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813B1 - 이음관 - Google Patents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813B1
KR101919813B1 KR1020180036719A KR20180036719A KR101919813B1 KR 101919813 B1 KR101919813 B1 KR 101919813B1 KR 1020180036719 A KR1020180036719 A KR 1020180036719A KR 20180036719 A KR20180036719 A KR 20180036719A KR 101919813 B1 KR101919813 B1 KR 10191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uid
reinforcing portion
strength
strength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이종태
Original Assignee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468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0325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3Y-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8Bends; Siphons made from plas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1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vib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배관과 배관 사이를 연결하며, 적어도 두 방향으로 각 단부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이음관에 있어서, 단일관 구조 또는 이중관 구조를 이루고, 양단에 상기 배관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양단 외측에 나선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내선부에 회전 결합되는 배관체결부재; 상기 배관체결부재와 상기 배관 사이를 밀봉하는 링 형상의 씰링부재; 상기 몸체의 외부 일측에 융착 또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충돌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다층 구조의 강도보강부; 및 상기 강도보강부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강도보강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상기 강도보강부 보다 큰 크기를 갖는 보조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음관 {JOINT PIPE}
본 발명은 배관과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관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물이나 가스, 각종 유체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파이프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상(tube shape)이며, 이송되는 유체의 종류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파이프는 다양한 직경과 길이를 가지며, 기능이나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파이프는 복수 개가 상호 연통하도록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각 파이프는 이음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음관은 배관이 연결된 방향에 따라 T형상, Y형상 또는 L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음관의 일 예가 한국특허공개 제10-2007-0078101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 문헌에 개시된 이음관은 형상적인 특성 때문에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진행 방향이 급격하게 바뀌면서 유체가 충돌하는 부분이 발생한다. 유체가 충돌하는 부분에서 이음관의 내벽에 충격이 전달되므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음관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이음관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유체가 이음관의 동일한 부분에 지속적으로 충돌하면, 해당 부분의 강도가 약해서 이음관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7-0078101호 (공개일 2007.07.30)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관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의 지속적인 충돌에 따른 이음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음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배관과 배관 사이를 연결하며, 적어도 두 방향으로 각 단부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이음관에 있어서, 단일관 구조 또는 이중관 구조를 이루고, 양단에 상기 배관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양단 외측에 나선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내선부에 회전 결합되는 배관체결부재; 상기 배관체결부재와 상기 배관 사이를 밀봉하는 링 형상의 씰링부재; 상기 몸체의 외부 일측에 융착 또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충돌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다층 구조의 강도보강부; 및 상기 강도보강부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강도보강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상기 강도보강부 보다 큰 크기를 갖는 보조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는 서로 크기가 다른 판(plate) 형상을 갖는 복수의 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판은 상기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작아지도록 적층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돌출판은 상기 몸체와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몸체와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몸체보다 강도가 낮은 재질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각 돌출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복수의 슬릿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홈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슬릿홈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강도보강부와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이음관에 따르면, 강도 보강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체가 충돌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강도 보강부는 이종 재질의 혼용, 유체의 유속 및 유량을 고려한 형상 및 배치를 가지므로 유체의 충돌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변형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세부 구조 및 그의 변형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변형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00)은 배관(1)과 배관(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이다. 이음관(100)은 배관(1, 2)이 연결된 방향에 따라 T형상, Y형상 또는 L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L형상인 이음관(100)을 엘보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L형상의 이음관(100)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음관(100)은 내부에 양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된 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실제 유체가 유동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제1 층(110a)과, 제1 층(110a)의 외피를 형성하는 제2 층(1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면도(도 4)상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관상의 구조를 '이중관 구조'로 정의한다. 여기서 제1 층(110a) 및 제2 층(110b)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되 강도가 같거나 다른 물질을 혼합해 서로 강도가 다르게 만들어질 수도 있고, 서로 강도가 같거나 다른 이종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제2 층(110b)은 제1 층(110a)에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되거나, 이중 사출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10)는 단일 재질 또는 이종 재질의 이중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가 하나의 층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재에 상관없이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관상의 구조를 '단일관 구조'로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단일관 구조를 기본으로 몸체(110)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 단일관 구조 또는 이중관 구조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모든 구성은 단일관 구조 및 이중관 구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몸체(110)는 배관(1, 2)이 연결되는 방향에 따라 L자 형태로 굴곡되며, 양단부에 배관(1, 2)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일측에는 강도보강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2)는 이음관(1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각 배관(1, 2)과 동일한 중심축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음관(100)이 L자 형상이므로, 각 연결부(112)는 서로 90도의 각도를 갖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2)의 외측에는 나선부(113)가 형성되고, 나선부(113)에 회전 결합되는 배관체결부재(115)가 구비된다. 배관체결부재(115)와 배관(1, 2)의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밀봉하는 씰링부재(114)가 삽입될 수 있다. 배관체결부재(115)는 연결부(112)와 나선 결합되면서 씰링부재(114)를 가압하여 배관(1, 2)의 외주면을 조여 이음관(100)과 배관(1, 2)을 연결한다.
강도보강부(120)는 배관(1, 2)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충돌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강도보강부(120)는 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120)는 소정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되,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주변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강도보강부(120)는 중심에서 주변부까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부(120)는 복수의 돌출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판(122)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에 복수 개가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판(122) 역시 중심에서 주변부까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고, 중심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돌출판(122)은 원형이나 타원형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축(이하 중심축)이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돌출판(122)은 필요에 따라 중심축이 동심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돌출판(122)은 유체의 유량 및 유속에 따라 중심축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유체의 유량 및 유속이 클 경우, 유체는 배관(1, 2)의 중심축 선상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몸체(110)의 벽면에 충돌할 수 있다. 강도보강부(120)는 적층된 돌출판(122) 중 외측 최상단의 중심이 유체가 충돌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유체의 유량 및 유속이 작을 경우, 유체는 배관(1, 2)의 중심축 선상에 대해 수직에서 기울어진 위치로 몸체(110)의 벽면에 부딪힐 수 있다. 따라서 강도보강부(120)는 적층된 돌출판(122) 중 어느 하나의 중심이 최상단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중심 위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유체가 충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강도보강부(120)는 적층 형성되는 복수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돌출판(122)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강도보강부(120)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강도보강부(120)는 몸체(11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와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음관(100)은, PVC 또는 PP, PE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120)는 몸체(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100)은 충격 흡수 및 강도 보강을 위한 추가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00a)은 몸체(110)는 경질의 재질로 구성되고, 강도보강부(120)와 몸체(110)의 외주면 사이에 연질의 보조보강부(130a)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보강부(130a)는 몸체(110)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인 재질로 만들어지며, 강도보강부(120)보다 넓은 면적으로 구비된다. 보조보강부(130a)는 강도보강부(120)와 함께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보조보강부(130a)가 몸체(110)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조보강부(130a)는 몸체(110)의 내측 중에서도 강도보강부(120)를 향하는 면 상에 유체가 충돌하는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조보강부(130a)는 강도보강부(120)가 구비된 영역만을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경질과 연질이라는 용어는 특정 강도 수치나 특정 재질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재질에 대해 상대적으로 단단하거나 덜 단단한 것을 경질, 연질로 정의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보강부(130b)는 강도보강부(120)의 돌출판(122) 중 몸체(110)에 직접 결합되는 돌출판(122)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보조보강부(130b)가 돌출판(12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보강부(130b)는 강도보강부(120)의 강성을 보완하거나, 유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보강부(130b)는 몸체(110)뿐만 아니라 강도보강부(120)와도 다른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보조보강부(130a, 130b)는 몸체(110)와 이중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보조보강부(130a, 130b)를 형성한 다음 초음파 융착 등의 방법으로 몸체(110)와 융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조보강부가 몸체 또는 강도보강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조보강부는 이중사출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에 부착될 때 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혼합재를 혼합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보조보강부와 몸체, 보조보강부와 강도보강부 사이에 부착성을 높일 수 있는 접착제 등과 같은 물질을 도포해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강도보강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특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함).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강도보강부(120c)는 충격에 대한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몸체(110)와 이형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강도보강부(120c)는 이중사출에 의해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음관(100c)의 몸체(110)는 PVC 또는 PP, PE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강도보강부(120c)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이형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부(120c)의 각 돌출판(122c)을 모두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0)에 가까운 돌출판(122c)일수록 강도가 큰 재질로 구성하고, 몸체(110)에서 멀어지는 돌출판(122c)일수록 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몸체(110)에 가까운 돌출판(122c)은 소음 진동 흡수가 용이한 재질로 구성하고, 돌출판(122c)이 몸체(110)에서 멀어질수록 소음 진동의 흡수율이 상이한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강도보강부(120c)가 동일한 재질의 돌출판(122c)으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재질의 돌출판(122c)으로 구성되는 경우, 돌출판(122c)의 형상 역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판(122d)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크기 별로 적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돌출판(122d)은 각 층이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판(122d)은 이중 사출에 의해 몸체(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몸체(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충돌 부위를 고려해 넓은 면적을 커버해야 하는 부분에는 사각형의 돌출판(122e)을 적용하고, 유체의 충돌 속도나 유량을 고려해 타원형이나 원형의 돌출판(122e)을 혼합해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강도보강부는 또 다른 변형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보강부(120f)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적층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판(122f)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판(122f)은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홈(124f)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홈(124f)은 강도보강부(120f)의 강도를 국부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가 몸체(110) 벽면에 부딪힘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며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슬릿홈(124f)은 각각의 돌출판(122f)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슬릿홈(124f)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강도보강부(120f)에 형성되는 슬릿홈(124f)은 방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충격의 완충 등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슬릿홈(126g)은 복수의 원형 또는 타원형 돌출판(122g)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음관(100g)은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의 몸체(110) 외측에 형성된 강도보강부(120g)에 의해 이음관(100g)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강도보강부(120g)에 의해 유체가 부딪히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 흡수하여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릿홈(126g)은 강도보강부(120g)의 강도를 국부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가 몸체(110) 벽면에 부딪힘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며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음관(100g)은, 강도보강부(120g)에 의해 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강도보강부(120)는 소정의 단차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강도보강부(12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강도보강부(120)는 단차가 없이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주변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몸체(110)의 벽면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음관(100)은, 몸체(110)의 벽면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음관(100)은 이중관으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본 발명의 이음관이 'L'자 형상의 엘보관을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다른 형태의 이음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강도보강부 및 보조보강부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른 형태의 이음관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복수의 원형 돌출판을 구비한 강도보강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보조보강부와 다양한 형태의 강도보강부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이음관(200)은 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음관(200)은 양단이 일자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된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210)는 배관이 연결되는 방향에 따라 소정의 형태로 굴곡되거나,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굴곡된 일측에 배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210)에는 연결부(212)에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어 부딪히는 부분에 각각 강도보강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220)는 유체가 부딪히는 벽면 외측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강도보강부(220)는 소정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되,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주변부로 갈수록 두께가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강도보강부(220)는 복수의 원형 또는 타원형 돌출판(2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에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강도보강부(220)는 몸체(21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210)와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측면도이다.
도 14와 도 15를 참고하면, 이음관(300)은 Y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음관(300)은 양단이 일자로 관통된 중공이 형성된 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310)는 배관이 연결되는 방향에 따라 소정의 형태로 굴곡되거나,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굴곡된 일측에 배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310)에는 연결부(312)에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어 부딪히는 부분에 각각 강도부강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강도부강부(320)는 유체가 부딪히는 벽면 외측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강도부강부(320)는 소정의 두께로 돌출 형성되되,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주변부로 갈수록 두께가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강도부강부(320)는 복수의 원형 또는 타원형 돌출판(3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에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강도부강부(320)는 몸체(31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310)와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이음관(300)은, 연결부(312)의 형상 등에 따라 유체가 몸체(310)에 부딪히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유체가 몸체(310)에 부딪히는 위치를 고려하여 강도부강부(320)가 형성되는 위치 또는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이음관(100, 200, 300)이 연결부(112, 212, 312)를 구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음관은 연결부 없이 배관을 연결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의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이음관(400)은 본체(410)와, 복수의 돌출판(422)으로 구성된 강도보강부(420)를 포함한다.
본체(410)의 양단에는 연결할 배관(미도시)의 외경에 내경을 갖는 배관 연결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각 배관 연결부(420)에 배관의 단부가 삽입될 때 배관의 외부에 접착제 등을 사용해 배관과 배관 연결부(420)를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술한 강도 보강부(420) 및 보조 보강부(미도시)가 본 실시 예의 이음관(4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410)에는 단일 재질의 단일관 구조 또는 이중 재질의 이중관 구조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이음관 110: 몸체
112: 연결부 120: 강도보강부
122: 돌출판 130: 보조보강부

Claims (8)

  1. 배관과 배관 사이를 연결하며, 적어도 두 방향으로 각 단부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이음관에 있어서,
    단일관 구조 또는 이중관 구조를 이루고, 양단에 상기 배관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양단 외측에 나선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나선부에 회전 결합되는 배관체결부재;
    상기 배관체결부재와 상기 배관 사이를 밀봉하는 링 형상의 씰링부재;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외부 일측에 융착 또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충돌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층되어 상기 유체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을 감소시키며, 상기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돌출판을 구비한 강도보강부; 및
    상기 강도보강부와 상기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강도보강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 또는 상기 강도보강부 보다 큰 크기를 갖는 보조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의 충돌 부위는
    유체의 유량 및 유속이 큰 경우 상기 배관의 중심축 선상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몸체의 벽면에 충돌하는 부위이고, 상기 돌출판 중 외측 최상단의 중심이 유체가 충돌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판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유체의 유량 및 유속이 작은 경우 상기 배관의 중심축 선상에 대해 수직에서 기울어진 위치로 상기 몸체의 벽면에 충돌하는 부위이며, 상기 돌출판 중 어느 하나의 돌출판의 중심이 최상단에 위치한 돌출판의 중심 위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유체가 충돌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돌출판의 중심 위치가 동심으로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음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은
    상기 몸체와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이음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몸체와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지되, 상기 몸체보다 강도가 낮은 재질인
    이음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강도보강부와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이음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유체가 부딪히는 부분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각 돌출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복수의 슬릿홈을 포함하는
    이음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슬릿홈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홈을 포함하는 이음관.
KR1020180036719A 2017-11-23 2018-03-29 이음관 KR10191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4686 WO2019103254A1 (ko) 2017-11-23 2018-04-23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516 2017-11-23
KR20170157516 2017-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813B1 true KR101919813B1 (ko) 2019-02-08

Family

ID=6536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19A KR101919813B1 (ko) 2017-11-23 2018-03-29 이음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9813B1 (ko)
WO (1) WO2019103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0864A (zh) * 2019-11-07 2021-05-11 上海海立电器有限公司 减振弯管、压缩机及空调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745Y1 (ko) * 2004-01-08 2004-04-01 (주)코리아 이노테크 오배수용 삼중 엘보우 이음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4682C2 (de) * 2000-09-08 2002-08-29 Thyssenkrupp Stahl Ag Verfahren und Platine zur Herstellung eines kaltumgeformten Bauteils aus Stahlblech und Verwendung einer Platine
KR101418940B1 (ko) * 2012-12-21 2014-07-11 이종태 소음방지 이음관
KR200473930Y1 (ko) * 2013-05-31 2014-08-11 남헌 펌프카용 엘보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745Y1 (ko) * 2004-01-08 2004-04-01 (주)코리아 이노테크 오배수용 삼중 엘보우 이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254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13B1 (ko) 이음관
KR101059130B1 (ko)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JP2006194430A (ja) 耐圧ホース
MXPA02005403A (es) Tuberia ara un fluido de vehiculo motor.
JP3992657B2 (ja) 管継手
US11052754B2 (en) Fuel tank
JP2018035827A (ja) 曲管
JPWO2020203846A1 (ja) ルーズフランジ及び管継手
JP6050628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KR101418940B1 (ko) 소음방지 이음관
US11112038B2 (en) Pipe-fitting
JP4217810B2 (ja) 可撓性二層管
US20170045161A1 (en) Multilayer composite waste tube
JP2009138792A (ja) 可撓性耐圧ホース
CN215258445U (zh) 一种双壁塑料波纹管
JP7426208B2 (ja) 脚部継手
CN109094548B (zh) 一种偏置三通集成单向阀
CN214171573U (zh) 一种静音低噪聚乙烯管道
US20020182356A1 (en) Tube for transporting a coolant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9105328A (ja) 複合管
CN208011094U (zh) 一种双平壁钢塑复合管
KR200440771Y1 (ko) 엘보우
JPH04129832A (ja) 樹脂製燃料給油管
JP2007051678A (ja) 管継手
JP2023037211A (ja) 配管継手