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204B1 -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 - Google Patents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204B1
KR101921204B1 KR1020170072441A KR20170072441A KR101921204B1 KR 101921204 B1 KR101921204 B1 KR 101921204B1 KR 1020170072441 A KR1020170072441 A KR 1020170072441A KR 20170072441 A KR20170072441 A KR 20170072441A KR 101921204 B1 KR101921204 B1 KR 10192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upport
frame
support frame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이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호 filed Critical 이인호
Priority to KR1020170072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5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acting on the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6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acting on the sad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자전거에서 내린 직후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간단히 안장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자전거를 거치시킬 수 있으며 고가의 안장인 경우 도난 방지를 위해 편리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자전거의 앞바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앞바퀴 거치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상방향으로 세워진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늘어지며 하단부에는 자전거 안장을 걸어서 지지해주는 걸이부를 구비한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SADDLE HANGER TYPE BICYCLE HOLDER APPARATUS}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자전거에서 내린 직후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간단히 안장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자전거를 거치시킬 수 있으며 고가의 안장인 경우 도난 방지를 위해 편리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5일근무제 도입으로 주말 여가시간을 할애하여 하이킹을 즐기는 직장인들의 증가와 더불어, 대기오염의 억제 및 자원절약의 일환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권장하고 있는 근거리 교통수단인 자전거의 판매수요가 최근 들어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자전거의 사용이 증감함에 따라 자전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자전거 거치대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자전거(1)의 앞바퀴가 수용되어 자전거(1)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걸이(2a)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거치대(2)와, 상기 거치대(2)의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2)와 수직되게 결합되는 지지대(3)와, 상기 지지대(3)의 상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봉 형상의 받침대(4)와, 상기 받침대(4)의 상부에 안치되는 차광막(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의 자전거 거치대는 여러 대의 자전거를 거치하는 것에 적합하기 때문에 공공장소에 설치하기는 적당하지만 거치대(2)나 지지대(3)의 부피가 큰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이용 공간이 협소한 경우 공간 크기에 맞춰 자전거 하나나 둘을 거치하기 위한 용도로 구성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기술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의 경우 거치걸이(2a)에 대하여 자전거의 앞바퀴를 결속 와이어로 결속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었는데, 이같은 경우 사용자가 자전거에서 내린 후 앞바퀴로 이동하여 쭈그려 앉는 상태로 결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최근 자전거들의 경우 고가의 기능성 안장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기술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의 경우 고가의 안장을 도난으로부터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96706호(2012.08.3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전거에서 내린 직후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간단히 안장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자전거를 거치시킬 수 있으며 고가의 안장인 경우 도난 방지를 위해 편리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자전거의 앞바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앞바퀴 거치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상방향으로 세워진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늘어지며 하단부에는 자전거 안장을 걸어서 지지해주는 걸이부를 구비한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수직하게 늘어진 상태에서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단부가 변위 가능하도록 하며, 하단부에는 자전거 프레임 및 뒷바퀴용 결속 와이어가 관통하는 링형의 제1고리와, 자전거 안장용 결속 와이어가 관통하는 링형의 제2고리가 형성된 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걸이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연장되되, 선단부가 끝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자전거 안장의 하측을 접촉하여 걸어줄 수 있도록 하고 후단부에서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하방으로 오목하게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의 걸이부는 닭발이 뒤집힌 모양이 형상화되어 선단부 끝단이 복수 개로 갈라지며 그 갈라진 부위가 자전거 안장 하측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되,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실리콘으로 코팅되고 그 실리콘 외표면에는 미세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상단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단부에 대하여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걸이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전후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의 베이스 관 한 쌍과, 상기 베이스 관 한 쌍을 연결하여 베이스 관 서로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이격바로 이루어진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관에 대응하여 전후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관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 폭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관 한 쌍과, 상기 슬라이드 관 한 쌍의 중간 지점들을 연결하여 슬라이드 관 서로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이격바로 이루어진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슬라이드 관은 이웃하고 있는 자전거 거치대 지지프레임의 베이스 관 타측 내부에 삽입되어 자전거 거치대들이 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은, 자전거의 앞바퀴 하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한 쌍이 좌우로 이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단부는 하방 경사지게 절곡되어 한 쌍이 서로 만나면서 지면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하방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접합되는 이격관과, 한 쌍이 전후로 이격 배치되며 V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이격관 한 쌍과 접합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이격관 한 쌍 사이로 삽입된 자전거 앞바퀴의 하단부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V자형 지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은 자전거 앞바퀴를 지지하는 높이를 다르게 한 적어도 두 가지 종류로 마련되어 자전거 거치대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키는 경우 적어도 서로 다른 종류의 앞바퀴 거치프레임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관의 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V자형 지지관 한 쌍의 하부에 걸쳐진 상태가 되어 자전거 앞바퀴의 하면을 지지하고,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이격관의 전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가 되어 끝단에 형성된 후크형 고리가 전방으로 이웃하는 자전거 거치대의 지지프레임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V자형 지지관 한 쌍에 걸쳐지는 제1지점과 제2지점의 사이구간이 자전거 앞바퀴 하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 지지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은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다수 개가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지주프레임에는 상방향으로 세워진 수직방향 지주프레임과 상기 수직방향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의 지지를 받으면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 지주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횡방향 지주프레임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다수 개가 나란히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는 자전거에서 내린 직후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간단히 안장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자전거를 거치시킬 수 있으며 고가의 안장인 경우 도난 방지를 위해 편리하게 결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는 설치장소에 맞게 다수의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걸이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걸이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지지프레임과 앞바퀴 거치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지지프레임 간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앞바퀴 거치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앞바퀴 거치프레임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연결부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는 지지프레임(110)과, 앞바퀴 거치프레임(120)과, 지주프레임(130)과, 걸이부재(140)와, 연결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전거 안장을 걸어서 지지 및 결속할 수 있도록 한 상기 걸이부재(140)를 포함하는 독특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자전거에서 내린 직후에 자전거의 앞바퀴를 결속하기 위해 허리를 굽히지 않더라도 간단히 안장을 걸어 지지하고 결속 와이어에 의해 결속하는 것으로 자전거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자전거 프레임과 뒷바퀴를 결속 와이어로 결속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전거 안장까지도 결속 와이어를 사용하여 간단히 결속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기능성 안장인 경우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한다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앞바퀴 거치프레임(120)에 자전거 앞바퀴까지 결속 와이어로 결속하여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걸이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걸이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에서 지지프레임과 앞바퀴 거치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넓은 면적으로 지면에 대하여 자전거 거치대 전체를 쓰러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지지프레임(111)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11)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10) 좌우 폭을 넓히기도 하고 좁히기도 하는 제2지지프레임(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1)은 전후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의 베이스 관(111a) 한 쌍과, 상기 베이스 관(111a) 한 쌍의 좌편 간을 연결하고 우편 간을 연결하여 베이스 관(111a)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한 쌍의 제1이격바(11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112)은 슬라이드 관(112a) 한 쌍과 상기 슬라이드 관(112a) 한 쌍의 중간 지점들을 연결하여 슬라이드 관(112a) 서로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이격바(1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관(112a)은 제1지지프레임(111)의 베이스 관(111a)에 대응하여 전후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 관(111a)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제2지지프레임(112)이 제1지지프레임(111)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면 전술된 것처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 폭을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베이스 관(111a)의 각 단부들에는 상기 슬라이드 관(112a)을 고정하기 위한 압박용 볼트(111c)가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슬라이드 관(112a)은 이웃하고 있는 동종의 자전거 거치대에 대해서도 그 지지프레임의 베이스 관 타측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자전거 거치대들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프레임(110)들의 연결을 통해 횡방향(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자전거 거치대들을 간단히 연결하는 방식에 의해 설치규모를 점진적으로 확장해나가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자전거 거치대들이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10) 하나의 좌우 폭이 넓지 않아도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 폭을 최소화하여 서로 연결시켜준다.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120)은 자전거의 앞바퀴를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12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전단부 중간 지점에 접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한 쌍의 이격관(121)과 한 쌍의 V자형 지지관(1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120)의 이격관(121)은 자전거의 앞바퀴 하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한 쌍이 좌우로 이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단부는 하방 경사지게 절곡되어 서로 만나면서 지면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하방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접합된다. 상기 이격관(121)에는 결속 와이어를 사용하여 자전거 앞바퀴를 결속할 수 있도록 한 원형의 보조 고리(123)가 설치된다.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120)의 V자형 지지관(122)은 한 쌍이 전후로 이격 배치되며 V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이격관(121) 한 쌍과 접합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이격관(121) 한 쌍 사이로 삽입되는 자전거 앞바퀴(T)의 하단부를 안착시켜 지지한다. 이같은 V자형 지지관(122)의 경우 도 8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V자형 구조에 의해 자전거의 앞바퀴가 자중에 의해 좀 더 내려가면 더 압박되도록 하면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V자형 지지관(122) 한 쌍의 하부에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연결부재(150)가 위치하면서 자전거 앞바퀴 하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120)은 도 9의 (a), (b)와 같이 자전거 앞바퀴를 지지하는 높이를 다르게 한 두 가지 종류로 마련되어 자전거 거치대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키는 경우 다른 종류의 앞바퀴 거치프레임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9의 (a), (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이격관(121)의 전단부(121a)와 후단부(121b) 길이를 연장하고, 연결부재(150)의 몸체(151) 전단부의 길이도 연장하면 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연결하여 배치하는 경우 거치되는 자전거의 핸들이 간섭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지주프레임(130)은 상기 걸이부재(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슬라이드 관(112a) 한 쌍 중 후방에 위치한 것에 경사지게 세워진다. 상기 지주프레임(130)의 상단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걸이부재(140)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주프레임(130)이 슬라이드 관(112a)에 세워지는 위치는 중요한데, 만일 자전거 거치대 하나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드 관(112a)의 일측단부에 세워지면 된다. 그러나 지지프레임(110) 여러 개를 좌우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도면과 달리 슬라이드 관(112a) 일측단부가 아닌 중간 지점에 지주프레임(130)이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상기 슬라이드 관(112a)이 베이스 관(111a)의 타측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걸이부재(140)는 전술된 것처럼 자전거 안장을 걸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부재(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주프레임(13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수직하게 늘어진 상태에서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변위 가능한 지지부(142)와, 상기 지지부(142)의 하단에서 자전거의 안장을 걸어주는 걸이부(1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42)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대하여 상단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제1지지부(142a)와, 상기 제1지지부(142a)의 하단부에 대하여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걸이부(141)를 지지하고 있는 제2지지부(142b)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제1지지부(142a)가 제1힌지축(143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걸이부(141)를 좌우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142b)가 제2회전축(143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걸이부(141)를 전후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걸이부(141)를 간단히 변위시키면서 자전거 안장을 걸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지지부(142b)의 하단부에는 후면 쪽에 자전거 프레임 및 뒷바퀴용 결속 와이어가 관통하는 링형의 제1고리(144a)가 형성되고, 그 위쪽으로 자전거 안장용 결속 와이어가 관통하는 링형의 제2고리(144b)가 형성된다. 이로써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자전거 프레임 및 뒷바퀴와 더불어 자전거 안장까지 결속 와이어에 의해 결속하여 도난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이부(141)는 상기 제2지지부(142b)의 하단부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연장되되, 선단부 끝단(141b)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자전거 안장의 하측을 접촉하여 걸어줄 수 있도록 하고 후단부에서 선단부에 이르는 부위(141a)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재(140)의 걸이부(14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닭발이 뒤집힌 모양이 형상화되어 선단부 끝단(141b)이 세 개로 갈라지며 그 갈라진 부위가 자전거 안장 하측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단부 끝단(141b)의 경우 세 개가 적당하지만 네 개 내지 여섯 개 등 다양한 수의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표면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실리콘(141c)으로 코팅되고 그 실리콘(141c) 외표면에는 미세돌기(141d)가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우선 세 개로 갈라진 걸이부(141)의 끝단부(141b)가 자전거 안장의 하측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졌든지 대부분 원활하게 대응하여 접촉될 수 있게 되며 실리콘(141c) 코팅과 그 외표면에 형성된 미세돌기(141d)에 의해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몸체(151)가 라인으로 이루어진 라인형의 부재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 간을 종방향(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50)는 일단에 형성된 원형 고리(152)에 의해 상기 이격관(121)의 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재(150)가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V자형 지지관(122) 한 쌍의 하단부 위로 걸쳐진 상태가 되어 자전거 앞바퀴의 하면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50)가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이격관(121)의 전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가 되며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타단에 형성된 후크형 고리(153)가 전방으로 이웃하는 자전거 거치대의 지지프레임(110) 후단부(후방에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에 간단히 걸쳐지는 형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50)는 몸체(151) 중 도 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V자형 지지관(122) 한 쌍에 걸쳐지는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에 위치하는 사이구간(151a)이 자전거 앞바퀴 하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150)는 자전거 거치대 간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지 않을 때에는 후방으로 회전시켜 자전거 앞바퀴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앞바퀴 거치프레임(120)을 보조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는 것이다.
<변형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자전거 거치대는 공공장소에서 다수의 자전거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거치할 수 있도록 앞바퀴 거치대와 걸이부재를 다수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은 좌우 양편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종방향 지지프레임(110a')과 상기 종방향 지지프레임 간을 연결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 지지프레임(110b')으로 이루어진다.
지주프레임은, 상기 종방향 지지프레임(110a')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세워진 한 쌍의 수직방향 지주프레임(130a')과, 상기 수직방향 지주프레임(130a')의 상단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곡선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지붕을 지지하도록 한 한 쌍의 종방향 지주프레임(130b')과, 상기 한 쌍의 종방향 지주프레임(130b') 간을 연결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 지주프레임(130c')으로 이루어진다.
앞바퀴 거치프레임(120')은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110b')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다수 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걸이부재(140')는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횡방향 지주프레임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다수 개가 나란히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120')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전거 앞바퀴를 높게 지지하는 것과 낮게 지지하는 것이 교번하여 배치된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지지프레임 120 : 앞바퀴 거치프레임
130 : 지주프레임 140 : 걸이부재
150 : 연결부재

Claims (9)

  1.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자전거의 앞바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앞바퀴 거치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상방향으로 세워진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늘어지며 하단부에는 자전거 안장을 걸어서 지지해주는 걸이부를 구비한 걸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수직하게 늘어진 상태에서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단부가 변위 가능하도록 하며, 하단부에는 자전거 프레임 및 뒷바퀴용 결속 와이어가 관통하는 링형의 제1고리와, 자전거 안장용 결속 와이어가 관통하는 링형의 제2고리가 형성된 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걸이부재의 걸이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도록 연장되되, 선단부가 끝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자전거 안장의 하측을 접촉하여 걸어줄 수 있도록 하고 후단부에서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하방으로 오목하게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은, 자전거의 앞바퀴 하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한 쌍이 좌우로 이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단부는 하방 경사지게 절곡되어 한 쌍이 서로 만나면서 지면에 지지되고 후단부는 하방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접합되는 이격관과, 한 쌍이 전후로 이격 배치되며 V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이격관 한 쌍과 접합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이격관 한 쌍 사이로 삽입된 자전거 앞바퀴의 하단부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V자형 지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이격관의 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V자형 지지관 한 쌍의 하부에 걸쳐진 상태가 되어 자전거 앞바퀴의 하면을 지지하고,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이격관의 전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돌출된 상태가 되어 끝단에 형성된 후크형 고리가 전방으로 이웃하는 자전거 거치대의 지지프레임 후단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V자형 지지관 한 쌍에 걸쳐지는 제1지점과 제2지점의 사이구간이 자전거 앞바퀴 하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의 걸이부는 닭발이 뒤집힌 모양이 형상화되어 선단부 끝단이 복수 개로 갈라지며 그 갈라진 부위들이 자전거 안장 하측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되,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실리콘으로 코팅되고 그 실리콘 외표면에는 미세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상단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단부에 대하여 상단부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걸이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전후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의 베이스 관 한 쌍과, 상기 베이스 관 한 쌍을 연결하여 베이스 관 서로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이격바로 이루어진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관에 대응하여 전후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관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 폭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관 한 쌍과, 상기 슬라이드 관 한 쌍의 중간 지점들을 연결하여 슬라이드 관 서로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이격바로 이루어진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슬라이드 관은 이웃하고 있는 자전거 거치대 지지프레임의 베이스 관 타측 내부에 삽입되어 자전거 거치대들이 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은 자전거 앞바퀴를 지지하는 높이를 다르게 한 적어도 두 가지 종류로 마련되어 자전거 거치대를 횡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키는 경우 적어도 서로 다른 종류의 앞바퀴 거치프레임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 지지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은 상기 횡방향 지지프레임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다수 개가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지주프레임에는 상방향으로 세워진 수직방향 지주프레임과 상기 수직방향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의 지지를 받으면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횡방향 지주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앞바퀴 거치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횡방향 지주프레임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다수 개가 나란히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KR1020170072441A 2017-06-09 2017-06-09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 KR10192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41A KR101921204B1 (ko) 2017-06-09 2017-06-09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41A KR101921204B1 (ko) 2017-06-09 2017-06-09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204B1 true KR101921204B1 (ko) 2018-11-22

Family

ID=6455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41A KR101921204B1 (ko) 2017-06-09 2017-06-09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2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399A (ja) * 2003-07-29 2005-02-24 Miki Seisakusho:Kk 駐輪装置
KR200460246Y1 (ko) * 2011-11-01 2012-05-10 박병철 핸들바아 거치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7399A (ja) * 2003-07-29 2005-02-24 Miki Seisakusho:Kk 駐輪装置
KR200460246Y1 (ko) * 2011-11-01 2012-05-10 박병철 핸들바아 거치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265B1 (en) Frame structure for foldable baby trailer
CN108473151B (zh) 手推车
KR101921204B1 (ko) 안장 걸이형 자전거 거치대
GB2512279A (en) A mount device
US11186335B1 (en) Bicycle and supporting frame thereof
KR20100031189A (ko) 접이식 손수레
KR20100053039A (ko)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KR20130117288A (ko) 수평 고정형 자전거 거치대
KR101548516B1 (ko) 직립형 자전거 스탠드 장치
US200700688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torcycle
JP2005139812A (ja) 梯子の転倒防止装置
JP3219795U (ja) 自転車用携帯駐輪ラックの転倒防止装置
US11352083B1 (en) Bicycle rack
RU2009122895A (ru) Составная тележка для покупок
JP3105931U (ja) 二輪車用脱着可能な荷物枠及び盗難防止用保持装置
JP2019099123A (ja) 自転車用携帯駐輪装置
WO2011146996A1 (en) Bicycle rack
JP5766581B2 (ja) 携帯型自転車用ペダル取り付けスタンド
JP3189768U (ja) ロードバイク用スタンド
US20240083534A1 (en) Support Apparatus for Wheeled Vehicles
JP2016078614A (ja) スタンド
CN215904644U (zh) 自行车驻车架
JP2010510112A (ja) ベビーカー
JP2010070096A (ja) 二輪車用荷台装置
RU42021U1 (ru) Подставка для велосипе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