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913B1 -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913B1
KR101919913B1 KR1020177031743A KR20177031743A KR101919913B1 KR 101919913 B1 KR101919913 B1 KR 101919913B1 KR 1020177031743 A KR1020177031743 A KR 1020177031743A KR 20177031743 A KR20177031743 A KR 20177031743A KR 101919913 B1 KR101919913 B1 KR 101919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bearer
interface
lpn
m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129A (ko
Inventor
히로아키 아미나카
히사시 후타키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controllers and backbone network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제 1 기지국(1)은, 모빌리티 관리 장치(5)와 제 1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고, 제 2 기지국(2)과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며, 제 1 셀(10)에 있어서 이동국(3)과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기지국(2)은, 제 1 기지국(1)과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고, 데이터 중계 장치(6)와 데이터 베어러를 확립하며, 제 2 셀(20)에 있어서 이동국(3)과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기지국(1)은, 데이터 베어러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제 2 기지국(2)에서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설정 정보를,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하여 제 2 기지국(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C/U 플레인 스플릿(plane split) 시나리오에 적합한 베어러·아키텍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C/U 플레인 스플릿(plane split) 시나리오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l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의 LTE(Long Term Evolution) 릴리즈 12에 있어서는, 국소적인 거대 트래픽의 수용, 스루풋의 개선, 및 고주파수대의 효율적인 이용 등을 위하여 "로컬 에어리어 인핸스먼트(local area enhancement)" 또는 "스몰 셀 인핸스먼트(small cell enhancement)"가 의제의 하나로 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을 참조). 로컬 에어리어 인핸스먼트 또는 스몰 셀 인핸스먼트에서는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하는 LPN(low-power node)이 이용된다.
또한, 스몰 셀 인핸스먼트에 관하여 C/U 플레인 스플릿 시나리오가 제안되어 있다. C/U 플레인 스플릿에서는, 매크로 셀(macro cell)이 이동국(User Equipment; UE)에 대한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및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 전송)을 제공하고, 스몰 셀이 UE에 대한 유저 플레인(user plane)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도입예를 컨트롤 플레인(C-plane)에 대하여 보면, 매크로 셀은, 낮은 주파수대를 이용한 넓은 커버리지에 의해, UE와의 양호한 접속을 유지하며 UE의 이동성을 서포트할 수 있다. 한편, 유저 플레인(U-plane)에 대하여 보면, 스몰 셀은, 높은 주파수대에서의 넓은 대역폭을 이용함으로써 UE에 대해서 국소적인 높은 스루풋을 제공할 수 있다.
C/U 플레인 스플릿 시나리오에 있어서, 스몰 셀은, 기존의 셀 고유 시그널/채널, 예를 들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의 송신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상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스몰 셀은 팬텀 셀(phantom cell)이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러한 스몰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eNB) 또는 LPN은 팬텀(Phantom) eNodeB(PhNB)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3GPP RWS-120010, NTT DOCOMO, "Requirements, Candidate Solutions & Technology Roadmap for LTE Rel-12 Onward", 3GPP TSG RAN Workshop on Rel-12 and Onwards Ljubljana, Slovenia, 11-12 June 2012
전술한 바와 같이, MeNB가 제어하는 셀에서는 C-플레인을 UE에 제공하고, LPN이 제어하는 셀에서는 U-플레인을 UE에 제공하는 C/U 플레인 스플릿 시나리오가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C/U 플레인 스플릿 시나리오에 적합한 베어러·아키텍처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C/U 플레인 스플릿 시나리오에 적합한 베어러·아키텍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양태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 1 셀을 운용하는 제 1 기지국, 제 2 셀을 운용하는 제 2 기지국, 및 이동국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모빌리티 관리 장치와 제 1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고, 상기 제 2 기지국과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며, 상기 제 1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고, 상기 데이터 중계 장치와 데이터 베어러를 확립하며, 상기 제 2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또한, 상기 데이터 베어러 및 상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설정 정보를, 상기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양태에서는, 제 1 기지국은, 제 1 셀을 운용하는 무선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모빌리티 관리 장치와 제 1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고, 제 2 셀을 운용하는 제 2 기지국과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며, 상기 제 1 셀에 있어서 이동국과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베어러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설정 정보를 상기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베어러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 중계 장치와 상기 제 2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된다. 상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는,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2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사이에 확립된다.
제 3 양태에서는, 이동국은, 전술한 제 1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과 결합해서 사용되며, 무선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관한 설정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2 셀을 사용해서 유저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한다.
제 4 양태에서는, 제 1 셀을 운용하는 제 1 기지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a) 코어 네트워크 내의 모빌리티 관리 장치와 제 1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고, 제 2 셀을 운용하는 제 2 기지국과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며, 상기 제 1 셀에서 이동국과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b) 데이터 베어러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설정 정보를, 상기 제 2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베어러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 중계 장치와 상기 제 2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된다. 상기 데이터 무선 베어러는, 상기 제 2 셀에서 상기 제 2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사이에 확립된다.
제 5 양태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 4 양태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한다.
전술한 양태들에 따르면, C/U 플레인 스플릿 시나리오에 적합한 베어러·아키텍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LTE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베어러·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기지국(예를 들면, MeNB)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기지국(예를 들면, LPN)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예를 들면, UE)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빌리티 관리 장치(예를 들면, MME)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중계 장치(예를 들면, S-GW)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베어러의 확립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기지국(예를 들면, MeNB)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기지국(예를 들면, LPN)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예를 들면, UE)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빌리티 관리 장치(예를 들면, MME)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중계 장치(예를 들면, S-GW)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베어러·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베어러의 확립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베어러의 확립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필요에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 1 기지국(1), 제 2 기지국(2), 이동국(3), 및 코어 네트워크(4)를 포함한다. 기지국(1 및 2)은 제 1 셀(10) 및 제 2 셀(20)을 각각 운용한다. 셀(10) 및 셀(20)은 전형적으로는 다른 주파수대(예를 들면, 2㎓대와 3.5㎓대)에서 운용된다. 코어 네트워크(4)는 모빌리티 관리 장치(5) 및 데이터 중계 장치(6)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화를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이 LTE 시스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제 1 기지국(1)은 MeNB, 제 2 기지국(2)은 LPN, 이동국(3)은 UE, 코어 네트워크(4)는 EPC(Evolved Packet Core), 모빌리티 관리 장치(5)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데이터 중계 장치(6)는 S-GW(Serving Gateway)에 대응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C/U 플레인 스플릿을 셀(10 및 20)에 적용한다. 즉, LPN(2)은 셀(20) 내에 있어서 U-플레인 서비스를 UE(3)에 제공한다. 환언하면, LPN(2)은 UE(3)와의 사이에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를 확립하여 UE(3)의 유저 데이터를 전송한다. MeNB(1)는 LPN(2)과 DRB를 확립하는 UE(3)에 대하여 셀(10)에 있어서 C-플레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환언하면, MeNB(1)는, UE(3)와의 사이에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SRB)를 확립하여, 셀(20)에서의 LPN(2)과의 DRB 확립 및 수정 등을 위한 RRC 시그널링, 및 EPC(4)와 UE(3) 사이의 NAS 메시지 전송 등을 제공한다. 또한, MeNB(1)는, LPN(2)의 셀(20)에 관한 마스터 정보(예를 들면, 시스템 대역폭, 송신 안테나 수 등) 및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셀(20)의 DRB에 관한 파라미터)를 셀(10)의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면,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또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이용해서 송신해도 된다.
또한, MeNB(1)는 UE(3)에 관한 모든 C-플레인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LPN(2)은 계층1(물리 계층) 및 계층2(MAC(Media Access Control) 서브 계층 및 RLC(Radio Link Control) 서브 계층)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LPN(2)은, 업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업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이용해서, 계층1/계층2 제어 신호(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및 RI(Rank Indicator))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LPN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이용해서 다운링크의 스케줄링 정보, 및 업링크 송신에 대한 ACK/NACK 등을 UE(3)에 송신해도 된다.
EPC(4)는, 주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하여 관리되는 네트워크이다. EPC(4)는, UE(3)의 모빌리티 관리(예를 들면, 위치 등록, 위치 갱신), 및 베어러 관리(예를 들면, 베어러 확립, 베어러 구성 변경, 베어러 해방) 등을 행하는 컨트롤 플레인(C-plane) 기능과, MeNB(1)와 외부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 사이 및 LPN(2)과 외부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UE(3)의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저 플레인(U-plane) 기능을 갖는다. MME(5)는 EPC에서의 C-플레인 기능을 담당한다. S-GW(6)는 EPC에서의 U-플레인 기능을 담당한다. S-GW(6)는 MeNB(1) 및 LPN(2)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와의 경계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러·아키텍처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셀(20)에서의 유저 데이터 전송에 관계되는 베어러·아키텍처를 나타내고 있다. 무선 베어러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MeNB(1)는, UE(3)와의 사이에 SRB를 확립하고, 셀(20)에서의 DRB의 확립 및 수정 등을 위한 RRC 시그널링, 및 EPC(4)와 UE(3) 사이의 NAS 메시지 전송 등의 C-플레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LPN(2)은 UE(3)와의 사이에 DRB를 확립하여 UE(3)의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EPC(4)와 MeNB(1)의 사이 및 EPC(4)와 LPN(2) 사이의 베어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EPC(4)와의 시그널링 베어러(즉, S1-MM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S1 시그널링 베어러)는, MME(5)와 MeNB(1)의 사이에 확립된다. MeNB(1)는, MME(5)와의 사이에 S1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하여, MME(5)와의 사이에서 S1-AP(S1 Application Protocol)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한편, EPC(4)와의 데이터 베어러(즉, S1-U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S1 베어러)는 S-GW(6)와 LPN(2)의 사이에 확립된다. LPN(2)은, S-GW(6)와의 사이에 S1 베어러를 확립하고, S-GW(6)와의 사이에서 UE(3)의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MeNB(1)는 LPN(2)과의 사이에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한다. MeNB(1)와 LPN(2) 사이의 시그널링 베어러는, 예를 들면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확립된다. X2 인터페이스는 eNB간의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LPN(3)이 신규의 노드로서 정의되고, eNB와 LPN 사이에 X2 인터페이스와는 다른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정의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MeNB(1)와 LPN(2) 사이의 시그널링 베어러는, 이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확립되어도 된다. 이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본 명세서에서는 임시로 X3 인터페이스라 부른다. MeNB(1)는, S-GW(6)와의 S1 베어러 및 UE(3)와의 DRB를 LPN(2)에서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베어러 설정 정보(이하에서는, "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 설정 정보라 부름)를, X2/X3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하여 LPN(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E-RAB란, S1 베어러 및 DRB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를 의미한다.
전술한 베어러·아키텍처에 따르면, LPN(2)은, MME(5)와의 사이의 S1 시그널링 베어러를 필요로 하지 않고, MeNB(1)로부터 부여되는 E-RAB 설정 정보에 의거해서 S1 베어러 및 DRB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베어러·아키텍처에서는, S1 베어러(즉, S1-U 베어러)의 종단점(終端点)이 S1 시그널링 베어러의 종단점과 다르다. 즉, MeNB(1)가 아닌 LPN(2)이 S1 베어러를 종단하고 있다. 즉, 도 2의 아키텍처에서는, RAN 내의 시그널링뿐만 아니라, EPC(4)와 RAN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도 C/U 플레인이 분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MeNB(1)는, UE(3)가 셀(20) 및 LPN(2)을 경유해서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DRB 및 S1 베어러를 확립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행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환언하면, MeNB(1)는, 셀(20)을 통한 UE(3)의 통신을 위하여, S1 베어러(즉, PRS 터널링 프로토콜(Tunneling Protocol)(GTP) 터널)를 종단할 필요가 없으며, S1 베어러와 DRB 사이의 유저 데이터 패킷의 포워딩 처리를 행할 필요도 없다. 이들 처리는 LPN(2)에 의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MeNB(1)의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MeNB(1), LPN(2), UE(3), MME(5), 및 S-GW(6)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MeNB(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11)는 UE(3)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uplink signal)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13)는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복원한다. 얻어진 수신 데이터는 통신부(14)를 경유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MME(5) 혹은 S-GW(6)에 전송된다. 예를 들면, 셀(10)을 경유해서 UE(3)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유저 데이터는 S-GW(6)에 전송된다. 또한, UE(3)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 중 NAS 데이터는 MME(5)에 전송된다. 또한, 수신 데이터 처리부(13)는, LPN(2) 또는 MME(5)에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를 제어부(15)로부터 수신하고, 이것을 통신부(14)를 경유해서 LPN(2) 또는 MME(5)에 송신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UE(3)행의 유저 데이터를 통신부(14)로부터 취득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 레이트 매칭, 인터리빙 등을 행해서 트랜스포트 채널을 생성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데이터 시퀀스에 제어 정보를 부가해서 송신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무선 통신부(11)는, 송신 심볼 시퀀스에 의거한 반송파 변조, 주파수 변환, 신호 증폭 등의 각 처리를 행해서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생성하고, 이것을 UE(3)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UE(3)에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를 제어부(15)로부터 수신하여, 이것을 무선 통신부(11)를 경유해서 UE(3)에 송신한다.
제어부(15)는, LPN(2)에 의해 운용되는 셀(20)을 통하여 UE(3)가 유저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하여 MME(5), LPN(2), 및 UE(3)와 시그널링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5)는, E-RAB 또는 S1 베어러의 확립 요구를, S1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하여 MME(5)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5)는, S1 베어러 및 DRB를 LPN(2)에서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E-RAB 설정 정보를, X2/X3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하여 LPN(2)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5)는, 셀(20)에서의 DRB를 UE(3)에 있어서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DRB 설정 정보를, 셀(10)에서의 SRB를 통하여 UE(3)에 더 송신한다.
도 4는 LPN(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무선 통신부(21), 송신 데이터 처리부(22), 수신 데이터 처리부(23), 및 통신부(24)의 기능 및 동작은, 도 3에 나타난 기지국(1)의 대응하는 요소, 즉 무선 통신부(11), 송신 데이터 처리부(12), 수신 데이터 처리부(13), 및 통신부(14)와 마찬가지이다.
LPN(2)의 제어부(25)는, MeNB(1)(제어부(15))로부터의 E-RAB 설정 정보를 X2/X3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해 수신하여, E-RAB 설정 정보에 따라서 S-GW(6)와의 S1 베어러 및 UE(3)와의 SRB를 설정한다.
도 5는 UE(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31)는 셀(10) 및 셀(20)의 어느 쪽과도 통신 가능하다. 또한, 무선 통신부(31)는, 다른 eNB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해도 된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31)는 유저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하여 복수의 셀(10 및 2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는 안테나를 통하여 eNB(1) 혹은 LPN(2) 또는 이들 양쪽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32)는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복원해서 데이터 제어부(33)에 보낸다. 데이터 제어부(33)는 수신 데이터를 그 목적에 따라서 이용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34) 및 무선 통신부(31)는, 데이터 제어부(33)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이용해서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여, eNB(1) 혹은 LPN(2) 또는 이들 양쪽을 향해서 송신한다.
UE(3)의 제어부(35)는 MeNB(1)와의 사이의 셀(10)에 있어서의 SRB를 확립하도록 무선 통신부(31)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5)는, LPN(2)과의 사이에 DRB를 확립하기 위한 DBB 설정 정보를 MeNB(1)로부터 수신하여, 셀(20)을 이용해서 유저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도록 무선 통신부(31)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UE(3)는 MeNB(1)와의 시그널링에 의거해서, LPN(2)과의 사이에서 DRB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MME(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부(51)는 MeNB(1) 및 S-GW(6)와 통신한다. 베어러 설정 제어부(52)는, MeNB(1) 및 S-GW(6)와 통신부(51)를 통해 통신하여, 이들 장치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베어러 또는 데이터 베어러의 설정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베어러 설정 제어부(52)는, 기지국(1 또는 2)으로부터의 데이터 베어러(E-RAB 또는 S1 베어러)의 설정 요구에 응답해서, S-GW(6)에 S1 베어러 설정을 요구함과 함께, E-RAB 또는 S1 베어러에 관한 베어러 설정 정보를 MeNB(1)에 송신한다.
도 7은 S-GW(6)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부(61)는, LPN(2)과의 사이에 S1 베어러를 확립하고, 당해 S1 베어러를 통하여 LPN(2)과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통신부(61)는, UE(3)에 의한 셀(10)을 통한 유저 데이터의 수신 또는 송신을 위하여, MeNB(1)와의 사이에 S1 베어러를 확립해도 된다. 통신부(64)는, EPC(4) 내의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와의 사이에 S5/S8 베어러를 설정하여, 다른 데이터 중계 장치와의 사이에서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62)는, 통신부(64)로부터 UE(3)행의 다운링크 유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류측의 S5/S8 베어러와 하류측의 S1 베어러의 대응 관계에 의거해서, 다운링크 유저 데이터를 S1 베어러에 포워딩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63)는, 통신부(61)로부터 업링크 유저 데이터를 수신하여, S5/S8 베어러와 S1 베어러의 대응 관계에 의거해서, 업링크 유저 데이터를 S5/S8 베어러에 포워딩한다.
베어러 제어부(65)는, MME(5)와 통신하여, MME(5)의 제어에 따라서, LPN(2)과 통신부(61) 사이의 S1 베어러를 설정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셀(20)에 있어서의 UE(3)의 통신을 위하여, LPN(2)을 경유하는 DRB 및 S1 베어러를 확립하는 절차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베어러의 확립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스텝 S101에서는, MeNB(1)는, 셀(10)에 속하는 UE(3)를 위하여, UE(3)와 관련지어진 S1 접속을 MME(5)와의 사이에 확립한다. 즉, MeNB(1)는 S1-MME 인터페이스에서 MME(5)와의 사이에 S1 시그널링 베어러를 확립한다. 스텝 S102에서는, MeNB(1)는 셀(10)에서 UE(3)와의 RRC 접속을 확립한다.
스텝 S103∼S108에서는, LPN(2)을 경유하는 DRB 및 S1 베어러의 확립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103에서는, MeNB(1)는 세컨더리 셀(SCell)에서의 데이터 베어러의 설정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세컨더리 셀은 LPN(2)의 셀(20)을 의미한다. MeNB(1)는 UE(3)에 대한 세컨더리 셀의 셋업을 결정한다고도 할 수 있다. 스텝 S103의 결정은 다양한 조건에 의거해서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MeNB(1)는, UE(3)로부터의 요구 또는 EPC(4)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셀(20)에서의 베어러 셋업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MeNB(1)는, 셀(20)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UE(3)로부터의 통지에 응답해서, 셀(20)에서의 베어러 셋업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MeNB(1)는, 셀(10)에 있어서의 UE(3)의 유저 데이터량이 증대한 것에 따라서, 셀(20)에서의 베어러 셋업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MeNB(1)는, 셀(10)이 고부하인 경우에, 셀(10)의 트래픽을 오프로드(offload)하기 위하여, 셀(20)에서의 베어러 셋업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MeNB(1)는, MME(5)를 통하여 가입자 서버(즉,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수신한 UE(3)의 가입자 데이터(예를 들면, UE(3)의 카테고리, 계약 정보 등)에 따라서, 셀(20)에서의 베어러 셋업을 결정해도 된다.
스텝 S104에서는, MeNB(1)는 UE(3)를 위한 LPN(2)을 경유하는 E-RAB의 확립 요구를 MME(5)에 송신한다. 요구를 수신한 MME(5)는 S1 베어러의 설정 절차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MME(5)는, S-GW(6)에 LPN(2)과의 사이의 S1 베어러의 설정을 요구한다. S-GW(6)는, LPN(2)과의 S1 베어러를 설정하고, S1 베어러 콘텍스트(예를 들면, U-플레인에서의 S-GW(6)의 어드레스 및 터널 엔드포인트 식별자(Tunnel Endpoint Identifier; TEID))를 포함하는 응답을 MME(5)에 송신한다. TEID는 S1 베어러로서의 GTP 터널의 S-GW(6)측에 있어서의 엔드포인트를 나타낸다. MME(5)는 S1 베어러 콘텍스트를 포함하는 E-RAB 설정 정보를 MeNB(1)에 송신한다.
스텝 S105 및 S106에서는, MeNB(1)는 E-RAB 설정 정보를 X2/X3 시그널링 베어러를 통하여 LPN(2)에 송신한다. E-RAB 설정 정보는 S1 베어러 설정 정보 및 DRB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LPN(2)은 E-RAB 설정 정보에 따라서 S1 베어러 및 DRB를 설정한다. S1 베어러 설정 정보는 S-GW(6)와의 S1 베어러의 확립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S1 베어러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E-RAB ID, QCI(Quality Class Indicator), S-GW(6)의 IP 어드레스, S-GW(6)의 TEID, 시큐리티 키(security key),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을 포함한다. 또한, DRB 설정 정보는 UE(3)와의 DRB의 확립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DRB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E-RAB ID, QCI(Quality Class Indicator), 및 물리 계층 및 MAC 서브 계층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스텝 S107에서는, MeNB(1)는 셀(10)의 SRB를 이용해서 RRC 재설정(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UE(3)에 송신한다. 당해 메시지는 셀(20)에서의 DRB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UE(3)는 DRB의 설정 정보에 따라서 DRB를 설정한다.
스텝 S108에서는, MeNB(1)는 E-RAB의 설정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CREATE BEARER RESPONSE)를 MME(5)에 송신한다. 당해 메시지는 S1 베어러에 관한 LPN(2)측의 설정 정보(예를 들면, LPN(2)의 어드레스 및 TEID)를 포함한다. MME(5)는 LPN(2)의 어드레스 및 TEID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S-GW(6)에 송신한다. S-GW(6)는, MME(5)로부터 수신한 LPN(2)의 어드레스 및 TEID에 따라서, S1 베어러 설정을 갱신한다.
이상의 스텝 S103∼S108의 처리에 의하여, UE(3)와 S-GW(5)의 사이에 LPN(2)을 경유하는 E-RAB가 설정된다. 스텝 S109에서는, UE(3)는 셀(20) 및 LPN(2)을 경유해서 유저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한다.
도 8의 스텝 S110은 세컨더리 셀(즉, 셀(20))의 갱신 절차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MeNB(1)는, 셀(20)의 이용 상황(총 트래픽량, 접속 UE 수 등), 혹은 셀(20)을 이용하는 UE(3)마다의 트래픽량(유저 데이터량),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거해서, LPN(2)을 경유하는 UE(3)마다의 E-RAB(즉, DRB 및 S1 베어러)의 비활성화, 또는 셀(20)의 정지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MeNB(1)는, UE(3)의 통신이 종료되었을 경우, 또는 트래픽량이 저하?을 경우에, 당해 UE(3)의 E-RAB를 비활성화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MeNB(1)는, 자신의 셀(10)의 부하가 저하되었을 경우에, LPN(2)을 경유하는 모든 E-RAB를 비활성화하여, 셀(20)의 이용을 정지해도 된다. 도 8에 나타낸 구체예에서는, MeNB(1)는 LPN(2)으로부터 스테이터스 리포트(status report)를 수신한다(스텝 S111). 스테이터스 리포트는 셀(20)의 부하(예를 들면, 총 트래픽량, 무선 리소스 이용량, 무선 리소스 이용률, 또는 접속 UE 수)를 나타낸다. 스텝 S112에서는, MeNB(1)는 스테이터스 리포트에 의거해서 셀(20)의 갱신(또는 수정)을 요구한다(SCell Modify Request).
도 9는 MeNB(1)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201에서는, MeNB(1)(제어부(15))는 LPN(2)에서의 데이터 베어러의 확립(또는 LPN(2)의 셀(20)의 활성화)을 결정한다. 스텝 S202에서는, MeNB(1)는 LPN(2)을 경유하는 E-RAB의 확립을 MME(5)에 요구한다. 스텝 S203에서는, MeNB(1)는 MME(5)로부터의 E-RAB 설정 정보의 수신 여부를 판정한다. E-RAB 설정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203에서 YES), MeNB(1)는 E-RAB 설정 정보를 LPN(2)에 송신한다. 스텝 S205에서는, MeNB(1)는 E-RAB(즉, S1 베어러 및 DRB)의 설정 완료를 나타내는 통지의 LPN(2)으로부터의 수신 여부를 판정한다. E-RAB 설정 완료 통지를 LPN(2)으로부터 수신했을 경우(스텝 S205에서 YES), MeNB(1)는 DRB 설정 정보를 셀(10)을 통하여 UE(3)에 통지한다. 스텝 S207에서는, MeNB(1)는 DRB의 설정 완료를 나타내는 통지의 UE(3)로부터의 수신 여부를 판정한다. DRB 설정 완료 통지를 UE(3)로부터 수신했을 경우(스텝 S207에서 YES), MeNB(1)는 E-RAB 설정 완료를 MME(5)에 통지한다.
도 10은 LPN(2)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301에서는, LPN(2)(제어부(25))은 E-RAB 설정 정보를 MeNB(1)로부터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E-RAB 설정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301에서 YES), LPN(2)은, E-RAB 설정 정보에 따라서, S-GW(6)와의 사이의 S1 베어러, 및 UE(3)와의 사이의 DRB를 설정한다(스텝 S302 및 S303). 스텝 S304에서는, LPN(2)은 E-RAB 설정 완료를 MeNB(1)에 통지한다.
도 11은 UE(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401에서는, UE(3)(제어부(35))는 DRB 설정 정보를 MeNB(1)로부터 수신한다. 스텝 S402에서는, UE(3)는 DRB 설정 정보에 따라서 셀(20)에서의 LPN(2)과의 DRB를 설정한다.
도 12는 MME(5)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501에서는, MME(5)(베어러 설정 제어부(52))는 MeNB(1)로부터 E-RAB 설정 요구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E-RAB 설정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501에서 YES), MME(5)는, LPN(2)에 관한 S1 베어러의 설정 정보를 생성하고, 이것을 S-GW(6)에 통지한다(스텝 S502 및 S503). 스텝 S504에서는, MME(5)는 S-GW(6)로부터 베어러 설정 완료 통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베어러 설정 완료 통지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504에서 YES), MME(5)는 E-RAB 설정 정보를 MeNB(1)에 통지한다(스텝 S505). 스텝 S506에서는, MME(5)는 MeNB(1)로부터 E-RAB 설정 완료 통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E-RAB 설정 완료 통지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506에서 YES), MME(5)는 E-RAB 설정 완료를 S-GW(6)에 통지한다(스텝 S507). S-GW(6)에의 E-RAB 설정 완료 통지는, LPN(2)과 S-GW(6) 사이의 S1 베어러에 관한 LPN(2)측의 설정 정보(예를 들면, LPN(2)의 어드레스 및 TEID)를 포함한다.
도 13은 S-GW(6)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601에서는, S-GW(6)(베어러 제어부(65))는 MME(5)로부터 S1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601에서 YES), S-GW(6)는 S1 베어러 설정 정보에 따라서 LPN(2)과의 사이의 S1 베어러를 설정한다(스텝 S602). 스텝 S603에서는, S-GW(6)는 S1 베어러의 설정 완료를 MME(5)에 통지한다. 당해 통지는, LPN(2)과의 사이의 S1 베어러에 관한 S-GW(6)측의 설정 정보(예를 들면, S-GW(6)의 어드레스 및 TEID)를 포함한다. 스텝 S604에서는, S-GW(6)는 MME(5)로부터의 E-RAB 설정 완료 통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E-RAB 설정 완료 통지를 수신했을 경우(스텝 S604에서 YES), S-GW(6)는 E-RAB 설정 완료 통지에 따라서 LPN(2)과의 사이의 S1 베어러의 설정을 갱신(수정)한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베어러·아키텍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셀(20)에서 통신하는 UE(3)를 위한 S1 베어러가, LPN(2)에 있어서 종단되는 예를 나타냈다. S1 베어러는 GTP 터널이고, 유저 데이터(데이터 패킷)는 S-GW(6)와 LPN(2)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GTP 터널 패킷으로 캡슐화된다. 예를 들면, 다운링크 유저 데이터를 캡슐화하고 있는 GTP 터널 패킷은, S-GW(6)와 LPN(2)의 사이에 배치된 라우터에 의해 라우팅 및 포워딩되는 것에 의하여 LPN(2)에 도달한다. 따라서, 전형적으로는, GTP 터널 패킷은 MeNB(1)를 경유하지 않고 전송된다. 이 경우, MeNB(1)는 S1 베어러의 종단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MeNB(1)의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GTP 터널 패킷이 MeNB(1)와 LPN(2) 사이의 X2/X3 인터페이스를 흐르지 않기 때문에, X2/X3 인터페이스의 용량 및 지연 등에 관한 성능 요건이 완화된다. 예를 들면, X2/X3 인터페이스에 비(非)광파이버 회선(예를 들면, 무선 회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GTP 터널 패킷의 라우팅을 상세히 규정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 데이터를 캡슐화하고 있는 GTP 터널 패킷이 MeNB(1)를 경유해서 S-GW(6)와 LPN(2)의 사이에서 전송되도록 한다. MeNB(1)는, 라우터(예를 들면, IP(Internet Protocol) 라우터)로서 기능하며, GTP 터널 패킷을 라우팅 및 포워딩하면 된다. MeNB(1)를 경유하는 GTP 터널 패킷의 라우팅은, S-GW(6), LPN(2), 및 MeNB(1)가 갖는 라우팅 테이블의 설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점 중 하나는 MeNB(1)가 S1 베어러를 종단할 필요는 없다는 점이다. MeNB(1)는, GTP 터널 패킷을 포워딩하는 라우터로서 동작하면 되며, 캡슐화되어 있는 유저 패킷을 취출(取出)하기 위한 역캡슐화(decapsulation)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GTP 터널 종단에 수반하는 MeNB(1)의 처리 부하의 증대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주목해야할 점은, MeNB(1)가 GTP 터널 패킷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점이다. 예를 들면, MeNB(1)는 전송되는 GTP 터널 패킷의 트래픽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GTP 터널 패킷의 트래픽량을 관측함으로써, MeNB(1)는 LPN(2)의 부하 또는 셀(20)의 부하를 자립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MeNB(1)는, LPN(2)을 경유하는 E-RAB 또는 셀(20)의 비활성화의 판정(도 8의 스텝 S110)을, 자신이 모니터링한 GTP 터널 패킷의 트래픽량에 의거해서 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러·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예에서는, MeNB(1) 및 LPN(2)은 X2/X3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터널(70)(예를 들면, GTP 터널)을 설정한다. MeNB(1)는, S-GW(6)와 LPN(2) 사이의 S1 베어러에 있어서 유저 데이터를 캡슐화하고 있는 GTP 터널 패킷을 더 캡슐화하여, 터널(70)을 이용해서 전송한다. 또한, 터널(70)은 설정되지 않아도 된다. 즉, MeNB(1)는, GTP 터널 패킷에 대하여 한층 더 캡슐화를 행하지 않고, GTP 터널 패킷을 그대로 전송해도 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베어러의 확립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8과 도 15의 비교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어러 확립 절차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S1 베어러의 종단점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S-GW(6) 및 LPN(2)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5의 스텝 S101∼S108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8의 스텝 S101∼S108과 마찬가지이다. 도 15의 스텝 S702에서는, MeNB(1) 및 LPN(2)은 X2/X3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터널(70)을 확립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터널(70)의 확립은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스텝 S709에서는, S-GW(6)와 LPN(2) 사이의 GTP 터널 패킷이 MeNB(1)를 경유해서 전송된다. 도 14 및 도 15의 예에서는, X2/X3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터널(70)을 경유해서 GTP 터널 패킷이 전송된다.
도 15의 스텝 S710은, 도 8의 스텝 S110과 마찬가지로, 세컨더리 셀(즉, 셀(20))의 갱신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MeNB(1)는, 셀(20)의 이용 상황(총 트래픽량, 접속 UE 수 등), 혹은 셀(20)을 이용하는 UE(3)마다의 트래픽량(유저 데이터량),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거해서, LPN(2)을 경유하는 UE(3)마다의 E-RAB(즉, DRB 및 S1 베어러)의 비활성화, 또는 셀(20)의 정지를 행해도 된다. 도 15에 나타낸 구체예에서는, MeNB(1)는 자신이 전송하는 GTP 터널 패킷의 트래픽량(즉, 셀(20)의 트래픽량)을 모니터링한다(스텝 S711). 그리고, 스텝 S712에서는, MeNB(1)는 모니터링된 트래픽량에 의거해서 셀(20)의 갱신(수정)을 요구한다(SCell Modify Request).
<제 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MeNB(1)는, UE(3)에 관한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10) 및 셀(20)의 어느 쪽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고, 셀(20)의 사용을 결정한 것에 따라서, LPN(2)을 경유하는 S1 베어러 및 DRB의 확립을 요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MeNB(1)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 셀(20)의 사용을 결정하면 된다. 당해 소정의 조건은, 예를 들면 베어러 우선도, UE(3)의 유저 데이터에 허용되는 지연량, LPN(2)의 부하, LPN(2)의 무선 품질, UE(3)와 LPN(2) 사이의 위치 관계, 및 UE(3)의 이동성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셀(20)의 사용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예에서는, 소정의 조건은 베어러 우선도에 관한 것이다. MeNB(1)는, 베어러 우선도가 기준값보다도 높은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MeNB(1)의 셀(10)을 사용하도록 결정하고, 베어러 우선도가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LPN(2)의 셀(20)을 사용하도록 결정해도 된다.
제 2 예에서는, 소정의 조건은 UE(3)의 유저 데이터에 허용되는 지연량에 관한 것이다. MeNB(1)는, 허용되는 지연량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10)을 사용하도록 결정하고, 허용되는 지연량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20)을 사용하도록 결정해도 된다.
제 3 예에서는, 소정의 조건은 LPN(2)의 부하에 관한 것이다. MeNB(1)는, LPN(2)의 부하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10)을 사용하도록 결정하고, LPN(2)의 부하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20)을 사용하도록 결정해도 된다. LPN(2)의 부하는, 예를 들면 리소스 사용량, 리소스 사용률, 또는 유저 데이터의 트래픽량으로 해도 된다. 또한, MeNB(1)는 LPN(2)의 부하를 LPN(2)으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집해도 된다. 또한, LPN(2)은, 주기적으로 LPN(2)의 부하를 MeNB(1)에 통지해도 되고, 부하가 기준값을 초과한 것에 따라서 비주기적으로 MeNB(1)에 통지해도 된다.
제 4 예에서는, 소정의 조건은 LPN(2)의 무선 품질에 관한 것이다. MeNB(1)는, LPN(2)의 무선 품질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10)을 사용하도록 결정하고, LPN(2)의 무선 품질이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20)을 사용하도록 결정해도 된다. LPN(2)의 무선 품질은, 예를 들면 LPN(2)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로 해도 된다. LPN(2)의 무선 품질은, UE(3)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UE(3)로부터 MeNB(1)에 보고되어도 된다.
제 5 예에서는, 소정의 조건은 UE(3)와 LPN(2) 사이의 위치 관계에 관한 것이다. MeNB(1)는, LPN(2)과 UE(3)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평가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10)을 사용하도록 결정하고, 당해 평가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20)을 사용하도록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 MeNB(1)는 LPN(2)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UE(3)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LPN(2) 및 UE(3)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여도 된다.
제 6 예에서는, 소정의 조건은 UE(3)의 이동성에 관한 것이다. MeNB(1)는, UE(3)의 이동성을 나타내는 평가값이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10)을 사용하도록 결정하고, 당해 평가값이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 UE(3)의 유저 데이터의 전송에 셀(20)을 사용하도록 결정해도 된다. UE(3)의 이동성을 나타내는 평가값은 UE(3)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GPS 정보)로부터 계산된 평균 이동 속도여도 된다. 또한, UE(3)의 이동성을 나타내는 평가값은, UE(3)의 셀 체재(stay) 시간, 또는 UE(3)의 핸드오버 빈도 등이어도 된다. UE(3)의 셀 체재 시간, 및 UE(3)의 핸드오버 빈도는, UE(3)의 이동성과 관계되어 있다. 즉, UE(3)가 높은 이동성을 가질 경우에, UE(3)의 평균적인 셀 체재 시간이 짧아져, UE(3)의 핸드오버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베어러의 확립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6의 스텝 S101 및 S102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8의 스텝 S101 및 S102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803에서는, MeNB(1)는, UE(3)를 위한 데이터 베어러를 MeNB(1)(셀(10)) 및 LPN(2)(셀(20))의 어느 쪽에 설정할지를 결정한다. LPN(2)의 셀(20)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의 구체예는 전술한 바와 같다.
스텝 S803에서의 결정에 따라서, 스텝 S804A 또는 S804B가 택일적으로 실행된다. 즉, 셀(20)(세컨더리 셀)의 사용을 결정했을 경우, MeNB(1)는, LPN(2)을 경유하는 S1 베어러 및 DRB의 확립을 MME(5)에 요구하여, UE(3) 및 LPN(2)과 시그널링한다. LPN(2)을 경유하는 S1 베어러 및 DRB의 확립 절차는,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르면 된다. 이것에 의해, LPN(2)을 경유하는 S1 베어러 및 DRB가 확립된다. UE(3)는 LPN(2)의 셀(20)을 경유해서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스텝 S804A). 한편, 셀(10)(프라이머리셀)의 사용을 결정했을 경우, MeNB(1)는 MeNB(1)를 경유하는 S1 베어러 및 DRB의 확립을 MME(5)에 요구한다. 이것에 의해, MeNB(1)를 경유하는 S1 베어러 및 DRB가 확립된다. UE(3)는 MeNB(1)의 셀(10)을 경유해서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스텝 S804B).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면 이하에 기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LPN(2)을 사용할 경우, 셀(20)의 커버리지가 작은 것에 기인하여, 다른 셀(예를 들면, MeNB 셀, LPN 셀)에의 UE(3)의 핸드오버/데이터 베어러 전환이 빈번하게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가 LPN(2)에 설정되었을 경우, 레이턴시, 스루풋, 또는 데이터 로스(loss) 등의 일부의 요건이 만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LPN(2)에 설정되는 데이터 베어러가, 저(低)레이턴시 또는 소(小)데이터 로스 등을 필요로 하는 특정한 서비스(예를 들면, VoIP(Voice over IP), 온라인 게이밍 등)에 알맞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LPN(2)의 부하, LPN(2)의 무선 품질, UE(3)의 이동성 등의 다른 요인에 대해서도 LPN(2)을 이용할 때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MeNB(1)는, LPN(2)의 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상황, 서비스 특성, 또는 UE(3)의 특성 등을 판단하여, LPN(2)의 이용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MeNB(1)의 셀(10)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LPN(2)을 이용할지의 여부를 MeNB(1)가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제 3 실시형태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베어러·아키텍처와는 다른 베어러·아키텍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3 실시형태는, UE(3)의 유저 데이터를 셀(20) 및 LPN(2)을 경유해서 전송하기 위한 S1 베어러가 MeNB(1)에 있어서 종단되는 아키텍처에 적용되어도 된다. 즉, LPN(2)의 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상황, 서비스 특성, 또는 UE(3)의 특성 등을 MeNB(1)에 있어서 판단하여, LPN(2)의 이용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MeNB(1)의 셀(10)을 사용한다는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MeNB(1)의 처리·동작은, 베어러·아키텍처에 의존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MeNB(1)(제어부(15)), LPN(2)(제어부(25)), UE(3)(제어부(35)), MME(5)(베어러 설정 제어부(52)), 및 S-GW(6)(베어러 제어부(65))에 의한 베어러 확립에 관한 제어 방법은, 모두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는 반도체 처리 장치를 이용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의 처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MPU(Micro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현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차트 및 시퀀스 도면에 나타난 알고리즘을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당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하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이용해서 저장되어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다양한 타입의 유형의 기록 매체(tangi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예는, 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광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CD-ROM(Read Only Memory), CD-R, CD-R/W,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면, 마스크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플래시 ROM,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의하여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전선 및 광파이버 등의 유선 통신로, 또는 무선 통신로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 1∼제 3 실시형태는 적절히 조합시켜서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 1∼제 3 실시형태는, 주로 LTE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을 행했다. 그러나, 이들 실시형태는, LTE 시스템 이외의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2 CDMA2000 시스템(1xRTT, HRPD(High Rate Packet Dat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 또는 WiMAX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얻어진 기술 사상의 적용에 관한 예들에 지나지 않는다. 즉, 당해 기술 사상은 전술한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 출원은, 2012년 10월 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원2012-223176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1 : 기지국(MeNB)
2 : 기지국(LPN)
3 : 이동국(UE)
4 : 코어 네트워크(EPC)
5 : 모빌리티 관리 장치(MME)
6 : 데이터 중계 장치(S-GW)
15 : 제어부
25 : 제어부
35 : 제어부
52 : 베어러 설정 제어부
65 : 베어러 제어부
70 : 터널

Claims (21)

  1. 제 1 기지국으로서,
    제 2 기지국에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를 위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제 1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기지국의 어드레스 및 터널 엔드포인트 식별자(Tunnel Endpoint Identifier; TEID)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모빌리티 관리 장치(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 1 기지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응답이 수신된 후,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에 관한 제 3 메시지를 이동국(User Equipment;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 1 기지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3 메시지에 대한 제 2 응답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 1 기지국.
  4.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한 S1-MME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종단되고,
    상기 이동국(UE)에 대한 S1-U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종단되는, 제 1 기지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1-MME 인터페이스는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을 위해 이용되고,
    상기 S1-U 인터페이스는 유저 플레인(User Plane)을 위해 이용되는, 제 1 기지국.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1-MME 인터페이스 및 상기 S1-U 인터페이스는 동시에 이용되는, 제 1 기지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인터페이스는 제 2 기지국 수정 요구에 관한 제 4 메시지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 1 기지국.
  8. 제 1 기지국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제 2 기지국에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를 위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제 1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지국의 어드레스 및 터널 엔드포인트 식별자(Tunnel Endpoint Identifier; TEID)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모빌리티 관리 장치(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답이 수신된 후, 상기 제 2 메시지를 모빌리티 관리 장치(MME)에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에 관한 제 3 메시지를 이동국(User Equipment;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메시지에 대한 제 2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한 S1-MME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종단되고,
    상기 이동국(UE)에 대한 S1-U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종단되는, 통신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S1-MME 인터페이스는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을 위해 이용되고,
    상기 S1-U 인터페이스는 유저 플레인(User Plane)을 위해 이용되는, 통신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S1-MME 인터페이스 및 상기 S1-U 인터페이스는 동시에 이용되는, 통신 제어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를 모빌리티 관리 장치(MME)에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제 2 기지국 수정 요구에 관한 제 4 메시지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 1 기지국;
    제 2 기지국; 및
    모빌리티 관리 장치(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에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를 위한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제 1 메시지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제 1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의 어드레스 및 터널 엔드포인트 식별자(Tunnel Endpoint Identifier; TEID)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모빌리티 관리 장치(MM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이동국(User Equipment; U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1 응답이 수신된 후,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에 관한 제 3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UE)은, 상기 제 3 메시지에 대한 제 2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이동국(User Equipment; U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국(UE)에 대한 S1-MME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종단되고,
    상기 이동국(UE)에 대한 S1-U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종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S1-MME 인터페이스는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을 위해 이용되고,
    상기 S1-U 인터페이스는 유저 플레인(User Plane)을 위해 이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S1-MME 인터페이스 및 상기 S1-U 인터페이스는 동시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제 2 기지국 수정 요구에 관한 제 4 메시지를 상기 제 2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77031743A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1919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3176 2012-10-05
JPJP-P-2012-223176 2012-10-05
PCT/JP2013/003240 WO2014054200A1 (ja) 2012-10-05 2013-05-21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827A Division KR101794739B1 (ko)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847A Division KR101958710B1 (ko)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129A KR20170125129A (ko) 2017-11-13
KR101919913B1 true KR101919913B1 (ko) 2018-11-19

Family

ID=5043455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743A KR101919913B1 (ko)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57008773A KR101760381B1 (ko)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87032847A KR101958710B1 (ko)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77019827A KR101794739B1 (ko)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773A KR101760381B1 (ko)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87032847A KR101958710B1 (ko)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77019827A KR101794739B1 (ko) 2012-10-05 2013-05-21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9750069B2 (ko)
EP (3) EP2906009B1 (ko)
JP (5) JP6172156B2 (ko)
KR (4) KR101919913B1 (ko)
CN (2) CN104704902B (ko)
ES (1) ES2754026T3 (ko)
HK (1) HK1213720A1 (ko)
WO (1) WO2014054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913B1 (ko) * 2012-10-05 2018-11-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JP5784572B2 (ja) * 2012-11-01 2015-09-24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10225529B (zh) * 2012-12-28 2022-05-10 日本电气株式会社 主基站及其方法
JP5878134B2 (ja) * 2013-01-09 2016-03-08 株式会社Nttドコモ 上位基地局、下位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4138386A (ja) * 2013-01-18 2014-07-28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
CN112218360A (zh) 2013-05-28 2021-01-12 索尼公司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进行无线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KR102287928B1 (ko) 2013-09-27 2021-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070445A1 (zh) * 2013-11-15 2015-05-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建立无线承载的方法及基站
JP6082129B2 (ja) * 2014-01-31 2017-02-15 京セラ株式会社 マスタ基地局、セカンダリ基地局、及びプロセッサ
CN111954266B (zh) * 2014-06-23 2024-04-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双连接中分割承载的数据分配方法和装置
BR112017017674A2 (pt) * 2015-02-17 2018-07-17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estabelecimento de enlace de backhaul, estação base, e dispositivo.
EP3142453B1 (en) * 2015-09-08 2018-05-16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radio bearer release by a relay ue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686607B (zh) * 2015-11-09 2020-10-27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通信网络、业务接入方法及相关装置
KR102126145B1 (ko) * 2016-01-15 2020-06-24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C-평면 재배치 없는 wlan 종단 u-평면 재배치
CN107809770B (zh) * 2016-09-09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08282817B (zh) 2017-01-05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和装置
CN116528399A (zh) * 2017-02-10 2023-08-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Gtp传输通道的配置方法及装置
CN107257553B (zh) 2017-05-04 2020-10-0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面链路建立方法、基站及移动性管理设备
WO2019191936A1 (zh) * 2018-04-04 2019-10-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0014B2 (ja) * 2005-03-31 2008-09-17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KR101221898B1 (ko) 2005-06-14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시그널링 방법
JP5348227B2 (ja) * 2006-04-21 2013-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CN101350952B (zh) * 2007-07-22 2012-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路域核心网重用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PT2272272T (pt) * 2008-04-30 2016-07-15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Utilização da própria ligação de rádio como uma ligação de transporte para algumas das estações base em lte
MX2011003870A (es) * 2008-10-20 2011-05-03 Ericsson Telefon Ab L M Gestion de la calidad de servicios para auto-redireccionamiento en evolucion de largo plazo (lte).
CN101925042B (zh) * 2009-06-10 2013-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隧道标识分配的方法、装置和系统
CN101931898B (zh) * 2009-06-26 2014-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面数据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1990247B (zh) * 2009-08-07 2013-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和通信系统
KR20120070598A (ko) 2009-11-02 2012-06-2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통신시스템, 저전력기지국, 고전력기지국, 무선단말, 및 무선통신방법
JP4838377B2 (ja) * 2009-12-14 2011-1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CN102170667B (zh) * 2010-02-25 2013-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基站间切换的方法、系统及基站装置
WO2011142624A2 (en) * 2010-05-14 2011-11-17 Lg Electronics Inc.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404809A (zh) * 2010-09-07 2012-04-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通道迁移方法及系统
CN102413478B (zh) * 2010-09-21 2015-12-0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系统
US8565076B2 (en) * 2010-09-24 2013-10-22 Movik Networks Destination learning and mobility detection in transit network device in LTE and UMTS radio access networks
CN102469557B (zh) 2010-11-15 2014-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基站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8982838B2 (en) * 2011-02-11 2015-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data associated with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CN107437985B (zh) * 2011-02-18 2023-10-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建立演进分组系统承载的方法及基站
EP2884812B1 (en) * 2011-04-01 2016-12-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common PDP context
EP2509345A1 (en) * 2011-04-05 2012-10-10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small data transmissions for machine-type-communication (MTC) devices
JP2012223176A (ja) 2011-04-21 2012-11-15 Susumu Takahashi 簡易水耕栽培装置
CN105357773B (zh) * 2011-07-15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宽带通信方法,装置和系统
WO2012106899A1 (zh) * 2011-07-18 2012-08-1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设备和系统
CN102905329A (zh) * 2011-07-29 2013-01-3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支持切换的方法
CN102300331B (zh) * 2011-08-19 2013-11-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数据传输方法和设备
CN104285463A (zh) 2012-03-07 2015-01-1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于移动通信的在物理和链路层的方法和装置
JP6055627B2 (ja) * 2012-08-14 2016-12-27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WO2014031989A1 (en) * 2012-08-23 2014-02-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Operating with multiple schedulers in a wireless system
US10448300B2 (en) 2012-09-28 201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919913B1 (ko) * 2012-10-05 2018-11-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aojun Li, et. al., "User Plane and Control Plane Seperation Framework for Home Base Stations", Journal of FUJITSU Science Technology, vol.46, no. 1, pp.79-86(201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44612B2 (en) 2021-06-22
EP2906009A4 (en) 2016-07-27
KR20180125610A (ko) 2018-11-23
CN110087332B (zh) 2024-02-02
EP2906009B1 (en) 2019-07-31
EP3562242B1 (en) 2022-03-23
EP3562242A1 (en) 2019-10-30
CN104704902B (zh) 2019-03-15
KR20150054896A (ko) 2015-05-20
KR101760381B1 (ko) 2017-07-21
US9750069B2 (en) 2017-08-29
EP3937591A1 (en) 2022-01-12
KR101794739B1 (ko) 2017-11-07
EP2906009A1 (en) 2015-08-12
JP6838628B2 (ja) 2021-03-03
US20210282023A1 (en) 2021-09-09
US10588023B2 (en) 2020-03-10
JP7131643B2 (ja) 2022-09-06
JP6569779B2 (ja) 2019-09-04
KR101958710B1 (ko) 2019-03-15
JP2019220967A (ja) 2019-12-26
US11589241B2 (en) 2023-02-21
JP2017169243A (ja) 2017-09-21
KR20170086684A (ko) 2017-07-26
CN110087332A (zh) 2019-08-02
US20170325276A1 (en) 2017-11-09
JP2021073824A (ja) 2021-05-13
JP6361791B2 (ja) 2018-07-25
JPWO2014054200A1 (ja) 2016-08-25
US20150282238A1 (en) 2015-10-01
JP2018148587A (ja) 2018-09-20
CN104704902A (zh) 2015-06-10
HK1213720A1 (zh) 2016-07-08
WO2014054200A1 (ja) 2014-04-10
KR20170125129A (ko) 2017-11-13
ES2754026T3 (es) 2020-04-15
US20200169893A1 (en) 2020-05-28
JP6172156B2 (ja)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1643B2 (ja) モビリティ管理装置、通信装置、及びこれらの通信方法
US11356924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60673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9924556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603193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