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453B1 - Guide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in of elevator - Google Patents

Guide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in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453B1
KR101921453B1 KR1020180076395A KR20180076395A KR101921453B1 KR 101921453 B1 KR101921453 B1 KR 101921453B1 KR 1020180076395 A KR1020180076395 A KR 1020180076395A KR 20180076395 A KR20180076395 A KR 20180076395A KR 101921453 B1 KR101921453 B1 KR 101921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racket
guide
compensation chain
hinge por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김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수 filed Critical 김남수
Priority to KR1020180076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4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4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6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mpensation chain guide apparatus. The elevator compensation chain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fram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a build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guide bracket hinged to a first hinge part formed on an upper end part of the support frame, formed to have lengths on both sides from the first hinge part and having a second hinge part formed in both end parts; a second guide bracket having guide rollers in the both end parts and hinged to the second hinge part in a central part; a first adjustment part adjusting an angle at which the first guide bracket rotates around the first hinge part; and a second adjustment part adjusting an angle at which the second guide bracket rotates around the second hinge part.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 가이드장치{Guide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in of elevat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apparatus for a compensating chain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레베이터의 보상체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카 주행에 따른 롤링(흔들림)과 무게를 보상하여 최하층이나 최상층에서도 카와 카운터의 메인와이어로 인한 무게를 보상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하는 콤펜체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ensating chain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compensating chain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that compensates for a rolling (swinging) To a guide chain of a guide chain.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구동방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일반적으로 트랙션식 구동방식이 사용되며, 이 방식은 권상기(전동기츨력축과 감속기 입력축을 커플링으로 연결한 구조 )의 출력축에 시브가 연결되고 또한 간격 유지를 위해 적당되고 타측은 균형추(50)와 연결된다.Generally, a driving method of an elevator is generally a traction type driving method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is method is applied to an output shaft of a traction machine (a structure in which a motor output shaft and a speed reducer input shaft are coupled by a coupling) The sheave is connected and is also suitable for maintaining the gap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alance weight 50.

여기서, 상기 균형추(COUNTER WEIGHT : CWT)(50)는 상기 카(E/V)의 상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시브(30)와 연결된 전동기의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counterweight (CWT) 50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r (E / V) and serves to reduce the load of the motor connected to the sheave (30).

그리고 상기 카(E/V)의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주행케이블(6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20층 이상의 고층건물에는 일반적으로 고속(120~300m/min)의 엘리베이터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의 엘리베이터는 상기 카(E/V)의 무게를 보상해 주기위해 상기 균형추(50)는 하부에 콤펜체인(70)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카(E/V)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카(E/V)의 무게보정균형체인인 보상체인(Compensation Chain, Compen.Rope)(70)은 고속, 고층(20층 이상)의 카(E/V)와 균형추(50) 및 와이어로프(40) 상호간 위치변화에 따른 무게를 보정하기 위한 체인으로 메인로프의 90~100%에 해당하는 중량을 정밀한 착상이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등에서 사용하여 승차감, 착상오차 및 트렉션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And a traveling cable 6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terior of the car E / V. On the other hand, high-speed (120 ~ 300m / min) elevators are generally applied to high-rise buildings over 20 storie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weight of the car E / V, such a high-speed elevator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lance box 50 at one side of the companion chain 70 and at the other sid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E / . In other words, a compensation chain (Compen. Range) 70, which is a weight correction balance chain of the car (E / V), is composed of a high-speed, high- ) And wire rope (40). It is used in elevators that require precise conception of weight of 90 ~ 100% of main rope to improve ride comfort, conception error, and traction. .

그리고 상기 콤펜체인(70)은 원만하게 절곡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건물의 바닥면에 시공된 가이드장치(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움직임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안내롤러(11,11)와 상기 안내롤러(11,11)를 축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12)과, 상기 가이드브라켓(12)을 건물의 바닥면(P)에 시공된 상태로 일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콤펜체인(70)은 상기 한 쌍의 안내롤러(11,11) 간에 형성된 공간(C)을 통하여 권회된 상태로 안내된다.The compass chain (70) is guided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a guiding device (10) installed on a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so as to be able to bend smoothly. 2, the guide device 10 includes a pair of guide rollers 11 and 11, a guide bracket 12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guide rollers 11 and 11, a guide bracket 12 And a supporting frame 13 for supporting the floor surface P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P of the building at a constant height. The comb chain 70 is guided in a wound state through a space C formed between the pair of guide rollers 11,

이러한 콤펜체인(70)은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으나,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내부에 강체의 고리로 연결된 체인의 표면에 합성수지 튜브(고무)를 피복하여 제조된 튜브피복형(Coating Type)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콤펜체인(70)은 중량물로 튜브(고무) 피복작업시에 피복되는 고무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고 특히, 연결고리 간에 접촉된 부분은 코팅이 안되거나 미약한 단점이 있었다.Although such a compres- sion chain 70 has been variously disclosed, a tube-coating type which is made by coating a synthetic resin tube (rubber) on the surface of a chain connected by a ring of a rigid body inside is most widely used at present have. Such a compres- sion chain 70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rubber covered with the rubber during the tube (rubber) covering operation is not constant, and particularly, the portion that is contacted between the connecting rings is not coated or is weak.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들이 있었으나,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미세한 수준에서 감쇄시켜 엘리베이터의 주행 품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제안은 부족한 실정이다.There have been suggestions to remedy this problem, but there is a lack of proposals to improve the running quality of the elevator by attenuating the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at a fine level.

본 발명은 보상체인의 흔들림 종류를 분석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상 체인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ensation chain guid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an elevator by analyzing the type of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and effectively attenuating it.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을 가이드 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는 건물 바닥면에 시공되어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힌지부에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1 힌지부로부터 양측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제2 힌지부가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브라켓; 양측 단부에 각각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2 힌지부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제2 가이드 브라켓;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제1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한다.The elevator compensating chain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frame installed on a floor of a build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guide bracket hinged to a first hinge portion formed o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formed to have lengths on both sides from the first hinge portion and having second hinge portions formed 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 second guide bracket hing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first adjuster for adjusting an angle at which the first guide bracket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portion; And a second adjuster for adjusting an angle at which the second guide bracket rotates around the second hinge.

또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일 수 있다.The first adjuster may be a motor unit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unit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의 제1 힌지부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을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djusting portion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first hinge portion of the first guide bracket to rotate the first guide bracket in a manner of pushing or pulling the first guide bracket.

또한 상기 하나의 제2 가이드 브라켓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일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Further, the pair of guide rollers provided on the one second guide bracket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부일 수 있다.The second adjuster may be a second motor unit coupled to the second hinge unit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를 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two sensing units adjacent to the second guide bracket for sensing the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an angle between the first guide bracket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in a manner of attenuating a wobble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sensed by the sensing unit.

또한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를 파동 신호와 스웨이 신호로 구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n analyzer for analyzing the shaking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into a wave signal and a swing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부를 통하여 분석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가 스웨이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여 감쇄시키고, 상기 분석부를 통하여 분석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가 파동 신호인 경우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여 감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wing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unit is a swing signal, the control unit attenuates the first guide bracket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guide bracket. When the swing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unit is a wave signal, The angle of the second guide bracket can be adjusted to attenuate it.

또한 상기 제2 힌지부는 회전 양방향으로 상기 제2 힌지부가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지지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inge portion may include an impact absorb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cond hinge portio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in both rotational direc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체인을 따라 진동하는 파동과 줄 자체의 측면방향으로의 스웨이로 구분하여 이를 각기 다른 방법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주행품질을 적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can be divided into a swinging motion along the chain and a swinging mo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line itself, and attenuating the swinging motion in different ways, thereby positively improving the running quality of the elevator.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췌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보상체인의 흔들림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vator.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device for a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device for a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uide device of the compensation chain of Fig. 3;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guide device of the compensation chain of Fig. 3;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6 enlarged.
8 and 9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type of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respectively.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ompensation chain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3 to 7, a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device for a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uide device for a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uide device of the compensation chain of Fig. 3, Fig. 6 is a plan view of the guide device of the compensation chain of Fig. 3,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는 지지프레임(140), 제1 가이드 브라켓(130), 제2 가이드 브라켓(120), 가이드 롤러(110), 제1 조절부(103) 및 제2 조절부(105)를 포함한다.An elevator compensation chain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140, a first guide bracket 130, a second guide bracket 120, a guide roller 110, a first adjustment portion 103, (105).

지지프레임(140)은 건물 바닥면에 지지 플레이트(149)를 통하여 시공되어 고정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 가이드 브라켓(130)을 일정 높이 상에서 지지한다.The support frame 14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through a support plate 149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first guide bracket 130 at a predetermined height.

제1 가이드 브라켓(130)은 지지프레임(1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힌지부(1031)에 힌지결합한다. 제1 가이드 브라켓(130)은 제1 힌지부로부터 양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제2 힌지부(1051)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 브라켓(130)은 제1 조절부(103)의 조절에 의하여 회동(D1)하며 좌우의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The first guide bracket 130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103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40. The first guide bracket 1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irst hinge portion to both sides, and a second hinge portion 1051 is formed at each of both end portions. The first guide bracket 130 is rotated (D1) by the adjustment of the first adjuster 103 to form a left-right angle.

제1 조절부(103)는 서보모터, 스텝모터 등의 모터부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301)의 절개부를 통하여 하향 연장된 연장부(133)에 유압실린더 등을 연결하여 제1 가이드 브라켓(13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adjusting unit 103 may be implemented using a motor unit such as a servo motor or a step motor. The first adjusting unit 103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So that the angle of the first guide bracket 130 can be adjusted.

제2 가이드 브라켓(120)은 중앙부가 제2 힌지부(1051)에 각각 힌지결합하여 제2 힌지부(1051)를 중심으로 회동(D2)한다. 제2 가이드 브라켓(120)은 양측 단부에 각각 가이드 롤러(110)가 구비된다. 한 쌍의 가이드 롤러(11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한 쌍의 가이드 롤러(110)의 사이로 보상체인을 수용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 롤러(110)는 제1 가이드 브라켓(130) 및 제2 가이드 브라켓(120)의 각도에 따라 보상체인에 접촉하거나 떨어지는 방식으로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감쇄시킨다. 한편, 양측의 제2 가이드 브라켓(120)은 각각 다른 각도를 형성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bracket 120 is hing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1051 and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portion 1051 (D2). The second guide bracket 120 is provided with guide rollers 110 at both side ends thereof. The pair of guide roller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receive the compensation chain between the pair of guide rollers 110. The pair of guide rollers 110 attenuates the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in such a manner that the guide rollers 110 come into contact with or fall off the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the angles of the first guide bracket 130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120.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guide brackets 120 on both sides can be adjusted to form different angles.

제2 조절부(105)는 제2 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제2 힌지부(105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각도를 조절한다. 제2 조절부(10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보 모터나 스템 모터 등의 모터부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second adjusting unit 105 adjusts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guide bracket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unit 1051. The second adjusting unit 105 may be implemented using a motor unit such as a servo motor or a stem motor as described above.

한편,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흔들림의 종류를 분석하기 위한 감지부(미도시)와 분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충격센서 또는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보상체인의 흔들림의 정도와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는 제2 가이드 브라켓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sensing unit (not shown) and an analysis unit (not shown) may be included to analyze the type of the shake by sensing the shake of the compensation chain. The sensing unit can detect the degree and intensity of the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by using an impact sensor or an optical sensor. The sensing un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guide bracket to sense the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를 감쇄하는 방식으로 제1 가이드 브라켓(130)과 제2 가이드 브라켓(120)의 각도를 조절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adjusts the angle of the first guide bracket 130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120 by attenuating the shake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sensed by the sensing unit.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291)는 제2 가이드 브라켓(120)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 샤프트(1293)은 제1 샤프트(1291)의 내측에서 일정각도만큼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제2 샤프트(1293)의 회전시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회전을 제한하는 충격흡수부(1295)를 포함한다. 층격흡수부(1295)는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제1 샤프트(1291)와 제2 샤프트(1293)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샤프트(1291)의 회동시 탄성력이 증가했다가 충격이 제거된 후에는 제1 샤프트(1291)를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7, the guide unit of the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hock absorber. The first shaft 1291 is fixed to the second guide bracket 120 and the second shaft 1293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shaft 1291. At this time, the second shaft 1293 includes a shock absorbing portion 1295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so that the elastic force increases in the rotating direction. The stiffness absorbing part 1295 can be implemented using a coil spring or the like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haft 1291 and the second shaft 1293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when the first shaft 1291 rotates, And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rotate the first shaft 1291 in place after it is removed.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에에 따른 보상체인의 흔들림 감쇄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보상체인의 흔들림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A shake attenuation method of the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8 and 9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type of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respectively.

보상체인의 흔들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동에 의한 흔들림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웨이에 의한 흔들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보상체인의 흔들림은 어느 하나의 종류에 따른 흔들림만이 아니라 이러한 두가지 종류의 흔들림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The shake of the compensation chain can be divided into a shake due to a wave as shown in Fig. 8, or a shake due to a sway as shown in Fig. In general, the shake of the compensation chain is not only a fluctuation according to one kind but also a combination of these two types of fluctuation.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동에 의한 흔들림의 경우 정상상태(70s)에 비하여 파동에 의한 흔들림(70vf)의 경우 좌우가 대체적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비하여 스웨이 현상(70hs)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보인다.Referring to FIG. 8, in the case of a swing due to a wave, the left and right are generally symmetrically formed in the case of a swing (70vf) due to a wave as compared with a steady state 70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wing phenomenon (70 hs), as shown in FIG. 9, the phenomenon is biased to either sid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흔들림 신호는 분석부가 보상 체인의 흔들림의 종류를 구분하고, 동시에 흔들림의 주기 및 세기 등을 감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haking signal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identifies the type of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of the analyzer, and at the same time senses the period and intensity of shaking.

제어부(미도시)는 분석부를 통하여 분석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가 스웨이 신호인 경우 주로 제1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여 감쇄시키고, 파동 신호인 경우 주로 제2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여 감쇄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가이드 브라켓과 제2 가이드 바라켓 각각 단독으로 흔들림을 감쇄시키기 보다는 둘의 각도를 조합하여 흔들림을 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9와 같이 스웨이 신호가 감지된 경우 제1 가이드 브라켓의 중앙부 높이(h1)를 기준으로 우측이 내려가고 좌측이 올라가는 방식으로 조절하여 스웨이를 감쇄시키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2 가이드 브라켓의 높이(h1)을 기준으로 바깥쪽의 가이드 롤러가 내려가는 방향으로 제2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여 파동타입의 흔들림을 감쇄시킨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attenuates the first guide bracket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guide bracket when the swing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unit is the swing signal, and attenuates the angle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cond guide bracket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uide bracket and the second guide bar rack each independently attenuate the shaking by combining the two angles, rather than attenuating the shaking. For example, when a swing signal is detected as shown in FIG. 9, the right side is lowered and the left side is eleva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height h1 of the first guide bracket to attenuate the swing, When the wave signal is detected, the angle of the second guide bracket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guide roller descends with respect to the height h1 of the second guide bracket to attenuate the swing of the wave type.

복합적인 흔들림의 경우 이를 분석하여 제1 가이드 바라켓과 제2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각각 조절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complex shake, the angles of the first guide bar rack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are respectively adjusted.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Referring to FIG. 10, a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ompensation chain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을 가이드 장치는 제2 가이드 브라켓(120a)의 연결관계 면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제2 가이드 브라켓의 중앙부에서 제1 가이드 브라켓과 힌지 결합을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의 경우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의 중심축과 제2 힌지부(1051)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guide device for the compensation chain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erms of the connection relation of the second guide bracket 120a.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guide bracket is hing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guide bracket. However, in the case of the guide mechanism of the compensation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er axis of one of the guide rollers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051 Respectively.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롤러(110) 중 제2 힌지부(1051)에 결합된 가이드롤러(110)의 각도는 제1 가이드 브라켓(130)의 각도에 의하여만 조절이 가능하며, 제2 가이드 브라켓(120a)의 회동 시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롤러(110)의 위치가 결정된다.The angle of the guide roller 110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1051 of the pair of guide rollers 110 can be adjusted only by the angle of the first guide bracket 130, The position of the other one of the guide rollers 110 is determined.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체인 가이드 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비하여 구조면에서 구현이 간단하고, 내구성면에서 유리한 면이 있으나, 제1 가이드 브라켓(130)과 제2 가이드 브라켓(120a)의 각도를 상호 복합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감쇄시킬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Compared with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mpensation chain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imple structure in terms of structure and is advantageous in terms of durability. However, sinc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guide bracket 130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120a is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shake of the compensation chain can be attenuated by the combined adjustmen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have.

70 : 보상체인
103: 제1 조절부
105: 제2 조절부
104, 1031: 제1 힌지부
110: 안내롤러
120: 제2 가이드 브라켓
130: 제1 가이드 브라켓
133: 연결암
140: 지지프레임
1051: 제2 힌지부
1031: 플랜지부
1303: 절개부
70: compensation chain
103:
105:
104, 1031: a first hinge part
110: guide roller
120: second guide bracket
130: first guide bracket
133: connection arm
140: Support frame
1051: second hinge portion
1031: flange portion
1303:

Claims (9)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을 가이드 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물 바닥면에 시공되어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힌지부에 힌지결합하고, 상기 제1 힌지부로부터 양측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각각 제2 힌지부가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브라켓;
양측 단부에 각각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2 힌지부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제2 가이드 브라켓;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제1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An apparatus for guiding a compensation chain of an elevator,
A supporting fram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guide bracket hinged to a first hinge portion formed o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formed to have lengths on both sides from the first hinge portion and having second hinge portions formed 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 second guide bracket hing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first adjuster for adjusting an angle at which the first guide bracket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portion; And
And a second adjuster for adjusting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guide bracket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제1 힌지부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justment portion is a motor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의 제1 힌지부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을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first hinge portion of the first guide bracket to rotate the first guide bracket in a manner of pushing or pulling the first guide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제2 가이드 브라켓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air of guide rollers provided on the one second guide bracket form a predetermined g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제2 힌지부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부인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adjustment portion is a second motor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에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보상체인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를 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wo sensing units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guide bracket for sensing the shaking of the compensation chain; And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an angle between the first guide bracket and the second guide bracket in a manner of attenuating a shake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sensed by the sens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를 파동 신호와 스웨이 신호로 구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n analyzer for separating the swing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into a swing signal and a swing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부를 통하여 분석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가 스웨이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여 감쇄시키고, 상기 분석부를 통하여 분석된 보상체인의 흔들림 신호가 파동 신호인 경우 상기 제2 가이드 브라켓의 각도를 조절하여 감쇄시키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ttenuates the first guide bracket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guide bracket when the swing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unit is a swing signal and if the swing signal of the compensation chain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unit is a wave signal, 2 An elevator compensation chain guide device that attenuates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guide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회전 양방향으로 상기 제2 힌지부가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지지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includes an impact absorb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cond hinge portion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in both rotational directions.
KR1020180076395A 2018-07-02 2018-07-02 Guide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in of elevator KR1019214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95A KR101921453B1 (en) 2018-07-02 2018-07-02 Guide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in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95A KR101921453B1 (en) 2018-07-02 2018-07-02 Guide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in of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453B1 true KR101921453B1 (en) 2018-11-22

Family

ID=6455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395A KR101921453B1 (en) 2018-07-02 2018-07-02 Guide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in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45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201B1 (en) 2012-11-15 2013-07-02 케이이앤씨(주) Guide apparatus for compen chain of elevator
KR101835075B1 (en) 2016-11-24 2018-03-07 이희곤 A tracking apparatus for solar photovoltaic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201B1 (en) 2012-11-15 2013-07-02 케이이앤씨(주) Guide apparatus for compen chain of elevator
KR101835075B1 (en) 2016-11-24 2018-03-07 이희곤 A tracking apparatus for solar photovolta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537B1 (en) Elevator
JP5240687B2 (en) Elevator rope steady rest
US9359172B2 (en) Elevator rope sway detection and damping
JP5902405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8013309A (en) Tensioner of governor device for elevator
JP4252330B2 (en) Elevator rope damping device
JP4442941B2 (en) Elevator equipment
JP4208538B2 (en) Cable guide device for elevator balance compensation
JPH06100273A (en) Vibration preventing device for elevator
JP2001048451A (en) Elevator device
KR101281201B1 (en) Guide apparatus for compen chain of elevator
MXPA05005630A (en) Self-centering device for compensation ropes or chains of anelevator.
KR101921453B1 (en) Guide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in of elevator
KR101921454B1 (en) Guide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in of elevator
JP3868789B2 (en) Elevator equipment
US11440774B2 (en) Elevator roping sway damper assembly
JPH09151059A (en) Elevator device
JP6449179B2 (en) Elevator
JP2002179355A (en) Elevator
JP3738985B2 (en) Draft chamber
JP2007031056A (en) Elevator and its hoisting rope guiding device
JP2760676B2 (en) High-speed elevator
JPH0351285A (en) Balance adjusting device of elevator cage
JP2002179356A (en) Elevator
JPH11139718A (en) Main rope deflection stopping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