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245B1 - 전조 다이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조 다이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245B1
KR101921245B1 KR1020180112555A KR20180112555A KR101921245B1 KR 101921245 B1 KR101921245 B1 KR 101921245B1 KR 1020180112555 A KR1020180112555 A KR 1020180112555A KR 20180112555 A KR20180112555 A KR 20180112555A KR 101921245 B1 KR101921245 B1 KR 10192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 plate
rolling
gear member
gear
thicknes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김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희 filed Critical 김종희
Priority to KR102018011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6Making by means of profiled members other than rolls, e.g. reciprocating flat dies or jaws, moved longitudinally or curvilinear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bstract

본 발명은 전조 다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퍼 플레이트의 진퇴에 의하여 전조 다이스의 돌출 높이가 조정되는 전조 다이스 조립체에 있어서, 테이퍼 플레이트의 처짐을 저지하기 위하여 테이퍼 플레이트를 툴 홀더에 고정하는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를 마련하여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어떠한 자세로 배치하더라도 안정적이고 정밀한 전조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Description

전조 다이스 조립체{ROLL FORMING DIES ASSEMBLY}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조기에 장착되는 전조 다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형 전조 다이스를 이용하는 전조기에 있어서 제품의 치수 및 공차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조 다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조가공(roll forming)이란 소성가공의 한 종류로서 금속 등을 절삭하지 않고 전조 다이스(rolling dies)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가공 방법이다. 전조가공을 이용하면 가공 소재의 표면에 전조 다이스의 형상을 정밀하게 새겨넣을 수 있다.
전조가공에 이용되는 전조 다이스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실린더형 전조 다이스(sylinderical dies)이고, 다른 하나는 평판형 전조 다이스(rack dies or flat dies)이다.
실린더형 전조 다이스는 가공소재를 전조 다이스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전조 다이스를 목표한 가공 치수에 맞추어 가압한 상태로 전조 다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조가공이 이루어진다. 실린더형 전조 다이스를 이용하면 긴 환봉 형태의 가공 소재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전조가공할 수 있다.
평판형 전조 다이스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전조 다이스 사이에 가공소재를 위치시키고 한 쌍의 전조 다이스를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대향되게 이동시킴으로써 전조가공이 이루어진다. 평판형 전조 다이스를 이용하면 스크루(screw), 스플라인(spline), 세레이션(serration) 등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실린더형 전조 다이스를 이용하는 전조기는 전조 다이스를 가압 이동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전조 다이스를 이동시키면서 전조가공이 이루어지나, 평판형 전조 다이스를 이용하는 전조기는 마주보는 전조 다이스의 간격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조가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공 치수나 가공 공차 등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마주보는 전조 다이스의 돌출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이어서, 평판형 전조 다이스를 이용하는 전조기의 구체적인 구조와, 전조 다이스의 돌출 높이를 조정하여 가공 치수나 가공 공차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평판형 전조 다이스를 이용하는 전조기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전조기에 장착된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개념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평판형 전조 다이스를 이용하는 전조기는, 서로 마주보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칼럼(10, column)과 슬라이더 베드(20, slider bed), 슬라이더 베드(20)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더(30, slider), 그리고 슬라이더(30)에 고정되어 슬라이더(3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왕복하는 전조 다이스 조립체(40)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조 다이스 조립체(40)는, 슬라이더(30)에 고정되는 툴 홀더(41, tool hoder)와, 툴 홀더(41)에 고정되는 평판 형태의 전조 다이스(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툴 홀더(41)와 전조 다이스(42)의 사이에는 전조 다이스(42)의 돌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테이퍼 플레이트(43, taper plate)가 마련된다. 그리고 툴 홀더(41)에는 테이퍼 플레이트(43)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조 다이스(42)의 돌출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볼트(44)가 마련된다.
전조 다이스(42)는 테이퍼 플레이트(43)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사이드 클램프(45, side clamp) 및 웨지 클램프(46, wedge clamp) 등의 고정장치를 통하여 툴 홀더(41)에 고정된다.
종래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40)에서 전조 다이스(42)의 돌출 높이를 조정하여 제품의 가공 치수나 가공 공차를 조절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이드 클램프(45)와 웨지 클램프(46)의 볼트를 푼다. 그리고 돌출 높이를 조정하고자 하는 전조 다이스(42)의 조정볼트(44)를 눈금자(47)를 참조하여 조작하여 테이퍼 플레이트(43)를 이동시킨다. 테이퍼 플레이트(43)가 이동되면 테이퍼 플레이트(43)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전조 다이스(42)의 돌출된 높이가 조정된다.
전조 다이스(42)의 돌출 높이를 조정한 다음, 사이드 클램프(45)와 웨지 클램프(46)의 볼트를 조여서 전조 다이스(42)를 툴 홀더(41)에 고정시킨다. 다음, 가공 소재를 시험 전조하여 전조된 제품의 O.P.D(over pin diameter)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근거로 가공 치수나 가공 공차가 목표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의 과정을 반복한다.
조정볼트(44)는 테이퍼 플레이트(43)를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매우 정밀하게 제작되나, 아무리 정밀한 조정볼트라도 치합부가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이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백래시(backlash)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백래시에 의해 가감되는 오차를 고려하여 조정볼트(43)를 조이거나 풀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40)에서 전조 다이스(42)의 돌출 높이는 작업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차례 시행착오를 거치며 조정되므로 제품 생산을 시작하기 위한 세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개선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9297호 "전조 다이스 조립체"(2017.11.14. 등록)를 제안한 바 있다.
개선된 전조 다이스 조립체에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를 툴 홀더 및 조정볼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와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압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조정볼트의 백래시(backlash)로 인한 오차를 줄이고 전조 다이스의 돌출된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개선된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경우에도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자세에 따라서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달라지게 되므로,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를 조정볼트를 향하여 일정한 가압력으로 밀착시키지 못할 수 있다. 즉,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자세에 따라서 백래시로 인한 오차가 완전히 보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상하로 배치하여 수평 전조하는 경우,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상부에 배치되는 전조 다이서 조립체의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만약,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가 가압 고정수단의 가압력을 초과하여 하방으로 처지게 되면, 조정볼트에 의한 백래시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정밀한 전조가공이 불가능해진다.
물론, 탄성부재인 가압 고정수단의 가압력을 증가시키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와 이에 결합되는 전조 다이스를 강한 힘으로 고정하여 하방으로 처지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압 고정수단의 가압력을 증가시키면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와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원활하게 미끄러지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정볼트용 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면 조정볼트용 모터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37014호 "나사전조기의 다이스결합체"(2002.05.1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9297호 "전조 다이스 조립체"(2017.11.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조 다이스의 돌출된 높이를 조절한 이후 전조 다이스가 툴 홀더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자세에 상관없이 백래시(backlash)에 의한 오차가 완전히 보정되는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조기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왕복하며 봉형 소재를 전조성형하는 전조 다이스 조립체에 있어서 : 길이방향으로 왕복하는 전조기의 슬라이더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두께방향으로 기어부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상기 기어부재 수용부와 연통되는 샤프트 관통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툴 홀더 바디, 상기 툴 홀더 바디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2가이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툴 홀더(tool holder) ; 두께방향 일측이 상기 툴 홀더 바디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마련되되, 두께방향 타측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되고, 상기 기어부재 수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기어부재용 장공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lower taper plate) ; 두께방향 일측에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의 제1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역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이 상기 제1경사면에 접하도록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의 두께방향 타측에 배치되되, 두께방향 타측에 두께방향 일측을 향하여 함몰된 헤드 수용부와 상기 헤드 수용부에서 두께방향 일측으로 관통된 기어부재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기어부재 삽입부가 상기 기어부재용 장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진퇴시 상기 제1,2가이드 커버에 안내되어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upper taper plate) ; 상기 툴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를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를 향하여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가압 고정수단 ; 상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와 함께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전조 다이스 ; 상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전조 다이스를 상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전조 다이스 고정수단 ;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를 진퇴시키기 위한 조정볼트 ; 상기 조정볼트를 자동으로 조이거나 풀기 위한 조정볼트용 모터 ; 상기 툴 홀더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마련되되 길이방향으로 제1랙기어가 형성되는 제1기어부재, 상기 제1기어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진퇴장치, 상기 기어부재용 장공을 관통하도록 두께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부에 상기 기어부재 삽입부의 헤드 수용부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헤드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기어부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랙기어가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기어부재, 상기 제1랙기어 및 상기 제2랙기어에 각각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샤프트 관통공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에 상기 제1랙기어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기어가 마련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랙기어에 치합되는 제2피니언기어가 마련되는 기어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 삽입부의 헤드 수용부는 다각 기둥 형태의 공간이며, 상기 헤드 수용부에 수용되는 걸림헤드는 상기 헤드 수용부에 대응되는 다각 기둥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와 이에 고정되는 전조 다이스를 툴 홀더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뒤집힌 상태로 배치하더라도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 및 전조 다이스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어떠한 자세로 배치하더라도 정밀하고 안정적인 전조가공이 가능하며, 이와 더불어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에 의한 잠금상태를 간단히 해제하여 전조 다이스의 돌출된 높이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평판형 전조 다이스를 이용하는 전조기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전조기에 장착된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개념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툴 홀더 바디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4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길이방향 개념 단면도,
도 13은 도 4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폭방향 개념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툴 홀더 바디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6의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4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길이방향 개념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4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폭방향 개념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1의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전조기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왕복하며 봉형 소재를 전조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전조 다이스의 돌출된 높이를 자동으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완전히 자동화된 전조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전조 다이스의 돌출된 높이가 조정된 상태에서 전조 다이스가 툴 홀더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자세에 상관없이 정밀한 전조가공이 가능한다.
본 실시례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수직형 전조기인 카운터 플로우 머신(COUNTER FLOW MACHINE) 또는 수평형 전조기인 로토-플로 머신(ROTO-FLO MACHINE)에 모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툴 홀더(tool holder, 100),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lower taper plate, 200),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upper taper plate, 300), 탄성가압 고정수단(400), 전조 다이스(500), 조정볼트(600), 조정볼트용 모터(700),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 그리고 전조 다이스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요소는 결합구멍과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결합볼트를 통하여 결합되며,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주요부와의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결합볼트 및 결합구멍을 생략하였다. 설명이 필요한 일부 결합볼트 및 결합구멍은 도면부호와 함께 별도로 설명하였다.
본 실시례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왕복전조 가능하도록 2개의 전조 다이스(5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실시례에 따라서 전조 다이스(500)가 하나만 마련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툴 홀더(100)가 마련된다. 툴 홀더(100)는 길이방향으로 왕복하는 전조기의 슬라이더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서,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 전조 다이스(500), 조정볼트(600), 조정볼트용 모터(700),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 등이 고정되는 프레임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의 툴 홀더(100)는, 툴 홀더 바디(110), 제1가이드 커버(120), 그리고 제2가이드 커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툴 홀더 바디(110)는 'ㄴ'자로 꺾인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4개의 고정볼트용 결합공(111a)이 형성되는 바닥부(111)와, 바닥부(11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벽부(112)로 이루어진다.
툴 홀더 바디(110)의 바닥부(111)에는 후술할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의 제2기어부재(820)를 수용하기 위한 기어부재 수용부(111b)가 형성된다. 기어부재 수용부(111b)는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의 형태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기어부재 수용부(111b)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툴 홀더 바디(110)의 바닥부(111)에는 후술할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의 기어 샤프트(830)가 관통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2개의 샤프트 관통공(111c)이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각각의 샤프트 관통공(111c)은 기어부재 수용부(111b)에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가이드 커버(120)는 툴 홀더 바디(1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제1가이드 커버(120)에는 툴 홀더 바디(110)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향하는 면에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가 진퇴할 수 있도록 제1진퇴공간(121)이 형성되며, 제1진퇴공간(121)을 향하여 관통되는 조정볼트 관통공(122)이 형성된다.
제2가이드 커버(130)는 툴 홀더 바디(11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제2가이드 커버(130)에는 툴 홀더 바디(110)의 길이방향 타단부를 향하는 면에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가 진퇴할 수 있도록 제2진퇴공간(131)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 커버(120)와 제2가이드 커버(130)는 결합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각각 툴 홀더 바디(110)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제1가이드 커버(120)에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접촉되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두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스페이서(140)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2가이드 커버(130)에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접촉되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두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 스페이서(150)가 마련된다.
제1가이드 스페이서(140) 및 제2가이드 스페이서(150)는 결합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가이드 커버(120) 및 제2가이드 커버(130)에 각각 결합된다.
툴 홀더(100)에는 두께방향 일측이 툴 홀더 바디(110)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가 마련된다.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두께방향 타측에는 일정한 기울기의 제1경사면(S1)이 형성된다. 즉,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 커버(130)를 향하여 점점 두께가 감소하는 쐐기 형태이다.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복수의 고정볼트용 장공(210)이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고정볼트용 장공(210)은 후술할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의 고정부재인 고정볼트(420)가 관통되는 부위로서, 고정볼트(420)가 관통된 상태에서도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가 길이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다.
로어 테이퍼 를레이트(20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2개의 기어부재용 장공(220)이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기어부재용 장공(220)은 후술할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의 제2기어부재(820)가 관통되는 부위로서, 제2기어부재(820)가 관통된 상태에서도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가 길이방향으로 진퇴할 수 있다. 기어부재용 장공(220)은 툴 홀더 바디(110)의 기어부재 수용부(111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조정볼트(600)가 결합되기 위한 조정볼트 결합부(230)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조정볼트 결합부(230)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너트부재이다.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두께방향 타측에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가 마련된다.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두께방향 일측에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제1경사면(S1)에 대응되도록 역경사진 제2경사면(S2)이 형성된다.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는 제2경사면(S2)이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제1경사면(S1)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제1가이드 커버(120)에 고정되는 제1가이드 스페이서(140)에 접촉되며, 길이방향 타단부는 제2가이드 커버(130)에 고정되는 제2가이드 스페이서(150)에 접촉된다.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키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제2경사면(S2)이 제1경사면(S1)을 따라서 미끌어지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가 두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2가이드 커버(120,130)와 이에 결합되는 제1,2가이드 스페이서(140,150)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를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는 두께방향 타측에서 두께방향 일측을 향하여 함몰된 스프링 수용부(311)와 스프링 수용부(311)에서 두께방향 일측으로 관통된 고정볼트 관통공(312)으로 이루어지는 탄성가압 고정수단 삽입부(310)가 형성된다.
탄성가압 고정수단 삽입부(310)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탄성가압 고정수단 삽입부(310)의 고정볼트 관통공(312)은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고정볼트용 장공(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의 고정볼트(420)는 고정볼트 관통공(312)과 고정볼트용 장공(210)을 관통한 상태로 툴 홀더 바디(110)에 고정된다. 고정볼트(4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고정볼트용 장공(210)을 통과하므로 고정볼트(420)가 관통된 상태에서도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는 두께방향 타측에서 두께방향 일측을 향하여 함몰된 헤드 수용부(321)와 헤드 수용부(321)에서 두께방향 일측으로 관통된 기어부재 관통공(322)으로 이루어지는 기어부재 삽입부(320)가 형성된다.
기어부재 삽입부(320)의 헤드 수용부(321)는 후술할 제2기어부재(820)의 걸림헤드(822)가 회전하지 않고 두께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헤드 수용부(321)는 사각 기둥 형태의 공간이다.
기어부재 삽입부(320)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기어부재용 장공(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의 제2기어부재(820)는 기어부재 관통공(322)과 기어부재용 장공(220)을 관통한 상태로 기어부재 수용부(111b)에 수용된다. 제2기어부재(8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기어부재용 장공(220)을 통과하므로 제2기어부재(320)가 관통된 상태에서도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폭방향 일측에는 전조 다이스(500)의 폭방향 일측을 지지하는 사이드 지지대(3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사이드 지지대(330)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폭방향 일측에서 'ㄴ'자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사이드 지지대(330)는 전조 다이스(500)를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 고정할 때 전조 다이스(500)의 폭방향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이드 지지대(330)에는 폭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클램프용 볼트 결합공(331)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사이드 지지대(330)에는 전조 다이스(500)의 폭바향 일측에 접촉되기 위한 사이드 스페이서(350)가 마련된다. 사이드 스페이서(350)는 결합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이드 지지대(330)의 전조 다이스(500)를 향하는 측면에 결합된다.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두께방향 타측에는 전조 다이스(500)를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 고정하기 위한 제1,2고정블록(341,342)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블록 결합홈(340)이 형성된다. 고정블록 결합홈(340)은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앞서 간략하게 언급한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은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를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향하여 탄성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인 스프링(410)과, 툴 홀더(100)에 고정된 상태로 스프링(410)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인 고정볼트(420)로 이루어진다.
스프링(410)은 일단부가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 지지되도록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스프링 수용부(311)에 삽입된다. 고정볼트(420)는 볼트헤드가 형성되어 있는 일단부가 스프링(410)의 타단부에 걸리도록 스프링(4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볼트 관통공(312) 및 고정볼트용 장공(210)에 삽입되며, 타단부가 툴 홀더 바디(110)의 고정볼트용 결합공(111a)에 결합된다.
고정볼트(420)가 스프링(410)을 관통한 상태로 툴 홀더 바디(110)에 결합될 때 스프링(4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와셔(430)가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이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이 결합되면 고정볼트(420)에 지지된 스프링(410)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를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향하여 탄성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진퇴에 상관없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는 제1가이드 커버(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툴 홀더(100)에는 툴 홀더(100)에 안착되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진퇴 및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두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테이퍼 플레이트 가이드(160)가 더 마련된다. 테이퍼 플레이트 가이드(160)는 툴 홀더 바디(110)의 폭방향 측면(도면상에서 전면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테이퍼 플레이트 가이드(160)가 마련된다. 어느 하나의 테이퍼 플레이트 가이드(160)는 툴 홀더 바디(1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 커버(120)에 겹쳐지도로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테이퍼 플레이트 가이드(160)는 툴 홀더 바디(11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 커버(130)에 겹쳐지도록 결합된다.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두께방향 타측(도면상에서 상면)에는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된 판 형태의 다이스 스페이서(360)가 결합된다. 그리고 다이스 스페이서(360)의 상면에 전조 다이스(500)가 결합된다.
전조 다이스(500)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 결합되는 전조 다이스 고정수단에 의하여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 고정되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와 함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조 다이스 고정수단은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고정블록 결합홈(340)에 결합되는 제1,2고정블록(341,342)과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폭방향 측면에 마련되어 전조 다이스(500)의 폭방향 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 클램프(370), 그리고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사이드 지지대(330)와 사이드 클램플(370)를 폭방향으로 결속하여 그 사이에 전조 다이스(500)를 고정하는 결속볼트(380)로 이루어진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에는 전조 다이스(500)가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 쌍의 전조 다이스(500) 사이에는 전조 다이스(500)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중간 스페이서(390)가 삽입된다.
중간 스페이서(390)가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전조 다이스(500)는 다이스 스페이서(36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그리고 제1,2고정블록(341,342)에 의하여 전조 다이스(500) 및 중간 스페이서(39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 고정된다.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사이드 지지대(330)와 사이드 클램프(370)를 관통하여 폭방향으로 결합되는 결속볼트(380)에 의하여 전조 다이스(500)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 고정된다.
이때, 결속볼트(380)는 사이드 지지대(330)의 클램프용 볼트 결합공(331)으로 삽입되어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된 다이스 스페이서(360)의 사이를 지나 사이드 클램프(37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제1,2고정블록(341,342), 사이드 클램프(370) 그리고 결속볼트(380)로 이루어지는 전조 다이스 고정수단과 이들에 의한 전조 다이스(500)의 결합 형태는 일례일 뿐이며, 이는 실시례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전조 다이스 고정수단인 제1,2고정블록(341,342) 및 사이드 클램프(370) 및 결속볼트(380)를 각각 분리하지 않고도 전조 다이스(500)를 두께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조 다이스(500)의 돌출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전조 다이스(500)의 돌출된 높이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킴으로서 조정된다. 이를 위하여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조정볼트(600)와, 조정볼트(600)를 자동으로 조이거나 풀기 위한 조정볼트용 모터(700)가 마련된다.
조정볼트(600)는 조정볼트용 브래킷(610)에 의하여 제1가이드 커버(120)의 조정볼트 관통공(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정볼트(600)의 일단부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조정볼트 결합부(230)에 나사결합된다. 조정볼트(600)의 타단부는 모터용 브래킷(710)에 의하여 제1가이드 커버(120)에 고정되는 조정볼트용 모터(700)에 결합된다.
조정볼트용 모터(700)는 로터의 회전 각도가 정밀하게 제어되는 서보모터이다. 조정볼트용 모터(700)를 이용하여 조정볼트(600)를 회전시키면 조정볼트(600)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진퇴하게 된다.
조정볼트(600)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조정볼트 결합부(230)에 나사결합되며, 나사결합 방식의 특성상 결합부위에 백래시(backlash)에 의한 이격이 발생된다. 이는 조정볼트(600)를 통한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위치 조정시 오차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례에 의한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는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에 의하여 탄성 가압되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와 제1,2경사면(S1,S2)의 경사진 접촉 형태로 인하여 제1가이드 커버(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따라서 조정볼트(600)와 조정볼트 결합부(230)의 치합면에 이격이 발생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례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의 탄성 가압에 의하여 백래시에 의한 오차가 보정되므로,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정밀하게 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한 번에 원하는 수치에 맞추어 전조 다이스(500)의 돌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수치적으로 정밀하게 조작될 수 있으므로 펄스 신호에 의해서 정밀하게 회전되는 서보모터인 조정볼트용 모터(700)를 이용하여 조정볼트(600)를 조이거나 풀면 전조 다이스의 돌출 높이를 정밀하게 자동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의한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에 의하여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와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가 가압 고정되어 있다.
두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좌우로 배치하여 수평전조하는 경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와 이에 결합되는 전조 다이스(500)는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의 가압력에 의하여 제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나 두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상하로 배치한 상태로 수평전조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전조 다이스 조립체는 하부에 위치한 전조 다이스 조립체와는 달리 뒤집어진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뒤집어진 상태로 상부에 배치된 전조 다이스 조립체의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와 전조 다이스(500)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지게 된다. 즉, 탄성가압 고정수단(400)의 가압력만으로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와 전조 다이스(50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례에 의한 전조 다이스 조립체에는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가 더 마련된다.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를 두께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조 다이스(500)의 돌출된 높이를 조정한 후,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와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를 툴 홀더(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는 제1기어부재(810), 제2기어부재(820), 기어 샤프트(830), 진퇴장치(8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기어부재(810)는 툴 홀더(100)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마련되며, 두께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제1랙기어(811)가 형성되어 있다,
제1기어부재(810)는 가이드부재 브래킷(870)에 의하여 툴 홀더(100)의 측벽부(112)에 고정되는 선형 가이드부재(850)에 결합된다. 선형 가이드부재(850)는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LM가이드로서 선형 가이드부재(850)의 가이드블록(851)이 가이드부재 브래킷(870)에 고정되고 선형 가이드부재(850)의 가이드레일(852)이 제1기어부재(810)의 두께방향 타측에 결합된다.
제1기어부재(810)는 진퇴장치(840)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작동된다. 본 실시례의 진퇴장치(840)는 공압실린더이며 이는 실시례에 따라서 모터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진퇴장치(840)는 진퇴장치 브래킷(860)에 의하여 툴 홀더(100)의 측벽부(112)에 고정되며, 제1기어부재(810)의 진퇴장치 결합부(812)에 결합되어 제1기어부재(810)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킨다.
제2기어부재(820)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에 결합되어 어퍼 테이퍼 프레이트(300)를 두께방향 일측으로 당기기 위한 것이다. 제2기어부재(820)는 일단부에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기어부재 삽입부(320)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헤드(82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랙기어(811)에 수직으로 교차되는 제2랙기어(8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기어부재(820)의 걸림헤드(822)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걸림헤드(822)는 사각 기둥 형태의 공간인 헤드 수용부(321)에 맞추어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헤드(822)의 형태는 제2기어부재(820)가 회전되지 않고 두께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하여 제2랙기어(821)의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한다.
제2기어부재(820)는 걸림헤드(822)가 헤드 수용부(321)에 수용되도록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기어부재 삽입부(320)에 삽입된다. 제2기어부재(820)의 타단부는 기어부재 삽입부(320)의 기어부재 관통공(322)과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기어부재용 장공(220)을 차례로 통과하여 툴 홀더(100)의 기어부재 수용부(111b)에 수용된다.
제2기어부재(820)를 두께방향 일측을 향하여 당기면, 도 14의 (a)와 같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를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에 밀착시켜 툴 홀더(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2기어부재(820)를 두께방향 타측을 향하여 밀면, 도 14의 (b)와 같이 제2기어부재(820)의 걸림헤드(822)가 기어부재 삽입부(320)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해제되어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를 두께방향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2기어부재(820)에 의하여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로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를 두께방향 타측으로 밀어올릴 수 있게 된다.
기어 샤프트(830)는 제1기어부재(810)와 제2기어부재(820)를 연결하여 제1기어부재(810)의 움직임을 제2기어부재(82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기어 샤프트(830)는 제1랙기어(811) 및 제2랙기어(821)에 각각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마련된다. 즉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랙기어(811)와 두께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랙기어(821)에 각각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기어 샤프트(830)가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기어 샤프트(830)는 툴 홀더(100)의 샤프트 관통공(111c)에 설치된다. 샤프트 관통공(111c)에는 부싱베어링(880)이 마련되어 기어 샤프트(8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기어 샤프트(830)의 일단부에는 제1랙기어(811)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기어(831)가 마련되고, 기어 샤프트(830)의 타단부에는 제2랙기어(821)에 치합되는 제2피니언기어(832)가 마련된다. 제2피니언 기어(832)는 기어부재 수용부(111b)에 수용된 상태로 제2랙기어(821)에 치합된다.
진퇴장치(840)가 제1기어부재(810)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키면 제1랙기어(811)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기어(831)를 통하여 기어 샤프트(830)가 회전하게 되고, 기어 샤프트(830)가 회전되면 기어 샤프트(830)의 제2피니언기어(832)에 치합되는 제2랙기어(821)를 통하여 제2기어부재(820)가 두께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진퇴장치(840)를 구동하여 제1기어부재(810)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키면, 제2기어부재(820)를 두께방향으로 이동시켜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 및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툴 홀더(100)에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전조 다이스(500)의 돌출된 높이를 조정한 이후,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800)를 이용하여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 및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를 잠가서 고정하면, 전조 다이스(500)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전조 다이스 조립체가 어떤 자세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정밀하고 안정적인 전조가공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진퇴장치(840)를 구동하여 제1기어부재(8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 및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전조 다이스(500)의 돌출된 높이 또한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전조 다이스 조립체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진퇴장치(840)를 구동하여 제1기어부재(810)를 도 14의 (b)와 같이 전진시킨다. 제1기어부재(810)가 전진되면 제2기어부재(820)가 도면상에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 및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잠금상태가 해제된 이후, 조정볼트용 모터(700)를 구동하여 전조 다이스(500)의 돌출된 높이를 조정한다.
이후, 진퇴장치(840)를 구동하여 제2기어부재(810)를 도 14의 (a)와 같이 후퇴시킨다. 제1기어부재(810)가 후퇴되면 제2기어부재(820)가 도면상에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200) 및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300)가 잠겨서 고정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툴 홀더 111b : 기어부재 수용부
111c : 샤프트 관통공
120 : 제1가이드 커버
130 : 제2가이드 커버
200 :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 S1 : 제1경사면
220 : 기어부재용 장공
300 :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 S2 : 제2경사면
320 : 기어부재 삽입부 321 : 헤드 수용부
322 : 기어부재 관통공
400 : 탄성가압 고정수단
500 : 전조 다이스
600 : 조정볼트
700 : 조정볼트용 모터
800 :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 810 : 제1기어부재
811 : 제1랙기어 820 : 제2기어부재
821 : 제2랙기어 822 : 걸림헤드
830 : 기어 샤프트 831 : 제1피니언기어
832 : 제2피니언기어 840 : 진퇴장치

Claims (2)

  1. 전조기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왕복하며 봉형 소재를 전조성형하는 전조 다이스 조립체에 있어서 :
    길이방향으로 왕복하는 전조기의 슬라이더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두께방향으로 기어부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상기 기어부재 수용부와 연통되는 샤프트 관통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툴 홀더 바디, 상기 툴 홀더 바디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2가이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툴 홀더(tool holder) ;
    두께방향 일측이 상기 툴 홀더 바디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마련되되, 두께방향 타측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되고, 상기 기어부재 수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기어부재용 장공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lower taper plate) ;
    두께방향 일측에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의 제1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역경사진 제2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이 상기 제1경사면에 접하도록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의 두께방향 타측에 배치되되, 두께방향 타측에 두께방향 일측을 향하여 함몰된 헤드 수용부와 상기 헤드 수용부에서 두께방향 일측으로 관통된 기어부재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기어부재 삽입부가 상기 기어부재용 장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진퇴시 상기 제1,2가이드 커버에 안내되어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upper taper plate) ;
    상기 툴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를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를 향하여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가압 고정수단 ;
    상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와 함께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전조 다이스 ;
    상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전조 다이스를 상기 어퍼 테이퍼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전조 다이스 고정수단 ;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로어 테이퍼 플레이트를 진퇴시키기 위한 조정볼트 ;
    상기 조정볼트를 자동으로 조이거나 풀기 위한 조정볼트용 모터 ;
    상기 툴 홀더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마련되되 길이방향으로 제1랙기어가 형성되는 제1기어부재, 상기 제1기어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진퇴시키기 위한 진퇴장치, 상기 기어부재용 장공을 관통하도록 두께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부에 상기 기어부재 삽입부의 헤드 수용부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헤드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기어부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랙기어가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기어부재, 상기 제1랙기어 및 상기 제2랙기어에 각각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상기 샤프트 관통공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부에 상기 제1랙기어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기어가 마련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랙기어에 치합되는 제2피니언기어가 마련되는 기어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퍼 플레이트 잠금장치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 다이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 삽입부의 헤드 수용부는 다각 기둥 형태의 공간이며, 상기 헤드 수용부에 수용되는 걸림헤드는 상기 헤드 수용부에 대응되는 다각 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 다이스 조립체.
KR1020180112555A 2018-09-20 2018-09-20 전조 다이스 조립체 KR10192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55A KR101921245B1 (ko) 2018-09-20 2018-09-20 전조 다이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55A KR101921245B1 (ko) 2018-09-20 2018-09-20 전조 다이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245B1 true KR101921245B1 (ko) 2018-11-22

Family

ID=6455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555A KR101921245B1 (ko) 2018-09-20 2018-09-20 전조 다이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0006A (zh) * 2020-03-12 2020-06-05 海盐县精兴模具有限公司 一种搓丝板装夹器
EP4272887A1 (de) * 2022-05-03 2023-11-08 OSG Ex-Cell-O GmbH Werkzeugeinheit für eine kaltwalzmas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297B1 (ko) 2017-09-19 2017-11-20 김종희 전조 다이스 조립체
KR101901096B1 (ko) 2018-04-11 2018-09-20 서울산업(주) 전조 랙다이스 세팅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297B1 (ko) 2017-09-19 2017-11-20 김종희 전조 다이스 조립체
KR101901096B1 (ko) 2018-04-11 2018-09-20 서울산업(주) 전조 랙다이스 세팅 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0006A (zh) * 2020-03-12 2020-06-05 海盐县精兴模具有限公司 一种搓丝板装夹器
EP4272887A1 (de) * 2022-05-03 2023-11-08 OSG Ex-Cell-O GmbH Werkzeugeinheit für eine kaltwalzmaschine
DE102022110872A1 (de) 2022-05-03 2023-11-09 Osg Ex-Cell-O Gmbh Werkzeugeinheit für eine Kaltwalzmas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245B1 (ko) 전조 다이스 조립체
EP3504016B1 (en) Thread rolling assembly
US9095958B2 (en) Self centering dual direction clamping vise
KR101799297B1 (ko) 전조 다이스 조립체
DE102019004527A1 (de) Vorrichtung zum Spannen von Werkstücken für Bearbeitungszentren
US9162291B2 (en) Tool head for use in machine tools
DE202008006667U1 (de) Drehmaschine und Vertikalschlitten-Baugruppe für eine Drehmaschine
EP3238848B1 (de) Verfahren zum ausgleich eines fertigungsbedingten versatzes bei einem werkzeugschieber
KR101932193B1 (ko) 홀 마감가공장치
US20040007034A1 (en) Cold rolling machine
US20210379675A1 (en) Tooling fixture
US3498164A (en) Adjustable tool support
EP0767017B1 (de) Nutenstanzmaschine
KR20190035131A (ko) 자동 전조 시스템
KR102012625B1 (ko) 전조 다이스 조립체
DE102019110970B3 (de) Maschinenschraubstock
DE102011052012B4 (de) Werkzeugmaschine
US20210245232A1 (en) Cold roll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ofile on a workpiece
US4754631A (en) Flat die thread roller
EP4225514B1 (de) Verfahren zur überwachung und lageverstellung wenigstens eines laufholms einer metallpresse sowie metallpresse
KR102279320B1 (ko) 로토 프로식 랙 전조기의 다이스 장착 지그
US4583385A (en) Flat die thread roller
EP0894555A2 (de) Profilrollmaschine mit Kraftrahmen
DE60102959T2 (de) Kreissägemaschine zum Sägen von Platten mit stufenloser Verstellung des Spieles zwischen einem Schlitten und seiner Führungsschiene
CN113547348A (zh) 用于零部件加工的辅助装置、零部件的定位方法及铣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