting jaw 145a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41 of the spoon 140 is detached and the first protruding jaw 145b is protrud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143. [

그리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젓가락(160)의 양 끝단에는 각각 제 2 끼움턱(161a)과 제 2 돌출턱(161b)이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3B, the chopsticks 160 are provided at both ends with a second fitting protrusion 161a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sion 161b.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140)과 젓가락(160)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간편조리 식품(100)의 용기(110) 내의 제 2 내부수납공간(B)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제 2 내부수납공간(B)을 이루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단턱(117a, 117b)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단턱(117a)에 숟가락(140)의 수용부(141)가 지지 및 고정되며 파지부(143)는 타측에 위치하는 제 2 단턱(117b)에 지지 및 고정된다. 3C,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a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not shown) in the container 110 of the simple food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of the spoon 140. The receiving portion 141 of the spoon 140 is attached to the first step 117a located at one side of the pair of stepped portions 117a and 117b facing each other forming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And the grip portion 143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second step 117b located on the other side.

그리고, 젓가락(160)은 숟가락(140)이 놓여진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제 3 단턱(117c) 및 제 4 단턱(117d)에 양 끝단이 지지 및 고정된다. The chopsticks 160 are supported and fixed at a pair of third and seventh stages 117c and 117d facing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oon 140 is placed.

이때, 숟가락(140)의 파지부(143)에는 숟가락(140)의 파지부(143)를 가로지르는 젓가락(160)이 안착되는 가이드홈(147)이 구비되어, 젓가락(160)의 위치를 가이드하게 되며, 숟가락(140)과 젓가락(160)이 중첩됨에 따라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 guide groove 147 is formed in the grip portion 143 of the spoon 140 to receive the chopstick 160 across the grip portion 143 of the spoon 140, And the thickening of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is prevented.

이때,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숟가락(140)의 수용부(141)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 1 끼움턱(145a)에 일측에 위치하는 단턱(117a)의 모서리가 끼움 삽입되며, 파지부(143)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 1 돌출턱(145b)은 타측에 위치하는 단턱(117b)의 모서리와 조립 체결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D, the edge of the step 117a located at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step 145a located on the back 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41 of the spoon 140, 143 are assembled together with the edge of the step 117b located on the other sid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젓가락(160)의 제 2 끼움턱(161a)으로 제 3 단턱(117c)의 모서리가 끼움 삽입되며, 제 2 돌출턱(161b)은 제 4 단턱(117d)의 모서리와 조립 체결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edge of the third step 117c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61a of the chopstick 160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61b is assembled with the edge of the fourth step 117d .

이를 통해, 숟가락(140)과 젓가락(160)은 용기(110) 내의 제 2 내부수납공간(B) 내에 위치 및 고정되며, 제 1 내부수납공간(A)에 위치하는 주블럭(131) 및 보조블럭(133)의 음식물(130)과는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접촉하지 않게 된다.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are positioned and fix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in the container 110 and are connected to the main block 131 and the auxiliary A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food 130 of the block 13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100)은 포장용기(110, 120a) 내에 숟가락(140)과 젓가락(160)이 함께 수납됨에 따라, 별도로 숟가락(140)과 젓가락(160)을 챙기지 않아도 됨에 따라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are housed together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so that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are separately housed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The convenience of use and port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숟가락(140)과 젓가락(160)이 음식물(130)과 함께 포장용기(110, 120a) 내에 수납됨에도, 숟가락(140)과 젓가락(160)이 음식물(130)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깨끗한 숟가락(140)과 젓가락(160)을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are not in contact with the food 130 even though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are stored together with the food 130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may be used.

한편, 사용자는 간편조리 식품(100)에 담겨진 음식물(130)을 먹거나 사용하는 과정에서, 숟가락(140)을 잠시 포장용기(110, 120a)의 용기(110) 내에 넣어두게 되는데, 이때 숟가락(140)은 파지부(143)가 음식물(130)과 접촉되지 않도록 파지부(143)를 용기(110)의 제 1 측면(115) 및 제 2 측면(119)에 기대어 놓게 된다. Meanwhile, the user puts the spoon 140 in the container 110 of the packaging container 110 or 120a for a while in the process of eating or using the food 130 contained in the convenience food 100. At this time, The grip portion 143 leans against the first side surface 115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19 of the container 110 so that the grip portion 143 does not come in contact with the food 130.

그러나, 숟가락(140)은 포장용기(110, 120a) 내에 수납되기 위하여 전체적인 길이가 짧게 구성되는데, 이러한 숟가락(140)을 용기(110)의 제 1 측면(115) 및 제 2 측면(119)에 기대어 놓을 경우 숟가락(140)은 미끄러져 파지부(143)가 음식물(130)과 접촉되게 된다. However, the spoon 140 is configured to be short in overall length to be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110, 120a, and this spoon 140 is attached to the first side 115 and the second side 119 of the container 110 The spoon 140 slips and the grip portion 14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od 130.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파지부(143)를 다시 손으로 잡는 과정에서 손을 더럽히게 되거나, 파지부(143)를 별도로 닦아야 하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In this case, the user may feel the inconvenience of smearing the hand in the process of grasping the grasping portion 143 by the hand or cleaning the grasping portion 143 separately.

그러나,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100)은 포장용기(110, 120a) 내에 수납되는 숟가락(140)의 파지부(143)의 배면으로 제 1 돌출턱(145b)이 구비되므로, 제 1 돌출턱(145b)을 제 2 측면(119)의 외측 모서리에 걸리도록 숟가락(140)을 제 1 측면(115) 및 제 2 측면(119)에 기대어 놓을 수 있다. 3E, the easy-to-cook foo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43 of the spoon 140 housed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The spoon 140 can be leaned against the first side surface 115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19 so that the first protruding step 145b is caught by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19 .

이를 통해, 숟가락(140)의 제 1 돌출턱(145b)과 제 2 측면(119)의 외측 모서리가 서로 체결됨에 따라 숟가락(140)은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숟가락(140)이 미끄러져 파지부(143)가 음식물(130)과 접촉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poon 140 is not slipped as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45b of the spoon 140 and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19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spoon 140 is sli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ood 130.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더러워지거나, 파지부(143)를 별도로 닦아야 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the user's hands become dirty or the grip portion 143 needs to be separately wiped off.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젓가락(160)을 용기(110)의 제 1 측면(115)과 제 2 측면(119)에 기대어 놓을 경우, 젓가락(160)의 제 2 돌출턱(161b)과 제 2 측면(119)의 외측 모서리가 서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어, 젓가락(16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chopsticks 160 are laid on the first side surface 115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19 of the container 110,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s 161b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19 of the chopsticks 160 119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hopsticks 160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한편, 간편조리 식품(100)의 소스 또는 반찬 등의 양이 작아 포장파우치(150)의 사이즈가 작게 구비되거나, 여러 개의 포장파우치(150)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도 3f와 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숟가락(140)과 젓가락(160) 상부로 포장파우치(150)를 위치시킬 수 있다. The size of the packaging pouch 150 may be small or a plurality of packaging pouches 150 may be provided because the amount of the sauce or the side dish of the easy-to-cook food 100 is small.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packaging pouch 150 can be positioned above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이때 숟가락(140)과 젓가락(160)의 수저류는 포장파우치(150)를 지지하여 간이층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spouts of the spoon 140 and the chopsticks 160 serve as a simple layer by supporting the packaging pouch 150.

도 4a ~ 4b는 이중 포장된 모습의 간편조리 식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Figs. 4A to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ouble-packaged simple cooking food.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113)과 제 1 측면(115)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내부수납공간(A)에는 음식물(130)이 담겨지고, 제 1 내부수납공간(A) 상부로 단턱(117)과 제 2 측면(119)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내부수납공간(B)에는 수저류(도 3g의 140) 및/또는 포장파우치(150)가 수납되는 용기(110)는, 제 2 측면(119)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플랜지(112) 상에 제 1 필름(120a)이 열접합되어, 밀봉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od 130 is containe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defined by the bottom surface 113 and the first side 115, and the food 130 is store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The container 110 in which the water storage (140 in FIG. 3g) and / or the packaging pouch 150 is received is form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defined by the first side surface 117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19, The first film 120a is thermally bonded on the flange 112 which is bent outwar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film 119 and sealed.

이때, 단턱(117) 상에도 제 2 필름(120b)이 열접합되어 밀봉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film 120b may also be thermally bonded to the step 117 to be sealed.

즉, 용기(110)는 용기(110) 자체로 음식물(130)을 담거나 빼기 위한 제 1 입구(111a)가 제 2 측면(119)에 의해 정의되며, 제 1 내부수납공간(A)의 제 2 입구(111b)가 제 1 측면(115)에 의해 정의된다. That is, the container 110 has a first inlet 111a for containing or removing the food 130 by the container 110 itself is defined by the second side surface 119, 2 inlet 111b is defined by the first side 115.

여기서, 제 1 필름(120a)은 제 1 입구(111a)를 밀봉하여 용기(110) 자체를 완전히 밀봉하게 되며, 제 2 필름(120b)은 단턱(117) 상에 열접합되어 제 1 내부수납공간(A)을 밀봉하게 되는 것이다. The first film 120a hermetically seals the first inlet 111a to completely seal the container 110 itself and the second film 120b is thermally bonded onto the step 117, (A).

이를 통해, 제 1 내부수납공간(A)으로는 유동식의 음식물(130)을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끼움턱(도 3g의 145a, 도 3b의 165a) 및 돌출턱(도 3g의 145b, 도 3g의 165b)이 구비되지 않으며, 서로 마주보는 단턱(117)의 길이에 대응하지 않아도 되는 수저류(도 3g의 140)와 포장파우치(150)를 위치시킬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tore the liquid food 130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and to fit the insertion jaw 145a (Fig. 3g, 165a in Fig. 3B) (140 in FIG. 3g) and the packaging pouch 150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lengths of the stepped portions 117 facing each other can be positioned .

도 5a ~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을 제 1 필름을 통해 밀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5A to 5F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sealing of the easy-to-cook fo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irst film.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용기(110, 120a) 내에 순차적으로 음식물(130)이 제 1 내부수납공간(A)에 담겨지고, 음식물(130) 상부의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수저류(도 3g의 140) 및/또는 포장파우치(도 4b의 150)가 위치한 뒤, 포장용기(110, 120a)는 제 1 필름(120a)의 가장자리를 플랜지(112) 상에 안착시킨 후 열접합시킴으로써, 포장용기(110, 120a)에 담긴 음식물(130)은 완전히 밀봉되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ood 130 is containe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sequentially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and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is disposed above the food 130 in the water storage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are positioned by placing the edges of the first film 120a on the flanges 112 and then thermally bonding the first films 120a to the packaging pouches 110 and 120a, The food 130 contained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is completely sealed.

이와 같이 밀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100)은 포장용기(110, 120a) 내에 수저류(도 3g의 140)와 포장파우치(도 4b의 150)가 함께 수납됨에 따라, 별도로 수저류(도 3g의 140) 등을 챙기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As the water storage (140 in FIG. 3G) and the packaging pouch (150 in FIG. 4B)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the packaging containers 110 and 120a, the simple food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sealed is separately (140 in Fig. 3g) and the like are not required to be stored, so that portability and ease of use are improved.

또한, 포장파우치(도 4b의 150)가 음식물(130)과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음식물(130)이 포장파우치(도 4b의 150)에 의해 오염되거나 음식물(130)에 의해 포장파우치(도 4b의 150)의 찢김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4B) by the food pouch (150 in Fig. 4B) is prevented by the food pouch (150 in Fig. 4B)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food 130, 1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orn.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100)은 플랜지(112)에 열접합된 제 1 필름(120a)을 용기(110)로부터 분리하더라도, 제 1 필름(120a)에 구비된 돌출단(121)을 용기(110)의 단턱(117)에 구비된 끼움홈(114)에 끼움 삽입할 수 있어, 제 1 필름(120a)으로 용기(110)의 제 1 입구(111a)를 다시 밀폐할 수 있다. Particularly, even if the first film 120a thermally bonded to the flange 112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110, the easy-to-cook foo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irst film 120a, The first inlet 121a of the container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4 provided in the step 117 of the container 110 to seal the first inlet 111a of the container 110 again with the first film 120a .

즉,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간편조리 식품(100)의 제 1 필름(120a)을 용기(110)로부터 일부 떼어내, 용기(110)의 제 1 내부수납공간(A)에 담겨진 음식물(130)을 일부 먹거나 사용하고 나서, 남은 음식물(130)이 있을 경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필름(120a)의 돌출단(121)을 용기(110)의 단턱(117)에 구비된 끼움홈(114)에 끼움 삽입함으로서, 제 1 필름(120a)을 용기(110)의 플랜지(112) 상에 안착 및 고정시키게 된다. 5A, when the user removes a portion of the first film 120a of the easy-to-cook food 100 from the container 110, and the food or drink containe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of the container 110 The protruding end 121 of the first film 120a may be provided on the step 117 of the container 110 as shown in FIG. The first film 120a is seated and fixed on the flange 112 of the container 110 by inserting the first film 120a into the fitting groove 114. [

이를 통해, 용기(110)의 제 1 입구(111a)는 제 1 필름(120a)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다. Thus, the first inlet 111a of the container 110 is sealed by the first film 120a.

이때, 제 1 필름(120a)의 돌출단(121)이 구비된 일 모서리에는 제 1 접힘선(123a)이 구비되는데, 돌출단(121)이 구비된 제 1 필름(120a)의 일 모서리를 제 1 접힘선(123a)을 따라 수직하게 하향 접음으로써, 제 1 필름(120a)의 위치와 끼움홈(114)이 구비된 단턱(117)의 단차가 있음에도, 단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 1 필름(120a)의 돌출단(121)을 단턱(117)의 끼움홈(114)에 끼움 삽입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rst folding line 123a is provided at one corner of the first film 120a where the protruding end 121 is provided, and one corner of the first film 120a having the protruding end 121 The first film 120a and the first film 120a can be folded down vertically along the folding line 123a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in level even though the step of the step 117 provided with the fitting groove 114 is present. 120a can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4 of the step 117 by insert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100)은 제 1 필름(120a)을 용기(110)로부터 필요에 따라 탈부착할 수 있어, 별도의 누름부재 없이도 용기(110)로부터 이미 떼어진 제 1 필름(120a)으로 다시 용기(110)의 제 1 입구(111a)를 닫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과정에 편의성을 가져오게 된다. Accordingly, the easy-to-cook foo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ach the first film 120a from the container 110 as needed, The first inlet 111a of the container 110 can be closed again with the first film 120a. This brings convenience to the cooking process.

또한, 용기(110) 내에 음식물(130)이 남을 경우, 포장용기(110, 120a) 자체로 남은 음식물(130)을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어, 이를 통해서도 사용의 편의성을 가져오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food 130 is left in the container 110, the food 130 remaining in the container 110, 120a itself can be hermetically stored,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use.

또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필름(120a)의 적어도 세 모서리에 모두 돌출단(121)과 제 1 접힘선(123a)을 구비하고, 제 1 필름(120a)의 돌출단(121)에 대응하는 용기(110)의 단턱(117) 상에 모두 끼움홈(114)을 구비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5C, the protruding end 121 and the first folding line 123a are provided on at least three corners of the first film 120a, and the protruding end 121a of the first film 120a All of the fitting grooves 114 may be provided on the step 117 of the container 1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이와 같이 제 1 필름(120a)의 적어도 세 모서리에 모두 돌출단(121)과 제 1 접힘선(123a)을 구비하고 제 1 필름(120a)의 돌출단(121)에 대응하여 용기(110)의 단턱(117)에 끼움홈(114)을 구비함으로써, 용기(110)로부터 이미 떼어진 제 1 필름(120a)을 다시 용기(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film 120a has the protruding end 121 and the first folding line 123a at at least three corners and the protruding end 121 of the container 110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nd 121 of the first film 120a. By providing the fitting groove 114 in the step 117, the first film 120a already detached from the container 110 can be stably fixed again to the container 110 again.

즉,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필름(120a)의 일 모서리만이 용기(110)의 플랜지(112)에 열접합되어도, 나머지 세 모서리의 돌출단(121)을 각각 단턱(117)의 끼움홈(114)에 끼움 삽입할 수 있어, 제 1 필름(120a)을 용기(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5D, even when only one corner of the first film 120a is thermally bonded to the flange 112 of the container 110, the protruding ends 121 of the remaining three corners are connected to the flange 112 of the container 110, The first film 120a can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4 so that the first film 120a can be more stably fixed to the container 110. [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필름(120a)이 용기(110)로부터 완전히 떼어지더라도, 제 1 필름(120a)의 세 모서리를 용기(110)의 단턱(117)에 구비된 끼움홈(114)으로 끼움 삽입함으로써, 제 1 필름(120a)을 용기(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Even though the first film 120a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1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hree corners of the first film 120a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4 provided in the step 117 of the container 110 The first film 120a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110 by inserting a fitting.

또한,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필름(120a)의 돌출단(121)이 구비된 제 1 모서리와 마주보는 제 2 모서리에 제 2 및 제 3 접힘선(123b, 123c)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접힘선을 구비하고, 이중 접힙선(123b, 123c)이 구비된 제 1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가장자리에 제 4 접힘선(123d)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E, the double-folded structure comprising the second and third folding lines 123b and 123c is formed at the second edge facing the first edge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end 121 of the first film 120a. And a fourth folding line 123d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two edges of the first corner having the double-tangent lines 123b and 123c.

따라서,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접힘선이 구비된 제 1 필름(120a)의 제 2 모서리가 용기(110)의 플랜지(112) 상에 열접합되고, 나머지 세 모서리인 제 2 내지 제 3 모서리가 용기(110)로부터 떼어지면, 추후 제 1 모서리의 돌출단(121)을 용기(110)의 단턱(117)에 구비된 끼움홈(114)에 끼움 삽입하고, 제 2 모서리의 이중 접힘선(123b, 123c)을 계단 형상으로 접은 후, 이중 접힘선(123b, 123c) 영역을 제 2 모서리에 인접하게 밀착시킨다. 5F, the second edge of the first film 120a having the double folding line is thermally bonded onto the flange 112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second to third When the edge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110, the protruding end 121 of the first corner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4 provided in the step 117 of the container 110, and the double- The folding lines 123b and 123c are folded in a step shape and then the double folding lines 123b and 123c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edge.

이후, 제 1 필름(120a)의 제 4 접힙선(123d)이 구비된 두 가장자리를 제 4 접힘선(123b)을 따라 하향 접음으로써, 제 1 필름(120a)의 두 가장자리가 용기(110)의 제 2 측면(119)의 외측면을 덮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The two edges of the first film 120a are folded down along the fourth folding line 123b so that the two edges of the first film 120a are folded down along the fourth folding line 123b, And may be fixed so as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19.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리 식품(100)은 포장용기(110, 120a)의 제 1 필름(120a)을 용기(110)로부터 떼어내더라도 제 1 필름(120a)의 돌출단(121)을 용기(110)의 단턱(117)에 구비된 끼움홈(114)에 끼움 삽입함으로서, 제 1 필름(120a)을 통해 용기(110)의 제 1 입구(111a)를 밀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first film 120a of the packaging container 110, 120a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110, the easy-to-cook food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rotrusion of the first film 120a It is possible to seal the first inlet 111a of the container 110 through the first film 120a by inserting the first film 121 into the fitting groove 114 provided in the step 117 of the container 110 .

이를 통해, 별도의 누름부재 없이도 용기(110)로부터 이미 떼어진 제 1 필름(120a)으로 다시 용기(110)의 제 1 입구(111a)를 밀폐할 수 있어, 조리과정에 편의성을 가져오게 되며, 또한 용기(110) 내에 음식물(130)이 남을 경우, 포장용기(110, 120a) 자체로 남은 음식물(130)을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어, 이를 통해서도 사용의 편의성을 가져오게 된다. This allows the first inlet (111a) of the container (110) to be sealed again with the first film (120a) already removed from the container (110) without a separate pressing member, Further, when the food 130 is left in the container 110, the food 130 remaining in the container 110, 120a itself can be sealed and stored.

또한, 용기(110) 내에 단턱(117)에 의해 제 1 내부수납공간(A)과 제 2 내부수납공간(B)을 나뉘어 정의되도록 함으로써, 제 2 내부수납공간(B)에 수저류(140) 및/또는 포장파우치(150)를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수저류(140) 및/또는 포장파우치(150)를 별도로 챙기지 않아도 됨으로써 휴대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The water storage 140 is formed in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by dividing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and the second internal storage space B by the step 117 in the container 110, The packaging pouch 150 and / or the packaging pouch 150 can be positioned. Therefore, the water storage 140 and / or the packaging pouch 150 need not be separately stored,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and ease of use.

또한, 수저류(140) 및/또는 포장파우치(150)가 제 1 내부수납공간(A)에 위치하는 음식물(130)과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음식물(130)이 수저류(140) 및/또는 포장파우치(150)에 의해 오염되거나, 수저류(140)가 음식물(130)에 의해 오염되거나 음식물(130)에 의해 포장파우치(150)의 찢김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storage 140 and / or the packaging pouch 15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ood 130 located in the first internal storage space A,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storage 140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food 130 or ripping the packaging pouch 150 by the food 130 .

이때, 수저류(140)를 단턱(117) 상에 안착 및 고정시킨 후, 수저류(140) 상부로 작은 사이즈 또는 다수개의 포장파우치(150)를 위치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after the water reservoir 140 is seated and fixed on the step 117, a small size or a plurality of the packaging pouches 150 can be positioned above the water reservoir 140.

또한, 단턱(117)에 제 2 필름(120b)을 더욱 열접합으로써, 제 1 내부수납공간(A)으로 유동식의 음식물(130)을 수납할 수 있으며, 제 2 내부수납공간(B)으로 끼움턱(145a, 165a) 및 돌출턱(145b, 165b)이 구비되지 않으며, 서로 마주보는 단턱(117)의 길이에 대응하지 않아도 되는 수저류(140)와 포장파우치(150)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The second film 120b is further thermally bonded to the step 117 so that the liquid food 130 can be stored in the first inner storage space A and the food 120 can be stored in the second inner storage space B, The water reservoir 140 and the packaging pouch 150 that do not have the protrusions 145a and 165a and the protrusions 145b and 165b and do not correspond to the lengths of the stepped protrusions 117 facing each other can be position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간편조리 식품
110 : 용기, 113 : 바닥면, 115 : 제 1 측면, 119 : 제 2 측면
111a : 제 1 입구, 112 : 플랜지, 114 : 끼움홈, 117 : 단턱
120a : 제 1 필름, 121 : 돌출단, 123a : 제 1 접힘선
130 : 음식물
100: Easy cooking food
110: container, 113: bottom surface, 115: first side, 119: second side
111a: first inlet, 112: flange, 114: fitting groove, 117:
120a: first film, 121: projecting end, 123a: first folding line
130: Food

Claims (13)

제 1 입구와, 상기 제 1 입구와 마주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의 외측으로 서로 마주보며 수직 절곡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단턱과, 상기 제 1 및 제 2 단턱의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제 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턱에는 제 1 끼움홈이 구비되는 용기와;
상기 제 1 입구를 덮으며, 일 모서리에 상기 제 1 끼움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 1 돌출단이 구비된 제 1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 1 측면은 음식물이 담겨지는 제 1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단턱과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제 1 내부수납공간의 상부로 수저류 및 포장파우치가 수납되는 제 2 내부수납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제 1 필름의 상기 돌출단이 구비된 제 1 모서리와 마주보는 제 2 모서리에 제 2 및 제 3 접힘선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접힘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필름의 상기 제 2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가장자리를 따라 제 4 접힘선이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A first inlet facing the first inlet, a bottom surface facing the first inlet, a first side bent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a pair of first and second steps vertically bent opposite each other outwardly of the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surface vertically bent outwardly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wherein the first end is provided with a first fitting groove;
And a first film covering the first inlet and having a first protruding end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at one corner,

Where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side define a first interior containment space in which food is contained, the step and the second side are defined by a second interior Define storage space,

A double folding line including a second folding line and a second folding line is provided at a second corner opposite to the first edge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end of the first film, Having a fourth folding line
Wherein the container is a container for easy cooking fo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에는 수직 절곡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름은 가장자리가 상기 플랜지에 열접합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ide includes a vertically bent flange, and the edge of the first film is thermally bonded to the flan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의 상기 제 1 돌출단이 구비된 일 모서리에는 제 1 접힘선이 구비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first folding line is provided at one corner of the first film, the first folding line being provided with the first projecting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턱에는 제 2 끼움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필름의 제 2 모서리에는 상기 제 2 끼움홈에 끼움 삽입되는 제 2 돌출단이 구비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protruding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is provided at a second corner of the first fil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파우치는 상기 단턱에 지지 및 안착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ckaging pouch is supported and seated on the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류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턱에 각각 양 끝단이 지지 및 고정되며, 상기 수저류의 양 끝단에는 각각 끼움턱과 돌출턱이 구비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reservoir is supported and fix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ages, and each of the water reservoir is provided with a fitting jaw and a protruding jaw at both ends thereof.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류 상부로 상기 포장파우치가 지지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packaging pouch is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reservoi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턱으로 상기 제 1 단턱의 모서리가 끼움 삽입되며, 상기 돌출턱과 상기 제 2 단턱의 모서리는 조립 체결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dge of the first step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step and the edge of the second step is assembled with the protruding ste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턱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 3 및 제 4 단턱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턱에는 제 1 수저류의 양 끝단이 지지 및 고정되며, 상기 제 3 및 제 4 단턱에는 제 2 수저류의 양 끝단이 지지 및 고정되며,
상기 제 1 수저류에는 상기 제 2 수저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ainer further includes third and fourth stag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tages face each other,
Wherein both ends of the first water storage are supported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ends, and both ends of the second water storage are supported and fixed to the third and fourth ends,
Wherein the first water reservoir is provided with guide grooves for guiding the second water reservo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구는 상기 제 2 내부수납공간의 상기 제 2 측면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 1 내부수납공간의 상기 제 1 측면에 의해 제 2 입구가 정의되며,
상기 제 2 입구는 상기 단턱에 접합되는 제 2 필름에 의해 밀봉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let is defined by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internal containment space,
A second inlet is defined by the first side of the first interior containment space,
And the second inlet is sealed by a second film bonded to the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내측으로는 볼록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의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보강부가 이격되어 구비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vex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surfa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간편조리 식품용 포장용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extends to the bottom surface.
KR1020170062793A 2017-05-22 2017-05-22 Packing case for instant food KR1019215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793A KR101921565B1 (en) 2017-05-22 2017-05-22 Packing case for instant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793A KR101921565B1 (en) 2017-05-22 2017-05-22 Packing case for instant 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565B1 true KR101921565B1 (en) 2018-11-23

Family

ID=6456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793A KR101921565B1 (en) 2017-05-22 2017-05-22 Packing case for instant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56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508B1 (en) * 2004-10-13 2006-03-15 ライオン株式会社 Container with spoon
JP2010202262A (en) * 2009-03-05 2010-09-16 Morinaga & Co Ltd Tray for packaging food and food package body
JP2015012840A (en) * 2013-07-05 2015-01-22 こいしや食品株式会社 Multi-step sealed low-temperature food produ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508B1 (en) * 2004-10-13 2006-03-15 ライオン株式会社 Container with spoon
JP2010202262A (en) * 2009-03-05 2010-09-16 Morinaga & Co Ltd Tray for packaging food and food package body
JP2015012840A (en) * 2013-07-05 2015-01-22 こいしや食品株式会社 Multi-step sealed low-temperature food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565B1 (en) Packing case for instant food
US11980267B2 (en) Combination meal and to-go box
KR200462889Y1 (en) Packing vessel having dual container
KR200481814Y1 (en) Integrated package for food
RU2750766C1 (en) Packaging of food products and its applications
KR100718599B1 (en) Sanitary vessel for expropriation fried food and having structure expropriated sauce
RU212228U1 (en) DISPOSABLE FOOD STORAGE CONTAINER AND HAND DISINFECTION WIPES
US20230415954A1 (en) Food packaging
JP2014105013A (en) Composite container for food product and method of application of composite container for food product
KR101721177B1 (en) instant food container with spoon and chopsticks
CN215456091U (en) Portable food cup
JP2024001642A (en) Packed meal container
US20240156289A1 (en) Handheld Silicone Holder for Food Items
KR200235802Y1 (en) Instant noodie case for one time
KR20080005789U (en) Packing container
KR200487369Y1 (en) Multiple Simple Package
JP2002002804A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for food such as side dish
KR20090061242A (en) Disposable vessel
KR200319757Y1 (en) Sack Handles for Bowls
JP3328614B2 (en) Synthetic resin containers for foods such as side dishes
JP3068859U (en) Powdered milk bag
JP2001136943A (en) Food filled in packaged container and container used for the same
JP2000287807A (en) Vessel for baby food
JP3071916U (en) Lunch box
IT202100004799A1 (en) DISPOSABLE FOO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