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831B1 -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 - Google Patents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831B1
KR101920831B1 KR1020180064252A KR20180064252A KR101920831B1 KR 101920831 B1 KR101920831 B1 KR 101920831B1 KR 1020180064252 A KR1020180064252 A KR 1020180064252A KR 20180064252 A KR20180064252 A KR 20180064252A KR 101920831 B1 KR101920831 B1 KR 10192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grip portion
scissors member
fing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102018006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1Sci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ergonomic, e.g. fitting in f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 수술과 같은 수술시 가위를 조작할 때 흔들림없이 원하는 대로 정밀하게 조작이 가능하여 정밀 수술에 유용한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는, 전단부에 가위날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위부재; 상기 제1가위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수술자의 어느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1메인손잡이부; 상기 제1가위부재와 교차하면서 힌지축을 매개로 제1가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단부에 제1가위부재의 가위날과 교차하면서 물체를 절단하는 가위날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가위부재; 상기 제2가위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수술자의 다른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2메인손잡이부; 상기 제2가위부재에 상기 제2메인손잡이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수술자의 또 다른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보조손잡이부; 및, 제1메인손잡이부와 제2메인손잡이부와 보조손잡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구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손가락의 배면측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Instrument for Lifting Plastic Surgery}
본 발명은 성형수술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팅 수술과 같은 성형 수술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위 구조의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여러가지 노화현상을 겪게 된다. 그 중에서 피부의 주름은 피부 속의 탄력을 유지해 주는 콜라겐 섬유가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하게 되기 때문에, 또한 피부에 연결된 근육의 반복동작으로 인해 형성되는데, 특히 안면부의 경우 피부 두께가 얇은데다가 콜라겐 섬유의 변성을 촉진시키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고, 다양한 표정을 짓는 등 근육의 반복동작이 다른 신체 부위보다 자주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주름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면부의 주름은외부에 보여지는 부분인 탓에 특히 이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 왔고, 최근에는 얼굴뿐만 아니라 목을 비롯한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주름제거기술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신체 각 부위에 발생된 주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약품을 사용하거나 피부 표면을 박피하는 기술 등이 사용되기도 하나,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외과적 수술이 이용되고 있다.
예전에 시행해 온 수술방법으로는 피부를 당겨 여분의 피부를 절제하고 절개부를 봉합하여 피부를 펴지게 하는 '안면거상술'이 있었으나, 이 수술은 신체의 많은 부위를 절개함으로 인해 수술 자체의 위험도가 크고, 시술부에 흉터가 남게 되며, 회복기간도 오래 걸려 시술에 따른 부담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당겨진 상태로 신체조직이 고정됨에 따라 피부의 노화로 인한 주름 발생은 계속 진행되고, 당겨진 만큼 피부가 얇아져 노화 진행속도가 빨라지는 등의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안면거상술보다 개선된 것으로, 최근에는 피부조직 내부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코드 또는 실 형태의 선형인장재를 삽입하여 피부조직을 당겨줌으로써 피부 표면을 팽팽하게 하는 리프팅 수술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프팅 수술법은 피부에 삽입된 선형인장재 주위에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가 형성되어 피부층이 두꺼워지는 부가적인 작용도 있어 과거의 술술 방법에 비해 현저한 주름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성형 수술에는 다양한 수술 기구가 사용되는데, 그 중 가위는 실이나 신체 조직을 절단하는데 사용한다.
그런데 수술용 가위는 그 규격이 일정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수술하는 의사의 손가락이 작을 경우 손가락이 삽입되는 링 형태의 손잡이부의 내주면과 손가락 사이에 많은 공간이 형성되어 가위질을 할 때 가위의 날끝이 흔들려서 정밀하게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의사가 가위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할 때 손잡이부에 삽입되지 않은 다른 손가락이 가위 몸체를 제대로 지지하기 어려워 수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공개특허 제10-2001-0106949호(2001.12.07. 공개) 등록실용신안 제20-0485340호(207.2.19.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477338호(2015.05.26. 등록) 유럽 등록특허 EP2961578 B1(2017.04.12.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을 시행하는 의사의 손가락이 작더라도 링 형태의 손잡이부에서 손가락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가위를 조작할 때 흔들림없이 원하는 대로 정밀하게 조작이 가능하여 정밀 수술에 유용한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을 시행할 때 가위의 손잡이부에 삽입되지 않은 다른 손가락이 가위의 벌어지는 동작 및 오므려지는 동작과 연동하여 슬라이딩하면서 가위 몸체를 지탱함으로써 가위의 조작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가위의 날끝에 힘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정밀 수술을 시행할 수 있는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는, 전단부에 가위날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위부재; 상기 제1가위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수술자의 어느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1메인손잡이부; 상기 제1가위부재와 교차하면서 힌지축을 매개로 제1가위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단부에 제1가위부재의 가위날과 교차하면서 물체를 절단하는 가위날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가위부재; 상기 제2가위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수술자의 다른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2메인손잡이부; 상기 제2가위부재에 상기 제2메인손잡이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수술자의 또 다른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보조손잡이부; 및, 제1메인손잡이부와 제2메인손잡이부와 보조손잡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구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손가락의 배면측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볼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볼은 탄성력이 있는 수지 재질로 된 구형상의 외피재 내부에 액상의 유체가 채워진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조손잡이부의 일단부에 상기 제2가위부재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돌기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와 제2가위부재를 벌리는 동작을 할 때 보조손잡이부가 레일홈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와 제2가위부재를 오므리는 동작을 할 때 보조손잡이부가 레일홈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제2가위부재에 상기 보조손잡이부에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손잡이부가 레일홈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탄성체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보조손잡이부는 제2가위부재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와 제2가위부재를 벌리는 동작을 할 때 보조손잡이부가 레일홈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와 제2가위부재를 오므리는 동작을 할 때 보조손잡이부가 레일홈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레일홈은 전방으로 갈수록 양측 폭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보조손잡이부에는 상기 레일홈의 양측면을 따라 구르는 2개의 볼과 상기 2개의 볼을 레일홈의 양측면으로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탄성볼이 제1메인손잡이부 및/또는 제2메인손잡이부, 보조손잡이부의 삽입구 내주면에 구비되면, 사용자가 삽입구 내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거나 빼낼때는 탄성볼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손가락을 쉽게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으며, 삽입구 내측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에 가위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에는 탄성볼이 손가락의 배면을 탄력적으로 잡아주게 되므로 손가락의 직경이 작은 수술자도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성형기구를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보조손잡이부를 제2가위부재를 따라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면, 수술자가 성형기구의 제1가위부재와 제2가위부재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에 연동하여 보조손잡이부가 자연스럽게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성형기구의 동작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전단부의 가위날이 안정적으로 동작하여 정밀 수술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에 적용된 탄성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Ⅱ-Ⅱ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의 주요 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를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는 후단부에 제1메인손잡이부(30)를 구비한 제1가위부재(10)와, 후단부에 제2메인손잡이부(40) 및 보조손잡이부(50)를 구비한 제2가위부재(20)를 포함하는 가위 구조를 갖는다.
제1가위부재(10)는 기다란 바아 형태를 가지며, 전단부에는 실이나 신체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가위날(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가위부재(10)의 후단부에는 수술자가 손가락 중 어느 한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을 삽입하는 삽입구(31)가 형성되어 있는 제1메인손잡이부(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메인손잡이부(30)는 대략 원형이나 타원형의 링 형태로 되어 제1가위부재(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가위부재(20)는 제1가위부재(10)와 대체로 대칭되는 기다란 바아 형태를 가지며, 전단부에 제1가위부재(10)의 가위날과 교차하면서 물체를 절단하는 가위날(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위부재(20)는 상기 제1가위부재(10)와 교차하면서 힌지축(12)을 매개로 제1가위부재(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2가위부재(20)의 후단부에는 수술자의 다른 한 손가락(예를 들어 중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41)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2메인손잡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손잡이부(40) 역시 대략 원형이나 타원형의 링 형태로 되어 제2가위부재(2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가위부재(20)의 제2메인손잡이부(40)의 바로 전방부에는 제2가위부재(20)의 조작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조손잡이부(5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손잡이부(50)는 제1메인손잡이부(30) 및 제2메인손잡이부(40)에 삽입되는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예를 들어 집게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51)가 형성되어 있는 대략 원형이나 타원형의 링 형태로 되어 제2가위부재(20)에 고정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손잡이부(50)가 제2가위부재(20)에 형성됨으로 인해서 3개의 손가락이 동시에 삽입되어 제1가위부재(10)와 제2가위부재(20)를 상대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제2가위부재(20)를 제1가위부재(10)에 대해 안정적으로 회전 동작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정밀한 조작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메인손잡이부(30) 및 제2메인손잡이부(40), 보조손잡이부(50)에는 수술자의 손가락의 배면측, 즉 손톱이 형성되어 있는 쪽을 그 반대쪽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함으로써 손가락을 삽입구(31, 41, 51)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복수의 탄성볼(60)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볼(60)은 제1메인손잡이부(30) 및 제2메인손잡이부(40), 보조손잡이부(50)의 삽입구(51)의 내주면 전체에 설치되지 않고 손가락의 배면측과 접촉하는 부분에만 한정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탄성볼(60)은 일부분은 제1메인손잡이부(30) 및 제2메인손잡이부(40), 보조손잡이부(50)의 삽입구(31, 41, 51)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볼수용홈(63) 내측에 설치되며, 다른 일부분이 삽입구(31, 41, 51) 내측으로 돌출되어 삽입구(31, 41, 51)에 삽입되어 있는 손가락을 탄력적으로 지탱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탄성볼(60)이 제1메인손잡이부(30) 및 제2메인손잡이부(40), 보조손잡이부(50)의 삽입구(31, 41, 51) 내주면에 구비되면, 사용자가 삽입구(31, 41, 51) 내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거나 빼낼때는 탄성볼(60)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손가락을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으며, 삽입구(31, 41, 51) 내측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에 가위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에는 탄성볼(60)의 손가락의 배면을 탄력적으로 잡아주게 되므로 손가락의 직경이 작은 수술자도 제1메인손잡이부(30) 및 제2메인손잡이부(40), 보조손잡이부(50)를 흔들림없이 견고하여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볼(60)은 전체가 탄력성이 있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손가락에 의해 눌리면 신축 변형되면서 손가락을 부드럽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력이 수지 재질로 된 구형상의 외피재(61) 내부에 액상의 유체(62)가 채워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볼(60)은 제1메인손잡이부(30) 및 제2메인손잡이부(40), 보조손잡이부(50) 모두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제1메인손잡이부(30) 및 제2메인손잡이부(40), 보조손잡이부(50)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에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보조손잡이부(50)는 제2가위부재(20)에 고정되게 형성되었으나, 도 4 내지 도 6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과 같이 보조손잡이부(50)가 제2가위부재(2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레일홈(25)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10)와 제2가위부재(20)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과 연동하여 전후로 슬라이딩하면서 작동을 보조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가위부재(20)의 제2메인손잡이부(40)의 바로 전방부에 레일홈(25)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보조손잡이부(50)의 일단부에 상기 레일홈(25)을 따라 제2가위부재(2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돌기(52)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홈(25)의 내측에 제2가위부재(20)에 대해 보조손잡이부(50)에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53)가 설치된다.
따라서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10)와 제2가위부재(20)를 벌리는 동작을 할 때 보조손잡이부(50)가 레일홈(25)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10)와 제2가위부재(20)를 오므리는 동작을 할 때 보조손잡이부(50)가 레일홈(25)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 때 탄성체(53)는 제2가위부재(20)에 대해 보조손잡이부(50)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가위를 벌리는 동작을 할 때 보조손잡이부(50)에 후방으로 힘을 가하여 집게손가락이 보조손잡이부(50)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오므려질 때에는 보조손잡이부(50)가 신속하게 초기 위치로 후진하게 함으로써 보조손잡이부(50)가 삽입된 집게손가락이 보조손잡이부(50)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을 보조하여 가위날(11, 21)에 의한 원활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혹은 도 7 내지 도 9에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것과 같이, 보조손잡이부(50)가 제2가위부재(2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레일홈(25)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레일홈(25) 내측에 위치한 보조손잡이부(50)의 일단부에 레일홈(25)의 양측면을 따라 구르는 2개의 볼베어링(55)을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볼베어링(55) 사이에 볼베어링(55)을 레일홈(25)의 양측면 쪽으로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스프링(56)이 설치하여 보조손잡이부(50)가 볼베어링(55)과 스프링(56)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레일홈(25) 내측에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레일홈(25)이 전방으로 갈수록 양측 폭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형태를 갖게 하면,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10)와 제2가위부재(20)를 벌리는 동작을 하여 보조손잡이부(50)가 레일홈(25)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때 스프링(56)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점차적으로 커져 집게손가락이 보조손잡이부(50)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10)와 제2가위부재(20)를 오므리는 동작을 할 때에는 스프링(56)이 신장되면서 탄성력이 줄어들어 보조손잡이부(50)가 신속하게 초기 위치로 후진하게 함으로써 보조손잡이부(50)가 삽입된 집게손가락이 보조손잡이부(50)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을 보조하여 가위날(11, 21)에 의한 원활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레일홈(25)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보조손잡이부(50)가 레일홈(25)의 전단부 및 수단부에 도달해서 부딪힐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쿠션패드(58)가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두번째 실시예와 세번째 실시예의 정밀 성형기구는 보조손잡이부(50)가 제2가위부재(2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었는데, 수술자가 필요에 따라 보조손잡이부(50)가 제2가위부재(20)에 대해 슬라이딩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홈(25)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레일홈(25)을 폐쇄하여 보조손잡이부(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커버(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커버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제2가위부재(20)의 레일홈(25)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1가위부재 11 : 가위날
12 : 힌지축 20 : 제2가위부재
21 : 가위날 25 : 레일홈
30 : 제1메인손잡이부 31 : 삽입구
40 : 제2메인손잡이부 41 : 삽입구
50 : 보조손잡이부 51 : 삽입구
52 : 슬라이드돌기 53 : 탄성체
55 : 볼베어링 56 : 스프링
58 : 쿠션패드 60 : 탄성볼
61 : 외피재 62 : 유체

Claims (5)

  1. 전단부에 가위날(11)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위부재(10);
    상기 제1가위부재(1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수술자의 어느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31)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1메인손잡이부(30);
    상기 제1가위부재(10)와 교차하면서 힌지축(12)을 매개로 제1가위부재(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단부에 제1가위부재(10)의 가위날과 교차하면서 물체를 절단하는 가위날(21)이 형성되어 있는 제2가위부재(20);
    상기 제2가위부재(2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수술자의 다른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41)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2메인손잡이부(40);
    상기 제2가위부재(20)에 상기 제2메인손잡이부(40)의 전방에 배치되고, 수술자의 또 다른 한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구(51)가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보조손잡이부(50); 및,
    제1메인손잡이부(30)와 제2메인손잡이부(40)와 보조손잡이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구(31, 41, 5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손가락의 배면측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볼(6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볼(60)은 탄성력이 있는 수지 재질로 된 구형상의 외피재(61) 내부에 액상의 유체(62)가 채워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조손잡이부(50)의 일단부에 상기 제2가위부재(2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레일홈(25)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돌기(52)가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10)와 제2가위부재(20)를 벌리는 동작을 할 때 보조손잡이부(50)가 레일홈(25)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수술자가 제1가위부재(10)와 제2가위부재(20)를 오므리는 동작을 할 때 보조손잡이부(50)가 레일홈(25)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제2가위부재(20)에 상기 보조손잡이부(50)에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53)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손잡이부(50)가 레일홈(25)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기 탄성체(53)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된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64252A 2018-06-04 2018-06-04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 KR10192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52A KR101920831B1 (ko) 2018-06-04 2018-06-04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52A KR101920831B1 (ko) 2018-06-04 2018-06-04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831B1 true KR101920831B1 (ko) 2018-11-21

Family

ID=6460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252A KR101920831B1 (ko) 2018-06-04 2018-06-04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8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43Y1 (ko) 2000-05-22 2001-01-15 주식회사야일금속 가위
CN203388921U (zh) * 2013-08-29 2014-01-15 吕丽 妇产科专用侧切剪刀
KR101502886B1 (ko) * 2013-08-07 2015-03-16 한영동 컷팅 작업이 용이한 미용 가위
US20160221173A1 (en) 2013-05-30 2016-08-04 Frank Stout Multi-function health professional tool
CN106699171A (zh) * 2016-12-15 2017-05-24 蚌埠医学院 一种生物陶瓷手术剪及应用
CN206518572U (zh) 2016-10-27 2017-09-26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妇科临床用拆线剪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843Y1 (ko) 2000-05-22 2001-01-15 주식회사야일금속 가위
US20160221173A1 (en) 2013-05-30 2016-08-04 Frank Stout Multi-function health professional tool
KR101502886B1 (ko) * 2013-08-07 2015-03-16 한영동 컷팅 작업이 용이한 미용 가위
CN203388921U (zh) * 2013-08-29 2014-01-15 吕丽 妇产科专用侧切剪刀
CN206518572U (zh) 2016-10-27 2017-09-26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妇科临床用拆线剪
CN106699171A (zh) * 2016-12-15 2017-05-24 蚌埠医学院 一种生物陶瓷手术剪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15669A1 (en) Forceps
JP6258955B2 (ja) 使い捨て嚢切開鉗子
US5578050A (en) Ergonomic surgical scalpel sleeve
CA2785491C (en) Apparatus for skin reduction
US3659343A (en) Suture cutter
US20140058409A1 (en) Device for removing an item implanted underneath the skin
US10201362B2 (en) Contoured surgical forceps
JP2013514817A (ja) 検鏡
US20230277201A1 (en) Ergonomic forceps tool
KR101920831B1 (ko) 리프팅용 정밀 성형기구
US11607208B2 (en) Tissue secur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413290B1 (en) Combined needle holder scissors
US11207213B2 (en) Lacrimal plug inserter
CN205698042U (zh) 一种双眼皮手术用辅助装置
CN111214325B (zh) 无损伤内界膜镊
KR20200015052A (ko) 눈썹 문신장치
CN201631476U (zh) 眼深处细微手术剪
JP5189280B2 (ja) アイラインを引くための化粧用の補助具
KR102136369B1 (ko)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US201200106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ir Removal
CN208812149U (zh) 一种理发切剪
CN110680477A (zh) 一种吸入式装载毛发植入器械
JP6231710B1 (ja) ピンセット型の無駄毛抜き
JP6903759B2 (ja) 医療機器
JP6883190B2 (ja) 抜歯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