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827B1 -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827B1
KR101919827B1 KR1020170037610A KR20170037610A KR101919827B1 KR 101919827 B1 KR101919827 B1 KR 101919827B1 KR 1020170037610 A KR1020170037610 A KR 1020170037610A KR 20170037610 A KR20170037610 A KR 20170037610A KR 101919827 B1 KR101919827 B1 KR 10191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ntake
area
ai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181A (ko
Inventor
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스웰
Priority to KR102017003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82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의 일 양태는, 공간의 일측에 위치되는 흡기구; 상기 흡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의 타측에 위치되는 배기구;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공간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를 향하도록 유동시키는 흡기팬; 및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팬은,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공간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향하도록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시킨다.

Description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IN LARGE SPACE}
본 발명은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장의 내부 공간에는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 등을 공장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지면이나 이에 인접하는 공장의 내부 공간에서의 난방, 작업열이나 작업자의 체온 등과 같은 다양한 열원에 의하여 공기가 가열됨으로써, 자연 대류에 의하여 공장의 내부 공간의 하부 영역에서 상부 영역으로 공기의 유동됨으로써, 공장의 내부 공간과 외부 사이에서 공기의 입출되어 환기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지면에 인접하는 출입구나 별도의 공기 유입을 위한 흡기구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공장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고, 공자의 천장이나 상부에 인접하는 배기구를 통하여 공장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연 대류에 의한 공장의 환기시에는, 공장의 내부 공간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공간이거나, 공장의 내부 공간의 상하 영역 사이에서의 온도차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충분한 자연 대류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공장의 내부 공간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기를 위하여 별도의 팬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흡기팬에 의하여 외부에서 공장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거나, 배기팬에 의하여 공장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공장의 내부 공간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장의 내부 공간의 체적에 비례하여 흡기팬 또는 배기팬의 출력이 증가하여야 하고, 고출력의 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팬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공기의 고속 유동이나 팬의 동작에 따른 소음 등에 따른 작업 효율의 저하도 문제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대공간의 공장의 경우에는, 흡기팬 또는 배기팬의 출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흡기팬 또는 배기팬에 인접하는 영역에서만 환기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의 경우에는, 흡기팬 또는 배기팬에 인접하는 영역에서의 냉방이나 난방이 문제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0380호(명칭: 건물의 환기팬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03170호(명칭: 식물공장의 환경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대공간의 공장에서 보다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 효율을 증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의 일 양태는, 공간의 일측에 위치되는 흡기구; 상기 흡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의 타측에 위치되는 배기구;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공간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를 향하도록 유동시키는 흡기팬; 및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팬은,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공간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향하도록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간은,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영역, 및 상기 작업 영역과 연통되도록 상기 작업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공기의 자연 대류가 이루어지는 환기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작업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환기 영역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작업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환기 영역의 상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작업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 센서; 및 상기 환기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작업 영역 및 환기 영역의 온도차에 반비례하여 상기 흡기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공간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통되는 제1 내지 제n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는, 상호 최대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공간과 제n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팬은, 상기 제1 내지 제n공간 중 어느 하나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 내지 제n흡기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흡기팬이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배기구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흡기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경사각은, 상기 배기구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배기구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작업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 센서; 및 상기 환기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작업 영역 및 환기 영역의 온도차에 반비례하여 상기 배기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급기팬에 의하여 공간의 내부로 상향 경사지게 공기가 유동되면서 배기구를 향하여 공기가 유동되도록 자연 대류를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간의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출력의 팬을 사용하여 경제적으로 환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출력의 급기팬을 사용함으로써, 고속으로의 공기의 유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급기팬의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가 에어 커튼의 역할을 수행하여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환기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증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1)은, 흡기구(200), 배기구(300), 흡기팬(400), 배기팬(500), 제1 및 제2센서(601)(602),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부(700)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흡기팬(400) 및 배기팬(500)에 의하여 상기 흡기구(200)를 통하여 외부에서 공간(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공간(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상기 공간(100)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간(100)은, 작업 영역(100A) 및 환기 영역(100B)으로 구분된다. 상기 작업 영역(100A)은,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이고, 상기 환기 영역(100B)은, 상기 작업 영역(100A)과 연통되도록 상기 작업 영역(100A)의 상방에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작업 영역(100A)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상기 환기 영역(100B)에서의 자연 대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200)는, 외부에서 상기 공간(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하고, 상기 배기구(300)는, 상기 공간(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상기 흡기구(200)는, 상기 공간(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기구(300)는, 상기 흡기구(2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100)의 타측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흡기구(200)는, 상기 작업 영역(100A)에 인접하는 상기 환기 영역(100B)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기구(300)는, 상기 작업 영역(100A)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환기 영역(100B)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작업 영역(100A)은, 실질적으로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작업자의 체온 등에 의하여 상기 환기 영역(100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나타내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작업 영역(100A)에서 상기 환기 영역(100B)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자연 대류가 발생할 것이다.
상기 흡기팬(400)은, 상기 흡기구(200)를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공간(10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300)를 향하도록 유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기팬(400)은, 상기 흡기구(200) 상 또는 상기 흡기구(200)에 인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팬(400)이, 상기 흡기구(200)를 통하여 상기 공간(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300)를 향하도록 상기 공간(100)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시킨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흡기구(20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이 상기 환기 영역(100B)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이에 의하여 상기 작업 영역(100A)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흡기팬(4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일종의 에어 커튼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공조된 상기 작업 영역(100A)의 공기가 상기 환기 영역(100B)으로 확산되거나, 상기 환기 영역(100B)에서 공기가 자연 대류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상기 환기 영역(100B)에서 상기 작업 영역(100A)으로 전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팬(500)은, 상기 배기구(300)를 통하여 상기 공간(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팬(500)은, 상기 배기구(300) 상 또는 상기 배기구(300)에 인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배기팬(500)은, 상기 공간(100)의 체적이나 높이, 또는 상기 작업 공간(100)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종류 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비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601)(602)는, 상기 작업 영역(100A) 및 환기 영역(100B)의 온도를 감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온도 센서(601)는, 상대적으로 상기 작업 영역(100A)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온도 센서(602)는, 상대적으로 상기 환기 영역(100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601)(602)가 인접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601)(602)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작업 영역(100A) 및 환기 영역(100B) 중 어느 일방의 온도가 타방의 온도에 의하여 간섭받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팬(400) 및 배기팬(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601)(602)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작업 영역(100A) 및 환기 영역(100B)의 온도차에 반비례하여 상기 흡기팬(400) 및 배기팬(5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601)(602)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작업 영역(100A) 및 환기 영역(100B)의 온도차가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작업 영역(100A)에서 상기 환기 영역(100B)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자연 대류 현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흡기팬(400) 및 배기팬(500)의 회전을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601)(602)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작업 영역(100A) 및 환기 영역(100B)의 온도차가 작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작업 영역(100A)에서 상기 환기 영역(100B)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자연 대류 현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흡기팬(400) 및 배기팬(500)의 회전을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팬(400)에 의하여 상기 흡기구(200)를 통하여 상기 공간(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간(100)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되면서, 상기 작업 공간(100)에서 상기 환기 공간(100)으로의 공기의 자연 대류를 안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100)의 내부에서의 자연 대류 현상을 상기 흡기팬(400)이 보조하는 형태로 상기 공간(100)의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저출력의 팬을 사용한 환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구(200)가 상기 환기 영역(100B)의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흡기구(200)를 통하여 상기 공간(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작업자에게 직접 맞닿지 않게 된다. 나아가 상기 흡기팬(4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일종의 에어 커튼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작업 영역(100A)에서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가 상기 환기 영역(100B)으로 확산되거나, 상기 배기구(300)를 통하여 배출되기 위하여 상기 환기 영역(100B)을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상기 작업 영역(100A)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제2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2)에서는, 공간(100)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통되는 제1 내지 제3공간(101)(102)(103)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구(200) 및 배기구(300)가, 상호 최대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공간(101)과 제3공간(103)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흡기구(200)는, 상기 제1공간(101)의 환기 영역(100B)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기구(300)는, 제3공간(103)의 환기 영역(100B)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팬(400)이 제1 내지 제3흡기팬(401)(402)(40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흡기팬(401)(402)(403)은, 상기 제1 내지 제3공간(101)(102)(103)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킨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흡기팬(401)(402)(403)이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배기구(300)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그런데 상기 배기구(300)는 상기 제3공간(103)의 환기 영역(100B)에 위치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제1흡기팬(401)에 비하여 상기 제2흡기팬(402)이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고, 상기 제2흡기팬(402)에 비하여 상기 제3흡기팬(403)이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흡기팬(401)(402)(403)에 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공간(101)(102)(103)에서의 공기의 자연 대류에 의한 유동이 상기 배기구(300)를 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3)에서는, 공간(100)이 제1 내지 제3공간(101)(102)(103)을 포함하고, 흡기팬(400)이 제1 내지 제3흡기팬(401)(402)(403)을 포함하는 것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흡기팬(401)(402)(403)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경사각이, 상기 배기구(300)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흡기팬(401)에 비하여 상기 제2흡기팬(402)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으로 공기가 유동되고, 상기 제2흡기팬(402)에 비하여 상기 제3흡기팬(403)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으로 공기가 유동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흡기팬(401)(402)(403)에 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공간(101)(102)(103)에서의 공기의 자연 대류에 의한 유동이 상기 배기구(300)를 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서는, 공간이 제1 내지 제3공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공간이 2개 또는 4개 이상의 서로 연통되는 공간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100: 공간 200: 흡기구
300: 배기구 400: 흡기팬
500: 배기팬 601, 602: 센서
700: 제어부

Claims (8)

  1. 공간의 일측에 위치되는 흡기구;
    상기 흡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의 타측에 위치되는 배기구;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공간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를 향하도록 유동시키는 흡기팬; 및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팬은,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공간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향하도록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시키고,
    상기 공간은,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영역, 및 상기 작업 영역과 연통되도록 상기 작업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공기의 자연 대류가 이루어지는 환기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작업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환기 영역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작업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환기 영역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작업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 센서; 및
    상기 환기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작업 영역 및 환기 영역의 온도차에 반비례하여 상기 흡기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2. 공간의 일측에 위치되는 흡기구;
    상기 흡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공간의 타측에 위치되는 배기구;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공간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를 향하도록 유동시키는 흡기팬;
    상기 배기구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 및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팬은,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공간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향하도록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경사각으로 상향 경사지게 유동시키고,
    상기 공간은,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영역, 및 상기 작업 영역과 연통되도록 상기 작업 영역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공기의 자연 대류가 이루어지는 환기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흡기구는, 상기 작업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환기 영역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작업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환기 영역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작업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 센서; 및
    상기 환기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작업 영역 및 환기 영역의 온도차에 반비례하여 상기 흡기팬 및 배기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통되는 제1 내지 제n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는, 상호 최대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공간과 제n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팬은, 상기 제1 내지 제n공간 중 어느 하나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 내지 제n흡기팬을 포함하는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흡기팬이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배기구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흡기팬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의 경사각은, 상기 배기구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37610A 2017-03-24 2017-03-24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KR10191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10A KR101919827B1 (ko) 2017-03-24 2017-03-24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610A KR101919827B1 (ko) 2017-03-24 2017-03-24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181A KR20180108181A (ko) 2018-10-04
KR101919827B1 true KR101919827B1 (ko) 2018-11-21

Family

ID=6386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610A KR101919827B1 (ko) 2017-03-24 2017-03-24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8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1833A (ja) 2009-07-16 2011-02-03 Kuramochi Housing:Kk 躯体内換気システム
JP2016094755A (ja) * 2014-11-14 2016-05-26 エバ工業株式会社 工場建物の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1833A (ja) 2009-07-16 2011-02-03 Kuramochi Housing:Kk 躯体内換気システム
JP2016094755A (ja) * 2014-11-14 2016-05-26 エバ工業株式会社 工場建物の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181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301B1 (ko) 공조용 토출 장치 시스템, 배출열 반송 장치 시스템 및이들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
KR101442199B1 (ko) 지하주차장 환기 시스템
JP5331330B2 (ja) 建物
KR101115314B1 (ko) 배연 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CN1651831A (zh) 风扇过滤器单元控制系统和具有该系统的无尘室
KR100640824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20110002412A (ko) 환기 시스템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US104733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air stratification via ductless devices
JP2014173826A (ja) 全熱交換型の換気装置
KR101919827B1 (ko) 대공간용 환기 시스템
KR102119098B1 (ko) 엘리베이터 샤프트 냉각 시스템 및 방법
EP3764018A1 (en) Air-conditioning system
FI126255B (fi) Paineistetun monikerroksisen rakennuksen paineenhallinta ja ilmastointi
KR20200008459A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JP4196329B2 (ja) 冷風換気システム
CN109489173B (zh) 换气系统
JP2005140479A (ja) 夜間換気システム
KR100701430B1 (ko) 혼합식 바닥공조시스템
KR20070089001A (ko) 창호형 환기장치
KR100981122B1 (ko) 실내 공기조화기
KR20130138710A (ko) 실내공기 순환기
KR20200009938A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388905B1 (ko) 에어커튼 시스템
KR20200008458A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