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369B1 -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 Google Patents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369B1
KR102136369B1 KR1020200006783A KR20200006783A KR102136369B1 KR 102136369 B1 KR102136369 B1 KR 102136369B1 KR 1020200006783 A KR1020200006783 A KR 1020200006783A KR 20200006783 A KR20200006783 A KR 20200006783A KR 102136369 B1 KR102136369 B1 KR 10213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er
nipper body
finger
handle por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식
김경희
Original Assignee
한정식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식, 김경희 filed Critical 한정식
Priority to KR102020000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6Cuticle stic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톱 주변의 큐티클을 자르는 절단부와, 절단부에 일체로 손잡이부가 각각 형성된 제1 니퍼몸체와 제2 니퍼몸체를 차례로 관통하는 피벗축에 의해 서로 회동되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핑거 니퍼의 사용을 위한 판스프링 지지 상태에서 제1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과 제2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 간의 직선거리가 최대 약 30mm 이고, 피벗으로부터 제1 니퍼몸체 손잡이부와 제2 니퍼몸체 손잡이부 사이의 내각이 최대 약 30°이내이고, 핑거 니퍼의 사용 후 판스프링이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니퍼몸체의 손잡이부와 제2 니퍼몸체의 손잡이부가 거의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이용해 핑거 니퍼의 손잡이부를 가볍게 파지한 상태로 손가락의 부드러운 압력으로 양 손잡이부를 오므려 절단부의 절단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정교하고 세밀하게 절단날이 움직이면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 주변의 큐티클을 정확하고 쉽게 잘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Finger nipper for removing nail cuticle}
본 발명은 미용용 네일 니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발톱 주변의 굳은살을 제거할 수 있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 케어에서 사용되는 미용 및 위생도구인 네일 니퍼(nail nipper)는, 손톱이나 발톱의 안쪽 부분, 즉 손톱과 손가락 피부의 접촉부위 또는 발톱과 발가락 피부의 접촉부위에 형성되는 각피(角皮)를 의미하는 큐티클(cuticle)을 잘라 제거하거나 다듬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도 1은 종래의 네일 니퍼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네일 니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네일 니퍼는, 피부에 접촉하여 큐티클을 절단하는 절단날(11a)이 형성된 절단부(11)와, 절단부(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손잡이(12)를 구비하는 제1 니퍼몸체(10) 및 피부에 접촉하여 큐티클을 절단하는 절단날(21a)이 형성된 절단부(21)와, 절단부(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손잡이(22)를 구비하는 제2 니퍼몸체(2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니퍼몸체(10)와 제2 니퍼몸체(20)가 서로 엇갈린 상태로 피벗 결합되는데, 제1 니퍼몸체(10)와 제2 니퍼몸체(20)의 각각의 절단부(11, 21)에 형성된 절단날(11a, 21a)이 서로 마주보며 대응한 상태로 제1 니퍼몸체(10)와 제2 니퍼몸체(20)가 서로 피벗 결합된다.
이렇게 제1 니퍼몸체(10)와 제2 니퍼몸체(20)의 중앙부위의 피벗 결합에 의해 제1 니퍼몸체(10)와 제2 니퍼몸체(20)가 서로 회동되면서 절단날(11a, 21a)에 의해 큐티클이 절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니퍼몸체(10)의 손잡이(12)에 일단이 고정된 탄성부재(30)의 자유단부가 제2 니퍼몸체(20)의 손잡이(22) 내측에 접촉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변형되었다가 탄성에 위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서 손잡이(12, 22) 간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고 절단날(11a, 21a) 간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의 네일 니퍼는, 손바닥 전체를 이용하여 힘있게 움켜잡기 용이하도록 손잡이(12, 22)가 끝단으로 갈수록 크게 원호를 그리는 일종의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손잡이(12, 22)들의 중간부분 간의 사이 간격이 서로 크게 벌어진 형태가 된다.
이러한 손잡이의 형태는 강선을 절단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공업용 니퍼의 손잡이의 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이러한 형태의 니퍼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해서는 엄지와 연결된 손바닥 안쪽에 한쪽 손잡이를 파지하고, 반대편 손잡이는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로 파지한 다음 손아귀로 강하게 움켜쥐듯이 사용해야 한다.
즉, 공업용 니퍼의 손잡이는 손아귀로 손잡이를 움켜쥐어 강한 악력으로 강선과 같은 경질의 소재를 절단하기 위해 손잡이 간의 사이 간격이 서로 크게 벌어지도록 손잡이의 중간부위가 둥글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미용도구인 네일 니퍼는 인체의 부드러운 피부를 케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업용 니퍼와 달리 강한 악력이 필요하지 않고, 절단날 끝을 세밀하고 정교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부연하면, 손잡이를 손아귀로 꽉잡고 힘을 주면서 사용하게 되면, 절단날 끝을 정교하고 세밀하게 움직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2547호(2012년 12월 14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 등의 손가락만으로 네일 니퍼의 손잡이를 파지하여 네일 주변의 큐티클을 제거할 수 있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인 과제는, 네일 니퍼의 손잡이가 기존의 니퍼 손잡이처럼 둥글게 벌어져 있지 않고 '11'자로 평행하기 때문에 보관할 때나 휴대할 때 부피가 현저히 작아져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큐티클(cuticle)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에 일체로 손잡이부가 각각 형성된 제1 니퍼몸체와 제2 니퍼몸체를 차례로 관통하는 피벗축에 의해 서로 회동되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로서, 핑거 니퍼의 사용을 위한 판스프링 지지 상태에서 상기 제1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과 상기 제2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 간의 직선거리(ℓ)가 최대 약 30mm 이고, 피벗으로부터 제1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중간지점과 제2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중간지점 사이의 내각(θ)이 최대 약 30°이내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과 상기 제2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 간의 직선거리(ℓ)가 약 15 내지 30mm 범위이고, 피벗으로부터 제1 니퍼몸체의 손잡이부와 제2 니퍼몸체의 손잡이부 사이의 내각(θ)이 약 10 내지 30° 범위에서 제1 니퍼몸체와 제2 니퍼몸체가 서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내측면에는 힌지홀이 형성된 힌지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내측에는 상기 힌지부 보다 손잡이부의 후단측에 위치하며 록킹 홀이 형성된 록킹 돌기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 힌지홀의 양측 개구부에 끼워지는 고리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자유단부는 상기 록킹 돌기의 록킹 홀에 삽입되도록 일정 각도로 절곡진 형태의 판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되어 판스프링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2 니퍼몸체 손잡이부의 내측 전면에 접촉되면, 상기 양 손잡이부가 서로 벌어진 상태로 제1 니퍼몸체와 제2 니퍼몸체에 대해 탄성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핑거 니퍼의 손잡이 길이를 연장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손가락으로 쥐는 것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보조수단으로써, 상기 제2 니퍼몸체 손잡이부가 안착되면서 끼움 결합되도록 전단 및 일측 상면이 개방된 결합부와, 결합봉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후단에 형성된 연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장부재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이고 상면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요홈이 형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이용해 핑거 니퍼의 손잡이부를 가볍게 파지한 상태로 손가락의 부드러운 압력으로 양 손잡이부를 오므려 절단부의 절단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정교하고 세밀하게 절단날이 움직이면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 주변의 큐티클을 정교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핑거 니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손잡이부 간의 간격이 최소화되면서 손잡이부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핑거 니퍼의 전체적인 부피가 축소되어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네일 니퍼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네일 니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사용을 위해 판스프링이 상대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작동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사용이 완료되어 판스프링의 지지가 해지되고 양 손잡이가 록킹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작동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사용이 완료되고 양 손잡이가 록킹되어 절단날이 닺힌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사용성 확장을 위해 손잡이 일측에 연장봉(Extension bar)을 결합한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를 나태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사용성 확장을 위한 연장봉 끝에 푸셔가 결합된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를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에서 푸셔가 결합된 연장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손잡이부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사용을 위해 판스프링이 상대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사용이 완료되어 판스프링의 지지가 해지되고 양 손잡이가 록킹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사용이 완료되고 양 손잡이가 록킹되어 절단날이 닺힌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손잡이부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는, 절단부(110, 210)에 일체로 손잡이부(120, 220)가 형성되고 피벗축(H)에 의해 서로 회동되는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니퍼몸체(100)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큐티클을 정교하게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111)이 일측에 형성된 절단부(110)와, 절단부(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손잡이부(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니퍼몸체(200)는, 제1 니퍼몸체(100)와 마찬가지로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큐티클을 정교하게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211)이 일측에 형성된 절단부(210)와, 절단부(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손잡이부(22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가 서로 엇갈린 상태로 결합되는데,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의 각각의 절단부(110, 210)에 형성된 절단날(111, 211)이 서로 마주보며 대응한 상태로 피벗축(H)이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를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피벗 결합된다.
이렇게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를 차례로 관통한 피벗축(H)에 의해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가 서로 회동되면서 절단날(111, 211)에 의해 큐티클이 절단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판스프링(300)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121)가 제1 니퍼몸체(100)의 손잡이부(1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힌지부(121)에는 판스프링(30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힌지홀(l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의 내측면과 서로 마주하며 대응되는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내측면에는, 판스프링(300)의 자유단부가 삽입되는 록킹 홀(221a)이 형성된 록킹 돌기(221)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록킹 돌기(221)는, 제1 니퍼몸체(100)의 손잡이부(120)에 형성된 힌지부(121) 보다 손잡이부(220)의 후단측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부연하면, 힌지부(121)가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P1) 근처에 형성되고, 록킹 돌기(221)는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후단에 형성되는 것이다.
판스프링(300)은, 일정 각도로 절곡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에는 제1 니퍼몸체(100)의 손잡이부(120)에 형성된 힌지부(121) 힌지홀(121a)의 양측 개구부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고리(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판스프링(300)의 자유단부는 제2 니퍼몸체(200)의 손잡이부(220)에 형성된 록킹 돌기(221)의 록킹 홀(221a)에 삽입된다.
여기서, 판스프링(300)이 힌지부(121)를 축으로 회동되어 판스프링(300)의 자유단부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전단 내측면에 접촉되면, 손잡이부(120, 220) 간이 서로 벌어진 상태로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에 대해 탄성이 부여된다. 부연하면, 판스프링(300)이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 사이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손잡이부(120, 220) 간이 서로 벌어지도록 하여 손가락으로 조이기만 하면 되는 니퍼 사용 준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니퍼 사용 준비 상태는,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P1)과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P2) 간의 직선거리(ℓ)가 최대 약 30mm 가 되고, 피벗으로부터 P1과 P2의 벌어진 각도 즉,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 사이의 내각(θ)이 최대 약 30°이내로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가 서로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 간의 사이 간격이 약 30mm 이하이면서,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 사이의 내각이 약 30°이하로 니퍼 사용 준비 상태가 되면,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이용해 손잡이부(120, 220)를 가볍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니퍼 사용 준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20, 220)를 서로 오므리면, 절단부(110, 210) 또한 서로 오므려지는 절단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절단날(111, 211)에 의해 큐티클이 절단된다.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의 전단 내측면에는, 지레 원리로 판스프링(300)이 탄성 복귀되도록 판스프링(300)을 받치는 받침돌부(122)가 제1 니퍼몸체(100)의 손잡이부(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120, 220)가 오므려지면, 절단부(110, 210)가 또한 오므려지는 절단작용에 있어서,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P1)과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P2) 간의 직선거리(ℓ)가 약 15 내지 30mm 의 범위이고, 피벗으로부터 P1과 P2의 벌어진 각도 즉,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 사이의 내각(θ)이 약 10 내지 30°의 범위에서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가 서로 회동되면서 절단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사용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이용해 손잡이부(120, 220)를 가볍게 파지한 상태로 손가락의 부드러운 압력으로 손잡이부(120, 220)를 오므려 절단부(110, 210)의 절단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정교하고 세밀하게 절단날(111, 211)이 움직여지면서 손가락 또는 발가락 주변의 큐티클을 원하는 대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니퍼 사용 준비 상태에서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 사이를 충분히 벌어지게 한 다음, 판스프링(300)의 자유단부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후단측에 위치하도록 판스프링(300)을 회동시킨 후, 손잡이부(120, 220)를 오므리면 판스프링(300)의 자유단부가 록킹 돌기(221)의 록킹 홀(221a)에 삽입되는데, 이렇게 판스프링(300)의 자유단부가 록킹 홀(221a)에 삽입되면서 절단날(111, 211)이 서로 접하게 되면, 손잡이부(120, 220) 간의 사이가 최소 간격이 된다.
부연하면, 핑거 니퍼의 사용 후, 판스프링(300)이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니퍼몸체(100)의 손잡이부(120)와 제2 니퍼몸체(200)의 손잡이부(220)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거나, 평행으로부터 ±10도 이내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20, 220) 간이 최소 간격이 되면, 니퍼 사용 완료 상태, 즉 니퍼의 전체적인 부피가 축소되어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사용성 확장을 위해 손잡이 일측에 연장봉(Extension bar)을 결합한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를 나태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사용성 확장을 위한 연장봉 끝에 푸셔가 결합된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에서 푸셔가 결합된 연장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는, 제2 니퍼몸체(200)의 손잡이부(220)에 끼움결합되어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길이를 연장하는 연장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재(400)는 핑거 니퍼를 손가락으로 파지할 때 약지까지 사용할 수 있어서 더욱 견고하게 해주고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연장부재(400)는,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가 안착되면서 끼움결합되도록 연장부재(400)의 전단 및 일측 상면이 개방된 결합부(410)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결합홈(42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푸셔(500)가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푸셔(500)는, 손톱 또는 발톱 주변의 큐티클을 밀어 한쪽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결합봉(510)과 몸체부(520)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결합봉(510)은, 연장부재(400)에 형성된 결합홈(420)에 삽입되면서 연장부재(400)에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몸체부(520)는, 결합봉(5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부(520)의 상면은 끝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521)이 형성되고, 경사면(521)의 가운데는 큐티클을 효과적으로 밀어 올리도록 요홈(521a)이 형성된다.
한편, 푸셔(500)의 몸체부(520) 하면에는, 줄날(522a)이 형성된 연마부재(5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연마부재(522)를 손발톱의 모서리나 표면에 문질러 손발톱을 매끈하게 연마하거나, 손발톱 주변에 문질러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피부를 매끈하게 연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제1 니퍼몸체 110, 210: 절단부
120, 220: 손잡이부 121: 힌지부
121a: 힌지홀 122: 받침돌부
200: 제2 니퍼몸체 221: 록킹 돌기
221a: 록킹 홀 300: 판스프링
310: 고리 400: 연장부재
410: 결합부 420: 결합홈
500: 푸셔 510: 결합봉
520: 몸체부 521: 경사면
521a: 요홈 522: 연마부재
522a: 줄날

Claims (4)

  1. 큐티클(cuticle)을 절단하는 절단부(110, 210)와, 상기 절단부(110, 210)에 일체로 손잡이부(120, 220)가 각각 형성된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를 차례로 관통하는 피벗축(H)에 의해 서로 회동되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로서,
    상기 핑거 니퍼의 사용을 위한 판스프링(300) 지지 상태에서 상기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P1)과 상기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P2) 간의 직선거리(ℓ)가 최대 30mm 이고, 상기 피벗축(H)으로 부터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와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 사이의 내각(θ)이 30°이내로 벌어지며,
    상기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의 내측면에는 힌지홀(121a)이 형성된 힌지부(121)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힌지부(121) 보다 손잡이부의 후단측에 위치하며 록킹 홀(221a)이 형성된 록킹 돌기(221)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121) 힌지홀(121a)의 양측 개구부에 끼워지는 고리(310)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자유단부는 상기 록킹 돌기(221)의 록킹 홀(221a)에 삽입되도록 일정 각도로 절곡진 형태의 판스프링(300); 이 구비되며,
    상기 판스프링(300)이 상기 힌지부(121)를 축으로 회동되어 판스프링(300)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내측 전면에 접촉되면, 상기 손잡이부(120, 220) 간이 서로 벌어진 상태로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에 대해 탄성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니퍼몸체(100) 손잡이부(120)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P1)과 상기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의 양단 사이 중간지점(P2) 간의 직선거리(ℓ)가 15 내지 30mm 범위이고, 상기 피벗축(H)으로 부터 제1 니퍼몸체(100)의 손잡이부(120)와 제2 니퍼몸체(200)의 손잡이부(220) 사이의 내각(θ)이 10 내지 30°범위에서 제1 니퍼몸체(100)와 제2 니퍼몸체(200)가 서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니퍼몸체(200) 손잡이부(220)가 안착되면서 끼움 결합되도록 전단 및 일측 상면이 개방된 결합부(410)와, 하기 결합봉(510)이 삽입되는 결합홈(420)이 후단에 형성된 연장부재(4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4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장부재(400)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봉(510)과, 상기 결합봉(5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이고 상면이 하향 경사진 경사면(52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521)에는 요홈(521a)이 형성된 몸체부(520)로 이루어진 푸셔(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KR1020200006783A 2020-01-17 2020-01-17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KR10213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83A KR102136369B1 (ko) 2020-01-17 2020-01-17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83A KR102136369B1 (ko) 2020-01-17 2020-01-17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369B1 true KR102136369B1 (ko) 2020-07-21

Family

ID=7183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783A KR102136369B1 (ko) 2020-01-17 2020-01-17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891B1 (ko) * 2022-02-21 2022-05-03 최현겸 네일케어니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8278A1 (en) * 2007-09-26 2009-03-26 Tran Christine Multi-function nipper device
KR100915290B1 (ko) * 2008-02-20 2009-09-03 강구완 미끄럼 방지수단이 구비된 네일 케어용 니퍼
KR101212547B1 (ko) 2010-10-18 2012-12-14 박찬일 네일아트용 니퍼
JP2013075061A (ja) * 2011-09-30 2013-04-25 Suzuki Hamono Kogyo Kk 支持具及び支持具つき切断具
KR20160004238U (ko) * 2015-06-01 2016-12-12 권혁수 큐티클 니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8278A1 (en) * 2007-09-26 2009-03-26 Tran Christine Multi-function nipper device
KR100915290B1 (ko) * 2008-02-20 2009-09-03 강구완 미끄럼 방지수단이 구비된 네일 케어용 니퍼
KR101212547B1 (ko) 2010-10-18 2012-12-14 박찬일 네일아트용 니퍼
JP2013075061A (ja) * 2011-09-30 2013-04-25 Suzuki Hamono Kogyo Kk 支持具及び支持具つき切断具
KR20160004238U (ko) * 2015-06-01 2016-12-12 권혁수 큐티클 니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891B1 (ko) * 2022-02-21 2022-05-03 최현겸 네일케어니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8085A1 (en) Nail-treatment device
EP2194808B1 (en) Multi-function nipper device
US5176696A (en) Handles for microsurgical instruments
US20180310687A1 (en) Efficient nail tool
US5711075A (en) Unitarily formed plastic soft tissue nipper
US20040078935A1 (en) Handle and forceps/tweezer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the like
KR102136369B1 (ko) 네일 큐티클 제거용 핑거 니퍼
US20170231361A1 (en) Nail clipper assembly
JP4904453B2 (ja) 美容用ピンセット
WO2005096877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 composition from the skin
US5706835A (en) Device for manicuring fingernails and method of use
US9027572B2 (en) Eyelash curler, mascara applicator, mascara container, and mascara remover
US11304491B2 (en) Efficient cuticle buffering tool
JP3230278U (ja) 爪切り
JP4471233B2 (ja) 歯ブラシ
WO2008108554A1 (en) Nail clippers in the shape of scissors
KR200436168Y1 (ko) 조발용 가위
KR102253232B1 (ko) 손발톱 큐티클 제거용 가위
KR200409119Y1 (ko) 손톱 굳은살 제거구
JPWO2002062537A1 (ja)
KR101823640B1 (ko) 겨드랑이 털 제거용 가위형 족집게
US20080115797A1 (en) Handy hair styling instrument
JP2016000104A (ja) 爪切り具
KR200363701Y1 (ko) 손톱 다듬개를 갖는 각질 제거구
KR200181167Y1 (ko) 보조 손잡이가 결합된 손톱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